KR101052417B1 - 유체정화 필터유닛 - Google Patents

유체정화 필터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2417B1
KR101052417B1 KR1020080076070A KR20080076070A KR101052417B1 KR 101052417 B1 KR101052417 B1 KR 101052417B1 KR 1020080076070 A KR1020080076070 A KR 1020080076070A KR 20080076070 A KR20080076070 A KR 20080076070A KR 101052417 B1 KR101052417 B1 KR 101052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ilter
fluid
wall
support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6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5145A (ko
Inventor
박성호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riority to KR1020080076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2417B1/ko
Publication of KR20100015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5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2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2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7Bypass or safety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6Closures, lids, caps or filter heads forming one element with the filtering ele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정화 필터유닛을 개시한다. 상기 유체정화 필터유닛은, 일측에 도입구가 구비되고 일방이 개구된 수용공간을 갖는 제1 하우징; 일측에 배출구가 구비되고 일방이 개구된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1 하우징에 실링부재를 매개로 하여 밀봉되고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1,2 하우징의 원주상 내벽중 안측 것에 대해 유로공간을 형성하도록 외경이 작게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하우징의 도입구와 대응하는 저면부분에 적어도 두 개의 돌출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하우징의 도입구와 대응하는 중앙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형성된 원판과, 상기 원판의 상면 중앙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일정거리를 두고 각각 구비되며, 주변과 부분적으로 상호 연통되도록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다수 개의 수직컬럼으로 구성된 내,외측 격벽부를 포함하는 지지홀더; 이 지지홀더의 내측 격벽부와 외측 격벽부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고 조립 또는 분해시 상기 내측 격벽부의 수직컬럼들을 통해 안내되며, 유체 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 및 상기 제1,2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이물질에 의해 상기 필터의 통공들이 막혀 상기 제1,2 하우징 내에 과압력이 발생했을 때 유체를 여과 없이 상기 제2 하우징의 배출구로 배출 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바이패스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체정화 필터유닛{Fluid clarification filter unit}
본 발명은 유체정화 필터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 공기, 오일 등과 같은 유체의 정화를 필요로 하면서 유체의 공급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세탁기, 세척기, 가스오븐, 자동차, 유압장비 등에 적용 가능하며, 이물질에 의해 필터의 통공(through-holes)이 막혀 과압력이 발생할 경우 유체의 바이패스를 원활하게 하고 필터유닛의 조립성과 정비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하는 유체정화 필터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와 세척기는 모두 물을 사용하여 의류를 세탁하고 식기를 세척한다. 세탁기 또는 세척기의 급수부분에는 통상적으로 걸름망 필터가 구비되어 있다. 그에 따라, 걸름망 필터는 급수 속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부유물이 세탁기 또는 세척기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세탁기 또는 세척기의 걸름망 필터 내로 다량의 부유물이 포함된 급수가 과다하게 유입되는 경우, 걸름망 필터의 통공들이 막히는 문제가 발생한다. 게다가, 사용자가 적시에 필터에 발생된 문제를 발견하지 못하고 그러한 필터의 막힘 상태가 장시간 지속되는 경우 해당기기에 심각한 고장을 초래 할 우려가 매우 높다.
한편, 가스오븐은 연소시 주변의 공기를 끌어들여 가스를 연소시킴으로써 음식물을 가열한다. 가스오븐의 일부분에는 망사 형태의 에어필터가 구비되어 있다. 그에 따라, 에어필터는 흡인되는 공기 속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가스오븐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가스오븐의 에어필터 내로 다량의 부유물이 포함된 공기가 장시간 과다하게 유입되는 경우, 에어필터의 통공들이 막혀버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게다가, 사용자가 적시에 필터에 발생된 문제를 발견하지 못하고 그러한 필터의 막힘 상태가 장시간 지속되는 경우 해당기기에 고장을 초래할 우려가 매우 높다.
다른 한편, 자동차와 유압장비는 윤활유(또는 엔진오일) 정화용 오일필터를 통해 공급되는 윤활오일을 엔진의 각 윤활부로 공급한다. 또한, 유압장비는 윤활유 정화를 위한 오일필터 외에 작동유 정화를 위한 오일필터를 더 사용하며, 작동유 정화를 위한 오일필터를 통해 공급되는 압유는 각종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킨다. 그에 따라, 자동차와 유압장비의 윤활유 정화용 오일필터는 공급되는 오일 속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이 엔진의 각 윤활부로 유입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한다. 또한, 유압장비의 작동유 정화용 오일필터는 작동유 속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이 각종 액추에이터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한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오일 순환계통에 적용되는 오일필터를 도시한 것이다.
종래 기술의 오일필터(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이 개방된 하우징(2)과, 이 하우징의 하단에 시밍접합(seaming) 방식으로 고정되고 중앙에 구멍(3a)이 형성되며, 저면의 둘레에 패킹링(3b)이 구비되는 밀폐커버(3)와, 이 밀폐커버의 구멍(3a)의 상부에 결합되고 중앙부분에 축선을 따라 나사체결 겸용 유출공(4aa)이 형성된 보스(4a)를 구비하며, 그 보스의 하단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고 중앙의 둘레를 따라 다수 개의 유입공(4bb)이 형성된 플랜지(4b)를 갖는 하부체결구(4)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오일필터(1)는 상기 하부체결구(4)의 플랜지(4b)에 형성된 유입공(4bb)의 상측에 구비되는 다이어프램밸브(5)와, 상,하부판(6a,6b)을 구비하고 그 사이에 여과망(6c), 여과지(6d), 다공판(6e)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판(6b)이 상기 하부체결구(4)의 보스(4a)의 상측에 고정되는 필터(6)와, 이 필터의 상부판(6a)의 저면 중앙에 하향 배치되고 일정압력을 초과한 오일을 여과 없이 배출시키는 오버플로밸브(7)와, 상기 필터(6)의 상부판(6a)과 하우징(2)의 상부 사이에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필터(6)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밀착시키는 스프링(8)을 더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의 오일필터(1)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엔진의 작동에 의해 오일펌프(미도시)가 가동되면, 오일이 오일펌프를 통해 오일필터(1)의 하부체결구(4)의 유입공(4bb)으로 공급된다. 그러면, 상기 하부체결구(4)의 유입공(4bb)으로 유입된 오일은 상기 다이어프램밸브(5)를 밀어내면서 필터(6)의 여과망(6c), 여과지(6d) 및 다공판(6e)을 거치게 된다. 이때, 오일에 함유된 이물질이 상기 필터(6)에 의해 여과되게 되며, 그에 따라 깨끗해진 오일만이 필터(6)의 중앙공간을 통해 나사체결 겸용 유출공(4aa)을 통해 엔진의 각 윤활부로 공급된다. 한편, 상기 필터(6)에 다량의 이물질이 끼어 상기 하우징(2)과 필터(6) 사이의 공간 내의 오일압력이 높아지면, 상기 오일필터(1)는 일정압력을 초과한 오일을 상기 오버플로밸브(7)를 통해 상기 필터(6) 내의 중앙공간으로 배출시킨다. 그러면 그 중앙공간 내의 오일은 상기 하부체결구(4)의 나사체결 겸용 유출공(4aa)을 통해 엔진 하부의 오일팬(미도시)으로 배출되어 재순환의 준비상태에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오일필터(1)는 오일이 필터(6)로 공급되는 부분과 그 필터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부분이 동일한 방향에 배치되어 있어 그러한 구조가 오일 흐름경로를 급격히 변화시킴으로써 기본적으로 오일흐름에 저항을 발생시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오일필터(1)는 상기 하부체결구(4)가 결합된 밀폐커버(3)와 상기 하우징(2)이 시밍접합으로 고정된 구조이기 때문에 일단 조립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밀폐커버(3)와 하우징(2)을 분리할 수 없게 된다.
그에 따라, 종래 기술의 오일필터(1)는 윤활오일의 열화에 의한 오일필터의 교환시 상기 필터(6)만을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오일필터(1) 전체를 새것으로 교체할 수밖에 없어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오일필터(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밀폐커버(3)와 하우징(2)의 분리가 어려워 정비가 어렵기 때문에 재생 또는 재사용이 거의 불가능하다. 게다가, 상기 오일필터(1)를 그대로 버릴 경우 오일필터 내에 잔류된 폐유가 외부로 누출되게 됨으로써 이차적으로 환경오염을 유발시킬 우려가 매우 높다.
도 2는 일반적으로 유압장비의 작동유를 정화시키기 위한 오일필터를 구비한 오일탱크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의 오일탱크(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구비되고 액추에이터(미도시) 등으로부터 리턴되는 작동유가 유입되는 리턴포트(11)와,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리턴포트(11)와 연통되며, 다수 개의 분사공(12a)을 갖는 분사관(12)과, 이 분사관의 외주면에 끼워지고 작동유에 포함된 이물질을 일차적으로 제거하는 제1 필터(13)와, 상기 분사관(12)의 하부에 구비되고 작동유에 포함된 이물질을 이차적으로 제거하는 제2 필터(14)와,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 필터(14)와 연통하며, 메인펌프(미도시)로 오일을 안내하는 흡입포트(15)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오일탱크(10)는 단지 작동유를 상기 제1,2 필터(13,14)를 통해 순차적으로 정화시키는 구조일뿐 과압력 발생시 작동유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바이패스밸브가 없기 때문에 상기 제1 필터(13) 또는 제2 필터(14)에 이물질이 과다하게 축적될 때 작동유가 상기 리턴포트(11)로부터 오일탱크(10)를 통해 상기 흡입포트(15)로 제대로 배출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이물질에 의해 필터의 통공들(through-holes)이 막혀 오일필터 내에 과압력이 발생할 경우 유체의 흐름을 신속히 도입구-필터- 배출구의 경로로부터 도입구-바이패스수단-배출구의 경로로 변경시킬 수 있게 하는 유체정화 필터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부에 필터와 바이패스수단을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하고, 일정주기마다 필터를 새것으로 교체할 시 분해를 용이하게 하며, 내부 부품들의 정비를 편리하게 할 수 있게 하는 유체정화 필터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에서 바이패스수단의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미리 필터교체시기의 도래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유체정화 필터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측에 도입구가 구비되고 일방이 개구된 수용공간을 갖는 제1 하우징;
일측에 배출구가 구비되고 일방이 개구된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1 하우징에 실링부재를 매개로 하여 밀봉되고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1,2 하우징의 원주상 내벽중 안측 것에 대해 유로공간을 형성하도록 외경이 작게 형성되는 것으로서, 여과 상태시 상기 제1 하우징의 도입구로부터 상기 유로공간으로 유체를 안내하도록 상기 제1 하우징의 도입구와 대응하는 저면부분에 적어도 두 개의 돌출리브가 형성되고, 바이패스 상태시 상기 유로공간을 경유함이 없이 상기 제2 하우징의 배출구측으로 유체를 안내하도록 상기 제1 하우징의 도입구와 대응하는 중앙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형성된 원판과, 상기 원판의 상면 중앙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일정거리를 두고 각각 구비되며, 주변과 부분적으로 상호 연통되도록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다수 개의 수직컬럼으로 구성된 내,외측 격벽부를 포함하는 지지홀더;
이 지지홀더의 내측 격벽부와 외측 격벽부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고 조립 또는 분해시 상기 내측 격벽부의 수직컬럼들을 통해 안내되며, 유체 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 및
상기 제1,2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이물질에 의해 상기 필터의 통공들이 막혀 상기 제1,2 하우징 내에 과압력이 발생했을 때 유체를 여과 없이 상기 제2 하우징의 배출구로 배출 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바이패스수단;
을 포함하는 유체정화 필터유닛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다음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이패스수단은 상기 지지홀더의 내측 격벽부 내에 구비되며, 상기 바이패스수단은 상기 원판의 중앙부분과 마주하는 헤드부와 이 헤드부의 하단에 구비된 확장바를 포함하는 밸브블록과, 이 밸브블록의 확장바에 끼워지고 외측단이 상기 제2 하우징의 대응내벽에 의해 지지되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하우징의 배출구의 내측단에는 중앙을 가로지르는 십자형리브가 형성되고, 이 십자형리브의 외측단에는 십자형리브의 상면보다 위로 돌출된 안내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코일스프링의 외측단은 상기 십자형리브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안내리브에 의해 둘러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2 하우징의 내벽과 상기 지지홀더의 외측 격벽부의 외벽 사이에 형성된 유로공간에 바이패스수단을 설치할 수 있도록 매개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과 상기 매개부재는 각각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매개부재는 중앙부분에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부와, 이 본체부의 테두리를 따라 그 테두리로부터 일측방향으로 뻗는 플랜지와, 이 플랜지와 인접해 있는 적어도 한 개소에 주변과 연통되도록 부분적으로 형성된 지지리브와, 이 지지리브와 대응 플랜지에 의해 둘러싸인 상기 본체부의 일부분을 관통하는 형태로 구 비된 포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매개부재는 상기 포트가 상기 제1,2 하우징의 내벽과 상기 지지홀더의 외측 격벽부의 외벽 사이에 형성된 유로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지지홀더의 내측 격벽부 내의 공간과 마주하도록 상기 제2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상기 매개부재의 포트와 마주하는 상기 제2 하우징의 대응내벽에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이패스수단은 상기 지지리브와 대응 플랜지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바이패스수단은 상기 포트와 마주하는 헤드부와 이 헤드부의 하단에 구비된 확장바를 포함하는 밸브블록과, 이 밸브블록의 확장바에 끼워지고 외측단이 상기 제2 하우징의 오목부에 수용되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매개부재는 상기 포트가 상기 제1,2 하우징의 내벽과 상기 지지홀더의 외측 격벽부의 외벽 사이에 형성된 유로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지지홀더의 내측 격벽부 내의 공간과 마주하도록 상기 제2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상기 포트의 상부부분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바이패스수단은 상기 포트를 매개로 하여 설치되며, 상기 바이패스수단은 상기 포트와 마주하는 헤드부와 이 헤드부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포트를 통해 외부로 뻗는 확장바를 포함하는 밸브블록과, 상기 포트의 외부로 돌출된 상기 확장바에 끼워지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확장바의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코일스프링의 외측단을 지지하는 패스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측 격벽부의 각 수직컬럼의 상단은 보강리브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밸브블록의 헤드부의 중앙에는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와 상기 확장바의 외주에는 적어도 두 개의 보강리브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필터의 일단부와 마주하는 상기 제2 하우징 또는 상기 매개부재의 대응내벽과 상기 필터의 타단부와 마주하는 상기 지지홀더의 원판의 대응내벽에는 각각 상기 필터를 밀착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필터는 비교적 사이즈가 큰 이물질을 걸러내는 전처리필터와, 이 전처리필터에 의해 둘러싸이고 비교적 사이즈가 작은 이물질을 걸러내는 후처리필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2 및 3 실시예는 오래 사용하거나 오염된 유체로 인해 필터의 통공들이 막혀 오일필터 내에 과압력이 발생할 경우 유체의 흐름을 신속히 도입구-필터-배출구의 경로로부터 도입구-바이패스수단-배출구의 경로로 변경시킬 수 있게 하여, 해당기기의 고장을 예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는 제1,2 하우징 내에 구비되는 지지홀더를 통해 필터와 바이패스수단을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하고, 일정주기마다 필터를 새것으로 교체할 시 분해를 용이하게 하며, 내부 부품들의 정비를 편리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및 3 실시예는 제1,2 하우징 내에 구비되는 지지홀더를 통해 필터를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하고 매개부재를 통해 바이패스수단을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하며, 일정주기마다 필터를 새것으로 교체할 시 분해를 용이하게 하고 내부 부품들의 정비를 편리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및 3 실시예는 제1,2 하우징과 매개부재가 투명재질로 이루어지고 지지홀더의 바깥측에 배치됨으로써 외부에서 바이패스수단의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미리 필터교체시기의 도래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체정화 필터유닛의 각각의 실시예를 도 3 내지 도 17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체정화 필터유닛의 전체구성을 보여주는 개략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체정화 필터유닛의 개략 분해 단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체정화 필터유닛의 개략 단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체정화 필터유닛(2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21), 제2 하우징(22), 지지홀더(23), 필터(24) 및 바이패스수단(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하우징(2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도입구(21a)가 구비되고 일방이 개구된 수용공간(21b)을 갖는다. 상기 제2 하우징(22) 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배출구(22a)가 구비되고 일방이 개구된 수용공간(22b)을 갖는다. 상기 제1,2 하우징(21,22)은 실링부재(25)를 매개로 하여 밀봉되고 상호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제1,2 하우징(21,22)은 나사선 결합방식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홀더(23)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 하우징(21,22)의 원주상 내벽 중 안측 것에 대해 유로공간(S)을 형성하도록 그 제1,2 하우징의 원주상 내벽중 안측 것에 비해 외경이 작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홀더(23)는 크게 원판(23a)과 내,외측 격벽부(23b,23c)를 갖는다. 상기 원판(23a)은 상기 제1,2 하우징(21,22)의 원주상 내벽중 안측 것에 대해 유로공간을 형성하도록 외경이 작게 형성되는 것으로서, 여과 상태시 상기 제1 하우징(21)의 도입구(21a)로부터 상기 유로공간으로 유체를 안내하도록 상기 제1 하우징(21)의 도입구(21a)와 대응하는 저면부분에 적어도 두 개의 돌출리브(26)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원판(23a)은 바이패스 상태시 상기 유로공간을 경유함이 없이 상기 제2 하우징(22)의 배출구(22a)측으로 유체를 안내하도록 상기 제1 하우징(21)의 도입구(21a)와 대응하는 중앙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23aa)이 형성된다. 상기 원판(23a)의 관통홀(23aa)의 개수는 상기 도입구(21a)로부터 배출구(22a)로 빠져나가는 유체의 시간당 통과량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상기 내,외측 격벽부(23b,23c)는 상기 원판(23a)의 상면 중앙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일정거리를 두고 각각 구비되며, 주변과 부분적으로 상호 연통되도록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다수 개의 수직컬럼(28)으로 구성된다.
상기 필터(24)는 상기 지지홀더(23)의 내측 격벽부(23b)와 외측 격벽부(23c)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고 조립 또는 분해시 상기 내측 격벽부(23b)의 수직컬럼(28)들을 통해 안내되며, 유체 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바이패스수단(30)은 상기 제1,2 하우징(21,22)의 내부에 구비되고 이물질에 의해 상기 필터(24)의 통공들이 막혀 상기 제1,2 하우징(21,22) 내에 과압력이 발생했을 때 유체를 여과 없이 상기 제2 하우징(22)의 배출구(22a)로 배출시킬 수 있게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체정화 필터유닛은 아래의 실시예들로 더 구체화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이패스수단(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홀더(23)의 내측 격벽부(23b)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수단(30)은 도 5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판(23a)의 관통홀(23aa)과 마주하는 헤드부(31a)와 이 헤드부의 하단에 구비된 확장바(31b)를 포함하는 밸브블록(31)과, 이 밸브블록의 확장바(31b)에 끼워지고 외측단이 상기 제2 하우징(22)의 대응내벽에 의해 지지되는 코일스프링(32)으로 구성된다. 상기 코일스프링(32)의 탄성력의 크기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체정화 필터유닛(20)이 적용되는 해당기기의 환경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제2 하우징(22)의 대응내벽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제2 하우징의 배출구(22a)의 내측단일 수 있다. 상기 배출구(22a)의 내측단은 상기 제2 하우징(22)의 내벽과 동일한 높이이거나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벽으로부터 일정높이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출구(22a)의 내측단이 돌출된 형태인 경우, 상기 배출구(22a)의 내측단에는 중앙을 가로지르는 십자형리브(27)가 형성되고 이 십자형리브의 외측단에는 십자형리브(27)의 상면보다 위로 돌출된 안내리 브(27a)가 형성된다. 상기 코일스프링(32)의 외측단은 상기 십자형리브(27)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안내리브(27a)에 의해 둘러싸인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홀더(23)의 내,외측 격벽부(23b,23c)는 각각 상호 일정간격을 갖는 다수 개의 수직컬럼(28)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측 격벽부(23c)의 각 수직컬럼(28)의 상단은 보강리브(28a)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측 격벽부(23b)의 각 수직컬럼(28)의 선단부는 필터(24)를 상기 내,외측 격벽부(23b,23c) 사이의 공간에 끼울 시 상기 필터(24)를 안내하도록 상기 지지홀더(23)의 중앙으로 휘어지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 수직컬럼(28)의 선단부는 몸체의 하부부분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몸체의 하부부분 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선단부의 모양은 상기 내,외측 격벽부(23b,23c) 사이의 공간에 필터(24)를 용이하게 끼울 수 있게 한다.
다른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체정화 필터유닛의 개략 단면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체정화 필터유닛의 정상적인 여과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단면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체정화 필터유닛의 내부에 과압력이 걸릴 시 바이패스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단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체정화 필터유닛(40)은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제1 실시예에서 언급한 제1 하우징(21), 제2 하우징(22), 지지홀더(23), 필터(24) 및 바이패스수단(30)을 포함하는 기본구성에다 매개부재(35)를 더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매개부재(35)는 중앙부분에 개구부(35aa)가 형성된 본체부(35a)와, 이 본체부의 테두리를 따라 그 테두리로부터 일측방향으로 뻗는 플랜지(35b)와, 이 플랜지와 인접해 있는 적어도 한 개소에 주변과 연통되도록 부분적으로 형성된 지지리브(35c)와, 이 지지리브와 대응 플랜지(35b)에 의해 둘러싸인 상기 본체부(35a)의 일부분을 관통하는 형태로 구비된 포트(35d)로 이루어진다. 상기 매개부재(35)는 상기 포트(35d)가 상기 제1,2 하우징(21,22)의 내벽과 상기 지지홀더(23)의 외측 격벽부(23c)의 외벽 사이에 형성된 유로공간(S)에 위치하고 상기 개구부(35aa)는 상기 지지홀더(23)의 내측 격벽부(23b) 내의 공간과 마주하도록 상기 제2 하우징(22) 내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2 하우징(22)의 배출구(22a)의 내측단은 상기 제2 하우징(22)의 내벽과 동일한 높이이거나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벽으로부터 일정높이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출구(22a)의 내측단이 돌출된 경우, 상기 돌출된 내측단의 하부부분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하우징(22)의 배출구(22a)와 연통된다.
상기 바이패스수단(30)은 상기 매개부재(35)의 지지리브(35c)와 대응 플랜지(35b) 사이의 공간에 설치된다. 상기 바이패스수단(30)은 헤드부(31a)와 이 헤드부의 하단에 구비된 확장바(31b)를 포함하는 밸브블록(31)과, 이 밸브블록의 확장바(31b)에 끼워지는 코일스프링(32)으로 구성된다. 상기 코일스프링(32)의 탄성력의 크기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체정화 필터유닛(40)이 적용되는 해당기기의 환경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제2 하우징(22)과 상기 매개부재(35)는 사용자가 상기 유체정화 필터유닛(40)을 분해하지 않고도 외부에서 상기 바이패스수단(30)의 바이패스 상태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각각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매개부재(35)의 포트(35d)와 마주하는 상기 제2 하우징(22)의 대응내벽에는 오목부(22c)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에서, 상기 바이패스수단(30)의 헤드부(31a)는 상기 포트(35d)와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코일스프링(32)의 외측단은 상기 제2 하우징(22)의 오목부(22c)에 수용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홀더(23)의 내,외측 격벽부(23b,23c)는 각각 상호 일정간격을 갖는 다수 개의 수직컬럼(28)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측 격벽부(23c)의 각 수직컬럼(28)의 상단은 보강리브(28a)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측 격벽부(23b)의 각 수직컬럼(28)의 선단부는 필터(24)를 상기 내,외측 격벽부(23b,23c) 사이의 공간에 끼울 시 상기 지지홀더(23)의 중앙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몸체의 하부부분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컬럼(28)의 그러한 선단부의 모양은 상기 내,외측 격벽부(23b,23c) 사이의 공간에 필터(24)를 용이하게 끼울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체정화 필터유닛의 개략 단면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체정화 필터유닛의 정상적인 여과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단면 사시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체정화 필터유닛의 내부에 과압력이 걸릴 시 바이패스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단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체정화 필터유닛(45)은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제1 실시예에서 언급한 제1 하우징(21), 제2 하우징(22), 지지홀더(23), 필터(24) 및 바이패스수단(50)을 포함하는 기본구성에다 매개부재(35)를 더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매개부재(35)는 중앙부분에 개구부(35aa)가 형성된 본체부(35a)와, 이 본체부의 테두리를 따라 그 테두리로부터 일측방향으로 뻗는 플랜지(35b)와, 이 플랜지와 인접해 있는 적어도 한 개소에 주변과 연통되도록 부분적으로 형성된 지지리브(35c)와, 이 지지리브와 대응 플랜지(35b)에 의해 둘러싸인 상기 본체부(35a)의 일부분을 관통하는 형태로 구비된 포트(35d)로 이루어진다. 상기 매개부재(35)는 상기 포트(35d)가 상기 제1,2 하우징(21,22)의 내벽과 상기 지지홀더(23)의 외측 격벽부(23b,23c)의 외벽 사이에 형성된 유로공간(S)에 위치하고 상기 개구부(35aa)는 상기 지지홀더(23)의 내측 격벽부(23b) 내의 공간과 마주하도록 상기 제2 하우징(22) 내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2 하우징(22)의 배출구(22a)의 내측단은 상기 제2 하우징(22)의 내벽과 동일한 높이이거나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벽으로부터 일정높이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출구(22a)의 내측단이 돌출된 경우, 상기 돌출된 내측단의 하부부분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하우징(22)의 배출구(22a)와 연통된다.
상기 바이패스수단(50)은 상기 포트(35d)에 설치된다. 상기 바이패스수단(50)은 헤드부(31a)와 이 헤드부의 하단에 구비되는 확장바(31b)를 포함하는 밸브블록(31)과, 이 밸브블록의 확장바(31b)에 끼워지는 코일스프링(32)과, 상기 확장바(31b)의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코일스프링(32)의 외측단을 지지하는 패스너(51)로 구성된다. 상기 코일스프링(32)의 탄성력의 크기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체정화 필터유닛(45)이 적용되는 해당기기의 환경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제2 하우징(22)과 상기 매개부재(35)는 사용자가 상기 유체정화 필터유닛(45)을 분해하지 않고도 외부에서 상기 바이패스수단(50)의 바이패스 상태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각각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포트(35d)의 상부부분에는 그 포트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유체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35dd)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에서, 상기 바이패스수단(50)의 헤드부(31a)는 상기 포트(35d)와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확장바(31b)는 상기 포트(35d)를 통해 외부로 뻗으며, 상기 확장바(31b)에 끼워진 코일스프링(32)의 외측단은 상기 확장바(31b)의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된 패스너(51)에 의해 지지된다. 이 경우, 상기 패스너(51)는 상기 코일스프링(32)의 외경보다 큰 헤드부를 갖는 나사 또는 볼트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확장바(31b)에 나사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밸브블록(31)의 확장바(31b)의 선단에는 상기 코일스프링(32)의 외단을 지지하도록 고정링(미도시)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홀더(23)의 내,외측 격벽부(23b,23c)는 각각 상호 일정간격을 갖는 다수 개의 수직컬럼(28)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측 격벽부(23c)의 각 수직컬럼(28)의 상단은 보강리브(28a)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측 격벽부(23b)의 각 수직컬럼(28)의 선단부는 필터(24)를 상기 내,외측 격벽부(23b,23c) 사이의 공간에 끼울 시 상기 지지홀더(23)의 중앙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몸체의 하부부분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컬럼(28)의 그러한 선단부의 모양은 상기 내,외측 격벽부(23b,23c) 사이의 공간에 필터(24)를 용이하게 끼울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2 및 3 실시예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블록(31)의 헤드부(31a)의 중앙에는 상기 지지홀더(23)의 원판(23a)의 관통홀(23aa)을 통해 상기 밸브블록(31)의 저면측으로 유체가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오목부(31a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블록(31)의 헤드부(31a)와 확장바(31b)의 외주에는 적어도 두 개의 보강리브(31ab)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4개의 보강리브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2 및 3 실시예에서, 도 7,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24)의 일단부와 마주하는 상기 제2 하우징(22) 또는 상기 매개부재(35)의 대응내벽과 상기 필터(24)의 타단부와 마주하는 상기 지지홀더(23)의 원판(23a)의 대응내벽에는 각각 상기 필터(24)를 밀착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돌기(2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24)는 비교적 사이즈가 큰 이물질을 걸러내는 전처리필터(예컨대, 망사필터)와, 이 전처리필터에 의해 둘러싸이고 비교적 사이즈가 작은 이물질을 걸러내는 후처리필터(예컨대, 마이크로필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2 및 3 실시예에 따른 유체정화 필터유닛의 바람직한 조립과정 및 그 작동을 도 3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체정화 필터유닛(20)의 바람직한 조립 과정 및 그 작동을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홀더(23)의 내측 격벽부(23b) 안에 바이패스수단(30)을 위치시킴과 아울러, 상기 지지홀더(23)의 내측 격벽부(23b)와 외측 격벽부(23c) 사이의 공간에 필터(24)를 끼운 후, 상기 바이패스수단(30)과 필터(24)를 포함하는 지지홀더(23)를 제1 하우징(21) 안에 끼운다.
그런 다음, 내부에 실링부재(25)가 끼워진 제2 하우징(22)을 상기 제1 하우징(21)에 정렬시켜 상기 제1 하우징(21)과 제2 하우징(22)이 밀봉되도록 상호 밀착되게 결합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1 하우징(21)의 도입구(21a), 상기 지지홀더(23), 상기 바이패스수단(30) 및 상기 제2 하우징(22)의 배출구(22a)의 각 중심축선이 상호 정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수단(30)의 밸브블록(31)의 헤드부(31a)는 상기 내측 격벽부(23b)의 바닥 중앙부분과 마주하고 상기 바이패스수단의 확장바(31b)에 끼워진 코일스프링(32)의 외측단은 상기 제2 하우징(22)의 바닥 중앙부분의 대응내벽과 마주하게 된다.
그런 다음,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립된 유체정화 필터유닛(20)을 예컨대, 세탁기, 세척기, 가스오븐, 자동차, 유압장비 등의 유체공급 부분에 연결하여 사용하면 된다.
그러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체정화 필터유닛(20)의 도입구(21a)를 통해 정상범위 내의 압력으로 들어온 유체(공기, 윤활오일, 또는 작동오일)는 제1,2 하우징(21,22)의 내면과 지지홀더(23)의 외면 사이의 유로공간(S)을 따라 상기 지지홀더(23)의 외측 격벽부(23c)의 틈새를 통해 필터(24) 내로 유입된다.
이어서, 상기 필터(24) 내로 유입된 유체는 상기 지지홀더(23)의 내측 격벽부(23b)의 틈새를 통해 그 내측 격벽부의 중앙공간을 거쳐 상기 제2 하우징(22)의 배출구(22a)를 통해 해당기기의 필요부분으로 공급되게 된다. 이때, 유체 내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은 상기 필터(24)를 거치면서 걸러지게 된다.
그와는 달리, 오래 사용하거나 오염된 유체로 인해 상기 필터(24)에 상당량의 이물질이 끼게 됨으로써 필터를 통한 유체의 흐름경로가 막히는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입구(21a)를 통해 유입된 유체는 상기 필터(24)를 통과함이 없이 상기 지지홀더(23)의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23aa)을 통해 바이패스수단(30)의 코일스프링(32)의 탄성력을 이기면서 상기 바이패스수단(30)의 밸브블록(31)을 밀어내어 상기 지지홀더(23)의 내측 격벽부(23b) 내의 중앙공간으로 유입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지지홀더(23)의 내측 격벽부(23b) 내의 중앙공간으로 유입된 유체는 상기 제2 하우징(22)의 배출구(22a)를 통해 해당기기의 필요부분으로 공급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체정화 필터유닛(40)의 바람직한 조립과정 및 그 작동을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개부재(35)의 지지리브(35c)와 대응플랜지(35b) 사이의 공간에 바이패스수단(30)을 장착한 상태에서 그 바이패스수단의 밸브블록(31)의 확장바(31b)에 끼워진 코일스프링(32)의 외측단이 제2 하우징(22)의 오목부(22c)에 수용되도록 상기 매개부재(35)를 상기 제2 하우징(22) 안에 장착한다.
그런 다음, 지지홀더(23)의 내측 격벽부(23b)와 외측 격벽부(23c) 사이의 공간에 필터(24)를 끼운 후, 상기 필터(24)를 포함하는 지지홀더(23)를 상기 매개부재(35)의 대응부분과 밀착되도록 상기 제2 하우징(22) 안에 끼운다. 그런 다음, 실링부재(25)를 개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하우징(21)과 제2 하우징(22)을 상호 밀착되게 결합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1 하우징(21)의 도입구(21a), 상기 지지홀더(23), 상기 매개부재(35) 및 상기 제2 하우징(22)의 배출구(22a)의 각 중심축선이 상호 정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수단(30)의 밸브블록(31)의 헤드부(31a)는 상기 매개부재(35)의 포트(35d)와 마주하고 상기 바이패스수단(30)의 확장바(31b)에 끼워진 코일스프링(32)의 외측단은 상기 제2 하우징(22)의 오목부(22c)에 탄지된다.
그런 다음,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립된 유체정화 필터유닛(40)을 예컨대, 세탁기, 세척기, 가스오븐, 자동차, 유압장비 등의 유체공급 부분에 연결하여 사용하면 된다.
그러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체정화 필터유닛(40)의 도입구(21a)를 통해 정상범위 내의 압력으로 들어온 유체(공기, 윤활오일, 또는 작동오일)는 제1,2 하우징(21,22)의 내면과 지지홀더(23)의 외면 사이의 공간을 따라 상기 지지홀더(23)의 외측 격벽부(23c)의 틈새를 통해 필터(24) 내로 유입된다.
이어서, 상기 필터(24) 내로 유입된 유체는 상기 지지홀더(23)의 내측 격벽 부(23b)의 틈새를 따라 그 내측 격벽부의 중앙공간을 거쳐 상기 제2 하우징(22)의 배출구(22a)를 통해 해당기기의 필요부분으로 공급되게 된다. 이때, 유체 내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은 상기 필터(24)를 거치면서 걸러지게 된다.
그와는 달리, 오래 사용하거나 오염된 유체로 인해 상기 필터(24)에 상당량의 이물질이 끼게 됨으로써 필터를 통한 유체의 흐름경로가 막히는 경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입구(21a)를 통해 유입된 유체는 상기 필터(24)를 통과함이 없이 상기 매개부재(35)의 포트(35d)를 통해 바이패스수단(30)의 코일스프링(32)의 탄성력을 이기면서 상기 바이패스수단(30)의 밸브블록(31)을 밀어내어 상기 매개부재(35) 내의 공간으로 유입되게 된다. 이어서, 상기 매개부재(35) 내의 공간으로 유입된 유체는 상기 제2 하우징(22)의 배출구(22a)를 통해 해당기기의 필요부분으로 공급되게 된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체정화 필터유닛(45)의 바람직한 조립과정 및 그 작동을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개부재(35)의 지지리브(35c)와 대응플랜지(35b) 사이의 공간에 바이패스수단(50)의 밸브블록(31)의 헤드부(31a)가 위치하도록 상기 밸브블록(31)의 확장바(31b)를 상기 매개부재(35)의 포트(35d)에 끼운 상태에서, 상기 확장바(31b)에 코일스프링(32)을 끼운 후, 상기 확장바(31b)의 선단에 패스너(51)를 고정시킨다. 이어서, 상기 바이패스수단(50)이 결합된 매개부재(35)를 상기 제2 하우징(22) 안에 장착한다.
그런 다음, 지지홀더(23)의 내측 격벽부(23b)와 외측 격벽부(23c) 사이의 공 간에 필터(24)를 끼운 후, 상기 필터(24)를 포함하는 지지홀더(23)를 상기 매개부재(35)의 대응부분과 밀착되도록 상기 제2 하우징(22) 안에 끼운다. 그런 다음, 실링부재(25)를 개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하우징(21)과 제2 하우징(22)을 상호 밀착되게 결합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1 하우징(21)의 도입구(21a), 상기 지지홀더(23), 상기 매개부재(35) 및 상기 제2 하우징(22)의 배출구(22a)의 각 중심축선이 상호 정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수단(50)의 밸브블록(31)의 헤드부(31a)는 상기 매개부재(35)의 포트(35d)와 마주한다.
그런 다음,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립된 유체정화 필터유닛(45)을 예컨대, 세탁기, 세척기, 가스오븐, 자동차, 유압장비 등의 유체공급 부분에 연결하여 사용하면 된다.
그러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체정화 필터유닛(45)의 도입구(21a)를 통해 정상범위 내의 압력으로 들어온 유체(공기, 윤활오일, 또는 작동오일)는 제1,2 하우징(21,22)의 내면과 지지홀더(23)의 외면 사이의 공간을 따라 상기 지지홀더(23)의 외측 격벽부(23c)의 틈새를 통해 필터(24) 내로 유입된다.
이어서, 상기 필터(24) 내로 유입된 유체는 상기 지지홀더(23)의 내측 격벽부(23b)의 틈새를 따라 그 내측 격벽부의 중앙공간을 거쳐 상기 제2 하우징(22)의 배출구(22a)를 통해 해당기기의 필요부분으로 공급되게 된다. 이때, 유체 내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은 상기 필터(24)를 거치면서 걸러지게 된다.
그와는 달리, 오래 사용하거나 오염된 유체로 인해 상기 필터(24)에 상당량 의 이물질이 끼게 됨으로써 필터를 통한 유체의 흐름경로가 막히는 경우,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입구(21a)를 통해 유입된 유체는 상기 필터(24)를 통과함이 없이 상기 매개부재(35)의 포트(35d)의 관통홀(35dd)을 통해 상기 포트(35d) 내로 유입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포트(35d) 내로 유입된 유체는 코일스프링(32)의 탄성력을 이기면서 상기 바이패스수단(50)의 밸브블록(31)을 밀어내어 상기 매개부재(35) 내의 공간으로 유입되게 된다. 이어서, 상기 매개부재(35) 내의 공간으로 유입된 유체는 상기 제2 하우징(22)의 배출구(22a)를 통해 해당기기의 필요부분으로 공급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의 단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당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엔진오일 순환계통에 적용되는 오일필터의 개략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유압장비의 작동유를 정화시키기 위한 오일필터를 구비한 오일탱크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체정화 필터유닛의 전체구성을 보여주는 개략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체정화 필터유닛의 개략 분해 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체정화 필터유닛의 개략 단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체정화 필터유닛에 적용되는 제1 하우징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체정화 필터유닛에 적용되는 제2 하우징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체정화 필터유닛에 적용되는 지지홀더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체정화 필터유닛에 적용되는 밸브블록의 일측면과 타측면을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체정화 필터유닛의 정상적인 여과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단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체정화 필터유닛의 내부에 과압력이 걸릴 시 바이패스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단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체정화 필터유닛의 개략 단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체정화 필터유닛의 정상적인 여과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단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체정화 필터유닛의 내부에 과압력이 걸릴 시 바이패스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단면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체정화 필터유닛의 개략 단면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체정화 필터유닛의 정상적인 여과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단면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체정화 필터유닛의 내부에 과압력이 걸릴 시 바이패스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단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40,45: 유체정화 필터유닛 21: 제1 하우징
21a: 도입구 21b,22b: 수용공간
22: 제2 하우징 22a: 배출구
22c,31a: 오목부 23: 지지홀더
23a: 원판 23aa,35dd: 관통홀
23b: 내측 격벽부 23c: 외측 격벽부
24: 필터 25: 실링부재
27: 십자형리브 27a: 안내리브
28: 수직컬럼 28a,31a: 보강리브
29: 돌기 30,50: 바이패스수단
31a: 헤드부 31b: 확장바
31: 밸브블록 32: 코일스프링
35: 매개부재 35aa: 개구부
35a: 본체부 35b: 플랜지
35c: 지지리브 35d: 포트
35dd: 관통홀 51: 패스너

Claims (10)

  1. 일측에 도입구가 구비되고 일방이 개구된 수용공간을 갖는 제1 하우징;
    일측에 배출구가 구비되고 일방이 개구된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1 하우징에 실링부재를 매개로 하여 밀봉되고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1,2 하우징의 원주상 내벽중 안측 것에 대해 유로공간을 형성하도록 외경이 작게 형성되는 것으로서, 여과 상태시 상기 제1 하우징의 도입구로부터 상기 유로공간으로 유체를 안내하도록 상기 제1 하우징의 도입구와 대응하는 저면부분에 적어도 두 개의 돌출리브가 형성되고, 바이패스 상태시 상기 유로공간을 경유함이 없이 상기 제2 하우징의 배출구측으로 유체를 안내하도록 상기 제1 하우징의 도입구와 대응하는 중앙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형성된 원판과, 상기 원판의 상면 중앙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일정거리를 두고 각각 구비되며, 주변과 부분적으로 상호 연통되도록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다수 개의 수직컬럼으로 구성된 내,외측 격벽부를 포함하는 지지홀더;
    이 지지홀더의 내측 격벽부와 외측 격벽부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고 조립 또는 분해시 상기 내측 격벽부의 수직컬럼들을 통해 안내되며, 유체 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 및
    상기 제1,2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이물질에 의해 상기 필터의 통공들이 막혀 상기 제1,2 하우징 내에 과압력이 발생했을 때 유체를 여과 없이 상기 제2 하우징의 배출구로 배출 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바이패스수단;
    을 포함하는 유체정화 필터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수단은 상기 지지홀더의 내측 격벽부 내에 구비되며, 상기 바이패스수단은 상기 원판의 중앙부분과 마주하는 헤드부와 이 헤드부의 하단에 구비된 확장바를 포함하는 밸브블록과, 이 밸브블록의 확장바에 끼워지고 외측단이 상기 제2 하우징의 대응내벽에 의해 지지되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인 유체정화 필터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의 배출구의 내측단에는 중앙을 가로지르는 십자형리브가 형성되고, 이 십자형리브의 외측단에는 십자형리브의 상면보다 위로 돌출된 안내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코일스프링의 외측단은 상기 십자형리브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안내리브에 의해 둘러싸인 것인 유체정화 필터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하우징의 내벽과 상기 지지홀더의 외측 격벽부의 외벽 사이에 형성된 유로공간에 바이패스수단을 설치할 수 있도록 매개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과 상기 매개부재는 각각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매개부재는 중앙부분에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부와, 이 본체부의 테두리를 따라 그 테두리로부터 일측방향으로 뻗는 플랜지와, 이 플랜지와 인접해 있는 적어도 한 개소에 주변과 연통되도록 부분적으로 형성된 지지리브와, 이 지지리브와 대응 플랜지에 의해 둘러싸인 상기 본체부의 일부분을 관통하는 형태로 구비된 포트로 이루어진 것인 유체정화 필터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부재는 상기 포트가 상기 제1,2 하우징의 내벽과 상기 지지홀더의 외측 격벽부의 외벽 사이에 형성된 유로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지지홀더의 내측 격벽부 내의 공간과 마주하도록 상기 제2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상기 매개부재의 포트와 마주하는 상기 제2 하우징의 대응내벽에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이패스수단은 상기 지지리브와 대응 플랜지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바이패스수단은 상기 포트와 마주하는 헤드부와 이 헤드부의 하단에 구비된 확장바를 포함하는 밸브블록과, 이 밸브블록의 확장바에 끼워지고 외측단이 상기 제2 하우징의 오목부에 수용되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인 유체정화 필터유닛.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부재는 상기 포트가 상기 제1,2 하우징의 내벽과 상기 지지홀더의 외측 격벽부의 외벽 사이에 형성된 유로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지지홀더의 내측 격벽부 내의 공간과 마주하도록 상기 제2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상기 포트의 상부부분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바이패스수단은 상기 포트를 매개로 하여 설치되며,
    상기 바이패스수단은 상기 포트와 마주하는 헤드부와 이 헤드부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포트를 통해 외부로 뻗는 확장바를 포함하는 밸브블록과, 상기 포트의 외부로 돌출된 상기 확장바에 끼워지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확장바의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코일스프링의 외측단을 지지하는 패스너로 구성된 것인 유체정화 필터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격벽부의 각 수직컬럼의 상단은 보강리브로 연결된 것인 유체정화 필터유닛.
  8. 제2항, 제5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블록의 헤드부의 중앙에는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와 상기 확장바의 외주에는 적어도 두 개의 보강리브가 일체로 형성된 것인 유체정화 필터유닛.
  9. 제4항에 있어서,
    필터의 일단부와 마주하는 상기 제2 하우징 또는 상기 매개부재의 대응내벽과 상기 필터의 타단부와 마주하는 상기 지지홀더의 원판의 대응내벽에는 각각 상기 필터를 밀착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돌기가 형성된 것인 유체정화 필터유닛.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비교적 사이즈가 큰 이물질을 걸러내는 전처리필터와, 이 전처 리필터에 의해 둘러싸이고 비교적 사이즈가 작은 이물질을 걸러내는 후처리필터로 이루어진 것인 유체정화 필터유닛.
KR1020080076070A 2008-08-04 2008-08-04 유체정화 필터유닛 KR101052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070A KR101052417B1 (ko) 2008-08-04 2008-08-04 유체정화 필터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070A KR101052417B1 (ko) 2008-08-04 2008-08-04 유체정화 필터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5145A KR20100015145A (ko) 2010-02-12
KR101052417B1 true KR101052417B1 (ko) 2011-07-28

Family

ID=42088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6070A KR101052417B1 (ko) 2008-08-04 2008-08-04 유체정화 필터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241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35376A1 (en) * 2000-03-09 2001-11-01 Klemens Dworatzek Liquid filter with a bypass valve
US20070227963A1 (en) * 2006-03-31 2007-10-04 Baldwin Filters, Inc. Fluid filter element and bypass adap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35376A1 (en) * 2000-03-09 2001-11-01 Klemens Dworatzek Liquid filter with a bypass valve
US20070227963A1 (en) * 2006-03-31 2007-10-04 Baldwin Filters, Inc. Fluid filter element and bypass adap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5145A (ko) 2010-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35587A1 (en) Quick-drain filter
US6966981B2 (en) Replaceable filter cartridge with support element and liquid filter with such a filter cartridge
US10525386B2 (en) Filter device
JP5111494B2 (ja) ろ過された側の流路に逆止弁を備えた液体フィルタ
US20080047132A1 (en) Quick drain filter
JP6559651B2 (ja) 液体フィルタアセンブリ
MXPA03008049A (es) Filtro para liquido que tiene filtro recambiable en forma de receptaculo el cual se puede intercambiar, filtro de cartucho y metodos.
JP2006517864A (ja) 濾過組立体及び濾過方法
KR20150043200A (ko) 액체 매체, 특히 디젤 연료용 필터 부재 및 필터 시스템
US20220339566A1 (en) Filter device together with filter element
KR102636377B1 (ko) 필터 장치
KR101052417B1 (ko) 유체정화 필터유닛
KR100949076B1 (ko) 여과수단
CN212003783U (zh) 过滤器装置
US20060175246A1 (en) Filter apparatus
JP6684430B1 (ja) インライン型ストレーナ
JP4033739B2 (ja) フィルタ装置
KR20120045818A (ko) 오일 필터 제어방법
KR200222527Y1 (ko) 다단의 여과층이 구비된 오폐수 여과장치
KR20120045799A (ko) 오일 필터
JP2000140524A (ja) 濾過装置
WO2015200130A1 (en) Gasket having an integral drain
CN220869750U (zh) 一种自滤式液压油箱
US20070261377A1 (en) Spin-on filter arrangement and methods
WO2017110542A1 (ja) 水分離器、フィルタ、および燃料フィル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