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1395B1 - 가축용 사료첨가제 - Google Patents

가축용 사료첨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1395B1
KR101051395B1 KR1020080083530A KR20080083530A KR101051395B1 KR 101051395 B1 KR101051395 B1 KR 101051395B1 KR 1020080083530 A KR1020080083530 A KR 1020080083530A KR 20080083530 A KR20080083530 A KR 20080083530A KR 101051395 B1 KR101051395 B1 KR 101051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present
livestock
additive
feed add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3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4807A (ko
Inventor
김창욱
박정민
Original Assignee
김창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욱 filed Critical 김창욱
Priority to KR1020080083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1395B1/ko
Publication of KR20100024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4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1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1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23K10/18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of live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07Bacillus
    • C12R2001/125Bacillus subtilis ; Hay bacillus; Grass bacill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Virology (AREA)
  • Phys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rd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축용 사료첨가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TJ 12(기탁번호: KCCM10952P)를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는 내산성, 내담즙성 및 항생제 내성이 우수하고, 가축의 성장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가축 사육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사료첨가제

Description

가축용 사료첨가제{Feed additive for livestock}
본 발명은 가축용 사료첨가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TJ 12(기탁번호: KCCM10952P)를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료첨가제에 항생제 사용 규제 강화에 의해 생균제의 수요와 공급이 증가하고 있다.
생균제(Probiotics)는 “For Life`를 뜻하며 항생제(Antibiotics)의 `Against Life`와는 반대 의미를 가지며, 장내 미생물 균형에 도움을 주는 미생물이나 물질들을 말한다.
생균제는 항생제와 비교하여 일반적인 사양환경하에서 성장촉진 효과가 약간 뒤지는 것으로 보이나 항생제가 갖는 잔류나 내성균 등의 문제가 없기 때문에 사료첨가제로서 지속적으로 사용이 확대되어 나갈 것으로 보인다.
생균제는 항생제만큼 장내균총에 대하여 강력한 작용을 하지 않지만 장내균총을 교란시키지 않고 정상적인 구성이 되도록 도와준다. 생균제의 사용에 대한 반응의 차이는 가축이 받는 각종 스트레스의 정도와 생균제의 적정사용 수준과 관련 이 깊다.
일반적으로 가축에게 급여되는 생균제는 생균, 사균 및 발효 부산물을 포함하며, 이들 중에서 대표적인 것으로는 유산생성균, Bacillus균, 효모제, 효소제, 생효모 배양물 및 이들의 복합제가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가축의 일당 증체량, 사료 효율, 도체 후 육질 pH 및 육색 안정성 또는 사료 소화율 면에서 항생제에 갈음한 효과를 나타내는 만족할만한 생균제가 없었다. 또한 국내에서 가축용으로 사용되는 생균제의 대부분은 일본을 비롯한 외국으로부터 유산균이나 고초균을 비롯해 수입하여 제품화하거나 수입완제품을 판매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의 생산기술도 크게 발전하지 못했고, 국내 환경에 적합한 생균제의 개발에도 제조기술과 시설투자 및 전문 인력의 확보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본 발명은 가축의 도체 후에도 육질의 pH 및 육색을 유지하여 육질의 안정성을 높이며, 사료소화율도 높은 가축용 사료첨가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TJ 12(기탁번호: KCCM10952P)를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청국장 제품과 가정에서 제조된 다양한 종류의 청국장을 사용하여 내산성, 내담즙성이 우수한 바실러스균을 분리, 선별하였다. 선별한 바실러스균은 형태학적, 배양학적, 생리학적 특성을 기초로 하여 분류하고 16SrRNA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동정하였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균주의 16S rDNA 염기서열 분석 결과, 상기 균주는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을 가지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로 동정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균주를 "TJ12"라고 명명하고, 이를 2008년 6월 2일자로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 기탁하였다(수탁번호: KCCM10952P)(도3 및 도4 참고).
본 발명의 TJ12는 pH 1.5에서는 생존하지 못하였지만, pH 2.5에서는 처리 후 60분까지는 생존력이 60% 이상을 유지하므로 경구 섭취 후 가축 내의 가혹한 환경, 즉 강산성의 환경에서도 생존이 가능하여, 생체 내에서 유익한 기능을 할 수 있다.
[표4]
pH 2.5 pH 7.0
2.2 X 10 9 3.3 X 10 9
본 발명의 TJ12의 내담즙성은 표2와 같다. 내답즙성을 분석하기 위해 분리균 TJ12를 Nutrient broth와 Nutrient broth+0.3% Oxgall에 접종하여 37℃에서 8시간 배양한 다음 Nutrient Agar에 도말한 후 48시간 배양한 후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표5]
NB + Oxgall NB
1.5 X 10 9 9.5 X 10 9
따라서, 본 발명의 TJ12는 경구 섭취 후 소화기관 내에서 분비되는 담즙산에 의해 파괴되지 않아 생체 내에서 유익한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TJ12의 내열성은 다음과 같다. 내열성을 분석하기 위해 분리균 TJ12 배양액을 70℃, 80℃에서 30분 배양한 다음 Nutrient Agar에 도말한 후 48시간 배양한 후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표6은 TJ12의 내열성 시험 결과이다.
[표6]
Control 70℃ 80℃
1.5 X 10 9 1.2 X 10 9 1.1 X 10 9
또한, 본 발명의 TJ12의 protease 활성은 도5와 같다. 도면 5는 protease의 활성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protease의 활성도를 측정하는 배지에 TJ12균주를 배양하여 단백질의 분해 정도를 확인한 결과 배지상의 단백질이 분해되어 투명한 부위 를 형성하는 것을 육안으로 관찰 할 수 있을 정도로 protease의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TJ12는 상기와 같은 내열성, 내담즙성, 내열성 및 프로테이즈 활성으로 인하여 가축 생체 내에서 균주가 죽지 않고 생존을 지속할 수 있기 때문에, 사료 첨가제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는 가축의 항병력을 증진시키고 소화효율의 개선에 의한 발육촉진 및 항생제 대체용으로 경제성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TJ12는 동물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TJ12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를 제조하고 이를 가축(비육우, 착유우, 비육돈 등)의 사료에 첨가하여 사육한 결과, 일반 항생제를 첨가한 사료를 급여한 가축과 대비하여 그 효능이 떨어지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돼지 급여를 위한 배합사료의 원료는 옥수수, 밀, 보리 등의 곡류와, 대두박, 채종박 등의 식물성박류와, 밀기울, 미강, 대두피 등의 강피류와, 기타 당밀, 유지, 합성아미노산, 기타 첨가제 등이다.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TJ12 균주)는 급여 사료 총 질량의 0.1%를 첨가하였다.
표7은 돼지의 임상 실험시 사료의 영양소 소화율에 관한 시험 결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제를 추가한 사료를 급여한 시험군에서 높은 사료 소화율을 보였다.
[표7]
Nutrient Digestibility (%) NC PC Prob
Dry matter 87.06 85.81 89.91
Crude Protein 80.06 78.57 83.67
Crude Fat 68.06 70.33 75.76
Crude Ash 54.45 50.25 64.48
Nc(negative control) : 기본 사료 이외 무첨가 시험군
Pc(Positive control) : 기본 사료에 항생제 첨가 시험군
Prob(TJ Probiotic) : 기본 사료에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 첨가 시험군
도6은 본 발명의 TJ12 균주를 첨가한 사료를 급여한 돼지의 일당 증체량 시험 결과이다. 기본 사료에 항생제를 첨가한 시험군(Pcon)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7은 이에 따른 사료 효율에 관한 시험 결과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TJ12 균주를 첨가한 사료를 급여한 돼지의 임상 실험에 따른 도체 후 육질의 pH 변화에 관한 시험 결과이다.
육질의 물리적 성질 중 pH는 식육의 품질을 좌우하는데, pH의 고저에 따라 신선도, 보수성, 연도, 결착력, 육색, 조직감 등이 크게 영향을 받으며, 저장성에 있어서도 중대한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육 품질 연구의 기본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기본 사료에 항생제를 첨가한 시험군(Pcon)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9는 돼지의 임상 실험시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제의 수준별 급여가 도축 후 돈육의 육색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한 결과이다.
일반적으로 신선육의 육색은 매장에서 최초로 소비자가 구입을 결정하게 하는 가장 중요한 품질 특성으로 육색은 주로 명도와 적색도를 주로 관찰하며, 명도와 적색도가 높을수록 좋은 품질로 평가받고 있다. 육색에 있어서 명도 및 황색도는 기본 사료에 항생제를 첨가한 시험군(Pcon)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적색도의 경우 Pcon 시험군보다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료첨가제는 가축의 병을 일으키는 균에 대한 항균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그 소화율, 이를 급여한 가축의 일당 증체량, 육질의pH 및 육색에 있어서 항생제를 투여한 가축의 경우와 대비하여 거의 동일한 효능을 나타냄으로써 가축 사료에 첨가되는 항생제를 인체에 무해한 미생물 제재로 대체함으로써 가축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항생제 잔류에 의한 소비자의 피해를 막아 공중보건에 이바지하게 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사료첨가제 TJ12 균주의 염기서열을 나타낸다.
삭제
삭제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사료첨가제 TJ12 균주의 동정 결과를 나타낸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사료첨가제 TJ12 균주의 단백질 분해 능력을 실험한 결과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제를 급여한 돼지의 일당 증체량 시험 결과이다.
도7은 도6에 따른 사료 효율에 관한 시험 결과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TJ12 균주를 첨가한 사료를 급여한 돼지의 임상 실험에 따른 도체 후 육질의 pH 변화에 관한 시험 결과이다.
도9는 돼지의 임상 실험시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제의 수준별 급여가 도축 후 돈육의 육색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한 결과이다.
<110> KIM, chang wuk <120> feed additive for livestock <130> PAA08-0112-KR0 <160> 2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1507 <212> DNA <213> Lactobacillus plantarum <400> 1 aacgctggcg gcgtgcctaa tacatgcaag tcgaacgaac tctggtattg attggtgctt 60 gatcatgatt tacatttgag tgagtggcga actggtgagt aacacgtggg aaacctgccc 120 agaagcgggg gataacacct ggaaacagat gctaataccg cataacaact tggaccgcat 180 ggtccgagct tgaaagatgg cttcggctat cacttttgga tggtcccgcg gcgtattagc 240 tagatggtgg ggtaacggct caccatggca atgatacgta gccgacctga gagggtaatc 300 ggccacattg ggactgagac acggcccaaa ctcctacggg aggcagcagt agggaatctt 360 ccacaatgga cgaaagtctg atggagcaac gccgcgtgag tgaagaaggg tttcggctcg 420 taaaactctg ttgttaaaga agaacatatc tgagagtaac tgttcaggta ttgacggtat 480 ttaaccagaa agccacggct aactacgtgc cagcagccgc ggtaatacgt aggtggcaag 540 cgttgtccgg atttattggg cgtaaagcga gcgcaggcgg ttttttaagt ctgatgtgaa 600 agccttcggc tcaaccgaag aagtgcatcg gaaactggga aacttgagtg cagaagagga 660 cagtggaact ccatgtgtag cggtgaaatg cgtagatata tggaagaaca ccagtggcga 720 aggcggctgt ctggtctgta actgacgctg aggctcgaaa gtatgggtag caaacaggat 780 tagataccct ggtagtccat accgtaaacg atgaatgcta agtgttggag ggtttccgcc 840 cttcagtgct gcagctaacg cattaagcat tccgcctggg gagtacggcc gcaaggctga 900 aactcaaagg aattgacggg ggcccgcaca agcggtggag catgtggttt aattcgaagc 960 tacgcgaaga accttaccag gtcttgacat actatgcaaa tctaagagat tagacgttcc 1020 cttcggggac atggatacag gtggtgcatg gttgtcgtca gctcgtgtcg tgagatgttg 1080 ggttaagtcc cgcaacgagc gcaaccctta ttatcagttg ccagcattaa gttgggcact 1140 ctggtgagac tgccggtgac aaaccggagg aaggtgggga tgacgtcaaa tcatcatgcc 1200 ccttatgacc tgggctacac acgtgctaca atggatggta caacgagttg cgaactcgcg 1260 agagtaagct aatctcttaa agccattctc agttcggatt gtaggctgca actcgcctac 1320 atgaagtcgg aatcgctagt aatcgcggat cagcatgccg cggtgaatac gttcccgggc 1380 cttgtacaca ccgcccgtca caccatgaga gtttgtaaca cccaaagtcg gtggggtaac 1440 cttttaggaa ccagccgcct aaggtgggac agatgattag ggtgaagtcg taacaaggta 1500 gccgtag 1507 <210> 2 <211> 1443 <212> DNA <213> Bacillus sp. <400> 2 gggggctatc atgcagtcga gcggacagat gggagcttgc tccctgatgt tagcggcgga 60 cgggtgagta acacgtgggt aacctgcctg taagactggg ataactccgg gaaaccgggg 120 ctaataccgg atggttgttt gaaccgcatg gttcaaacat aaaaggtggc ttcggctacc 180 acttacagat ggacccgcgg cgcattagct agttggtgag gtaacggctc accaaggcaa 240 cgatgcgtag ccgacctgag agggtgatcg gccacactgg gactgagaca cggcccagac 300 tcctacggga ggcagcagta gggaatcttc cgcaatggac gaaagtctga cggagcaacg 360 ccgcgtgagt gatgaaggtt ttcggatcgt aaagctctgt tgttagggaa gaacaagtac 420 cgttcgaata gggcggtacc ttgacggtac ctaaccagaa agccacggct aactacgtgc 480 cagcagccgc ggtaatacgt aggtggcaag cgttgtccgg aattattggg cgtaaagggc 540 tcgcaggcgg tttcttaagt ctgatgtgaa agcccccggc tcaaccgggg agggtcattg 600 gaaactgggg aacttgagtg cagaagagga gagtggaatt ccacgtgtag cggtgaaatg 660 cgtagagatg tggaggaaca ccagtggcga aggcgactct ctggtctgta actgacgctg 720 aggagcgaaa gcgtggggag cgaacaggat tagataccct ggtagtccac gccgtaaacg 780 atgagtgcta agtgttaggg ggtttccgcc ccttagtgct gcagctaacg cattaagcac 840 tccgcctggg gagtacggtc gcaagactga aactcaaagg aattgacggg ggcccgcaca 900 agcggtggag catgtggttt aattcgaagc aacgcgaaga accttaccag gtcttgacat 960 cctctgacaa tcctagagat aggacgtccc cttcgggggc agagtgacag gtggtgcatg 1020 gttgtcgtca gctcgtgtcg tgagatgttg ggttaagtcc cgcaacgagc gcaacccttg 1080 atcttagttg ccagcattca gttgggcact ctaaggtgac tgccggtgac aaaccggagg 1140 aaggtgggga tgacgtcaaa tcatcatgcc ccttatgacc tgggctacac acgtgctaca 1200 atggacagaa caaagggcag cgaaaccgcg aggttaagcc aatcccacaa atctgttctc 1260 agttcggatc gcagtctgca actcgactgc gtgaagctgg aatcgctagt aatcgcggat 1320 cagcatgccg cggtgaatac gttcccgggc cttgtacaca ccgcccgtca caccacgaga 1380 gtttgtaaca cccgaagtcg gtgaggtaac cttttaggag ccagccgccg aaggtgacag 1440 aag 1443

Claims (3)

  1. 가축의 사료에 배합되는 첨가제로서, 상기 첨가제는 청국장 유래의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TJ 12 균주(기탁번호: KCCM10952P)인 사료첨가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첨가제는 돼지의 사료에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
KR1020080083530A 2008-08-26 2008-08-26 가축용 사료첨가제 KR101051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530A KR101051395B1 (ko) 2008-08-26 2008-08-26 가축용 사료첨가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530A KR101051395B1 (ko) 2008-08-26 2008-08-26 가축용 사료첨가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4807A KR20100024807A (ko) 2010-03-08
KR101051395B1 true KR101051395B1 (ko) 2011-07-22

Family

ID=42176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3530A KR101051395B1 (ko) 2008-08-26 2008-08-26 가축용 사료첨가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139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254B1 (ko) * 2002-08-20 2004-08-04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내산성, 내담즙성 및 항생제 내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플란타룸
KR20050030504A (ko) * 2003-09-26 2005-03-30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j9 및 이의 용도
KR100502110B1 (ko) 2002-11-19 2005-07-22 (주)아이앤비 축우 사료 및 그 제조방법
KR100621657B1 (ko) 2004-04-23 2006-09-19 주식회사 유니바이오테크 내산성과 내담즙성이 좋고 효소의 생산이 우수한 신규바실러스 서브틸리스 유비티-엠02 균주 , 이 신규 균주를이용 함유하는 사료첨가제 및 이 사료첨가제를 함유하는가축 사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254B1 (ko) * 2002-08-20 2004-08-04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내산성, 내담즙성 및 항생제 내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플란타룸
KR100502110B1 (ko) 2002-11-19 2005-07-22 (주)아이앤비 축우 사료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30504A (ko) * 2003-09-26 2005-03-30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j9 및 이의 용도
KR100621657B1 (ko) 2004-04-23 2006-09-19 주식회사 유니바이오테크 내산성과 내담즙성이 좋고 효소의 생산이 우수한 신규바실러스 서브틸리스 유비티-엠02 균주 , 이 신규 균주를이용 함유하는 사료첨가제 및 이 사료첨가제를 함유하는가축 사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4807A (ko) 2010-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atorre et al. Evaluation and selection of Bacillus species based on enzyme production, antimicrobial activity, and biofilm synthesis as direct-fed microbial candidates for poultry
KR100815851B1 (ko) 뽕잎과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뽕잎발효사료첨가제 및 그제조방법과 그것으로 사육하여 얻어진 오리고기와 닭고기
CN104171538B (zh) 一种节粮型蛋鸡产蛋高峰期日粮及其制备方法
JP5872104B2 (ja) 新たなバチルス・サブチルス{novelbacillussubtilis}
Khan et al. Characterization and identification of gut-associated phytase-producing bacteria in some fresh water fish cultured in ponds
CN102356829B (zh) 生长肥育猪后期微生物发酵无抗生素饲料
US2017004294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tion of shelf stable probiotics for animal nutrition enhancement
KR101370942B1 (ko) 신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CN102907563B (zh) 一种畜牧养殖用高活性益生菌制剂的制备方法
CN101165162A (zh) 一种益生菌活性制剂
CN103125778A (zh) 一种禽类饲料添加剂及制备方法
KR100568689B1 (ko) 어성초를 이용한 기능성 발효사료와 그 제조방법과 그것을이용한 돼지의 사육방법 및 그로부터 얻어진 돈육(豚肉)
Fernandez et al.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administered orally on growth performance of Penaeus indicus (H. Milne Edwards) juveniles
KR20190054811A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kacc 92189 균주, 이를 포함하는 육가공 제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007237A (ko) 히스타민 분해능이 우수한 바실러스 라이케니포미스gb-f2 균주 및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 gb-lc2균주, 및 이를 이용한 히스타민이 감소 된 어분의제조방법
KR101317549B1 (ko) 발효 옥수수글루텐의 제조방법
KR100541379B1 (ko) 사료 첨가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02499B1 (ko) 신규한 유산균, 진균 및 세균을 포함하는 사료첨가용 조성물
Anuar et al. Effect of commercial probiotics on the survival and growth performance of goldfish Carassius auratus.
US20120128827A1 (en) FUNCTIONAL FEEDS WITH HIGH SOY FLOUR, STARCH AND Bacillus SPP CONTENT
KR20160143499A (ko) 발효 미생물의 생물전환 공정에 의한 생리활성이 증진된 발효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20190380360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fermented guar meal
Das et al. The presence of phytase in yeasts isolated from the gastrointestinal tract of four major carps [Labeo rohita (Hamilton, 1822), Catla catla (Hamilton, 1822), Cirrhinus mrigala (Hamilton, 1822), Hypophthalmichthys molitrix (Valenciennes, 1844)], climbing perch [Anabas testudineus (Bloch, 1792)] and Mozambique tilapia [Oreochromis mossambicus (Linnaeus, 1758)]
CN104886391A (zh) 一种减少猪粪臭味的生物发酵饲料及其制备方法
Jafaryan et al. The enhancement of growth parameters in common carp (Cyprinus carpio) larvae using probiotic in rearing tanks and feeding by various Artemia naupli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