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0766B1 - 로 내 감시카메라용 하우징 - Google Patents

로 내 감시카메라용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0766B1
KR101050766B1 KR1020110029322A KR20110029322A KR101050766B1 KR 101050766 B1 KR101050766 B1 KR 101050766B1 KR 1020110029322 A KR1020110029322 A KR 1020110029322A KR 20110029322 A KR20110029322 A KR 20110029322A KR 101050766 B1 KR101050766 B1 KR 101050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trogen
housing
furnace
inner tube
cool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9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석원
이순이
Original Assignee
강석원
삼성영상보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석원, 삼성영상보안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석원
Priority to KR1020110029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07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0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0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02Liquid-coolant filling, overflow, venting, or draining devices
    • F01P11/0276Draining or pur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광로, 가열로, 용해로, 도금로, 전기로, 열처리로 등의 각종 공업로(工業爐) 내에 삽입된 감시카메라를 지지, 보호하기 위한 로(爐) 내 감시카메라용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하우징의 내부에 냉각수를 순환시킴으로써, 감시카메라의 특성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고품질의 영상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감시카메라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며, 하우징 내의 감시카메라 전단부에서 구역별로 3중으로 질소가스를 퍼징(purging)함으로써, 분진, 그을음, 쇳가루 및 도금분말 등의 이물질 흡착을 차단시키고 이로 인해 감시카메라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고품질의 영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로 내에서 설치된 하우징은 그대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그 내부의 감시카메라만을 쉽게 탈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로 내에서 생산되는 제품의 품질을 유지하면서도 안전사고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카메라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며, 하우징 내부의 감시카메라가 전,후진 또는 틸팅(tilting)될 수 있도록 하여 감시카메라의 위치를 정교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질소 퍼징부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하우징 내부에 온도검출센서를 설치함으로써, 냉각범위 이상의 고열 시, 이를 센싱하고 비상경보를 울려주는 동시에 로 내의 별도로 구비된 내열차단장치와 연동하여 그 열기를 신속하게 차단함으로써 고열로 인한 카메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온도에 따라 순환되는 냉각수의 양과 질소가스의 퍼징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로 내 감시카메라용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로 내 감시카메라용 하우징{A CAMERA HOUSING FOR INNER OBSERVATION OF FURNACE}
본 발명은 용광로, 가열로, 용해로, 도금로, 전기로, 열처리로 등의 각종 공업로(工業爐) 내에 삽입된 감시카메라를 지지, 보호하기 위한 로(爐) 내 감시카메라용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각수 순환기능과 질소가스 퍼징(purging)기능을 구비한 로(爐) 내 감시카메라용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 구리, 납, 유리 등의 제련, 도금, 열처리 작업 수행하기 위해 용광로, 가열로, 용해로, 도금로, 전기로, 열처리로 등의 각종 공업로(工業爐)를 사용한다.
이 때 상기 공업로의 내부에서는 대부분 고열을 이용한 작업이 진행되며 분진, 그을음, 쇳가루, 도금분말 등의 비산이 발생하는 환경이므로, 작업자가 직접 육안으로 상기 작업의 진행상태를 확인할 수 없어 감시카메라를 설치한다.
따라서, 감시카메라의 동작 온도범위를 벗어나는 고온, 고열과 분진, 그을음, 쇳가루, 도금분말 등의 비산으로부터 감시카메라를 보호하고 선명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서 별도의 하우징을 설치하고 그 내부에 감시카메라를 설치한다.
상기 종래 감시카메라용 하우징은, 로 내에 감시창을 만들어 열기를 1차 차단한 후, 하우징의 전면에 내열 유리를 설치하여 2차 차단하고, 하우징의 후면부에서 내열 유리 전단부 측으로 공기를 주입하여 감시카메라를 냉각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감시카메라용 하우징은 분진, 그을음, 쇳가루, 도금분말 등이 감시창 및 내열 유리에 흡착되어 고가의 내열 유리를 자주 교체해야할 뿐만 아니라, 로 내의 복사열을 계속 흡수하는 하우징 및 감시카메라를 공기만으로는 충분하게 냉각시킬 수 없었으며, 이는 감시카메라의 고장, 파손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의 경우, 감시카메라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감시카메라가 설치된 하우징 전체를 로에서 분리시켜야 하는데, 이는 로 내에서 생산되는 제품이상기 하우징이 분리된 부분에서 유입되는 공기에 노출됨으로써, 변색, 부식 등의 불량을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로 내의 불꽃, 유해가스 등에 의한 안전사고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열기의 영향을 덜 받을 수 있는 튜브 형태의 감시용카메라인 렌즈튜브가 도입되었으나, 이는 영상품질이 극히 떨어져 감시 기능을 제대로 구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종래의 기술들은 감시카메라를 냉각시키기 위한 수단 및, 분진, 그을음, 쇳가루 및 도금분말의 비산에 의한 흡착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 미비함에 따라 감시용카메라가 고품질의 영상을 제공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고장, 파손으로 인해 그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로 내에 삽입된 감시카메라를 지지, 보호하기 위한 로 내 감시카메라용 하우징의 내부에 냉각수를 순환시킴으로써, 감시카메라의 특성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고품질의 영상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감시카메라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로 내 감시카메라용 하우징을 제공함을 과제로 한다.
아울러, 하우징 내의 감시카메라 전단부에서 구역별로 3중으로 질소가스를 퍼징(purging)함으로써, 분진, 그을음, 쇳가루 및 도금분말 등의 이물질 흡착을 차단시키고 이로 인해 감시카메라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고품질의 영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로 내 감시카메라용 하우징을 제공함을 다른 과제로 한다.
또한, 로 내에서 설치된 하우징은 그대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그 내부의 감시카메라만을 쉽게 탈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로 내에서 생산되는 제품의 품질을 유지하면서도 안전사고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카메라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로 내 감시카메라용 하우징을 제공함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또한, 하우징 내부의 감시카메라가 전,후진 또는 틸팅(tilting)될 수 있도록 하여 감시카메라의 위치를 정교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질소 퍼징부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로 내 감시카메라용 하우징을 제공함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또한, 하우징 내부에 온도검출센서를 설치함으로써, 냉각범위 이상의 고열 시, 이를 센싱하고 비상경보를 울려주는 동시에 로 내의 별도로 구비된 내열차단장치와 연동하여 그 열기를 신속하게 차단함으로써 고열로 인한 카메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온도에 따라 순환되는 냉각수의 양과 질소가스의 퍼징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로 내 감시카메라용 하우징을 제공함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로 내 감시카메라용 하우징에 있어서, 외부면에 냉각수 투입관 및 배출관이 형성된 외측관; 후단부가 상기 외측관 내에 삽입되고, 전단부는 상기 외측관으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후단부는 외측관의 내주면에서 소정간격 이격되어 냉각수 이동통로를 형성하며 삽입되며, 지지대를 매개로 상기 후단부 내부에 감시카메라를 수용하고, 후면에 제 1질소투입구가 형성되는 내측관; 상기 냉각수 이동통로의 전면을 마감하는 전면 덮개; 및 상기 냉각수 이동통로 및 내측관의 후면을 마감하는 후면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로 내 감시카메라용 하우징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전면 덮개는, 감시카메라와 대향되는 부분에 내측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제 1질소배출구가 형성되되, 상기 제 1질소배출구는 질소배출방향으로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측관은, 상기 전단부의 외주면 일단에 제 2질소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전단부의 내주면을 따라 제 2질소배출구가 형성되되, 상기 제 2질소투입구와 제 2질소배출구는 상호 연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측관은, 상기 전단부의 외주면 일단에 제 3질소투입구가 형성되되, 상기 제 3질소투입구는 내측관의 외주면을 따라 4방향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측관은, 내부 일단에 온도검출센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에 삽입된 감시카메라를 지지, 보호하기 위한 로 내 감시카메라용 하우징의 내부에 냉각수를 순환시킴으로써, 감시카메라의 특성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고품질의 영상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감시카메라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하우징 내의 감시카메라 전단부에서 구역별로 3중으로 질소가스를 퍼징(purging)함으로써, 분진, 그을음, 쇳가루 및 도금분말 등의 이물질 흡착을 차단시키고 이로 인해 감시카메라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고품질의 영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로 내에서 설치된 하우징은 그대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그 내부의 감시카메라만을 쉽게 탈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로 내에서 생산되는 제품의 품질을 유지하면서도 안전사고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카메라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우징 내부의 감시카메라가 전,후진 또는 틸팅(tilting)될 수 있도록 하여 감시카메라의 위치를 정교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질소 퍼징부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우징 내부에 온도검출센서를 설치함으로써, 냉각범위 이상의 고열 시, 이를 센싱하고 비상경보를 울려주는 동시에 로 내의 별도로 구비된 내열차단장치와 연동하여 그 열기를 신속하게 차단함으로써 고열로 인한 카메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온도에 따라 순환되는 냉각수의 양과 질소가스의 퍼징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 내 감시카메라용 하우징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냉각수 순환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질소가스 퍼징기능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1의 로 내 설치예를 나타낸 단면도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서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및 그 작용 효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 내 감시카메라용 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로써, 본 발명은 외측관(10), 내측관(20), 전면 덮개(30) 및 후면 덮개(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외측관(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서 소정간격 이격되어 삽입되는 내측관(20)을 수용하여, 하우징(100)의 외부면을 마감하는 동시에 내부에 냉각수 이동통로(11)를 형성시키는 것으로, 냉각수 이동통로(11)로 냉각수(W)를 투입 및 배출하기 위해 외부면에 냉각수 투입관(12) 및 냉각수 배출관(13)이 형성된다.
상기 내측관(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관(10)에 삽입되되, 전단부(21)는 상기 외측관(10)에서 돌출되고, 후단부(22)는 상기 외측관(10) 내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후단부(22)는 외측관(10) 내주면에서 소정간격 이격되어 냉각수 이동통로(11)를 형성시키고 후면에 제 1질소투입구(23)가 형성된다.
아울러, 후단부(22)의 내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22a)를 매개로 감시카메라(C)를 수용하고 고정대(22b)를 매개로 온도검출센서(S)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전단부(21)의 외주면 일단에 제 2질소투입구(21a)가 형성되고, 상기 전단부(21)의 내주면을 따라 제 2질소배출구(21b)가 형성되며, 상기 제 2질소투입구(21a)와 제 2질소배출구(21b)는 상호 연통한다.
또한, 상기 전단부(21)의 외주면 일단에 제 3질소투입구(21c)가 형성되되, 제 2질소투입구(21a) 측에서 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내측관(20)의 외주면을 따라 4방향에서 형성된다.
상기 전면 덮개(30)는, 상기 냉각수 이동통로(11)의 전면을 마감하는 것으로, 감시카메라(C)와 대향되는 부분에 내측관(2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제 1질소배출구(31)가 형성되며, 상기 제 1질소배출구(31)는 질소배출방향으로 경사부(31a)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후면 덮개(40)가 상기 냉각수 이동통로의 후면 및 내측관(20)의 후면을 마감하게 된다.
도 3은 도 1의 냉각수 순환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질소가스 퍼징기능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로 내 설치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써,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우징(100) 내부로 냉각수(W)를 순환시키고자 할 경우, 외측관(10)의 냉각수 투입관(12)을 통해 냉각수(W)를 투입하게 되며, 상기 투입된 냉각수(W)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수 이동통로(11)를 거치며 감시카메라(C)를 냉각시키고 냉각수 배출관(13)을 통해 배출된다.
따라서, 고열에 의한 감시카메라(C)의 고장 및 파손을 방지하고 일정한 감시카메라(C)의 특성을 유지시켜 고품질의 영상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감시카메라(C)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하우징(100) 내부에 질소 퍼징부를 형성시키고자 할 경우, 내측관(20) 후면에 형성된 제 1질소투입구(23), 내측관(20)의 전단부(21) 외주면 일단에 형성된 제 제 2질소투입구(21a) 및 제 3질소투입구(21c)를 통해 질소가스(N)를 투입하게 되며, 상기 제 1질소투입구(23)를 통해 투입된 질소가스(N)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관(20)과 직경차이를 가지는 전면 덮개(30)의 제 1질소배출구(31)에 형성된 경사부(31a)에서 제 1퍼징부(N1)를 형성한다.
아울러, 상기 제 2질소투입구(21a)를 통해 투입된 질소가스(N)는 제 2질소배출구(21b)를 통해 내주면을 따라 수직분사되며 제 2퍼징부(N2)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 3질소투입구(21c)를 통해 투입된 질소가스(N) 역시 내주면을 따라 4방향에서 수직분사되며 제 3퍼징부(N3)를 형성한다.
따라서, 분진, 그을음, 쇳가루 및 도금분말 등의 이물질 흡착을 차단시키고 이로 인해 감시카메라(C)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고품질의 영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하우징(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F)를 매개로 로에 결합된다.
따라서, 감시카메라(C)를 관리하기 위해서 로 내에서 설치된 하우징(100)은 그대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그 내부의 감시카메라(C)만을 쉽게 탈착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해 로 내에서 생산되는 제품의 품질을 유지하면서도 안전사고를 방지한다.
아울러, 상기 지지대(22a)는 통상의 전, 후진 동작을 위한 슬릿(slit) 또는 틸팅(tilting) 동작을 위한 힌지 등이 형성되어 감시카메라(C)의 위치를 정교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질소가스(N) 퍼징부(N1, N2, N3)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하우징(100) 내부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대(22b)를 매개로 온도검출센서(S)가 구비되어 냉각범위 이상의 고열 시, 이를 센싱하고 비상경보를 울려주는 동시에 로 내의 별도로 구비된 내열차단장치와 연동하여 그 열기를 신속하게 차단함으로써 고열로 인한 카메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온도에 따라 순환되는 냉각수의 양과 질소가스의 퍼징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하우징 10 : 외측관
11 : 냉각수 이동통로 12 : 냉각수 투입관
13 : 냉각수 배출관 20 : 내측관
21 : 전단부 21a : 제 2질소투입구
21b : 제 2질소배출구 21c : 제 3질소투입구
22 : 후단부 22b : 고정대
23 : 제 1질소투입구 30 : 전면 덮개
31 : 제 1질소배출구 31a : 경사부
40 : 후면 덮개 C : 감시카메라
S : 온도검출센서 W : 냉각수
N : 질소가스 N1 : 제1 퍼징부
N2 : 제2 퍼징부 N3 : 제3 퍼징부
F : 플랜지

Claims (5)

  1. 로 내 감시카메라용 하우징에 있어서,
    외부면에 냉각수 투입관 및 냉각수 배출관이 형성된 외측관;
    후단부가 상기 외측관 내에 삽입되고, 전단부는 상기 외측관으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후단부는 외측관의 내주면에서 소정간격 이격되어 냉각수 이동통로를 형성하며 삽입되며, 지지대를 매개로 상기 후단부 내부에 감시카메라를 수용하고, 후면에 제 1질소투입구가 형성되는 내측관;
    상기 냉각수 이동통로의 전면을 마감하는 전면 덮개; 및
    상기 냉각수 이동통로 및 내측관의 후면을 마감하는 후면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 내 감시카메라용 하우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덮개는,
    감시카메라와 대향되는 부분에 내측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제 1질소배출구가 형성되되,
    상기 제 1질소배출구는 질소배출방향으로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 내 감시카메라용 하우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관은,
    상기 전단부의 외주면 일단에 제 2질소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전단부의 내주면을 따라 제 2질소배출구가 형성되되,
    상기 제 2질소투입구와 제 2질소배출구는 상호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 내 감시카메라용 하우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관은,
    상기 전단부의 외주면 일단에 제 3질소투입구가 형성되되,
    상기 제 3질소투입구는 내측관의 외주면을 따라 4방향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 내 감시카메라용 하우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관은,
    내부 일단에 온도검출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 내 감시카메라용 하우징
KR1020110029322A 2011-03-31 2011-03-31 로 내 감시카메라용 하우징 KR101050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322A KR101050766B1 (ko) 2011-03-31 2011-03-31 로 내 감시카메라용 하우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322A KR101050766B1 (ko) 2011-03-31 2011-03-31 로 내 감시카메라용 하우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0766B1 true KR101050766B1 (ko) 2011-07-20

Family

ID=44923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9322A KR101050766B1 (ko) 2011-03-31 2011-03-31 로 내 감시카메라용 하우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076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4966B1 (ko) 2012-02-27 2012-10-02 삼성영상보안주식회사 로(爐) 내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505273B1 (ko) 2013-04-09 2015-03-23 현대제철 주식회사 분리형 냉각 유닛을 갖는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갖는 연속 소둔 설비
KR101584577B1 (ko) 2015-06-22 2016-01-14 최경철 스나우트의 카메라장치
KR20190078347A (ko) *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로의 버너 연소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0715560A (zh) * 2019-11-11 2020-01-21 莱芜钢铁集团有限公司 一种加热炉内摄像头的冷却装置及冷却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7384A (ko) * 2004-12-30 2006-07-05 윤길산 감시카메라 케이스 유닛
KR20060094318A (ko) * 2005-02-24 2006-08-29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온도에 적응적으로 작동하는 감시 카메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7384A (ko) * 2004-12-30 2006-07-05 윤길산 감시카메라 케이스 유닛
KR20060094318A (ko) * 2005-02-24 2006-08-29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온도에 적응적으로 작동하는 감시 카메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4966B1 (ko) 2012-02-27 2012-10-02 삼성영상보안주식회사 로(爐) 내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505273B1 (ko) 2013-04-09 2015-03-23 현대제철 주식회사 분리형 냉각 유닛을 갖는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갖는 연속 소둔 설비
KR101584577B1 (ko) 2015-06-22 2016-01-14 최경철 스나우트의 카메라장치
KR20190078347A (ko) *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로의 버너 연소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98019B1 (ko) 2017-12-26 2020-04-07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로의 버너 연소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0715560A (zh) * 2019-11-11 2020-01-21 莱芜钢铁集团有限公司 一种加热炉内摄像头的冷却装置及冷却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0766B1 (ko) 로 내 감시카메라용 하우징
KR101736299B1 (ko) 공기 퍼지부를 구비한 산업용 cctv
TW562866B (en) 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olten metal
KR101286588B1 (ko) 개폐수단이 구비된 로 내 감시카메라용 하우징
JP2003526005A (ja) 炉内へのカメラの挿入
JPH08218071A (ja) コークス炉炭化室の炉壁診断方法および装置
US8061852B2 (en) Image projection apparatus
WO2014021089A1 (ja) 高温炉内監視カメラ装置及び監視システム
KR101266848B1 (ko) 공랭식 카메라용 하우징
JP2007158106A (ja) 観察装置
RU2090814C1 (ru) Способ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поврежденной огнеупорной футеровки печ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варианты)
KR200417055Y1 (ko) 용광로 풍구 감시장치
US10761035B2 (en) Diagnosis support apparatus, diagnosis support method, diagnosis method, and repair method of vacuum degassing tank
JP6274516B2 (ja) 炉内監視装置
EP0364578B1 (en) Inspection apparatus for hot furnace
KR102144983B1 (ko) 감시 카메라 장치
KR200379590Y1 (ko) 용광로의 송풍구 원격감시 시스템
JPH05141878A (ja) フイルタ付炉内観察装置
WO2022074982A1 (ja) センサ用保護ケース、撮像装置、溶接システム、センサの冷却方法及びセンサの冷却制御方法
US20160003680A1 (en) Apparatus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glass melting furnace
KR101733712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산업용 cctv
JP7313274B2 (ja) 炉内覗き窓構造
JP2003324638A (ja) 監視カメラの装着装置
KR100975206B1 (ko) 소결 점화로 내부의 융착광 감시 및 제거장치
JP2002090070A (ja) 高温炉内の観察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観察ラン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