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9996B1 - 중장비용 카운터웨이트 - Google Patents

중장비용 카운터웨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9996B1
KR101049996B1 KR1020110007724A KR20110007724A KR101049996B1 KR 101049996 B1 KR101049996 B1 KR 101049996B1 KR 1020110007724 A KR1020110007724 A KR 1020110007724A KR 20110007724 A KR20110007724 A KR 20110007724A KR 101049996 B1 KR101049996 B1 KR 101049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hole
counterweight
connection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7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석
Original Assignee
김용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석 filed Critical 김용석
Priority to KR1020110007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99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9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9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8Counterwe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92Movement of the crane arm; Coupling of the crane arm with the counterweights; Safety devices for the movement of the a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중장비용 카운터웨이트는, 중장비의 장착부(8)에 안착되도록 하측요입홈(11)이 형성되고,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제1중공부(12)가 형성되며, 상면 양측에 상측으로 돌출된 제1연결부(13)가 형성되고, 상기 하측요입홈(11)의 상측에 다수개의 관통공(16)이 관통된 "ㄷ"형상의 베이스웨이트(10)와, 하면에 요입형상의 제1연결요입부(21)가 형성되고,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제2중공부(22)가 형성되며, 상면 양측에 상측으로 돌출된 제2연결부(23)가 형성된 중간웨이트(20)와, 하면에 요입형상의 제2연결요입부(31)가 형성되고,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된 제3중공부(32)가 형성되며, 상면 양측에 상측으로 돌출된 제3연결부(33)가 형성된 상층웨이트(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카운터웨이트를 베이스웨이트와 중간웨이트와 상층웨이트로 구성하여 중장비의 장착부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고, 카운터웨이트의 상면에 상측으로 돌출된 연결부를 형성하여 카운터웨이트를 편리하게 착탈시킬 수 있으며, 카운터웨이트의 내측에 중공부를 형성하여 다양한 종류의 액상 또는 고상의 충진재를 내재시켜 사용할 수 있고, 카운터웨이트의 상면에 고정돌출부를 형성하여 카운터웨이트가 완벽하게 고정되어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고, 카운터웨이트의 상면에 고정판을 구비하여 카운터웨이트가 손상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중장비용 카운터웨이트{Counter Weight of Heavy Epuipment}
본 발명은 중장비용 카운터웨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운터웨이트를 베이스웨이트와 중간웨이트와 상층웨이트로 구성하여 중장비의 장착부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고, 카운터웨이트의 상면에 상측으로 돌출된 연결부를 형성하여 카운터웨이트를 편리하게 착탈시킬 수 있으며, 카운터웨이트의 내측에 중공부를 형성하여 중장비의 작업수행에 알맞게 다양한 종류의 액상 또는 고상의 충진재를 내재시켜 사용할 수 있고, 카운터웨이트의 상면에 고정돌출부와 고정볼트를 구비하여 작업시 큰 흔들림이 발생되더라도 카운터웨이트가 완벽하게 고정되어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중장비용 카운터웨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나 크레인 등과 같은 중장비에는 굴착작업 등을 수행하기 위하여 붐과 암과 버켓 같은 작업장치가 장착되며, 이와 같은 작업장치들은 작업범위가 중장비의 중심으로부터 원거리까지 이르게 된다.
그리하여 중장비가 작업을 수행하는 중에 전복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작업장치의 중량 평형을 고려하여야 설계되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중장비 프레임의 작업장치 반대측에 카운터웨이트가 설치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건설중장비용 카운터웨이트가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요도로서, 종래의 건설중장비용 카운터웨이트는 상부프레임(2)의 후방에 카운터웨이트(1)를 장착시키기 위하여, 상부프레임(2)의 일측 선단부로부터 연장된 장착부(4)가 형성되며, 상기 카운터웨이트(1)는 상기 장착부(4)에 부착가능하도록 결합부(5)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4)에는 카운터웨이트(1)의 결합부(5)를 부착시킨 상태에서 체결용 고정부재(6)가 카운터웨이트(1)의 결합부(5)와 상부프레임(2)의 장착부(4)를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카운터웨이트(1)가 상부프레임(2)의 선단부 후방, 즉 작업장치의 반대방향인 엔진룸(2) 후방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그러나, 작업장치의 부하가 크게 필요한 경우 카운터웨이트의 길이를 크게 하여 장착부에 부착할 경우에는 카운터웨이트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상부선회체 선회반경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건설중장비의 상부선회체 선회반경을 유지하면서 고하중의 건설작업에서 장비의 무게중심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카운터웨이트 높이(h)가 증가된 중량의 후방체결형 카운터웨이트가 별도로 요구되며, 이 경우 카운터웨이트 본체의 무게중심(W1)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를 고려하여 카운터웨이트를 안정적으로 조립 및 분해하기 위한 별도의 제품 설계가 필요하다.
또한, 상기 카운터웨이트는 중장비의 장착부에 용이하게 조립 및 탈부착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카운터웨이트를 설치할 때 중장비 특성상 물리적인 충격이나 흔들림에도 체결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면서 조립 및 탈부착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연구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중장비용 카운터웨이트의 목적은, 카운터웨이트를 베이스웨이트와 중간웨이트와 상층웨이트로 구성하여 중장비의 장착부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고, 카운터웨이트의 상면에 상측으로 돌출된 고정부를 형성하여 카운터웨이트를 편리하게 착탈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시 큰 흔들림이 발생되더라도 카운터웨이트가 완벽하게 고정되어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고, 카운터웨이트의 내측에 중공부를 형성하여 중장비의 작업수행에 알맞게 다양한 종류의 액상 또는 고상의 충진재를 내재시켜 사용할 수 있고, 카운터웨이트의 상면에 고정판을 구비하여 외부의 큰충격이 발생되더라도 카운터웨이트가 손상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며, 다수의 고정공을 연결하는 장형의 고정볼트를 구비하여 베이스웨이트와 중간웨이트와 상층웨이트가 밀착 고정되어 흔들림에 의한 유격을 미연에 방지할 있는 중장비용 카운터웨이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중장비용 카운터웨이트는 중장비의 작업 수행하는 중에 평형을 유지토록 중장비 후측의 장착부에 탑재되는 중장비용 카운터웨이트로서, 중장비의 장착부(8)에 안착되도록 하측요입홈(11)이 형성되고,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제1중공부(12)가 형성되며, 상면 양측에 상측으로 돌출된 제1연결부(13)가 형성되고, 상기 하측요입홈(11)의 상측에 상기 장착부(8)와 고정시키는 볼트(18)가 삽입되도록 다수개의 관통공(16)이 관통된 "ㄷ"형상의 베이스웨이트(10)와, 상기 베이스웨이트(10)의 제1연결부(13)와 대응되어 하면에 요입형상의 제1연결요입부(21)가 형성되고,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제2중공부(22)가 형성되며, 상면 양측에 상측으로 돌출된 제2연결부(23)가 형성된 중간웨이트(20)와, 상기 중간웨이트(20)의 제2연결부(23)와 대응되어 하면에 요입형상의 제2연결요입부(31)가 형성되고,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된 제3중공부(32)가 형성되며, 상면 양측에 상측으로 돌출된 제3연결부(33)가 형성된 상층웨이트(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중장비용 카운터웨이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중장비의 장착부에 안착되는 베이스웨이트의 하면 내측에 하측요입부를 형성하고, 그 상측에서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됨으로써 내측에 다수개의 볼트를 삽입하여 장착부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베이스웨이트의 상면 양측에 상측으로 돌출된 제1연결부가 한쌍 형성되고, 중간웨이트의 하면 양측에 요입형상의 제1연결요입부가 형성되어 베이스웨이트의 상부에 중간웨이트를 편리하게 착탈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고,
셋째, 중간웨이트의 상면 양측에 상측으로 돌출된 한쌍의 제2연결부가 형성되고, 상층웨이트의 하면에 중간웨이트의 제2연결부와 대응되는 요입형상의 제2연결요입부가 형성되어 중간웨이트의 상부에 상층웨이트를 착탈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베이스웨이트의 내측에 형성된 제1중공부와, 중간웨이트의 내측에 형성된 제2중공부와, 상층웨이트의 내측에 제3중공부가 형성됨으로써 중장비의 작업수행에 알맞게 다양한 종류의 액상 또는 고상의 충진재를 내재시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베이스웨이트의 상면에 한쌍의 제1고정돌출부가 형성되고, 중간웨이트의 하면에 제1고정돌출부가 안착되도록 천공된 제1고정공이 한쌍 형성되고, 중간웨이트의 상면에 한쌍의 제2고정돌출부가 형성되고, 상층웨이트의 하면에 제2고정돌출부가 안착되도록 천공된 제2고정공이 형성됨으로써 건설중장비의 작업특성상 큰 흔들림이 발생되더라도 베이스웨이트와 중간웨이트와 상층웨이트가 완벽하게 고정되어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여섯째, 베이스웨이트의 상면에 제1고정판이 다수개 결합되어 상기 중간웨이트의 하중에 의하여 베이스웨이트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중간웨이트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고, 중간웨이트의 상면에 제2고정판이 다수개 결합되어 상층웨이트의 하중에 완벽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상층웨이트의 상면에 다수개의 제3고정판이 결합됨으로써 외부의 큰충격이 발생되더라도 상층웨이트가 손상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일곱째, 베이스고정공과 제1고정공과 제2고정공을 연결하는 장형의 고정볼트가 구비됨으로써 베이스웨이트와 중간웨이트와 상층웨이트가 밀착 고정되어 흔들림에 의한 유격을 미연에 방지할 있는 효과도 있다.
여덟째, 베이스웨이트의 제1연결부의 내측에 제1연결관통공이 관통되고, 중간웨이트의 제2연결부의 내측에 제2연결관통공이 관통되고, 상층웨이트의 제3연결부의 내측에는 제3연결관통공이 관통됨으로써 베이스웨이트, 중간웨이트 및 상층웨이트를 크레인 등으로 이동하거나 적재할 경우 운반기구를 연결하여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중장비용 카운터웨이트의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운터웨이트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운터웨이트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l의 주요부위의 횡단면도.
도 5는 도 l의 주요부위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카운터웨이트가 중장비의 장착부에 설치된 상태의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중장비용 카운터웨이트는 도 2 및 도 6에서, 중장비의 작업 수행하는 중에 평형을 유지토록 중장비 후측의 장착부에 탑재되는 중장비용 카운터웨이트로서, 베이스웨이트(10)와, 중간웨이트(20), 상층웨이트(30)로 구성된다.
즉, 도 3 내지 도 5에서 상기 베이스웨이트(10)는 중장비의 장착부(8)에 안착되도록 하측요입부(11)가 형성되고,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제1중공부(12)가 형성되며, 상면 양측에 상측으로 돌출된 제1연결부(13)가 형성되고, 상기 하측요입부(11)의 상측에 상기 장착부(8)와 고정시키는 볼트(18)가 삽입되도록 다수개의 관통공(16)이 관통되며, "ㄷ"형상의 형성되어 중장비의 장착부(8)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중간웨이트(20)는 상기 베이스웨이트(10)의 제1연결부(13)와 대응되어 하면에 요입형상의 제1연결요입부(21)가 형성되고,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제2중공부(22)가 형성되며, 상면 양측에 상측으로 돌출된 한쌍의 제2연결부(2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층웨이트(30)는 상기 중간웨이트(20)의 제2연결부(23)와 대응되어 하면에 요입형상의 제2연결요입부(31)가 형성되고,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된 제3중공부(32)가 형성되며, 상면 양측에 상측으로 돌출된 제3연결부(33)가 형성된 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웨이트(10)의 제1중공부(12)와, 상기 중간웨이트(20)의 제2중공부(22)와, 상기 상층웨이트(30)의 제3중공부(32)에는 중장비의 작업수행에 알맞게 액상 또는 고상의 충진재(A)가 내재된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웨이트(10)의 상면 양측에는 상기 중간웨이트(20)가 고정되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한쌍의 제1고정돌출부(14)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웨이트(20)의 하면에는 상기 제1고정돌출부(14)가 안착되도록 천공된 원통형의 제1고정공(27)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웨이트(20)의 상면 양측에는 상기 상층웨이트(30)가 고정되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한쌍의 제2고정돌출부(24)가 형성되고, 상기 상층웨이트(30)의 하면에는 상기 제2고정돌출부(24)가 안착되도록 천공된 원통형의 제2고정공(37)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웨이트(10)의 제1고정돌출부(14) 중앙에는 관통되어 나사가 형성된 제1관통공(14a)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웨이트(20)의 제2고정돌출부(24)의 중앙에는 관통되어 나사가 형성된 제2관통공(24a)이 형성되고, 상기 제1관통공(14a)과, 제2관통공(24a)과, 제1고정공(27)과, 제2고정공(37)을 연결하는 장형의 고정볼트(4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웨이트(10)의 상면 내측에는 상기 중간웨이트(20)의 하중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제1고정판(15)이 결합되고, 상기 중간웨이트(20)의 상면에는 상기 상층웨이트(30)의 하중에 지지하는 다수개의 제2고정판(25)이 결합되고, 상기 상층웨이트(30)의 상면에는 외부의 큰충격에 보강되도록 다수개의 제3고정판(35)이 결합된 것도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베이스웨이트(10)의 제1연결부(13)의 내측에는 제1연결관통공(13a)이 관통되고, 상기 중간웨이트(20)의 제2연결부(23)의 내측에는 제2연결관통공(23a)이 관통되고, 상기 상층웨이트(30)의 제3연결부(33)의 내측에는 제3연결관통공(33a)이 관통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용 카운터웨이트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용 카운터웨이트는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장비의 작업 수행하는 중에 평형을 유지토록 중장비 후측의 장착부(8)에 베이스웨이트(10)에 탑재되고, 상기 베이스웨이트(10)의 상부에 중간웨이트(20)가 안착되고, 상기 중간웨이트(20)의 상부에 상층웨이트(30)가 안착된다.
즉, 상기 중장비의 장착부(8)에 안착되는 베이스웨이트(10)의 하면 내측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요입부(11)가 형성되고, 상기 하측요입부(11)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되는 다수개의 관통공(16)이 형성됨으로써 내측에 다수개의 볼트(18)를 삽입하여 장착부(8)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웨이트(10)의 상면 양측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제1연결부(13)가 한쌍 형성되고, 상기 중간웨이트(20)의 하면 양측에는 상기 베이스웨이트(10)의 제1연결부(13)와 대응되는 요입형상의 제1연결요입부(21)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베이스웨이트(10)의 상부에 중간웨이트(20)를 편리하게 안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웨이트(20)의 상면 양측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한쌍의 제2연결부(23)가 형성되고, 상기 상층웨이트(30)의 하면에는 상기 중간웨이트(20)의 제2연결부(23)와 대응되는 요입형상의 제2연결요입부(31)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중간웨이트(20)의 상부에 상층웨이트(30)를 편리하게 안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웨이트(10)의 내측에 형성된 제1중공부(12)와, 상기 중간웨이트(20)의 내측에 형성된 제2중공부(22)와, 상기 상층웨이트(30)의 내측에 제3중공부(32)가 형성됨으로써 중장비의 작업수행에 알맞게 다양한 종류의 액상 또는 고상의 충진재(A)를 내재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웨이트(10)의 상면 양측에는 상기 중간웨이트(20)가 고정되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한쌍의 제1고정돌출부(14)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웨이트(20)의 하면에는 상기 제1고정돌출부(14)가 안착되도록 천공된 제1고정공(27)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웨이트(20)의 상면 양측에는 상기 상층웨이트(30)가 고정되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한쌍의 제2고정돌출부(24)가 형성되고, 상기 상층웨이트(30)의 하면에는 상기 제2고정돌출부(24)가 안착되도록 천공된 제2고정공(37)이 형성됨으로써 건설중장비의 작업특성상 큰 흔들림이 발생되더라도 베이스웨이트(10)와 중간웨이트(20)와 상층웨이트(30)가 완벽하게 고정되어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웨이트(10)의 상면 내측에 제1고정판(15)이 다수개 결합되어 상기 중간웨이트(20)의 하중에 의하여 베이스웨이트(1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중간웨이트(2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고, 상기 중간웨이트(20)의 상면에 제2고정판(25)이 다수개 결합되어 상층웨이트(30)의 하중에 완벽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상층웨이트(30)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제3고정판(35)이 결합됨으로써 외부의 큰충격이 발생되더라도 상층웨이트(30)가 손상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웨이트(10)의 제1고정돌출부(14) 중앙에는 관통되어 나사가 형성된 제1관통공(14a)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웨이트(20)의 제2고정돌출부(24)의 중앙에는 관통되어 나사가 형성된 제2관통공(24a)이 형성되고, 상기 제1관통공(14a)과, 제2관통공(24a)과, 제1고정공(27)과, 제2고정공(37)을 연결하는 장형의 고정볼트(40)가 구비됨으로써 베이스웨이트(10)와 중간웨이트(20)와 상층웨이트(30)가 밀착 고정되어 흔들림에 의한 유격을 방지할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웨이트(10)의 제1연결부(13)의 내측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관통공(13a)이 관통되고, 상기 중간웨이트(20)의 제2연결부(23)의 내측에는 제2연결관통공(23a)이 관통되고, 상기 상층웨이트(30)의 제3연결부(33)의 내측에는 제3연결관통공(33a)이 관통됨으로써 베이스웨이트(10), 중간웨이트(20) 및 상층웨이트(30)를 크레인 등으로 이동하거나 적재할 경우 운반기구를 연결하여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베이스웨이트 11 : 하측요입부
12 : 제1중공부 13 : 제1연결부
13a: 제1연결관통공 14 : 제1고정돌출부
15 : 제1고정판 16 : 관통공
20 : 중간웨이트 21 : 제1연결요입부
22 : 제2중공부 23 : 제2연결부
23a: 제2연결관통공 24 : 제2고정돌출부
25 : 제2고정판 27 : 제1고정공
30 : 상층웨이트 31 : 제2연결부
32 : 제3중공부 33 : 제3연결부
33a: 제3연결관통공 35 : 제3고정판
37 : 제2고정공 40 : 고정볼트

Claims (6)

  1. 중장비의 작업 수행하는 중에 평형을 유지토록 중장비 후측의 장착부에 탑재되는 중장비용 카운터웨이트에 있어서,
    중장비의 장착부(8)에 안착되도록 하측요입부(11)가 형성되고,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제1중공부(12)가 형성되며, 상면 양측에 상측으로 돌출된 제1연결부(13)가 형성되고, 상기 하측요입부(11)의 상측에 상기 장착부(8)와 고정시키는 볼트(18)가 삽입되도록 다수개의 관통공(16)이 관통된 "ㄷ"형상의 베이스웨이트(10)와;
    상기 베이스웨이트(10)의 제1연결부(13)와 대응되어 하면에 요입형상의 제1연결요입부(21)가 형성되고,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제2중공부(22)가 형성되며, 상면 양측에 상측으로 돌출된 제2연결부(23)가 형성된 중간웨이트(20)와;
    상기 중간웨이트(20)의 제2연결부(23)와 대응되어 하면에 요입형상의 제2연결요입부(31)가 형성되고,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된 제3중공부(32)가 형성되며, 상면 양측에 상측으로 돌출된 제3연결부(33)가 형성된 상층웨이트(30)로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웨이트(10)의 상면 양측에는 상기 중간웨이트(20)가 고정되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한쌍의 제1고정돌출부(14)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웨이트(20)의 하면에는 상기 제1고정돌출부(14)가 안착되도록 천공된 제1고정공(27)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웨이트(20)의 상면 양측에는 상기 상층웨이트(30)가 고정되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한쌍의 제2고정돌출부(24)가 형성되고, 상기 상층웨이트(30)의 하면에는 상기 제2고정돌출부(24)가 안착되도록 천공된 제2고정공(37)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웨이트(10)의 제1고정돌출부(14) 중앙에는 관통되어 나사가 형성된 제1관통공(14a)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웨이트(20)의 제2고정돌출부(24)의 중앙에는 관통되어 나사가 형성된 제2관통공(24a)이 형성되고,
    상기 제1관통공(14a)과, 제2관통공(24a)과, 제1고정공(27)과, 제2고정공(37)을 연결하는 고정볼트(4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카운터웨이트.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웨이트(10)의 상면 내측에는 상기 중간웨이트(20)의 하중을 지지하는 제1고정판(15)이 결합되고, 상기 중간웨이트(20)의 상면에는 상기 상층웨이트(30)의 하중을 지지하는 제2고정판(25)이 결합되고, 상기 상층웨이트(30)의 상면에는 외부충격에 보강되도록 제3고정판(35)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카운터웨이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웨이트(10)의 제1연결부(13)의 내측에는 제1연결관통공(13a)이 관통되고, 상기 중간웨이트(20)의 제2연결부(23)의 내측에는 제2연결관통공(23a)이 관통되고, 상기 상층웨이트(30)의 제3연결부(33)의 내측에는 제3연결관통공(33a)이 관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카운터웨이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웨이트(10)의 제1중공부(12)와, 상기 중간웨이트(20)의 제2중공부(22)와, 상기 상층웨이트(30)의 제3중공부(32)에는 액상 또는 고상의 충진재(A)가 내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카운터웨이트.
KR1020110007724A 2011-01-26 2011-01-26 중장비용 카운터웨이트 KR101049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724A KR101049996B1 (ko) 2011-01-26 2011-01-26 중장비용 카운터웨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724A KR101049996B1 (ko) 2011-01-26 2011-01-26 중장비용 카운터웨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9996B1 true KR101049996B1 (ko) 2011-07-19

Family

ID=44923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7724A KR101049996B1 (ko) 2011-01-26 2011-01-26 중장비용 카운터웨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999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596B1 (ko) 2013-05-21 2013-10-16 주식회사 에스틸 건설장비에 연결된 전선을 가이드하는 타워크레인용 충진타입 카운터웨이트
BE1023013B1 (fr) * 2015-12-02 2016-11-04 Dufour Sa Contrepoids pour grues et procédé d'empiler des contrepoids pour grues
CN113666283A (zh) * 2021-08-26 2021-11-19 安徽春华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起重机配重结构及稳定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4957A (ja) * 1994-11-04 1996-05-28 Tetsuzo Nishida 建設機械用カウンターウェイト
JPH11200420A (ja) 1998-01-19 1999-07-27 Sumitomo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カウンタウエイト
JP2000063083A (ja) * 1998-08-26 2000-02-29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カウンタウエイト装置
JP2000143165A (ja) * 1998-11-13 2000-05-23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カウンタウエイト取り付け構造およびカウンタウエイト着脱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4957A (ja) * 1994-11-04 1996-05-28 Tetsuzo Nishida 建設機械用カウンターウェイト
JPH11200420A (ja) 1998-01-19 1999-07-27 Sumitomo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カウンタウエイト
JP2000063083A (ja) * 1998-08-26 2000-02-29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カウンタウエイト装置
JP2000143165A (ja) * 1998-11-13 2000-05-23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カウンタウエイト取り付け構造およびカウンタウエイト着脱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596B1 (ko) 2013-05-21 2013-10-16 주식회사 에스틸 건설장비에 연결된 전선을 가이드하는 타워크레인용 충진타입 카운터웨이트
BE1023013B1 (fr) * 2015-12-02 2016-11-04 Dufour Sa Contrepoids pour grues et procédé d'empiler des contrepoids pour grues
CN113666283A (zh) * 2021-08-26 2021-11-19 安徽春华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起重机配重结构及稳定方法
CN113666283B (zh) * 2021-08-26 2023-11-07 安徽江河智能装备集团有限公司 一种起重机配重结构及稳定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91699B2 (ja) 作業機械
KR101970594B1 (ko) 내진용 케이블 트레이 행거 장치
KR101049996B1 (ko) 중장비용 카운터웨이트
JP2015168936A (ja) 作業機械におけるキャブ保護構造
US8646557B2 (en) Construction machine
JP6176670B2 (ja) 作業機械
JP2007120221A (ja) 建設機械
KR101925498B1 (ko) 타워 크레인용 앵커 프레임
JP5850358B2 (ja) プレート部材の取付具
JP6361677B2 (ja) 建設機械の配管構造
KR101060358B1 (ko) 건축용 배설 파이프 지지장치
KR20100091715A (ko) 건설중장비용 후방체결형 카운터웨이트
CN207553396U (zh) 一种幕墙立柱抗扭挂码组件
JP2021161895A (ja) 回転機械・ベース組立体、ベース、及び、吊り上げ方法
KR100693285B1 (ko) 파워팩 착탈식의 역순환굴반기
JP6801864B2 (ja) 外装材の仮支持部材
JP2019183431A (ja) 腰壁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1930765B1 (ko) 외벽 시공용 방진 고정장치
CN211397584U (zh) 一种隧道墙体加固防护结构定位稳定装置
JP5458069B2 (ja) 建設機械
JP6562040B2 (ja) 建設機械
KR20110058163A (ko) 선박용 진동 방지 부재의 설치 구조
JP5164177B2 (ja) キャブを備えた建設機械
JP2015059343A (ja) 作業機械
JP2006287842A (ja) テレビ台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