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9712B1 - Led형광등 포장박스용 골판지원단 자동 밴딩장치 - Google Patents

Led형광등 포장박스용 골판지원단 자동 밴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9712B1
KR101049712B1 KR1020100081453A KR20100081453A KR101049712B1 KR 101049712 B1 KR101049712 B1 KR 101049712B1 KR 1020100081453 A KR1020100081453 A KR 1020100081453A KR 20100081453 A KR20100081453 A KR 20100081453A KR 101049712 B1 KR101049712 B1 KR 101049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conveyor
support
corrugated
led fluores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1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윤
Original Assignee
코러패드코리아 주식회사
최정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러패드코리아 주식회사, 최정윤 filed Critical 코러패드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1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97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9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9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31B50/042Feeding sheets or blanks using rolls, belts or chains

Abstract

본 발명은 LED형광등을 안전하게 보호하는데 사용하는 LED형광등 포장박스의 제작과정에서 골판지원단의 밴딩작업을 인력에 의존하지 않고 간편하게 자동화로 구현하여 생산성, 작업품질 및 상품성을 획기적으로 향상하는 LED형광등 포장박스용 골판지원단 자동 밴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밴딩 컨베이어 상에서 수평이동하는 골판지원단이 다수의 밴딩롤러를 연속적으로 통과하는 과정에서 한 쌍의 밴딩바가 골판지원단의 양측 괘선에 맞추어 누름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후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밴딩바에 가까워지는 경사도를 갖는 밴딩 가이드면에 의해 상기 골판지원단의 양측이 상향으로 접히면서 자동으로 밴딩처리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특징적인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LED형광등 포장박스용 골판지원단 자동 밴딩장치{Auto bending device of corrugated cardboard for a packing box for LED fluorescent lamp}
본 발명은 LED형광등을 안전하게 보호하는데 사용하는 LED형광등 포장박스의 제작과정에서 골판지원단의 밴딩작업을 인력에 의존하지 않고 간편하게 자동화로 구현하여 생산성, 작업품질 및 상품성을 획기적으로 향상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조명기구로써 절대적인 사용량을 갖는 형광등은 유리관 속을 진공으로 하여 수은과 아르곤 가스를 넣고, 안쪽 벽에 형광 도료를 칠하여 수은의 방전으로 생긴 자외선을 가시광선으로 바꾸어 조명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백열전구에 비해서는 수명이 길고 전력소모가 적지만 근자에 많이 사용하는 다른 조명기구(삼파장램프, LED 등)에 비해 비교적 전력소모가 많고, 수명이 짧으며, 물품의 특성상 취급에 상당한 주위가 요구됨은 물론 부주의로 인하여 파손될 우려가 많은 특성이 있다.
따라서, 근자에는 전력소모를 최소화하면서도 휘도가 우수함은 물론 수명이 길어 교체 및 유지보수에 따른 소모성 비용이 적고, 사후관리가 편리한 장점을 갖는 LED모듈을 이용한 형광등이 각광을 받고 있다.
이와 같은 LED형광등은 골판지를 이용하여 긴 길이로 제작한 사각관 형태의 포장박스에 넣어서 안전하게 보관함으로써 외력에 의해 LED형광등이 파손되거나 손상됨을 방지한다.
상기한 LED형광등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종래의 LED형광등 포장박스는 도 13과 같이 골판지원단(1)을 이용하여 사각관의 형태로 제작하되 상기 골판지원단(1)은 완성된 포장박스가 구겨지지 않고 제 형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 충분한 강도를 보유할 수 있도록 골(2)이 길이 방향과 직교된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재단성형하고, 상기 재단된 골판지원단(1)에는 박스를 접을 수 있도록 톰슨작업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괘선(Crease)(3)을 삽입 성형함으로써 상기 괘선(3)을 따라 골판지원단(1)을 접어서 LED형광등 포장박스를 제작한다.
이때 상기 골판지원단(1)의 밴딩작업은 통상 전적으로 인력에 의존하여 수작업으로 양측의 괘선을 따라 밴딩하고 있으나, 골판지의 골(2)이 괘선(3)과 직교방향으로 위치함으로써 밴딩부위에 주름이 발생하면서 제대로 접히지 않고, 특히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밴딩이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하자발생률이 매우 높고, 제품의 품질이 저하됨은 물론 작업시간과 인력이 많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반면 코스트가 증가하는 폐단이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LED형광등 포장박스용 골판지원단의 밴딩작업을 수작업에 의존하여 실시함에 따른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밴딩 컨베이어 상에서 수평이동하는 골판지원단이 다수의 밴딩롤러를 연속적으로 통과하는 과정에서 한 쌍의 밴딩바가 골판지원단의 양측 괘선에 맞추어 누름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후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밴딩바에 가까워지는 경사도를 갖는 밴딩 가이드면에 의해 상기 골판지원단의 양측이 상향으로 접히면서 자동으로 밴딩처리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골판지원단의 두께변화에 따라 밴딩 컨베이어의 상부에 설치된 부상방지벨트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상기 밴딩 컨베이어와 부상방지벨트 간의 상하 간극을 골판지원단의 두께에 알맞도록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부상방지벨트를 일시적으로 들어올리는 방법으로 상기 밴딩 컨베이어 및 부상방지벨트의 사이에 끼이면서 불량처리된 골판지원단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밴딩 컨베이어의 전방에 설치된 급지 컨베이어 상에서 수평이동하면서 밴딩 컨베이어로 급지되는 골판지원단을 흡입챔버가 하측 방향으로 강제 흡착하면서 상기 골판지원단의 부상 및 위치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센터판넬의 일 측면에 밴딩 컨베이어를 설치하고, 상기 벤딩 컨베이어의 상부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밴딩바를 이격 설치하며, 상기 센터판넬의 후방 양 측면에는 밴딩 가이드면이 형성된 다수의 밴딩롤러를 간격을 두고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밴딩롤러는 후방으로 가면서 밴딩 가이드면이 점진적으로 밴딩바에 가까워지는 경사도를 유지하도록 형성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밴딩 컨베이어와 맞물리듯 회전하는 부상방지벨트를 상기 밴딩 컨베이어의 상측에 병렬 설치된 벨트 장착대의 외측을 감싼 상태로 설치하고, 상기 벨트장착대의 측면에 부착된 리프팅판에는 높낮이 조절봉의 하측을 나사결합하며, 상기 높낮이 조절봉은 지지대브라켓을 상하로 관통하여 끼움 설치하되 상부에 상하로 선회가능하게 결합된 리프팅 레버를 지지대브라켓의 상단에 안착 설치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밴딩 컨베이어의 전방에 인접하여 급지 컨베이어를 설치하고, 상기 급지 컨베이어의 양측에 위치한 컨베이어축의 사이에는 급지 컨베이어벨트를 받쳐주는 흡입챔버를 설치하며, 상기 흡입챔버의 상부면에 형성된 흡입홀과 연통하는 다수의 통기홀을 급지 컨베이어에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LED형광등 포장박스의 제작과정에서 골판지원단의 밴딩작업을 인력에 의존하지 않고 자동화로 구현함으로써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함은 물론 밴딩작업에 소요되는 작업시간과 인력을 감축하여 코스트를 대폭 절감하며, 상기 골판지원단의 밴딩부위에는 주름발생이 전혀 없을 뿐만 아니라 길이방향 전체구간이 균일하게 밴딩됨으로써 제품의 하자발생률이 매우 낮고, 작업품질 및 상품성을 획기적으로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골판지원단의 두께변화에 맞추어 밴딩바 및 부상방지벨트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밴딩바 및 부상방지벨트와 밴딩 컨베이어 간의 상하 간극을 골판지원단의 두께에 알맞도록 맞춤으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골판지원단의 두께에 구애받지 않고 광범위한 밴딩작업을 간편 시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리프팅 레버의 간편한 조작으로 상기 부상방지벨트를 일시적으로 들어올린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밴딩 컨베이어 및 부상방지벨트의 사이에 끼이면서 불량처리된 골판지원단을 간편하게 제거한 후 즉각적으로 밴딩작업을 재차 시행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을 개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발명은 상기 밴딩 컨베이어에 골판지원단을 공급하는 급지 컨베이어의 내측에 흡입챔버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흡입챔버는 급지 컨베이어에 형성된 통기공을 통해 골판지원단을 하측으로 강제 흡착하면서 급지 컨베이어 상에 유동 없이 고정함으로써 상기 골판지원단의 부상 및 위치 틀어짐을 방지하여 더욱 정확한 급지작업이 이루어지면서 연속되는 밴딩작업의 정확도를 높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자동 밴딩장치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밴딩 컨베이어, 밴딩바, 제1 밴딩롤러 및 부상방지벨트의 설치상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골판지원단이 자동 밴딩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센터판넬, 제1, 제2 밴딩롤러, 밴딩바의 설치상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도 5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밴딩 컨베이어, 밴딩바 및 제1 밴딩롤러에 의해 골판지원단이 밴딩되는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발명 원단통로 간극조절장치의 설치 및 작동상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 밴딩바의 틸팅 작동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 원단 유동방지장치의 설치상태 종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 원단 보조받침장치의 설치상태 종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베이스프레임, 사이드판넬, 센터판넬 및 지지봉의 조립상태 측면도
도 13은 종래의 LED형광등 포장박스를 제작하기 위한 골판지원단의 사시도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을 보다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체적인 기술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센터판넬(20)의 일 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밴딩 컨베이어(30)와; 상기 밴딩 컨베이어(30)의 상부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마주하게 설치되어 상기 밴딩 컨베이어(30) 상에서 수평이동하는 골판지원단(1)의 양측 괘선(3)에 맞추어 누름상태를 유지하는 한 쌍의 밴딩바(40)와; 상기 센터판넬(20)의 후방 양 측면에 길이방향 간격을 두고 회전가능하게 이격 설치되고, 밴딩바(40)의 외측방향으로 가면서 외경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레듀셔 형태의 밴딩 가이드면(51)이 각각 형성되되, 상기 밴딩 가이드면(51)은 후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밴딩바(40)에 가까워지는 경사도를 유지하는 다수의 제1, 제2 밴딩롤러(50)(50a)의 유기적인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용이하도록 좀더 상세하세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적으로 본 발명의 센터판넬(20)은 도 1 및 도 12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0)의 상부 양측에 부착된 한 쌍의 사이드판넬(11)의 사이 중앙에 배치되되 상기 사이드판넬(11)을 상호 일체로 연결하는 다수의 지지봉(12)이 상기 센터판넬(20)의 하부 양 측면에 부착된 연결브라켓(13)을 관통하여 결합됨으로써 센터판넬(20)은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센터판넬(20)의 일 측면에는 원동축(31)의 회전작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전하면서 골판지원단(1)을 후방(도면상 왼쪽)으로 수평이송시키는 밴딩 컨베이어(3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밴딩 컨베이어(30)의 전방 측에는 다수의 쳐짐방지롤러(32)가 밴딩 컨베이어(30)를 받쳐주도록 센터판넬(20)에 등간격으로 설치됨으로써 상기 밴딩 컨베이어(30)가 긴 구간에 설치됨에도 하부로 쳐짐을 방지하여 골판지원단(1)을 원활하게 수평이송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밴딩 컨베이어(30)의 상부 양측에는 제1, 제2 밴딩롤러(50)(50a)와 유기적인 결합구성을 통해 골판지원단(1)을 자동으로 밴딩시키는 본 발명의 핵심기술구성인 한 쌍의 밴딩바(40)가 밴딩 컨베이어(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마주하게 설치되며, 상기 밴딩바(40)의 외면 하부 모서리부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밴딩 컨베이어(30) 상에서 수평이동하는 골판지원단(1)의 양측에 형성된 괘선(3)에 맞추어 누름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괘선(3)을 기준으로 골판지원단(1)의 양측을 상향으로 접어줄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밴딩바(40)의 저면과 밴딩 컨베이어(30)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G)은 골판지원단(1)이 수평이동할 수 있는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밴딩바(40)는 골판지원단(1)의 괘선(3)을 따라 골판지원단(1)을 접을 수 있도록 괘선(3)에 맞추어 골판지원단(1)을 누르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센터판넬(20)의 후방 양 측면에는 밴딩바(40)에 의해 눌린 상태의 골판지원단(1)을 인력에 의존하지 않고 순차적으로 자동 밴딩시키는 다수의 제1, 제2 밴딩롤러(50)(50a)가 길이방향 간격을 두고 각각 회전가능하게 이격 설치된다.
이와 같은 제1, 제2 밴딩롤러(50)(50a)는 외측방향으로 가면서 외경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레듀셔의 형태를 갖는 밴딩 가이드면(51)이 각각 형성되되, 상기 제1, 제2 밴딩롤러(50)(50a)에 형성된 다수의 밴딩 가이드면(51)은 전체적으로 볼 때 후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밴딩바(40)의 외면에 가까워지는 경사도를 유지하는 기술이 접목된다.
즉 상기 제1, 제2 밴딩롤러(50)(50a)의 밴딩 가이드면(51)은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후방으로 갈수록 밴딩바(40)에 가까워지는 경사도를 유지함으로써 밴딩바(40)의 저면과 밴딩 컨베이어(30)의 사이 간극(G)을 따라 이동하는 골판지원단(1)은 쳐짐방지롤러(32)가 설치된 구간을 통과하는 과정에서는 수평상으로 전개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비로소 상기 제1, 제2 밴딩롤러(50)(50a)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통과하는 과정에서 자동으로 상향으로 밴딩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최전방에 위치한 낮은 경사도를 갖는 밴딩 가이드면(51)에 의해 골판지원단(1)은 해당 경사도만큼 작은 각도만큼 밴딩된 후 순차적으로 연속되는 밴딩 가이드면(51)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조금씩 큰 각도만큼 밴딩되며, 최종적으로 최후방에 위치한 밴딩 가이드면(51)을 통과하면서 상기 밴딩바(40)의 외면에 근접하는 수직상태에 가까운 각도만큼 자동 밴딩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특히 제1 밴딩롤러(50)는 밴딩 가이드면(51)의 내측 선단에 밴딩 컨베이어(30)의 내면과 밀착된 상태로 마찰회전하는 롤링축(52)이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밴딩 컨베이어(3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제1 밴딩롤러(50)가 연동 회전하면서 골판지원단(1)의 밴딩가이드 작업을 더욱 원활하게 안내하며, 상기 제2 밴딩롤러(50a)는 골판지원단(1)과의 마찰작용을 통해 연동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밴딩 컨베이어(30)의 상측에 벨트장착대(61)가 병렬 설치되고, 이 벨트장착대(61)외 외측에는 부상방지벨트(60)가 회전가능하게 감싸게 설치되며, 상기 부상방지벨트(60)는 밴딩 컨베이어(30)와 맞물리듯 회전하면서 골판지원단(1)의 상부면을 눌러주어 골판지원단(1)이 상부로 부상됨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하며, 상기 벨트장착대(61)의 측면에 결합된 밴딩바 지지대(41)의 하측에 밴딩바(40)가 연결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밴딩바(40)는 밴딩바 지지대(41)에 완전한 고정상태로 연결 설치되지 않고 상하로 틸팅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밴딩바(40)의 내측으로 결합핀(42)이 일체화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핀(42)은 밴딩바 지지대(41)의 하측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 틸팅홈(43)을 관통하여 결합되며, 상기 밴딩바 지지대(41)는 벨트장착대(61)에 부착된 고정축(44)에 상하로 선회가능하게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볼트(45)가 밴딩바 지지대(41)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축(44)에 밀착됨으로써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밴딩바(40)는 평상시 자중에 의해 하부로 쳐지면서 골판지원단(1)의 괘선(3)에 맞추어 누름상태를 원활하게 유지하면서도 골판지원단(1)의 두께가 변화하더라도 자동으로 상하 틸팅 작동함으로써 항상 골판지원단(1)을 밀착된 상태로 눌러주어 더욱 원활한 밴딩작업을 보장할 수 있으며, 상기 밴딩바 지지대(41)를 상하로 선회작동하면서 밴딩바(40)의 초기위치를 정밀하게 미세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벨트장착대(61)의 상측에는 밴딩바(40)의 저면 및 부상방지벨트(60)와 상기 밴딩 컨베이어(30) 간의 간극(G)을 골판지원단(1)의 두께변화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하면서 다양한 두께를 갖는 골판지원단(1)을 모두 수용하면서 밴딩작업을 시행할 수 있도록 하는 원단통로 간극조절장치(70)가 추가로 설치된다.
이를 위한 원단통로 간극조절장치(70)는 도 8과 같이 상기 벨트장착대(61)의 측면에 리프팅판(71)이 부착되고, 이 리프팅판(71)의 상부에는 높낮이 조절봉(72)의 하측이 나사결합되며, 상기 높낮이 조절봉(72)은 한 쌍의 사이드판넬(11)의 사이에 연결된 지지봉(12)에 안정적으로 고정설치된 지지브라켓(73)의 상하 지지돌부(73a)를 관통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높낮이 조절봉(72)의 상부에는 힌지핀(74a)을 매개로 리프팅 레버(74)가 상하로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되 이 높낮이 조절봉(72)은 지지브라켓(73)의 상단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리프팅 레버(74)를 회전시키면 높낮이 조절봉(72)이 연동 회전함으로써 상기 높낮이 조절봉(72)에 나사결합된 리프팅판(71)과 부상방지벨트(60), 밴딩바(40)가 동시에 상하로 이동하면서 밴딩 컨베이어(30)와의 간극(G)이 자동으로 조절됨으로써 골판지원단(1)의 두께변화에 따라 간극(G)을 맞춤상태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리프팅 레버(74)를 도 8과 같이 들어올리면 높낮이 조절봉(72)이 상부로 승강하면서 일시적으로 부상방지벨트(60) 및 밴딩바(40)를 동시에 들어올린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밴딩 컨베이어(30) 및 부상방지벨트(60)의 사이에 끼이면서 불량처리된 골판지원단(1)을 힘들이지 않고 신속하고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높낮이 조절봉(72)은 중앙부분에 스프링돌기(75)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돌기(75)와 상측 지지돌부(73a)의 사이에는 높낮이 조절봉(72)의 외측에 스프링(76)이 끼워진 상태로 게재됨으로써 상부로 들어올린 리프팅 레버(74)를 놓는 순간 높낮이 조절봉(72)이 원상태로 원활하게 복원될 수 있는 탄성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상기 밴딩 컨베이어(30)의 전방에 인접하여 상기 밴딩 컨베이어(30)에 골판지원단(1)을 정확하게 전용 공급하기 위한 급지 컨베이어(80)가 연속하여 설치되고, 상기 급지 컨베이어(80)의 전방 양측 상부에는 적층된 다량의 골판지원단(1)을 경사상태로 받쳐주는 원단받침대(81)가 설치되며, 상기 적층된 다수의 골판지원단(1)은 공급디스크(82)에 밀착된 상태에서 하부에 위치한 골판지원단(1)부터 낱장으로 분리되어 상기 공급디스크(82)의 하측을 통과하면서 급지 컨베이어(80) 상에서 수평이동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급지 컨베이어(80)에는 골판지원단(1)의 부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위치가 틀어짐을 방지하면서 상기 밴딩 컨베이어(30)에 골판지원단(1)을 항상 정확한 위치로 공급하는 원단 유동방지장치(90)의 기술구성이 추가로 접목된다.
이를 위한 원단 유동방지장치(90)는 상기 급지 컨베이어(80)의 양측에 위치한 컨베이어축(83)의 사이에 흡입관(91)을 매개로 블로워(92)와 연결된 흡입챔버(93)가 급지 컨베이어(80)의 내면을 받쳐준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흡입챔버(93)의 상부면에는 다수의 흡입홀(94)이 형성되며, 상기 급지 컨베이어(80)에는 회전이동하면서 상기 흡입홀(94)과 연통하는 다수의 통기홀(95)이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블로워(92)의 작동에 따라 흡입력을 발생하는 흡입챔버(93)는 도 10과 같이 흡입홀(94)이 회전이동하는 통기홀(95)과 연통할 때 흡입력을 이용하여 급지 컨베이어(80) 상에서 수평이동하는 골판지원단(1)을 흡착함으로써 상기 골판지원단(1)은 상부로 부상하거나 위치가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LED형광등이 다양한 길이의 규격(600∼1600mm)으로 제작됨에 따라 골판지원단(1)의 길이도 이와 함께 다양한 길이로 재단되고 있는 실정이나, 상기 골판지원단(1)의 길이가 긴 경우 원단받침대(81)가 골판지원단(1)의 중앙을 받쳐주는 결과를 초래하면서 골판지원단(1)의 일측이 하부로 쳐지는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원단 보조받침장치(100)가 추가로 구비된다.
상기 원단 보조받침장치(100)는 급지 컨베이어(80)의 양측에 배치된 사이드판넬(11)의 마주하는 내면에 각각 도 11과 같이 한 쌍의 이동가이드블럭(101)이 이격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이동가이드블럭(101)에는 폭조절봉(102)이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폭조절봉(102)의 전방에는 상부에 받침롤(103)이 설치된 보조 원단받침대(104)가 연결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폭조절봉(102)의 외측에는 록킹레버(105a)가 설치된 한 쌍의 록킹슬라이더(105)가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끼움 설치되며, 상기 록킹슬라이더(105)는 폭조절봉(102)의 폭을 조절한 상태에서 상기 폭조절봉(102)을 따라 슬라이딩 이송하면서 이동가이드블럭(101)의 양측에 밀착시킨 후 록킹레버(105a)를 조여주면 유동 없는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다양한 규격의 골판지원단(1)을 항상 안정되게 받쳐줄 수 있게 된다.
1: 골판지원단 2: 골
3: 괘선 10: 베이스프레임
11: 사이드판넬 20: 센터판넬
30: 밴딩 컨베이어 40: 밴딩바
41: 밴딩바 지지대 42: 결합핀
43: 틸팅홈 50: 제1 밴딩롤러
50a: 제2 밴딩롤러 60: 부상방지벨트
61: 벨트장착대 70: 원단통로 간극조절장치
71: 리프팅판 72: 높이조절봉
73: 지지브라켓 74: 리프팅 레버
76: 스프링 80: 급지 컨베이어
81: 원단받침대 90: 원단 유동방지장치
92: 블로워 93: 흡입챔버
94: 흡입홀 95: 통기홀
100: 원단 보조받침장치 101: 이동가이드블럭
102: 폭조절봉 104: 보조 원단받침대
105: 록킹슬라이더 G: 간극

Claims (9)

  1. 센터판넬(20)의 일 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밴딩 컨베이어(30)와;
    상기 밴딩 컨베이어(30)의 상부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마주하게 설치되어 상기 밴딩 컨베이어(30) 상에서 수평이동하는 골판지원단(1)의 양측 괘선(3)에 맞추어 누름상태를 유지하는 한 쌍의 밴딩바(40)와;
    상기 센터판넬(20)의 후방 양 측면에 길이방향 간격을 두고 회전가능하게 이격 설치되고, 밴딩바(40)의 외측방향으로 가면서 외경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레듀셔 형태의 밴딩 가이드면(51)이 각각 형성되되, 상기 밴딩 가이드면(51)은 후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밴딩바(40)에 가까워지는 경사도를 유지하는 다수의 제1, 제2 밴딩롤러(50)(50a)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밴딩 컨베이어(30)의 상측에는 벨트장착대(61)가 병렬 설치되고, 상기 벨트장착대(61)의 외측에는 밴딩 컨베이어(30)와 맞물리듯 회전하는 부상방지벨트(60)가 감싸게 설치되며, 상기 벨트장착대(61)의 측면에 결합된 밴딩바 지지대(41)의 하측에 밴딩바(40)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벨트장착대(61)의 상측에는 밴딩바(40)의 저면 및 부상방지벨트(60)와 상기 밴딩 컨베이어(30) 간의 간극(G)을 골판지원단(1)의 두께변화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하는 원단통로 간극조절장치(70)가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형광등 포장박스용 골판지원단 자동 밴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제1 밴딩롤러(50)는 밴딩 가이드면(51)의 내측 선단에 밴딩 컨베이어(30)의 내면과 밀착상태로 마찰회전하는 롤링축(52)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형광등 포장박스용 골판지원단 자동 밴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센터판넬(20)은 베이스프레임(10)의 상부 양측에 부착된 한 쌍의 사이드판넬(11)의 사이 중앙에 배치되되, 상기 사이드판넬(11) 간에 연결된 다수의 지지봉(12)이 상기 센터판넬(20)의 하부 양 측면에 부착된 연결브라켓(13)을 관통하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형광등 포장박스용 골판지원단 자동 밴딩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원단통로 간극조절장치(70)는 상기 벨트장착대(61)의 측면에 부착된 리프팅판(71)에 높낮이 조절봉(72)의 하측이 나사결합되고, 상기 높낮이 조절봉(72)은 고정설치된 지지브라켓(73)의 상하 지지돌부(73a)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높낮이 조절봉(72)의 상부에 상하로 선회가능하게 결합된 리프팅 레버(74)는 지지브라켓(73)의 상단에 안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형광등 포장박스용 골판지원단 자동 밴딩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높낮이 조절봉(72)은 중앙부분에 스프링돌기(75)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돌기(75)와 상측 지지돌부(73a)의 사이에는 스프링(76)이 게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형광등 포장박스용 골판지원단 자동 밴딩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밴딩바(40)는 내측으로 결합핀(42)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핀(42)은 밴딩바 지지대(41)의 하측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 틸팅홈(43)을 관통하여 결합되며, 상기 밴딩바 지지대(41)는 벨트장착대(61)에 부착된 고정축(44)에 상하로 선회가능하게 끼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형광등 포장박스용 골판지원단 자동 밴딩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밴딩 컨베이어(30)의 전방에는 급지 컨베이어(80)가 연속하여 설치되는 한편;
    상기 급지 컨베이어(80)의 양측에 위치한 컨베이어축(83)의 사이에는 블로워(92)와 연결된 흡입챔버(93)가 급지 컨베이어(80)의 내면을 받침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흡입챔버(93)의 상부면에 다수의 흡입홀(94)이 형성되며, 상기 흡입홀(94)은 급지 컨베이어(80)에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된 다수의 통기홀(95)과 연통하면서 상기 흡입챔버(93) 내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급지 컨베이어(80) 상에서 수평이동하는 골판지원단(1)을 흡착하여 상기 골판지원단(1)의 부상 및 위치 틀어짐을 방지하는 원단 유동방지장치(90)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형광등 포장박스용 골판지원단 자동 밴딩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밴딩 컨베이어(30)의 전방에는 급지 컨베이어(80)가 연속하여 설치되되 상기 급지 컨베이어(80)의 전방 양측 상부에는 원단받침대(81)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급지 컨베이어(80)의 양측에 배치된 사이드판넬(11)의 내면에는 각각 한 쌍의 이동가이드블럭(101)이 이격 설치되고, 상기 이동가이드블럭(101)을 관통하여 폭조절봉(102)이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폭조절봉(102)의 전방에는 상부에 받침롤(103)이 설치된 보조 원단받침대(104)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폭조절봉(102)의 외측에는 록킹레버(105a)가 설치된 한 쌍의 록킹슬라이더(105)가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끼움 설치된 원단 보조받침장치(100)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형광등 포장박스용 골판지원단 자동 밴딩장치.
KR1020100081453A 2010-08-23 2010-08-23 Led형광등 포장박스용 골판지원단 자동 밴딩장치 KR101049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453A KR101049712B1 (ko) 2010-08-23 2010-08-23 Led형광등 포장박스용 골판지원단 자동 밴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453A KR101049712B1 (ko) 2010-08-23 2010-08-23 Led형광등 포장박스용 골판지원단 자동 밴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9712B1 true KR101049712B1 (ko) 2011-07-15

Family

ID=44923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1453A KR101049712B1 (ko) 2010-08-23 2010-08-23 Led형광등 포장박스용 골판지원단 자동 밴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971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623B1 (ko) * 2018-10-15 2020-04-10 주식회사 청용산기 괘선가이드 지지장치
CN112318935A (zh) * 2020-11-03 2021-02-05 金泰特 一种瓦楞纸包装盒成型制作加工系统
WO2021201312A1 (ko) * 2020-03-30 2021-10-07 (주)청용산기 괘선가이드 지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304U (ko) * 1994-08-01 1996-03-13 서형철 포장박스 절첩장치
JP2004338126A (ja) 2003-05-13 2004-12-02 Ishikawa Seisakusho Ltd シート状ワークのダイカッタユニット及びフォールディングユニット
KR20090053757A (ko) * 2009-03-20 2009-05-27 중앙산업(주) 크라프트지 보양덮개와 이의 제조방법
KR20100043647A (ko) * 2008-10-20 2010-04-29 장일완 골판지 합지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304U (ko) * 1994-08-01 1996-03-13 서형철 포장박스 절첩장치
JP2004338126A (ja) 2003-05-13 2004-12-02 Ishikawa Seisakusho Ltd シート状ワークのダイカッタユニット及びフォールディングユニット
KR20100043647A (ko) * 2008-10-20 2010-04-29 장일완 골판지 합지장치 및 그 방법
KR20090053757A (ko) * 2009-03-20 2009-05-27 중앙산업(주) 크라프트지 보양덮개와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623B1 (ko) * 2018-10-15 2020-04-10 주식회사 청용산기 괘선가이드 지지장치
WO2021201312A1 (ko) * 2020-03-30 2021-10-07 (주)청용산기 괘선가이드 지지장치
CN112318935A (zh) * 2020-11-03 2021-02-05 金泰特 一种瓦楞纸包装盒成型制作加工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4429B2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sheet
KR101049712B1 (ko) Led형광등 포장박스용 골판지원단 자동 밴딩장치
CN109625955A (zh) 一种板材移送翻转机构
US7357168B2 (en) Conveyance device in an embossing device
CN108340669B (zh) 一种新型斜压平高速烫金模切机
CA27094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verlapping sheets in a sheet feeder and providing the overlapped sheets to a printing press
KR101428379B1 (ko) 상부 개구형 박스의 제조장치
CN219095899U (zh) 一种板材覆膜装置
EP1481777A3 (en) Roll exit assembly for cutting off machine
CN215243710U (zh) 环保纸箱绿色印刷用印刷辊安装调节机构
CN210824574U (zh) 一种清废机的皮带位置调整装置
CN204382774U (zh) 一种纸箱印刷机辊压调整机构
CN210914525U (zh) 一种纸制品生产线自动翻包机
CN211518666U (zh) 一种瓦楞纸箱生产用纸板压痕机
CN102673184B (zh) 宽幅打印机走纸工作平台
CN208516338U (zh) 一种倾角可调的可移动带式输送机
KR200401037Y1 (ko) 스프링 압력 조절 장치를 가진 적재물 중량에 대응하는승강식 적재 장치
CN218928749U (zh) 一种耐压型瓦楞纸箱成型装置
CN220471513U (zh) 一种用于探伤装置的光源设备
CN114347636B (zh) 一种金属吊顶板烫印装置
CN114873322B (zh) 一种自动辅助翻纸装置
CN116118341B (zh) 一种用于包装盒的印刷装置
CN220033475U (zh) 一种轮转印刷机上纸架装置
KR100403179B1 (ko) 라미네이터용 히팅롤러의 간극 조절장치
CN215176750U (zh) 一种用于印刷设备的干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