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9511B1 - 진공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진공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9511B1
KR101049511B1 KR1020100074206A KR20100074206A KR101049511B1 KR 101049511 B1 KR101049511 B1 KR 101049511B1 KR 1020100074206 A KR1020100074206 A KR 1020100074206A KR 20100074206 A KR20100074206 A KR 20100074206A KR 101049511 B1 KR101049511 B1 KR 101049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vacuum
rotating
frame
se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4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범
Original Assignee
(주)진공플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공플랜트 filed Critical (주)진공플랜트
Priority to KR1020100074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95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9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9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6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using perforated drums in which the article or material is plac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2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by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evaporation or sublimation of moisture under reduced pressure, e.g. in a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진공세척장치는 내부에 세척액이 저장되는 챔버; 상기 챔버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틀; 내부에 세척 대상물이 수용되며, 상기 회전틀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회전틀과 같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세척 대상물에 대한 세척이 진행될 수 있는 다공의 드럼; 상기 챔버의 바닥부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회전틀의 하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수개의 지지롤러; 상기 챔버의 벽체에 상기 세척액의 수위 보다 높은 위치에 밀봉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일측은 상기 챔버의 내부로 진입하여 상기 회전틀에 치합되고, 타측은 상기 챔버의 외측에 돌출되는 진공 회전씨일 유닛; 그리고 상기 진공 회전씨일 유닛의 타측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회전틀을 회전시키는 모터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 조립체의 회전력이 상기 진공 회전씨일 유닛을 통하여 상기 회전틀에 직접 전달됨으로써 상기 지지롤러에 안착된 상기 회전틀을 회전시킨다.

Description

진공세척장치{APPARATUS FOR VACUUM CLEANING}
본 발명은 진공세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요철부분 심하고 밀착된 상태의 부품들을 진공상태에서 세척하기 위한 진공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공공정 후에 세척공정을 통하여 표면의 이물질이 제거되며, 표면에 잔류하는 수분까지 완전건조한다.
이때, 상기 세척공정은 진공세척 장치에 의하여 진행되는 바, 이러한 진공세척 장치는 다양한 예가 제안된다.
그 일예가 본 발명자가 2005년 3월 9일 "진공세척 건조장치의 세척 건조실에 구비된 교반수단"이라는 명칭으로 출원한 실용신안 제 20-2005-6338호에 제안된다.
상기 출원에 따른 진공세척장치는 세척 건조실(100)에 승하강 프레임틀(210)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이 승하강 프레임(210)에 부품(103)이 담겨진 바구니(102)가 적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승하강 프레임틀(210)이 승하강 수단(220)에 의하여 수직방향을 따라 승하강하는 과정에서 부품(103)들이 세척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진공세척장치는 부품들이 수직방향으로 승하강하는 과정에서 세척되므로, 관체 형상을 갖는 부품이 바구니의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눕혀져 있는 경우 세척수가 관체 형상의 부품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접촉되므로 부품의 외주면은 세척될 수 있어도, 부품의 내주면에는 세척수가 원활하게 접촉될 수 없어서 효율적인 세척이 이루어지기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부품이 적치되는 바구니가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되는 구조가 아니라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구조의 진공세척장치가 고려될 수도 있다.
이러한 진공세척장치는 통체 형상의 다공의 드럼이 수평방향으로 눕혀지고, 다공의 드럼이 그 길이방향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자전함으로써 내부에 수용된 부품들이 세척될 수 있다.
즉, 상기 다공의 드럼의 내부에 수용되어 다공의 드럼과 같이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부품은 세척수가 상하방향 뿐만 아니라 측방향에서도 접촉하게 되므로 관체 내부에도 세척수가 유입될 수 있어서 세척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다공의 드럼은 챔버 바닥에 배치된 다수개의 지지롤러의 상부에 안착되어 회전된다.
즉, 다공의 드럼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지지롤러는 회전축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며, 이 회전축은 챔버의 벽체를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된다. 그리고, 챔버의 외부로 돌출된 회전축은 풀리 등에 의하여 모터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가 구동하는 경우 회전력이 풀리 및 회전축을 통하여 상기 다수개의 지지롤러에 전달됨으로써 다공의 드럼이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축은 챔버의 벽체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바, 회전축과 벽체의 관통홀 사이에는 틈새가 발생됨으로써 챔버 내부의 진공상태가 유지되기 어렵다.
따라서, 틈새가 밀봉됨으로써 챔버 내부가 진공으로 유지될 수 있고, 동시에 회전력이 회전축을 통하여 챔버의 내부로 전달될 필요가 있는 바, 벽체의 관통홀에는 진공 회전씨일 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진공 회전씨일 유닛은 회전축과 관통홀의 틈새를 탄성력 있는 씨일부재(Seal Member)로 밀봉시킴으로써 챔버 내부의 진공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는 동시에 회전력도 공급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진공 세척장치는 다수개의 지지롤러가 챔버의 내부 바닥에 배치되어 다공의 드럼을 지지하는 바, 다수개의 지지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축도 챔버의 바닥에 배치되고, 이 회전축과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진공 회전씨일 유닛도 챔버 벽체의 하부에 구비된다.
따라서, 이 구성요소들이 챔버의 하부 공간을 상당 부분 차지하게 되므로 진공세척장치의 보수시 혹은 기타 필요시 작업자가 챔버의 내부로 진입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지지롤러를 연결하는 축부재와 외부의 모터를 연결시키는 진공 회전씨일 유닛이 챔버의 하부에 배치되므로, 세척액이 챔버 내부에 공급되는 경우, 진공 회전씨일 유닛이 세척액에 잠기게 되는 바, 진공 회전씨일 유닛의 장시간 사용으로 인하여 씨일부재가 마모되는 경우, 회전축과 관통홀의 틈새에 대한 밀봉상태가 불량해지면 챔버 내부의 세척액이 이 틈새를 통하여 챔버의 외부로 누수됨으로써 챔버의 외부를 오염시키거나 세척액의 양이 줄어들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챔버의 하부에 회전축과 진공 회전씨일 유닛이 배치됨으로써, 일정한 공간을 차지하는 바, 이 공간의 용적만큼 세척액이 덜 공급되므로 충분한 량의 세척액이 공급되기 어려워 효율적인 세척공정이 진행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력이 챔버 하부의 지지롤러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다공의 드럼에 전달됨으로써 지지롤러의 구동부품들이 차지하던 챔버의 하부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어서 챔버의 보수가 편리하고, 이 공간만큼 더 많은 양의 세척액이 저장되어 세척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진공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회전력이 챔버하부의 지지롤러를 경유하지 않음으로써, 진공 회전씨일 유닛이 세척액의 수위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어서 세척액이 진공 회전씨일 유닛을 통하여 외부로 누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진공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내부에 세척액이 저장되는 챔버; 상기 챔버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틀; 내부에 세척 대상물이 수용되며, 상기 회전틀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회전틀과 같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세척 대상물에 대한 세척이 진행될 수 있는 다공의 드럼; 상기 챔버의 바닥부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회전틀의 하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수개의 지지롤러; 상기 챔버의 벽체에 상기 세척액의 수위 보다 높은 위치에 밀봉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일측은 상기 챔버의 내부로 진입하여 상기 회전틀에 치합되고, 타측은 상기 챔버의 외측에 돌출되는 진공 회전씨일 유닛; 그리고 상기 진공 회전씨일 유닛의 타측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회전틀을 회전시키는 모터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 조립체의 회전력이 상기 진공 회전씨일 유닛을 통하여 상기 회전틀에 직접 전달됨으로써 상기 지지롤러에 안착된 상기 회전틀을 회전시키는 진공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진공세척장치는 모터 조립체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이 지지롤러를 통하지 않고 직접 회전틀의 상부에 전달되어 다공의 드럼을 회전시킴으로써, 지지롤러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원이 생략될 수 있음으로, 이 구동원이 차지하던 챔버의 하부 공간이 상대적으로 넓게 확보됨으로써 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다공의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이 챔버의 상부로부터 전달됨으로써, 진공 회전씨일 유닛도 챔버의 벽체 상부, 구체적으로는 세척액 수위의 상부에 구비됨으로써 세척액이 도달되는 것이 방지되어 진공 회전씨일 유닛의 밀봉상태가 불량해지는 경우에도 세척액의 누수가 방지되어 주위 환경이 청결한 상태에서 세척작업이 진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챔버의 하부에 배치되었던 회전축과 진공 회전씨일 유닛이 챔버의 상부에 배치됨으로써, 챔버 하부 공간이 더 넓어지므로 보다 많은 양의 세척액이 저장될 수 있어서 세척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세척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세척장치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진공 세척장치(1)는 내부에 세척액이 저장되는 챔버(3)와;
상기 챔버(3)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틀(7)과;
내부에 세척 대상물이 수용되며, 상기 회전틀(7)의 내부에/로부터 인입/인출되며, 상기 회전틀(7)과 같이 회전함으로써 세척이 진행되는 다공의 드럼(5)과;
상기 챔버(3)의 바닥부에 공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회전틀(7)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수개의 지지롤러(9a,9b,9c,9d)와;
상기 챔버(3)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다공의 드럼(5)에 초음파를 조사함으로써 상기 세척 대상물들을 세척시키는 초음파 유닛(10)과;
상기 챔버(3)의 벽체(34)에 밀봉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일측은 상기 챔버(3)의 내부로 진입하여 상기 회전틀(7)에 치합되고, 타측은 상기 챔버(3)의 외측에 돌출되는 진공 회전씨일 유닛(15); 그리고
상기 챔버(3)에 장착되며, 상기 진공 회전씨일 유닛(15)의 타측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회전틀(7)을 회전시키는 모터 조립체(17)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진공 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챔버(3)는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어 세척액이 공급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챔버(3)는 일측에 도어(19)가 개폐가능하게 구비된다.
따라서, 도어(19)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다공의 드럼(5)이 챔버(3)의 내부로 이송될 수 있고, 다공의 드럼(5)이 챔버(3)의 내부로 이송된 후에는 상기 도어(19)가 폐쇄됨으로써 챔버(3)를 밀폐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어(19)가 챔버(3)를 밀폐시킨 상태에서 진공펌프(도시안됨)의 구동에 의하여 챔버(3)의 내부가 진공상태가 됨으로써 세척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다공의 드럼(5)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다각형상의 통체이다. 즉, 상기 다공의 드럼은 삼각형상, 사각형상, 오각형상, 혹은 육각형상 등 다양한 단면형상을 갖는다.
또한, 이러한 다공의 드럼(5)은 다수의 통공들이 형성됨으로써 이 통공들을 통하여 세척액이 다공의 드럼(5)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공의 드럼(5)의 내부에 세척 대상물들이 수용되고, 세척액이 상기 통공들을 통하여 다공의 드럼(5)의 내부로 유입되어 세척 대상물들에 접촉됨으로써 세척 대상물들에 대한 세척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지지롤러(9a,9b,9c,9d)는 챔버(3)의 바닥부에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4개로 구성된다.
이때, 다수개의 지지롤러(9a,9b,9c,9d)는 2개가 1셋트를 이룬다. 즉, 제 1 및 제 2지지롤러(9a,9b)가 한 셋트를 이루고, 제 3 및 제 4지지롤러(9c,9d)가 다른 셋트를 이룬다.
따라서, 제 1 및 제 2지지롤러(9a,9b)가 후술하는 제 1측판(23)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제 3 및 제 4지지롤러(9c,9d)가 후술하는 제 2측판(25)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상기 회전틀(7)은 다수개의 지지롤러(9a,9b,9c,9d)에 회전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수개의 지지롤러(9a,9b,9c,9d)는 서로 독립적인 구조를 가지므로 각 지지롤러(9a,9b,9c,9d)를 서로 연결하거나 모터(17)와 연결하기 위한 축부재 등이 불필요하다.
결과적으로, 상기 챔버(3)의 바닥부에는 이러한 축부재 등이 배치되지 않고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부품들만이 배치됨으로써 보다 많은 공간이 확보되어 보수작업이 편리하다.
한편, 상기 회전틀(7)은 지지롤러(9a,9b,9c,9d)의 상부에 안착되며, 서로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 1 및 제 2측판(23,25)과; 상기 1 및 제 2측판(25)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회전틀(7)이 회전할 때, 상기 다공의 드럼(5)의 외부면을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다수개의 연결바(27)와; 상기 제 1 및 제 2측판(23,25) 사이의 하부구역에 배치되어 다공의 드럼(5)을 챔버(3)의 내부 혹은 외부로 이송시키는 이송롤러(29)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회전틀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측판(23,25)은 바람직하게는 원형이며, 상기 지지롤러(9a,9b,9c,9d)에 각각 안착됨으로써, 상기 지지롤러(9a,9b,9c,9d)가 공회전하는 경우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측판(23)은 챔버(3)의 도어(19)측에 배치되며, 출입홀(31)이 형성됨으로써 다공의 드럼(5)이 이 출입홀(31)을 통하여 회전틀(7)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측판(25)은 제 1측판(23)과 일정 거리 떨어져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다수개의 연결바(27)에 의하여 제 1측판(23)에 연결된다.
이러한 제 2측판(25)은 바람직하게는 원형이며, 그 외측에는 피동판(11)이 배치된다.
이 피동판(11)의 원주면에는 기어(33)가 형성되며, 이 기어(33)는 상기 진공 회전씨일 유닛(15)의 구동기어(13)에 치합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 조립체(17)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에 의하여 상기 진공 회전씨일 유닛(15)의 구동기어(13)가 회전하면, 이에 치합된 피동판(11)도 회전하게 된다.
결국, 상기 모터 조립체(17)의 회전력이 상기 진공 회전씨일 유닛(15)을 통하여 상기 회전틀(7)에 직접 전달됨으로써 상기 회전틀(7)이 길이방향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다수개의 연결바(27)는 일측(27a)은 상기 제 1측판(23)의 내측면에 연결되고, 타측(27b)은 상기 제 2측판(25)의 내측면에 연결된다.
그리고, 다수개의 연결바(27)는 제 1 및 제 2측판(23,25)의 테두리부에 연결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각도를 이루며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다수개의 연결바(27)들은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이루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및 제 2측판(23,25)의 테두리부에서 다수개의 연결바(27)들이 이루는 가상 원의 내직경은 다공의 드럼(5)의 외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연결바(27)와 이웃한 연결바(27)와의 거리는 다공의 드럼(5)의 외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다공의 드럼(5)이 회전틀(7)의 내부로 인입하고, 회전틀(7)이 회전하게 되면, 다수개의 연결바(27)가 다공의 드럼(5)의 외부면에 접촉하여 원주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다공의 드럼(5)도 회전틀(7)과 같이 회전될 수 있다.
결국, 챔버(3)의 내부에 세척액이 저장된 상태에서, 회전틀(7)이 회전함으로써 다공의 드럼(5)의 내부에 수용된 세척 대상물에 대한 세척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진공 회전씨일 유닛(15)은 챔버(3)의 벽체(34)에 구비되며, 챔버(3) 내부의 진공상태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챔버(3)의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챔버(3)의 내부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진공 회전씨일 유닛(15)은 벽체(34)에 형성된 관통홀(h)에 장착되어 챔버(3)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는 씨일유닛 본체(38)와, 상기 씨일유닛 본체(38)로부터 돌출되는 구동축(40)과, 상기 구동축(40)의 일측(벽체의 외부측)에 구비되어 모터 조립체(17)의 풀리(37)가 연결되는 스프로켓(35)과, 상기 구동축(40)의 타측(벽체의 내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피동판(11)의 상부에 형성된 기어(33)에 치합되는 구동기어(13)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모터(17)의 풀리(37)를 통하여 스프로켓(35)에 회전력이 전달되는 경우, 상기 씨일유닛 본체(15)가 관통홀(h)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회전하므로 챔버의 내부는 진공상태가 유지되는 동시에 상기 구동기어(13)도 회전함으로써 피동판(11)을 회전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모터 조립체(17)의 회전력이 상기 진공 회전씨일 유닛(15)을 통하여 상기 회전틀(7)에 직접 전달됨으로써 다수개의 지지롤러(9a,9b,9c,9d)에 자유회전 상태로 안착된 상기 회전틀(7)이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씨일유닛 본체(38)는 챔버(3)의 벽체(34) 상부 위치,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축(40)에 연결된 구동기어(13)가 피동판(11)의 상부에 형성된 기어(33)에 치합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씨일유닛 본체(38)는 세척액의 수위 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세척액이 챔버(3)의 내부에 저장되어 세척공정이 진행되는 경우에도, 세척액이 씨일유닛 본체(38)와 관통홀(h)의 사이로 유입되어 챔버(3)의 외부로 누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터 조립체(17)는 상기 챔버(3)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축(40)의 일측에 연결됨으로써 회전력을 전달한다. 이러한 모터 조립체(17)는 챔버(3)의 상부에 구비된 베이스(B)상에 고정되며, 일측에는 회전 스프로켓(39)이 구비된다.
이 회전 스프로켓(39)은 풀리(37)에 의하여 상기 씨일유닛 본체(38)의 스프로켓(35)과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 조립체(17)가 구동하는 경우, 상기 모터(17)의 회전력이 풀리(37)를 통하여 씨일유닛 본체(38)의 구동축(40)에 전달되고, 구동축(4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구동기어(13)가 피동판(11)을 회전시킴으로써, 회전틀(7)을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회전틀(7)의 내부에 적치된 다공의 드럼도 같이 회전함으로써, 다공의 드럼 내부에 수용된 세척 대상물들을 회전시켜서 세척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세척장치의 작동과정이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세척장치(1)에 의하여 부품을 세척하는 경우, 먼저 다공의 드럼(5)의 내부에 세척 대상물이 수용된다.
그리고, 세척 대상물이 다공의 드럼(5)의 내부에 수용된 후, 챔버(3)의 도어(19)가 개방되고, 다공의 드럼(5)이 이송롤러(29)를 따라 전진하여 챔버(3)의 회전틀(7) 내부로 이송된다.
상기 다공의 드럼(5)이 이송롤러(29)를 따라 회전틀(7)의 내부에 도달하면, 도어(19)가 폐쇄되고 챔버(3)의 내부에 세척수가 공급된다.
세척수가 챔버(3)의 내부에 공급되어 일정 수위에 도달하면, 작업자는 모터 조립체(17)를 구동시킨다.
상기 모터 조립체(17)가 구동하면, 회전력이 회전 스프로켓(39) 및 풀리(37)를 통하여 진공 회전씨일 유닛(15)의 스프로켓(35)에 전달된다.
그리고, 스프로켓(35)에 연결된 구동축(40)이 회전하게 되고, 이 구동축(40)이 회전함으로써 구동기어(13)가 회전되고, 상기 구동기어(13)가 직접 피동판(11)을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회전틀(7)은 다수개의 지지롤러(9a,9b,9c,9d)에 의하여 공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피동판(11)이 회전하는 경우, 회전틀(7)이 회전하게 되고, 회전틀(7)의 내부에 위치한 다공의 드럼(5)도 같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다공의 드럼(5)은 세척액중에 위치된 상태이므로, 상기 다공의 드럼(5)이 회전함에 따라 다공의 드럼(5) 내부에 수용된 세척 대상물이 세척제에 의하여 세척될 수 있다.
그리고, 다공의 드럼(5)의 회전시 세척수들이 상하 방향에서 대상물에 접촉될 뿐만 아니라 측방에서도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관체 형상의 대상물의 내부에도 세척수가 공급됨으로써 효율적으로 세척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진공 회전씨일 유닛(15)이 세척액의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므로, 세척공정 중에 세척액이 진공 회전씨일 유닛에 접촉하여 챔버의 외부로 누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진공세척장치를 보수하는 경우, 상기 챔버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지지롤러만 배치되어서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의 확보가 가능하므로, 작업자는 도어 등을 통하여 챔버의 내부로 진입한 후, 이 넓은 공간에서 원활한 보수가 가능하다.
1: 진공 세척장치 3: 챔버
5: 다공의 드럼 7:회전틀
9a,9b,9c,9d; 지지롤러 15: 진공 회전씨일 유닛

Claims (3)

  1. 내부에 세척액이 저장되는 챔버;
    상기 챔버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틀;
    내부에 세척 대상물이 수용되며, 상기 회전틀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회전틀과 같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세척 대상물에 대한 세척이 진행될 수 있는 다공의 드럼;
    상기 챔버의 바닥부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회전틀의 하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수개의 지지롤러;
    상기 챔버의 벽체에 상기 세척액의 수위 보다 높은 위치에 밀봉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일측은 상기 챔버의 내부로 진입하여 상기 회전틀에 치합되고, 타측은 상기 챔버의 외측에 돌출되는 진공 회전씨일 유닛; 그리고
    상기 진공 회전씨일 유닛의 타측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회전틀을 회전시키는 모터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 조립체의 회전력이 상기 진공 회전씨일 유닛을 통하여 상기 회전틀에 직접 전달됨으로써 상기 지지롤러에 안착된 상기 회전틀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세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틀은 서로 일정 거리 떨어져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지지롤러의 상부에 안착되는 제 1 및 제 2측판과, 상기 제 2측판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진공 회전씨일 유닛과 치합되는 피동판과, 상기 1 및 제 2측판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다공의 드럼의 외부면을 가압하는 다수개의 연결바와, 상기 제 1 및 제 2측판 사이의 하부구역에 배치되어 상기 다공의 드럼을 상기 챔버의 내부 혹은 외부로 이송시키는 이송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세척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회전씨일 유닛은 상기 챔버의 벽체에 형성된 관통홀에 장착되어 상기 챔버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는 씨일유닛 본체와, 상기 씨일유닛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일측(벽체의 외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모터 조립체의 풀리가 연결되는 스프로켓과, 상기 구동축의 타측(벽체의 내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피동판의 상부에 형성된 기어에 치합되는 구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세척장치.






KR1020100074206A 2010-07-30 2010-07-30 진공세척장치 KR101049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206A KR101049511B1 (ko) 2010-07-30 2010-07-30 진공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206A KR101049511B1 (ko) 2010-07-30 2010-07-30 진공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9511B1 true KR101049511B1 (ko) 2011-07-14

Family

ID=44923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4206A KR101049511B1 (ko) 2010-07-30 2010-07-30 진공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95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54977A (zh) * 2024-01-29 2024-03-08 陕西天成航空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钛合金铸锭处理的清洗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888Y1 (ko) 2003-07-22 2003-11-01 김상범 진공세척 건조장치
KR200385553Y1 (ko) 2005-03-09 2005-05-31 김상범 진공세척 건조장치의 세척 건조실에 구비된 교반수단
KR100656015B1 (ko) 2005-09-07 2006-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마찰 회전식 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888Y1 (ko) 2003-07-22 2003-11-01 김상범 진공세척 건조장치
KR200385553Y1 (ko) 2005-03-09 2005-05-31 김상범 진공세척 건조장치의 세척 건조실에 구비된 교반수단
KR100656015B1 (ko) 2005-09-07 2006-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마찰 회전식 세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54977A (zh) * 2024-01-29 2024-03-08 陕西天成航空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钛合金铸锭处理的清洗装置
CN117654977B (zh) * 2024-01-29 2024-04-16 陕西天成航空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钛合金铸锭处理的清洗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70479A (zh) 一种节约用水的高效种子清洗装置
EP3578705B1 (en) Drum washing machine
US10000874B2 (en) Tubless washing machine
KR20160025770A (ko) 표면처리부품의 탈루장치
CN207681090U (zh) 一种汽车零部件清洗设备
JP2007130559A (ja) ロールの回転式超音波洗浄装置
KR101049511B1 (ko) 진공세척장치
CN206015329U (zh) 一种避免二次污染的环保洗衣机
US11078614B2 (en) Drum washing machine
CN110952243A (zh) 一种废旧纺织品漂白回收再利用设备
CN212069719U (zh) 一种塑胶制品加工用清洗装置
CN112317463B (zh) 一种用于板材清洗的超声波装置及清洗方法
CN214767288U (zh) 一种塑料件自动去油装置
CN210497420U (zh) 一种石英晶片清洗装置
CN205308850U (zh) 胶塞/铝盖清洗机
CN113399400A (zh) 一种有机化学实验试管自动清洗烘干消毒装置
CN208755119U (zh) 滚筒式清洗机
CN208906184U (zh) 一种药材洗药脱水机
CN216501158U (zh) 一种超声波清洗装置
CN214263128U (zh) 一种旋转式喷水的染料杯清洗机
CN219664579U (zh) 一种电子零部件制造用清洗设备
CN220716982U (zh) 一种肛瘘修复材料的清洗装置
CN217284691U (zh) 一种石榴饮品加工前端自动清洗装置
CN213931720U (zh) 一种受热均匀的方形真空干燥机
CN219052378U (zh) 清洗设备和清洗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