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9479B1 - 금형 상의 비연속 복합패턴의 가공방법 및 이에 의하여 형성되는 비연속 복합패턴 - Google Patents

금형 상의 비연속 복합패턴의 가공방법 및 이에 의하여 형성되는 비연속 복합패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9479B1
KR101049479B1 KR1020100118692A KR20100118692A KR101049479B1 KR 101049479 B1 KR101049479 B1 KR 101049479B1 KR 1020100118692 A KR1020100118692 A KR 1020100118692A KR 20100118692 A KR20100118692 A KR 20100118692A KR 101049479 B1 KR101049479 B1 KR 101049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indentation
pattern
heat
various patter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8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은채
권동일
제태진
최두선
황경현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18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94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9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9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5Manufacturing aspects; Material asp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663Production of light gui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40Investigating hardness or rebound hardness
    • G01N3/42Investigating hardness or rebound hardness by performing impressions under a steady load by indentors, e.g. sphere, pyrami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4Light-guides, e.g. fibre-optic bundles, louvered or jalousie light-gui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형 상에 비연속 복합패턴을 가공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하여 가공되는 비연속 복합패턴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평면 금형을 열처리하는 단계; 상기 열처리된 평면 금형을 냉각하는 단계; 및 상기 냉각된 평면 금형에 압입가공을 통하여 패턴화된 압흔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속 복합패턴의 가공방법 및 이에 의한 비연속 복합패턴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롤 금형에 대하여, 롤 금형을 레이저 국부가열장치로 열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열처리된 롤 금형에 압입가공을 통하여 패턴화된 압흔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속 복합패턴의 가공방법 및 이에 의한 비연속 복합패턴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입가공방법이라는 방법을 새로이 금형 패턴형성에 적용하여 용이한 방법으로 비연속 복합패턴을 형성할 수 있으면서도 압입가공기술에 의한 가공에서 발생할 수 있는 파일업(pile-up) 현상의 문제점을 해소하여 비연속 복합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금형 상의 비연속 복합패턴의 가공방법 및 이에 의하여 형성되는 비연속 복합패턴{Methods for machining non-continuous various patterns on molds and the high quality non-continuous various patterns thereby}
본 발명은 금형 상에 비연속 복합패턴을 가공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하여 형성되는 비연속 복합패턴에 관한 것이다.
LED BLU(Light Emitting Diode Backlight Unit)가 탑재된 LCD(Liquid Crystal Display) TV 제품은 2000년대 중반부터 LCD 업계의 기술과시용으로 출시되었으며, 2009년 Edge형 LED BLU를 사용한 슬림형 LCD TV가 출시되면서 생산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3D TV도 출시되면서 LED BLU 제품은 더욱 각광받고 있다. 기존의 BLU는 선광원의 일종인 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을 광원으로 사용하였으나, LED BLU는 점광원인 LED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LED의 광효율이 매년 증가하고 있지만, 업계의 지속적인 원가하락 압력에 의하여 같은 LED를 사용하여도 더 높은 휘도를 얻을 수 있는 광학부품에 대한 수요는 더욱 높아지고 있다.
광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대부분의 광학부품 표면에는 특정 형상의 패턴이 사용되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패턴은 프리즘 형태의 패턴이다. 이와 같은 프리즘 패턴은 정면 휘도를 높여주는 장점이 있으나, 측면에서 디스플레이를 보았을 때 휘도가 급격히 떨어지는 시야각 문제를 발생시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선광원인 CCFL에 적합화된 선형 패턴이기 때문에 점광원인 LED에 최적화되어 있지 않다는 단점도 있다.
점광원이 BLU에 사용될 경우에는 점광원이 있는 부위와 없는 부분의 휘도차가 극명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광균일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점광원 부분에 다른 부분에 비하여 패턴을 집중시키는 ‘비연속 복합패턴’의 가공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 기술들은 양산성을 고려하여 선형 또는 구형의 연속적인 패턴만 가공이 가능하여 ‘비연속 복합패턴’가공이 불가능하다.
한편, 광학부품은 일반적으로 사출성형의 방법으로 제조되며, 광학부품의 소재를 계량하는 단계, 이를 금형으로 사출하는 단계, 압축하는 단계, 및 광학부품을 금형에서 분리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따라서, 광학부품에 형성되는 패턴의 품질은 금형에 형성되어 있는 패턴의 품질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57723호는 도광판의 패턴 형성방법에 관한 발명으로 마이크로 렌즈 패턴을 포함하는 도광판용 코어금형의 제조방법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패턴 형성방법은 기판에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하고, 상부에 확산판을 도포하고, 그 위에 마이크로렌즈 형상이 패터닝된 마스크를 위치시키고, 이에 광을 조사한 후, 노광된 포토레지스트를 현상하고, 코팅 및 도금하는 단계를 통하여 마이크로렌즈 형상의 패턴을 포함하는 코어금형을 형성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마이크로렌즈 형상을 패터닝하는 공정이 너무 복잡하고, 균일한 마이크로렌즈 형상을 형성하는 것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0-0024962호는 미세패턴 형성용 금형 제작방법을 기재하고 있으며, 마스터 금형을 제조하는 단계; 마스터 금형을 도금한 후 상기 도금을 분리하여 도금층을 제조하는 단계; 및 도금층과 지지플레이트를 접합시키는 단계를 통하여 금형을 제작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는 선형 패턴만이 형성되어 점광원인 LED 등에는 최적화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으며, 적용된 디스플레이의 측면 시야각에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점광원에 최적화된 비연속 복합패턴을 가진 광학부품 제조를 위한 금형의 가공방법을 연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광학부품 제조를 위한 금형 상에 비연속 복합패턴을 가공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하여 형성되는 비연속 복합패턴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평면 금형을 열처리하는 단계; 상기 열처리된 평면 금형을 냉각하는 단계; 및 상기 냉각된 평면 금형에 압입가공을 통하여 패턴화된 압흔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속 복합패턴의 가공방법 및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형성되는 비연속 복합패턴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롤 금형을 레이저 국부가열장치로 열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열처리된 롤 금형에 압입가공을 통하여 패턴화된 압흔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속 복합패턴의 가공방법 및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형성되는 비연속 복합패턴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입가공방법이라는 방법을 새로이 금형 패턴형성에 적용하여 용이한 방법으로 비연속 복합패턴을 형성할 수 있으면서도 압입가공에서 발생할 수 있는 파일업(pile-up) 현상의 문제점이 해소된 비연속 복합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압입가공방법시 파일업(pile-up) 현상을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된 금형을 확대한 사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된 금형을 확대한 사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 상의 비연속 복합패턴의 가공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 금형 상의 비연속 복합패턴의 가공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압입가공 기술은 원래, 소재의 경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기술이다. 특정 형상의 압입자를 사용하여 소재에 하중을 인가하였다가 제거할 때 소재에 발생되는 압흔의 크기를 측정함으로써 경도를 측정하게 된다. 또한, 하중을 인가하고 제거할 때 하중 및 변위의 연속적인 변화를 측정하여 경도 이외에도 탄성계수 및 인장물성(항복강도, 인장강도 등)을 측정하기도 한다.
압입가공 기술을 통해 발생되는 압흔의 형상은 압입자 모양과 같이 때문에 압입자의 형태를 변화시키면 구, 사각피라미드, 삼각피라미드, 원기둥 등 다양한 형상의 복합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금형 상에 음각 형태로 압흔이 남기 때문에 이를 성형할 경우 마이크로렌즈 어레이 형태의 제품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압흔의 밀도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비연속적인 패턴 가공도 가능하다. 즉, 점광원이 BLU에 사용될 경우에는 점광원이 있는 부위와 없는 부분의 휘도차가 극명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광균일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점광원 부분에 다른 부분에 비해 패턴을 집중시켜야 하는데 압입가공 기술을 사용할 경우 이와 같은 ‘비연속 복합패턴’ 형성이 용이하게 가능하다.
그러나 압입가공을 할 때 압흔 주변에는 도 1과 같은 파일업(pile-up) 현상이 발생한다. 이 현상은 소재의 소성변형 시 압입자가 소재를 파고들면서 발생하는 소성변형으로 인해 소재가 압흔 주변에 쌓이는 현상이다. 금속 소재의 소성변형시 부피의 변화량은 0이 되므로 압흔형성으로 안하여 소실된 부피가 파일업에 의하여 수렴된다고 보면 된다. 이론적으로는 부피의 변화량이 0 이어야 하기 때문에 파일업된 소재의 부피가 압흔의 부피와 동일하여야 하며, 같은 크기의 압흔이 발생되었다면 소재에 관계없이 파일업된 소재의 부피도 같아야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완벽하게 비압축성인 소재는 없기 때문에 소재의 특성에 따라 파일업 현상이 발생하는 정도도 달라진다. 이와 같은 파일업 현상은 일반적으로 금형소재로 사용되는 구리, 니켈, 황동 등의 소재에서도 관찰되는 현상이다. 파일업 현상이 발생한 상태에서 광학부품을 성형하게 되면 파일업된 모양이 그대로 광학부품에 전사되게 되므로 정확한 패턴형상 제어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압입가공 기술은 비연속 복합패턴을 가공하기에 매우 적합한 기술이지만, 이를 통하여 형성되는 파일업 현상이 해결되지 않은 상태로는 이를 금형제작에 적용할 수 없다.
파일업 현상은 대상의 연성(ductility)이 좋을수록 적게 발생하며, 금속소재의 연성을 좋게 하는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이 ‘풀림(annealing)’처리이다. 풀림처리란 재료를 단조, 주조 및 기계 가공을 하면 조직이 불균일하며 거칠어지고 가공경화나 내부응력이 생기게 되는데,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변태점 이상의 적당한 온도로 가열하여 서서히 냉각시키는 작업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금형에 패턴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압입가공방법을 적용하되, 풀림처리를 이용하여 금형에 파일업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평면 금형을 열처리하는 단계(단계 1);
상기 열처리된 평면 금형을 냉각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냉각된 평면 금형에 압입가공을 통하여 패턴화된 압흔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속 복합패턴의 가공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단계 1은 평면 금형을 열처리하는 단계이다. 단계 1은 추후 금형을 압입가공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파일업 현상을 억제하기 위하여 금형을 열처리 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단계 1의 열처리는 금형 소재의 풀림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풀림온도란 상기 풀림처리가 수행되기 위한 온도로, 풀림처리가 되는 대상의 소재에 따라 그 온도가 상이하며, 예를 들어 구리의 경우 600 ℃이고, 황동의 경우 575 ℃이다. 이와 같이 풀림온도에서 열처리를 수행할 경우 소재 내부에 엉켜있던 전위(dislocation)들이 풀리면서 소재의 연성이 높아지고, 이를 통하여 파일업 현상이 억제된다.
본 발명의 단계 2는 열처리된 평면 금형을 냉각하는 단계이다. 단계 2는 열처리를 통하여 엉켜있던 전위들이 풀린 금형을 상온으로 냉각하는 단계로 이 때 냉각은 노냉(furnace cooling)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냉이란 열처리 이후, 열처리가 이루어진 가열로 내에서 서서히 냉각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와 같이 매우 느린 냉각방법을 이용하여 냉각과정에서 금형의 연성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냉각과정에서 노냉이 아닌, 예를 들어 유냉(oil quenching)과 같은 담금질(quenching)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단계 3은 상기 냉각된 평면 금형에 압입가공을 통하여 패턴화된 압흔을 형성하는 단계이며, 풀림처리가 수행된 금형에 압입가공이라는 가공기술을 이용하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일반적으로 금형에 압입가공 기술을 적용하여, 압입자로 압입가공을 할 경우 형성된 패턴 주변에 파일업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따라서, 이를 광학부품 제조를 위한 금형에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바로 적용할 수는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금형에 대하여 상기 단계 1 및 단계 2와 같은 풀림처리를 수행하여 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압입가공 기술을 적용하여도 파일업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압입가공 기술을 통하여 금형 표면에 패턴을 형성할 경우, 패턴의 밀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다양한 형태의 압흔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점광원이 BLU에 사용될 경우에는 점광원이 있는 부위와 없는 부분의 휘도차가 극명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광균일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점광원 부분에 다른 부분에 비해 패턴을 집중시킬 필요가 있고 압입가공 기술을 이용할 경우 이와 같은 패턴 밀도 조절을 쉽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패턴을 이루는 압흔을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어, 다양한 적용분야의 요구에 맞추어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하는 압입자의 형태에 따라 압흔의 형태가 구형 또는 피라미드형 등 다양한 형태의 음각된 3차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금형 상의 비연속 복합패턴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가공된 비연속 복합패턴은 패턴을 형성하는 압흔들 주변에 파일업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이를 이용하여 광학부품을 제조할 경우 매우 품질이 좋은 광학부품을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금형 상의 패턴 밀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적용분야의 요구에 따라 패턴이 형성된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롤 금형을 레이저 국부가열장치로 열처리하는 단계(단계 A); 및
상기 열처리된 롤 금형에 압입가공을 통하여 패턴화된 압흔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속 복합패턴의 가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을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단계 A는 롤 금형을 레이저 국부가열장치로 열처리하는 단계이다. 롤 금형의 경우 일반적으로 크기 문제로 인하여 가열로에서 열처리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롤 금형에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레이저 국부가열장치로 순간적으로 가열함으로써 상기한 풀림처리 효과를 얻는다. 따라서, 상기 레이저 국부가열장치에 의한 열처리 또한 금형 소재의 풀림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롤 금형에 대한 국부가열장치에 의한 열처리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즉, 레이저 국부가열장치가 롤 금형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열처리를 하고, 롤 금형이 일정 각도로 회전한 후 레이저 국부가열장치가 다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열처리하는 방법으로 수행된다. 이와 같은 풀림처리 효과를 통하여 롤 금형의 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추후 압입가공 과정에서 파일업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단계 B는 열처리된 롤 금형에 압입가공을 통하여 패턴화된 압흔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단계 B의 수행 과정을 도 5(b)에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단계 B는 상기 단계 3과 동일한 단계로, 열처리된 금형 상에 비연속 복합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계 B의 압입가공에서 사용하는 압입자의 종류 및 배치 등을 조절하여 구형 또는 피라미드형 등과 같이 다양한 음각된 3차원 형태로 압흔을 형성할 수 있고, 또한 패턴의 밀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방법으로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금형 상의 비연속 복합패턴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가공된 비연속 복합패턴은 패턴을 형성하는 압흔들 주변에 파일업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이를 이용하여 광학부품을 제조할 경우 매우 품질이 좋은 광학부품을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금형 상의 패턴 밀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적용분야의 요구에 따라 패턴이 형성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구형 압흔을 포함하는 금형의 제작 Ⅰ
금형으로서 순동 시편을 가열로 내에서 600 ℃의 온도로 2 시간동안 열처리하였다. 열처리 후 시편을 가열로 내에서 상온까지 냉각시켰다. 실시예 1의 열처리 및 냉각 조건은 하기 표 1에 정리하였다. 상온까지 냉각되어 풀림처리가 된 순동 시편을 (주)프론틱스사의 압입시험기인 AIS3000을 이용하여 압입가공방법으로 압흔을 형성하였다. 사용한 압입자는 직경 500 ㎛의 구형 압입자를 사용하였으며, 압입 깊이는 100 ㎛로 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구형 압흔을 포함하는 순동 금형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2>
구형 압흔을 포함하는 금형의 제작 Ⅱ
금형으로서 황동소재인 Muntz metal(구리함량 60 %, 아연함량 40 %)을 가열로 내에서 600 ℃의 온도로 2 시간동안 열처리하였다. 열처리 후 시편을 가열로 내에서 상온까지 냉각시켰다. 실시예 2의 열처리 및 냉각 조건은 하기 표 1에 정리하였다. 상온까지 냉각되어 풀림처리가 된 황동소재 시편을 (주)프론틱스사의 압입시험기인 AIS3000을 이용하여 압입가공방법으로 압흔을 형성하였다. 사용한 압입자는 직경 500 ㎛의 구형 압입자를 사용하였으며, 압입 깊이는 100 ㎛로 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구형 압흔을 포함하는 황동소재 금형을 제작하였다.
열처리 및 냉각 조건
평면 금형 소재 순동 Muntz metal
열처리 온도(℃) 600 575
열처리 시간 (h) 2 2.5
냉각방법 노냉 노냉
<비교예 1>
구형 압흔을 포함하는 금형의 제작 Ⅲ
금형으로서 순동 시편을 (주)프론틱스사의 압입시험기인 AIS3000을 이용하여 압입가공방법으로 압흔을 형성하였다. 사용한 압입자는 직경 500 ㎛의 구형 압입자를 사용하였으며, 압입 깊이는 100 ㎛로 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구형 압흔을 포함하는 순동 금형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2>
구형 압흔을 포함하는 금형의 제작 Ⅳ
금형으로서 황동소재인 Muntz metal(구리함량 60 %, 아연함량 40 %)을 (주)프론틱스사의 압입시험기인 AIS3000을 이용하여 압입가공방법으로 압흔을 형성하였다. 사용한 압입자는 직경 500 ㎛의 구형 압입자를 사용하였으며, 압입 깊이는 100 ㎛로 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구형 압흔을 포함하는 황동소재 금형을 제작하였다.
<실험예>
금형 표면의 확인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에 의하여 제작된 금형의 표면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표면을 관찰하였고, 그 결과를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2의 (a)는 비교예 1의 금형에 대한 사진으로 순동 금형에 대하여 풀림처리를 하지 않고 압입가공한 상태의 사진이고, 도 2의 (b)는 실시예 1의 금형에 대한 사진으로 순동 금형에 대하여 풀림처리를 한 후 압입가공한 상태의 사진이다. 또한 도 3의 (a)는 비교예 2의 금형에 대한 사진으로 황동소재의 금형에 대하여 풀림처리를 하지 않고 압입가공한 상태의 사진이고, 도 3의 (b)는 황동소재의 금형에 대하여 풀림처리를 한 후 압입가공한 상태의 사진이다.
도 2 및 도 3에 따르면 풀림처리를 하지 않은 금형의 경우 압흔 주변의 소재가 심하게 소성변형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2의 (a)에 따르면 압흔의 크기가 약 400 ㎛인데 반하여 변형된 영역의 크기는 약 950 ㎛에 이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압흔 크기의 두배가 넘는 영역에서 심한 변형이 발생되기 때문에 정밀한 렌즈 형태의 패턴 제작이 불가능함을 알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압흔을 가공하면 최소한 압흔 크기의 2 배 이상의 거리를 두고 다음 패턴을 가공하여야 하기 때문에 렌즈 어레이를 만드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도 2 (b) 및 도 3 (b)에서 압흔 주변에 소성변형을 확인할 수 없다. 즉, 풀림처리를 한 후 압입가공을 하는 경우 압흔 주변에 변형 현상이 전혀 없으며, 압흔의 경계도 매우 깨끗하게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풀림처리를 수행한 후 압입가공기술을 적용할 경우, 파일업 현상을 억제하면서도 다양한 형상 및 밀도를 갖는 비연속 복합패턴을 금형 표면에 형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9)

  1. 평면 금형을 열처리하는 단계(단계 1);
    상기 열처리된 평면 금형을 냉각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냉각된 평면 금형에 압입가공을 통하여 패턴화된 압흔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속 복합패턴의 가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열처리는 금형 소재의 풀림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속 복합패턴의 가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냉각은 노냉(furnace cooling)을 통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속 복합패턴의 가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에서 형성되는 압흔은 음각된 3차원형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속 복합패턴의 가공방법.
  5. 제1항의 방법으로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금형 상의 비연속 복합패턴.
  6. 롤 금형을 레이저 국부가열장치로 열처리하는 단계(단계 A); 및
    상기 열처리된 롤 금형에 압입가공을 통하여 패턴화된 압흔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속 복합패턴의 가공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의 열처리는 금형 소재의 풀림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속 복합패턴의 가공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에서 형성되는 압흔은 음각된 3차원형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속 복합패턴의 가공방법.
  9. 제6항의 방법으로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금형 상의 비연속 복합패턴.
KR1020100118692A 2010-11-26 2010-11-26 금형 상의 비연속 복합패턴의 가공방법 및 이에 의하여 형성되는 비연속 복합패턴 KR101049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692A KR101049479B1 (ko) 2010-11-26 2010-11-26 금형 상의 비연속 복합패턴의 가공방법 및 이에 의하여 형성되는 비연속 복합패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692A KR101049479B1 (ko) 2010-11-26 2010-11-26 금형 상의 비연속 복합패턴의 가공방법 및 이에 의하여 형성되는 비연속 복합패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9479B1 true KR101049479B1 (ko) 2011-07-15

Family

ID=44923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8692A KR101049479B1 (ko) 2010-11-26 2010-11-26 금형 상의 비연속 복합패턴의 가공방법 및 이에 의하여 형성되는 비연속 복합패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94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4971B1 (ko) * 2014-03-05 2014-12-22 한국기계연구원 무염료 색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4962A (ko) * 1998-10-07 2000-05-06 구자홍 미세패턴 형성용 금형 제작방법
KR20080055244A (ko) * 2006-12-15 2008-06-1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마이크로 렌즈 패턴 형성방법, 도광판용 코어금형의제조방법 및 코어금형을 이용한 도광판 제조방법
KR20100121793A (ko) * 2009-05-11 2010-11-19 강은성 미세패턴요철이 형성된 사출금형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4962A (ko) * 1998-10-07 2000-05-06 구자홍 미세패턴 형성용 금형 제작방법
KR20080055244A (ko) * 2006-12-15 2008-06-1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마이크로 렌즈 패턴 형성방법, 도광판용 코어금형의제조방법 및 코어금형을 이용한 도광판 제조방법
KR20100121793A (ko) * 2009-05-11 2010-11-19 강은성 미세패턴요철이 형성된 사출금형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4971B1 (ko) * 2014-03-05 2014-12-22 한국기계연구원 무염료 색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5133695A1 (ko) * 2014-03-05 2015-09-11 한국기계연구원 무염료 색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1700413A (zh) 壓製成型用玻璃素材、壓製成型用玻璃素材之製造方法及光學元件之製造方法
KR20110025144A (ko) 방현 필름의 제조 방법 및 방현 필름 제조를 위한 금형의 제조 방법
US8206518B2 (en) Die for press forming of glas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WO2011052652A1 (ja) 型および型の製造方法ならびに反射防止膜
DE102004038727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Hybridlinsen
CN102958854B (zh) 玻璃成形用的成形模具、玻璃成形装置、玻璃成形方法及光罩基板的制造方法
KR101049479B1 (ko) 금형 상의 비연속 복합패턴의 가공방법 및 이에 의하여 형성되는 비연속 복합패턴
TW201022162A (en) Method of making shaped glass articles
JP2009113311A (ja) マイクロレンズアレイの製造方法
JP2020097521A (ja) 光学ガラス素子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JP2009292089A (ja) 成形型及びそれを用いて成形したマイクロレンズ
CN105891912A (zh) 模具
US8182257B2 (en) Light guide plate mold
JP3433988B2 (ja) 焦点板作成用金型の製造方法
TWI478806B (zh) 熱壓裝置
KR101812087B1 (ko) 수지 시트 성형품, 그 제조 방법, 열 프레스 성형용 금형
JP2010265124A (ja) ガラス光学部材の熱処理方法およびガラス光学素子の製造方法
US20160082496A1 (en) Hot press forming device for coated steel and hot press forming method using same
JP2018090440A (ja) 鋭角部を有する光学部品の製造方法
KR101876494B1 (ko) 표면강화스탬퍼 제조방법
KR101819916B1 (ko) 반사시트 성형층 제조방법
KR101166544B1 (ko) 광학부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701522B1 (ko) 광확산시트 성형용 스탬프, 광확산시트 성형용 스탬프 제조방법, 광확산판 그리고 광확산시트
KR100793927B1 (ko) 액정표시장치(lcd)의 고휘도를 위한 광휘도 향상 필름제조방법과 그 광휘도 향상 필름
CN101419362B (zh) 模具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