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9012B1 - 409l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409l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9012B1
KR101049012B1 KR1020030092918A KR20030092918A KR101049012B1 KR 101049012 B1 KR101049012 B1 KR 101049012B1 KR 1020030092918 A KR1020030092918 A KR 1020030092918A KR 20030092918 A KR20030092918 A KR 20030092918A KR 101049012 B1 KR101049012 B1 KR 101049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inless steel
ferritic stainless
less
tensile stress
ann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2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1662A (ko
Inventor
이수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30092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9012B1/ko
Publication of KR20050061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1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9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9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5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with application of tens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36Cold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4Furnaces for treating strips or wire
    • C21D9/56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 C21D9/562Details
    • C21D9/564Tension contro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탠덤밀을 사용하여 냉간압연된 409L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을 탄소강 생산라인에서 소둔시간과 인장응력을 적절히 제어하여 연속소둔함으로 균일한 미세조직을 갖고, 양호한 연신율을 확보하면서, 동시에 생산성이 증대되는 409L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중량%로, Cr:10∼13%, Ti:0.3%이하(0초과), C:0.02%이하(0초과), N:0.02%이하(0초과), Mn:0.5%이하(0초과), Si:0.6%이하(0초과), S:0.03%이하(0초과), 잔부는 Fe 및 기타 불가피한 성분을 함유하는 409L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열연재를 탠덤밀로 냉간압연 후, 409L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냉연재를 860∼880℃의 온도에서 0.7∼1.0kgf/㎟의 인장응력으로 30∼90초동안 연속소둔하는 409L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연속소둔방법을 제공한다.
409L, 페라이트, 연속소둔, 인장응력

Description

409L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of 409L ferritic stainless steel}
도 1은 409L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소둔시간에 따른 진변형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409L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소둔온도에 따른 진변형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탠덤밀로 압연된 409L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냉연재의 종래예1을 나타내는 미세조직 사진이다.
도 4는 탠덤밀로 압연된 409L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냉연재의 발명예를 나타내는 미세조직 사진이다.
본 발명은 품질과 생산성을 동시에 향상시킨 409L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연속소둔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둔조건을 제어함으로 품질과 생산성을 동시에 향상시킨 409L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 다.
일반적으로 409L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보다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고온산화 저항성을 갖기 때문에 자동차용 배기계 소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409L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은 열간압연된 소재를 스테인레스강의 압연에 전용으로 사용되는 센지미어밀(Z-mill)로 냉간압연 후 냉간압연된 소재를 연속소둔하여 소재의 변형을 억제하므로 균일한 미세조직 및 양호한 연신율을 확보하였다.
하지만 409L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냉연재는 고온에서 강도가 취약하므로 연속소둔시 변형이 발생하기 때문에 소재의 평탄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연속소둔시 냉연재에 가해지는 인장응력을 제어해야 한다.
한편 409L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냉간압연시 센지미어밀(Z-mill) 대신 탄소강을 압연하는 탠덤밀(tandem mill)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탠덤밀을 사용하여 냉간압연을 하면 압연속도가 빨라 생산성은 증대되지만 부과할 수 있는 총 압하율이 센지미어밀에 비하여 작고, 냉간압연 후 소둔온도를 900℃ 이상으로 유지시켜야 한다. 하지만 탠덤밀이 설치된 탄소강 생산라인의 소둔로는 가열온도가 최대 880℃로 설계되어 있어 900℃ 이상으로 올릴 수 없다.
따라서 409L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은 압연조직의 잔류로 미세조직이 불균 일하고 연신율이 3∼5% 저하되므로 성형시 균열이 발생하거나, 원하는 형상으로 가공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탠덤밀을 사용하여 냉간압연된 409L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을 탄소강 생산라인에서 소둔시간과 인장응력을 적절히 제어하여 연속소둔함으로 균일한 미세조직을 갖고, 양호한 연신율을 확보하면서, 동시에 생산성이 증대되는 409L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중량%로, Cr:10∼13%, Ti:0.3%이하(0초과), C:0.02%이하(0초과), N:0.02%이하(0초과), Mn:0.5%이하(0초과), Si:0.6%이하(0초과), S:0.03%이하(0초과), 잔부는 Fe 및 기타 불가피한 성분을 함유하는 409L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열연재를 탠덤밀로 냉간압연 후, 409L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냉연재를 860∼880℃의 온도에서 0.7∼1.0kgf/㎟의 인장응력으로 30∼90초동안 연속소둔하는 409L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 온도는 409L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소재온도를 기준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409L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조성은 중량%로, Cr:11.3%, Ti:0.2%, C:0.01%, N:0.008%, Mn:0.3%, Si:0.5%, S:0.01%, 잔부는 Fe 및 기타 불가피한 성분을 함유한다.
물론 일반적인 409L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조성인 중량%로, Cr:10∼13%, Ti:0.3%이하(0초과), C:0.02%이하(0초과), N:0.02%이하(0초과), Mn:0.5%이하(0초과), Si:0.6%이하(0초과), S:0.03%이하(0초과), 잔부는 Fe 및 기타 불가피한 성분을 함유하는 범위내의 409L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도 가능하다.
표 1은 본 발명에 의해 탠덤밀로 압연된 409L 스테인리스강 냉연재를 탄소강 라인에서 연속소둔한 비교예 및 종래 방법으로 냉연재를 연속소둔한 종래예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온도 소둔시간 인장응력
(line tension)
미세조직 연신율 생산성 소둔시
판변형
비교예 1 860∼880℃ 30∼90초 1.0 kgf/㎟이상 36∼38% 발생
비교예 2 860∼880℃ 30∼90초 0.7 kgf/㎟이하 33∼35% 미발생
발명예 860∼880℃ 30∼90초 0.7∼1.0 kgf/㎟ 36∼37% 미발생
종래예 1 830∼880℃ 90초이내 제어조건 없음 33∼35% 미발생
종래예 2 930∼950℃ 60초이내 0.5 kgf/㎟이하 37∼38% × 미발생
(◎:우수, ○:양호, △: 보통, ×: 불량)
비교예 1은 409L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냉연재를 온도는 860~880℃를 유지하였지만 소재에 걸리는 인장응력을 1.0kgf/㎟으로 하여 연속소둔할 경우로서 생산성이 우수하고 응력유기변태(stress induced transformation)에 의해 미세조직이 균일해지고 양호한 연신율을 확보할 수 있으나, 인장응력의 효과가 너무 커 연속소둔시 판변형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비교예 2는 409L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냉연재를 온도는 860~880℃를 유지하고 소재에 걸리는 인장응력을 0.7kgf/㎟이하로 하여 연속소둔할 경우로서, 비교예 1과 비교하여 소둔온도는 동일하지만 인장응력이 0.7kgf/㎟ 이하로 실시되므로 연속소둔시 판변형은 발생하지 않지만 응력효과가 적어 미세조직이 불균일하여 연신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생산성은 우수하지만 연신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예 1은 409L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냉연재를 인장응력에는 특정의 조건을 부여하지 않고 온도를 830~880℃로 유지하면서 연속소둔할 경우로서 생산성이 우수하지만 연신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예 2는 409L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냉연재를 온도는 930~950℃를 유지하고 소재에 걸리는 인장응력을 0.5kgf/㎟이하로 하여 연속소둔할 경우로서 미세조직이 특히 우수하고 연신율도 우수하지만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발명예와 같이 409L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냉연재를 소둔온도 860~880℃를 유지하고, 소재에 걸리는 인장응력을 0.7~1.0kgf/㎟로 30~90초간 연속소둔을 실시한 경우에는 연속소둔시 판변형 발생이 없고, 응력효과에 의하여 균일한 미세조직을 얻어 양호한 연신율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연속소둔시 탄소강 생산라인의 소둔설비는 스테인리스강 전용 설비와 대비하여 균열대 길이가 길어 소둔시간은 통상적으로 최대 90초 이내로 실시하고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도 소둔시간은 90초 이내로 하면서 동시에 소둔 온도구간에서 석출물 재고용 및 합금원소들이 확산하는데 소정의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30초 이상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도 1은 409L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소둔시간에 따른 진변형량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크립변형거동을 나타내며 온도나 인장응력의 변화에 따라 진변형량의 변화를 알 수 있다. 여기서 온도나 인장응력이 증가할 경우 크립변형량도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연속소둔시 소재에 걸리는 인장응력이 1.0kgf/㎟ 이상일 때 고온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로부터 409L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연속소둔시 변형거동을 예측하는 모델을 구할 수 있는데, 409L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연속소둔시 다음의 고온 크립변형식인 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3048344404-pat00001
여기서 ε′은 변형률속도(s-1)를 나타내고, σ는 인장응력(kgf/㎟ )을 나타내며, R은 상수(8.314J/mol), T는 절대온도(K)를 나타낸다.
도 2는 409L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소둔온도에 따른 진변형량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인장응력 및 소둔시간에 따른 고온변형 가능구간을 예측하여 탠덤밀로 압연된 409L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냉연재를 탄소강 라인에서 적정한 소둔조건을 나타내는 발명예 구간을 표시하였다.
도 3은 탠덤밀로 압연된 409L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냉연재의 종래예1을 나타내는 미세조직 사진이고, 도 4는 탠덤밀로 압연된 409L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냉연재의 발명예를 나타내는 미세조직 사진이다.
여기서 각 미세조직을 비교한 결과로서 종래예1의 경우 미세조직이 일부 불균일한 것을 알 수 있으나, 발명예의 경우는 균일한 미세조직을 나타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409L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연속소둔방법에 의하면 연속소둔 온도를 900℃ 이상으로 올리지 않고도 균일한 미세조직을 갖고, 양호한 연신율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연신율이 양호하므로 409L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소재를 원하는 형상으로 가공할 수 있다.

Claims (1)

  1. 중량%로, Cr:10∼13%, Ti:0.3%이하(0초과), C:0.02%이하(0초과), N:0.02%이하(0초과), Mn:0.5%이하(0초과), Si:0.6%이하(0초과), S:0.03%이하(0초과), 잔부는 Fe 및 기타 불가피한 성분을 함유하는 409L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열연재를 탠덤밀로 냉간압연 후, 상기 409L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냉연재를 860∼880℃의 온도에서 0.7∼1.0kgf/㎟의 인장응력으로 30∼90초 동안 연속소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09L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제조방법.
KR1020030092918A 2003-12-18 2003-12-18 409l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제조방법 KR101049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2918A KR101049012B1 (ko) 2003-12-18 2003-12-18 409l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2918A KR101049012B1 (ko) 2003-12-18 2003-12-18 409l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1662A KR20050061662A (ko) 2005-06-23
KR101049012B1 true KR101049012B1 (ko) 2011-07-12

Family

ID=37253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2918A KR101049012B1 (ko) 2003-12-18 2003-12-18 409l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90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59466B (zh) * 2022-05-17 2023-06-13 天津太钢天管不锈钢有限公司 一种低铬铁素体不锈钢及其制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831A (ja) 1985-06-28 1987-01-10 Nisshin Steel Co Ltd 形状の良好な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鋼薄鋼帯の製造方法
KR20010063519A (ko) * 1999-12-22 2001-07-09 이구택 폭방향 네킹 변형 방지를 위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연속소둔 방법
KR20030049812A (ko) * 2001-12-17 2003-06-25 주식회사 포스코 연신율 및 내리찡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831A (ja) 1985-06-28 1987-01-10 Nisshin Steel Co Ltd 形状の良好な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鋼薄鋼帯の製造方法
KR20010063519A (ko) * 1999-12-22 2001-07-09 이구택 폭방향 네킹 변형 방지를 위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연속소둔 방법
KR20030049812A (ko) * 2001-12-17 2003-06-25 주식회사 포스코 연신율 및 내리찡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1662A (ko) 2005-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46584B2 (en) Austenitic steel having high strength and formability method of producing said steel and use thereof
EP1966404B1 (en) Carbon steel sheet superior in form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13035848A1 (ja) 中炭素鋼板、焼き入れ部材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EP2586884A2 (en) Ultra-high-strength steel ba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2001240940A (ja) 冷間鍛造用棒線材とその製造方法
JP2006070328A (ja) 高強度薄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3674434A1 (en) Low-ni austenitic stainless steel with excellent hot workability and hydrogen embrittlement resistance
JPH01142023A (ja) 曲げ加工性の良好な耐摩耗用鋼板の製造方法
JP5501819B2 (ja) 窒化特性及び耐再結晶軟化特性に優れた窒化処理用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0251794A (ja) プレス成形性と表面性状に優れた構造用熱延鋼板およびその 製造方法
JPH06299240A (ja) 球状化焼鈍特性の優れた軸受用鋼材の製造方法
JP2023504150A (ja) 耐久性に優れた厚物複合組織鋼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49012B1 (ko) 409l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제조방법
KR20140082491A (ko) 듀플렉스강의 냉간압연 방법
CN114934228B (zh) 一种热成形钢板及其生产方法
JP3383017B2 (ja) 加工性に優れた焼付け硬化性高強度冷延鋼板の製造方法
JPH06287635A (ja) 延性に優れ溶接軟化のない高耐力・高強度ステンレス鋼材の製造方法
JP2000119806A (ja) 冷間加工性に優れた鋼線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272804B2 (ja) 異方性の小さい高炭素冷延鋼板の製造法
KR102398707B1 (ko) 고탄소 냉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JP7229827B2 (ja) 高炭素鋼板の製造方法
KR20030055286A (ko) 낮은 변형도로 냉간 가공되는 냉간 압연 스트립 제조 방법
KR101322972B1 (ko) 고탄소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JP6984320B2 (ja) 靭性に優れた低温用ニッケル含有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216451A (ja) 溶接軟化抵抗の高い高強度高延性ステンレス鋼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