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8367B1 - 가상 버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 Google Patents

가상 버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8367B1
KR101048367B1 KR1020090033609A KR20090033609A KR101048367B1 KR 101048367 B1 KR101048367 B1 KR 101048367B1 KR 1020090033609 A KR1020090033609 A KR 1020090033609A KR 20090033609 A KR20090033609 A KR 20090033609A KR 101048367 B1 KR101048367 B1 KR 101048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button
user terminal
button
web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3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5081A (ko
Inventor
김석일
최성은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33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8367B1/ko
Publication of KR20100115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5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8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8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가상 버튼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이 개시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화면상에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단말로서, 상기 콘텐츠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반 버튼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가상 버튼은,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결된 키 입력 수단에 의한 키 입력시에는 상기 입력에 의한 초점이 주어지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상 버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User device for displaying pseudo button}
본 발명은 가상 버튼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단말 사용자의 포인팅 수단에 의한 클릭시에는 상기 가상 버튼에 할당된 기능을 수행하나, 키 입력 수단을 이용한 탭 네비게이션(Tab Navigation) 시에는 상기 가상 버튼에 초점이 주어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의 보급이 보편화됨에 따라 인터넷을 통하여 많은 정보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인터넷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텍스트, 이미지 또는 동영상 등 시각 정보인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시각장애인 등의 경우 인터넷상의 정보를 이용하기가 불가능하거나 매우 어렵다.
이에 따라 시각장애인의 경우 사용자 단말에 화면 낭독 프로그램(스크린 리더)을 설치하고, 화면에 나타나는 내용을 화면 낭독 프로그램으로 읽어주도록 함으로써 인터넷상에서 정보를 습득하거나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여 왔다. 최근에는 사용자 단말의 운영체제가 화면 낭독 기능을 지원하여 별도의 화면 낭독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가 없는 경우도 있다.
한편, 최근에는 상기와 같이 화면 낭독 기능이 있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 낭독 기능과는 별도로 웹 사이트 자체에서 콘텐츠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즉, 웹 사이트가 TTS(Text-to-Speech) 서버를 구동하여 웹 콘텐츠 및 웹 애플리케이션의 내용을 음성으로 변환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면, 사용자는 별도로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웹 콘텐츠를 음성으로 간편하게 들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TTS 기능(이하 "웹 TTS"라 칭함)을 이용하여 웹 콘텐츠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제공할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비시각장애인들도 필요한 경우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 없이 음성으로 웹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러나, 화면 낭독 기능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는 시각장애인 등이 웹 TTS를 지원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할 경우 문제가 발생한다. 시각장애인의 사용자 단말의 화면 낭독 기능과 웹 TTS가 충돌을 일으켜 사용자 단말이 비정상적으로 작동하거나, 웹 TTS의 음성출력과 사용자 단말의 화면 낭독기능이 제공하는 음성정보가 혼합되어 정상적인 음성출력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에 시각장애인은 사용자 단말의 화면 낭독 기능을 정지시키거나 웹 TTS의 기능을 중지시켜야 한다. 그런데 화면 낭독 기능이 있는 키오스크(kiosk)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키오스크의 화면 낭독 기능을 간단히 정지시킬 수 있는 수단이 없고, 상기 웹 TTS의 기능을 간단히 조작할 수 있는 마땅한 수단이 없는 경우에 매우 심각한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웹 사이트의 화면을 인식 가능한 비시각장애인들이 필요에 따라 웹 TTS 기능을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시각장애인의 경우 상기 웹 TTS 기능을 선택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각적으로는 인식 가능하나 키보드를 이용한 탭 네비게이션 시에는 초점이 주어지지 않는 콘텐츠 상의 가상 버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면상에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반 버튼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가상 버튼은,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결된 키 입력 수단에 의한 키 입력시에는 상기 입력에 의한 초점이 주어지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콘텐츠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웹 서버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받은 웹 콘텐츠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키 입력 수단은 키보드로 구성되며, 상기 가상 버튼은 상기 키보드를 이용한 탭 내비게이션(Tab navigation) 시에는 상기 키보드 입력에 의한 초점이 주어지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상 버튼은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결된 포인팅 수단에 의한 입력시에는 상기 가상 버튼에 할당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가상 버튼에 할당된 기능은 웹 서버가 제공하는 TTS(Text-to-Speech)를 ON 또는 OFF하는 기능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인팅 수단은 마우스, 터치패드, 라이트 펜, 트랙볼, 헤드 마우스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상 버튼은 상기 포인팅 수단에 의해 포인팅 커서가 상기 가상 버튼이 디스플레이된 영역에 위치할 경우 상기 포인팅 커서의 형태를 "연결 선택"으로 변경하며, 포인팅 커서가 상기 영역을 벗어날 경우 상기 포인팅 커서의 형태를 "보통 선택"으로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 버튼은 텍스트 또는 이미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미지의 대체 텍스트는 null로 할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데스크탑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콘텐츠에서 시각장애인에게는 인식되지 않으면서 비시각장애인에게는 일반적인 화면상의 버튼과 같이 동작하는 가상 버튼을 제공함으로써 수용자의 상황을 고려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 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가상 버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버튼(200)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웹 브라우저 등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10)을 통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10)은 상기 사용자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웹 서버(미도시)로부터 상기 가상 버튼(200)을 포함하는 웹 콘텐츠(20)를 전송받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여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웹 콘텐츠(20)는 상기 가상 버튼(200) 뿐만 아니라 일반 버튼(100, 300)들 또한 포함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웹 콘텐츠(20) 내에 포함되는 가상 버튼(200)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웹 콘텐츠(20)의 디스플레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가상 버튼(200)은 웹 콘텐츠(20) 뿐만 아니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며 화면상에 콘텐츠를 표시하는 어떠한 소프트웨어에도 포함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 가상 버튼(200)은 포인팅 수단에 의한 클릭시에는 상기 가상 버튼(200)에 할당된 기능을 수행하나, 키 입력 수단을 이용한 탭 내비게이션(Tab Navigation) 시에는 상기 가상 버튼(200)에 초점이 주어지지 않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포인팅 수단은 입력수단 중 마우스, 터치패드, 라이트 펜, 트랙볼, 헤드 마우스 등 화면상의 포인팅 커서를 상하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는 수단이면 모두 포함되며, 특정한 입력도구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키 입력 수단은 입력수단 중 하나 이상의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을 누름으로써 사용자 단말에 특정 내용을 입력할 수 있는 것을 주된 특징으로 하는 수단으로서, 대표적으로 키보드가 있다. 다만, 본 발명에 있어 이러한 포인팅 수단과 키 입력 수단과의 구별은 시각장애인이 입력수단으로 사용 가능한가 또는 비시각장애인만이 사용 가능한가에 의하여 구별됨을 유의하여야 한다. 포인팅 수단의 경우 포인팅 커서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인지하여야 하므로 포인팅 커서의 인지가 불가능한 시각장애인들의 경우 사용이 불가능하나, 키 입력 수단의 경우 반드시 시각적 인지가 필요한 것은 아니므로 시각장애인들 또한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마우스의 경우 2개 또는 3개의 버튼을 포함하므로 그 정의만을 놓고 보았을 때에는 포인팅 수단 뿐만 아니라 키 입력 수단에도 포함된다고 볼 수 있으나, 마우스의 경우 포인팅 커서를 움직이는 기능이 주가 되며 시각장애인들은 마우스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키 입력 수단이 아닌 포인팅 수단만으로 분류됨은 명백하다.
예를 들어, 상기 가상 버튼(200)이 웹 TTS를 ON 또는 OFF 하기 위한 버튼일 경우, 일반인(비시각장애인)은 마우스를 이용하여 웹 콘텐츠 내에서 필요한 동작을 수행하므로, 포인팅 수단을 움직여 포인팅 커서를 상기 가상 버튼(200)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상의 영역에 위치시킨 후 상기 가상 버튼(200)을 클릭함으로써 일반적인 버튼을 동작하는 것과 동일하게 웹 TTS 기능을 켜거나 끌 수 있다. 반면, 별도의 화면 낭독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시각장애인의 경우 키보드 등의 키 입력 수단을 이용한 탭 내비게이션(Tab Navigation)을 이용하여 웹 콘텐츠를 탐색하게 되며, 이 경우 상기 가상 버튼(200)에는 탭 내비게이션에 의한 초점(focus)이 주어지지 않으므로 시각장애인은 상기 가상 버튼(200)에 초점을 줄 수 없고, 따라서 상기 가상 버튼(200)을 선택할 수 없게 되므로 시각장애인이 웹 TTS 기능을 불필요하게 켜거나 끄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여기서 탭 내비게이션(Tab Navigation)에 대해 잠시 설명한다. 탭 내비게이션이란 키보드의 Tab 키와 Shift + Tab 키를 이용한 웹 콘텐츠 내비게이션 방법이다. 웹 콘텐츠가 로딩된 이후, 사용자가 Tab 키를 한 번 누르면 해당 웹 콘텐츠의 가장 첫 번째 컨트롤에 초점(focus)이 주어진다. 이때 웹 콘텐츠의 컨트롤(control)이란 웹 콘텐츠 내부에서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구성요소(예를 들어, 링크, 버튼, 입력창 등)을 의미하며, 사용자가 엔터(Enter)키 또는 스페이스 바(space bar) 키 등을 조작할 경우 상기 초점이 주어진 컨트롤에 할당된 기능이 동작하게 된다. 예를 들어, 현재 초점이 주어진 컨트롤이 버튼일 경우, 사용자가 엔터키를 누르면 해당 버튼이 눌려진 상태가 되며, 입력창에 초점이 주어질 경우 사용자가 키보드를 이용하여 특정 문자를 입력하면 해당 문자는 상기 입력창에 입력되게 된다. 사용자는 Tab 키를 이용하여 웹 콘텐츠의 다음 컨트롤로 이동하거나, Shift + Tab 키를 이용하여 이전 컨트롤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탭 내비게이션을 이용하여 마우스를 이용하는 것과 유사하게 웹 콘텐츠를 탐색하고 필요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 버튼(200)은 텍스트 또는 이미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거나, 텍스트와 이미지를 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키보드에 의한 탭 내비게이션시에는 상기 가상 버튼(200)을 일반 텍스트 또는 이미지로 인식하여 상기 가상 버튼(200)에 초점을 주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가상 버튼(200)을 이미지로 구성할 경우, 상기 이미지의 대체 텍스트는 null(HTML 콘텐츠에서 alt="")으로 할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체 텍스트란 해당 이미지를 보조기기에 제공하더라도 그 내용을 판독할 수 없을 경우에 이미지를 대신하여 보조기기가 판독할 수 있는 텍스트로서, 일반적으로 이미지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특히 시각장애인의 경우 이미지를 인식할 수 없으므로, 시각장애인용 화면 낭독 프로그램의 경우 상기 대체 텍스트를 읽어줌으로써 시각장애인들이 이미지의 존재와 이미지의 내용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가상 버튼(200) 이미지의 대체 텍스트를 null로 할당함으로써 화면 낭독 프로그램이 가상 버튼(200)의 대체 텍스트를 읽지 않도록 하여 시각장애인들이 상기 가상 버튼(200)을 인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 버튼(200)이 비시각장애인에게 일반적인 버튼으로 인식되기 위해서는 상기 가상 버튼(200)과 관련된 포인팅 커서의 형태를 적절하게 변환하 여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2a 및 도 2b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버튼의 구성에 있어, 포인팅 커서(30)가 가상 버튼이 디스플레이된 영역 밖에 위치할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팅 커서(30)가 상기 가상 버튼(200)을 가리키고 있지 않을 경우, 상기 포인팅 커서(30)의 형태는 "보통 선택(화살표 모양)" 모양을 유지한다.
만약 포인팅 커서(30)가 상기 가상 버튼(200)을 가리키고 있을 경우, 다시 말해 포인팅 커서(30)가 상기 가상 버튼(200)이 디스플레이된 영역에 위치할 경우, 포인팅 커서(30)의 형태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선택(손 모양)"으로 변경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포인팅 커서(30)의 형태를 보고 상기 가상 버튼(200)이 실제로 일반 버튼과 같이 버튼으로 동작함을 쉽게 알 수 있다.
한편, 포인팅 커서(30)가 상기 가상 버튼(200)이 디스플레이된 영역을 벗어날 경우에는 상기 포인팅 커서(30)의 형태를 다시 "보통 선택"으로 되돌리게 된다.
이와 같은 포인팅 커서(30)의 변화는 자바스크립, 플래시, Flex 등의 웹 콘텐츠 제작 툴을 이용하여 구현이 가능하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와 같은 구체적인 제작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가상 버튼은 웹 콘텐츠를 제작하는 경우로만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데스크톱 프로그램의 경우에도 가상 버튼을 사용하여 탭 내비게이션에 의해서는 판독할 수 없으나 포인팅 수단으로는 클릭하여 그 기능을 실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웹으로 제공되는 응용 프로그램인 웹 프로그램이 나 웹 애플리케이션의 경우에도 동일한 응용이 가능하다.
도 3a 및 도 3b는 웹 콘텐츠에 대한 탭 내비게이션시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버튼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웹 콘텐츠(20)가 화면에 출력되면, 상기 웹 콘텐츠(20)에 포함된 버튼들(100, 300) 및 가상 버튼(200)이 함께 출력된다. 이후, 사용자가 Tab 키를 한번 누르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튼들 중 가장 왼쪽에 위치한 버튼(100)에 먼저 초점(포커싱)이 주어진다. 탭 내비게이션에 의한 포커싱 순서는 화면의 좌상단에서 우하단으로 이동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는 웹 콘텐츠 제작자의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웹 콘텐츠(20) 화면 출력 이후 Tab 키의 입력에 따라 상기 버튼(100)에 포커싱이 주어지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설정에 따라 화면 표시단계에서 바로 특정 컨트롤에 포커싱이 주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후, 사용자가 다시 한 번 Tab 키를 누르면 이번에는 웹 콘텐츠에서(20)에서 다음 번에 초점을 주도록 예정되어 있는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구성요소인 버튼(300)에 초점이 주어지게 된다. 만약 가상 버튼(200)이 일반적인 버튼으로 기능할 경우에는 상기 가상 버튼(200)으로 초점이 먼저 이동하여야 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상 버튼(200)이 탭 내비게이션 시의 컨트롤로 인식되지 않으므로, 가상 버튼(200)이 아닌 일반 버튼(300)으로 초점이 이동한다.
따라서 키보드만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탭 내비게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가상 버튼(200)에 초점을 줄 수 있는 방법이 없으므로 상기 가상 버튼(200)을 선택하였을 경우에 수행되는 기능을 실행시킬 수 없게 된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버튼이 웹 TTS을 ON/OFF하는 버튼인 것을 가정하였으나, 사용자 단말이 제공하는 특수한 기능을 웹 서버가 또다시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과 웹 서버가 제공하는 콘텐츠가 충돌을 일으키는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다른 입력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따라 서로 상이한 입력장치에 반응하도록 구성된 모든 구성 요소들에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자명한 사항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웹 콘텐츠를 예롤 들었으나, 서버로부터 다운받아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를 입력장치의 조작으로 변경할 수 있는 리치 인터넷 애플리케이션(Rich internet application)이나 웹 프로그램과 같은 웹 애플리케이션의 제작시 뿐 아니라 데스크 톱(desktop) 프로그램의 제작시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가상 버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가상 버튼으로의 마우스 이동시 커서 형태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가상 버튼과 일반 버튼이 혼합된 웹 콘텐츠에서 탭 내비게이션시의 초점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20 : 웹 콘텐츠
30 : 포인팅 커서 100, 300 : 일반 버튼
200 : 가상 버튼

Claims (9)

  1. 화면상에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반 버튼;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가상 버튼은,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결된 키 입력 수단에 의한 키 입력시에는 상기 입력에 의한 초점이 주어지지 않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웹 서버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받은 웹 콘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 수단은 키보드로 구성되며, 상기 가상 버튼은 상기 키보드를 이용한 탭 내비게이션(Tab navigation) 시에는 상기 키보드 입력에 의한 초점이 주어지지 않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단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버튼은,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결된 포인팅 수단에 의한 입력시에는 상기 가상 버튼에 할당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단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버튼에 할당된 기능은, 웹 서버가 제공하는 TTS(Text-to-Speech)를 ON 또는 OFF하는 기능인, 사용자 단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팅 수단은,
    마우스, 터치패드, 라이트 펜, 트랙볼, 헤드 마우스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사용자 단말.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버튼은, 상기 포인팅 수단에 의해 포인팅 커서가 상기 가상 버튼이 디스플레이된 영역에 위치할 경우 상기 포인팅 커서의 형태를 "연결 선택"으로 변경하며, 포인팅 커서가 상기 영역을 벗어날 경우 상기 포인팅 커서의 형태를 "보통 선택"으로 변경하는, 사용자 단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버튼은 텍스트 또는 이미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의 대체 텍스트는 null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KR1020090033609A 2009-04-17 2009-04-17 가상 버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KR101048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609A KR101048367B1 (ko) 2009-04-17 2009-04-17 가상 버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609A KR101048367B1 (ko) 2009-04-17 2009-04-17 가상 버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5081A KR20100115081A (ko) 2010-10-27
KR101048367B1 true KR101048367B1 (ko) 2011-07-11

Family

ID=43134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3609A KR101048367B1 (ko) 2009-04-17 2009-04-17 가상 버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83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39174B (zh) * 2015-07-17 2019-10-11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多窗口显示键盘光标的方法及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78891B1 (en) 1998-11-19 2004-01-13 Prasara Technologies, Inc. Navigational user interface for interactive television
JP2007233931A (ja) 2006-03-03 2007-09-13 Kyocera Mita Corp 入力装置
KR20080104805A (ko) * 2007-05-29 2008-12-03 엘지엔시스(주) 터치 화면 제어방법과 그 장치 및 그를 포함한금융자동화기기
KR20080113913A (ko) * 2007-06-26 2008-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의 입력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78891B1 (en) 1998-11-19 2004-01-13 Prasara Technologies, Inc. Navigational user interface for interactive television
JP2007233931A (ja) 2006-03-03 2007-09-13 Kyocera Mita Corp 入力装置
KR20080104805A (ko) * 2007-05-29 2008-12-03 엘지엔시스(주) 터치 화면 제어방법과 그 장치 및 그를 포함한금융자동화기기
KR20080113913A (ko) * 2007-06-26 2008-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의 입력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5081A (ko) 2010-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4852B1 (en) Spoken interfaces
JP4691521B2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におけるスクロール可能な交差部分の検索方法及び構成
JP4340309B2 (ja) ハイパーリンクを選択する方法
US20140189511A1 (en) Web site program directs control of a media player
US8166417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30004857A (ko)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MXPA02006053A (es) Sistema y metodo para navegacion mejorada.
JP2005229594A (ja) リモコンでオブジェクト選択可能な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方法
KR101580003B1 (ko) 링크의 비 마우스 기반 활성화를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EP2306287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nput character indicator
US6307570B1 (en) Virtual input device
KR101048367B1 (ko) 가상 버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KR20180052439A (ko) 셋톱박스
JP4223680B2 (ja) 異なる表示セクションを有する表示における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方法
JP5431911B2 (ja) コンテンツ表示装置
JP2008146584A (ja) アプリケーション共有画面制御装置、アプリケーション共有画面制御プログラム、及び通信端末装置。
JP2005301967A (ja) マウスの左右両ボタンの同時クリックを利用したプログラム実行システム及び実行方法
Felzer et al. Mouse mode of OnScreenDualScribe: Three types of keyboard-driven mouse replacement
KR101560748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원격 제어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11113312A (ja) コンテンツ表示装置及びコンテンツ表示方法
KR101015948B1 (ko) 커서와 화면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시 부가적인입력문자 표시 방법
JP3074795B2 (ja) マルチウィンドウにおける文字入力方式
JP4461830B2 (ja) 画像表示装置
JP2006011536A (ja) 情報表示装置
Jeanne et al. Empirical Evaluation of Metaverse Accessibility for People Who Use Alternative Input/Output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