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8036B1 - Electric hoist - Google Patents
Electric hois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48036B1 KR101048036B1 KR1020090093552A KR20090093552A KR101048036B1 KR 101048036 B1 KR101048036 B1 KR 101048036B1 KR 1020090093552 A KR1020090093552 A KR 1020090093552A KR 20090093552 A KR20090093552 A KR 20090093552A KR 101048036 B1 KR101048036 B1 KR 1010480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in
- sheaves
- load
- lifting
- rod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abstract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642 transportation engine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18—Power-operated hoists
- B66D3/26—Other details, e.g. hous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4—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 B66D1/20—Chain, belt, or friction drives, e.g. incorporating sheaves of fixed or variable ratio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2—Hoists or accessories for hoists
- B66D2700/023—Hoists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식 호이스트에 관한 것으로, 크레인 등에 연결되며 로드체인의 양단부를 인양물에 고정하여 상기 인양물을 인양하며, 로드체인을 양방향으로 이동시켜 인양물의 무게중심에 맞추는 한편 로드체인의 일측에 인양물의 하중이 집중되더라도 로드체인이 풀리지 않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hoist, which is connected to a crane and lifts the salvage by fixing both ends of the load chain to the salvage, and moves the load chain in both directions to mee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alvage while lifting on one side of the load chain. The purpose is to prevent the load chain from loosening even when water load is concentrated.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호이스트는, 케이스(10)와; 구동모터(40)와; 상기 케이스에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2체인시브(sheave)(20,30)와; 양단부가 인양물에 연결되며 상기 제1,2체인시브에 의해 양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인양물의 무게중심을 맞추는 로드체인(50)과;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이 전달되는 경우에만 상기 제1,2체인시브가 회전하도록 하며 상기 로드체인에 걸린 인양물의 하중에 의해서는 상기 제1,2체인시브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제1,2브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Electric hoi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10; A drive motor 40; First and second chain sheaves 20 and 30 that are installed to be rotated in place by receiving power from the driving motor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case; A rod chain 50 having both ends connected to the lifting object and moving in both directions by the first and second chain sheaves to mee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lifting material; The first and second chain sheaves may be rotated only when the power of the driving motor is transmitted, and the first and second brakes may not be rotated by the load of the lifting object caught in the rod chai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인양물, 인양, 거푸집, 체인 Salvage, salvage, formwork, chain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동식 호이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크레인 등에 연결되며 로드체인의 양단부를 인양물에 고정하여 상기 인양물을 인양하며, 로드체인을 양방향으로 이동시켜 인양물의 무게중심에 맞추는 한편 로드체인의 일측에 인양물의 하중이 집중되더라도 로드체인이 풀리지 않도록 한 전동식 호이스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hoist, and more particularly, is connected to a crane and the like to secure the salvage by fixing both ends of the load chain to the salvage, to move the load chain in both directions to match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alvage and the load chain It is related with the electric hoist which prevents the load chain from loosening even when the load of the salvaged object is concentrated on one side.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건축할 경우 층과 층을 구획하는 슬라브를 형성하기 위해서 사각형상의 거푸집패널을 다수개 연결하여 보와 슬라브가 형성되도록 틀을 형성하고, 틀을 완성한 후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며, 콘트리트가 양생된 후에는 다수의 거푸집판넬을 해체하게 되고 이 해체된 거푸집판넬을 수작업으로 상부층으로 운반하여 다시 전체적인 틀을 형성시켜 콘트리트를 타설하게 된다.In general, when building a building to form a slab that divides the floor and the floor to form a frame to form a beam and slab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rectangular formwork panels, and after the frame is completed by pouring concrete to cure After the concrete is cured, a number of formwork panels are dismantled, and the dismantled formwork panels are transported to the upper layer by hand to form the overall frame again to place concrete.
즉, 층과 층 사이를 구축하는 방법은 슬라브 거푸집을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건축물의 설계에 의해 결정된 높이)로 배치한 후 다수의 서포터들을 거푸집패널 과 바닥 사이에 세워 거푸집패널을 지지하고, 이와 같은 방법으로 다수의 거푸집패널을 수평으로 연결하여 상층 바닥의 틀을 구성한 후, 거푸집패널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이 일반적이다.That is, the method of building between floors is to place the slab formwork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floor (height determined by the design of the building), and then support the formwork panel by placing a plurality of supporters between the formwork panel and the floor. After forming a frame of the upper floor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formwork panels horizontally by the method, it is common to pour concrete inside the formwork panel.
그리고, 콘트리트 양생이 완료되면 서포터를 제거하여 하층에서 거푸집패널을 제거한 후, 그 다음 층으로 슬라브 거푸집을 운반하여 그 다음 층의 슬라브를 시공한다.When the concrete curing is completed, the supporter is removed to remove the formwork panel from the lower layer, and then the slab formwork is transported to the next layer to construct the slab of the next layer.
이와 같이 해체한 슬라브 거푸집을 그 다음 층으로 운반하기 위해서는 여러 명의 작업자가 슬라브 거푸집을 직접 들고 운반하고 있다.In order to transport the dismantled slab form to the next floor, several workers carry the slab formwork directly.
따라서, 건축물의 운반 경로가 매우 비좁고 시공 장비 등이 비치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브 거푸집의 운반이 번거롭고 어려우므로 작업기간이 길어지고, 안전사고가 발생되며, 많은 인력이 필요하므로 인건비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since the transport path of the building is very narrow and construction equipment is provided, the transportation of the slab formwork is cumbersome and difficult, thus increasing the working period, causing safety accidents, and requiring a lot of manpower.
그러나, 종래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인양장치 등은 거푸집이나 장비 등(이하 "인양물"이라 함)을 다음 작업공간이나 적재지로 이동하기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인양물을 크레인에 걸기 위한 위치로 이송하는 것일 뿐이며, 따라서, 인양물을 인양장치에 적재하고 인양장치를 건축물 밖으로 이동하며, 크레인을 인양물에 연결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하다.However, the slab formwork lifting device of a conventional building is only for transporting the formwork or equipm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lifting material") to the next work space or loading site, but only to transport the lifting material to a position for hanging on a crane. Therefore, it is cumbersome and inconvenient to load the lifting material in the lifting device, move the lifting device out of the building, and connect the crane to the lifting material.
그리고, 종래에는 인양물을 크레인에 연결하기 위하여 와이어 등을 사용할 뿐이기 때문에 크레인으로 인양할 때 인양물의 무게중심이 일측으로 치우칠 수 있으며, 따라서, 인양물이 건축물에 충돌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된다.In addition, in the related art, since only a wire or the like is used to connect the lifting object to the cran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lifting material may be biased to one side when lifting the crane, thus causing a problem that the lifting object collides with the building.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인양물의 무게중심에 맞춰 로드체인을 양방향으로 이동시켜 인양물을 안전하게 견인 및 인양할 수 있고, 인양물의 하중이 로드체인의 일측에 집중되더라도 로드체인이 인양물쪽으로 풀리지 않도록 한 전동식 호이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move the load chain in both directions in accordance with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lifting material can be safely towed and lifted, even if the load of the lifting material is concentrated on one side of the load chain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electric hoist that does not loosen towards this salvage.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호이스트는, 케이스와; 구동모터와; 상기 케이스에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2체인시브(sheave)와; 양단부가 인양물에 연결되며 상기 제1,2체인시브에 의해 양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인양물의 무게중심을 맞추는 로드체인과;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이 전달되는 경우에만 상기 제1,2체인시브가 회전하도록 하며 상기 로드체인에 걸린 인양물의 하중에 의해서는 상기 제1,2체인시브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제1,2브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Electric hoi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case and; A drive motor; First and second chain sheaves which are rotatably installed in place by receiving power from the driving motor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case; A rod chain having both ends connected to the lifting object and moving in both directions by the first and second chain sheaves to mee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lifting material; The first and second chain sheaves may be rotated only when the power of the driving motor is transmitted, and the first and second brakes may not be rotated by the load of the lifting object caught in the rod chain.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호이스트에 의하면, 제1,2로드시브가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양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로드체인이 양방향으로 이동하며, 따라서, 인 양물의 무게중심이 일측으로 치우치더라도 인양물의 무게중심에 맞춰 로드체인을 이동함으로써 무게중심을 맞출 수 있으므로 인양물의 견인 및 인양시 인양물의 불안정한 자세로 인한 인양물의 흔들림을 막을 수 있고, 인양물이 주변 구조물에 충돌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lectric hoi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first and second rod sheave rotates in both directions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motor, the load chain moves in both directions, and thus, even i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alvage is biased to one side, Since the center of gravity can be adjusted by moving the load chain to the cent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ifting of the lifting and the shaking of the lifting due to the unstable posture of the lifting and to prevent the lifting from colliding with the surrounding structure.
또한, 제1,2로드시브는 구동모터에 의해서는 양방향으로 회전하여 로드체인을 양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지만, 반대로 구동모터가 회전하지 않는 상태에서 인양물의 중량에 의해서는 회전하지 않으므로 인양물의 견인 및 인양 중에서 인양물이 떨어지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rod sheaves may rotate in both directions by the drive motor to move the load chain in both directions. However, the first and second load sheaves do not rotate by the weight of the lifting material while the driving motor is not rotat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accidents from falling salvage during salvage.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호이스트는, 케이스(10)와; 케이스(10)에 각각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2체인시브(sheave)(20,30)와; 제1,2체인시브(20,30)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구동모터(40)와; 양단부가 인양물에 연결되며 제1,2체인시브(20,30)에 의해 양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인양물의 무게중심을 맞추는 로드체인(50)과; 구동모터(40)의 동력이 전달되는 경우에만 제1,2체인시브(20,30)가 회전하도록 하며 로드체인(50)에 걸린 인양물의 하중에 의해서는 제1,2체인시브(20,30)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제1,2클러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하 각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As shown in FIG. 1, the electric hoi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케이스(10)는 전술한 구성요소인 제1,2체인시브(20,30), 구동모터(40) 등이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박스형일 수도 있고 다수의 판재가 결합되어 구 성될 수도 있다.The
케이스(10)는 지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다리(11)가 구비되고, 크레인(1)에 연결되는 인양고리(12)가 형성된다.The
제1,2체인시브(20,30)는 케이스(10)에 각각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구동모터(4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로드체인(50)을 양방향으로 이동시킨다.The first and
제1,2체인시브(20,30)는 각각 공지된 체인블록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체인블록은 자동 또는 수동에 의해 체인시브가 양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로드체인을 감거나 풀어 로드체인의 일측에 연결된 인양물을 견인 및 인양하는 것으로, 상기 체인시브가 자동 또는 수동의 조작에 의해서만 회전하는 것이고, 인양물의 하중에 의해서는 회전하지 않도록 제1,2브레이크가 구성되어 있다. 단, 인양물이 연결된 로드체인의 일측에 큰 하중이 걸리면 체인시브가 오동작으로 회전하게 된다.The first and
제1,2체인시브(20,30)는 공지된 체인블록 2개를 전후 대칭으로 배치시킴으로써 실현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여도 당업자라면 충분히 실시 가능하다.Since the first and
즉, 제1,2체인시브(20,30)는 서로 다른 방향의 구속을 받는 제1,2브레이크에 의해 로드체인(50)이 구동모터(40)에 의해서만 회전되고 로드체인(50)의 양측 중 일측에 큰 하중이 걸리더라도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다.That is, in the first and
구동모터(40)는 인양물의 견인 및 인양 특성상 리모트 컨트롤러의 조작에 의 해 원격 조정되며, 구동모터(40)의 동력은 하기의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제1,2체인시브(20,30)에 전달된다.The driving
도 2 내지 도 4에서 보이는 것처럼,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케이스(10)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며 구동모터(40)에 의해 양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축(41), 구동축(41)의 둘레부에 축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제1,2구동스프로킷(42,43), 제1,2구동스프로킷(42,43)과 제1,2체인시브(20,30)(또는 제1,2체인시브(20,30)를 회전시키는 동력전달기어)에 무한궤도로 연결되어 제1,2구동스프로킷(42,43)의 회전력에 의해 제1,2체인시브(20,30)를 회전시키는 제1,2동력전달체인(44,45)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s 2 to 4,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the
로드체인(50)은 양단부에 각각 인양물에 연결되는 후크(51) 등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2체인시브(20,3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로드체인(50)은 길이가 변하지 않으면서 도 3 기준 좌우로 이동하면서 인양물의 위치를 바꿔 무게중심을 맞추는 것이며, 케이스(10)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다수의 가이드롤러(13)의 안내를 받아 제1,2체인시브(20,30)에서 이탈되지 않는다.The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호이스트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hoi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도 5a 내지 도 5c에서 보이는 것처럼, 설명의 편의를 위해 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시 천정부분을 콘크리트 타설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테이블폼(2)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As shown in FIGS. 5A to 5C,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도 5a와 같이,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테이블폼(2)을 탈형하여 그 다음 시공 위치로 운반하여야 하며, 이를 위하여 테이블폼(2)을 건축물의 외곽으로 이동한다.As shown in FIG. 5A, when the concrete is cured, the
테이블폼(2)의 이동 전에 크레인(1)에 본 발명의 전동식 호이스트(100)를 연결한다.The
테이블폼(2)을 무리하게 건축물의 외곽으로 이동할 필요가 없으며, 로드체인(50)의 양측을 연결할 수 있을 정도로만 테이블폼(2)을 외곽쪽으로 이동한다.There is no need to move the
테이블폼(2)의 이동이 완료되면 로드체인(50)의 양측에 있는 후크(51)를 테이블폼(2)에 걸어 연결한다.When the movement of the
이때는, 크레인(1)과 테이블폼(2)의 위치상 로드체인(50)을 테이블폼(2)의 무게중심에 맞출 수 없기 때문에 구동모터(40)를 중심으로 하여 로드체인(50)의 양측 길이가 서로 다른 상태이다.At this time, since the
이어서, 도 5b와 같이 테이블폼(2)을 건축물의 외곽으로 밀어 테이블폼(2)의 인양을 준비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5B, the
이와 같이 테이블폼(2)의 일부분이 건축물에 걸쳐 있고 건축물에 걸쳐지지 않은 부분이 걸쳐진 부분보다 많으면, 테이블폼(2)은 무게중심이 건축물에 걸쳐지지 않은 부분에 집중된다. 하지만, 제1체인시브(20)는 제1브레이크를 통해 로드체인(50)이 회전하지 않도록 구속하기 때문에 로드체인(50)은 도 5b의 상태를 유지하고, 결국 테이블폼(2)은 지상으로 낙하하지 않게 된다.In this way, if a part of the
이어서, 작업자는 리모트 컨트롤러(3)를 조작하여 구동모터(40)를 구동시킨다. 구동모터(40)의 회전방향은 로드체인(50)의 상태에 따라 달라질 것이며, 로드 체인(50)의 길이가 같아지도록 구동모터(40)의 회전방향을 결정한다. 도 5b에서는 구동모터(40)를 기준으로 할 때 로드체인(50)의 좌측보다 우측이 더 길은 상태이므로 로드체인(50)이 좌측으로 이동하도록 한다.Subsequently, the operator operates the
구동모터(40)가 구동하면 제1,2체인시브(20,30)가 도 5b 기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따라서, 로드체인(50)이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When the
도 5c와 같이, 로드체인(50)이 배열되면 테이블폼(2)의 무게중심을 조절한 것이므로 구동모터(40)의 구동을 정지한다.As shown in FIG. 5C, when the
이어서, 크레인(1)을 통해 테이블폼(2)을 건축물의 외부로 빼낸 후 그 다음 시공 층으로 운반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도 6은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예시도로서, 테이블폼(2)이 일측으로 기울어진 경우 상대적으로 아래쪽의 하중이 크기 때문에 테이블폼(2)이 아래쪽으로 내려갈 수 있지만, 구동모터(40)가 회전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로드체인(50)의 일측에 하중이 크게 걸리더라도 제1,2로드시브(20,30)가 회전하지 않으므로 테이블폼(2)이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한다.6 is another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물론, 이와 같이 테이블폼(2)을 기울어진 상태로 인양할 수 있지만, 테이블폼(2)의 편중으로 인해 테이블폼(2)이 흔들릴 수 있고 로드체인(50)의 일측에 큰 하중이 집중될 것이므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테이블폼(2)의 무게중심을 맞춘다.Of course, the
작업자는 리모트 콘트롤러를 통해 구동모터(40)에 일방향의 회전력이 발생하도록 전원을 인가한다. The operator applies power to the driving
이로써, 구동모터(40)가 회전하게 되며, 구동모터(40)의 회전력은 제1,2동력전달 체인(44,45)을 통해 제1,2체인시브(20,30)에 각각 연결된다. 제1,2체인시브(20,30)는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것이며, 제1,2체인시브(20,30)의 회전력에 의해 로드체인(50)이 일측으로 서서히 이동하게 되고, 로드체인(50)의 이동에 의해 테이블폼(2)이 움직이게 된다. 즉, 테이블폼(2)을 공중으로 인양한 상태에서 자유롭게 자세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작업환경 등에 따라 테이블폼(2)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driving
도 7은 로드체인(50)에 인양대(60)가 적용된 것이다.7 shows that the lifting
즉, 로드체인(50)의 양측을 인양물에 연결하여 인양물을 인양하지 않고, 도 7에서처럼 인양물을 인양대(60)의 일측에 걸어 인양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 보이는 것처럼, 인양대(60)의 일측에만 인양물이 연결되는 경우 로드체인(50)의 길이조절을 통해 인양대(60)를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하게 유지할 수 있다.That is, by connecting both sides of the
로드체인(50)과 인양대(60)의 연결은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인양대(60)에 로드체인(50)의 후크(51)가 걸리는 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Connection of the
도 8 내지 도 10은 2개의 로드체인(50-1,50-2)이 사용되는 예를 보인 것이다. 즉, 제1,2로드체인(50-1,50-2)은 각각 제1,2체인시브(20,30)와 함께 구성되어진다.8 to 10 show an example in which two load chains 50-1 and 50-2 are used.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rod chains 50-1 and 50-2 are configured together with the first and second chain sheaves 20 and 30, respectively.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1,2로드체인(50-1,50-2)의 단부 총 4개소가 테이블폼(2)의 4개소에 연결되므로 테이블폼(2)의 크기에 상관없이 테이블폼(2)을 안정적으로 인양할 수 있다.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since the fou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load chains 50-1 and 50-2 are connected to four places of the
제1,2로드체인(50-1,50-2)이 적용되는 경우 제1,2로드체인(50-1,50-2)은 하나의 구동모터(40)에 의해 구동될 수도 있고 각각의 구동모터에 의해 개별적으로 구동될 수도 있다.When the first and second load chains 50-1 and 50-2 are applied, the first and second load chains 50-1 and 50-2 may be driven by one driving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호이스트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ic hoi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호이스트의 동력전달수단의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of the electric hoi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호이스트의 동력전달수단을 보인 정면도.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of the electric hoi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호이스트의 측면도.4 is a side view of the electric hoi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호이스트의 작동 상태도. 5a to 5d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electric hoi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호이스트의 작동을 보인 개념도.6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hoi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호이스트에 인양대가 적용된 도면.7 is a drawing applied to the lifting hoist in the electric hoi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호이스트에 2개의 로드체인이 적용된 예시도.8 to 10 is an exemplary diagram in which two load chains are applied to the electric hoi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Sign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 : 크레인, 2 : 테이블폼1: Crane, 2: Table Form
10 : 케이스, 20,30 : 체인시브10: case, 20,30: chain sheave
40 : 구동모터, 50 : 로드체인40: drive motor, 50: load chain
60 : 인양대,60: lifting table,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93552A KR101048036B1 (en) | 2009-09-30 | 2009-09-30 | Electric hois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93552A KR101048036B1 (en) | 2009-09-30 | 2009-09-30 | Electric hois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35727A KR20110035727A (en) | 2011-04-06 |
KR101048036B1 true KR101048036B1 (en) | 2011-07-13 |
Family
ID=44044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93552A KR101048036B1 (en) | 2009-09-30 | 2009-09-30 | Electric hois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48036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882724B1 (en) | 2020-08-10 | 2021-01-05 | Wired Specialty Equipment, LLC | Redundant multi-point chain hoist apparatu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4015933A1 (en) * | 2014-10-30 | 2016-05-04 | Gks Stahl- Und Maschinenbau Gmbh | Load handling device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67475U (en) * | 1993-03-09 | 1994-09-22 | 株式会社金澤製作所 | Hanging equipment |
KR100482583B1 (en) * | 2002-11-15 | 2005-04-1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 balance adjusting device of a chain hoist |
-
2009
- 2009-09-30 KR KR1020090093552A patent/KR10104803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67475U (en) * | 1993-03-09 | 1994-09-22 | 株式会社金澤製作所 | Hanging equipment |
KR100482583B1 (en) * | 2002-11-15 | 2005-04-1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 balance adjusting device of a chain hoist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882724B1 (en) | 2020-08-10 | 2021-01-05 | Wired Specialty Equipment, LLC | Redundant multi-point chain hoist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35727A (en) | 2011-04-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592997B2 (en) | Guide rail installation arrangement and a method for installing guide rails | |
JPH0821100A (en) | Heavy hoist device, and carrying method of constructing material using this device | |
KR20070116222A (en) | Clamp for a construction apparatus | |
CN106241618A (en) | A kind of curtain wall profiles boom hoisting | |
JP6883343B2 (en) | Anti-scattering curing system and anti-scattering curing method | |
KR101370981B1 (en) | Cage rail climbing system | |
KR101048036B1 (en) | Electric hoist | |
US3223199A (en) | Scaffolding hoist | |
CN202379620U (en) | Lifting and operating platform comprehensive equipment | |
JP5958764B2 (en) | Lifting device, lifting method and building demolition method | |
CN102518335A (en) | Crane lifting and operation platform comprehensive equipment | |
CN107792802A (en) | A kind of small members movement and mounting system and method | |
KR100716454B1 (en) | Multiple curtain walls hoisting device and curtain wall establishing method using thereof | |
JP2013218102A (en) | Frame for movable equipment for safety experience | |
KR101976724B1 (en) | Method for installing elevator guide rails without a machine room | |
JP6718393B2 (en) | Mechanism for suspending and removing concrete slabs from the ceiling of tunnels | |
JP2012001894A (en) | Continuous lifting device | |
JP4353343B2 (en) | Large elevating stage, lifting method and reverse driving method using the same | |
JP6718391B2 (en) | How to suspend and remove concrete slabs | |
JP6174436B2 (en) | High-rise building demolished material transfer method and transfer equipment | |
JP5948828B2 (en) | Lifting device used for assembling cargo lift for building demolition work, cargo lift for building demolition work,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 |
JPH10140839A (en) | Device for vertically hoisting form material and pipe support | |
JP6718392B2 (en) | How to suspend and remove concrete slabs | |
JPH05113026A (en) | Temporary scaffold structure | |
JP6438081B2 (en) | High-rise building demolished material transfer method and transfer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