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7516B1 - 현악기의 소음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현악기의 소음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7516B1
KR101047516B1 KR1020090120808A KR20090120808A KR101047516B1 KR 101047516 B1 KR101047516 B1 KR 101047516B1 KR 1020090120808 A KR1020090120808 A KR 1020090120808A KR 20090120808 A KR20090120808 A KR 20090120808A KR 101047516 B1 KR101047516 B1 KR 101047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instrument
human body
cable
instrument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0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4290A (ko
Inventor
안정모
Original Assignee
안정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정모 filed Critical 안정모
Priority to KR1020090120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7516B1/ko
Publication of KR20110064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4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7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7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21Physical
    • G10K2210/3224Passive absor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현악기의 소음방지장치는 케이블을 통해 앰프와 연결한 현악기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에 접속되는 단자와, 상기 단자와 도선으로 연결되어 도체 역할을 하는 인체와 접촉시켜 케이블에서 발현되는 전기 저항을 접지시키는 접지부로 구성한다.
현악기, 앰프, 접지, 하우링, 소음

Description

현악기의 소음방지 장치{NOISE PREVENTION APPARATUS IN A STRINGED INSTRUMENT}
본 발명은 현악기의 소음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현악기에 음향을 증폭시키는 앰프를 연결 설치시 현악기와 연결된 케이블에서 발현되는 전기 저항을 접지를 통해 감소시킴으로써, 앰프에서 발현되는 공명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현악기의 소음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악기(絃樂器)는 줄(string)의 진동을 발음체로 하는 악기를 총칭한다.
상기 현악기는 줄을 건드리면 그 떨림이 공명통으로 전달되어서 소리가 발생된다.
상기 현악기는 발음하는 방법에 따라 타현악기, 발현악기, 찰현악기의 3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상기 타현악기는 피아노, 양금과 같이 현을 치는 악기를 말하며, 발현악기는 기타, 하프와 같이 손가락이나 피크(pick)에 의하여 현을 튕겨서 소리내는 악기를 말하다. 그리고 찰현악기는 궁현악기라고도 하는 것으로 활로 현을 문질러서 발음하는 바이올린, 첼로, 비올라 등을 말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현악기는 넓은 장소에서 연주를 할 때 현악기의 자체 공명통에서 울려 나오는 음량만으로는 멀리까지 그 음을 전달할 수가 없으므로 그 동안은 넓은 장소에 운집한 많은 사람들 앞에서 현악기를 연주할 때는 앰프와 연결된 마이크를 현악기 앞에 놓고 연주를 하여 그 음이 마이크와 앰프를 통해 스피커로 확성되도록 하였다.
상기 앰프는 내장형과 외장형으로 나뉘는데, 주로 고출력 또는 높은 음향 효과를 위한 외장형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스피커는 사각 형상의 케이스에 음향을 송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가능하도록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현악기 10와 앰프 20와의 설치 상태는 아래과 같으며, 편의상 현악기 10 중 기타(guitar)를 예시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현악기 10의 울림통 11에는 잭홀 12이 마련된다.
그리고, 잭홀 12에는 전기적인 음향 신호를 앰프에 연결하도록 케이블 30 양단에 마련되어 잭홀에 삽입되는 마이크잭 31과, 앰프 20에 결합되는 연결잭 32이 마련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장치는 현악기 10의 잭홀 12에 마이크잭 31을 결합하고, 연결잭 32을 앰프 20에 연결하여 마이크를 통해 전송되는 전기적인 음향신호를 증 폭된 음향을 앰프를 통해 발생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현악기 10와 앰프 20는 연결잭 32을 앰프에 연결한 상태에서 마이크잭 31을 현악기 10의 잭홀 12에 연결하게 되면 케이블 30 및 마이크잭 31의 누적 전기 저항 또는 정궤환(正還) 작용에 의해 하울링 의 공명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악기의 음향을 증폭시키기 위해 케이블을 이용하여 앰프에 연결할 때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블에서 분기시킨 단자를 인체로 전도시켜 케이블에서 발생하는 전기 저항을 접지시켜 소음을 방지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에 닿는 접지부를 구리 재질로 적용하여 전도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현악기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악기의 크기, 연주 자세에 맞추어 인체와 보다 쉽게 접지될 수 있도록 접지부를 판 형태로 마련하고 그 표면적 크기 및 모양을 다양하게 마련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접지부를 소형 변형이 가능한 막대 형태로 적용하되, 상기 접지부를 복수개로 마련 후 도선에 병렬 연결하여 상기 접지부를 보다 용이하게 인체에 접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에 착용한 전도성을 갖는 액세서리를 매개체로 인체에 접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목적은 현악기 표면에 전도성 물질을 코팅하여 앰프의 케이블과 연결된 현악기와 인체의 접지 상태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현악기의 소음 방지장치는 케이블을 통해 앰프와 연결한 현악기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에 접속되는 단자와, 상기 단자와 도선으로 연결되어 도체 역할을 하는 인체와 접촉시켜 케이블에서 발현되는 전기 저항을 접지시키는 접지부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접지부는 구리 재질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접지부는 판 형태를 갖도록 하면서 표면적 크기와 모양을 다양하게 마련하여 다양한 현악기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연주 자세에 맞추어 인체에 보다 용이하게 접촉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접지부는 막대 형태로 형성시키고, 상기 막대 형상의 접지부를 하나 이상 구비하여 도선에 병렬로 연결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단자는 집게 형태를 갖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접지부 또는 도선을 인체의 착용한 전도성을 갖는 액세서리에 연결하여 상기 액세서리를 매개체로 하여 인체에 접지시킬 수 있는 것 이 더 포함된다.
본 발명의 현악기의 소음방지장치는 케이블을 통해 앰프와 연결한 현악기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이 결합되는 현악기의 잭홀에 전도성 물질 접속시킨 다음 현악기의 표면으로 인출되게 코팅하여 전도성 물질을 인체에 접촉시켜 접지하도록 구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현악기의 소음 방지장치는 현악기와 앰프를 케이블로 연결 후 전기적 연결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 저항 또는 정궤환(正還) 작용에 의해 공명 소음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블과 접속시켜 상기 케이블에서 누적된 전기 저항값을 전류의 양에 관계없이 "0" 볼트(V)로 유지시키는 접지를 행하여 낮은 전위를 유지토록 함에 따라 앰프에서 발생하는 공명 소음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현악기의 소음 방지장치는 인체에 전류를 전도시키는 접지부를 전기 전도율이 뛰어난 금속재질 중 구리 재질로 적용하여 인체와의 전도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접지 상태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현악기의 소음 방지장치는 현악기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악기의 크기, 구조에 따라 달라지는 연주 자세에 맞추어 인체와 보다 쉽게 접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현악기의 종류에 따라 나뉘어지는 타현악기, 발현악기 및 찰현악기 등 현악기 구조에 따라 달라지는 연주자세에 맞추어 보다 인체에 쉽게 접지되도록 접지부를 판 형태로 마련하고 그 표면적 크기 및 모양을 다양하게 마련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손쉽고 안정적으로 인체와의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현악기의 소음 방지장치는 인체와 접촉되는 접지부를 소형 변형이 가능한 막대 형태로 적용하되, 상기 접지부를 복수개로 마련 후 도선에 병렬 연결하여 상기 접지부를 형상 변형을 가능하도록 하여 원하는 인체의 해당 부위에 보다 쉽게 접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음방지장치로 인하여 연주에 집중하고 방해받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현악기의 소음 방지장치는 인체에 착용한 전도성을 갖는 액세서리를 매개체로 인체에 접지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보다 다양한 접지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현악기의 소음 방지장치는 현악기 표면에 전도성 물질을 코팅하여 앰프의 케이블과 연결된 현악기와 인체의 접지 상태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3a,b은 본 발명의 현악기 소음 방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현악기 소음 방지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현악기 소음 방지장치의 다른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현악기 소음 방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현악기 소음 방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현악기 10는 편의상 기타로 예시하였으며, 본 발명의 소음방지장치 100는 울림통 11을 갖는 현악기 10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먼저, 도 3a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현악기의 소음방지장치를 적용하기 위한 현악기 10와 앰프 20의 연결 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현악기 10의 울림통 11에는 잭홀 12이 마련된다. 그리고, 잭홀 12에는 전기적인 음향 신호를 앰프 20에 연결하도록 하는 케이블 30이 마련된다.
상기 케이블 30은 일단에 잭홀 12에 결합되어 전기적 신호를 통전시키는 마이크잭 31이 마련되고, 끝단에는 앰프 20에 결합되는 연결잭 32이 마련된다.
이와 같이, 현악기 10의 잭홀 12에는 마이크잭 31을 결합하고, 연결잭 32을 앰프 20에 결합하여 마이크잭 31 선단에 설치한 마이크를 통해 현악기 10 울림통 11에서 발현되는 음향을 마이크에 입력된 전기적인 음향신호가 앰프 20를 통해 증 폭된 음향으로 발현시킨다.
이때, 케이블 30 및 마이크잭 31에서 발현되는 전기 저항 또는 정궤환 작용에 의해 앰프 20를 통하여 공명에 의한 소음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고자, 본 발명의 현악기의 소음방지장치 100를 현악기 10와 연결된 마이크잭 31에 접속시켜 케이블 30에 발생하는 전기 저항값을 인체로 접지시킴으로써, 낮은 전위를 유지토록 하여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현악기의 소음방지장치는 상기 마이크잭 31에 접속되는 단자 110와, 단자 110와 도선 130으로 연결되어 인체에 접지되는 접지부 120로 구성된다.
상기 단자 110는 마이크잭 31 및 도선 130에서 발현되는 저항으로 인해 전위차가 발생하게 되는 현상을 인체로 접지 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단자 110는 마이크잭 31과 보다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집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접지부 120는 상기 단자 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선 130과 연결되고, 도체 역할을 하는 인체와 접촉시켜 마이크잭 31 및 케이블 30에서 발현되는 전류 저항을 전류의 양에 관계없이 0 볼트(V)로 유지시키는 접지를 행하여 낮은 전위를 유지토록 함에 따라 전기 저항 값을 감소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접지(earth)란, 전기회로나 전기기기의 일부를 대지와 도선으로 연결하여 기기의 전위를 대지의 전위와 같은 0으로 유지하는 것을 말하며, 어스라고도 한다.
통상적으로 앰프 20와 연결된 도선 130에서 발생하는 전기 저항은 인체에 전혀 무해한 정도의 적은 전류량이기 때문에 누적된 전류의 접지 형태를 대지가 아닌 인체로 흐르게 하여 케이블 30 및 마이크잭 31에서 발현되는 전류의 전위를 낮게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현악기 10와 앰프 20를 케이블 30로 연결 후 전기적 연결에 의한 전기 저항 또는 정궤환(正還) 작용에 의해 공명 소음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현악기 10와 연결된 케이블 30 또는 마이크잭 31에서 분기시켜 누적된 전기 저항값을 인체로 흐르게 하는 접지를 행하여 케이블 30 및 마이크잭 31에서 발현되는 전류 저항의 전류 양에 관계없이 0 볼트(V)로 유지시키는 접지를 행하여 낮은 전위를 유지토록 함에 따른 전기 저항을 감소시킴으로써, 앰프 20에서 발생하는 공명 소음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접지부 120는 인체에 전류를 전도시키는 접지부 120를 전기 전도율이 뛰어난 금속재질 중 구리 재질로 적용하여 인체와의 전기 전도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접지 효과적인 상태를 마련하여 저항값을 최대한 낮추어 소음 방지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지부 120는 판 형태를 갖도록 하면서 표면적의 크기와 모양을 다양하게 마련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현악기 10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연주 자세에 맞추어 인체에 보다 용이하게 접촉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현악기 10는 종류에 따라 악기의 크기, 구조가 다양하고, 그에 따른 연주자세가 달라 접지부 120의 접지 상태와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
먼저, 현악기 10는 발음하는 방법에 따라 타현악기, 발현악기, 찰현악기의 3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상기 타현악기는 피아노 양금과 같이 현을 치는 악기 말하고, 발현악기는 기타, 하프와 같이 손가락이나 피크에 의하여 현을 튕겨 소리내는 악기를 말하며, 찰현악기는 궁현악기라고도 하는 것으로 활로 현을 문질러서 발음하는 바이올린, 첼로, 비올라 등을 말한다.
통상적으로 타현악기와 발현악기 및 찰현악기는 각 악기의 구조가 달라 연주자세가 다르다.
일반적으로 발현악기 10의 경우 기타, 하프를 연주할 때에는 인체의 복부, 팔, 다리와 악기와 마찰 면적이 많기 때문에 인체와 직접 접지시키기 위한 접지부 120의 배치 상태가 상대적으로 자유롭다.
예를 들어, 기타(Guitar)의 경우 울림통 11의 배면에 접지부 120를 고정시키면 연주자의 복부와 직접 마찰될 수 있으며, 울림통 11의 측면에 접지부 120를 고정시키면 연주자의 팔에 직접 마찰시킬 수 있다.
반대로, 타현악기 10 또는 찰현악기 10의 경우 연주 자세의 공간 제한성 때문에 인체와 마찰면이 적을 수 밖에 없다.
이를 위해 상기 접지부 120는 모든 현악기 10에 적용될 수 있도록 판 형태로 제조하되, 그 크기를 현악기 10 종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도록 하여 연주자와의 접지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연주자의 연주 행위에 간섭받지 않도록 한다.
결국, 현악기 10의 종류에 따라 나뉘어지는 타현악기 10, 발현악기 10, 찰현 악기 10 및 상기 현악기 10 구조에 따라 달라지는 연주자세에 맞추어 보다 인체에 쉽게 접지되도록 접지부 120를 판 형태로 마련하고 그 표면적 크기 및 모양을 다양하게 마련할 수 있도록 하여 소음방지장치 100의 장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바이올린(Violin)과 같이 연주 움직임이 활동적이고, 인체와의 접지 면적이 작아 접지 상태가 불안정할 경우를 대비하여 접지부 120의 다른 실시예를 적용하기로 한다.
상기 접지부 120는 막대 형태로 형성시키고, 상기 막대 형상의 접지부 120를 하나 이상 구비하여 도선 130에 병렬로 연결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접지부 120를 소형 변형이 가능한 막대 형태로 적용하되, 상기 접지부 120를 복수개로 마련 후 도선 30에 병렬 연결하여 상기 접지부 120를 자유로운 형상 변형을 가능하도록 하여 원하는 인체의 해당 부위에 보다 쉽게 마찰 또는 파지시켜 접지 상태의 유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도선 130과 접지부 120를 인체에 착용한 전도성을 갖는 액세서리에 연결하여 상기 액세서리를 매개체로 이용하여 인체에 접지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보다 다양한 접지 방법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 30이 결합되는 현악기 10의 잭홀 12에 전도성 물질 140 접속시킨 다음 현악기 10의 표면에 코팅하되, 자유로운 방향으로 인출하여 전도성 물질 140을 인체에 접촉시켜 접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악기 10 표면에 전도성 물질 140에 의해 현악기 10와 인체의 접지 상태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저오디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현악기와 앰프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현악기와 앰프의 케이블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3a,b은 본 발명의 현악기 소음 방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현악기 소음 방지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현악기 소음 방지장치의 다른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현악기 소음 방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현악기 소음 방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현악기 11 : 울림통
12 : 잭홀 20 : 앰프
30 : 케이블 31 : 마이크잭
32 : 연결잭 100 : 소음방지 장치
110 : 단자 120 : 접지부
130 : 도선 140 : 전도성 물질

Claims (7)

  1. 케이블을 통해 앰프와 연결한 현악기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에 접속되는 단자와,
    상기 단자의 도선으로 연결되어 도체 역할을 하는 인체와 접촉시켜 케이블에서 발현되는 전기 저항을 접지시키는 접지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의 소음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구리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의 소음 방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판 형태를 갖도록 하면서 표면적 크기와 모양을 다양하게 마련하여 다양한 현악기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연주 자세에 맞추어 인체에 보다 용이하게 접촉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의 소음 방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막대 형태로 형성시키고, 상기 막대 형상의 접지부를 하나 이상 구비하여 도선에 병렬로 연결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의 소음 방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집게 형태를 갖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의 소음 방지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 또는 도선을 인체의 착용한 전도 성질을 갖는 액세서리에 연결하여 상기 액세서리를 매개체로 하여 인체에 접지시킬 수 있는 것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의 소음 방지장치.
  7. 케이블을 통해 앰프와 연결한 현악기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이 결합되는 현악기의 잭홀에 전도성 물질 접속시킨 다음 현악기의 표면으로 인출되게 코팅하여 전도성 물질을 인체에 접촉시켜 접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의 소음방지장치.
KR1020090120808A 2009-12-07 2009-12-07 현악기의 소음방지 장치 KR101047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808A KR101047516B1 (ko) 2009-12-07 2009-12-07 현악기의 소음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808A KR101047516B1 (ko) 2009-12-07 2009-12-07 현악기의 소음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290A KR20110064290A (ko) 2011-06-15
KR101047516B1 true KR101047516B1 (ko) 2011-07-08

Family

ID=44397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0808A KR101047516B1 (ko) 2009-12-07 2009-12-07 현악기의 소음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75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4263A (ko) 2020-11-11 2022-05-18 (주)트루시스템 무선 기술을 이용한 악기 연주음 감소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0919B1 (ko) * 1988-05-02 1992-12-24 가시오 게이상기 가부시끼가이샤 전자 현악기
US20040159225A1 (en) * 2003-01-14 2004-08-19 Barr Damon A. Sound pickup system for acoustic string instruments
US20040261607A1 (en) * 2003-01-09 2004-12-30 Juszkiewicz Henry E. Breakout box for digital guita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0919B1 (ko) * 1988-05-02 1992-12-24 가시오 게이상기 가부시끼가이샤 전자 현악기
US20040261607A1 (en) * 2003-01-09 2004-12-30 Juszkiewicz Henry E. Breakout box for digital guitar
US20040159225A1 (en) * 2003-01-14 2004-08-19 Barr Damon A. Sound pickup system for acoustic string instrumen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4263A (ko) 2020-11-11 2022-05-18 (주)트루시스템 무선 기술을 이용한 악기 연주음 감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290A (ko) 201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5381B1 (ko) 어쿠스틱 전자 겸용 바이올린족 현악기
US5403972A (en) Drum rhythms trigger pads mounted on body and neck of guitar-shaped housing
JP5930310B2 (ja) 電子弦楽器
JP4702188B2 (ja) 電気弦楽器
US9064483B2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d converting frequencies on electrical stringed instruments
CN101896793B (zh) 用于弦乐器的静电拾音的方法和装置
US10115384B2 (en) Pickup apparatus for musical instrument
US9466277B1 (en) Adjustable directivity acoustic pickup for musical instruments
US7473098B1 (en) Rotatable audio and musical instrument cable
KR101047516B1 (ko) 현악기의 소음방지 장치
JP2006030406A (ja) ピックアップ付き駒および弦楽器
JP2005010535A (ja) 弦楽器用駒および弦楽器
US20040159225A1 (en) Sound pickup system for acoustic string instruments
WO2021100472A1 (ja) 演奏操作装置および鍵盤楽器
US9495948B2 (en) Piezoelectric pickup and cell for stringed instruments
JP2009139730A (ja) 楽音信号出力装置および弦楽器
JPS60166992A (ja) 弦楽器のための多音運指法の分析装置
WO2017046843A1 (ja) ピックアップ及びピックアップを備えた弦楽器
JP6387586B2 (ja) 電子弦楽器
JP3176690U (ja) ギターの電気信号取り出し機構
JP5394755B2 (ja) 楽器の弦アース回路遮断器
JP5834301B2 (ja) 弦楽器
US20230009778A1 (en) Shapeable Stringed Instrument Saddle containing a Plurality of Electrically Independent Transducers
JP6341354B2 (ja) 電子弦楽器
JP4508899B2 (ja) マイクロホンおよびマイクケ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