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7329B1 - 안테나 커넥터 - Google Patents

안테나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7329B1
KR101047329B1 KR1020090064937A KR20090064937A KR101047329B1 KR 101047329 B1 KR101047329 B1 KR 101047329B1 KR 1020090064937 A KR1020090064937 A KR 1020090064937A KR 20090064937 A KR20090064937 A KR 20090064937A KR 101047329 B1 KR101047329 B1 KR 101047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in
elastic body
antenna
contact
antenna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4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8115A (ko
Inventor
문상혁
안동호
이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비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비텍
Priority to KR1020090064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7329B1/ko
Publication of KR20110008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7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7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02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anten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테나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커넥터는, 안테나 방사체와 메인보드상의 급전회로를 연결하는 안테나 커넥터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안테나 방사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안테나 방사체를 지지고정하기 위해 형성된 프레임의 내부를 관통하며 하부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컨택트 핀과; 일단이 상기 급전회로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컨택트 핀과 억지끼움방식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탄성체를 구비하는 제 2 컨택트 핀;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프레임의 내부를 관통하여 수직접점구조를 형성하는 제 1 컨택트핀과 상기 제 1 컨택트 핀과 억지끼움방식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탄성체를 구비하는 제 2 컨택트 핀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접점이 형성되어 안테나 성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부품 수를 줄임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안테나 커넥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안테나커넥터, 제 1 컨택트 핀, 제 2 컨택트 핀, 걸림부재, 걸림턱, 탄성체

Description

안테나 커넥터 { Antenna connector }
본 발명은 안테나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테나 방사체를 지지고정하기 위해 형성된 프레임의 내부를 관통하는 수직접점구조를 형성하여 안정적으로 접점이 형성되어 안테나 성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부품 수를 줄임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안테나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종래의 안테나 방사체 일단에 연결되어 탄성구조의 접점구조를 갖는 안테나 커넥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상기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안테나 커넥터(10)는 안테나 방사체(11)와 메인보드상의 접점패드(12)사이에서 상기 안테나 방사체의 일단에 연결되어 탄성력을 받는 구조로 형성되는 커넥터 핀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종래의 안테나 방사체(11) 일단에 연결되어 탄성구조의 접점구조를 갖는 커넥터 핀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긴 경우에 탄성이 약해서 불안정한 접점을 형성하고 조립공차에 따른 불량률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메인보드상의 접점패드(12) 위치에 따라 디자인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제약을 받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b는 종래의 프레임의 내부를 관통하는 종래의 안테나 커넥터(20)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안테나 커넥터(20)는 안테나(21)와 메인보드상의 접점패드(22)사이에서 프레임의 내부를 관통하는 수직접점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포고핀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종래의 포고핀을 이용하여 수직접점구조를 형성하는 안테나 커넥터(20)는, 내부 스프링의 작동불량과 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접점불량이 발생하는 빈도수가 높고 장기간 사용시에 메인보드상에 형성되는 접점패드(22)가 마모되기 때문에 전류의 흐름이 균일하지 못하여 통화품질이 저하되고 부품수가 늘어나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안테나 방사체와 단말기의 메인보드상의 급전회로를 연결하는 안테나 커넥터에 있어서 프레임의 내부를 관통하는 수직접점구조를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접점이 형성되어 안테나 성능을 향상시키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현실적이고 활용도가 높은 안테나 커넥터에 관한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프레임의 내부를 관통하여 수직접점구조를 형성하는 제 1 컨택트핀과 상기 제 1 컨택트 핀과 억지끼움방식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탄성체를 구비하는 제 2 컨택트 핀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접점이 형성되어 안테나 성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부품 수를 줄임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안테나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커넥터는, 안테나 방사체와 메인보드상의 급전회로를 연결하는 안테나 커넥터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안테나 방사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안테나 방사체를 지지고정하기 위해 형성된 프레임의 내부를 관통하며 하부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컨택트 핀과; 일단이 상기 급전회로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컨택트 핀과 억지끼움방식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탄성체를 구비하는 제 2 컨택트 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프레임의 내부를 관통하여 수직접점구조를 형성하는 제 1 컨택트핀과 상기 제 1 컨택트 핀과 억지끼움방식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탄성체를 구비하는 제 2 컨택트 핀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접점 이 형성되어 안테나 성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부품 수를 줄임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안테나 커넥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커넥터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프레임의 상부면상에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지점을 경유하여 전도성패턴으로 형성되는 안테나 방사체와 메인보드상의 급전회로를 연결하는 안테나 커넥터에 있어서, 일단에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지점을 경유하는 전도성패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을 가지는 금속도체로 형성되며, 상기 안테나 방사체를 지지고정하기 위해 형성된 프레임의 내부를 관통하며 하부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컨택트 핀과; 일단이 상기 급전회로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컨택트 핀과 억지끼움방식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탄성체를 구비하는 제 2 컨택트 핀;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탄성체는, 수직하방으로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컨택트 핀과 상호 반발력이 작용하며 억지끼움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 2 컨택트 핀은 하단부에 내측을 향하도록 하향 절곡되는 판스프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보드상의 급전회로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택트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탄성체는 상기 탄성체를 이루는 수직면상의 소정부위가 슬롯팅되어 특정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컨택트 핀은, 상기 제 1 컨택트 핀과 상기 탄성체가 억지끼움으로 결합할 경우에 상기 탄성체에 형성된 걸림부재가 체결되어 상기 제 1 컨택트 핀과 상기 탄성체 상호간의 체결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탄성체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앰보형 돌출부를 형성하여,상기 탄성체와 상기 제 1 컨택트 핀이 상호간에 서로 결합할 때 상기 앰보형 돌출부가 상기 제 1 컨택트 핀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밀착 고정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커넥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커넥터(100)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프레임의 상부면상에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지점을 경유하여 전도성패턴으로 형성되는 안테나 방사체(101)와 메인보드상의 급전회로를 연결하기 위하여, 일단이 상기 안테나 방사체(10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컨택트 핀(110)과, 상단부에 상기 제 1 컨택트 핀(110)과 억지끼움방식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원통형의 탄성체(121)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체(121)의 하측이 연장되어 하단부에 내측을 향하도록 하향 절곡되는 판스프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보드상의 급전회로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택트부(122)를 구비하는 제 2 컨택트 핀(120)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컨택트 핀(110)은 일단에 관통홀이 형성된 지점을 경유하는 전도성패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을 가지는 금속도체로 형성되며 상기 안테나 방사체(101)를 지지고정하기 위해 형성된 프레임(102)의 내부를 관통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102)에 구비된 관통홀을 통과하며 상기 프레임의 하부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컨택트 핀(120)에 구비되는 원통형의 탄성체(121)는 상기 원통형의 탄성체(121)를 이루는 수직면상의 소정부위가 슬롯팅되어 외주면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걸림부재(121-1)와 외주면에 형성된 앰보형 돌출부(121-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컨택트 핀(110)은, 상기 제 1 컨택트 핀(110)의 내부로 상기 원통형의 탄성체(121)가 삽입되어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할 경우에 상기 원통 형의 탄성체(121)에 형성된 걸림부재(121-1)가 체결되어 상기 제 1 컨택트 핀(110)과 상기 원통형의 탄성체(121) 상호간의 체결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111)을 내주면에 구비한다.
또한, 상기 원통형의 탄성체(121) 외주면에 형성되는 앰보형 돌출부(121-2)는 상기 원통형의 탄성체(121)와 상기 제 1 컨택트 핀(110)이 상호간에 서로 결합할 때 상기 제 1 컨택트 핀(110)의 내주면에 밀착 고정된다.
도 2b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커넥터(100)의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 이다.
도 2b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커넥터(100)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2 컨택트 핀(100)에 구비되는 원통형의 탄성체(121)는 상기 원통형의 탄성체(121)를 이루는 수직면상의 소정부위가 슬롯팅되어 외주면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걸림부재(121-1)와 외주면에 형성된 앰보형 돌출부(121-2)가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컨택트 핀(110)은 상기 제 2 컨택트 핀(120)에 구비되는 원통형의 탄성체(121)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하여 중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컨택트 핀(110)과 상기 원통형의 탄성체(121) 상호간의 체결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111)을 내주면에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컨택트 핀(110)의 내부로 상기 제 2 컨텍트 핀(120)에 구비되는 원통형의 탄성체(121)가 삽입되어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되면, 상기 걸림부 재(121-1)와 상기 걸림턱(111)이 체결됨과 동시에 상기 원통형의 탄성체(121) 외주면에 형성되는 앰보형 돌출부(121-2)가 상기 제 1 컨택트 핀(110)의 내주면에 밀착 고정되어 상기 제 1 컨택트 핀(110)과 상기 원통형의 탄성체(121) 상호간의 체결이탈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컨텍트 핀(110)과 상기 제 2 컨택트 핀(120)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안정적인 결합을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원통형의 탄성체(121)가 상기 제 1 컨택트 핀(120)의 내부로 삽입결합 될 때 상기 원통형의 탄성체(121)는 상기 제 1 컨택트 핀(120)과 상호간에 반발력이 작용하며 수축되어 억지끼움방식으로 서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원통형의 탄성체(121)는 수직하방으로 절개부(123)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커넥터(100)는, 프레임의 내부를 관통하여 수직접점구조를 형성하는 제 1 컨택트핀(110)과 상기 제 1 컨택트 핀(110)과 억지끼움방식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원통형의 탄성체(121)를 구비하는 제 2 컨택트(120) 핀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접점이 형성되어 안테나 성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부품 수를 줄임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안테나 커넥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커넥터(200)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커넥터(200)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프레임의 상부면상에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지점을 경유하여 전도성패턴으로 형성되는 안테나 방사체(201)와 메인보드상의 급전회로를 연결하기 위하여, 일단이 상기 안테나 방사체(20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컨택트 핀(210)과, 상단부에 상기 제 1 컨택트 핀(210)과 억지끼움방식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사각통 형상의 탄성체(221)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체(221)의 하측이 연장되어 하단부에 내측을 향하도록 하향 절곡되는 판스프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보드상의 급전회로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택트부(222)를 구비하는 제 2 컨택트 핀(220)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컨택트 핀(210)은 일단에 관통홀이 형성된 지점을 경유하는 전도성패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을 가지는 금속도체로 형성되며 상기 안테나 방사체(201)를 지지고정하기 위해 형성된 프레임(202)의 내부를 관통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202)에 구비된 관통홀을 통과하며 상기 프레임의 하부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컨택트 핀(120)에 구비되는 사각통 형상의 탄성체(221)는 상기 사각통 형상의 탄성체(221)를 이루는 수직면상의 소정부위가 슬롯팅되어 내주면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걸림부재(221-1)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컨택트 핀(210)은, 상기 제 1 컨택트 핀(210)이 상기 사각통 형상의 탄성체(221) 내부로 삽입되어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할 경우에 상기 사각통 형상의 탄성체(221)에 형성된 걸림부재(221-1)가 체결되어 상기 제 1 컨택트 핀(210)과 상기 사각통 형상의 탄성체(221) 상호간의 체결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211)을 타단에 구비한다.
도 3b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커넥터(200)의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 이다.
도 3b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커넥터(200)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2 컨택트 핀(220)에 구비되는 사각통 형상의 탄성체(221)는, 내부에 상기 제 1 컨택트 핀(210)을 수용하기 위하여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사각통 형상의 탄성체(221)를 이루는 수직면상의 소정부위가 슬롯팅 되어 내주면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걸림부재(221-1)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2b에 도시된 앰보형 돌출부가 상기 탄성체(221)의 내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탄성체(221)와 상기 제 1 컨택트 핀(210)을 밀착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제 1 컨택트 핀(210)은 상기 제 1 컨택트 핀(210)과 상기 사각통 형상의 탄성체(221) 상호간의 체결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211)을 타단에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컨택트 핀(210)이 상기 제 2 컨텍트 핀(220)에 구비되는 사각통 형상의 탄성체(221) 내부로 삽입되어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되면, 상기 걸림부재(221-1)와 상기 걸림턱(211)이 체결되어 상기 제 1 컨텍트 핀(210)과 상기 사각통 형상의 탄성체(221) 상호간의 체결이탈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컨택트 핀(210)과 상기 제 2 컨택트 핀(220)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안정적인 결합을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사각통 형상의 탄성체(221) 내부로 상기 제 1 컨택트 핀(210)이 삽입결합 될 때 상기 사각통 형상의 탄성체(221)는 상기 제 1 컨택트 핀(210)과 상호간에 반발력이 작용하며 팽창되어 억지끼움방식으로 서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사각통 형상의 탄성체(221)는 수직하방으로 절개부(223)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커넥터(200)는, 프레임의 내부를 관통하여 수직접점구조를 형성하는 제 1 컨택트핀(210)과 상기 제 1 컨택트 핀(210)과 억지끼움방식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사각통 형상의 탄성체(221)를 구비하는 제 2 컨택트 핀(220)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접점이 형성되어 안테나 성 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부품 수를 줄임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안테나 커넥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하게 대처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도 1a는 종래의 안테나 커넥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1b는 종래의 안테나 커넥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커넥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커넥터의 분해사시도
도 2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커넥터의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커넥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커넥터의 분해사시도
도 3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커넥터의 단면도
*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설명 *
10, 20, 100, 200 : 안테나 커넥터 11, 21, 101, 201 : 안테나 방사체
12, 22 : 접점패드 102, 202 : 프레임
110, 210 : 제 1 컨택트 핀 111, 211 : 걸림턱
120, 220 : 제 2 컨택트 핀 121, 221 : 탄성체
121-1, 221-1 : 걸림부재 121-2 : 앰보형 돌출부
122, 222 : 컨택트 부 123, 223 : 절개부

Claims (5)

  1. 관통홀을 포함하는 프레임의 상부면상에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지점을 경유하여 전도성패턴으로 형성되는 안테나 방사체와 메인보드상의 급전회로를 연결하는 안테나 커넥터에 있어서,
    일단에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지점을 경유하는 전도성패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을 가지는 금속도체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에 구비된 관통홀을 통과하며 상기 프레임의 하부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컨택트 핀과;
    일단이 상기 급전회로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컨택트 핀을 내부에 수용하는 방식 또는 상기 제 1 컨택트 핀의 내부에 수용되는 방식 중 어느 한 방식을 선택하여 상기 제 1 컨택트핀과 억지끼움 결합되도록 내부에 중공부를 구비한 금속도체로 형성되는 탄성체를 상단부에 구비하는 제 2 컨택트 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컨택트 핀은,
    상기 탄성체의 하측이 연장되어 내측을 향하도록 하향 절곡되는 판스프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보드상의 급전회로와 탄성력을 받으며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택트부를 하단부에 구비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제 1 컨택트 핀을 내부에 수용하는 경우 또는 상기 제 1 컨택트 핀의 내부에 수용되는 경우에 신축이 가능하고 상기 제 1 컨택트 핀과 상호 반발력이 작용하여 고정되도록 수직하방으로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체를 이루는 수직면상의 소정부위가 슬롯팅되어 내주면 또는 외주면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컨택트 핀과 상기 탄성체가 억지끼움으로 결합할 경우에 상기 탄성체에 형성된 걸림부재가 체결되어 상기 제 1 컨택트 핀과 상기 탄성체 상호간의 체결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상기 제 1 컨택트 핀 수직면상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탄성체의 수직면상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앰보형 돌출부를 형성하여 상기 탄성체와 상기 제 1 컨택트 핀이 상호간에 서로 결합할 때 상기 앰보형 돌출부가 상기 제 1 컨택트 핀과 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90064937A 2009-07-16 2009-07-16 안테나 커넥터 KR101047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937A KR101047329B1 (ko) 2009-07-16 2009-07-16 안테나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937A KR101047329B1 (ko) 2009-07-16 2009-07-16 안테나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115A KR20110008115A (ko) 2011-01-26
KR101047329B1 true KR101047329B1 (ko) 2011-07-07

Family

ID=43614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4937A KR101047329B1 (ko) 2009-07-16 2009-07-16 안테나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73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180B1 (ko) * 2012-08-09 2013-04-05 오재준 작업성, 안정성 및 가공성이 향상된 단자대 및 이를 포함하는 컨트롤 박스
CN112510357B (zh) * 2020-11-25 2024-01-19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天线组件及无线耳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548Y1 (ko) * 2006-06-08 2006-08-22 이은주 알 에프 커넥터
KR100651882B1 (ko) * 2005-08-25 200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통신단말장치 안테나의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882B1 (ko) * 2005-08-25 200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통신단말장치 안테나의 커넥터
KR200424548Y1 (ko) * 2006-06-08 2006-08-22 이은주 알 에프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115A (ko) 201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8629B2 (en) Connector
US7435102B2 (en) Interconnecting electrical devices
US9620900B2 (en) Coaxial connector with floating mechanism
US7690925B2 (en) Terminal assembly with pin-retaining socket
US9172194B2 (en) Coaxial connector plug
US9350091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conductive terminal thereof
JP5218490B2 (ja) 同軸コネクタプラグ
CN113054472B (zh) 基板配合连接器
JP2015138645A (ja) 同軸コネクタプラグ
CN113054473B (zh) 基板配合连接器
US20180342817A1 (en) Metal leaf spring structure of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US8105117B2 (en) Spring connector and terminal device
KR101047329B1 (ko) 안테나 커넥터
US20140335706A1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047327B1 (ko) 안테나 커넥터 장치
US10446945B2 (en) Metal leaf spring structure of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KR200356488Y1 (ko) 내장형 안테나의 터미널 구조
KR102006853B1 (ko) 전원 공급용 터미널 단자
CN104733888B (zh) 内置型天线连接器及移动终端设备
KR101886082B1 (ko) 전자회로기판 압입형 커넥터의 체결유닛
JP2018078078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付き電子部品
KR101558243B1 (ko) 내장형 안테나 접점구조
JP5647868B2 (ja) 電気接触子及び電気部品用ソケット
KR101528313B1 (ko) 리셉터클 인슐레이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CN110752461A (zh) 一种平行板间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