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6803B1 - 액상물 자동포장기의 저장수조 고정부재 - Google Patents

액상물 자동포장기의 저장수조 고정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6803B1
KR101046803B1 KR1020100043760A KR20100043760A KR101046803B1 KR 101046803 B1 KR101046803 B1 KR 101046803B1 KR 1020100043760 A KR1020100043760 A KR 1020100043760A KR 20100043760 A KR20100043760 A KR 20100043760A KR 101046803 B1 KR101046803 B1 KR 101046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case
bolt
fixing
fix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3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정헌
오동진
Original Assignee
오동진
손정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동진, 손정헌 filed Critical 오동진
Priority to KR1020100043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68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6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6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수조를 포장기 케이스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켜 이동과정에서 저장수조의 분리됨 없이 저장수조와 케이스 전체를 한번에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보다 뛰어난 기밀성을 가지도록 한 액상물 자동포장기의 저장수조 고정부재를 제공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액상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이 형성된 저장수조를 액상물 자동포장기의 케이스 상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액상물 자동포장기의 저장수조 고정부재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조가 끼워지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 내주면에 상기 저장수조의 하단 둘레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테가 걸려지도록 하여 상기 저장수조를 걸림 고정시키는 고정커버와, 상기 케이스의 체결구멍을 관통한 상태에서 끝단은 상기 고정커버의 내면에 용접으로 접합 고정되고, 그 선단은 상기 체결구멍 외부로 노출 구성된 상태에서 너트 체결시켜 상기 고정커버를 상기 케이스에 고정시키는 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볼트의 외경에는 상기 볼트와 상기 체결구멍 사이 틈새를 기밀시키는 패킹이 끼워지며, 상기 고정커버의 상면에는 상기 저장수조와 고정커버 사이 틈새를 기밀시키는 방수-시일이 더 포함되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상물 자동포장기의 저장수조 고정부재{Auto packing machine for liquid product}
본 발명은 액상물 자동포장기의 저장수조 고정부재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저장수조를 포장기 케이스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켜 이동과정에서 저장수조의 분리됨 없이 저장수조와 케이스 전체를 한번에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보다 뛰어난 기밀성을 가지도록 한 액상물 자동포장기의 저장수조 고정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약재 및 녹즙액 등과 같은 액상물은 매 복용시 마다 일일이 달이거나 즙을 내어서 복용하기 보다는 한 번에 다량의 액상물을 추출하여 이를 한번에 먹기에 알맞는 분량으로 나누어 포장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액상물 자동포장기에 의하여 적정량씩 분배되도록 한 다음 낱개의 포장용기에 개별 포장함으로써 항상 일정한 량으로 균일하게 복용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휴대하기가 편리하여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복용할 수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액상물 자동포장기의 구성을 보인 정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자동 포장기는 본체부(110)와, 상기 본체부(110)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한약재나 녹즙액과 같은 액상물이 담수되는 저장수조(112)와 상기 본체부(110)의 케이스 내부로 구획벽에 의해 구획되게 설치되는 작동수단(120)과 상기 작동수단(120)의 하방에 위치되는 이송수단(130) 및 상기 이송수단(130)을 분할 회전시키는 구동수단(140)으로 구성되며, 또한 상기 작동수단(120)은 다수의 포장재를 저장하여 낱개로 공급하는 공급장치(150)와, 포장재의 상단부를 개방하고 이의 개방단부에 일정량의 액상물을 주입하는 액주입부 및 일정량의 액이 주입된 포장재의 개방단부를 실링하는 실링부로 구성되는 것으로 각 구성간의 결합관계 및 작동관계는 일반적인 자동포장기의 기술사상과 동일하다.
상기한 구성들 중에서 저장수조와 자동 포장기의 케이스간의 결합구조는 상기 저장수조를 케이스 상단에 단순히 얹은 다음, 케이스 내부의 연결관을 상기 저장수조의 주입관에 연결시켜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결합구조를 가진 액상물 자동 포장기를 이동시킬 때에는 통상 저장수조를 잡은 상태에서 케이스까지 한번에 들어 이동시키게 되는 데, 이때 이동과정에서 고정커버와 케이스를 연결하는 볼트가 케이스에서 빠져버려 저장수조가 케이스에서 분리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게 되는 데, 이때 저장수조가 분리되면 상기 저장수조에 담겨져 있는 액상물이 외부로 쏟아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장수조를 포장기 케이스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켜 이동과정에서 저장수조의 분리됨 없이 저장수조와 케이스 전체를 한번에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액상물 자동포장기의 저장수조 고정부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두개의 실링부재를 통해 액상물이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액상물 자동포장기의 저장수조 고정부재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액상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이 형성된 저장수조를 액상물 자동포장기의 케이스 상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액상물 자동포장기의 저장수조 고정부재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조가 끼워지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 내주면에 상기 저장수조의 하단 둘레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테가 걸려지도록 하여 상기 저장수조를 걸림 고정시키는 고정커버와, 상기 케이스의 체결구멍을 관통한 상태에서 끝단은 상기 고정커버의 내면에 용접으로 접합 고정되고, 그 선단은 상기 체결구멍 외부로 노출 구성된 상태에서 너트 체결시켜 상기 고정커버를 상기 케이스에 고정시키는 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볼트의 외경에는 상기 볼트와 상기 체결구멍 사이 틈새를 기밀시키는 패킹이 끼워지며, 상기 고정커버의 상면에는 상기 저장수조와 고정커버 사이 틈새를 기밀시키는 방수-시일이 더 포함되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저장수조 둘레면에 고정커버를 씌운 다음, 상기 고정커버를 상기 케이스에 볼트 체결시켜 저장수조를 케이스 상단에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볼트의 끝단은 상기 고정커버의 내면에 용접 접합하고, 상기 볼트의 선단은 케이스를 관통한 상태에서 너트 체결되도록 구성하여 저장수조를 들어올릴 때, 케이스와 함께 들려지도록 구성함으로서 저장수조와 케이스 분리로 인한 액상물의 쏟아짐 없이 액상물 자동포장기를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구현한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액상물 자동 포장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액상물 자동포장기의 저장수조 고정부재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주요구성을 발췌하여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에서는 저장수조를 케이스 상단에 얹혀진 상태에서 그 둘레면에 고정커버를 씌운 다음, 상기 고정커버를 상기 케이스에 볼트 체결시켜 저장수조를 케이스 상단에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볼트의 끝단은 상기 고정커버의 내면에 용접 접합하고, 상기 볼트의 선단은 케이스를 관통한 상태에서 너트 체결되도록 구성하여 저장수조를 들어올릴 때, 케이스와 함께 들려지도록 구성함으로서 저장수조와 케이스 분리로 인해 액상물이 외부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액상물 자동포장기의 저장수조 고정부재를 구현하고자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기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액상물 저장수조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와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저장수조(10)는 원통 형태로 내부에는 액상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12)이 형성되고, 바닥면 중앙에는 저장된 액상물을 액상물 포장재로 주입시키는 주입관(1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저장수조(10)의 하단 둘레면은 둘출테(16)를 일체 연장 형성하여, 저장수조(10)에 고정커버(22)를 끼워넣는 과정에서 돌출테(16)가 고정커버(22)의 구멍(24)에 걸려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저장수조(10)는 액상물 자동 저장기의 케이스(70) 상단에 얹혀진 상태에서 고정부재(20)로 견고히 결합 고정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고정부재(20)는 크게 고정커버(22)와, 볼트(28) 그리고 너트(30)를 포함하며, 이러한 구성의 고정부재(20)는 동일한 구조로 하여 상기 고정커버(22) 둘레를 따라 여러 개를 설치하게 되는 바, 하기에서는 첨부된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하나의 고정부재(20) 구조에 대하여 대표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커버(22)는 케이스(70) 상단에 올려지는 것으로서, 중앙으로는 저장수조(10)가 통과하기 위한 구멍(2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저장수조(10)는 상기 고정커버(22)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하단 둘레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테(16)가 상기 고정커버(22)의 구멍(24)에 걸려지도록 하여 저장수조(10)가 고정커버(20)에 걸려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볼트(28)는 상기 고정커버(20)를 상기 케이스(70)에 고정시키는 수단으로서, 끝단은 상기 고정커버(20)의 내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용접(29)으로 접합 고정되고, 그 선단은 상기 케이스(70)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구멍(72)을 관통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너트(30)는 상기 케이스(70)를 관통한 볼트(28)의 선단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며 상기 볼트(28)를 케이스(70)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한 구조의 고정부재(20)를 통해 액상물 자동포장기를 이동시켜야 할 때, 상기 저장수조(10)를 들어주게 되면, 상기 저장수조(10)의 하단 둘레면이 상기 고정커버(22)의 구멍(24)에 걸려지며 고정커버(22)를 함께 들어주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고정커버(22)와 케이스(70)를 연결하는 볼트(28) 그리고 상기 볼트(28)를 케이스(70)에 고정시키는 너트(30)에 의해 케이스(70) 전체가 함께 들려지게 됨으로서 이동과정에서 저장수조(10)가 케이스(70)에서 분리되어 액상물이 외부로 쏟아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케이스(70)의 체결구멍(72)에 끼워지는 볼트(28)의 외경에는 패킹(32)이 끼워진다. 상기 패킹(32)은 사용과정에서 액상물이나 기타 유체가 상기 볼트(28)와 체결구멍(72) 사이 틈새로 누수되지 않도록 기밀시키게 된다.
또한 전술한 저장수조(10)와 고정커버(22) 사이 틈새에도 방수-시일(26)이 끼워지도록 하여 상기 저장수조(10)와 고정커버(22) 사이 틈새를 기밀시키도록 구성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액상물 자동포장기의 저장수조 고정부재의 작용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먼저, 저장수조(10)를 액상물 자동포장기의 케이스(70) 상면에 얹은 다음, 상기 저장수조(10)의 둘레면에 고정커버(22)를 끼운 다음, 상기 고정커버(22)가 저장수조(10)의 하단 둘레면에 걸려지도록 한 후, 고정커버(22)를 케이스(70) 상면에 올려놓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커버(22)와 저장수조(10) 사이 틈새에는 방수ㅡ시일(26)을 끼워넣어 저장수조(10)와 고정커버(22) 사이 틈새를 기밀시키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케이스(70)의 체결구멍(72)으로 볼트(28)를 관통시켜 상기 볼트(28)의 끝단은 상기 고정커버(22)의 내면에 용접(29) 접합되도록 하고, 상기 볼트(28)의 선단은 상기 케이스(70)의 체결구멍(72) 외부로 노출시킨 다음, 너트(30)를 체결시켜 볼트(28)가 케이스(70)에서 빠져나오지 않도록 함으로서 고정커버(22)를 케이스(70)에 결합 고정시키도록 한다. 이때 상기 볼트(28)의 외경에도 패킹(32)을 끼워넣어 볼트(28)와 체결구멍(72) 사이 틈새를 기밀시키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부재(20)를 이용하여 저장수조(10)를 케이스(70)에 고정시킴에 따라 이동시, 저장수조(10)가 케이스(70)에서 분리되어 액상물이 외부로 쏟아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저장수조(10)를 들어주게 되면 상기 저장수조(10)의 하단 둘레면이 상기 고정커버(22)의 구멍(24) 내주면에 걸려지며 고정커버(22)를 함께 들어주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고정커버(22)와 케이스(70)를 연결하는 볼트(28) 그리고 상기 볼트(28)를 케이스(70)에 고정시키는 너트(30)에 의해 케이스(70) 전체가 함께 들려지게 됨으로서 이동과정에서 저장수조(10)가 케이스(7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저장수조 16: 돌출테
20: 고정부재 22: 고정커버
24: 구멍 26: 방수-시일
28: 볼트 29: 용접
30: 너트 32: 패킹

Claims (1)

  1. 액상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12)이 형성된 저장수조(10)를 액상물 자동포장기의 케이스(70) 상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액상물 자동포장기의 저장수조 고정부재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조(10)의 하단 둘레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돌출테(16)와;
    중앙으로 상기 저장수조(10)가 끼워지기 위한 구멍(24)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24) 내주면에 상기 저장수조(10)의 돌출테(16)가 걸려지도록 하여 상기 저장수조(10)를 걸림 고정시키는 고정커버(22)와;
    상기 케이스(70)의 체결구멍(72)을 관통한 상태에서 끝단은 상기 고정커버(22)의 내면에 용접(29)으로 접합 고정되고, 그 선단은 상기 체결구멍(72) 외부로 노출 구성된 상태에서 너트(30) 체결시켜 상기 고정커버(22)를 상기 케이스(70)에 고정시키는 볼트(28)를 포함하며;
    상기 볼트(28)의 외경에는 상기 볼트(28)와 상기 체결구멍(72) 사이 틈새를 기밀시키는 패킹(32)이 끼워지며;
    상기 고정커버(22)의 상면에는 상기 저장수조(10)와 고정커버(22) 사이 틈새를 기밀시키는 방수-시일(26)이 더 포함되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 자동포장기의 저장수조 고정부재.

KR1020100043760A 2010-05-11 2010-05-11 액상물 자동포장기의 저장수조 고정부재 KR101046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760A KR101046803B1 (ko) 2010-05-11 2010-05-11 액상물 자동포장기의 저장수조 고정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760A KR101046803B1 (ko) 2010-05-11 2010-05-11 액상물 자동포장기의 저장수조 고정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6803B1 true KR101046803B1 (ko) 2011-07-05

Family

ID=44923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3760A KR101046803B1 (ko) 2010-05-11 2010-05-11 액상물 자동포장기의 저장수조 고정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680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9305Y1 (ko) * 1997-03-25 1999-10-15 석영환 액즙 자동포장기의 액즙 소모 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9305Y1 (ko) * 1997-03-25 1999-10-15 석영환 액즙 자동포장기의 액즙 소모 감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07799C2 (ru) Пакет со штуцером, выполненный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наполнения текучим продуктом,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US3905368A (en) Pierceable access port assembly
US10369800B2 (en) Printing fluid container
US10556711B2 (en) Thermo-sealing apparatus for filling and sealing liquid containers
JP4391162B2 (ja) 液体容器の注出装置およびバッグインボックス
JP2015051375A5 (ja) 充填方法および容器、再封止可能部材
ES2776890T3 (es) Procedimiento y sistema para la producción de bebidas
CH637590A5 (it) Complesso miscelatore, contenitore e dosatore.
HUE025038T2 (en) Plastic cap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t
BRPI0905740B1 (pt) &#34;fecho e recipiente&#34;
KR101460080B1 (ko) 충진 노즐
ITBO20060376A1 (it) Apparato per il trattamento di contenitori con prodotti liquidi o in polvere.
EA026284B1 (ru) Соединитель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резерваура с диализным аппаратом,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и наполнения такого соединителя
KR101046803B1 (ko) 액상물 자동포장기의 저장수조 고정부재
KR101426393B1 (ko) 공기유입 차단 기능을 갖는 액상용기
JP5725266B2 (ja) 薬液収納容器
KR101599211B1 (ko) 액상물질용 충진노즐
CN114829264B (zh) 加注装置
KR101455560B1 (ko) 액체 약품의 분배 장치 및 분배 방법
JP2011126606A (ja) 液体薬品用ペール缶
KR20210075034A (ko) 2 개의 용기들을 일시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디바이스
IT201800003313A1 (it) Dispositivo di tappatura di un falcone atto alla conservazione di sostanze da mantenersi separate fino alla loro applicazione ed atto al prelievo della miscela ottenuta tramite siringa.
JP2016052904A (ja) 液体収納容器、外装容器と液体収納容器の組合体、および内容液排出方法
KR101595738B1 (ko) 생맥주 주입방법
JP5893326B2 (ja) 液体コンテ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