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6773B1 - 어깨 받침용 쿠션이 구비된 높이 조절형 베개 - Google Patents

어깨 받침용 쿠션이 구비된 높이 조절형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6773B1
KR101046773B1 KR1020090083117A KR20090083117A KR101046773B1 KR 101046773 B1 KR101046773 B1 KR 101046773B1 KR 1020090083117 A KR1020090083117 A KR 1020090083117A KR 20090083117 A KR20090083117 A KR 20090083117A KR 101046773 B1 KR101046773 B1 KR 101046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cushion
height
shoulder
should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3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4926A (ko
Inventor
김기우
조규원
Original Assignee
왕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왕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왕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3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6773B1/ko
Publication of KR20110024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4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6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6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45Pillows shaped a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e.g. dolls, sound equipments,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베이스(100); 상기 베이스(100)의 상부에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면 중앙에는 삽입공(111)이 형성된 베개 몸체(110); 상기 삽입공(111)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끼워지고, 저면에는 승강판(121)이 설치된 베개 쿠션(120); 상기 베개 쿠션(12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베개 몸체(110)에 내장된 높이조절수단(140); 상기 베개 몸체(110)에 연결끈(150)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면 양측에는 어깨 받침부(131)가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 어깨 받침용 쿠션(130)으로 구성된 것이다.
베개, 쿠션, 높이, 어깨, 캠

Description

어깨 받침용 쿠션이 구비된 높이 조절형 베개{Height adjustable pillow having a shoulder cushion}
본 발명은 어깨 받침용 쿠션이 구비된 높이 조절형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베개의 높이를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간편하게 조절함은 물론, 사용자의 신체부위(어깨 또는 팔)에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시켜 장시간 사용시 보다 건강하고 편안한 숙면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어깨 받침용 쿠션이 구비된 높이 조절형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개의 사전적 의미는 "인체의 머리를 받치는 물건"이며 그 기능에 따라 목에 받치는 경추 베개, 등에 받치는 등 베개, 허리에 받치는 허리 베개 등으로 표현하는바 베개란 "받친다"라는 공통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수면은 매일 반복되어 생명이 지속하는 동안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고, 특히, 신체의 성장과 재생, 생체적 회복, 면역력 강화 및 재충전 등 생명과 건강을 유지하는데 있어서 수많은 작용을 한다는 사실을 고려해 보면, 수면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하여도 지나치지 않다.
이와 같은 수면의 중요성이 인식됨에 따라 숙면을 취하기 위한 수면 환경이 연구되고 있는바, 이상적인 수면 환경 중에서 침구류, 특히, 베개와 요 또는 베개와 침대 매트리스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이하, 인체의 외관상 수면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는 부위를 일반적 관점으로 살펴보면, 머리는 크고 무거우며 그에 비해 목은 가늘고 짧고, 가슴부위는 옆으로 견관절을 통하여 좌우 상지가 위치하여 넓으며, 허리는 일반적으로 가늘지만 비만 상태가 되면 굵어진다.
또한, 둔부는 뒤로 튀어나왔으며 옆으로는 양쪽 하지가 위치하여 넓고 고관절 부위가 가장 넓으며, 견관절 및 고관절까지는 수면시 침구류의 형상에 따른 영향을 받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수면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는 인체의 부위를 그 골격을 기준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체는 척추를 중심 골격으로 하여 7개의 경추, 12개의 흉추, 5개의 요추 및 천골과 미골로 이어지며, 위로는 두개골이 위치하고 가슴부위는 등 쪽의 흉추와 늑골이 관절을 이룬다. 또한, 타원형으로 구부러진 양쪽 늑골은 가슴부위 앞쪽에 위치한 흉골의 양쪽과 각각 관절을 이루며, 이 흉골의 최상부에서 좌우로 쇄골이 관절을 이룬다.
이 쇄골과 견갑골의 견봉이 관절을 이루고, 이 견갑골은 늑골의 등 쪽, 늑골의 2번에서 7번 사이에 위치하며 늑골을 따라 근육으로 이어져 전진 혹은 후퇴 및 상하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 견갑골과 쇄골이 관절을 이루는 아랫부분에 관절와가 위치하며 이 관절와 는 상완골두과 관절을 이룬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골격의 위치 관계에 따른 움직임, 즉, 팔이 움직이면서 어깨가 움직이게 되는 원리를 살펴보면, 기본적으로 흉골을 중심으로 쇄골이 반경이 되어, 견갑골의 외측이 상하 혹은 전후로 움직이게 된다. 이 견갑골의 견봉 바로 아랫부위에 관절와가 있어 상완골을 포함하는 상지가 위치하고, 이 견관절은 3축성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이 견갑골의 내측부위는 늑골을 따라 상하 및 전진후퇴 운동을 하게 된다.
그 다음으로, 척추의 아랫부분인 천추와 미추는 성인이 되면서 결합하여 천골과 미골로 변하는데, 이 천골은 좌우 관골로 이어져 대체적인 골반을 형성한다. 이 관골의 관골구가 대퇴골의 대퇴골두를 통하여 하지와 관절을 이루어 이를 고관절이라 하며, 견관절과 더불어 우리의 신체에서 3축성 운동을 할 수 있는 관절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골격의 생김과 크기, 운동성 등의 기능이 제각각인바, 신체의 위치별, 순환계, 신경계 등의 각계의 특성이 다르며, 단면의 형상, 중량, 크기, 외견상 굴곡 등이 다르다. 이와 같이 인체의 부위별 특성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수면시 사용되는 침구류는 그 바닥면이 평평한 평면이다.
한편, 대부분의 수면 환경에 대하여 인간의 신체는 자율적 적응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술한 침구류의 장기적인 반복 사용은 성장과 건강상에 장애를 유발할 수 있으며, 특히, 성장기의 연령층이나 환자 및 노인층에 대해서는 그 영향이 더욱 크다.
수면시의 가장 이상적인 신체의 받침 조건은 바닥과 접하는 신체 부위의 외형, 즉, 몸체를 따라 형성되는 굴곡에 적합한 맞춤형 받침으로서, 체중이 적당히 분산되어 신체의 부위별로 알맞은 압력이 가해지고 편안함과 안정성이 제공되어 가장 자유스런 자세로 의탁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도 1a와 도 1b를 참조하여 수면시의 이상적인 받침 조건을 살펴본다.
도 1a는 사람이 바로 누운 자세의 신체부위별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1b는 사람이 옆으로 누운 자세의 신체부위별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이 바로 누운 자세에 대하여, 머리부위인 a, 경추부위인 b, 양쪽어깨 즉 좌우 견갑골 및 흉추 상부위인 c, 흉추 중심부위인 d, 흉추 하부와 요추 및 천골부 상부위인 e, 천골부 하부와 미골부 및 둔부인 f는 사람이 누운 평평한 바닥을 기준으로 그 높이와 중량 그리고 넓이가 제각기 다르다.
또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이 측면으로 누운 자세에 대하여, 머리부위인 a, 경추부위인 b, 어깨 부위로써 견관절과 견갑골의 부위인 c, 측면 늑골 부위인 d, 측면 늑골 하위부와 옆구리 및 장골능 상부위인 e, 장골능 부위 및 고관절 부위인 f는 사람이 누운 평평한 바닥을 기준으로 그 높이와 중량 및 넓이가 제각기 다르며 더욱이 상술한 바로 누운 자세와도 다르다.
이런 신체적 특성과 변화에 대하여 현재까지의 침구류의 개선은 평평한 바닥면의 쿠션을 변화시키는 정도로 발전하여 왔으며, 특히, 머리를 받치는 베개는 다 소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여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침구류, 특히, 베개의 개선은 인체의 특정 부위에만 해당되는 제한적인 것이며, 인체가 부위별로 유기적인 기능을 가짐을 고려하지 못하였다.
예컨대, 머리부분과 어깨부분을 상대적으로 생각해보면, 어깨가 닿는 바닥면을 기준으로 머리가 닿는 베개의 상면까지의 높이가 베개의 높이인 반면, 머리가 닿는 베개의 상면을 기준으로 하면, 등이나 어깨부위가 매트리스 면을 눌러서 닿는 위치까지의 높이가 베개의 높이가 된다.
이는 상술한 도 1a와 도 1b의 각 신체 부위가 인간의 수면에 상대적으로 작용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수면시 사용되는 베개는 사람이 누운 자세와 그 부위별로 제각각의 특성에 따른 상대적인 기능을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사람은 성장기부터 평평한 평면바닥에 적응하여 왔으므로 신체의 부위별 특성에 적합하지 않은 받침 환경에서 생활하는데 익숙해져 왔다.
한편, 사람이 옆으로 누운 자세일 때에는 일측의 어깨는 지면에 접촉되므로 이때 지면에 접촉된 어깨 부위에 하중이 집중되어 어깨 결림등의 통증을 유발하게 되고, 지면에 접촉되지 않은 어개 부위는 공간에 위치되므로 받쳐 줄 수 없게 되므로 피로감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서, 베개의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하므로 숙면을 유도함과 동시에 바로 누운 자세일 경우에는 양 측 어깨 부분을 지지하고, 옆으로 누운 자세일 경우에는 지면에 접촉되는 어깨 부위를 지지하고, 공간에 위치된 어깨 부분을 받쳐 주는 쿠션의 위치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어깨 받침용 쿠션이 구비된 높이 조절형 베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어깨 받침용 쿠션이 구비된 높이 조절형 베개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면 중앙에는 삽입공이 형성된 베개 몸체; 상기 삽입공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끼워지고, 저면에는 승강판이 설치된 베개 쿠션; 상기 베개 쿠션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베개 몸체에 내장된 높이조절수단; 상기 베개 몸체에 연결끈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면 양측에는 어깨 받침부가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 어깨 받침용 쿠션으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높이조절수단은 일단은 베개몸체의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타단에는 사각형 결합돌기가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끼워진 상태로 회전되고 표면에는 승강판이 접촉되는 회전캠과, 상기 결합돌기가 끼워지는 이동홈이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에는 손잡이가 설치된 작동봉과, 상기 작동봉의 중 앙에 설치된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와 기어 결합되도록 베개몸체의 타측면에 형성된 제2기어와, 상기 손잡이를 탄력 지지하는 제1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베개쿠션의 저면과, 회전축의 사이에는 베개쿠션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스프링이 설치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어깨 받침용 쿠션의 저면에 미끄럼 방지돌기가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서, 베개의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하므로 숙면을 유도함과 동시에 바로 누운 자세일 경우에는 양 측 어깨 부분을 지지하고, 옆으로 누운 자세일 경우에는 지면에 접촉되는 어깨 부위를 지지하고, 공간에 위치된 어깨 부분을 받쳐 주는 쿠션의 위치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을 나타낸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베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베개를 나타낸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베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베개의 높이조절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베개에 사용자가 바로 누운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베개에 사용자가 옆으로 누운 자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베이스(100)와, 상기 베이스(100)의 상면 상부에 설치되는 베개 몸체(110)와, 상기 베개 몸체(11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개 쿠션(120) 및 상기 베개 쿠션(12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140)과, 상기 베개 몸체(110)에 연결끈(150)을 매개로 연결되는 어깨 받침용 쿠션(130)으로 크게 구분된다.
상기 베이스(10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베개 몸체(110)는 베이스(100)의 상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머리 부분을 받치는 것으로서, 상면 중앙에는 삽입공(111)이 형성되어 있고, 일 측면에는 통공(1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개 쿠션(120)은 사용자의 머리 부분이 접촉되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베개 몸체(110)에 형성된 삽입공(111)이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것이며, 저면에는 승강판(121)이 설치되어 있되, 그 승강판(121)은 저면 양측에 각각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높이조절수단(140)은 사용자의 체형에 일치되도록 베개 쿠션(120)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일단은 베개 몸체(110)의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타단에는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결합돌기(141a)가 형성된 회전축(141)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141)에는 한 쌍의 회전캠(142)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캠(142)의 표면에는 승강판(121)이 접촉되는 것이다.
한편, 베개 몸체(110)의 측면에 형성된 통공(112)에는 작동봉(143)이 삽입되어 있되, 그 작동봉(143)의 일단에는 상기 결합돌기(141a)가 끼워지는 이동 홈(143a)이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손잡이(145)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손잡이(145)와 베개 몸체(110)의 사이에는 손잡이(145)를 탄력 지지하는 제1스프링(146)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봉(143)의 중앙에는 제1기어(144)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베개 몸체(110)에는 제2기어(14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승강판(121)이 회전캠(142)에 긴밀히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베개 쿠션(120)이 하측으로 당겨지도록 상기 베개 쿠션(120)의 저면과, 회전축(141)의 사이에 제2스프링(14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어깨 받침용 쿠션(130)은 사용자의 어깨 또는 팔에 접촉되어 안락감을 제공하고 피로감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면 양측에는 어깨 받침부(131)가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되, 그 어깨 받침부(131)의 사이에는 요입홈(1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어깨 받침부(131)는 상측은 높고 하측으로 향할수록 점점 낮아지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어깨 받침용 쿠션(130)의 저면에는 무수히 많은 미끄럼 방지돌기(133)가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고, 어깨 받침용 쿠션(130)은 연결끈(150)을 매개로 베개 몸체(110)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베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신체에 일치되도록 어깨 받침용 쿠션(130)의 위치 및 베개 쿠션(120)이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다.
먼저, 어깨 받침용 쿠션(130)의 위치를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어깨 받침용 쿠션(130)과 베개 몸체(110) 사이의 간격이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일치되게 조절하는 것으로서, 상기 어깨 받침용 쿠션(130)과 베개 몸체(110) 사이의 최대 간격은 연결끈(150)의 길이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이고, 최소 간격은 어깨 받침용 쿠션(130)과 베개 몸체(110)가 접촉되는 거리이다.
한편, 상기 어깨 받침용 쿠션(130)과 베개 몸체(110)는 연결끈(150)을 매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거리조절은 물론, 좌/우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어깨 받침용 쿠션(130)의 저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미끄럼 방지돌기(133)가 지면에 긴밀히 접촉되므로 어깨 받침용 쿠션(130)의 유동이 방지되어 사용자에게 안락감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베개 쿠션(120)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잡이(145)를 베개 몸체(110) 측으로 밀면, 상기 손잡이(145)를 탄력 지지하는 제1스프링(146)은 압축되고, 손잡이(145)가 설치된 작동봉(143)이 이동되는 것이며, 상기 작동봉(143)의 이동홈(143a)에 끼워진 결합돌기(141a)는 그 이동홈(143a)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한편, 작동봉(143)이 이동되면, 그 작동봉(143)에 설치된 제1기어(144)가 함께 이동되므로 상기 제1기어(144)는 제2기어(147)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며, 이때 손잡이(145)는 원활하게 회전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145)를 회전시키면, 그 회전력은 작동봉(143)을 통하여 회전축(141)으로 전달되는 것이고, 상기 회전축(141)이 회전되면, 그 회전축(141)에 설치된 회전캠(142)이 함께 회전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캠(142)에는 제2스프링(148)에 의해서 승강판(121)이 긴밀히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회전캠(142)이 회전될 때 승강판(121)은 상/하로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 승강판(121)이 상/하로 이동되면, 베개 쿠션(120)은 삽입공(111)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되므로 상기 베개 쿠션(120)이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손잡이(145)를 놓으면 제1스프링(146)의 복원력에 의해서 손잡이(145)와 작동봉(143) 및 제1기어(144)가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되고 이때 제1기어(144)는 제2기어(147)와 기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베개 쿠션(120)에 외력(사용자 머리 부분을 접촉력)이 작용하여도, 제1기어(144)와 제2기어(147)의 결합력에 의해서 회전캠(142)의 회전이 방지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어깨 받침용 쿠션(130) 및 베개 쿠션(120)의 조절이 완료된 후 사용자가 바로 누우면,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머리 부분은 베개 쿠션(120)에 접촉되고 등 부분은 어깨 받침용 쿠션(130)의 요입홈(132)에 접촉되는 것이며, 어깨 부분은 어깨 받침부(131)에 접촉되므로 사용자에게 안락감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는 사용자가 옆으로 누우면,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머리 부분은 베개 쿠션(120)에 접촉되고 일측의 어깨 부분은 요입홈(132)에 접촉되는 것이며, 타측의 어깨부분은 사용자의 등부분에 위치된 어깨 받침부(131)에 접촉되는 것으로서, 사 용자에게 안락감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어깨 받침용 쿠션(130)을 하부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옆으로 누우면, 베개 몸체(110)와 어깨 받침용 쿠션(130)의 사이로 사용자의 일측 팔(지면에 근접된 팔)을 삽입할 수 있게 되므로 어깨에 전달되는 하중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신체와 일치되게 베개 쿠션(120)의 높이 및 어깨 받침용 쿠션(130)의 위치를 간편하게 조절하여 편안한 수면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a는 사람이 바로 누운 자세의 신체부위별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1b는 사람이 옆으로 누운 자세의 신체부위별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베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베개를 나타낸 결합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베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베개의 높이조절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베개에 사용자가 바로 누운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베개에 사용자가 옆으로 누운 자세를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베이스 110 : 베개 몸체
111 : 삽입공 120 : 베개 쿠션
121 : 승강판 121 : 승강판
130 : 어깨 받침용 쿠션 131 : 어깨 받침부
133 : 미끄럼 방지돌기 140 : 높이조절수단
141 : 회전축 141a : 결합돌기
142 : 회전캠 143 : 작동봉
143a : 이동홈 144 : 제1기어
145 : 손잡이 146 : 제1스프링
147 : 제2기어 148 : 제2스프링
150 : 연결끈

Claims (4)

  1.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베이스(100); 상기 베이스(100)의 상부에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면 중앙에는 삽입공(111)이 형성된 베개 몸체(110); 상기 삽입공(111)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끼워지고, 저면에는 승강판(121)이 설치된 베개 쿠션(120); 상기 베개 쿠션(12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베개 몸체(110)에 내장된 높이조절수단(140); 상기 베개 몸체(110)에 연결끈(150)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면 양측에는 어깨 받침부(131)가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 어깨 받침용 쿠션(13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 받침용 쿠션이 구비된 높이 조절형 베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140)은 일단은 베개 몸체(110)의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타단에는 사각형 결합돌기(141a)가 형성된 회전축(141)과, 상기 회전축(141)에 끼워진 상태로 회전되고 표면에는 승강판(121)이 접촉되는 회전캠(142)과, 상기 결합돌기(141a)가 끼워지는 이동홈(143a)이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에는 손잡이(145)가 설치된 작동봉(143)과, 상기 작동봉(143)의 중앙에 설치된 제1기어(144)와, 상기 제1기어(144)와 기어 결합되도록 베개 몸체(110)의 타측면에 형성된 제2기어(147)와, 상기 손잡이(145)를 탄력 지지하는 제1스프링(146)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 받침용 쿠션이 구비된 높이 조절형 베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개 쿠션(120)의 저면과, 회전축(141)의 사이에는 베개 쿠션(120)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스프링(148)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 받침용 쿠션이 구비된 높이 조절형 베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깨 받침용 쿠션(130)의 저면에 미끄럼 방지돌기(134)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 받침용 쿠션이 구비된 높이 조절형 베개.
KR1020090083117A 2009-09-03 2009-09-03 어깨 받침용 쿠션이 구비된 높이 조절형 베개 KR101046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3117A KR101046773B1 (ko) 2009-09-03 2009-09-03 어깨 받침용 쿠션이 구비된 높이 조절형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3117A KR101046773B1 (ko) 2009-09-03 2009-09-03 어깨 받침용 쿠션이 구비된 높이 조절형 베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926A KR20110024926A (ko) 2011-03-09
KR101046773B1 true KR101046773B1 (ko) 2011-07-06

Family

ID=43932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3117A KR101046773B1 (ko) 2009-09-03 2009-09-03 어깨 받침용 쿠션이 구비된 높이 조절형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67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886U (ko) * 2021-10-27 2023-05-04 지오상 기능성 베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74517B (zh) * 2018-03-15 2022-04-15 合肥工业大学 一种基于多角度支撑调节结构的座椅垫
CN110151435A (zh) * 2019-06-28 2019-08-23 中国人民解放军陆军军医大学第一附属医院 颈部瘢痕植皮术后用可调式垫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1293A (ja) 2003-04-22 2004-11-18 Kiyoaki Kato 肩冷え防止具
KR20050021028A (ko) * 2003-08-25 2005-03-07 주식회사태평양어구 베개
KR20090014041A (ko) * 2007-08-03 2009-02-06 이승재 베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1293A (ja) 2003-04-22 2004-11-18 Kiyoaki Kato 肩冷え防止具
KR20050021028A (ko) * 2003-08-25 2005-03-07 주식회사태평양어구 베개
KR20090014041A (ko) * 2007-08-03 2009-02-06 이승재 베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886U (ko) * 2021-10-27 2023-05-04 지오상 기능성 베개
KR200497308Y1 (ko) * 2021-10-27 2023-10-04 지오상 기능성 베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926A (ko) 201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16771A (en) Leg pillow
US8713729B2 (en) Devices and systems for supporting a user
US20080092297A1 (en) Leg Pillow
KR101590068B1 (ko) 자세 교정용 기능성 취침구
KR101046773B1 (ko) 어깨 받침용 쿠션이 구비된 높이 조절형 베개
KR100685801B1 (ko) 종합 베개
KR100729294B1 (ko) 의자
KR102642045B1 (ko) 스마트한 받침 기능을 갖는 베개
AU761643B2 (en) Neck support, in particular for improving sleep in a prone position, and anatomical mattress featuring such a support
KR101313685B1 (ko) 좌판의 탄성을 이용한 뇌활성화 기능성 의자
KR20180029328A (ko) 매트리스
KR200399537Y1 (ko) 허리 및 목 견인용 의자
JP2006015129A (ja) 看護用マット
CN204072569U (zh) 一种新型双向可调护理床
CN209137157U (zh) 偏瘫患者上肢良肢位护理气垫
KR200387395Y1 (ko) 종합 베개
CN101088434A (zh) 一种用于腹部依托/支撑的椅靠
KR200352209Y1 (ko) 접이식 안락 소파
KR101323985B1 (ko) 높이조절용 베개
CN205006416U (zh) 一种五段分区床垫
KR101223922B1 (ko) 사이즈 베개
CN217408292U (zh) 一种靠垫
KR20160076067A (ko) 베개를 활용한 등 베개
CN212186983U (zh) 一种卧床患者良肢位康复睡眠枕
CN210096171U (zh) 一种医用康复位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