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6363B1 - 시트상 섬유 시료의 수분 흡착 및 탈착에 따른 열량 변화 측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상 섬유 시료의 수분 흡착 및 탈착에 따른 열량 변화 측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6363B1
KR101046363B1 KR1020090036873A KR20090036873A KR101046363B1 KR 101046363 B1 KR101046363 B1 KR 101046363B1 KR 1020090036873 A KR1020090036873 A KR 1020090036873A KR 20090036873 A KR20090036873 A KR 20090036873A KR 101046363 B1 KR101046363 B1 KR 101046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fiber
humidity
change
desor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6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8176A (ko
Inventor
이명학
양중식
박흥수
오필록
전영민
Original Assignee
한국섬유기술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섬유기술연구소 filed Critical 한국섬유기술연구소
Priority to KR1020090036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6363B1/ko
Publication of KR20100118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8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6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6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7/00Measuring quantity of heat
    • G01K17/06Measuring quantity of heat conveyed by flowing media, e.g. in heating systems e.g. the quantity of heat in a transporting medium, delivered to or consumed in an expenditure devi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G01K1/02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for recor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5/00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 G01N25/02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by investigating changes of state or changes of phase; by investigating sintering
    • G01N25/12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by investigating changes of state or changes of phase; by investigating sintering of critical point; of other phase chan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5/00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 G01N25/20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by investigating the development of heat, i.e. calorimetry, e.g. by measuring specific heat, by measuring thermal conductivity
    • G01N25/48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by investigating the development of heat, i.e. calorimetry, e.g. by measuring specific heat, by measuring thermal conductivity on solution, sorption, or a chemical reaction not involving combustion or catalytic oxidation
    • G01N25/4846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by investigating the development of heat, i.e. calorimetry, e.g. by measuring specific heat, by measuring thermal conductivity on solution, sorption, or a chemical reaction not involving combustion or catalytic oxidation for a motionless, e.g. solid samp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Using Therm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편성물, 부직포 등 시트상 섬유 시료의 수분 흡착 및 탈착에 따른 열량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시트상 섬유 시료가 노출된 환경을 저습에서 고습 또는 고습에서 저습 환경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수분의 흡착 또는 탈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시간에 따른 섬유 시료 표면의 온도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수분 흡착 또는 탈착에 따른 열량 변화를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측정 장치는 탈착이 가능한 밀폐 블록에 의해 밀폐되는 개구부 및 습도 조절 수단을 구비한 적어도 2개의 챔버를 포함하고, 습도 조절 수단, 온도 조절 수단, 관통구 및 밀폐가 가능한 도어를 구비한 하우징, 하나의 밀폐 블록을 통과하여 챔버 내부에 노출되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프로브를 구비하고, 다른 일측이 데이터 수집 장치와 연결된 온도센서, 및 데이터 수집 장치 및 데이터 수집 장치와 연결된 컴퓨터를 포함한다.
직편성물, 부직포, 수분 흡착, 수분 탈착, 열량 변화

Description

시트상 섬유 시료의 수분 흡착 및 탈착에 따른 열량 변화 측정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Heat Change of Sheet-like Textiles with Moisture Adsorption and Desorption}
본 발명은 직편성물, 부직포 등 시트상 섬유 시료의 수분 흡착 및 탈착에 따른 열량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시트상 섬유 시료가 노출된 환경을 저습에서 고습 또는 고습에서 저습 환경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섬유에 수분의 흡착 또는 탈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이때 시간에 따른 섬유 시료 표면의 온도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수분 흡착 또는 탈착에 따른 열량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측정을 위해 독립된 습도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밀폐된 다수의 챔버와, 이들 챔버를 내부에 포함하고 일정한 습도 및 온도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밀폐된 하우징과, 상기 다수의 챔버 중 1개와 결합하는 밀폐 블록에 온도 센서를 매립하여 밀폐 블록으로 챔버를 밀폐할 때 온도 센서의 한쪽 끝에 달린 온도 프로브가 챔버 내부에 노출되도록 하며, 온도 센서의 또 다른 한 쪽 끝은 데이터 수집 장치와 연결되어 측정된 온도를 수집하여 컴퓨터에 저장할 수 있는 수분 흡착 및 탈착에 따른 열량 변화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섬유는 습한 공기 중에서는 수분을 흡착하고, 건조한 공기 중에서는 수분을 탈착한다. 수분은 기체 상태인 수증기로 존재하게 되면 공기 중에서의 운동성이 크고 매우 높은 운동 에너지를 가지게 된다. 섬유가 이러한 기체 상태의 수분을 흡착하게 되면 물 분자는 응축되어 운동성이 줄어들며, 따라서 운동에너지는 열에너지로 변환되어 열이 방출된다. 따라서 섬유가 수분을 흡착하면 발열반응이 일어나 온도가 상승한다. 반대로 섬유가 흡착하고 있던 수분을 공기 중으로 탈착하면 열을 흡수하는 흡열반응이 일어나 온도는 하강한다.
이렇게 수분의 흡착이나 탈착에 따라 섬유의 열량은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되는데, 섬유의 열량 변화 정도는 섬유가 얼마나 많은 양의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느냐에 따라 다르다. 섬유가 흡수하는 수분의 양은 일반적으로 수분율(moisture regain)과 함수율(moisture content)로 나타내며, 섬유의 물리적 고찰에는 대개 건조 섬유의 질량에 대한 흡수 수분의 질량의 백분율인 수분율을 많이 사용한다. 섬유의 수분율은 섬유 종류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면 양모 섬유는 약 13%, 면 섬유는 약 8.5%, 폴리에스터 섬유는 약 0.4%의 수분율을 가진다. 이처럼 섬유 종류에 따라 수분율이 다르므로 수분의 흡착 및 탈착에 따른 열량 변화 정도도 다르게 된다. 즉, 양모, 면, 폴리에스터의 3가지 섬유를 비교해 보면 수분율이 가장 큰 양모 섬유의 수분 흡착 및 탈착에 따른 열량 변화 정도가 가장 크며, 그 다음으로 면 섬유가 크고, 폴리에스터 섬유는 수분율이 적어 열량 변화 정도가 가장 적게 된다.
수분의 흡착 또는 탈착에 따른 섬유의 열량 변화(온도 상승 또는 하강)는 섬유를 제품으로 적용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예를 들어 의류로 적용하여 착용 할 때, 인체로부터 발산되는 땀 등의 수분을 섬유가 흡착하면 열이 발생되어 일정 부분 저장되므로 급변하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인체를 보다 따뜻하게 유지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원리에 따라 섬유의 수분 흡착 능력을 높여주는 약제를 섬유에 가공 처리하거나 높은 수분 흡착성을 나타내는 섬유를 제조하여 의류 제품 등으로 적용하여 인체를 보다 따뜻하게 유지해주는 섬유 소재가 등장하게 되었다.
이러한 소재를 의류 등의 섬유 제품으로 전개하기 위해서는 수분의 흡착 또는 탈착에 따른 섬유의 열량 변화를 정확히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존의 시험 방법 중 열과 관련된 섬유의 성질을 평가하는 방법으로는 ASTM D 1518 등에 의한 보온성 시험 방법이 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섬유를 정해진 습도 환경에서 시험하는 방법으로 섬유의 습도 환경 변화에 따른 열량 변화를 평가할 수는 없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섬유에 수분이 흡착 또는 탈착할 때의 열량 변화를 시험하기 위해 섬유를 저습에서 고습 또는 고습에서 저습으로 습도 환경을 변화시켜 표면의 온도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 장치를 제공하여 섬유 제품의 수분 이동(수분의 흡착 또는 탈착)에 따른 열량 변화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탈착이 가능한 밀폐 블록에 의해 밀폐되는 개구부 및 습도 조절 수단을 구비한 적어도 2개의 챔버를 포함하고, 습도 조절 수단, 온도 조절 수단, 관통구 및 밀폐가 가능한 도어를 구비한 하우징, 하나의 밀폐 블록을 통과하여 챔버 내부에 노출되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프로브를 구비하고, 다른 일측이 데이터 수집 장치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 및 데이터 수집 장치 및 데이터 수집 장치와 연결된 컴퓨터를 포함하는 수분 흡착 및 탈착에 따른 시트상 섬유의 열량 변화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온도 프로브에 시트상 섬유 시료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상 섬유의 열량 변화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열량 변화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시트상 섬유 시료를 온도 프로브에 부착하여 일정한 온도 및 일정한 습 도로 유지되는 하우징 내부의 제1 챔버에 일정 시간 노출하는 단계, 상기 시료를 제1 챔버와 온도는 동일하고 습도가 다른 하우징 내부의 제2 챔버에 노출하는 단계, 시간 변화에 따른 섬유 시료의 열량 변화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분의 흡착 및 탈착에 따른 섬유의 열량 변화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의 습도가 제2 챔버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의 흡착 및 탈착에 따른 섬유의 열량 변화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일정한 습도는 RH 5% 내지 RH 100%이고, 상기 일정한 온도는 -20℃ 내지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의 흡착 및 탈착에 따른 섬유의 열량 변화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열량 변화는 온도 센서에 의해 시간에 따른 시료의 온도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의 흡착 및 탈착에 따른 섬유의 열량 변화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열량 변화는 온도 변화를 열량 변화로 환산하여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의 흡착 및 탈착에 따른 섬유의 열량 변화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섬유를 RH 5% 내지 RH 100%의 일정한 습도 및 -20℃ 내지 50℃의 일정한 온도 환경에 일정 시간 1차 노출시킨 후, 상기 섬유 전체를 1차 노출과 온도는 동일하고 습도는 다른 환경에 2차 노출시켜서 시간변화에 따른 섬유의 온도 변화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의 흡착 및 탈착에 따른 섬유의 열량 변화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시트상 섬유 시료의 수분 흡착 및 탈착에 따른 열량 변화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섬유 시료를 저습에서 고습 또는 고습에서 저습으로 습도 환경을 변화시키고, 이때의 시간에 따른 섬유 시료 표면의 온도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섬유를 의류 제품 등으로 적용하여 사람이 착용했을 때 인체로부터 발산되는 땀 등 수분의 이동에 따른 열적 쾌적성을 평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실시 예를 기초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제시된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직편성물, 부직포 등 시트상 섬유 시료의 수분 흡착 및 탈착에 따른 열량 변화 측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분 흡착 및 탈착에 따른 열량 변화 측정 장치는 독립된 습도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다수의 밀폐된 챔버와, 이들 챔버를 내부에 포함하고 일정한 습도 및 온도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밀폐된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챔버 중 1개 이상의 밀폐 블록에는 1개 이상의 온도 센서를 매립하여 밀폐 블록으로 챔버를 밀폐할 때 온도 센서의 한쪽 끝에 달린 온도 프로브가 챔버 내부에 노출되도록 하며, 온도 센서의 또 다른 한 쪽 끝은 데이터 수집 장치와 연결되어 측정된 온도를 수집하여 컴퓨터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수분 이동에 따른 열량 변화 측정 방법은 상기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섬유 시료를 저습에서 고습 또는 고습에서 저습 환경으로 변화시키고 이때의 시간에 따른 온도 변화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수분 흡착 및 탈착에 따른 열량 변화 시험 장치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트상 섬유 재료의 수분 흡착 및 탈착에 따른 열량 변화 시험 장치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측정 장치는 하우징(2) 내부에 다수의 챔버(1a, 1b)가 위치하고, 하우징(2)이 다수의 챔버를 감싸고 있는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챔버(1a, 1b)의 내부에는 원하는 습도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습도 조절 수단(7a, 7b)이 구비되어 있다. 챔버(1a, 1b)의 일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는 밀폐 블록(5a, 5b)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습도 조절 수단이란, 가습 장치 및 제습 장치의 작동에 의한 전기식 습도 조절기, 황산과 물 혼합 용액, 포화 염 용액, 건조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챔버(1a, 1b) 중 적어도 한 개의 챔버(1a)에는 밀폐 블록(5a)에 한쪽 말단에 온도 프로브(8)를 구비한 온도 센서(13)가 통과한다. 온도 프로브(8)에는 시료(9)를 부착하여 챔버 내부에 시료가 위치하게 하여 일정한 습도 환경에 시료가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챔버(1a, 1b)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2개 또는 그 이상을 갖출 수 있다.
하우징(2)은 다수의 챔버(1a, 1b)를 내부에 두고, 원하는 습도 및 온도 환경 조성이 가능한 습도 조절 수단(7) 및 온도 조절 수단(11)을 갖추고, 밀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온도 조절 수단이란, 예를 들면 냉각 장치 및 히터의 작동에 의한 전기식 온도 조절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하우징(2)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손을 집어넣어 밀폐 블록 손잡이(6a, 6b)를 잡고 밀폐 블록(5a, 5b)을 챔버(1a, 1b)에서 장착 및 탈착할 수 있도록 하는 관통구(10)를 구비하고 있다. 관통구(10)는 절개된 고무 재질의 커버로 덮거나 고무 재질의 장갑이 내부 쪽으로 부착되어 있어서, 손을 집어넣어 작업하더라도 하우징 내부의 온도 및 습도 환경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온도 센서(13)는 데이터 수집 장치(3)와 연결되어 있다. 데이터 수집 장치(3)는 온도 프로브(8)를 통하여 측정된 섬유 시료(9)의 온도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는 데이터 케이블(14)을 통하여 컴퓨터(4)에 저장된다. 하우징(2)은 그 한쪽 면에 시료의 장착 등을 위해 개폐가 가능하도록 밀폐 가능한 도어(15)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수분 흡착 및 탈착에 따른 열량 변화 측정 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이를 이용한 본 발명의 수분 흡착 및 탈착에 따른 열량 변화 측정 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어(15)를 열고 온도 센서(13)가 매립된 챔버(1a)의 밀폐 블록(5a)을 탈착하여 섬유 시료(9)를 클립 등의 고정 수단으로 온도 프로브(8)에 부착한다. 밀폐 블록(5a)을 탈착한 챔버(1a) 내부의 습도를 습도 조절 수단(7a)을 이용, 원하는 습도 환경으로 맞추고, 시료(9)가 부착된 밀폐 블록(5a)을 챔버에 장착하여 챔버(1a)가 밀폐되도록 하고 일정 시간, 바람직하게는 1시간 이상 방치한다.
온도 센서(13)가 매립되지 않은 또 다른 챔버(1b)의 습도를 습도 조절 수단(7b)을 이용하여 시료가 장착된 챔버(1a)와 다른 습도 환경으로 맞추고, 밀폐 블록(5b)을 챔버(1b)에 장착하여 챔버(1b)가 밀폐되도록 한다. 그 다음 하우징(2) 내부의 온도를 온도 조절 수단(11)을 이용, 원하는 온도로 맞추고, 하우징(2) 내부의 습도를 습도 조절 수단(7)을 이용, 온도 센서(13)가 매립되지 않은 챔버(1b)와 동일한 습도로 맞춘 후 도어(15)를 닫아 하우징(2)이 밀폐되도록 한다. 이는 챔버(1a)에 노출되었던 섬유 시료를 온도센서가 매립되지 않은 또 다른 챔버(1b)에 노출시키기 위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섬유 시료가 이동되는 챔버(1b)와 같은 습도 환경에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열량 변화 측정 장치에서 하우징(2) 및 챔버(1a, 1b)의 습도는 RH 5% 내지 RH 100%에서 조절될 수 있으며, 온도는 -20℃ 내지 50℃에서 조절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습도 및 온도 범위에서의 섬유 시료의 열량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밀폐 상태로 일정 시간 방치하여 챔버(1a, 1b) 및 하우징(2) 내부의 온도 및 습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 후, 관통구(10)를 통해 손을 집어넣어 온도 센서(13)가 매립되지 않은 챔버(1b)에 장착된 밀폐 블록(5b)의 손잡이(6b)를 잡아 탈착시킨다. 온도 센서가 매립된 챔버(1a)에 장착된 밀폐 블록(5a)의 손잡이(6a)를 잡아 탈착시킨 후, 이것을 밀폐 블록(5b)이 탈착된 상태의 또 다른 챔버(1b)에 장착함으로써 시료를 원래의 습도와는 다른 습도 환경에 밀폐된 상태로 노출시킨다. 그리고 이때의 시료 표면의 온도를 온도 프로브(8)를 통해 측정하여 데이터 수집 장치(3)를 통해 온도 데이터를 수집한 후 데이터 케이블(14)을 통해 최종적으로 컴퓨터(4)에 저장하고, 컴퓨터(4)에서 온도 변화 데이터를 이용하여 열량변화를 계산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섬유 시료(9)를 일정한 습도 환경에서 또 다른 습도 환경으로 노출시킴으로써 섬유 시료에 수분이 흡착되거나 섬유 시료로부터 수분이 탈착되어 이로 인해 수분의 이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시료의 열량이 변하게 되고, 그 결과 시료 표면의 온도가 변하게 되어 시간에 따른 온도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섬유 시료의 수분 이동에 따른 열량 변화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온도 변화에 따른 열량 변화 측정은 일반적으로 당업계에서 알려져 있는 방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도 변화, 섬유 시료의 비열 및 질량을 측정한 후 이를 컴퓨터에 입력하고 하기의 식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식 1]
Q = Cp · △T = c · m · △T
상기 식에서, Q는 열량, Cp는 열용량(heat capacity), △T는 온도변화, c는 섬유시료의 비열, m은 섬유시료의 질량을 나타낸다.
아래에서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수분 흡착 및 탈착에 따른 열량 변화 시험 장치를 이용하여 양모 섬유, 폴리에스터 섬유에 대해 저습 상태에서 고습 상태로 습도를 변화시켜 수분 흡착에 따른 시료의 열량 변화를 시험하였다. 편성물 형태의 상기 2가지 섬유 시료를 2개의 온도 프로브에 각각 장착하고 습도를 RH 10%로 맞춘 챔버에 장착하여 밀폐시킨다. 또 다른 챔버의 습도는 RH 90%로 맞추고 밀폐시킨 상태에서 하우징의 온도는 20℃로, 습도는 RH 90%로 맞추어 밀폐시킨 상태에서 2시간 방치한다. 2시간이 지난 후 2개의 시료가 장착된 밀폐 블록을 RH 10%인 챔버에서 RH 90%인 챔버로 이동시켜서 시료의 습도를 변화시키면서 시간에 따른 시료의 온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를 참조하면, 2가지 종류의 섬유 시료는 저습 상태에서 고습 상태로 습도가 변하여 수분이 흡착할 때 발열 반응에 의해 시료 표면의 온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으며, 온도 상승 정도는 양모 섬유가 매우 크고, 폴리에스터 섬유의 온도 상승 정도는 상대적으로 적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수분율이 큰 양모 섬유는 많은 양의 수분을 흡착하여 이에 따른 발열량이 매우 크기 때문이고, 상대적으로 수분율이 낮은 폴리에스터는 수분 흡착량이 적어서 발열량이 적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시험 장치 및 시험 방법을 이용하면, 수분 흡착에 따른 섬유의 발열량을 측정할 수 있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수분 흡착 및 탈착에 따른 열량 변화 시험 장치를 이용하여 면 섬유에 대해 고습 상태에서 저습 상태로 습도를 변화시켜 수분 탈착에 따른 시료의 열량 변화를 시험하였다. 편성물 형태의 면섬유를 1개의 온도 프로브에 장착하고 습도를 RH 90%로 맞춘 챔버에 장착하여 밀폐시킨다. 다른 챔버의 습도는 RH 10%로 맞추고 밀폐시킨 상태에서 하우징의 온도는 20℃로, 습도는 RH 10%로 맞추어 밀폐시킨 상태에서 2시간 방치한다. 2시간이 지난 후 시료가 장착된 밀폐 블록을 RH 90%인 챔버에서 RH 10%인 챔버로 이동시켜 시료의 습도를 변화시키면서 시간에 따른 온도 변화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을 참조하면, 면섬유는 고습 상태에서 저습 상태로 습도가 변하여 수분이 탈착할 때 흡열 반응에 의해 시료 표면의 온도가 하강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시험 장치 및 시험 방법을 이용하면, 탈습에 따른 섬유의 흡열량을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분 흡착 및 탈착에 따른 시트상 섬유 재료의 열량 변화시험 장치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섬유 재료의 열량 변화 시험 장치를 이용, 수분 흡착에 따른 섬유 재료의 열량 변화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섬유 재료의 열량 변화 시험 장치를 이용, 수분 탈착에 따른 섬유 재료의 열량 변화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1b : 챔버 2 : 하우징
3 : 데이터 수집 장치 4 : 컴퓨터
5a, 5b : 밀폐 블록 6a, 6b : 밀폐 블록 손잡이
7, 7a, 7b : 습도 조절 수단 8 : 온도 프로브
9 : 섬유 시료 10 : 관통구
11 : 온도 조절 수단 12 : 하우징 밀폐 블록
13 : 온도 센서 14 : 데이터 케이블
15 : 도어

Claims (7)

  1. 탈착이 가능한 밀폐 블록에 의해 밀폐되는 개구부 및 습도 조절 수단을 구비한 적어도 2개의 챔버를 포함하고, 습도 조절 수단, 온도 조절 수단, 관통구 및 밀폐가 가능한 도어를 구비한 하우징,
    적어도 하나의 밀폐 블록을 통과하여 챔버 내부에 노출되어 온도를 측정하며 시트상 섬유 시료가 부착되는 온도 프로브를 구비하고, 다른 일측이 데이터 수집 장치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온도센서, 및
    데이터 수집 장치 및 데이터 수집 장치와 연결된 컴퓨터를 포함하는 수분 흡착 및 탈착에 따른 시트상 섬유 시료의 열량 변화 측정 장치.
  2. 삭제
  3. 제 1항의 장치를 이용하여, 시트상 섬유 시료를 온도 프로브에 부착하여 일정한 온도 및 일정한 습도로 유지되는 하우징 내부의 제1 챔버에 일정시간 노출하는 단계,
    상기 시료를 제1 챔버와 온도는 동일하고 습도가 다른 하우징 내부의 제2 챔버에 노출하는 단계,
    시간 변화에 따른 섬유 시료의 열량 변화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분 의 흡착 및 탈착에 따른 섬유의 열량 변화 측정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습도가 제2 챔버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의 흡착 및 탈착에 따른 섬유의 열량 변화 측정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열량 변화는 온도 센서에 의해 시간에 따른 시료의 온도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의 흡착 및 탈착에 따른 섬유의 열량 변화 측정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열량 변화는 온도 변화를 열량 변화로 환산하여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의 흡착 및 탈착에 따른 섬유의 열량 변화 측정 방법.
  7. 섬유를 RH 5% 내지 RH 100%의 일정한 습도 및 -20℃ 내지 50℃의 일정한 온도 환경에 일정 시간 1차 노출시킨 후, 상기 섬유 전체를 1차 노출과 온도는 동일하고 습도는 다른 환경에 2차 노출시켜서 시간변화에 따른 섬유의 온도 변화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의 흡착 및 탈착에 따른 섬유의 열량 변화 측정 방법.
KR1020090036873A 2009-04-28 2009-04-28 시트상 섬유 시료의 수분 흡착 및 탈착에 따른 열량 변화 측정 방법 및 장치 KR101046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873A KR101046363B1 (ko) 2009-04-28 2009-04-28 시트상 섬유 시료의 수분 흡착 및 탈착에 따른 열량 변화 측정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873A KR101046363B1 (ko) 2009-04-28 2009-04-28 시트상 섬유 시료의 수분 흡착 및 탈착에 따른 열량 변화 측정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8176A KR20100118176A (ko) 2010-11-05
KR101046363B1 true KR101046363B1 (ko) 2011-07-05

Family

ID=43404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6873A KR101046363B1 (ko) 2009-04-28 2009-04-28 시트상 섬유 시료의 수분 흡착 및 탈착에 따른 열량 변화 측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63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1382B1 (ko) * 2012-02-21 2013-12-13 재단법인 에프아이티아이시험연구원 발열 섬유소재의 기능성 시험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641B1 (ko) 2006-02-21 2007-08-20 재단법인한국의류시험연구원 직물의 투습량 및 투과열량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641B1 (ko) 2006-02-21 2007-08-20 재단법인한국의류시험연구원 직물의 투습량 및 투과열량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1382B1 (ko) * 2012-02-21 2013-12-13 재단법인 에프아이티아이시험연구원 발열 섬유소재의 기능성 시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8176A (ko) 2010-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39367B2 (ja) 呼気凝縮液採取分析装置及び方法
JP5231683B2 (ja) タバコの保湿性測定方法
KR101229272B1 (ko) 투습도측정 장치
US849590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drying time of quick wet and dried fabrics
US799242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creasing the selectivity of FET-based gas sensors
Korotcenkov Handbook of humidity measurement, volume 2: Electronic and electrical humidity sensors
CN102252934B (zh) 一种测试织物面料动态吸湿数据的装置及其测试方法
KR100752776B1 (ko) 착의시스템의 단열 및 투습특성 측정장치
JP3958731B2 (ja) 衣服内環境模擬測定装置および評価方法
KR101046363B1 (ko) 시트상 섬유 시료의 수분 흡착 및 탈착에 따른 열량 변화 측정 방법 및 장치
Pause Measuring the water vapor permeability of coated fabrics and laminates
GB245629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e absorption of a volatile compound
US9297794B2 (en) Sorption exothermicity measurement device and sorption exothermicity measurement method
CN201025473Y (zh) 便携式吸附剂吸气量测定仪
US20140352413A1 (en) Moisture transmission testing instrument
Charell et al. Characteristics of water adsorption on air sampling filters
Imhof et al. New developments in skin barrier measurements
US20090095640A1 (en) Humidity Control 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Sensors
JP3771873B2 (ja) 吸着剤試験方法および装置
KR101341382B1 (ko) 발열 섬유소재의 기능성 시험장치
CN207231971U (zh) 水蒸气透过率测试设备
KR101218109B1 (ko) 탈취필터 관능시험장치
KR100750641B1 (ko) 직물의 투습량 및 투과열량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Li et al. Dynamic mass transfer of textiles in rotational motions
CN109254030B (zh) 湿度变化时纺织品发热和吸热性能测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