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4797B1 - 휴대폰 슬라이드 모듈 - Google Patents

휴대폰 슬라이드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4797B1
KR101044797B1 KR1020090038199A KR20090038199A KR101044797B1 KR 101044797 B1 KR101044797 B1 KR 101044797B1 KR 1020090038199 A KR1020090038199 A KR 1020090038199A KR 20090038199 A KR20090038199 A KR 20090038199A KR 101044797 B1 KR101044797 B1 KR 101044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wire spring
slide module
fixed plate
phone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8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2290A (ko
Inventor
이근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Priority to US13/143,671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10275423A1/en
Priority to PCT/KR2009/004247 priority patent/WO2010079874A1/ko
Priority to EP09837635A priority patent/EP2375702A4/en
Publication of KR20100082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2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4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4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3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the transmission of signal or power between the different housings, e.g. details of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passage of cab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슬라이드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의 슬라이드 작동 시 긁힘 및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휴대폰 슬라이드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 슬라이드 모듈은,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된 상부바디에 고정되는 이동플레이트와, 키패드가 장착된 하부바디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플레이트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할 때 탄성력을 제공하는 휴대폰 슬라이드 모듈에 있어서, 일측 단부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몸체; 일측 단부가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몸체; 및 양단이 상기 제1, 제2 몸체에 고정되지 않으면서 삽입 연결되는 선형의 와이어스프링;을 포함한다.
휴대폰, 슬라이드 모듈, 와이어스프링, 탄성력

Description

휴대폰 슬라이드 모듈{SLIDE MODULE OF MOBILE PHONE}
본 발명은 휴대폰 슬라이드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의 슬라이드 작동 시 긁힘 및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휴대폰 슬라이드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슬라이드 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 작동은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된 상부바디가 키패드가 장착된 하부바디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미끄럼 이동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도록 휴대폰에는 슬라이드 모듈이 설치되는데, 휴대폰 슬라이드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부바디에 고정되는 이동플레이트와 하부바디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된다. 그리고 이동플레이트가 고정플레이트에 대해 상대적으로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상부바디가 하부바디에 대해 미끄럼 이동하게 되며, 슬라이드 모듈은 이 과정에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휴대폰 슬라이드 모듈에는 통상 탄성스프링이 포함되는데, 이 탄성스프링의 일 예로는, 휴대폰의 슬림화에 대처하여 본원의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특허 제10-0669990호 "슬림형 슬라이드 모듈용 탄성스프링"을 들 수 있다.
상기 등록특허는 원호형 곡선의 형상을 갖는 벤딩부와, 이 벤딩부의 양단에서 각각 절곡되어 형성되는 나선부를 포함하는 와이어스프링에 관한 것으로, 양단에 형성된 나선부 중 어느 하나는 고정플레이트에, 다른 하나는 이동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이동플레이트의 고정플레이트에 대한 슬라이딩 이동시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등록특허는 와이어스프링에 의해 휴대폰에 내장되는 슬라이드 모듈의 두께가 현저히 얇아짐으로써 휴대폰의 슬림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하지만, 슬라이드형 휴대폰의 슬라이드 감(感)과 관련하여 다소 개선해야 할 부분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구체적으로, 이동플레이트가 고정플레이트에 대해 미끄럼 이동할 때 와이어스프링이 이동플레이트 및 고정플레이트에 닿아 마찰하게 되는데, 와이어스프링은 통상 강성이 높은 금속 재질의 와이어로 제작되는 반면, 이동플레이트 및 고정플레이트는 알루미늄 등의 소재로 제작되어 와이어스프링보다 강성이 다소 낮다. 따라서 상기한 마찰 과정에서 이동플레이트 및 고정플레이트의 마모(긁힘)가 생기고,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에 수반하여 슬라이드 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는바, 이점이 개선 과제가 되어 왔다.
전술한 종래 슬라이드 모듈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은, 이동플레이트의 미끄럼 이동 과정에서 와이어스프링이 이동플레이트 및 고정플레이트와 닿지 않게 하여 마찰에 의한 소음, 마모가 발생하지 않는 휴대폰 슬라이드 모듈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소정 곡률로 굽어진 선형의 와이어스프링을 사용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를 갖는 휴대폰 슬라이드 모듈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 슬라이드 모듈은,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된 상부바디에 고정되는 이동플레이트와, 키패드가 장착된 하부바디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플레이트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할 때 탄성력을 제공하는 휴대폰 슬라이드 모듈에 있어서, 일측 단부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몸체; 일측 단부가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몸체; 및 양단이 상기 제1, 제2 몸체에 고정되지 않으면서 삽입 연결되는 선형의 와이어스프링;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몸체 및 제2 몸체의 각 타측 방향 측면에는 상기 와이어스프링의 양단부가 삽입 연결되는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몸체 및 제2 몸체의 중앙 부위에는, 상기 삽입홈과 연통하는 절개홈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몸체 및 제2 몸체의 각 타측 방향의 측면에는 상기 삽입홈이 적어도 2 이상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스프링은 상기 삽입홈의 수(數)에 대응하여 적어도 2 이상의 와이어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와이어스프링은 호(弧)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몸체 및 제2 몸체의 각 타단에는 상호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체로서 선형의 와이어스프링을 사용하고, 이 와이어스프링이 제1, 제2 몸체에 삽입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금속 재질인 고정플레이트 및 이동플레이트와 또한 금속 재질인 와이어스프링이 서로 마찰하지 않는다. 이로써 슬라이드 작동시 소음, 마모가 발생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제2 몸체 및 와이어스프링으로 구성되어, 구성이 매우 간단하고, 조립이 간편한 휴대폰 슬라이드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기능을 하는 동일부재 또는 동일한 형상적 특징 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 슬라이드 모듈의 조립 상태를 알 수 있는 휴대폰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폰 슬라이드 모듈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폰 슬라이드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폰 슬라이드 모듈의 탄성 회동상태를 알 수 있는 상태도, 도 5는 휴대폰 슬라이드 모듈의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 슬라이드 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결합부의 다른 예를 보인 휴대폰 슬라이드 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휴대폰 슬라이드 모듈의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 슬라이드 모듈(1′)은, 와이어스프링(100)과 제1 및 제2 몸체(200a, 200b)가 포함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스프링(100)은 선형으로 이루어진 와이어스프링(100)이 사용된다. 그리고 와이어스프링(100)은 제1, 제2 몸체 사이의 간격을 좁힐 수 있도록, 그래서 고정플레이트(10) 및 이동플레이트(20)의 폭을 좁힐 수 있도록 굽어진 호(弧)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와이어스프링(100)은 호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양단부를 외력으로 펴거나 더 굽히게 되면 원래의 호 형상으로 복원되려는 탄성력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와이어스프링(100)은 종래 휴대폰 슬라이드 모듈(1′)에 포함되는 복잡한 형상의 탄성스프링과 달리 단순히 선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작시 소정 곡률로 굽히는 작업만으로 제작이 완료되는 제작 편의성의 이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 슬라이드 모듈의 두께 감소, 조립 편의성 등의 측면에서도 매우 유리한 이점을 갖는다.
와이어스프링(100)의 양단부는 제1 몸체(200a) 및 제2 몸체(200b)와 연결된다.
제1, 제2 몸체(200a, 200b)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제1 몸체(200a)와 제2 몸체(200b)에 관한 하기에서의 설명에서 지시되는 '일측'과 '타측'은 제1 몸체(200a)와 제2 몸체(200b)가 독립된 구성으로 보아 각각 지시되는 것이고, 어느 절대적인 방향 기준에 따라 공통적으로 지시되는 것이 아님을 우선 밝힌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몸체(200a)는 일측 단부가 고정플레이트(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몸체(200b)는 일측 단부가 이동플레이트(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제1 몸체(200a)가 와이어스프링(100)의 일단부와 연결되고, 제2 몸체(200b)가 와이어스프링(100)의 타단부와 연결되어 와이어스프링(100)을 매개로, 즉 와이어스프링(100)으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으면서 제1, 제2 몸체(200a, 200b)가 상호 연동하게 된다.
제1 몸체(200a)와 제2 몸체(200b)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대칭되는 구조 내지 형상을 갖기 때문에 하기에서는 제1 몸체(200a)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제2 몸체(200b)에 대해서는 필요한 설명을 제외하고 제1 몸체(200a)의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한다.
제1 몸체(200a)는 외형이 일정한 형상으로 한정될 필요가 없으며, 다만 휴대폰 슬라이드 모듈(1′)의 두께 감소를 고려하여 얇은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재질에 있어서도 일정한 소재로 한정될 필요가 없으며, 다만 고정플레이트(10) 및 이동플레이트(20)에 닿게 되더라도 마모 및 소음 발생이 최소화되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몸체(200a)는 타측이 와이어스프링(100)의 일단부와 연결된다. 연결 구조의 구체적인 일 예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몸체(200a) 타측 방향의 측면에 삽입홈(201)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201)은 제1 몸체(200a)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소정 길이로 형성된다. 와이어스프링(100)은 이 삽입홈(201)을 통해 일단부가 삽입되면서 제1 몸체(200a)와 연결된다.
이때, 와이어스프링(100)의 일단부가 억지끼움 되면서 삽입 연결될 수 있으며, 혹은 일단부가 삽입홈(201)에서 구속되지 않으면서 삽입되어 연결될 수도 있다. 이는 와이어스프링(100)의 타단부와 제2 몸체(200b)의 연결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후자의 구조, 즉 와이어스프링(100)이 제1 및 제2 몸체(200a, 200b)에 구속되지 않으면서 삽입 연결되는 구조는 삽입홈(201)의 내경이 와이어스프링(10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가능하다.
전자의 구조, 즉 와이어스프링(100)의 양단부가 제1, 제2 몸체(200a, 200b) 에 삽입되고 고정되는 구조는, 고정플레이트(10)와 이동플레이트(20)의 상대적인 미끄럼 이동에 의해 와이어스프링(100)의 굽힘 변형이 발생할 때, 와이어스프링(100)의 양단부가 제1, 제2 몸체(200a, 200b)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와이어스프링(100)에는 와이어스프링(100)의 길이방향으로 인장력 또는 압축력이 작용하게 되고, 결국 와이어스프링(100)의 소성변형을 초래하게 된다. 이는 와이어스프링(100)의 내구성과 관련하여 바람직한 현상이 아니다. 물론, 충분한 내구성을 갖는 재질로 와이어스프링(100)을 제작함으로써 상기한 문제가 문제로 작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후자의 구조, 즉 와이어스프링(100)의 양단부가 제1, 제2 몸체(200a, 200b)에서 구속되지 않으면서 삽입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는 차원에서 바람직할 것이다. 이 경우는 고정플레이트(10)와 이동플레이트(20)의 상대적인 미끄럼 이동이 있더라도, 즉 와이어스프링(100)의 굽힘 변형이 있더라도 와이어스프링(100)의 일단부가 삽입홈(201)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와이어스프링(100)의 길이방향으로 인장력이나 압축력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단지 와이어스프링(100)가 굽어지는 외력만이 작용할 뿐이다. 따라서, 전자의 구조보다는 와이어스프링(100)의 내구성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한 연결 구조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동 상태는 도 4에서 참조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게 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2 몸체(200a, 200b)의 각 일측 단부가 서로 모여지는 상태로 되면서 탄성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때 와이어스프링(100)에는 굽힘 변형만이 작용할 뿐이며, 길이방향으로의 인장력이나 압축력은 작용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한 연결구조에서 어느 구조의 경우든 와이어스프링(100)의 외경보다 제1, 제2 몸체(200a, 200b)의 두께가 클 수밖에 없다. 따라서 제1 몸체(200a)가 고정플레이트(10) 또는 이동플레이트(20)에 닿는 경우는 있더라도 와이어스프링(100)은 고정플레이트(10) 및 이동플레이트(20)에 닿지 않게 되며, 이로써 고정플레이트(10) 및 이동플레이트(20)와 와이어스프링(100)는 서로 마찰하지 않는다.
한편, 제1 몸체(200a)는 그 중앙 부위에 상하방향(도 2 및 도 3 기준)으로 관통하는 절개홈(20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절개홈(202)은 삽입홈(201)과 연통한다.
따라서, 삽입홈(201)을 통해 절개홈(202) 영역으로 삽입된 와이어스프링(100)의 일단부 부위는 절개홈(202) 영역의 공간에 놓이게 되며, 와이어스프링(100)의 변형 과정에서 삽입홈(201)을 통해 인출 또는 삽입되는 유동이 있더라도 절개홈(202) 내의 영역에서는 제1 몸체(200a)와 마찰하지 않게 된다. 이로써 와이어스프링(100)의 유동이 훨씬 자유로워짐은 물론이며 슬라이드 감(感)을 향상시키는 것에도 기여하게 된다.
한편, 삽입홈(201)은 제1 몸체(200a) 타측 방향의 측면에서 하나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측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면서 다수가 형성될 수도 있다.
삽입홈(201)이 하나가 형성된 경우 와이어스프링(100)은 하나가 구비되어 제1 몸체(200a)와 연결된다.
삽입홈(201)이 다수가 이격 형성된 경우에, 와이어스프링(100)은 삽입홈(201)의 수(數) 범위에서 적어도 2 이상의 와이어스프링(10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청구항 4에서 표현된 "삽입홈(201)의 수에 대응하여"라는 표현은 이러한 의미를 갖는다. 와이어스프링(100)이 다수로 이루어짐으로써 와이어스프링(100)을 최대한 가늘게 제작하더라도 필요한 탄성력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와이어스프링(100)의 내구성 측면, 제1 및 제2 몸체(200a, 200b)의 탄성 유동에 대한 신뢰성 측면에서 보다 향상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 몸체(200a)는 고정플레이트(10)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데, 구체적인 결합 구조의 일 예로 제1 몸체(200a)의 일측 단부에 결합공(203)을 형성하고, 리벳(15) 등의 고정 부재를 결합공(203)을 통해 고정플레이트(10)에 결합하는 구조의 예가 제시될 수 있다.
제2 몸체(200b)는 와이어스프링(100)의 타단부와 연결되며, 일측 단부가 이동플레이트(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몸체(200b)는 제1 몸체(200a)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면서 제1 몸체(200a)와 마찬가지의 구조로 와이어스프링(100)과 연결된다. 따라서, 제2 몸체(200b)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제1 몸체(200a)의 설명으 로 대신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휴대폰 슬라이드 모듈(1′)이 고정플레이트(10)와 이동플레이트(20)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이동플레이트(20)의 미끄럼 이동에 따라 탄성 회동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a)에서는 제1 몸체(200a)와 제2 몸체(200b)에 대하여 와이어스프링(100)에 의한 탄성력이 작용하지 않는 최초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 외력을 가해 이동플레이트(20)를 고정플레이트(10)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시키게 되면, 와이어스프링(100)의 변형에 따른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몸체(200a)와 제2 몸체(200b)가 회동하여 각 일측 단부가 서로 모여진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외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면 와이어스프링(100)의 탄성력에 의해 제1 몸체(200a) 및 제2 몸체(200b)가 도 5(a)에 도시된 상태로 다시 복귀하게 된다.
도 5(b)에 도시된 상태에서 이동플레이트(20)가 미끄럼 이동이 더 진행되어 사점(dead point)를 넘어서게 되면 더이상의 외력을 작용하지 않더라도 와이어스프링(100)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플레이트(20)의 미끄럼 이동이 자동으로 진행하게 되며, 결국 도 5(c)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도 6 내지 도 8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 슬라이드 모듈(1″)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표시된 부호 중 하기에서 설명이 생략된 것은 상술한 일 실시예에서의 설명으로 대신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된 일 실시예와 달리 제1 몸체(200a)와 제2 몸체(200b)가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제2 몸체(200a, 200b)가 서로 결합된 상태로 회동하면서 와이어스프링(100)으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게 된다.
제1, 제2 몸체(200a, 200b)의 상호 결합 구조로서 도 6에 도시된 일 예에서는 제1, 제2 몸체(200a, 200b)의 각 타단에 제1, 제2 결합부(210a, 210b)가 연장 형성된 예를 제시한다.
제1, 제2 결합부(210a, 210b)는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데, 구체적으로 제1, 제2 결합부의 각 단부에 같은 직경의 관통공(211)이 각각 형성되고, 각 관통공(211)이 서로 일치하여 연통하도록 제1, 제2 결합부(210a, 210b)를 서로 포갠 다음, 별도의 고정 부재(50)를 이용하여 회전 자재(自在)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제1, 제2 결합부(210a, 210b)가 상호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도 6에서 도시된 결합부(210a, 210b)의 다른 예로서 전술한 제1 결합부(210a) 및 고정 부재(50)가 일체로 형성되는 예를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제1 결합부(210a)의 단부에는 고정부(50′)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 고정부(50′)가 제2 결합부(210b)의 단부에 형성된 관통공(211)으로 회전 자재하게 결합됨으로써 제1, 제2 결합부(210a, 210b)가 상호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예가 제시된다. 그리고 고정 부재(50′)의 하부에는 관통공(211)에 회전 자재하면서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돌출턱(51)과 절개부(52)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예에서 제1, 제2 결합부(210a, 210b) 각 단부의 상, 하면에는, 서로 포개어 질 때 제1, 제2 결합부(210a, 210b)의 각 상, 하면이 서로 동일 평면을 이루면서 포개어진 두께가 최소화되도록 단턱(21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50′)는 제2 결합부(210b)에, 그리고 관통공(211)은 제1 결합부(210a)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호 결합될 수 있음도 물론이다.
도 8 (a) 내지 (c)에서는 도 6 또는 도 7에서 참조되는 휴대폰 슬라이드 모듈(1″)이 설치된 상태에서 고정플레이트(10)와 이동플레이트(20)가 상호 미끄럼 이동하는 작동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 슬라이드 모듈의 조립 상태를 알 수 있는 휴대폰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폰 슬라이드 모듈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폰 슬라이드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폰 슬라이드 모듈의 탄성 회동상태를 알 수 있는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 슬라이드 모듈의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 슬라이드 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결합부의 다른 예를 보인 휴대폰 슬라이드 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 슬라이드 모듈의 작동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
1; 휴대폰 슬라이드 모듈 10; 고정플레이트
15; 리벳 20; 이동플레이트
100; 와이어스프링 200a; 제1 몸체
200b; 제2 몸체 201; 삽입홈
202; 절개홈 203; 결합공
210a, 210b; 결합부

Claims (6)

  1. 이동플레이트와 고정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플레이트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할 때 탄성력을 제공하는 휴대폰 슬라이드 모듈에 있어서,
    일측 단부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몸체;
    일측 단부가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몸체; 및
    양단이 상기 제1, 제2 몸체에 고정되지 않으면서 삽입 연결되는 선형의 와이어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 및 제2 몸체의 각 타측 방향 측면에는 상기 와이어스프링의 양단부가 삽입 연결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몸체 및 제2 몸체의 중앙 부위에는, 상기 삽입홈과 연통하는 절개홈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슬라이드 모듈.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 및 제2 몸체의 각 타측 방향의 측면에는 상기 삽입홈이 적어도 2 이상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스프링은 상기 삽입홈의 수(數)에 대응하여 적어도 2 이상의 와이어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슬라이드 모듈.
  5. 청구항 1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스프링은 호(弧)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슬라이드 모듈.
  6. 청구항 1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 및 제2 몸체의 각 타단에는 상호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슬라이드 모듈.
KR1020090038199A 2009-01-08 2009-04-30 휴대폰 슬라이드 모듈 KR101044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143,671 US20110275423A1 (en) 2009-01-08 2009-07-30 Mobile phone slide module
PCT/KR2009/004247 WO2010079874A1 (ko) 2009-01-08 2009-07-30 휴대폰 슬라이드 모듈
EP09837635A EP2375702A4 (en) 2009-01-08 2009-07-30 SLIDING MODULE FOR MOBI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477 2009-01-08
KR20090001477 2009-01-08
KR1020090018024 2009-03-03
KR20090018024 2009-03-0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0724A Division KR101117598B1 (ko) 2009-01-08 2011-04-29 휴대폰 슬라이드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2290A KR20100082290A (ko) 2010-07-16
KR101044797B1 true KR101044797B1 (ko) 2011-06-29

Family

ID=4264246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8199A KR101044797B1 (ko) 2009-01-08 2009-04-30 휴대폰 슬라이드 모듈
KR1020110040724A KR101117598B1 (ko) 2009-01-08 2011-04-29 휴대폰 슬라이드 모듈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0724A KR101117598B1 (ko) 2009-01-08 2011-04-29 휴대폰 슬라이드 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10275423A1 (ko)
EP (1) EP2375702A4 (ko)
KR (2) KR101044797B1 (ko)
WO (1) WO201007987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598B1 (ko) * 2009-01-08 2012-02-24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휴대폰 슬라이드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16559B (zh) * 2008-06-26 2012-05-23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滑盖装置
CN102457596B (zh) * 2010-10-29 2014-05-14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具有连接结构的滑盖手机弹簧模组及其应用
KR20130015345A (ko) * 2011-08-03 2013-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프링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CN103973841A (zh) * 2014-04-25 2014-08-06 昆山市大久电子有限公司 适用于套装两部手机的手机外壳
CN108683766A (zh) * 2018-07-25 2018-10-19 杨霞 一种多功能手机后壳
CN110638272B (zh) * 2019-09-20 2021-06-01 上海图美会展服务有限公司 一种相机展示柜
CN117042374B (zh) * 2023-09-14 2024-03-22 广东理工学院 一种带有自保护功能的智能家居遥控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9226A (ko) * 2002-08-27 2004-03-05 이미지퀘스트(주) 무선 데이터 수신장치를 장착한 모니터
KR20060038419A (ko) * 2006-03-28 2006-05-03 주식회사 엠솔버 휴대폰용 슬라이딩 장치
KR200419226Y1 (ko) 2006-03-29 2006-06-19 주식회사 유엠텍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0800808B1 (ko) * 2006-09-27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JP2008312176A (ja) * 2007-05-11 2008-12-25 Strawberry Corporation スライド装置並びにスライド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3059B1 (ko) * 2004-10-01 2007-02-15 주식회사 피앤텔 가변선회축의 스프링을 채용한 슬라이딩 개폐장치
KR100703150B1 (ko) * 2004-10-13 2007-04-05 아이티이코리아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용 스몰 슬라이드 힌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휴대 단말기
KR100634116B1 (ko) * 2005-01-25 2006-10-13 (주)케이제이 프리테크 슬라이드식 핸드폰의 탄성부재
KR100669990B1 (ko) 2005-12-21 2007-01-17 이근주 슬림형 슬라이드 모듈용 탄성스프링
KR100721347B1 (ko) * 2006-05-24 2007-05-25 주식회사 다이아벨 휴대폰 힌지 장치
JP2009177769A (ja) * 2007-05-18 2009-08-06 Strawberry Corporation スライド装置並びにスライド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KR101454241B1 (ko) * 2008-06-19 2014-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20090132351A (ko) * 2008-06-20 2009-12-30 박정민 휴대전화용 슬라이딩 모듈
KR101044797B1 (ko) * 2009-01-08 2011-06-29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휴대폰 슬라이드 모듈
KR101014952B1 (ko) * 2009-06-29 2011-02-15 (주)쉘라인 액츄에이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9226A (ko) * 2002-08-27 2004-03-05 이미지퀘스트(주) 무선 데이터 수신장치를 장착한 모니터
KR20060038419A (ko) * 2006-03-28 2006-05-03 주식회사 엠솔버 휴대폰용 슬라이딩 장치
KR200419226Y1 (ko) 2006-03-29 2006-06-19 주식회사 유엠텍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0800808B1 (ko) * 2006-09-27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JP2008312176A (ja) * 2007-05-11 2008-12-25 Strawberry Corporation スライド装置並びにスライド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598B1 (ko) * 2009-01-08 2012-02-24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휴대폰 슬라이드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75702A4 (en) 2012-10-10
KR20110050421A (ko) 2011-05-13
KR101117598B1 (ko) 2012-02-24
US20110275423A1 (en) 2011-11-10
EP2375702A1 (en) 2011-10-12
KR20100082290A (ko) 2010-07-16
WO2010079874A1 (ko) 201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7598B1 (ko) 휴대폰 슬라이드 모듈
EP2150030A1 (en) Slid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liding device
JP2007028417A (ja) スライド式携帯電話のスライドモジュール
US20100226080A1 (en) Slide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lide device
JP2006081107A (ja) 携帯機器のスライド機構及び携帯電話機
KR200439609Y1 (ko)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EP2993553A1 (en) Angle adjustment mechanism
CN101290034A (zh) 弹簧装置及提供该弹簧装置的方法
US20080101854A1 (en) Rotation Support Mechanism and Mobile Terminal
KR200430988Y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장치
KR100867664B1 (ko) 듀얼 슬라이더 조립체
KR100876552B1 (ko) 휴대단말기용 탄성 레버기구
KR100861074B1 (ko) 휴대단말기용 탄성 레버기구를 이용한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JP5923322B2 (ja) ばねユニット及びスライド機構
KR20100013239A (ko) 슬라이드 힌지용 탄성 스프링
KR100998879B1 (ko) 힌지 모듈
KR101106602B1 (ko) 슬라이드형 단말기 스프링 모듈
KR100788726B1 (ko)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KR20060053585A (ko) 슬라이딩과 회전을 겸비한 반자동식 모듈 및 이를 구비한이동통신단말기
JP3148087U (ja) スライドユニット及び携帯製品
KR100912634B1 (ko) 슬라이드식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조립체의 작동스프링
JP5124060B2 (ja) スライド回転ヒンジ
JP2008148248A (ja) スライド式携帯機器
KR100986410B1 (ko) 이동통신기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의 동작스프링
KR200412903Y1 (ko) 휴대폰용 슬라이드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