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4687B1 - 방수를 위한 전선케이블 - Google Patents

방수를 위한 전선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4687B1
KR101044687B1 KR1020090024751A KR20090024751A KR101044687B1 KR 101044687 B1 KR101044687 B1 KR 101044687B1 KR 1020090024751 A KR1020090024751 A KR 1020090024751A KR 20090024751 A KR20090024751 A KR 20090024751A KR 101044687 B1 KR101044687 B1 KR 101044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wire cable
electric wire
core
w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4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6676A (ko
Inventor
최연배
Original Assignee
디에스전선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스전선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에스전선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4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4687B1/ko
Publication of KR20100106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6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4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4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2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moisture, corrosion, chemical attack or wea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surfaces specially treated for preserving insulating properties, e.g. for protection against moisture, dirt,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1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1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 H01B7/24Devices affording localised protection against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2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moisture, corrosion, chemical attack or weather
    • H01B7/282Preventing penetration of fluid, e.g. water or humidity, into conductor or cable
    • H01B7/2825Preventing penetration of fluid, e.g. water or humidity, into conductor or cable using a water impermeable she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2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moisture, corrosion, chemical attack or weather
    • H01B7/282Preventing penetration of fluid, e.g. water or humidity, into conductor or cable
    • H01B7/285Preventing penetration of fluid, e.g. water or humidity, into conductor or cable by completely or partially filling interstices in the cable
    • H01B7/288Preventing penetration of fluid, e.g. water or humidity, into conductor or cable by completely or partially filling interstices in the cable using hygroscopic material or material swelling in the presence of liqui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14Extreme weather resilient electric power supply systems, e.g. strengthening power lines or underground power cables

Landscapes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를 위한 전선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중심축을 기준으로 다수개가 모아서 형성되는 다수의 전선(Electric Wire); 상기 다수의 전선(Electric Wire)이 형성된 중앙부인 중심축 상에 형성되며, 물기를 흡수하며 팽창하는 재료로 형성되는 방수부; 상기 다수의 전선(Electric Wire)의 외부에 형성되며, 외력에 의한 강도를 향상시키는 보강용 소재로 형성되는 충진재; 및 상기 충진재의 외부를 피복하여 형성되며 외부에 의한 물기를 차폐시키기 위한 외장부; 를 포함하며, 상기 방수부는, 로프형태로 형성되며, 물기를 흡수하면 팽창하는 재질로 형성되는 코어부; 및 다수의 실 가닥을 꼬아서 형성된 꼬여진 실 가닥을 상기 코어부를 중심으로 감는 형태로 형성되는 코어보호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선케이블의 외장부 파손시, 물기에 의한 전선케이블의 오동작을 예방하며, 전선케이블이 매설된 지역이 습한 지역일 경우에 전선케이블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전선, 케이블, 방수, 흡수, 구조

Description

방수를 위한 전선케이블{Electric cable for waterproof}
본 발명은 전선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선케이블의 외장부 파손시, 외부의 물기의 전선케이블 내로의 침입에 의한 전선케이블의 오동작을 예방하고, 전선케이블이 매설된 지역이 습한 지역일 경우에 전선케이블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한 방수를 위한 전선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전선(Electric Wire)은 전력(power)이나 통신신호 등을 전달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소재이다. 또한, 최근에는 광섬유케이블과 같이 전기적 신호가 아닌 광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소재도 개발되어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광섬유케이블 역시 동일한 개념의 전선케이블로 칭한다. 특히, 여러 선들이 함께 묶여서 일정한 다발을 이루도록 하고, 이 다발을 함께 피복해서 만든 케이블이 특히 대용량, 장거리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전선 케이블은 특히 전달하는 전력의 전력량이나 전기적 신호의 신호량들이 매우 크다는 점에서 의존도가 더욱 높아지고, 그에 따라 신뢰성이 매우 중요하게 된다. 더욱이 물기의 침투, 화재 등의 재난으로부터 이들 전선 케이블을 보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화재 발생시 통신용이나 송전용 케이블의 피복재 등이 탄화되어 박리되면 피복재 내측의 내용물 즉, 심재가 화재에 노출되어 화염으로부터 전혀 보호받지 못하게 되어 전소되게 된다. 이와 같이, 케이블의 피복재가 화재로 박리되여 그 내측의 내용물인 차폐층과 절연층 등이 전소되면, 심재인 도체가 노출되어 합선이나 단락 등의 현상이 야기될 위험성이 있다. 특히, 케이블이 광케이블인 경우, 광케이블은 광섬유의 주위에 위치하는 고-휘발성의 연소가 쉬운 광젤리 등을 포함하기 때문에 특히 화재시 광케이블의 난연성은 더욱 중요한 요건이 된다. 광케이블의 광젤리는 그 원료가 광유의 일종으로서, 인화성이 강한 물질이므로 화재 발생시 소화작업에 어려움이 많으며, 연소시 유독가스의 발생을 초래하여 사람에게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997-29906호는 내화용 열 경화성 고분자 수지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내화 전선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다. 여기에는 20 내지 30중량부의 실리콘고무와 70 내지 80중량부의 에칠렌 프로필렌이 혼합되고, 여기에 내화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마이카계 및 유리질 물질중 어느 하나로 된 10 내지 30중량부의 내화용 난연제와, 1 내지 5중량부의 실리카계 보강제가 첨가된 내화용 열 경화성 고분자 수지 조성물이 기술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00-408호는 동축형 배전케이블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다. 여기에는 중공관과, 상기 중공관의 외면을 따라 배선되는 광섬 유와, 상기 중공관의 외주면을 감싸는 내부피복층과, 상기 내부피복층 외주면에 동심원을 이루면서 번갈아가며 배치되는 다수의 도체층 및 절연층과, 상기 도체층과 절연층을 보호 및 절연하는 외부피복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동축형 배전케이블이 기술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312121호에는 도체의 외주에 내화테이프를 감아서 부착시키고, 상기 내화테이프의 위에 절연체를 압출시켜 피복시키고, 상기 절연체의 위에 차폐동테이프를 감아서 부착시키고, 상기 차폐동테이프 상에 쉬쓰를 압출시켜 피복시키되, 내화전선의 차폐동테이프와 쉬쓰와의 사이에 연소발포배율이 다른 2가지의 단열층을 설치시켜, 연소시에 상기 2가지의 단열층의 안쪽, 내층이 탄화층을 형성시키고, 외층이 발포층을 형성시키도록 이루어진 내화전선이 기술되어 있으며, 동 공보 평8-124430호에는 도체 상에 내화층, 절연체, 반도전성 테이프, 차폐테이프, 세라믹계 테이프, 가압테이프 및 쉬쓰층으로 구성되며, 세라믹계 테이프는 최외층의 알루미나테이프와 최내층의 폴리에틸렌필름의 사이에 세라믹섬유, 셀룰로스계 바인더 및 서로 다른 융점을 갖는 2종의 유리섬유로 이루어진 조성물로 구성되어, 기계적 강도가 높고, 1회의 권취로도 충분한 단열성 및 내열성을 확보하여 세경화 즉 굵기가 가느다란 고압내화케이블이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선행기술들은 모두 전선 케이블의 연소시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며, 물에 대한 방수를 위한 전선(Electric Wire)구조에 대해서는 충분한 특허가 있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방수를 위해서 외부막에 대한 것에만 치중했지 내부의 내구성에 의한 방수의 역할을 위한 기술에 대해서는 아직 개발되지 못하고 있 다.
따라서, 해당 기술 분야에서는 내부적 구조에 의해 물기가 많을 경우 전선(Electric Wire)을 보호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전선케이블의 외장부 파손시, 물기에 의한 전선케이블의 오동작을 예방하기 위한 방수를 위한 전선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선케이블이 매설된 지역이 습한 지역일 경우에 전선케이블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한 전선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선, 방수부, 충진재 및 외장부로 구성된 방수를 위한 전선케이블에 있어서, 여러 동선이 함께 묶여서 일정한 다발을 이루어 전선케이블의 중심축에 삽입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전선; 다수의 전선이 형성된 중앙부인 중심축에 형성된 방수부와, 상기 방수부는 로프형태로 형성되며, 물기를 흡수하면 팽창하는 재질로 형성되고 방수부의 중앙인 중심축 상에 형성된 코어부와 다수의 실 가닥을 트위스트 방식에 의해 꼬아서 형성된 실 가닥을 상기 코어부를 중심으로 감싸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코어보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전선의 외부에 형성되며, 외력에 의한 강도를 향상시키는 보강용 소재료 형성되는 충진재; 및 상기 충진재의 외부를 피복하여 형성되며 외부에 의한 물기를 차폐시키기 위한 외장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전선케이블의 외장부 파손시, 물기에 의한 전선케이블의 오동작을 예방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전선케이블이 매설된 지역이 습한 지역일 경우에 전선케이블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수를 위한 전선케이블 중 방수부를 제외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수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수를 위한 전선케이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방수를 위한 전선케이블은 전선(Electric Wire)(10), 방수부(20), 충진재(50), 외장부(60)를 포함하며, 방수부(방수로프, 20)는 코어부(방수얀, 22) 및 코어보호부(실, 24)를 포함할 수 있다.
전선(Electric Wire)(10)은 여러 동선들이 함께 묶여서 일정한 다발을 이루도록 하고, 이 다발을 함께 피복 해서 만든 케이블 전선(Electric Wire)이다. 전선(Electric Wire)(10)은 전선 다발 4가닥을 하나의 전선케이블에 삽입하여 형성되며, 전선 다발 2가닥씩 모아 병렬로 쌓아 올린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 전선(Electric Wire)(10)은 내부에 다수의 동선(12)을 포함하며, 동선(12)은 외피(14)에 의해 내부로 물기가 전달되는 것을 차단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한편, 전선(10)의 외피(14)는 플라스틱 소재가 사용될 수 있으나, 외장부(60)보다는 물에 취약한 재질로 형성되므로, 이에 대한 습기를 제거하고, 전선(10)을 보호하기 위해 전선(10)의 중앙부의 외피(14)와 맞닿는 부분에 하기의 방수부(20)를 더 포함하여야 한다.
방수부(방수로프, 20)는 다수(도면상에 4 가닥)의 전선(Electric Wire)(10)이 형성된 중앙부인 중심축에 형성되며, 코어부(방수얀, 22)와 코어보호부(실, 24)을 포함한다. 코어부(22)는 흡수력이 있고 팽창하는 재료를 사용한다. 코어부(22)는 방수부(20)의 중앙인 중심축 상에 형성되며, 로프형태로 형성된다. 특히, 코어부(22)는 물기를 흡수하는 재질의 물흡수를 위한 섬유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과 코어부(22)의 물기를 흡수하면 팽창하는 성질에 의해, 외장부(60)가 손상시 코어부(22)는 외부로부터 충진재(50)를 거쳐 전선케이블 내부로 들어온 물기를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코어부(22)는 섬유에 방수 코팅을 한 소재이다. 코어부(22)에 형성된 코팅은 방수 파우더를 섬유에 입혀 형성된다. 방수 파우더에 대한 도포에 대해서는 특허등록 제10-0490133호 등에 의해 당업자에 의해 여러 가지 실시 예로 코어보호부(24)의 외부에 도포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해당 코팅은 방수 파우더를 표면에 입히는 방식의 코팅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팅은 매끈한 코팅이 아니기 때문에 코어보호부(24)를 코어부(22)에 여러 차례 감거나 급격하게 휘어지면 방수파우더가 떨어져 나가 방수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코어보호부(24)를 형성시 이에 대한 주의를 요한다.
코어보호부(24)는 8가닥의 실(또는 섬유)을 꼬아서 하나의 실(또는 섬유)을 형성하는 팔삭기 등의 성형기를 이용해, 다수의 가닥(예컨대, 8가닥)의 실(또는 섬유)을 꼬아서 형성된다(도 2 참조). 코어보호부(24)은 상기와 같이 형성된 실이 코어부(22)를 가운데 두고 감겨 지도록 전선케이블 내에서 형성된다. 즉, 코어보호 부(24)은 다수 가닥의 실(또는 섬유)를 트위스트 방식으로 꼬임 시킨 후, 코어부(22)를 감싸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코어보호부(24)가 코어부(22) 겉면을 감싸주어 코어부(22)에 코팅된 방수 파우더가 떨어져 나가는 보완을 할 수 있다. 즉, 기존의 코어부(22)는 코어보호부(24)가 없었으므로, 방수부(20)가 휘거나 구부러질 경우, 전선 작업시 작업자의 손에 의해 방수 파우더가 이탈되면서 방수기능이 저하되는 약점이 있어 왔다.
한편, 코어보호부(24)는 코어부(22)에 감긴 틈사이로 물기가 들어간 후, 코어부(22)에 물기로 인해 팽창한 뒤, 팽창으로 인한 감긴 틈사이가 좁아짐으로 인해 물기를 외부로 다시 역류하여 통과 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충진재(50)는 전선케이블의 강도를 향상시키며, 케이블전선의 보강용 소재이다. 충진재(50)는 부직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평행 또는 부정방향(不定方向)으로 배열하고 합성수지 접착제로 결합하여 형성되며, 솜·비스코스레이온, 나일론 등의 합성섬유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폴리프로피렌”“폴리아미드”“포리에치렌” 등의 재질로 된 부직포가 가열장치된 압축롤라기 사이를 통과하면서 고열과 고압처리로 인해 전선용 부직포가 요구하는 신도와 강도가 발생되어 형성될 수 있다.
외장부(60)는 전선케이블에 대한 1차적으로 물기를 차폐시키며, PVC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장부(60)는 도시되진 않았지만, 외주면에 가연성 재질의 외피가 피복된 통상의 전선에 있어서 전선의 일정간격마다 내 화성 피복층을 형성하되 외피에 매립되게 형성하여서 통상의 전선과 같이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선(Electric Wire)(10)의 어느 부분에서 합선이 되어 열을 받아 가연성외피상에서 발화가 되어도 일정한 길이 까지만 인화되어 내화성 피복층에 이르면 자연적으로 진화되어 더 이상은 인화되지 않으므로서 전기 합선시 전선에 의한 화재를 방지할 수 있어 많은 재산과 인명피해를 막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외주면에 가연성 물질인 고무나 합성수지 만으로 피복되어 전기의 누전등으로 인하여 +선과 -선이 합선되면 도체가 순간적으로 가열되면서 가연성 물질에 발화되어 전선을 따라서 가연성 물질에 인화되어 화재로 인하여 많은 재산과 인명피해를 입게 되는 등의 제 결점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외장부(60)에 의한 전선케이블에 대한 1차적으로 물기를 차폐시키기 위한 작용이 불능화 될 경우 상술한 코어부(22)와 코어보호부(24)을 포함하는 방수부(20)에 의해서 2차적으로 물기를 흡수하여 팽창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수를 위한 전선케이블 구조 중 방수부를 분리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선케이블에 방수부(20)가 전선에 에워 쌍이도록 축 방향으로 삽입되어 열 융착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방수부(20)가 외피(14)로 에워 쌓인 중심을 메우도록 삽입됨으로써 외피(14)끼리의 접촉을 최소화 시키고 공극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에서 전선케이블을 기준으로 방수를 위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나선, 절연전선 등이 집합된 전선에서도 당업자에 의해 쉽게 변형가능함은 자명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수를 위한 전선케이블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통상의 전선 케이블에 있어서, 팽창성 코어부(22)를 포함하는 심재인 방수부(20)를 피복하여 형성시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전선(Electric Wire)(10)을 다수개(도면상에는 4개) 모아 형성 전선부를 형성하며, 이때, 전선(Electric Wire)(10)을 짝수개 (도면상에는 2개씩) 모아 병렬로 쌓아 올린 구조로 형성한다(S10).
이후, 전선(Electric Wire)(10)을 충진재(50)로 감싸서 강화층을 형성하며(S20), 이때, 충진재(50)는 “폴리프로피렌”“폴리아미드”“포리에치렌” 등의 재질로 된 부직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충진재(50)인 섬유층은 바람직하게는 유리섬유-부직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충진재(60)를 과도하게 구성할 경우 재료가 많이 소요되어 중량이 증가하고, 유연성이 감소하여 설치작업 등이 곤란하게 되며, 비경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반대로 과도하게 적게 구성할 경우, 방수부(20)의 팽창에 의한 이탈 내지는 박리를 억제하는 효과가 적어져서 효과적인 방수 효과를 이끌어 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충진재(50)는 솜·비스코스레이온, 나일론 등의 합성섬유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계(S20)에서와 같이 충진재(50)로 4개의 전선(Electric Wire)(10)을 감싼 뒤, PVC 재질의 외장부(60)를 피복한다(S30). 외장부(60)는 전선케이블에 대한 1차적으로 물기를 차폐시키는데 사용된다. 한편, 외장부(60)가 파손되어 물기가 전선케이블 내부로 삽입을 위해 다음의 방수부(20)를 삽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장부(60)는 외주면에 가연성 재질의 외피가 피복된 통상의 전선에 있어서 전선의 일정간격마다 내화성 피복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선(Electric Wire)(10)의 어느 부분에서 합선이 되어 열을 받아 가연성외피상에서 발화가 되어도 일정한 길이 까지만 인화되어 내화성 피복층에 이르면 자연적으로 진화되어 더 이상은 인화되지 않으므로서 전기 합선시 전선에 의한 화재를 방지할 수 있어 많은 재산과 인명피해를 막을 수 있다.
단계(S30)의 외장부(60)가 형성된 뒤, 전선(Electric Wire)(10)의 중앙에 코어부(22)를 코어보호부(24)으로 둘러 쌓아 형성한 방수부(20)를 삽입한다(S40).
방수부(20)의 코어부(22)는 외장부(60)가 파손될 경우 충진재(50), 전선(Electric Wire)(10) 및 코어보호부(24)를 통과하여 내부로 유입한 물기를 흡수하여 팽창하는 재질로 형성되므로, 물기에 대한 2차적인 방수효과를 낼 수 있다. 한편, 방수부(20)의 코어보호부(24)는, 도 2와 같이 코어부(22)를 둘러 쌓므로, 코어부(22)의 팽창시 코어부(22)에서 흘러나올 수 있는 물기가 외부로 흘러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작용을 수행한다. 또한, 코어보호부(24)가 코어부(22) 겉면을 감싸주어 코어부(22)에 코팅된 방수 파우더가 떨어져 나가는 보완을 할 수 있다. 즉, 기존의 코어부(22)는 코어보호부(24)가 없었으므로, 방수부(20)가 휘거나 구부 러질 경우, 전선 작업시 작업자의 손에 의해 방수 파우더가 이탈되면서 방수기능이 저하되는 약점이 있어 왔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수를 위한 전선케이블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단계(S120) 까지는 도 4의 단계(S20)단계 까지와 동일하다.
그러나, 외장부 피복 전에 단계(S120)의 충진재(50)가 형성된 뒤, 전선(Electric Wire)(10)의 중앙에 코어부(22)를 코어보호부(24)로 둘러 쌓아 형성한 방수부(20)를 삽입한다(S130). 이와 같이, 외장부 피복 단계(S140) 이전에 방수부(20)를 삽입함으로써, 방수부(20)의 삽입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즉, 피복 단계를 방수부(20) 삽입 이후에 실행할 경우, 방수부(20) 삽입 후의 전선케이블 내부의 지름을 고려하여 피복의 두께를 설정하여야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방수부(20) 삽입 후, 전선케이블 내부의 지름을 고려하면 되므로, 보다 간편하게 전선케이블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방수부(20)의 코어부(22)는 외장부(60)가 파손될 경우 충진재(50), 전선(Electric Wire)(10) 및 코어보호부(24)를 통과하여 내부로 유입한 물기를 흡수하여 팽창하는 재질로 형성되므로, 물기에 대한 2차적인 방수효과를 낼 수 있다.
단계(S130)에서와 같이 방수부(20)를 삽입한 뒤, PVC 재질의 외장부(60)를 피복한다(S30). 외장부(60)는 전선케이블에 대한 1차적으로 물기를 차폐시키는데 사용된다. 한편, 외장부(60)가 파손되어 물기가 전선케이블 내부로 삽입을 위해 다 음의 방수부(20)를 삽입한다.
삭제
삭제
상기 본 발명의 내용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방수를 위한 전선케이블에 의해, 전선케이블의 외장부 파손시, 물기에 의한 전선케이블의 오동작을 예방하며, 물기에 의한 전선케이블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산업상 유용한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전선케이블 설치사에 의한 전선케이블 매설시 보다 다양한 장소에 매설할 수 있는 선택성을 부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수를 위한 전선케이블 중 방수부를 제외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수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수를 위한 전선케이블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수를 위한 전선케이블 구조 중 방수부를 분리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수를 위한 전선케이블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수를 위한 전선케이블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전선 12: 동선
14: 외비 20: 방수부
22: 코어 24: 코어보호부
50: 충진재 60: 외장부

Claims (4)

  1. 전선, 방수부, 충진재 및 외장부로 구성된 방수를 위한 전선케이블에 있어서,
    여러 동선이 함께 묶여서 일정한 다발을 이루어 전선케이블의 중심축에 삽입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전선;
    다수의 전선이 형성된 중앙부인 중심축에 형성된 방수부와,
    상기 방수부는 로프형태로 형성되며, 물기를 흡수하면 팽창하는 재질로 형성되고 방수부의 중앙인 중심축 상에 형성된 코어부와 다수의 실 가닥을 트위스트 방식에 의해 꼬아서 형성된 실 가닥을 상기 코어부를 중심으로 감싸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코어보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전선의 외부에 형성되며, 외력에 의한 강도를 향상시키는 보강용 소재료 형성되는 충진재; 및
    상기 충진재의 외부를 피복하여 형성되며 외부에 의한 물기를 차폐시키기 위한 외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를 위한 전선케이블.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90024751A 2009-03-24 2009-03-24 방수를 위한 전선케이블 KR101044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751A KR101044687B1 (ko) 2009-03-24 2009-03-24 방수를 위한 전선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751A KR101044687B1 (ko) 2009-03-24 2009-03-24 방수를 위한 전선케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6676A KR20100106676A (ko) 2010-10-04
KR101044687B1 true KR101044687B1 (ko) 2011-06-28

Family

ID=43128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4751A KR101044687B1 (ko) 2009-03-24 2009-03-24 방수를 위한 전선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46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7983A (ko) 2020-10-30 2022-05-09 (주)테크원 방수 구조를 가지는 전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538B1 (ko) * 2012-12-21 2013-03-11 (주)캔텔 절연 및 방수 특성 강화형 통신케이블
CN106205831A (zh) * 2016-08-30 2016-12-07 无锡江南电缆有限公司 一种额定电压66/110kv铜带屏蔽阻水电力电缆
CN109003695A (zh) * 2018-08-07 2018-12-14 兖矿东华重工有限公司 高性能橡套软电缆及煤矿梭车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2058B1 (ko) * 1987-10-30 1998-04-24 엘리 와이스 방수성 통신 케이블
KR0136663B1 (en) * 1987-10-30 1998-06-15 At & T Corp Water resistant communication cable
JPH10212849A (ja) 1997-01-29 1998-08-11 Shindengen Electric Mfg Co Ltd ロック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扉用錠
KR100223126B1 (ko) 1990-01-23 1999-10-15 죤 제이.키세인 항 세균성 방수설비를 가진 통신 케이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2058B1 (ko) * 1987-10-30 1998-04-24 엘리 와이스 방수성 통신 케이블
KR0136663B1 (en) * 1987-10-30 1998-06-15 At & T Corp Water resistant communication cable
KR100223126B1 (ko) 1990-01-23 1999-10-15 죤 제이.키세인 항 세균성 방수설비를 가진 통신 케이블
JPH10212849A (ja) 1997-01-29 1998-08-11 Shindengen Electric Mfg Co Ltd ロック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扉用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7983A (ko) 2020-10-30 2022-05-09 (주)테크원 방수 구조를 가지는 전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6676A (ko) 2010-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31283B (zh) 耐火、耐水并且耐机械压力的电缆
RU2535603C2 (ru) Кабель электрический холодостойкий,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взрывопожаробезопасный, нераспространяющий горение, для искробезопасных цепей
US20040050578A1 (en) Communications cable
KR101044687B1 (ko) 방수를 위한 전선케이블
CN205582599U (zh) 高阻燃耐火中压电力电缆
RU107374U1 (ru) Волоконно-оптический кабель (варианты)
CN211980260U (zh) 低压电力电缆
JP6940291B2 (ja) 耐火ケーブル
RU110535U1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кабель (варианты)
CN205692608U (zh) 高阻燃耐火型低压电力电缆
CN108761688A (zh) 一种微型柔性铠装直埋、管道用光缆及光缆生产工艺
KR20150142167A (ko) 탄소섬유를 이용한 난연성 전선
CN210692168U (zh) 耐水型低烟无卤高压电缆
CN220672253U (zh) 一种高阻燃绝缘电线电缆
JP2001135163A (ja) 改良された発火遅延性を有する電気ケーブル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218768850U (zh) 一种消防电缆
CN109036652B (zh) 一种地铁用防火信号电缆及其制作工艺
CN216133684U (zh) 一种野外用防鼠类破坏的数据传输电缆
CN216487362U (zh) 一种硅橡胶绝缘屏蔽控制电缆
CN220065207U (zh) 一种超柔隔离型防火电缆
CN219066485U (zh) 一种高阻燃耐高温电缆
CN218513215U (zh) 防水橡套电缆
CN217767925U (zh) 一种全阻水电缆
CN217361193U (zh) 防火防鼠蚁地下电缆
CN114429836A (zh) A类阻燃低烟无卤控制电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