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4592B1 - 에어갭조정이 가능한 전자식 워터펌프 - Google Patents

에어갭조정이 가능한 전자식 워터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4592B1
KR101044592B1 KR1020090032799A KR20090032799A KR101044592B1 KR 101044592 B1 KR101044592 B1 KR 101044592B1 KR 1020090032799 A KR1020090032799 A KR 1020090032799A KR 20090032799 A KR20090032799 A KR 20090032799A KR 101044592 B1 KR101044592 B1 KR 101044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ub
water pump
air gap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2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4319A (ko
Inventor
김배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엔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엔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엔원
Priority to KR1020090032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4592B1/ko
Publication of KR20100114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4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4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4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606Canned motor pumps
    • F04D13/064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4Shafts or bearings, or assemblies thereof
    • F04D29/043Shafts
    • F04D29/044Arrangements for joining or assembling 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05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출력축에 의해 전달되는 동력을 운전상태에 따라 단속하여 선택적으로 냉각수를 펌핑하는 내연기관용 워터펌프로서;
풀리(10)와 바디부(20)가 구성된 샤프트(30)와; 상기 샤프트(30)에 고정되면서 그 둘레면에 상기 풀리(10)가 장착된 허브(40); 및 상기 허브(40)에 배치되어 가이드핀(53)을 따라 이동하면서 스프링(56)의 탄성력을 통해 작동하고 전자석(60)의 자력을 통해 리턴하는 가동자(50)를 포함하며; 상기 허브(40)의 수용공간(46)에 개재되어 상기 샤프트(30)의 나사산(33)이 체결되는 너트체(43)와; 상기 수용공간(46)의 내벽에 형성되어 조정키(70)가 끼워지는 조정공(49); 및 상기 샤프트(30)와 상기 허브(40)의 사이에 개재되는 스페이서(80)가 더 구비되어; 상기 워터펌프의 에어갭을 조정하려는 경우, 상기 너트체(43)와 상기 조정키(70)를 해제하고 상기 허브(40)를 분해한 상태에서 상기 스페이서(80)를 교환함으로써,
상기 샤프트와 허브의 체결부분에 구성되는 상기 너트체와 조정키 및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상기 에어갭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내연기관, 워터펌프, 풀리, 바디부, 허브, 가동자, 조정공, 조정키

Description

에어갭조정이 가능한 전자식 워터펌프{Electric water pump abjustable air gap}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회전력을 단속하여 선택적으로 냉각수를 펌핑하는 워터펌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워터펌프의 조립과정에서 에어갭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에어갭조정이 가능한 전자식 워터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연기관용 워터펌프는 엔진을 포함한 전장품의 작동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하는 것으로서, 이 워터펌프는 크랭크축의 풀리와 벨트나 체인을 통해 연결되어 동시에 구동하며, 특히 라디에이터에 수용된 냉각수를 흡인하여 워터자켓 등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도 1에서와 같이, 워터펌프(100)는, 샤프트(120)에 장착됨은 물론 임펠러를 포함한 흡인기구를 내장한 바디부(110)와, 상기 샤프트(120)의 선단부에 압입된 허브(130), 및 상기 허브(130)에 베어링(145)를 통해 고정되어 상기 내연기관의 출력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풀리(14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워터펌프(100)의 풀리(140)와 상기 내연기관의 크랭크축에 벨트나 체인 등을 연결하면, 상기 풀리(140)에 의해 동시에 상기 바디부(110)가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바디부(110)에 내장되어있던 임펠러와 같은 회전체가 작동하여 상기 라디에이터의 냉각수를 펌핑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워터펌프(100)는 상기 엔진의 온도와는 상관없이 엔진의 RPM에 비례하여 구동하는 구조로서, 예컨대 엔진의 초기구동 또는 냉각상태에서 냉각손실을 유발하여 에너지가 낭비됨은 물론 냉각상태의 지속으로 배기가스량이 증대하여 대기오염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워터펌프(100)의 상기 허브(130)와 풀리(140)의 사이에 동력단속기구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엔진의 초기구동 또는 냉각상태에서 상기 워터펌프의 작동을 일시정지하였다가 상기 엔진이 세팅온도로 상승하여 난기 운전상태에서만 가동되도록 하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즉,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허브(130)에 가이드핀(153)을 따라 이동하면서 스프링(156)의 탄성력을 통해 상기 풀리(140)의 내벽면을 따라 접촉함은 물론 전자석(160)의 자력을 통해 상기 풀리(140)로부터 이탈하는 가동자(150)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풀리(140)의 회전력을 단속한다.
그런데, 상기 워터펌프(100)는 상기 샤프트(120)에 상기 허브(130)를 압입하여 고정함으로써, 상기 허브(130)를 한번 고정하면 분해가 불가능하므로, 상기 허부(130)의 조립과정에서 에어갭(Air gap)이 일정거리를 이탈하더라도 상기 에어갭의 조정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상기 워터펌프의 에어갭이 세팅거리를 이탈하는 경우, 상기 샤프트(120)와 허브(130)를 포함한 구성부품을 폐기처분해야하므로, 상기 워터펌프의 제조에 따른 공정이 지연될 뿐만 아니라 상기 워터펌프의 제조비용이 증대되어 제품단가 상승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워터펌프의 조립과정에서 에어갭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져 상기 워터펌프의 제조에 따른 편리성이 향상됨은 물론 제조단가가 절감되도록 한 에어갭조정이 가능한 전자식 워터펌프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출력축에 의해 전달되는 동력을 운전상태에 따라 단속하여 라디에이터의 냉각수를 선택적으로 펌핑하는 전자식 워터펌프로서; 상기 내연기관의 구동력을 전달받는 풀리와 상기 라디에이터의 냉각수를 펌핑하는 바디부가 나란하게 구성된 샤프트과; 상기 샤프트의 선단부에 고정되며 그 둘레면에 베어링을 통해 상기 풀리가 장착된 허브; 및 상기 허브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가이드핀을 따라 이동하면서 스프링의 탄성력을 통해 작동하고 전자석의 자력을 통해 리턴하는 가동자를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의 선단을 이루는 나사산에 체결되어 상기 샤프트에 허브를 고정하는 너트체와; 상기 수용공간의 내벽에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의 회전반경을 따라 조정키가 끼워지는 한 개 또는 다수개의 조정공; 및 상기 샤프트와 상기 허브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워터펌프의 에어갭을 유지하는 스페이서가 더 구비되어; 상기 워터펌프의 에어갭을 조정하려는 경우, 상기 너트체 및 상기 조정키를 해제하고 상기 허브를 분해한 상태에서 상기 스페이서를 교환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에어갭조정이 가능한 전자식 워터펌프에 의하면; 상기 워터펌프의 조립과정에서 상기 샤프트와 허브의 체결부분에 구성되는 상기 너트체와 조정키 및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상기 에어갭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짐으로써, 상기 워터펌프의 분해조립에 따른 편리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구성부품의 재활용이 가능해져 제조단가가 절감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워터펌프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A부분을 도시한 부분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A부분을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내연기관의 출력축에 의해 전달되는 동력을 운전상태에 따라 단속하여 라디에이터의 냉각수를 선택적으로 펌핑하는 전자식 워터펌프로서; 상기 내연기관의 구동력을 전달받는 풀리(10)와 상기 라디에이터의 냉각수를 펌핑하는 바디부(20)가 나란하게 구성된 샤프트(30)와; 상기 샤프트(30)의 선단부에 고정되며 그 둘레면에 베어링(15)을 통해 상기 풀리(10)가 장착된 허브(40); 및 상기 허브(40)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가이드핀(53)을 따라 이동하면서 스프링(56)의 탄성력을 통해 작동하고 전자석(60)의 자력을 통해 리턴하는 가동자(50)를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30)의 선단을 이루는 나사산(33)에 체결되어 상기 샤프트(30)에 허브(40)를 고정하는 너트체(43)와; 상기 수용공간(46)의 내벽에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30)의 회전반경을 따라 조정키(70)가 끼워지는 한 개 또는 다수개의 조정공(49); 및 상기 샤프트(30)와 상기 허브(40)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워터펌프의 에어갭을 유지하는 스페이서(80)가 더 구비되어; 상기 워터펌프의 에어갭을 조정하려는 경우, 상기 너트체(43) 및 상기 조정키(70)를 해제하고 상기 허브(40)를 분해한 상태에서 상기 스페이서(80)를 교환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워터펌프(1)는 내연기관의 출력축으로부터 공급되는 구동력을 풀리(10)를 통해 전달받아 냉각수의 펌핑작용을 수햄함은 물론, 상기 엔진의 초기구동 또는 냉각상태에서는 상기 엔진을 구동력을 동력단속기구(40,50,60)를 통해 단속하여 냉각수를 펌핑작용을 차단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샤프트(30)는, 워터펌프(1)의 중심부에 구성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으로서, 그 선단부에 나사산(33)이 형성된다.
그리고, 풀리(10)는, 상기 내연기관의 출력축 바람직하게는 엔진의 크랭크축으로부터 공급되는 동력을 전달받아 샤프트(3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샤프트(30)의 둘레면에 베어링(15)을 통해 설치하여 상기 샤프트(30)와 별개로 회전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바디부(20)는 샤프트(30)의 둘레면에 장착되어 상기 라디에이터의 냉각수를 펌핑하는 것으로서, 상기 샤프트(30)의 둘레면에 상기 풀리(10)와 일정거리를 두고 장착함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라디에이터의 냉각수를 펌핑하는 내장부품들은 공지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상기 바디부(20)와 상기 풀리(10)의 사이공간에 상기 내연기관의 출력축으로부터 발생하는 구동력을 선택적으로 상기 샤프트(30)에 전달하는 동력단속기구인 클러치기구가 구성된다.
이때, 상기 클러치기구는 상기 허브(40)와 상기 가동자(50)와 상기 전자석(60)이 상호 결합되어 작용한다.
그리고, 허브(40)는, 상기 샤프트(30)의 선단부에 너트체(43)를 통해 고정되어 상기 바디부(20)와 함께 동시 회전하는 것으로서, 그 둘레면에 베어링(15)을 통해 상기 풀리(10)가 공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가동자(50)는, 상기 허브(40)의 일측부에 구비되어 다수개의 가이드핀(53)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것으로서, 상기 가이드핀(53)의 작동경로에 장착된 스프링(56)을 통해 상기 풀리(10)의 내벽면으로 밀착되는 반면, 전자석(60)의 자력에 의해 상기 풀리(10)의 내벽면으로부터 이탈된다.
따라서, 상기 가동자(50)는 상기 허브(40)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상기 가이드핀(53)을 따라 이동하다가 상기 스프링(56)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풀리(10)와 마찰방식으로 접촉하는 반면, 상기 전자석(60)에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상기 풀리(10)와의 마찰접촉이 해제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핵심적인 기술사상은 상기 스프링(56)에 의해 작동하고 전자석(60)에 의해 리턴하는 상기 가동자(50)의 에어갭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허브(40)에 상기 샤프트(30)의 방향으로 형성된 수용공간(46)과. 상기 수용공간(46)의 내벽면에 형성된 한 개 또는 다수개의 조정공(49), 상기 수용공간(46)에 개재되어 상기 샤프트(30)의 선단부를 이루는 나사산(33)과 체결되는 너트체(43), 상기 조정공(49)에 삽입되어 필요에 따라 분리하는 조정키(70), 및 상기 샤프트(30)와 허브(40)의 사이에 개재된 스페이서(80)를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정공(49)은 상기 수용공간(46)의 전진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으로서, 그 내부에 상기 샤프트(30)로부터 상기 허브(40)의 분해과정에서 이용하는 상기 조정키(70)가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30)에 탄턱(35)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단턱(35)에 의해 상기 스페이서(80)를 수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30)의 나사산(33)에 체결되어 있는 상기 너트체(43)를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조정키(70)를 인출하는 경우, 상기 샤프트(30)에 압입되어 있던 상기 허브(40)의 분리작업이 가능해지므로, 상기 샤프트(30)와 허브(40)의 사이에 장착된 상기 스페이서(80)를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수용공간(46)의 내벽면에 상기 너트체(43)의 이탈을 방지하고 전진위치를 한정하는 단턱(46-1)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스페이서(80)는 상기 워터펌프의 에어갭과 대응하는 두께를 갖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워터펌프의 에어갭이 이탈되는 경우, 상기 샤프트(30)에 결합되어 있던 상기 허브(40)를 분리함으로써, 상기 샤프트(30)와 허브(40)를 포함한 구성부품을 폐기하지 않고 재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스페이서(80)를 교환하여 에어갭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해, 워터펌프(1)의 수용공간(46)에 상기 조정키(70)를 수용하는 조정공(49)을 더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샤프트(30)의 단턱(35)에 상기 스페이서(80)를 개재함은 물론 상기 샤프트(30)를 나선체(43)로 고정함으로써, 상기 조정공(49)과 상기 조정키(70)와 상기 스페이서(80)에 의해 상기 워터펌프의 에어갭이 조정작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식 워터펌프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워터펌프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A부분을 도시한 부분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A부분을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워터펌프 10 : 풀리
20 : 바디부 30 : 샤프트
35 :단턱 40 : 허브
43 : 너트체 46 : 수용공간
49 : 조정공 50 : 가동자
53 : 가이드핀 56 : 스프링
60 : 전자석 70 : 조정키
80 : 스페이서

Claims (3)

  1. 내연기관의 출력축에 의해 전달되는 동력을 운전상태에 따라 단속하여 라디에이터의 냉각수를 선택적으로 펌핑하는 전자식 워터펌프로서;
    상기 내연기관의 구동력을 전달받는 풀리(10)와 상기 라디에이터의 냉각수를 펌핑하는 바디부(20)가 나란하게 구성된 샤프트(30)와; 상기 샤프트(30)의 선단부에 고정되며 그 둘레면에 베어링(15)을 통해 상기 풀리(10)가 장착된 허브(40); 및 상기 허브(40)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가이드핀(53)을 따라 이동하면서 스프링(56)의 탄성력을 통해 작동하고 전자석(60)의 자력을 통해 리턴하는 가동자(50)를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30)의 선단을 이루는 나사산(33)에 체결되어 상기 샤프트(30)에 허브(40)를 고정하는 너트체(43)와; 상기 수용공간(46)의 내벽에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30)의 회전반경을 따라 조정키(70)가 끼워지는 한 개 또는 다수개의 조정공(49); 및 상기 샤프트(30)와 상기 허브(40)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워터펌프의 에어갭을 유지하는 스페이서(80)가 더 구비되어;
    상기 워터펌프의 에어갭을 조정하려는 경우, 상기 너트체(43) 및 상기 조정키(70)를 해제하고 상기 허브(40)를 분해한 상태에서 상기 스페이서(80)를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갭조정이 가능한 전자식 워터펌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30)는,
    그 선단부에 상기 스페이서(80)가 끼워지는 단턱(3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갭조정이 가능한 전자식 워터펌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46)은,
    그 내벽면에 상기 너트체(43)의 전진위치를 한정하는 단턱(46-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갭조정이 가능한 전자식 워터펌프.
KR1020090032799A 2009-04-15 2009-04-15 에어갭조정이 가능한 전자식 워터펌프 KR101044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799A KR101044592B1 (ko) 2009-04-15 2009-04-15 에어갭조정이 가능한 전자식 워터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799A KR101044592B1 (ko) 2009-04-15 2009-04-15 에어갭조정이 가능한 전자식 워터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319A KR20100114319A (ko) 2010-10-25
KR101044592B1 true KR101044592B1 (ko) 2011-06-29

Family

ID=43133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2799A KR101044592B1 (ko) 2009-04-15 2009-04-15 에어갭조정이 가능한 전자식 워터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459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4439U (ja) 1984-05-18 1985-12-06 小倉クラツチ株式会社 電磁連結装置
JP2002021876A (ja) 2000-07-10 2002-01-23 Toyota Industries Corp 電磁スプリングクラッチ
KR20100092708A (ko) * 2009-02-13 2010-08-23 한라공조주식회사 워터펌프용 동력전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4439U (ja) 1984-05-18 1985-12-06 小倉クラツチ株式会社 電磁連結装置
JP2002021876A (ja) 2000-07-10 2002-01-23 Toyota Industries Corp 電磁スプリングクラッチ
KR20100092708A (ko) * 2009-02-13 2010-08-23 한라공조주식회사 워터펌프용 동력전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319A (ko) 2010-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22777B2 (ja) 圧縮機又は真空機
JP2009185819A (ja) カムシャフトタイミングアジャスタ
US6843645B2 (en) Cooling system for a magnetic pump
US20070137593A1 (en) Drive assembly for driving a rotary member, in particular a combustion engine water pump shaft
KR101044592B1 (ko) 에어갭조정이 가능한 전자식 워터펌프
KR101054323B1 (ko) 에어갭조정이 가능한 전자식 워터펌프
JP4656519B2 (ja) ポンプ装置
KR20110006192A (ko) 전자클러치식 워터펌프
JP2012193702A (ja) 電動ポンプ
KR101131470B1 (ko) 내장형 형태의 동력단속기구를 장착한 전자식 워터펌프
KR100974500B1 (ko) 워터펌프 임펠러와 하우징 간의 간극조정장치
KR101049430B1 (ko) 경량화 구조를 갖는 전자식 워터펌프
EP1659307A2 (en) Device for transmitting the rotating movement to a driven shaft, in particular for fluid recirculating pumps
KR101220371B1 (ko) 베인펌프
JP6408438B2 (ja)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KR101049811B1 (ko) 워터펌프용 단속기구의 구조
JP2013036605A (ja) 無段変速機のオイルポンプ支持部材
CN103874858A (zh) 能调节的冷却介质泵
KR19980056708A (ko) 동력손실저감형 워터펌프 구동장치
CN113602508B (zh) 一种航空发动机用内置分体式电机安装结构
KR100503654B1 (ko) 전동기 일체형 유압동력발생장치의 회전자 제작방법 및 그회전자
KR102382695B1 (ko) 공작기계의 빌트인모터 방식의 주축
JP2015017533A (ja) ウォータポンプ
RU2231690C1 (ru) Устройство крепления вентилятора на валу привода
KR100634871B1 (ko) 워터 펌프의 정위치조립을 위한 마운팅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