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3977B1 - 새치별 염색이 가능한 염색도구 - Google Patents

새치별 염색이 가능한 염색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3977B1
KR101043977B1 KR1020090039650A KR20090039650A KR101043977B1 KR 101043977 B1 KR101043977 B1 KR 101043977B1 KR 1020090039650 A KR1020090039650 A KR 1020090039650A KR 20090039650 A KR20090039650 A KR 20090039650A KR 101043977 B1 KR101043977 B1 KR 101043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yeing
storage space
contact
pair
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9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0818A (ko
Inventor
전은희
Original Assignee
전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은희 filed Critical 전은희
Priority to KR1020090039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3977B1/ko
Publication of KR20100120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0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3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3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12Devices for colouring or bleaching separated strands of hair, e.g. high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2Hand-actuated implements, e.g. hand-actuated spray heads
    • A45D19/022Hand-actuated implements, e.g. hand-actuated spray heads for applying simultaneously two or more substances, e.g. colouring agents, to the hair without prior mixing

Landscapes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모제와 산화제가 혼합되는 접촉단부가 세밀하게 형성됨에 따라 세치별로 염색을 할 수 있어 부분염색에 따른 두발색상 변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과도한 염색약 사용으로 인한 두발손상, 두피손상, 시력저하와 같은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염색약 사용을 최소화 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초보자도 누구나 손쉽게 염색을 할 수 있는 새치별 염색이 가능한 염색도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새치별 염색이 가능한 염색도구는 일측에는 한 쌍의 접촉돌기가 상호 접촉 가능하게 돌출 형성되고, 타측에는 한 쌍의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접촉돌기의 단부와 상기 저장공간을 연결하는 관통부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저장공간 내에 충전되는 염색수단과, 상기 저장공간 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동여부에 따라 상기 염색수단을 상기 저장공간으로부터 상기 관통부를 통해 상기 접촉돌기 단부측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로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염색, 새치, 염모제, 산화제, 본체, 저장공간, 로드부재

Description

새치별 염색이 가능한 염색도구{HAIR TOOL FOR HAIR DYEING}
본 발명은 새치별 염색이 가능한 염색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염모제와 산화제가 혼합되는 접촉단부가 세밀하게 형성됨에 따라 세치별로 염색을 할 수 있어 부분염색에 따른 두발색상 변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과도한 염색약 사용으로 인한 두발손상, 두피손상, 시력저하와 같은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염색약 사용을 최소화 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초보자도 누구나 손쉽게 염색을 할 수 있는 새치별 염색이 가능한 염색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염색도구란 사람의 모발을 염색할 때 염색약을 묻힌 상태에서 모발을 빗으면서 상기의 모발을 염색 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모발의 염색은 개인 취향에 따라 다양한 색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염색방법으로는 미용실을 찾아 실시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직접 집에서 실시하는 방법으로 구분된다.
종래의 모발 염색은 용기인 염색약통에 들어있는 염색약 즉, 염모제(1제)와 산화제(2제)의 혼합액을 작은 종지 또는 그릇에 일정량 부어 담고 나서 사용자는 염색 빗의 손잡이를 잡고서 상기 염색 빗의 빗 부분에 염색약을 묻히고 나서 염색약이 묻은 염색 빗으로 모발을 빗는다.
그러면, 염색 빗에 묻어있던 염색약은 염색 빗에 의해 모발에 염색약이 묻게 되고, 이로 인해 모발은 염색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염색방법의 경우 세치 한올 한올만을 염색하기가 어려워 세치를 포함한 부분을 염색하게 되는데, 이 경우 부분염색을 하지 않는 나머지 모발과 모색이 틀려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으 보완하기 위해 모발 전체를 염색하게 될 경우, 두피나 모발이 쉽게 손상되고 염색약 내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화학약품에 의해 시력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모발을 제외한 신체에 잘 지워지지 않는 염색약이 묻게되고 다량의 염색약을 사용하게 됨에 따라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염모제와 산화제가 혼합되는 접촉단부가 세밀하게 형성됨에 따라 세치별로 염색을 할 수 있어 부분염색에 따른 두발색상 변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새치별 염색이 가능한 염색도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과도한 염색약 사용으로 인한 두발손상, 두피손상, 시력저하와 같은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새치별 염색이 가능한 염색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염색약 사용을 최소화 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초보자도 누구나 손쉽게 염색을 할 수 있는 새치별 염색이 가능한 염색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일측에는 한 쌍의 접촉돌기가 상호 접촉 가능하게 돌출 형성되고, 타측에는 한 쌍의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접촉돌기의 단부와 상기 저장공간을 연결하는 관통부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저장공간 내에 충전되는 염색수단과, 상기 저장공간 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동여부에 따라 상기 염색수단을 상기 저장공간으로부터 상기 관통부를 통해 상기 접촉돌기 단부측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로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치별 염색이 가능한 염색도구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한 쌍의 저장공간 중 일측에는 염모제가 충전되고, 타측에는 산화제가 충전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염색수단이 토출되는 상기 접촉돌기의 단부측에는 솔부재 및 흡습부재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구비되어 상기 접촉돌기의 반복접촉으로 토출된 상기 염모제 및 산화제가 상호 혼합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저장공간의 내벽에는 일정 깊이마다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공간 내에 이동되는 로드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저장공간 내를 밀실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고무패킹이 구비되어, 상기 로드부재가 상기 저장공간 내를 상기 걸림턱 단위별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염색수단이 정량토출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한 쌍의 저장공간 내에 삽입되는 한 쌍의 로드부재는 그 타단이 상호 분리되어 별도조작이 가능하게 형성되거나, 상호 연결되어 동시조작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새치별 염색이 가능한 염색도구에 따르면 첫째, 염모제와 산화제가 혼합되는 접촉단부가 세밀하게 형성됨에 따라 세치별로 염색을 할 수 있어 부분염색에 따른 두발색상 변화를 방지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둘째, 과도한 염색약 사용으로 인한 두발손상, 두피손상, 시력저하와 같은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염색약 사용을 최소화 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초보자도 누구나 손쉽게 염색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치별 염색이 가능한 염색도구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치별 염색이 가능한 염색도구의 단면도가 도시되며, 도 3a 및 3b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치별 염색이 가능한 염색도구의 작동도가 도시되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치별 염색이 가능한 염색도구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되며,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새치별 염색이 가능한 염색도구의 단면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새치별 염색이 가능한 염색도구(1)는 일측에는 한 쌍의 접촉돌기(12)가 상호 접촉 가능하게 돌출 형성되고, 타측에는 한 쌍의 저장공간(14)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접촉돌기(12)의 단부와 저장공간(14)을 연결하는 관통부(16)가 형성되는 본체본체(10)와, 저장공간(14) 내에 충전되는 염색수단(20)과, 저장공간(14) 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동여부에 따라 염색수단(20)을 저장공간(14)으로부터 관통부(16)를 통해 접촉돌기(12) 단부측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로드부재(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본체(10)는 새치별 염색이 가능한 염색도구(1)의 전체적인 형상을 이루는 동시에 추후에 설명될 구성부재들이 장착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측에는 한 쌍의 접촉돌기(12)가 상호 접촉 가능하게 돌출 형성되고, 타측에는 한 쌍의 저장공간(14)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접촉돌기(12)의 단부와 저장공간(14)을 연결하는 관통부(16)가 형성된다.
전술한 접촉돌기(12)는 그 단부측이 가까워지도록 외향 굴곡지게 형성되며, 굴곡진 부분을 사용자가 파지하고 압력을 가할 경우 단부측이 접촉 가능하도록 탄성력 있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전술한 접촉돌기(12) 중 상호 접촉되는 부분은 평평하게 형성되어 추후에 설명될 염색수단(20)이 용이하게 섞일 수 있도록 하며, 굴곡진 부분에는 사용자가 파지시에 미끄러지지 않도록 요철부(18)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일측에 접촉돌기(12)가 돌출 형성되는 본체본체(10)의 타측에는 한 쌍의 저장공간(14)이 형성되는데, 이 저장공간(14)은 추후에 설명될 염색수단(20)이 저장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저장공간(14)의 내부에는 일정 깊이마다 추후에 설명될 로드부재(3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걸림턱(14a)이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전술한 접촉돌기(12) 및 저장공간(14)이 형성되는 본체본체(10)의 내부에는 관통부(16)가 형성되는데, 이 관통부(16)는 저장공간(14) 내에 충전된 염색수단(20)을 접촉돌기(12)의 단부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관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전술한 관통부(16)는 접촉돌기(12)의 단부측 까지 연통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전술한 관통부(16)를 통해 염색수단(20)이 토출되는 접촉돌기(12)의 단부측에는 솔부재(40) 또는 흡습부재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구비되는데, 이 솔부재(40) 또는 흡습부재는 토출된 염색수단(20)을 접촉돌기(12)의 한복 접촉을 통해 상호 혼합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솔부재(40) 또는 흡습부재는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과도한 사용이나 파손 등에 의해 훼손될 경우 새로운 솔부재(40) 또는 흡습부재로 교환하여 사용할 수 이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한 쌍의 저장공간(14)중 일측에는 염모제(22)가 충전되고 타측에는 산화제(24)가 충전되는 것으로 하는데, 충전된 염색수단(20)의 사용이 마무리된 후에는 새로운 염색수단(20)을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염색수단(20)이 충전된 저장공간(14) 내에는 각각 로드부재(30)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 로드부재(30)는 저장공간(14) 내에 압력을 가해 그 내부에 저장된 염색수단(20)을 관통부(16)를 통해 접촉돌기(12)의 단부측으로 토출케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로드부재(30)의 저장공간(14) 내에 위치된 단부측에는 저장공간(14)의 내벽과 밀실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고무패킹(32)이 구비되고, 외부로 노출되는 측의 단부는 손바닥이나 손가락에 용이하게 밀착시킨 다음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밀착돌기(34)가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이때, 고무패킹(32)을 제외한 로드부재(30)의 단부 직경은 걸림턱(14a)이 형 성되어 있는 위치의 저장공간(14) 내부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고무패킹(32)이 걸림턱(14a)을 통과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공간(14) 내에는 일정 깊이마다 걸림턱(14a)이 형성되어 있고, 로드부재(30)가 저장공간(14) 내에 삽입된 단부측에는 고무패킹(32)이 구비되어 있어 일정 이상 압력을 가할 때만 걸림턱(14a)과 걸림턱(14a) 사이만큼 로드부재(30)가 이동함으로써 염색수단(20)을 접촉돌기(12)의 단부측으로 정량토출할 수 있게된다.
한편, 전술한 로드부재(30)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로드부재(30)가 별도리 조작될 수 있도록 그 타단이 분리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새치별 염색이 가능한 염색도구(1')와 같이 그 타단이 상호 연결되어 동시에 조작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새치별 염색이 가능한 염색도구(1)의 전체적인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먼저 일측 저장공간(14) 내에는 염모제(22)를 충전하고 타측 저장공간(14) 내에는 산화제(24)를 충전한 다음, 저장공간(14) 내에 로드부재(30)를 삽입한다.
그런 다음, 로드부재(30)의 타단 즉, 밀착돌기(34) 측을 손가락 또는 손바닥에 밀착시킨 다음 힘을 가해 고무부재가 저장공간(14) 내의 걸림턱(14a) 하나를 통 과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로드부재(30)는 걸림턱(14a)과 걸림턱(14a) 사이에 충전되어 있는 염모제(22) 및 산화제(24)를 정량으로 밀어내고, 이 염모제(22) 및 산화제(24)는 관통부(16)를 따라 접촉돌기(12)의 단부 측으로 토출된다.
토출된 염모제(22) 및 산화제(24)는 솔부재(40)에 의해 바로 떨어지지 않고 접촉돌기(12)의 단부 측에 머물러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접촉돌기(12)의 일측 요철부(18)에 엄지 손가락 측이 닿고, 타측 요철부(18)에 나머지 손가락이 닿도록 한손으로 양측을 파지한 다음, 접촉돌기(12)의 단부가 상호 접촉되도록 반복적으로 압력을 가해 솔부재(40)에 각각 함유되어 있던 염모제(22) 및 산화제(24)가 상호 혼합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마찬가지로 접촉돌기(12)를 한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염색할 새치의 모근측을 양측의 접촉돌기(12)로 잡아 끝부분까지 끌어올려 솔부재(40)에 함유되어 있는 염모제(22) 및 산화제(24)에 의해 새치를 염색한다.
이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염색하고자 하는 새치를 염색하는데, 솔부재(40) 측에 함유된 염모제(22) 및 산화제(24)가 소진될 경우 마찬가지 방법으로 로드의 밀착돌기(34)에 압력을 가해 고무부재가 걸림턱(14a) 하나를 통과할 만큼 이동시켜 염모제(22) 및 산화제(24)를 솔부재(40) 측으로 정량 토출시킨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치별 염색이 가능한 염색도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치별 염색이 가능한 염색도구의 단면도.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치별 염색이 가능한 염색도구의 작동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치별 염색이 가능한 염색도구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새치별 염색이 가능한 염색도구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 새치별 염색이 가능한 염색도구
10 : 본체 12 : 접촉돌기
14 : 저장공간 14a : 걸림턱
16 : 관통부 18 : 요철부
20 : 염색수단 22 : 염모제
24 : 산화제 30 : 로드부재
32 : 고무패킹 34 : 밀착돌기
40 : 솔부재

Claims (5)

  1. 일측에는 한 쌍의 접촉돌기가 상호 접촉 가능하게 돌출 형성되고, 타측에는 한 쌍의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접촉돌기의 단부와 상기 저장공간을 연결하는 관통부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저장공간 내에 충전되는 염색수단; 및
    상기 저장공간 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동여부에 따라 상기 염색수단을 상기 저장공간으로부터 상기 관통부를 통해 상기 접촉돌기 단부측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로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치별 염색이 가능한 염색도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저장공간 중 일측에는 염모제가 충전되고, 타측에는 산화제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치별 염색이 가능한 염색도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염색수단이 토출되는 상기 접촉돌기의 단부측에는 솔부재 및 흡습부재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구비되어 상기 접촉돌기의 반복접촉으로 토출된 상기 염모 제 및 산화제가 상호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치별 염색이 가능한 염색도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의 내벽에는 일정 깊이마다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공간 내에 이동되는 로드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저장공간 내를 밀실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고무패킹이 구비되어, 상기 로드부재가 상기 저장공간 내를 상기 걸림턱 단위별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염색수단이 정량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치별 염색이 가능한 염색도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저장공간 내에 삽입되는 한 쌍의 로드부재는 그 타단이 상호 분리되어 별도조작이 가능하게 형성되거나, 상호 연결되어 동시조작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치별 염색이 가능한 염색도구.
KR1020090039650A 2009-05-07 2009-05-07 새치별 염색이 가능한 염색도구 KR101043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650A KR101043977B1 (ko) 2009-05-07 2009-05-07 새치별 염색이 가능한 염색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650A KR101043977B1 (ko) 2009-05-07 2009-05-07 새치별 염색이 가능한 염색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818A KR20100120818A (ko) 2010-11-17
KR101043977B1 true KR101043977B1 (ko) 2011-06-24

Family

ID=43406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9650A KR101043977B1 (ko) 2009-05-07 2009-05-07 새치별 염색이 가능한 염색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39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401B1 (ko) 2013-09-23 2014-02-17 전은희 인체공학적 구조를 갖는 핀셋형 염색도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4958B1 (ko) * 2019-11-08 2021-12-03 윤형건 모발 염색용 기구
KR102207493B1 (ko) 2019-10-10 2021-01-26 윤형건 골무형 염색 기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433Y1 (ko) 2001-08-21 2002-03-18 최영길 두발 염색용 브러쉬
KR20020062433A (ko) * 2001-01-20 2002-07-26 삼성전자 주식회사 습식세정장비에서 폐황산을 배출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40019897A (ko) * 2002-08-28 2004-03-06 카오카부시키가이샤 연마액 조성물
KR200419897Y1 (ko) 2006-04-04 2006-06-28 주식회사 태평양 모발 착색용기
KR100625700B1 (ko) 2006-05-23 2006-09-20 고희석 염색용 빗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2433A (ko) * 2001-01-20 2002-07-26 삼성전자 주식회사 습식세정장비에서 폐황산을 배출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262433Y1 (ko) 2001-08-21 2002-03-18 최영길 두발 염색용 브러쉬
KR20040019897A (ko) * 2002-08-28 2004-03-06 카오카부시키가이샤 연마액 조성물
KR200419897Y1 (ko) 2006-04-04 2006-06-28 주식회사 태평양 모발 착색용기
KR100625700B1 (ko) 2006-05-23 2006-09-20 고희석 염색용 빗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401B1 (ko) 2013-09-23 2014-02-17 전은희 인체공학적 구조를 갖는 핀셋형 염색도구
WO2015041394A1 (ko) * 2013-09-23 2015-03-26 전은희 인체공학적 구조를 갖는 핀셋형 염색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818A (ko) 201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69961B1 (en) A tool for separating a hair bundle
US20060090771A1 (en) Device for applying a substance to the hair
CA2537516C (en) Hair treatment applicator
KR101043977B1 (ko) 새치별 염색이 가능한 염색도구
US20230104279A1 (en) Nail cleaning pen tool and method
US20180049530A1 (en) Styler for Eyelashes
US20190328107A1 (en) Glove for facial treatment
KR20150002830A (ko) 모발의 복수의 가닥들을 선택적으로 탈색 또는 염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ITGE20140031U1 (it) Sistema di sbiancamento dentale
KR101161523B1 (ko) 손톱 및 발톱소제구
JP2006000466A (ja) 歯ブラシハンドル
US3139094A (en) Toothbrush kit
AU2016201447A1 (en) A hair colouring device for colouring individual strands of hair
US20150359310A1 (en) Applicator for capillary products
TW201832684A (zh) 毛髮化妝品塗抹器
KR101893891B1 (ko) 멀티 브러시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130005124U (ko) 이중 브러시를 가지는 마스카라
US20040221863A1 (en) Hair combing apparatus for hair coloring and the like
WO2004100701A2 (en) Hair coloring tool
KR200425592Y1 (ko) 머리솔용 웨이브형 빗살
JP6608222B2 (ja) 毛髪化粧料塗布具
JP3238960U (ja) 染毛剤塗布具
JP3233282U (ja) くし
KR101773877B1 (ko) 머리 염색솔
JP2003339424A (ja) 染毛ブラ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