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3793B1 - 수문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수문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3793B1
KR101043793B1 KR1020090047066A KR20090047066A KR101043793B1 KR 101043793 B1 KR101043793 B1 KR 101043793B1 KR 1020090047066 A KR1020090047066 A KR 1020090047066A KR 20090047066 A KR20090047066 A KR 20090047066A KR 101043793 B1 KR101043793 B1 KR 101043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safety ring
gate
pai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7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8588A (ko
Inventor
윤영직
Original Assignee
윤영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영직 filed Critical 윤영직
Priority to KR1020090047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3793B1/ko
Publication of KR20100128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8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3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3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문의 개문 높이 또는 수문구조물 높이에 따른 높이 조절을 쉽게 할 수 있는 수문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댐이나 하천제방, 방조제, 저수지 등의 담수설비 또는 저수설비의 수로 상에 설치되는 수문과 상기 수문을 상하로 작동시켜 상기 통로 또는 수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수문개폐기 및 상기 수문개폐기에 고정되어 연결된 한 쌍의 와이어로프로 구성된 통상의 수문장치에 한 쌍의 안전고리고정장치와 안전고리가이드 및 안전고리를 추가하여 구성된 수문고정장치이다.
안전고리고정핀, 안전고리고정핀 안착판, 안전고리 고정틀, 안전고리가이드, 안전고리, 안전고리고정핀 걸림공

Description

수문고정장치{Watergate Fixing Device}
본 발명은 수문의 개문 높이 또는 수문구조물 높이에 따른 높이 조절을 쉽게 할 수 있는 수문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로프를 이용하여 수문을 개폐하는 수문개폐기에 있어서, 상기 수문개폐기에 고정된 와이어로프의 풀림 등으로 인하여 수문이 하강하여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하천제방 또는 제방도로의 통로암거를 통행하는 사람 또는 자동차의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것은 물론 방조제 또는 하천제방 수로암거 구조물이 충격을 받지 않도록 하는 수문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문시스템은 댐이나 하천제방, 방조제, 저수지 등의 담수설비 또는 저수설비의 수로 상에 설치되는 수문과 상기 수문을 상하로 작동시켜 상기 통로 또는 수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수문개폐기로 구성되어 물을 저장하고자 할 때에는 수문을 아래로 내려 닫아 수문 내부의 저수량을 늘리고 장마 등으로 수문 내부의 물이 불어나 넘칠 우려가 있을 때에는 문을 위로 올려 수문 내부의 물을 배출함으로써 수문 내부의 저수량을 인위적으로 조절하는 설비이다.
그러나 수문은 항상 닫혀 있는 것이 아니고 물을 저수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장기간 수문을 들러 올려 고정시킬 필요가 있고, 이와 같이 수문을 열어놓은 동안에는 사람 또는 자동차도 통행하게 되므로 들어올려 고정시킨 수문이 낙하하여 사람이나 자동차 또는 수문의 구조물에 충격을 주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간 수문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는 꾸준히 개발되어 왔다. 실용신안등록 제433134호(2006.12.01)는 한 쌍의 걸림고리와 한 쌍의 걸림후크 및 상기 걸림후크를 회전시켜 걸림고리에 걸리게 하는 병행동작수단을 구비한 수문낙하방지장치를 제시하고 있으나 특히 병행동작수단의 구조가 복잡하여 설치 및 작동이 복잡하고 설치비용의 증가를 가져 온다.
특허등록 제10-0778029호(2007.11.14)는 걸림고리를 걸도록 후크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양측 후크레버와 후크 동력축, 기어유닛 및 기어유닛에 장착되어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후크 동력모터로 이루어지는 수문고정장치를 제시하고 있으나 역시 구조가 복잡하여 설치 및 작동이 복잡하고 설치비용의 증가를 가져 온다.
또 이들 종래의 수문고정장치의 공통점은 수문개폐기 하단의 수문구조물 안쪽에서 수문을 고정하고 있으므로 외부에서 안전고리가 수문의 후크에 안전하게 걸려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안전체크를 하기 위해서는 수문 내부에 들어가 확인하여야 하므로 수문이 아주 낮게 들려진 경우 또는 너무 높게 들려진 경우에는 수문조작자가 확인하기가 불편하다.
또 수문 개폐는 주간만이 아니라 야간에도 하기 때문에 야간작동시에는 안전고리가 수문에 걸렸는지 풀렸는지 확인하기가 더욱 불편하여 오작동시 수문개폐장치의 파손을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수문을 전부 또는 일부 개방할 때에 손쉽게 수문을 들어 올려 고정하는 한편, 언제 어디서라도 수문이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있는지를 용이하게 알 수 있는 수문의 고정장치가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댐이나 하천제방, 방조제, 저수지 등의 담수설비 또는 저수설비의 수로 상에 설치되는 수문과 상기 수문을 상하로 작동시켜 상기 통로 또는 수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수문개폐기 및 상기 수문개폐기에 고정되어 연결된 한 쌍의 와이어로프 휠로 구성된 통상의 수문장치에 상기 수문개폐기 받침대(2) 양측에 위치한 와이어 드럼(4) 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안전고리 고정장치와 안전고리를 수용하는 중공의 4각 틀로서 수문의 상단 양측에 볼트로 고정 설치되어 있는 안전고리가이드 및 상부는 하부보다 넓은 형태의 평강 구조로서 수문을 전부 또는 일부 개방할 때 사용되는 안전고리를 추가하여 설치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수문을 열더라도 안전고리의 안전고리고정핀 걸림공에 안전고리고정핀이 끼워져 있으므로 수문은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또 수문 상단에 위치한 수문고정장치에 의하여 수문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언제 어디서나 수문이 고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와이어로프를 이용하여 수문을 개폐하는 수문개폐기에 있어서, 상기 수문개폐기에 고정된 와이어로프의 풀림 등으로 인하여 수문이 하강하여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하천제방 또는 제방도로의 통로암거를 통행하는 사람 또는 자동차의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것은 물론 방조제 또는 하천제방 수로암거의 구조물이 충격을 받지 않도록 하는 수문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수문고정장치는 와이어 드럼의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안전고리고정장치와 수문 상단 양측에 고정된 한 쌍의 안전고리가이드 및 상기 안전고리가이드에 수용되어 있는 한 쌍의 안전고리로 구성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문고정장치가 설치된 수문장치의 닫힌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2은 본 발명 수문고정장치가 설치된 수문장치의 열린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안전고리 및 안전고리가이드의 구조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안전고리고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안전고리가 안전고리고정장치에 걸린 상태를 보여 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댐이나 하천제방, 방조제, 저수지 등의 담수설비 또는 저수설비의 수로 상에 설치되는 수문과 상기 수문을 상하로 작동시켜 상기 통로 또는 수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수문개폐기(3) 및 상기 수문개폐기(3)에 고정되어 연결된 한 쌍의 와이어 드럼(4)으로 구성된 통상의 수문장치에 안전고리고정장치(10)와 안전고리가이드(20) 및 안전고리(30)를 추가하여 구성된 수문고정장치이다.
안전고리고정장치(10)는 수문개폐기 받침대(2) 양측에 위치한 와이어 드럼(4) 외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안전고리(30)를 고정시켜주는 안전고리 고정핀(11)과 상기 안전고리 고정핀(11)이 안착되어 있는 안전고리고정핀 안착판(12), 상기 안전고리 고정핀(11)을 지지해주는 안전고리 고정핀 지지대(13a,13b,13c) 및 상기 안전고리(20)를 지지해주는 한 쌍의 안전고리고정틀(14a,14b)로 구성되어 있다. 수문이 닫혀 있을 때에는 안전고리 고정핀(11)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안전고리 고정핀 지지대(13b)와 안전고리 고정핀 지지대(13c)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안전고리고정틀(14) 사이에는 개구부(15)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개구부(15)를 통해 안전고리(30)가 수문개폐기 받침대(2)위로 올라오게 된다.
안전고리가이드(20)는 안전고리(30)를 수용하는 중공의 4각 틀로서 수문(1) 의 상단 양측에 볼트로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안전고리(30)의 높이를 조절해주는 복수 개의 높이조절공(22a,22b,22c,…)이 앞면과 뒷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어 상기 높이조절공(22a,22b,22c,…)과 안전고리(30)의 높이조절공(32a,32b,32c,…)을 볼트로 체결하고 있다. 또 안전고리가이드(20)의 하부에는 혹시라도 안전고리가이드(20) 내부로 물이 유입될 경우에 대비하여 유입된 물을 배출해 주는 배수구(21)가 형성되어 있다.
안전고리(30)는 상부는 하부보다 넓은 형태의 평강 구조로서 수문을 전부 또는 일부 개방할 때 사용되는 바, 상기 안전고리(30)의 상부에는 안전고리 고정핀(11)을 끼우고 뺄 수 있도록 넓고 긴 안전고리고정핀 걸림공(31)이, 하부에는 복수 개의 높이조절공(32a,32b,32c,…)이 형성되어 있다. 안전고리(30)는 상기 안전고리가이드(20)에 수용되어 높이조절공(22a,22b,22c,…)과 높이조절공(32a,32b,32c,…)을 이용하여 볼트로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볼트로 관통하여 체결하여야 안전고리가이드(20)와 안전고리(30)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수문을 완전히 개방하고자 할 때에는 안전고리의 높이조절공(32a,32b,32c,…)과 안전고리 가이드 높이조절공(22a, 22b, 22c,…)을 볼트로 견고하게 고정시킨 후 수문 개폐기(3)를 작동하여 와이어로프(5)로 수문(1)을 위로 끌어올리게 된다. 수문(1)이 완전히 위로 올라오게 되면 당초 수문(1)이 있던 자리에는 수로 암 거(40)가 형성되어 사람이나 동물, 자동차, 경운기 등이 통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안전고리(30) 역시 수문과 함께 들어올려지게 되며, 개구부(15)를 통해 상기 안전고리(30)의 안전고리고정핀 걸림공(31)은 안전고리고정틀(14a,14b) 사이로 안전고리 고정핀(11) 을 끼울수 있도록 여유있게 돌출되게 된다.
그러면 안전고리 고정핀 지지대(13b)와 안전고리 고정핀 지지대(13c) 사이에 있던 안전고리 고정핀(11)을 일으켜 세워 안전고리 고정핀 지지대(13a)와 안전고리 고정핀 지지대(13b) 사이로 옮긴 후 상기 안전고리고정핀 걸림공(31)에 끼운 후 수문 개폐기(3)를 작동하여 수문(1)을 약간 내려주게 되면 안전고리 고정핀(11)이 안전고리고정틀(14a,14b) 위에 걸려서 수문(1)은 간단하게 고정된다.
안전고리 고정핀(11)이 안전고리고정핀 걸림공(31)에 안전하게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는 수문개폐기(3)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수문을 닫고자 할 때에는 수문 개폐기(3)를 작동하여 수문(1)을 약간 올려주게 되면 안전고리 고정핀(11)을 안전고리고정틀(14a,14b) 위에서 분리할 수 있게 하여 안전고리고정핀 걸림공(31)에서 안전고리 고정핀(11)을 분리한 후에 다시 안전고리 고정핀 지지대(13b)와 안전고리 고정핀 지지대(13c) 사이에 위치시키는 한편, 수문 개폐기(3)를 작동하여 와이어로프로 수문(1)을 천천히 내리면 된다.
한편, 수문(1)을 일부만 개방시키고자 하면 우선 안전고리의 높이조절 공(32a,32b,32c,…) 중 최 하단의 높이조절공(32a)을 안전고리 가이드 높이조절공(22a, 22b, 22c,…) 중 개방할 높이의 높이조절공(예, 22c)에 위치시킨 후 안전고리의 높이조절공(32a,32b,32c,…)과 안전고리 가이드 높이조절공(22c,…)을 볼트로 견고하게 체결하고 수문 개폐기(3)를 작동하여 와이어로프로 수문(1)을 위로 끌어올리게 된다. 이 때 안전고리(30) 역시 수문과 함께 들어올려지게 되며, 개구부(15)를 통해 상기 안전고리(30)의 안전고리고정핀 걸림공(31)은 안전고리고정틀(14a,14b) 사이로 돌출되게 된다. 그러면 안전고리 고정핀 지지대(13b)와 안전고리 고정핀 지지대(13c) 사이에 있던 안전고리 고정핀(11)을 일으켜 세워 안전고리 고정핀 지지대(13a)와 안전고리 고정핀 지지대(13b) 사이로 옮긴 후 상기 안전고리고정핀 걸림공(31)에 끼우면 수문은 간단하게 고정된다.
수문을 닫을 때에는 상술한 바와 같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발명에 위배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문고정장치를 구현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제1도는 수문고정장치가 설치된 수문장치의 닫힌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제2도는 수문고정장치가 설치된 수문장치의 열린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제3도는 안전고리 및 안전고리가이드의 구조도
제4도는 안전고리고정장치의 사시도
제5도는 안전고리가 안전고리고정장치에 걸린 상태를 보여 주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기호의 설명 **
1 : 수문 2 : 수문개폐기 받침대
3 : 수문개폐기 4 : 와이어드럼
5 : 와이어로프 10 : 안전고리고정장치
11 : 안전고리고정핀 12 : 안전고리고정핀 안착판
13a,13b,13c : 안전고리고정핀 지지대 14a,14b : 안전고리 고정틀
15 : 개구부 20 : 안전고리가이드
21 : 배수구 22, : 안전고리가이드 높이조절공(22a,22b,22c,…)
30 : 안전고리 31 : 안전고리고정핀 걸림공
32 : 안전고리 높이조절공(32a,32b,32c,…) 40 : 수로 암거

Claims (4)

  1. 댐이나 하천제방, 방조제, 저수지 등의 담수설비 또는 저수설비의 수로 상에 설치되는 수문과 상기 수문을 상하로 작동시켜 상기 통로 또는 수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수문개폐기 및 상기 수문개폐기에 고정되어 연결된 한 쌍의 와이어로프로 구성된 수문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문개폐기 받침대 양측에 위치한 와이어 드럼 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안전고리 고정장치와; 안전고리를 수용하는 중공의 4각 틀로서 수문의 상단 양측에 볼트로 고정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안전고리가이드; 및 상부는 하부보다 넓은 형태의 평강 구조로서 상기 한 쌍의 안전고리가이드 내부에 위치하며 수문을 전부 또는 일부 개방할 때 사용되는 한 쌍의 안전고리;를 추가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고리고정장치는
    안전고리를 안전고리고정장치에 고정시켜주는 안전고리 고정핀;과
    상기 안전고리 고정핀이 안착되어 있는 안전고리고정핀 안착판;
    상기 안전고리 고정핀을 지지해주는 안전고리 고정핀 지지대;
    상기 안전고리를 지지해주는 한 쌍의 안전고리고정틀; 및
    상기 한 쌍의 안전고리고정틀 사이에 형성되고 안전고리가 수문개폐기 받침대위로 올라오는 통로인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고리가이드는
    상기 4각 틀의 앞면과 뒷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는 높이조절공과;
    상기 4각 틀의 하면에 형성되어 안전고리가이드 내부로 유입된 물을 배출해 주는 배수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고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고리는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안전고리고정핀 걸림공과;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 개의 높이조절공;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고정장치
KR1020090047066A 2009-05-28 2009-05-28 수문고정장치 KR101043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066A KR101043793B1 (ko) 2009-05-28 2009-05-28 수문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066A KR101043793B1 (ko) 2009-05-28 2009-05-28 수문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8588A KR20100128588A (ko) 2010-12-08
KR101043793B1 true KR101043793B1 (ko) 2011-06-22

Family

ID=43505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7066A KR101043793B1 (ko) 2009-05-28 2009-05-28 수문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37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904B1 (ko) 2014-09-02 2014-10-13 주식회사 케이에스피 이앤엠 기계적 안전장치를 구비한 수문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693B1 (ko) * 2014-11-19 2015-04-07 박기철 농업용 수문의 전도장치
JP6513016B2 (ja) * 2015-11-11 2019-05-15 東北電力株式会社 ゲート装置及びそのゲート休止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3134A (ko) * 2002-10-11 2004-04-21 권오석 승차 안전확인 시스템 및 방법
KR200433134Y1 (ko) 2006-09-29 2006-12-11 신현준 수문낙하 방지장치
KR100693308B1 (ko) 2006-01-26 2007-03-13 주식회사 우진산업개발 롤링장치와 안전록킹장치를 구비한 유압식 인양 수문
KR100778029B1 (ko) 2007-05-08 2007-11-21 광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수문 시스템용 수문 고정장치
KR100895019B1 (ko) 2008-06-05 2009-04-24 (유)신일 수문용 문짝 하강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3134A (ko) * 2002-10-11 2004-04-21 권오석 승차 안전확인 시스템 및 방법
KR100693308B1 (ko) 2006-01-26 2007-03-13 주식회사 우진산업개발 롤링장치와 안전록킹장치를 구비한 유압식 인양 수문
KR200433134Y1 (ko) 2006-09-29 2006-12-11 신현준 수문낙하 방지장치
KR100778029B1 (ko) 2007-05-08 2007-11-21 광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수문 시스템용 수문 고정장치
KR100895019B1 (ko) 2008-06-05 2009-04-24 (유)신일 수문용 문짝 하강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904B1 (ko) 2014-09-02 2014-10-13 주식회사 케이에스피 이앤엠 기계적 안전장치를 구비한 수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8588A (ko) 201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4416B1 (ko) 담수용 차수문
EP3469145B1 (en) Method and system for a retractable floodwall system
US7744310B2 (en) Hydrostatically operated variable height bulkhead
KR101043793B1 (ko) 수문고정장치
KR101809686B1 (ko) 승강식 수차단 벽체형 호안 구조물
KR101156757B1 (ko) 승강구조를 가지는 이중맨홀뚜껑
KR100645393B1 (ko) 자동개폐 보조수문을 구비하는 수문
KR101067610B1 (ko) 힌지형 승강구조를 가지는 이중맨홀뚜껑
JP5066659B2 (ja) 非常用防護装置
KR200470055Y1 (ko) 용배수로용 수문
KR102082086B1 (ko) 손잡이 체결용 맨홀 잠금장치
KR101968578B1 (ko) 권양기 커버
CN217379004U (zh) 一种下水道井口盖板
CN206635925U (zh) 一种溢流口快开门结构
KR101014377B1 (ko) 교량 엘리베이터 지지용 피트 구조물
KR102301308B1 (ko) 체인블럭으로 개폐하는 다기능 안전맨홀덮개
KR101849368B1 (ko) 유압식 홍수벽
JP7246621B2 (ja) 無電源自動横引き止水ゲート
KR102566704B1 (ko) 횡형 게이트
CN106869298A (zh) 一种溢流口快开门结构
JP4516672B2 (ja) マンホールの梯子兼用転落防止装置
KR200377424Y1 (ko) 하천수량에 따라 배수량조절이 가능한 수문장치
GB2533948B (en) Flood defence apparatus and method
KR102048513B1 (ko) 수문 권양장치
KR100473047B1 (ko) 캠 장착 맨홀뚜껑 잠금 장치와 이의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