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3708B1 - 포털 서버 시스템 및 포털 서버 시스템에 있어서의 서버 액세스 방법 - Google Patents

포털 서버 시스템 및 포털 서버 시스템에 있어서의 서버 액세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3708B1
KR101043708B1 KR1020090002868A KR20090002868A KR101043708B1 KR 101043708 B1 KR101043708 B1 KR 101043708B1 KR 1020090002868 A KR1020090002868 A KR 1020090002868A KR 20090002868 A KR20090002868 A KR 20090002868A KR 101043708 B1 KR101043708 B1 KR 101043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communication
address
portal
client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2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8792A (ko
Inventor
아키요시 시부에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야마다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야마다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야마다케
Publication of KR20090088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8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3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3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01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accessing one among a plurality of replicated ser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01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accessing one among a plurality of replicated servers
    • H04L67/10015Access to distributed or replicated servers, e.g. using brok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Hardware Redundancy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위의 포털 서버에의 무용한 어드레스의 등록이나 기능의 추가를 피하면서, 충분히 높은 가동률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클라이언트 컴퓨터(1)에 심리스(seamless) 기능을 마련한다. 이 심리스 기능에 의해, 클라이언트 컴퓨터(1)는 포털 서버(상위의 포털 서버)(C)에의 로그인 시, 서버(A)의 어드레스(#A)를 취득하여 서버(A)에 액세스하여, 서버(B)의 어드레스(#B)를 취득한다. 포털 서버(C)에의 로그인 후, 클라이언트 컴퓨터(1)는 서버(5)에의 액세스가 요구된 경우, 취득되어 있는 어드레스(#B)에 기초하여 서버(B)에 액세스한다. 이에 따라, 포털 서버(C)에의 로그인 후, 서버(A)가 다운되어도, 클라이언트 컴퓨터(1)로부터 서버(B)에 액세스할 수 있다. 또한, 포털 서버(C)에 서버(B)의 어드레스(#B)를 등록할 필요도 없다.

Description

포털 서버 시스템 및 포털 서버 시스템에 있어서의 서버 액세스 방법{PORTAL SERVER SYSTEM AND SERVER ACCESS METHOD IN PORTAL SERVER SYSTEM}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 컴퓨터로부터의 로그인을 포털 서버에 집약시킨 포털 서버 시스템 및 포털 서버 시스템에 있어서의 서버 액세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터넌트 빌딩(tenant building), 병원, 공공 시설 등의 시설에서는, 공조 설비, 방재 설비, 방범 설비, 조명 설비 등의 여러 가지 설비를 관리하고 있다. 최근에는, 복합 시설도 증가하여, 다목적홀, 터넌트 빌딩, 상업 시설, 레지던스, 호텔 등 복수의 동을 일괄로 관리하는 대규모 시스템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대규모 시스템에서는, 관리하는 정보의 수가 방대해져 버리기 때문에, 오퍼레이터의 매일의 보전 업무를 효율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이 때문에, 예컨대 특허문헌 1에서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엔트런스(entrance) 화면에, 오늘 행할 작업에 관련된 항목으로서 「오늘 작업 내용」, 「오늘 트러블 대응」, 「오늘 예비품 소모품 실적」 등을 일람 표시하며, 트러블 대응 상황이나 작업 상황 등의 집계 처리 결과를 아울러 표시하고, 상세 정보를 1조작으로 확인할 수 있는 버튼을 마련하여, 계층적으로 조작하는 일 없이, 용이하 게 원하는 화면을 표시시켜, 설비 정보의 확인을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처리 기능을 분산시키거나, 장황화시키기 위해, 네트워크에 복수대의 서버를 설치하여, 클라이언트 컴퓨터로부터의 로그인을 포털 서버에 집약시키는 것이 생각되고 있다. 도 12 및 도 13에, 종래예로서, 본 출원인이 생각하고 있는, 클라이언트 컴퓨터로부터의 로그인을 포털 서버에 집약시킨 포털 서버 시스템의 제1 예 및 제2 예를 도시한다.
[제1 예(이중화 없음)]
도 12에서, 도면 부호 1은 클라이언트 컴퓨터, 2는 네트워크, 3은 제1 서버[이하, 서버(C)라고 부른다], 4는 제2 서버[이하, 서버(A)라고 부른다], 5는 제3 서버[이하, 서버(B)라고 부른다]이다. 클라이언트 컴퓨터(1)와 서버(A, B, C)는 네트워크(2)를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이 제1 예에서, 서버(A)는 서버(B)에의 포털 기능을 가지며, 서버(C)는 서버(A)에의 포털 기능을 갖고 있다. 즉, 클라이언트 컴퓨터(1)는 서버(A)를 포털 서버로 하여, 서버(A)에 로그인함으로써 서버(B)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며, 서버(C)를 포털 서버로 하여, 서버(C)에 로그인함으로써 서버(A)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이 포털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해, 서버(A)에는 서버(B)의 어드레스(#B)가 등록되어 있으며, 서버(C)에는 서버(A)의 어드레스(#A)가 등록되어 있다.
[제2 예(이중화 있음)]
도 13에서는, 서버(B)로서, 처리계의 서버(5-1)[이하, 서버(B1)라고 부른다]와 대기계의 서버(5-2)[이하, 서버(B2)라고 부른다]가 마련되어 있다. 클라이언트 컴퓨터(1)와 서버(A, B1, B2, C)는 네트워크(2)를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이 제2 예에서, 서버(A)는 서버(B1, B2)에의 포털 기능을 가지며, 서버(C)는 서버(A)에의 포털 기능을 갖고 있다. 즉, 클라이언트 컴퓨터(1)는 서버(A)를 포털 서버로 하여, 서버(A)에 로그인함으로써 서버(B1, B2)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며, 서버(C)를 포털 서버로 하여, 서버(C)에 로그인함으로써 서버(A)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이 포털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해, 서버(A)에는 서버(B1, B2)의 어드레스(#B1, #B2)가 등록되어 있으며, 서버(C)에는 서버(A)의 어드레스(#A)가 등록되어 있다. 또한, 서버(A)는 서버(B1, B2)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정기적으로 체크하는 헬시(healthy) 체크 기능을 갖고 있다.
이 제2 예에서, 서버(A)에 로그인한 클라이언트 컴퓨터(1)는, 서버(A)의 헬시 체크 기능에 의해, 처리계의 서버(B1)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계의 서버(B1)의 기능을 사용하고, 처리계의 서버(B1)와 사이의 통신이 불능이며 대기계의 서버(B2)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대기계의 서버(B2)의 기능을 사용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12455호 공보
그러나, 전술한 포털 서버 시스템에서는, 서버(A)의 기능을 사용하고 싶은 경우에는 서버(C)에 로그인하지 않으면 안 되며, 서버(B(B1, B2))의 기능을 사용하고 싶은 경우에는 서버(A)에 로그인하지 않으면 안 되어, 서버(A, B(B1, B2))의 기능을 심리스하게 사용할 수 없다. 이에 대하여, 서버(C)에 로그인한 것 만으로, 서버(A)뿐만 아니라, 서버(B(B1, B2))의 기능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싶다는 요망이 있다. 즉, 서버(C)를 상위의 포털 서버로 하여, 이 상위의 포털 서버에 로그인하는 것 만으로, 서버(A, B(B1, B2))의 기능을 심리스(seamless)하게 사용하도록 하고 싶다는 요망이 있다.
이 요망에 답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서버(A)의 포털 기능을 이용하여, 서버(C)로부터 서버(A)를 통하여 서버(B(B1, B2))에 액세스한다고 하는 방식(방식 1)을 고안하였다. 또한, 서버(C)에 서버(B(B1, B2))의 어드레스를 설정하여, 서버(C)로부터 서버(B(B1, B2))에 액세스한다고 하는 방식(방식 2)을 고안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 1이나 방식 2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도 14를 이용하여, 전술한 포털 서버 시스템의 제1 예에 있어서, 방식 1을 채용한 경우의 문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방식 1을 채용한 포털 서버 시스템의 제1 예에서, 클라이언트 컴퓨터(1)는 서버(C)에의 로그인 후, 서버(B)에의 액세스가 요구되면, 서버(A)의 포털 기능을 이용하여, 서버(C)로부터 서버(A)를 통하여 서버(B)에 액세스한다. 이 경우, 서버(A)가 다운되면, 서버(B)의 기능을 사용할 수 없어, 가동률이 저하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도 15를 이용하여, 전술한 포털 서버 시스템의 제1 예에 있어서, 방식 2를 채용한 경우의 문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방식 2를 채용한 포털 서버 시스템의 제1 예에서는, 서버(C)에 서버(B)의 어드레스(#B)를 설정한다. 클라이언트 컴퓨터(1)는 서버(C)에의 로그인 후, 서버(B)에의 액세스가 요구되면, 서버(C)에 설정되어 있는 어드레스(#B)에 기초하여, 서버(C)를 통하여 서버(B)에 액세스한다. 이 경우, 서버(A)가 다운되어도 서버(B)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지만, 서버(C)에 서버(B)의 어드레스(#B)를 등록하지 않으면 안 된다.
도 16을 이용하여, 전술한 포털 서버 시스템의 제2 예에 있어서, 방식 1을 채용한 경우의 문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방식 1을 채용한 포털 서버 시스템의 제2 예에서, 클라이언트 컴퓨터(1)는 서버(C)에의 로그인 후, 서버(B(B1, B2))에의 액세스가 요구되면, 서버(A)의 포털 기능을 이용하여, 서버(C)로부터 서버(A)를 통하여 서버(B(B1, B2))에 액세스한다.
이때, 클라이언트 컴퓨터(1)는, 서버(A)의 헬시 체크 기능에 의해, 처리계의 서버(B1)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계의 서버(B1)에 액세스하고, 처리계의 서버(B1)와 사이의 통신이 불능이며 대기계의 서버(B2)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대기계의 서버(B2)에 액세스한다. 이 경우, 서버(A)가 다운되면, 서버(B(B1, B2))의 기능을 사용할 수 없어, 가동률이 저하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도 17을 이용하여, 전술한 포털 서버 시스템의 제2 예에 있어서, 방식 2를 채용한 경우의 문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방식 2를 채용한 포털 서버 시스템의 제2 예에서는, 서버(C)에 서버(B1, B2)의 어드레스(#B1, #B2)를 설정한다. 또한, 서버(C)에, 서버(B1, B2)에 대한 헬시 체크 기능을 마련한다. 클라이언트 컴퓨터(1)는 서버(C)에의 로그인 후, 서버(B(B1, B2))에의 액세스가 요구되면, 서버(C)에 설정되어 있는 어드레스(#B1, #B2)에 기초하여, 서버(C)를 통하여 서버(B(B1, B2))에 액세스한다.
이때, 클라이언트 컴퓨터(1)는, 서버(C)의 헬시 체크 기능에 의해, 처리계의 서버(B1)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계의 서버(B1)에 액세스하고, 처리계의 서버(B1)와 사이의 통신이 불능이며 대기계의 서버(B2)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대기계의 서버(B2)에 액세스한다. 이 경우, 서버(A)가 다운되어도 서버(B1, B2)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지만, 서버(C)에 서버(B1, B2)의 어드레스(#B1, #B2)를 등록하지 않으면 안 된다. 또한, 서버(C)에 서버(B1, B2)에 대한 헬시 체크 기능을 추가할 필요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상위의 포털 서버에의 무용한 어드레스의 등록이나 기능의 추가를 피하면서, 충분히 높은 가동률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한 포털 서버 시스템 및 포털 서버 시스템에 있어서의 서버 액세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제1 발명)은, 제1 서버와, 이 제1 서버에 그 어드레스가 등록되어 있는 제2 서버와, 이 제2 서버에 그 어드레스가 등록 되어 있는 제3 서버와, 제1 서버를 포털 서버로 하여 제2 및 제3 서버에 네트워크를 통해 액세스하는 클라이언트 컴퓨터를 포함한 포털 서버 시스템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포털 서버에의 로그인 시에 이 포털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제2 서버의 어드레스를 취득하는 제2 서버 어드레스 취득 수단과, 이 제2 서버 어드레스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제2 서버에 액세스하여 이 제2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제3 서버의 어드레스를 취득하는 제3 서버 어드레스 취득 수단과, 포털 서버에의 로그인 후, 제3 서버에의 액세스가 요구된 경우, 제3 서버 어드레스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되어 있는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제3 서버에 액세스하는 제3 서버 액세스 수단을 마련한 것이다.
이 제1 발명에 따르면, 제1 서버를 포털 서버(상위의 포털 서버)(C), 제2 서버를 서버(A), 제3 서버를 서버(B)로 한 경우, 클라이언트 컴퓨터는 포털 서버(C)에의 로그인 시에, 포털 서버(C)에 등록되어 있는 서버(A)의 어드레스(#A)를 취득한다. 그리고, 이 취득한 어드레스(#A)에 기초하여 서버(A)에 액세스하여, 서버(A)에 등록되어 있는 서버(B)의 어드레스(#B)를 취득한다. 클라이언트 컴퓨터는 포털 서버(C)에의 로그인 후, 서버(B)에의 액세스가 요구되면, 취득되어 있는 서버(B)의 어드레스(#B)에 기초하여 서버(B)에 액세스한다.
이러한 동작으로부터도 알 수 있듯이, 제1 발명에서는, 포털 서버(C)에의 로그인 시, 클라이언트 컴퓨터가 서버(A)로부터 서버(B)의 어드레스(#B)를 취득하기 때문에, 포털 서버(C)에의 로그인 후, 서버(A)가 다운되어도, 클라이언트 컴퓨터로부터 서버(B)에 액세스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포털 서버(C)에 서버(B)의 어드레 스(#B)를 등록할 필요도 없어진다.
또한, 이 제1 발명에서, 클라이언트 컴퓨터는 포털 서버(C)에의 로그인 후, 서버(B)에의 액세스가 요구된 경우, 취득되어 있는 서버(B)의 어드레스(#B)에 기초하여 즉시 서버(B)에 액세스하도록 하여도 좋지만, 서버(A)나 서버(B)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지의 여부 등을 확인한 뒤에, 취득되어 있는 서버(B)의 어드레스(#B)에 기초하여 서버(B)에 액세스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 제1 발명에서, 포털 서버[서버(C)]에, 제2 서버[서버(A)]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정기적으로 체크하는 제2 서버 통신 가능 체크 수단과, 이 제2 서버 통신 가능 체크 수단에 의해 그때까지 불능이라고 판단되어 있던 제2 서버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제2 서버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복귀된 것을 통지하는 제2 서버 통신 복귀 통지 수단을 마련하고,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포털 서버의 제2 서버 통신 복귀 통지 수단에 의해 제2 서버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복귀된 것이 통지된 경우, 제2 서버 어드레스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되어 있는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제2 서버에 액세스하여, 이 제2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제3 서버[서버(B)]의 어드레스를 취득하는 제3 서버 어드레스 재취득 수단을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러한 수단을 마련함으로써, 예컨대, 서버(A)에 새로운 서버(Bnew)의 어드레스(#Bnew)를 등록하여, 서버(A)를 리스타트한 것과 같은 경우, 일시적으로 불능이 된 서버(A)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복귀된 시점에서, 서버(A)에 등록되어 있는 새로운 서버(Bnew)의 어드레스(#Bnew)를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재취득시키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제2 발명)은, 제1 서버와, 이 제1 서버에 그 어드레스가 등록되어 있는 제2 서버와, 제2 서버에 그 어드레스가 등록되어 있는 처리계의 제3 서버와, 제2 서버에 그 어드레스가 등록되어 있는 대기계의 제3 서버와, 제1 서버를 포털 서버로 하여 제2 및 제3 서버에 네트워크를 통해 액세스하는 클라이언트 컴퓨터를 포함한 포털 서버 시스템에 있어서, 포털 서버에, 제2 서버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정기적으로 체크하여 그 체크 결과를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통지하는 제2 서버 통신 가능 체크 수단을 마련하고, 제2 서버에, 처리계의 제3 서버 및 대기계의 제3 서버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정기적으로 체크하는 제3 서버 통신 가능 체크 수단을 마련하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포털 서버에의 로그인 시에 이 포털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제2 서버의 어드레스를 취득하는 제2 서버 어드레스 취득 수단과, 이 제2 서버 어드레스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제2 서버에 액세스하여 이 제2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처리계의 제3 서버 및 대기계의 제3 서버의 어드레스를 취득하는 제3 서버 어드레스 취득 수단과, 포털 서버에의 로그인 후, 제3 서버에의 액세스가 요구된 경우, 포털 서버의 제2 서버 통신 가능 체크 수단으로부터의 체크 결과에 기초하여, 제2 서버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 서버 통신 가능 판단 수단과, 이 제2 서버 통신 가능 판단 수단에 의해 제2 서버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 제2 서버 어드레스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되어 있는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제2 서버에 액세스하여, 이 제2 서버에 있어서의 제3 서버 통신 가능 체크 수단에서의 체크 결과를 취득하여, 처리계의 제3 서버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다는 취지의 체크 결과가 얻어져 있는 경우에는, 제3 서버 어드레스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되어 있는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처리계의 제3 서버에 액세스하고, 처리계의 제3 서버와 사이의 통신이 불능이며 대기계의 제3 서버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다는 취지의 체크 결과가 얻어져 있는 경우에는, 제3 서버 어드레스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되어 있는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대기계의 제3 서버에 액세스하는 제2 서버 통신 가능 시의 제3 서버 액세스 수단과, 제2 서버 통신 가능 판단 수단에 의해 제2 서버와 사이의 통신이 불능이라고 판단된 경우, 제3 서버 어드레스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되어 있는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처리계의 제3 서버에 액세스하는 제2 서버 통신 불능 시의 제3 서버 액세스 수단을 마련한 것이다.
이 제2 발명에 따르면, 제1 서버를 포털 서버(상위의 포털 서버)(C), 제2 서버를 서버(A), 처리계의 제3 서버를 서버(B1), 대기계의 제3 서버를 서버(B2)로 한 경우, 클라이언트 컴퓨터는 포털 서버(C)에의 로그인 시에 포털 서버(C)에 등록되어 있는 서버(A)의 어드레스(#A)를 취득한다. 그리고, 이 취득한 어드레스(#A)에 기초하여 서버(A)에 액세스하여, 서버(A)에 등록되어 있는 서버(B1, B2)의 어드레스(#B1, #B2)를 취득한다. 클라이언트 컴퓨터는 포털 서버(C)에의 로그인 후, 서버(B(B1, B2))에의 액세스가 요구되면, 포털 서버(C)로부터의 체크 결과에 기초하여, 서버(A)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서버(A)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단하면, 클라이언트 컴퓨터는 취득되어 있는 어드레스(#A)에 기초하여 서버(A)에 액세스하여, 이 서버(A)에서의 서버(B(B1, B2))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의 체크 결과를 취득하여, 처리계의 서버(B1)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다는 취지의 체크 결과가 얻어져 있는 경우에는, 취득되어 있는 어드레스(#B1)에 기초하여 처리계의 서버(B1)에 액세스한다. 처리계의 서버(B1)와 사이의 통신이 불능이며 대기계의 서버(B2)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다는 취지의 체크 결과가 얻어져 있는 경우에는, 취득되어 있는 어드레스(#B2)에 기초하여 대기계의 서버(B2)에 액세스한다. 이에 대하여, 서버(A)와 사이의 통신이 불능이라고 판단하면, 클라이언트 컴퓨터는 취득되어 있는 어드레스(#B1)에 기초하여 처리계의 서버(B1)에 액세스한다.
이러한 동작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제2 발명에서는, 포털 서버(C)에의 로그인 시, 클라이언트 컴퓨터가 서버(A)로부터 서버(B1, B2)의 어드레스(#B1, #B2)를 취득하기 때문에, 포털 서버(C)에의 로그인 후, 서버(A)가 다운되어도, 클라이언트 컴퓨터로부터 서버(B)(B1)에 액세스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포털 서버(C)에 서버(B1, B2)의 어드레스(#B1, #B2)를 등록할 필요도 없어진다. 또한, 서버(C)에 서버(B1, B2)와 사이의 통신의 가능 상태를 체크하는 기능(헬시 체크 기능)을 추가할 필요도 없어진다.
이 경우, 구할 수 없는 케이스로서, (1) 서버(A)(제2 서버)와 서버(B1)(처리계의 제3 서버)가 동시에 다운되어 있는 경우, (2) 포털 서버(C)(제1 서버)에 로그인 후, 서버(A)(제2 서버)가 한번도 가동되고 있지 않은 경우가 있지만, 이는 시스템 상, 드물다고 생각되어, 액세스를 단념한다. 제2 발명에서는, 이들의 케이스를 고려하여도, 충분히 높은 가동률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제2 발명에서, 포털 서버[서버(C)]에, 제2 서버 통신 가능 체크 수단에 의해 그때까지 불능이라고 판정되어 있던 제2 서버[서버(A)]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제2 서버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복귀된 것을 통지하는 제2 서버 통신 복귀 통지 수단을 마련하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포털 서버의 제2 서버 통신 복귀 통지 수단에 의해 제2 서버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복귀된 것이 통지된 경우, 제2 서버 어드레스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되어 있는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제2 서버에 액세스하여, 이 제2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처리계의 제3 서버[서버(B1)] 및 대기계의 제3 서버[서버(B2)]의 어드레스를 취득하는 제3 서버 어드레스 재취득 수단을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러한 수단을 마련함으로써, 예컨대, 서버(A)에 새로운 서버(B1new, B2new)의 어드레스(#B1new, #B2new)를 등록하여, 서버(A)를 리스타트한 것과 같은 경우, 일시적으로 불능이 된 서버(C)와 서버(A)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복귀된 시점에서, 서버(A)에 등록되어 있는 새로운 서버(B1new, B2new)의 어드레스(#B1new, #B2new)를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재취득시키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포털 서버 시스템으로서가 아니라, 포털 서버 시스템에 있어서의 서버 액세스 방법으로서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컴퓨터로부터의 포털 서버(상위의 포털 서버)에의 로그인 시에, 이 포털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제2 서버의 어드레스를 취득하고, 이 취득한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제2 서버에 액세스하여, 제2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제3 서버의 어드레스를 취득하도록 함으로써, 포털 서버에의 로그인 후, 제3 서버에의 액세스가 요구된 경우, 제2 서버가 다운되어 있어도, 클라이언트 컴퓨터 로부터 제3 서버에 액세스할 수 있어, 상위의 포털 서버에의 무용한 어드레스의 등록이나 기능의 추가를 피하면서, 충분히 높은 가동률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형태 1: 이중화 없음]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털 서버 시스템의 제1 실시형태(실시형태 1)의 개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실시형태 1에서도, 도 12에 종래의 제1 예로서 도시한 포털 서버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서버(A)에 서버(B)의 어드레스(#B)가 등록되어 있으며, 서버(C)에 서버(A)의 어드레스(#A)가 등록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 1에서, 서버(A)에는 서버(B)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정기적으로 체크하는 헬시 체크 기능이 마련되어 있으며, 서버(C)에는 서버(A)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정기적으로 체크하는 헬시 체크 기능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 1에서, 클라이언트 컴퓨터(1)는 본 실시형태 특유의 기능으로서, 서버(C)를 상위의 포털 서버로 하여, 이 상위의 포털 서버(C)에 로그인하는 것만으로, 서버(A, B)의 기능을 심리스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능(심리스 기능)이 마련되어 있다.
클라이언트 컴퓨터(1)는, 프로세서나 기억 장치로 이루어지는 하드웨어와, 이들 하드웨어와 협동하여 각종 기능을 실현시키는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된다. 구 체적으로는, 퍼스널 컴퓨터에 프로그램이 인스톨되며, 이 인스톨된 프로그램에 따르는 CPU의 처리 동작으로서 실현된다.
이하, 클라이언트 컴퓨터(1)가 갖는 심리스 기능에 대해서, 도 2∼도 4에 도시하는 시퀀스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2는 서버(A, B, C)의 통신이 가능한 정상적인 케이스의 시퀀스도이며, 도 3은 클라이언트 컴퓨터(1)로부터의 포털 서버(C)에의 로그인 후에 서버(A)가 통신 불능이 되는 케이스의 시퀀스도이고, 도 4는 클라이언트 컴퓨터(1)로부터의 포털 서버(C)에의 로그인 시에 서버(A)가 통신 불능인 케이스의 시퀀스도이다.
[정상적인 케이스: 도 2]
클라이언트 컴퓨터(1)는 오퍼레이터로부터의 로그인의 요구에 따라[도 2: 화살표(1)], 포털 서버(C)에 로그인한다[도 2: 화살표(2)]. 이 로그인 시, 클라이언트 컴퓨터(1)는 포털 서버(C)에 등록되어 있는 서버(A)의 어드레스(#A)를 취득한다[도 2: 화살표(3)]. 그리고, 포털 서버(C)로부터 취득한 어드레스(#A)에 기초하여 서버(A)에 액세스하여, 서버(A)에 등록되어 있는 서버(B)의 어드레스(#B)를 취득한다[도 2: 화살표(4)].
포털 서버(C)에의 로그인 후, 오퍼레이터에 의해 서버(B)의 기능이 선택되면[도 2: 화살표(5)], 클라이언트 컴퓨터(1)는 서버(A)에 대하여 서버(B)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조회한다[도 2: 화살표(6)].
여기서, 서버(B)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다는 취지의 체크 결과가 서버(A)로부터 반송되어 오면[도 2: 화살표(7)], 클라이언트 컴퓨터(1)는 취득되어 있는 서버(B)의 어드레스(#B)에 기초하여 서버(B)에 액세스한다[도 2: 화살표(8)].
또한, 이상한 케이스로서, 서버(B)와 사이의 통신이 불능인 취지의 체크 결과가 서버(A)로부터 반송되어 온 경우[도 2: 화살표(11)], 클라이언트 컴퓨터(1)는 오퍼레이터에 대하여 접속 실패의 에러 메시지를 내보낸다[도 2: 화살표(12)].
[포털 서버(C)에의 로그인 후에 서버(A)가 통신 불능이 되는 케이스: 도 3]
클라이언트 컴퓨터(1)는 오퍼레이터로부터의 로그인의 요구에 따라[도 3: 화살표(1)], 포털 서버(C)에 로그인한다[도 3: 화살표(2)]. 이 로그인 시, 클라이언트 컴퓨터(1)는 포털 서버(C)에 등록되어 있는 서버(A)의 어드레스(#A)를 취득한다[도 3: 화살표(3)]. 그리고, 포털 서버(C)로부터 취득한 어드레스(#A)에 기초하여 서버(A)에 액세스하여, 서버(A)에 등록되어 있는 서버(B)의 어드레스(#B)를 취득한다[도 3: 화살표(4)].
여기서, 상정되는 케이스로서, 포털 서버(C)에의 로그인 후, 서버(A)가 통신 불능이 되는 케이스가 생각된다. 이 경우, 포털 서버(C)는, 서버(A)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정기적으로 체크하여, 서버(A)와 사이의 통신이 불능이 되었다고 판단하면[도 3: 화살표(5)], 그 취지를 클라이언트 컴퓨터(1)에 통지한다[도 3: 화살표(6)].
그 후, 오퍼레이터에 의해 서버(B)의 기능이 선택되면[도 3: 화살표(7)], 클라이언트 컴퓨터(1)는 포털 서버(C)로부터의 통지 결과에 기초하여 서버(A)와 사이의 통신이 불능이라고 판단하여[도 3: 화살표(8)], 취득되어 있는 서버(B)의 어드레스(#B)에 기초하여 서버(B)에 액세스한다[도 3: 화살표(9)].
포털 서버(C)는, 그때까지 불능이던 서버(A)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게 되었다고 판단하면[도 3: 화살표(10)], 서버(A)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복귀된 것을 클라이언트 컴퓨터(1)에 통지한다[도 3: 화살표(11)].
클라이언트 컴퓨터(1)는 포털 서버(C)로부터 서버(A)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복귀된 것이 통지되면, 취득되어 있는 서버(A)의 어드레스(#A)에 기초하여 서버(A)에 액세스하여, 서버(A)에 등록되어 있는 서버(B)의 어드레스(#B)를 취득한다[도 3: 화살표(12)].
그 후, 오퍼레이터에 의해 서버(B)의 기능이 선택되면[도 3: 화살표(13)], 클라이언트 컴퓨터(1)는 서버(A)에 대하여 서버(B)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조회하여[도 3: 화살표(14)], 서버(B)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다는 취지의 체크 결과가 서버(A)로부터 반송되어 오면[도 3: 화살표(15)], 취득되어 있는 서버(B)의 어드레스(#B)에 기초하여 서버(B)에 액세스한다[도 3: 화살표(l6)].
예컨대, 서버(A)에 새로운 서버(Bnew)의 어드레스(#Bnew)를 등록하여, 서버(A)를 리스타트한 것과 같은 경우, 서버(A)와 사이의 통신이 일시 불능이 된다. 이러한 경우, 서버(A)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복귀된 시점에서, 서버(A)에 등록되어 있는 새로운 서버(Bnew)의 어드레스(#Bnew)가 클라이언트 컴퓨터(1)에 재취득되게 되며, 이 재취득된 서버(Bnew)의 어드레스(#Bnew)에 기초하여 새로운 서버(Bnew)에의 액세스가 가능하게 된다.
[포털 서버(C)에의 로그인 시에 서버(A)가 통신 불능인 케이스: 도 4]
클라이언트 컴퓨터(1)는 오퍼레이터로부터의 로그인의 요구에 따라[도 4: 화 살표(1)], 포털 서버(C)에 로그인한다[도 4: 화살표(2)]. 이 로그인 시, 클라이언트 컴퓨터(1)는 포털 서버(C)에 등록되어 있는 서버(A)의 어드레스(#A)를 취득한다[도 4: 화살표(3)].
여기서, 상정되는 케이스로서, 포털 서버(C)에의 로그인 시에, 서버(A)가 통신 불능인 케이스가 생각된다. 이 경우, 클라이언트 컴퓨터(1)는 서버(A)로부터 서버(B)의 어드레스(#B)를 취득할 수 없다. 또한, 이 경우, 포털 서버(C)는 서버(A)와 사이의 통신이 불능인 것을 클라이언트 컴퓨터(1)에 통지한다[도 4: 화살표(4)].
포털 서버(C)에의 로그인 후, 오퍼레이터에 의해 서버(B)의 기능이 선택되면[도 4: 화살표(5)], 클라이언트 컴퓨터(1)는 포털 서버(C)로부터의 통지 결과로부터 서버(A)와 사이의 통신이 불능이라고 판단한다[도 4: 화살표(6)].
또한, 클라이언트 컴퓨터(1)는, 서버(B)의 어드레스(#B)가 취득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서버(B)에의 액세스를 단념한다[도 4: 화살표(7)]. 그리고, 오퍼레이터에 대하여 접속 실패의 에러 메시지를 내보낸다[도 4: 화살표(8)].
즉, 포털 서버(C)에 로그인 시, 서버(A)가 다운되어 있으며, 또한, 그 후 한번도 서버(A)가 복귀되고 있지 않다고 하는 케이스는 시스템의 특성 상, 드문 케이스라고 결론지어, 서버(B)에의 액세스를 단념하고, 오퍼레이터에 대하여 접속 실패의 에러 메시지를 내보낸다.
포털 서버(C)는, 그때까지 불능이라고 되어 있던 서버(A)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게 되었다고 판단하면[도 4: 화살표(9)], 서버(A)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복귀된 것을 클라이언트 컴퓨터(1)에 통지한다[도 4: 화살표(10)].
클라이언트 컴퓨터(1)는 포털 서버(C)로부터 서버(A)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복귀된 것이 통지되면, 취득되어 있는 서버(A)의 어드레스(#A)에 기초하여 서버(A)에 액세스하여, 서버(A)에 등록되어 있는 서버(B)의 어드레스(#B)를 취득한다[도 4: 화살표(11)].
그 후, 오퍼레이터에 의해 서버(B)의 기능이 선택되면[도 4: 화살표(12)], 클라이언트 컴퓨터(1)는 서버(A)에 대하여 서버(B)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조회하여[도 4: 화살표(13)], 서버(B)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다는 취지의 체크 결과가 서버(A)로부터 반송되어 오면[도 4: 화살표(14)], 취득되어 있는 서버(B)의 어드레스(#B)에 기초하여 서버(B)에 액세스한다[도 4: 화살표(15)].
또한, 전술한 예에서는, 포털 서버(C)에의 로그인 후, 서버(B)의 기능이 선택된 경우, 서버(A)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거나, 서버(B)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하였지만, 취득되어 있는 서버(B)의 어드레스(#B)에 기초하여 즉시 서버(B)에 액세스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서버(B)에 액세스하여도 서버(B)로부터 응답이 없으면, 오퍼레이터에 대하여 접속 실패의 에러 메시지를 내보내도록 하면 좋다.
이상의 동작으로부터도 알 수 있듯이, 이 실시형태 1의 포털 서버 시스템에서는, 포털 서버(C)에의 로그인 시, 클라이언트 컴퓨터(1)가 서버(A)로부터 서버(B)의 어드레스(#B)를 취득하기 때문에, 포털 서버(C)에의 로그인 후, 서버(A)가 다운되어도, 클라이언트 컴퓨터(1)로부터 서버(B)에 액세스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포털 서버(C)에 서버(B)의 어드레스(#B)를 등록할 필요도 없어진다.
[실시형태 2: 이중화 있음]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털 서버 시스템의 제2 실시형태(실시형태 2)의 개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실시형태 2에서도, 도 13에 종래의 제2 예로서 도시한 포털 서버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서버(A)에 처리계의 서버(B1)의 어드레스(#B1) 및 대기계의 서버(B2)의 어드레스(#B2)가 등록되어 있으며, 서버(C)에 서버(A)의 어드레스(#A)가 등록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 2에서, 서버(A)에는 서버(B1 및 B2)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정기적으로 체크하는 헬시 체크 기능이 마련되어 있으며, 서버(C)에는 서버(A)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정기적으로 체크하는 헬시 체크 기능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 2에서, 클라이언트 컴퓨터(1)는 본 실시형태 특유의 기능으로서, 서버(C)를 상위의 포털 서버로 하여, 이 상위의 포털 서버(C)에 로그인하는 것만으로, 서버(A, B(B1, B2))의 기능을 심리스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능(심리스 기능)이 마련되어 있다.
클라이언트 컴퓨터(1)는 프로세서나 기억 장치로 이루어지는 하드웨어와, 이들 하드웨어와 협동하여 각종 기능을 실현시키는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된다. 구체적으로는, 퍼스널 컴퓨터에 프로그램이 인스톨되며, 이 인스톨된 프로그램에 따르는 CPU의 처리 동작으로서 실현된다.
이하, 클라이언트 컴퓨터(1)가 갖는 심리스 기능에 대해서, 도 6∼도 8에 도시하는 시퀀스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6은 서버(A, B1, B2, C)의 통신이 가능한 정상적인 케이스의 시퀀스도이며, 도 7은 클라이언트 컴퓨터(1)로부터의 포털 서버(C)에의 로그인 후에 서버(A)가 통신 불능이 되는 케이스의 시퀀스도이고, 도 11은 클라이언트 컴퓨터(1)로부터의 포털 서버(C)에의 로그인 시에 서버(A)가 통신 불능인 케이스의 시퀀스도이다.
[정상적인 케이스: 도 6]
클라이언트 컴퓨터(1)는 오퍼레이터로부터의 로그인의 요구에 따라[도 6: 화살표(1)], 포털 서버(C)에 로그인한다[도 6: 화살표(2)]. 이 로그인 시, 클라이언트 컴퓨터(1)는 포털 서버(C)에 등록되어 있는 서버(A)의 어드레스(#A)를 취득한다[도 6: 화살표(3)]. 그리고, 포털 서버(C)로부터 취득한 어드레스(#A)에 기초하여 서버(A)에 액세스하여, 서버(A)에 등록되어 있는 서버(B1, B2)의 어드레스(#B, #B2)를 취득한다[도 6: 화살표(4)].
포털 서버(C)에의 로그인 후, 오퍼레이터에 의해 서버(B)의 기능이 선택되면[도 6: 화살표(5)], 클라이언트 컴퓨터(1)는 서버(A)에 대하여 서버(B(B1, B2))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조회한다[도 6.: 화살표(6)].
여기서, 처리계의 서버(B1)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다는 취지의 체크 결과가 서버(A)로부터 반송되어 오면[도 6: 화살표(7)], 클라이언트 컴퓨터(1)는 취득되어 있는 서버(B1)의 어드레스(#B1)에 기초하여 처리계의 서버(B1)에 액세스한다[도 6: 화살표(8)].
또한, 이상한 케이스로서, 처리계의 서버(B1)와 사이의 통신이 불능이며 대기계의 서버(B2)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다는 취지의 체크 결과가 서버(A)로부터 반송되어 온 경우[도 6: 화살표(11)], 클라이언트 컴퓨터(1)는 취득되어 있는 서버(B2)의 어드레스(#B2)에 기초하여 대기계의 서버(B2)에 액세스한다[도 6: 화살표(12)].
또한, 이상한 케이스로서, 처리계의 서버(B1) 및 대기계의 서버(B2)와 사이의 통신이 모두 불능인 취지의 체크 결과가 서버(A)로부터 반송되어 온 경우[도 6: 화살표(15)], 클라이언트 컴퓨터(1)는 오퍼레이터에 대하여 접속 실패의 에러 메시지를 내보낸다[도 6: 화살표(16)].
[포털 서버(C)에의 로그인 후에 서버(A)가 통신 불능이 되는 케이스: 도 7]
클라이언트 컴퓨터(1)는 오퍼레이터로부터의 로그인의 요구에 따라[도 7: 화살표(1)], 포털 서버(C)에 로그인한다[도 7: 화살표(2)]. 이 로그인 시, 클라이언트 컴퓨터(1)는 포털 서버(C)에 등록되어 있는 서버(A)의 어드레스(#A)를 취득한다[도 7: 화살표(3)]. 또한, 포털 서버(C)로부터 취득한 어드레스(#A)에 기초하여 서버(A)에 액세스하여, 서버(A)에 등록되어 있는 서버(B1, B2)의 어드레스(#B1, #B2)를 취득한다[도 7: 화살표(4)].
여기서, 상정되는 케이스로서, 포털 서버(C)에의 로그인 후, 서버(A)가 통신 불능이 되는 케이스가 생각된다. 이 경우, 포털 서버(C)는, 서버(A)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정기적으로 체크하여, 서버(A)와 사이의 통신이 불능이 되었다고 판단하면[도 7: 화살표(5)], 그 취지를 클라이언트 컴퓨터(1)에 통지한다[도 7: 화살표(6)].
그 후, 오퍼레이터에 의해 서버(B)의 기능이 선택되면[도 7: 화살표(7)], 클라이언트 컴퓨터(1)는, 포털 서버(C)로부터의 통지 결과에 기초하여 서버(A)와 사이의 통신이 불능이라고 판단하여[도 3: 화살표(8)], 취득되어 있는 서버(B1)의 어드레스(#B1)에 기초하여 처리계의 서버(B1)에 액세스한다[도 7: 화살표(9)].
포털 서버(C)는 그때까지 불능이라고 되어 있던 서버(A)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게 되었다고 판단하면[도 7: 화살표(10)], 서버(A)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복귀된 것을 클라이언트 컴퓨터(1)에 통지한다[도 7: 화살표(11)].
클라이언트 컴퓨터(1)는 포털 서버(C)로부터 서버(A)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복귀된 것이 통지되면, 취득되어 있는 서버(A)의 어드레스(#A)에 기초하여 서버(A)에 액세스하여, 서버(A)에 등록되어 있는 서버(B1, B2)의 어드레스(#B1, #B2)를 취득한다[도 7: 화살표(12)].
그 후, 오퍼레이터에 의해 서버(B)의 기능이 선택되면[도 7: 화살표(13)], 클라이언트 컴퓨터(1)는 서버(A)에 대하여 서버(B(B1, B2))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조회하여[도 7: 화살표(14)], 서버(B1)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다는 취지의 체크 결과가 서버(A)로부터 반송되어 오면[도 7: 화살표(15)], 취득되어 있는 서버(B1)의 어드레스(#B1)에 기초하여 처리계의 서버(B1)에 액세스한다[도 7: 화살표(16)].
예컨대, 서버(A)에 새로운 서버(B1new, B2new)의 어드레스(#B1new, #B2new)를 등록하여, 서버(A)를 리스타트한 것과 같은 경우, 서버(A)와 사이의 통신이 일시 불능이 된다. 이러한 경우, 서버(A)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복귀된 시점에서, 서버(A)에 등록되어 있는 새로운 서버(B1new, B2new)의 어드레스(#B1new, #B2new)가 클라이언트 컴퓨터(1)에 재취득되게 되며, 이 재취득된 서버(B1new, B2new)의 어드레스(#B1new, #B2new)에 기초하여 새로운 서버(Bnew(B1new, B2new))에의 액세스가 가능하게 된다.
[포털 서버(C)에의 로그인 시에 서버(A)가 통신 불능인 케이스: 도 8]
클라이언트 컴퓨터(1)는 오퍼레이터로부터의 로그인의 요구에 따라[도 8: 화살표(1)], 포털 서버(C)에 로그인한다[도 8: 화살표(2)]. 이 로그인 시, 클라이언트 컴퓨터(1)는 포털 서버(C)에 등록되어 있는 서버(A)의 어드레스(#A)를 취득한다[도 8: 화살표(3)].
여기서, 상정되는 케이스로서, 포털 서버(C)에의 로그인 시에, 서버(A)가 통신 불능인 케이스가 생각된다. 이 경우, 클라이언트 컴퓨터(1)는 서버(A)로부터 서버(B1, B2)의 어드레스(#B1, #B2)를 취득할 수 없다. 또한, 이 경우, 포털 서버(C)는 서버(A)와 사이의 통신이 불능인 것을 클라이언트 컴퓨터(1)에 통지한다[도 8: 화살표(4)].
포털 서버(C)에의 로그인 후, 오퍼레이터에 의해 서버(B)의 기능이 선택되면[도 8: 화살표(5)], 클라이언트 컴퓨터(1)는 포털 서버(C)로부터의 통지 결과로부터 서버(A)와 사이의 통신이 불능이라고 판단한다[도 11: 화살표(6)].
또한, 클라이언트 컴퓨터(1)는 서버(B1, B2)의 어드레스(#B1, #B2)가 취득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서버(B(B1, B2))에의 액세스를 단념한다[도 11: 화살표(7)]. 그리고, 오퍼레이터에 대하여 접속 실패의 에러 메시지를 내보낸다[도 8: 화살표(8)].
즉, 포털 서버(C)에 로그인 시, 서버(A)가 다운되어 있으며, 또한, 그 후 한 번도 서버(A)가 복귀되고 있지 않은 케이스는 시스템의 특성 상, 드문 케이스라고 결론지어, 서버(B(B1, B2))에의 액세스를 단념하고, 오퍼레이터에 대하여 접속 실패의 에러 메시지를 내보낸다.
포털 서버(C)는 그때까지 불능이라고 되어 있던 서버(A)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게 되었다고 판단하면[도 8: 화살표(9)], 서버(A)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복귀된 것을 클라이언트 컴퓨터(1)에 통지한다[도 8: 화살표(10)].
클라이언트 컴퓨터(1)는 포털 서버(C)로부터 서버(A)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복귀된 것이 통지되면, 취득되어 있는 서버(A)의 어드레스(#A)에 기초하여 서버(A)에 액세스하여, 서버(A)에 등록되어 있는 서버(B1, B2)의 어드레스(#B1, #B2)를 취득한다[도 8: 화살표(11)].
그 후, 오퍼레이터에 의해 서버(B)의 기능이 선택되면[도 8: 화살표(12)], 클라이언트 컴퓨터(1)는 서버(A)에 대하여 서버(B(B1, B2))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조회하여[도 8: 화살표(13)], 처리계의 서버(B1)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다는 취지의 체크 결과가 서버(A)로부터 반송되어 오면[도 8: 화살표(14)], 취득되어 있는 서버(B)의 어드레스(#B1)에 기초하여 처리계의 서버(B1)에 액세스한다[도 8: 화살표(15)].
이상의 동작으로부터도 알 수 있듯이, 이 실시형태 2의 포털 서버 시스템에서는, 포털 서버(C)에의 로그인 시, 클라이언트 컴퓨터(1)가 서버(A)로부터 서버(B1, B2)의 어드레스(#B1, #B2)를 취득하기 때문에, 포털 서버(C)에의 로그인 후, 서버(A)가 다운되어도, 클라이언트 컴퓨터(1)로부터 서버(B)(B1)에 액세스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포털 서버(C)에 서버(B1, B2)의 어드레스(#B1, #B2)를 등록할 필요도 없어진다. 또한, 서버(C)에 서버(B1, B2)와 사이의 통신의 가능 상태를 체크하는 헬시 체크 기능을 추가할 필요도 없어진다.
도 9에, 전술한 실시형태 1, 2에 있어서, 서버(C)에 로그인한 후, 서버(B)의 기능이 선택되었을 때의 클라이언트 컴퓨터(1)에서의 처리 동작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클라이언트 컴퓨터(1)는 서버(C)에 로그인한 후, 오퍼레이터에 의해 서버(B)의 기능이 선택되면, 취득되어 있는 서버(B)의 어드레스로부터 서버(B)의 댓수(N)를 카운트한다(단계 S101). 이 경우, 실시형태 1에서는, N=1로 카운트하며, 실시형태 2에서는 N=2로 카운트한다. 또한, 서버(C)에의 로그인 시에 서버(A)가 통신 불능이며, 서버(B)의 어드레스가 취득되어 있지 않으면, N=0이 된다.
다음에, 클라이언트 컴퓨터(1)는 서버(B)의 댓수(N)가 N>0인지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02). 여기서, 서버(B)의 댓수(N)가 N=0이면(단계 S102의 NO), 서버(B)에의 액세스를 단념하여, 처리를 종료한다(단계 S103).
서버(B)의 댓수(N)가 N>0이면(단계 S102의 YES), 서버(A)와 사이에서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104), 서버(A)와 사이의 통신이 불능이면(단계 S104의 NO), n=1로 하여(단계 S105), 취득하고 있는 서버(B)의 어드레스를 기초로 n=1대째의 서버(B)에 액세스한다(단계 S106).
예컨대, 실시형태 1에서, 서버(A)와 사이의 통신이 불능이면(단계 S104의 YES), 취득하고 있는 서버(B)의 어드레스(#B)에 기초하여 서버(B)에 액세스한다(단계 S106). 실시형태 2에서, 서버(A)와 사이의 통신이 불능이면(단계 S104의 NO), 취득하고 있는 서버(B1)의 어드레스(#B1)에 기초하여 처리계의 서버(B1)에 액세스한다(단계 S106).
이에 대하여, 서버(A)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면(단계 S104의 YES), 서버(A)로부터 서버(B)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의 체크 결과를 취득한다(단계 S107). 그리고, n=1로 하여(단계 S108), 서버(B)의 n대째와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09).
여기서, 서버(B)의 n대째와 통신이 가능하다고 하는 체크 결과가 얻어져 있으면(단계 S109의 YES), 취득하고 있는 서버(B)의 어드레스를 바탕으로 n대째의 서버(B)에 액세스한다(단계 S106). 서버(B)의 n대째와 통신이 가능하다고 하는 결과가 얻어져 있지 않으면(단계 S109의 NO), n=n+1로 하여(단계 S110), 단계 S109에서의 체크를 반복한다. 또한, 이 처리 과정에서, n>N이 되면(단계 S111의 YES), 서버(B)에의 액세스를 단념하여, 처리를 종료한다(단계 S112).
예컨대, 실시형태 1에서, 서버(B)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면(단계 S109의 YES), 취득하고 있는 서버(B)의 어드레스(#B)에 기초하여 서버(B)에 액세스한다(단계 S106). 실시형태 2에서, 서버(B1)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면(단계 S109의 YES), 취득하고 있는 서버(B1)의 어드레스(#B1)에 기초하여 처리계의 서버(B1)에 액세스한다(단계 S106). 실시형태 2에서, 서버(B1)와 사이의 통신이 불능이며, 서버(B2)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면(단계 S109의 YES), 취득하고 있는 서버(B2)의 어드레스(#B2)에 기초하여 대기계의 서버(B2)에 액세스한다(단계 S106). 실시형태 2에서, 서버(B1, B2)가 함께 통신 불능이면(단계 S111의 YES), 서버(B(B1, B2))에의 액세스를 단념하여, 처리를 종료한다(단계 S112).
도 10에 실시형태 1의 포털 서버 시스템에 있어서의 클라이언트 컴퓨터나 서버의 주요부의 기능 블록도를 도시한다. 이 실시형태 1에서, 포털 서버(C)는 서버(A)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정기적으로 체크하여 그 체크 결과를 클라이언트 컴퓨터(1)에 통지하는 제2 서버 통신 가능 체크 수단(3A)과, 이 제2 서버 통신 가능 체크 수단(3A)에 의해 그때까지 불능이라고 판단되어 있던 서버(A)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 클라이언트 컴퓨터(1)에 서버(A)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복귀된 것을 통지하는 제2 서버 통신 복귀 통지 수단(3B)과, 서버(A)의 어드레스(#A)를 기억하는 메모리(3C)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서버(A)는 서버(B)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정기적으로 체크하는 제3 서버 통신 가능 체크 수단(4A)과, 서버(B)의 어드레스(#B)를 기억하는 메모리(4B)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 1에서, 클라이언트 컴퓨터(1)는 포털 서버(C)에의 로그인 시에 이 포털 서버(C)에 등록되어 있는 서버(A)의 어드레스(#A)를 취득하는 제2 서버 어드레스 취득 수단(1A)과, 이 제2 서버 어드레스 취득 수단(1A)에 의해 취득된 어드레스(#A)에 기초하여 서버(A)에 액세스하여 이 서버(A)에 등록되어 있는 서버(B)의 어드레스(#B)를 취득하는 제3 서버 어드레스 취득 수단(1B)과, 포털 서버(C)에의 로그인 후, 서버(B)에의 액세스가 요구된 경우, 제3 서버 어드레스 취득 수단(1B)에 의해 취득되어 있는 어드레스(#B)에 기초하여 서버(B)에 액세스하는 제3 서버 액세스 수단(1C)과, 포털 서버(3)의 제2 서버 통신 복귀 통지 수단(3B)으로부터 서버(A)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복귀된 것이 통지된 경우, 제2 서버 어드레스 취득 수단(1A)에 의해 취득되어 있는 어드레스(#A)에 기초하여 서버(A)에 액세스하여, 이 서버(A)에 등록되어 있는 서버(B)의 어드레스(#B)를 취득하는 제3 서버 어드레스 재취득 수단(1D)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이 예에서, 제3 서버 액세스 수단(1C)은 포털 서버(C)의 제2 서버 통신 가능 체크 수단(3A)으로부터의 체크 결과 및 서버(A)에 있어서의 제3 서버 통신 가능 체크 수단(4A)에서의 체크 결과에 기초하여, 서버(A)와 사이의 통신 및 서버(B)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에, 제3 서버 어드레스 취득 수단(1B)에 의해 취득되어 있는 어드레스(#B)에 기초하여 서버(B)에 액세스한다.
이 실시형태 1에서, 제3 서버 액세스 수단(1C)에 있어서의 포털 서버(C)의 제2 서버 통신 가능 체크 수단(3A)으로부터의 체크 결과 및 서버(A)에 있어서의 제3 서버 통신 가능 체크 수단(4A)에서의 체크 결과의 확인은 반드시 필요하지 않으며, 서버(B)에의 액세스가 요구된 경우, 취득되어 있는 서버(B)의 어드레스(#B)에 기초하여 즉시 서버(B)에 액세스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11에 실시형태 2의 포털 서버 시스템에 있어서의 클라이언트 컴퓨터나 서버의 주요부의 기능 블록도를 도시한다. 이 실시형태 2에서, 포털 서버(C)는 서버(A)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정기적으로 체크하여 그 체크 결과를 클라이언트 컴퓨터(1)에 통지하는 제2 서버 통신 가능 체크 수단(3A)과, 이 제2 서버 통신 가능 체크 수단(3A)에 의해 그때까지 불능이라고 판단되어 있던 서버(A)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 클라이언트 컴퓨터(1)에 서버(A)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복귀된 것을 통지하는 제2 서버 통신 복귀 통지 수단(3B)과, 서버(A)의 어드레스(#A)를 기억하는 메모리(3C)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서버(A)는 서버(B1) 및 서버(B2)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정기적으로 체크하는 제3 서버 통신 가능 체크 수단(4A)과, 서버(B1, B2)의 어드레스(#B1, #B2)를 기억하는 메모리(4B)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 2에서, 클라이언트 컴퓨터(1)는 포털 서버(C)에의 로그인 시에 이 포털 서버(C)에 등록되어 있는 서버(A)의 어드레스(#A)를 취득하는 제2 서버 어드레스 취득 수단(1A)과, 이 제2 서버 어드레스 취득 수단(1A)에 의해 취득된 어드레스(#A)에 기초하여 서버(A)에 액세스하여 이 서버(A)에 등록되어 있는 서버(B1, B2)의 어드레스(#B1, #B2)를 취득하는 제3 서버 어드레스 취득 수단(1B)과, 포털 서버(C)에의 로그인 후, 서버(B)에의 액세스가 요구된 경우, 포털 서버(C)의 제2 서버 통신 가능 체크 수단(3A)으로부터의 체크 결과에 기초하여, 서버(A)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 서버 통신 가능 판단 수단(1E)과, 이 제2 서버 통신 가능 판단 수단(1E)에 의해 서버(A)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 제2 서버 어드레스 취득 수단(1A)에 의해 취득되어 있는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서버(A)에 액세스하여, 이 서버(A)에 있어서의 제3 서버 통신 가능 체크 수단(4A)에서의 체크 결과를 취득하여, 서버(B1)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다는 취지의 체크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제3 서버 어드레스 취득 수단(1B)에 의해 취득되어 있는 어드레스(#B1)에 기초하여 서버(B1)에 액세스하고, 서버(B1)와 사이의 통신이 불능이며 서버(B2)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다는 취지의 체크 결과가 얻어져 있는 경우에는, 제3 서버 어드레스 취득 수단(1B)에 의해 취득되어 있는 어드레스(#B2)에 기초하여 서버(B2)에 액세스하는 제2 서버 통신 가능 시의 제3 서버 액세스 수단(1C1)과, 제2 서버 통신 가능 판단 수단(1E)에 의해 서버(A)와 사이의 통신이 불능이라고 판단된 경우, 제3 서버 어드레스 취득 수단(1B)에 의해 취득되어 있는 어드레스(#B1)에 기초하여, 서버(B1)에 액세스하는 제2 서버 통신 불능 시의 제3 서버 액세스 수단(1C2)과, 포털 서버(3)의 제2 서버 통신 복귀 통지 수단(3B)으로부터 서버(A)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복귀된 것이 통지된 경우, 제2 서버 어드레스 취득 수단(1A)에 의해 취득되어 있는 어드레스(#A)에 기초하여 서버(A)에 액세스하여, 이 서버(A)에 등록되어 있는 서버(B1, B2)의 어드레스(#B1, #B2)를 취득하는 제3 서버 어드레스 재취득 수단(1D)을 포함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털 서버 시스템의 제1 실시형태[실시형태 1(이중화 없음)]의 개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의 포털 서버 시스템에 있어서의 클라이언트 컴퓨터가 갖는 심리스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정상적인 케이스의 시퀀스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 1의 포털 서버 시스템에 있어서의 클라이언트 컴퓨터가 갖는 심리스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포털 서버(C)에의 로그인 후에 서버(A)가 통신 불능이 되는 케이스의 시퀀스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 1의 포털 서버 시스템에 있어서의 클라이언트 컴퓨터가 갖는 심리스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포털 서버(C)에의 로그인 시에 서버(A)가 통신 불능인 케이스의 시퀀스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털 서버 시스템의 제2 실시형태[실시형태 2(이중화 있음)]의 개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형태 2의 포털 서버 시스템에 있어서의 클라이언트 컴퓨터가 갖는 심리스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정상적인 케이스의 시퀀스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 2의 포털 서버 시스템에 있어서의 클라이언트 컴퓨터가 갖는 심리스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포털 서버(C)에의 로그인 후에 서버(A)가 통신 불능이 되는 케이스의 시퀀스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 2의 포털 서버 시스템에 있어서의 클라이언트 컴퓨터가 갖는 심리스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포털 서버(C)에의 로그인 시에 서버(A) 가 통신 불능인 케이스의 시퀀스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 1, 2에 있어서 서버(C)에 로그인한 후에 서버(B)의 기능이 선택되었을 때의 클라이언트 컴퓨터에서의 처리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 1의 포털 서버 시스템에 있어서의 클라이언트 컴퓨터나 서버의 주요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 2의 포털 서버 시스템에 있어서의 클라이언트 컴퓨터나 서버의 주요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2는 클라이언트 컴퓨터로부터의 로그인을 포털 서버에 집약시킨 포털 서버 시스템의 제1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클라이언트 컴퓨터로부터의 로그인을 포털 서버에 집약시킨 포털 서버 시스템의 제2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포털 서버 시스템의 제1 예에 있어서 방식 1을 채용한 경우의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포털 서버 시스템의 제1 예에 있어서 방식 2를 채용한 경우의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포털 서버 시스템의 제2 예에 있어서 방식 1을 채용한 경우의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포털 서버 시스템의 제2 예에 있어서 방식 2를 채용한 경우의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클라이언트 컴퓨터 2…네트워크
3…제1 서버[포털 서버(C)] 4…제2 서버[서버(A)]
5…제3 서버[서버(B)]
5-1…처리계의 제3 서버[서버(B1)]
5-2…대기계의 제3 서버[서버(B2)]
1A…제2 서버 어드레스 취득 수단
1B…제3 서버 어드레스 취득 수단 1C…제3 서버 액세스 수단
1C1…제2 서버 통신 가능 시의 제3 서버 액세스 수단
1C2…제2 서버 통신 불능 시의 제3 서버 액세스 수단
1E…제2 서버 통신 가능 판단 수단
1D…제3 서버 어드레스 재취득 수단
3A…제2 서버 통신 가능 체크 수단
3B…제2 서버 통신 복귀 통지 수단 3C…메모리
4A…제3 서버 통신 가능 체크 수단 4B…메모리

Claims (8)

  1. 제1 서버와, 상기 제1 서버에 그 어드레스가 등록되어 있는 제2 서버와, 상기 제2 서버에 그 어드레스가 등록되어 있는 제3 서버와, 상기 제1 서버를 포털 서버로 하여 상기 제2 및 제3 서버에 네트워크를 통해 액세스하는 클라이언트 컴퓨터를 포함한 포털 서버 시스템으로서,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는,
    상기 포털 서버에의 로그인 시에 상기 포털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상기 제2 서버의 어드레스를 취득하는 제2 서버 어드레스 취득 수단과,
    상기 제2 서버 어드레스 취득 수단에 의해 상기 제2 서버의 어드레스가 취득되면, 상기 제2 서버 어드레스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서버에 액세스하여 상기 제2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상기 제3 서버의 어드레스를 취득하는 제3 서버 어드레스 취득 수단과,
    상기 포털 서버에의 로그인 후, 상기 제3 서버에의 액세스가 요구된 경우, 상기 제3 서버 어드레스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되어 있는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상기 제3 서버에 액세스하는 제3 서버 액세스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털 서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털 서버는,
    상기 포털 서버와 상기 제2 서버와 사이의 통신(이하, "제2 서버와 사이의 통신"이라고 함)이 가능한지 여부를 정기적으로 체크하는 제2 서버 통신 가능 체크 수단과,
    상기 제2 서버 통신 가능 체크 수단에 의해 이전(以前)에 불능이라고 판단되어 있던 상기 제2 서버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상기 제2 서버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복귀된 것을 통지하는 제2 서버 통신 복귀 통지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는,
    상기 포털 서버의 제2 서버 통신 복귀 통지 수단에 의해 상기 제2 서버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복귀된 것이 통지된 경우, 상기 제2 서버 어드레스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되어 있는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서버에 액세스하여, 상기 제2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상기 제3 서버의 어드레스를 취득하는 제3 서버 어드레스 재취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털 서버 시스템.
  3. 제1 서버와, 상기 제1 서버에 그 어드레스가 등록되어 있는 제2 서버와, 상기 제2 서버에 그 어드레스가 등록되어 있는 처리계의 제3 서버와, 상기 제2 서버에 그 어드레스가 등록되어 있는 대기계의 제3 서버와, 상기 제1 서버를 포털 서버로 하여 상기 제2 및 제3 서버에 네트워크를 통해 액세스하는 클라이언트 컴퓨터를 포함한 포털 서버 시스템으로서,
    상기 포털 서버는,
    상기 포털 서버와 상기 제2 서버와 사이의 통신(이하, "제2 서버와 사이의 통신"이라고 함)이 가능한지 여부를 정기적으로 체크하여 그 체크 결과를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통지하는 제2 서버 통신 가능 체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서버는,
    상기 제2 서버와 상기 처리계의 제3 서버와 사이의 통신(이하, "처리계의 제3 서버와 사이의 통신"이라고 함) 및 상기 제2 서버와 상기 대기계의 제3 서버와 사이의 통신(이하, "대기계의 제3 서버와 사이의 통신"이라고 함)이 가능한지 여부를 정기적으로 체크하는 제3 서버 통신 가능 체크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는,
    상기 포털 서버에의 로그인 시에 상기 포털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상기 제2 서버의 어드레스를 취득하는 제2 서버 어드레스 취득 수단과,
    상기 제2 서버 어드레스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서버에 액세스하여 상기 제2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상기 처리계의 제3 서버 및 상기 대기계의 제3 서버의 어드레스를 취득하는 제3 서버 어드레스 취득 수단과,
    상기 포털 서버에의 로그인 후, 상기 제3 서버에의 액세스가 요구된 경우, 상기 포털 서버의 제2 서버 통신 가능 체크 수단으로부터의 체크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서버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 서버 통신 가능 판단 수단과,
    상기 제2 서버 통신 가능 판단 수단에 의해 상기 제2 서버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2 서버 어드레스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되어 있는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서버에 액세스하여, 이 제2 서버에 있어서의 제3 서버 통신 가능 체크 수단에서의 체크 결과를 취득하여, 상기 처리계의 제3 서버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다는 취지의 체크 결과가 얻어져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3 서버 어드레스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되어 있는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상기 처리계의 제3 서버에 액세스하고, 상기 처리계의 제3 서버와 사이의 통신이 불능이며 상기 대기계의 제3 서버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다는 취지의 체크 결과가 얻어져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3 서버 어드레스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되어 있는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상기 대기계의 제3 서버에 액세스하는 제2 서버 통신 가능 시의 제3 서버 액세스 수단과,
    상기 제2 서버 통신 가능 판단 수단에 의해 상기 제2 서버와 사이의 통신이 불능이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3 서버 어드레스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되어 있는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상기 처리계의 제3 서버에 액세스하는 제2 서버 통신 불능 시의 제3 서버 액세스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털 서버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털 서버는,
    상기 제2 서버 통신 가능 체크 수단에 의해 이전에 불능이라고 판단되어 있던 상기 제2 서버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상기 제2 서버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복귀된 것을 통지하는 제2 서버 통신 복귀 통지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는,
    상기 포털 서버의 제2 서버 통신 복귀 통지 수단에 의해 상기 제2 서버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복귀된 것이 통지된 경우, 상기 제2 서버 어드레스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되어 있는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서버에 액세스하여, 상기 제2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상기 처리계의 제3 서버 및 상기 대기계의 제3 서버의 어드레스를 취득하는 제3 서버 어드레스 재취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털 서버 시스템.
  5. 제1 서버와, 상기 제1 서버에 그 어드레스가 등록되어 있는 제2 서버와, 상기 제2 서버에 그 어드레스가 등록되어 있는 제3 서버와, 상기 제1 서버를 포털 서버로 하여 상기 제2 및 제3 서버에 네트워크를 통해 액세스하는 클라이언트 컴퓨터를 포함한 포털 서버 시스템에 있어서의 서버 액세스 방법으로서,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있어서,
    상기 포털 서버에의 로그인 시에 상기 포털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상기 제2 서버의 어드레스를 취득하는 제2 서버 어드레스 취득 단계와,
    상기 제2 서버 어드레스 취득 수단에 의해 상기 제2 서버의 어드레스가 취득되면, 상기 제2 서버 어드레스 취득 단계에 의해 취득된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서버에 액세스하여 상기 제2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상기 제3 서버의 어드레스를 취득하는 제3 서버 어드레스 취득 단계와,
    상기 포털 서버에의 로그인 후, 상기 제3 서버에의 액세스가 요구된 경우, 상기 제3 서버 어드레스 취득 단계에 의해 취득되어 있는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상기 제3 서버에 액세스하는 제3 서버 액세스 단계
    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털 서버 시스템에 있어서의 서버 액세스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털 서버에 있어서,
    상기 포털 서버와 상기 제2 서버와 사이의 통신(이하, "제2 서버와 사이의 통신"이라고 함)이 가능한지 여부를 정기적으로 체크하는 제2 서버 통신 가능 체크 단계와,
    상기 제2 서버 통신 가능 체크 단계에 의해 이전에 불능이라고 판단되어 있던 상기 제2 서버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상기 제2 서버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복귀된 것을 통지하는 통신 복귀 통지 단계
    를 실행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있어서,
    상기 포털 서버에 있어서의 통신 복귀 통지 단계에 의해 상기 제2 서버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복귀된 것이 통지된 경우, 상기 제2 서버 어드레스 취득 단계에 의해 취득되어 있는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서버에 액세스하여, 상기 제2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상기 제3 서버의 어드레스를 취득하는 제3 서버 어드레스 재취득 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털 서버 시스템에 있어서의 서버 액세스 방법.
  7. 제1 서버와, 상기 제1 서버에 그 어드레스가 등록되어 있는 제2 서버와, 상기 제2 서버에 그 어드레스가 등록되어 있는 처리계의 제3 서버와, 상기 제2 서버에 그 어드레스가 등록되어 있는 대기계의 제3 서버와, 상기 제1 서버를 포털 서버로 하여 상기 제2 및 제3 서버에 네트워크를 통해 액세스하는 클라이언트 컴퓨터를 포함한 포털 서버 시스템에 있어서의 서버 액세스 방법으로서,
    상기 포털 서버에 있어서,
    상기 포털 서버와 상기 제2 서버와 사이의 통신(이하, "제2 서버와 사이의 통신"이라고 함)이 가능한지 여부를 정기적으로 체크하여 그 체크 결과를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통지하는 제2 서버 통신 가능 체크 단계를 실행하고,
    상기 제2 서버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버와 상기 처리계의 제3 서버와 사이의 통신(이하, "처리계의 제3 서버와 사이의 통신"이라고 함) 및 상기 제2 서버와 상기 대기계의 제3 서버와 사이의 통신(이하, "대기계의 제3 서버와 사이의 통신"이라고 함)이 가능한지 여부를 정기적으로 체크하는 제3 서버 통신 가능 체크 단계를 실행하며,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있어서,
    상기 포털 서버에의 로그인 시에 상기 포털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상기 제2 서버의 어드레스를 취득하는 제2 서버 어드레스 취득 단계와,
    상기 제2 서버 어드레스 취득 단계에 의해 취득된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서버에 액세스하여 상기 제2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상기 처리계의 제3 서버 및 상기 대기계의 제3 서버의 어드레스를 취득하는 제3 서버 어드레스 취득 단계와,
    상기 포털 서버에의 로그인 후, 상기 제3 서버에의 액세스가 요구된 경우, 상기 포털 서버의 제2 서버 통신 가능 체크 단계에 의해 통지되어 있는 체크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서버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 서버 통신 가능 판단 단계와,
    상기 제2 서버 통신 가능 판단 단계에 의해 상기 제2 서버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2 서버 어드레스 취득 단계에 의해 취득되어 있는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서버에 액세스하여, 상기 제2 서버에 있어서의 제3 서버 통신 가능 체크 단계에서의 체크 결과를 취득하여, 상기 처리계의 제3 서버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다는 취지의 체크 결과가 얻어져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3 서버 어드레스 취득 단계에 의해 취득되어 있는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상기 처리계의 제3 서버에 액세스하고, 상기 처리계의 제3 서버와 사이의 통신이 불능이며 상기 대기계의 제3 서버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다는 취지의 체크 결과가 얻어져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3 서버 어드레스 취득 단계에 의해 취득되어 있는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상기 대기계의 제3 서버에 액세스하는 제2 서버 통신 가능 시의 제3 서버 액세스 단계와,
    상기 제2 서버 통신 가능 판단 단계에 의해 상기 제2 서버와 사이의 통신이 불능이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3 서버 어드레스 취득 단계에 의해 취득되어 있는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상기 처리계의 제3 서버에 액세스하는 제2 서버 통신 불능 시의 제3 서버 액세스 단계
    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털 서버 시스템에 있어서의 서버 액세스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포털 서버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버 통신 가능 체크 단계에 의해 이전에 불능이라고 판단되어 있던 상기 제2 서버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상기 제2 서버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복귀된 것을 통지하는 통신 복귀 통지 단계를 실행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있어서,
    상기 포털 서버의 통신 복귀 통지 단계에 의해 상기 제2 서버와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복귀된 것이 통지된 경우, 상기 제2 서버 어드레스 취득 단계에 의해 취득되어 있는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서버에 액세스하여, 상기 제2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상기 처리계의 제3 서버 및 상기 대기계의 제3 서버의 어드레스를 취득하는 제3 서버 어드레스 재취득 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털 서버 시스템에 있어서의 서버 액세스 방법.
KR1020090002868A 2008-02-15 2009-01-14 포털 서버 시스템 및 포털 서버 시스템에 있어서의 서버 액세스 방법 KR1010437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34379A JP5227605B2 (ja) 2008-02-15 2008-02-15 ポータルサーバシステムおよびポータルサーバシステムにおけるサーバアクセス方法
JPJP-P-2008-034379 2008-0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8792A KR20090088792A (ko) 2009-08-20
KR101043708B1 true KR101043708B1 (ko) 2011-06-24

Family

ID=41003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2868A KR101043708B1 (ko) 2008-02-15 2009-01-14 포털 서버 시스템 및 포털 서버 시스템에 있어서의 서버 액세스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227605B2 (ko)
KR (1) KR101043708B1 (ko)
CN (1) CN101510871B (ko)
TW (1) TWI479327B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3234A (ja) * 2003-08-15 2005-03-10 Ntt Comware Corp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におけるポータルサーバおよびキャッシュサーバ、ならびにコンテンツ配信方法、コンテンツ配信プログラム
KR20070024475A (ko) * 2004-02-23 2007-03-02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포털 사이트 제공 시스템 및 이것에 이용하는 서버, 방법,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20070111422A (ko) * 2004-03-10 2007-11-21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통신 네트워크와 일정한 접속을 유지할 수 없는 이동체내로부터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 송수신시스템
JP2007305081A (ja) * 2006-05-15 2007-11-22 Toshi Joho Eizo Kk モバイルコンピューティングシステム、送信装置、発信装置、支援装置、情報装置、入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2455A (ja) * 2001-04-13 2002-10-25 Yamatake Building Systems Co Ltd 保全管理業務支援システムおよび保全管理業務支援方法
US7448066B2 (en) * 2002-09-19 2008-11-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lication server object-level security for distributed computing domains
JP2004129106A (ja) * 2002-10-07 2004-04-22 Murata Mach Ltd 電子メール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7072807B2 (en) * 2003-03-06 2006-07-04 Microsoft Corporation Architecture for distributed computing system and automated design, deployment, and management of distributed applications
US7313565B2 (en) * 2004-02-19 2007-12-25 Microsoft Corporation Data overlay, self-organized metadata overlay, and associated methods
CN100440833C (zh) * 2004-09-04 2008-12-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用域名标识用户归属地实现漫游接入数据网的方法
WO2006068365A1 (en) * 2004-12-21 2006-06-2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P2p overlay network construction method and apparatus
JP4919647B2 (ja) * 2005-10-26 2012-04-18 株式会社日本レジストリサービス 識別子認証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3234A (ja) * 2003-08-15 2005-03-10 Ntt Comware Corp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におけるポータルサーバおよびキャッシュサーバ、ならびにコンテンツ配信方法、コンテンツ配信プログラム
KR20070024475A (ko) * 2004-02-23 2007-03-02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포털 사이트 제공 시스템 및 이것에 이용하는 서버, 방법,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20070111422A (ko) * 2004-03-10 2007-11-21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통신 네트워크와 일정한 접속을 유지할 수 없는 이동체내로부터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 송수신시스템
JP2007305081A (ja) * 2006-05-15 2007-11-22 Toshi Joho Eizo Kk モバイルコンピューティングシステム、送信装置、発信装置、支援装置、情報装置、入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8792A (ko) 2009-08-20
TWI479327B (zh) 2015-04-01
JP2009193426A (ja) 2009-08-27
CN101510871A (zh) 2009-08-19
CN101510871B (zh) 2013-01-02
TW200937213A (en) 2009-09-01
JP5227605B2 (ja) 201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75962A1 (en) Remote access providing computer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same
US6854010B1 (en) Multi-location management system
US8281376B2 (en) Authentication system and authentication method
JP4753953B2 (ja) ソフトウェア実行管理装置、そ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80294763A1 (en) Display output sett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RU2578739C2 (ru) Определение детального местоположения сетевых компьютеров
JP2007188184A (ja) アクセス制御プログラム、アクセス制御方法およびアクセス制御装置
JP2007213397A (ja) データ管理プログラム、データ管理装置およびプロトコルの切り替え方法
JP2009258917A (ja) プロキシサーバ、認証サーバおよび通信システム
CN107992491A (zh) 一种分布式文件系统、数据访问和数据存储的方法及装置
US20120246311A1 (en) Session management system, session management device, session management method and session management program
CN103731289A (zh) 一种网络服务器自动扩展的方法
CN103731287A (zh) 一种故障接管服务器选择方法
EP2294868B1 (en) Seamless location aware network connectivity
KR101043708B1 (ko) 포털 서버 시스템 및 포털 서버 시스템에 있어서의 서버 액세스 방법
US7840666B2 (en) Device, control method of the device, and program for causing computer to execute the control method
JP2016144186A (ja) 通信情報制御装置、中継システム、通信情報制御方法、および、通信情報制御プログラム
KR102567900B1 (ko) 클라우드 저하 모드에서 지속적인 디바이스 동작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09110078A (ja) 障害ログ管理方法
JP4155286B2 (ja) 位置情報検出方法、システム、プログラム
CN117135580A (zh) 5g消息通用接入系统及方法
CN100452721C (zh) 客户端管理系统以及方法
JP2014137672A (ja) 管理システム、管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3256390A (ja) 分散オブジェクトシステム
CN112867148A (zh) 员工坐席的定位方法及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