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1444B1 - 팔각회향을 이용한 항균 비누 조성물 - Google Patents

팔각회향을 이용한 항균 비누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1444B1
KR101041444B1 KR1020090093248A KR20090093248A KR101041444B1 KR 101041444 B1 KR101041444 B1 KR 101041444B1 KR 1020090093248 A KR1020090093248 A KR 1020090093248A KR 20090093248 A KR20090093248 A KR 20090093248A KR 101041444 B1 KR101041444 B1 KR 101041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weight
soap
antibacterial
octagonal fe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3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5497A (ko
Inventor
이장연
이재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켐
Priority to KR1020090093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1444B1/ko
Publication of KR20110035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5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1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14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38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48Medical, disinfecting agents, disinfecting, antibacterial, germicidal or antimicrobial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44Perfumes; Colouring materials; Brightening agents ; Bleaching agents
    • C11D9/442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노폐물을 제거하여 청결을 유지하여 주고, 항균 및 살균작용이 우수한 팔각회향을 이용한 항균 비누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팔각회향을 이용한 항균 비누 조성물은 비누 소지(Soap chip)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보습제 0.5~11중량부, 항균제 0.5~11중량부, 맥문동, 황금, 선퇴, 건지황, 형개 및 박하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한방약재 0.5~11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팔각회향, 항균 비누, 한방약재

Description

팔각회향을 이용한 항균 비누 조성물{Anti- bacterial soap composition using Illicium verum Hook.f.}
본 발명은 팔각회향을 이용한 항균 비누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피부노폐물을 제거하여 청결을 유지하여 주고, 항균 및 살균작용이 우수한 팔각회향을 이용한 항균 비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누는 피부를 청결하게 세척하고 보호해주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비누는 인체에 부착된 오염을 제거할 수 있는 세정력과 사용감을 부드럽게 할 수 있는 기포력을 갖으며, 피부자극성이 적고, 사용 후 미용효과가 있어야 한다.
또한, 최근에는 인체 피부에 기생하는 각종 세균, 곰팡이 등으로부터 기인하는 악취나 세균감염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살균 및 항균효과도 갖추어야 한다.
다만, 종래 비누의 경우 피부의 청결과 피부건강에 도움을 주고자 세정기능이 극대화됨에 따라 피부 상피조직에 축적된 피지성분들을 과도하게 제거하고, 이로 인해 오히려 피부가 거칠어지거나 건조해지는 등 피부 건강을 해칠 수 있었으며, 피부 조직의 손상으로 세균 감염의 위험성을 내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살균 및 항균 효과를 갖는 비누는 페놀계나 크레졸 등과 같은 화학성분을 사용하여 유해 미생물들에 대한 살균 및 항균효과를 갖도록 한 것으로, 살균 및 항균 효과를 갖기는 하나, 화학성분으로 된 항균제로 인하여 과민성 피부를 가진 사람들에게는 오히려 피부자극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피부자극을 유발하는 각종 화학성분으로 제조된 비누 대신 천연식물 성분이나 또는 천연 광물분말과 그 추출물 등의 천연물이 함유된 비누가 개발되어 널리 각광을 받고 있다.
종래 천연물로된 살균력을 갖는 비누의 예로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83-385호에는 살균력을 부여하기 위한 한방성분으로서 맥반성을 사용한 것과 제90-2934호에서는 다양한 한방생약성분을 함유하는 비누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은 단지 미용성분으로 효과만 강조하였을 뿐 살균력이나 치유효과는 입증하지 못하고 있다.
이외에도 토코페롤, 알로에 엑기스 등의 천연 약용물질과 아미노에틸 염산 글리신을 사용한 예도 있으나, 이러한 비누는 그 효과가 매우 미약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팔각회향을 포함하는 항균제와 비누 소지 등을 일정한 비율로 배합하여 우수한 항균 및 살균효과를 갖고, 피부에 대한 자극은 적으며, 세정력이 우수한 팔각회향을 이용한 항균 비누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누의 향을 개선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누 소지(Soap chip) 100중량부에 대하여 보습제 0.5~11중량부, 항균제 0.5~11중량부, 맥문동, 황금, 선퇴, 건지황, 형개 및 박하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한방약재 0.5~11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각회향을 이용한 항균 비누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항균제는 정향 또는 팔각회향에서 추출되는 1종 이상의 휘발성 추출물, 프로폴리스 또는 복분자 엑기스에서 선택되는 하나 혹은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습제로는 호호바오일, 벌꿀, 글리세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혹은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향료가 비누소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8중량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향료는 라벤더, 페퍼민트, 로즈마리, 티트리, 레몬, 캐모마일, 블루베리향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물질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팔각회향을 이용한 항균 비누 조성물은 적정한 비율로 배합됨에 따라 우수한 세정력을 갖는 동시에 팔각회향 추출물을 비롯한 항균제로 우수한 항균 및 살균 효과가 나타내며, 천연물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피부에 대한 자극이 적어 민감한 피부인 사람들도 거부감 없이 사용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허브추출물 등의 향료가 포함됨에 따라 제조된 비누의 향이 보다 향기로울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감이 더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팔각회향을 이용한 항균 비누 조성물은 우수한 세정력을 갖으면서 항균 및 살균효과가 있는 것으로, 이는 비누 소지(Soap chip) 100중량부에 대하여 보습제 0.5~11중량부, 항균제 0.5~11중량부, 맥문동, 황금, 선퇴, 건지황, 형개 및 박하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한방약재 0.5~11중량부가 포함된다.
보다 자세하게 상기 비누소지는 비누 고유의 성질을 갖도록 하는 주성분으로, 비누의 거품력과 세정력을 부여한다. 이러한 비누소지는 식물성 유지인 팜유와 야자유 및 팜핵유 등으로 구성되어 비누화가 완료된 소지로, 식물성 소재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피부자극을 줄여줄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비누소지는 상기 구성성분 외에 향료, 염료, 중량제, 산화방지제 등 공지의 첨가물이 더 첨가될 수도 있다.
상기 보습제는 비누로 세정시 피부의 보습을 유지시켜주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습제로서 호호바오일, 벌꿀, 글리세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혹은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호호바 오일은 나무열매를 압착하여 추출한 것으로, 피부의 수분을 자연스럽게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함은 물론, 사람의 피부 성분과 비슷하여 피부에 매우 잘 침투하고 끈적거림이 않아 사용감이 좋기 때문에 본 발명의 보습제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벌꿀과 글리세린 또한 상기 호호바 오일과 같이 우수한 보습력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세가지 성분이 단일 성분으로 사용될 수도 있지만, 둘 또는 세가지 성분이 혼합되어 사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보습제는 비누소지 100중량부에 대해 0.5~11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만약 보습제가 0.5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피부보습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11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피부 보습력이 향상될 수는 있으나, 비누의 연화도가 떨어져 사용감이 나빠질 수 있다.
상기 항균제는 본 발명의 비누 조성물이 항균 및 살균 작용을 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항균제로는 정향 또는 팔각회향에서 추출되는 1종 이상의 휘발성 추출물, 프로폴리스 또는 복분자 엑기스에서 선택되는 하나 혹은 둘 이상의 혼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천연물질이기 때문에 피부에 대한 자극이 거의 없다.
그 중에서도 상기 정향 또는 팔각회향에서 추출되는 1종 이상의 휘발성 추출물은 세균의 항균 및 살균력이 매우 우수한 물질로, 이는 정향 또는 팔각회향에서 추출되는 오일상태의 물질이다.
여기서 정향이라 함은 유제니아 카리오필라타(Eugenia caryophyllata) 또는 시지기움 아로마티컴(Syzygium aromaticum)으로, 정향과(Myrtaceae)에 속하는 상록교목인 정향나무의 개화되지 않은 꽃봉오리를 건조시킨 것이고, 상기 팔각회향(Illicium verum Hook.f.)은 목련과(Magnoliaceae)과에 속하는 상록수의 열매를 말하는 것으로, 상기 정향 또는 팔각회향에서 통상의 식물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에 의해 추출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용매-증류 추출(solvent-distilled extraction)법을 사용하여 정향 또는 팔각회향으로부터 용이하게 휘발성 추출물을 추출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프로폴리스는 꿀벌이나 나무의 싹이나 수액과 같은 식물로부터 수집하는 수지질(樹脂質)의 혼합물로, 살균성, 항산화성 작용을 하고, 복분자 엑기스는 복분자의 액을 추출한 것으로, 폴리페놀과 안토시안 성분으로 인해 살균효과, 항산화작용을 통한 노화억제 효과를 갖는다.
이와 같은 항균제는 비누소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5~11중량부가 포함된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항균제가 0.5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그 포함량이 극히 미미하여 항균제에 의한 항균 및 살균효과가 나타나기 어렵고, 상기 항균제가 11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항균제로 인한 이로운 효과의 상승없이 사용량만 증대되어 효율적이지 않다.
다음으로 상기 한방약재는 맥문동, 황금, 선퇴, 건지황, 형개 및 박하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물질로, 이는 아토피 등과 같은 민감한 피부나 가려움증을 예방하는 효과를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맥문동(麥門冬 ; 학명 Liriope platyphylla Wang et Tang, Ophiopogon japonicus Ker-Gawler)은 중국이 원산으로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하는 나리과에 속한 다년생초본인 소엽맥문동의 덩이뿌리로, 열내림약, 항염제, 등과 같은 다양한 질병에 사용가능한 것으로, 약효가 다양하면서도 부작용이 없는 약재이다.
상기 황금은 꿀풀과에 속하는 2~3년생 숙근성 초본식물로, 아토피성 피부염이나 알레르기 피부질환에 이로운 효과를 갖으며, 상기 선퇴(蟬退)는 허물벗은 매미의 껍질로, 아토피 치료에 효능이 있다. 또한, 상기 건지황은 현삼과의 지황(Rehmannia glutinosa Liboschitz var. purpurea Makino)의 뿌리를 말려서 만든 약재로, 중국에서는 지황 말린 것을 생지황(生地黃)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이또한 아토피 치료에 효능을 갖는다.
상기 형개(荊芥, 학명:Schizonepeta tenuifolia var. japonica)는 꿀풀과의 1년초로 중국 북부가 원산이며 약용식물로 재배되고 있는 것으로, 이러한 형개는 가려움이나 아토피에 대한 진정효과를 갖는다.
상기 박하(薄荷 ; 학명 Mentha arvensis var. piperascens Malinvaud)는 꿀풀과의 여러해살이 풀로, 주성분이 멘톨로 진정작용이 있으며, 가려움증과 염증 등 의 피부병 치료나, 전신용, 세안용으로서 피부의 모세혈관을 확장시켜 혈행을 촉진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즉, 상기와 같은 약리효과를 갖는 맥문동, 황금, 선퇴, 건지황, 형개 및 박하로 이루어지는 한방약재는 피부의 진정작용을 가려움, 아토피 등의 개선작용을 갖는 것이다.
이러한 각 한방약재는 통상의 열수추출방법을 통해 그 액만을 추출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상기 각 약재들을 분말화하여 분말 상태로 혼합시켜 사용할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2종이상의 약재가 혼합되어 사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방약재는 비누소지에 대하여 0.5~11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만약 한방약재가 0.5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그 함량이 극히 적어 한방약재의 이로운 효과가 발산되기 어렵고, 11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한방약재의 효과의 상승없이 상대적으로 다른 성분의 함량이 감소하게 되어 전체적인 비누 조성물의 물성이 떨어져 사용감이 나빠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성분으로 구성된 비누 조성물은 통상의 비누제조방법에 따라 소다 등의 각종 기타 원료와 함께 혼합한 후 통상의 비누제조장치로 성형 및 압출공정함으로써 비누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팔각회향을 이용한 항균 비누 조성물로 제조되는 비누는 각 성분이 적정한 비율로 배합됨에 따라 우수한 세정력을 갖는 동시에 팔각회향 추출물을 비롯한 항균제로 우수한 항균 및 살균 효과가 나타내며, 천연물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피부에 대한 자극이 적어 민감한 피부 인 사람들도 거부감 없이 사용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팔각회향을 이용한 항균 비누 조성물은 향료가 비누소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8중량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향료는 비누의 향을 보다 향기롭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라벤더, 페퍼민트, 로즈마리, 티트리, 레몬, 캐모마일 등과 같은 허브의 추출물이나 블루베리향 등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물질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향료가 만약 0.1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그 첨가로 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8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그 첨가량의 상승으로 인해 다른 성분들의 함량만 감소하여 비누의 전체적인 물성에 영향을 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팔각회향을 이용한 항균 비누 조성물에 대하여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비누 소지(Soap chip) 100중량부와 보습제(호호바오일:벌꿀:글리세린=1:1:1) 3중량부, 정향 및 팔각회향에서 추출되는 각각의 휘발성 추출물과 프로폴리스와 복분자 엑기스가 1:1:1:1의 비율로 혼합된 항균제 4중량부, 맥문동, 황금, 선퇴, 건지황, 형개, 박하가 1:1:1:1:1:1의 비율로 혼합된 한방약재 추출물 2중량부, 향료 1중량부를 함유하는 항균 비누조성물을 소다 등의 비누제조에 사용되는 기타 원료 와 혼합한 뒤, 이를 성형 및 압출하는 공정을 거쳐 항균 비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보습제 7중량부, 한방약재 10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항균 비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보습제 0.1중량부, 한방약재 7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벙으로 항균 비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보습제 0.01중량부, 한방약재 10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항균 비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보습제 10중량부, 한방약재 0.01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항균비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보습제 14중량부, 한방약재 15중량%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항균비누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살균력 평가-
실시예 1의 비누 조성물을 시험군으로 하고, 멸균생리식염수를 대조군으로 하여 상기 시험군과 대조군을 각각 멸균 용기에 넣고 전배양한 시험균액을 각각 접종하여 접종즉시 대조군에서 일부를 채취하여 초기 균수를 확인한다. 그런 다음 접종 10분, 20분, 30분, 40분 후의 시험군과 대조군에서 일정량을 취하여 재생된 세균수를 확인하는 고정농도시험법(TI-10-001)을 이용하여 살균력 시험을 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때 상기 시험균액으로는 Escherichia coli(ATCC 8739), Staphylococcus aureus(ATCC 6538), Klebsiella pneumoniae(ATCC 2690), Pseudomonas aeruginosa(KCTC 1636)를 사용하였고, 시험군:시험균액의 비율과 대조군:시험균액의 비율은 각각 10:1의 비율로 접종하였다.
Figure 112009060371426-pat00001
A: 일정 접촉시간 후 대조군으로부터의 생균수
B: 일정 접촉시간 후 시험군으로부터의 생균수
시험균주 접촉시간 균수(CFU/㎖) 살균력(%)
대조군 시험군(실시예 1)
Escherichia coli
(ATCC 8739)
초기 1.2×105 -
10분 1.2×105 <10 99.9
20분 1.2×105 <10 99.9
30분 1.2×105 <10 99.9
40분 1.4×105 <10 99.9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초기 6.2×105 -
10분 6.2×105 <10 99.9
20분 6.2×105 <10 99.9
30분 6.3×105 <10 99.9
40분 6.3×105 <10 99.9
Klebsiella pneumonia
(ATCC 2690)



초기 2.5×105 -
10분 2.5×105 <10 99.9
20분 2.5×105 <10 99.9
30분 2.5×105 <10 99.9
40분 2.6×105 <10 99.9
Pseudomonas aeruginosa
(KCTC 1636)



초기 2.8×105 -
10분 2.8×105 <10 99.9
20분 2.8×105 <10 99.9
30분 2.8×105 <10 99.9
40분 2.8×105 <10 99.9
상기 표 1에 보여진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팔각회향을 이용한 항균 비누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비누는 99.9%의 우수한 살균력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상기와 같이 제조된 실시예1 내지 6의 비누와 비교예로서 일반비누를 사용하여 각각에 대한 거품력, 보습력 및 가려움증의 개선정도에 대하여 하기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를 하였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거품력-
500㎖플라스크에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과 일반비누를 각각 1g씩 넣고 동일한 방법으로 흔들어 거품상태를 육안으로 비교하여 정도를 A-D등급으로 분류하였다.
A: 일반비누와 동일하거나 더 많은 기포크기와 기포량.
B: 일반비누에 비해 기포량이 90% 이상 100% 미만.
C: 일반비누의 기포 상태에 비해 80% 이상 90% 미만.
D: 일반비누의 기포 상태에 비해 80% 이하.
-보습력-
50명의 성인 남녀를 선정하여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과 일반 비누를 비교, 사용 후 촉촉하다는 반응을 가진 사람을 %로 환산하여 A-E등급으로 분류하였다.
A: 95% 이상이 촉촉하다는 반응.
B: 90-95%가 촉촉하다는 반응.
C: 80-90%가 촉촉하다는 반응.
D: 70-80%가 촉촉하다는 반응.
E: 70% 이하가 촉촉하다는 반응.
-가려움증 개선-
피부의 가려움증이 있는 성인 50명에게 상기 실시예 1 내지 6의 항균비누를 사용하도록 하고, 가려움증 개선효과가 나타나는 인원을 %로 환산하여 A-E등급으로 분류하였다.
A: 가려움증 개선 효과가 확연히 나타남.
B: 가려움증 개선 효과를 느낌.
C: 가려움증 개선 효과가 있으나 약간의 자극발생
D: 가려움증 개선 효과가 적음
E: 가려움증 개선 효과가 거의 없음
구 분 비교예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거품력 A A B A A A C
보습력 D A A B D A A
가려움증개선 - B A A A E A
상기 표 2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성분 비율 내에서 배합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경우 거품력 및 보습력이 우수하고, 가려움증 개선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실시예 4의 경우 가려움증 개선 효과가 우수하기는 하나, 보습제의 양이 극히 미량으로 첨가됨에 따라 보습력의 향상효과가 없어 일반비누와 동일한 보습력을 갖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실시예 5의 경우 한방약재가 극히 미량 포함됨에 따라 가려움증 개선에 대한 효능이 거의 나타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실시예 6의 경우 보습제와 한방약재가 과량 포함됨에 따라 보습력 및 가려움증 개선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났으나, 상대적으로 비누소지의 함량이 줄어 거품력이 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팔각회향을 이용한 항균 비누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른 성분비율로 배합되었을 때 거품력 및 세정력이 우수하면서도 항균 및 살균 효과를 갖는 것은 물론, 가려움증에 대한 개선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laims (5)

  1. 비누 소지(Soap chip) 100중량부에 대하여 보습제 0.5~11중량부, 항균제 0.5~11중량부, 맥문동, 황금, 선퇴, 건지황, 형개 및 박하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한방약재 0.5~11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각회향을 이용한 항균 비누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항균제는 정향 또는 팔각회향에서 추출되는 1종 이상의 휘발성 추출물, 프로폴리스 또는 복분자 엑기스에서 선택되는 하나 혹은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각회향을 이용한 항균 비누 조성물.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보습제로는 호호바오일, 벌꿀, 글리세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혹은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각회향을 이용한 항균 비누 조성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향료가 비누소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8중량부 더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각회향을 이용한 항균 비누 조성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향료는 라벤더, 페퍼민트, 로즈마리, 티트리, 레몬, 캐모마일, 블루베리향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물질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각회향을 이용한 항균 비누 조성물.
KR1020090093248A 2009-09-30 2009-09-30 팔각회향을 이용한 항균 비누 조성물 KR101041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3248A KR101041444B1 (ko) 2009-09-30 2009-09-30 팔각회향을 이용한 항균 비누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3248A KR101041444B1 (ko) 2009-09-30 2009-09-30 팔각회향을 이용한 항균 비누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5497A KR20110035497A (ko) 2011-04-06
KR101041444B1 true KR101041444B1 (ko) 2011-06-15

Family

ID=44043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3248A KR101041444B1 (ko) 2009-09-30 2009-09-30 팔각회향을 이용한 항균 비누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14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2005B1 (ko) * 2014-01-29 2015-06-26 인코스(주) 유자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방부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271258B1 (ko) * 2021-04-22 2021-06-30 케이더블유케어 주식회사 피부 저자극성 섬유유연제 조성물
KR102271257B1 (ko) * 2021-04-22 2021-06-30 케이더블유케어 주식회사 피부 저자극성 친환경 세제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6743A (ko) * 2000-08-26 2002-03-06 원인호 한약 영양비누의 제조
KR100789621B1 (ko) 2006-07-13 2007-12-2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스팀청소기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
KR20090055309A (ko) * 2007-11-28 2009-06-02 박오하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용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6743A (ko) * 2000-08-26 2002-03-06 원인호 한약 영양비누의 제조
KR100789621B1 (ko) 2006-07-13 2007-12-2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스팀청소기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
KR20090055309A (ko) * 2007-11-28 2009-06-02 박오하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용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5497A (ko) 201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60882A (ko) 샴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3113013A (ja) 植物性抗菌防腐剤
KR101983990B1 (ko) 천연 원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물티슈
CN104403843A (zh) 一种手工皂及制备方法
KR101209189B1 (ko) 항균 기능을 갖는 약초비누
KR102103021B1 (ko) 편백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아토피 및 항질염용 티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65832B1 (ko) 항균성 에센셜 오일
KR102366247B1 (ko) 물티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265147A (zh) 一种含天然植物精油的花露水及其制备方法
KR101041444B1 (ko) 팔각회향을 이용한 항균 비누 조성물
CN107952104A (zh) 一种防治经期感染的女性卫生用品及其制备方法
KR102133101B1 (ko) 백모화 및 쑥을 함유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KR101430706B1 (ko) 부추추출물을 이용한 고체형 항균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877409B1 (ko) 천연 약용식물 에센셜을 포함하는 여성청결제용 항진균, 살균 및 탈취 기능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1181208A (zh) 一种含天然抗菌素的漱口液及其制备方法
CN106138192B (zh) 抑菌抗炎中药组合物及该组合物制成的洗涤剂
CN104644535A (zh) 洗发沐浴粉
Wijayawardhana et al. Antimicrobial activity of a combination of three natural plant extracts and development of a herbal soap.
CN102860939B (zh) 健胸调理复方精油
CN104403844A (zh) 杀菌芳香型洗衣皂
KR20230081341A (ko) 한방추출물이 포함된 가는 모발 개선용 샴푸
KR20150006243A (ko) 피톤치드를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
KR20110029873A (ko) 제주 천연 감귤향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CN109260255A (zh) 一种木本复方防暑精油及其制备方法
CN102579930B (zh) 一种医疗抗菌洗护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