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1263B1 - Reticle inspection system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 Google Patents

Reticle inspection system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1263B1
KR101041263B1 KR1020080076841A KR20080076841A KR101041263B1 KR 101041263 B1 KR101041263 B1 KR 101041263B1 KR 1020080076841 A KR1020080076841 A KR 1020080076841A KR 20080076841 A KR20080076841 A KR 20080076841A KR 101041263 B1 KR101041263 B1 KR 101041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exposure
reticle
layout
ver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68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24616A (en
Inventor
히데키 치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지닷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지닷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지닷토
Publication of KR20090024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46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1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12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1/00Originals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masks, photo-masks, reticles; Mask blanks or pellicles therefor;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Preparation thereof
    • G03F1/68Preparation processes not covered by groups G03F1/20 - G03F1/50
    • G03F1/82Auxiliary processes, e.g. cleaning or inspecting
    • G03F1/84Inspec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eparing Plates And Mask In Photomechanical Process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티클(reticle)에 설치된 노광요소에 의한 노광결과를 미리 검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verify in advance the exposure result by the exposure element installed in the reticle (reticle).

또한, 본 발명의 CPU(7)는 기억부(8)의 데이터 파일 기억부(5)에 기억된 노광요소의 도형 데이터 및 좌표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노광요소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의 패널 레이아웃 요소를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의 복수의 패널 레이아웃 요소의 위치관계를 판별함으로써 상기 노광요소의 에러 여부를 검증한다. 표시부(1)는 패널기판 윈도우(9) 또는 레티클 윈도우(10) 내에 상기 검증결과를 표시한다.In addition, the CPU 7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the figure data and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exposure element stored in the data file storage 5 of the storage unit 8, and the panel layout element on the display panel corresponding to the exposure element. And verify the error of the exposure element by determin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plurality of panel layout elements on the display panel. The display unit 1 displays the verification result in the panel substrate window 9 or the reticle window 10.

Description

레티클 검증 시스템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Reticle inspection system and program recording medium}Reticle inspection system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소망하는 노광을 행할 수 있도록 레티클 데이터가 작성되어 있는지 여부의 검증을 행하는 레티클 검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제작용 레티클 데이터의 검증을 행하는 레티클 검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icle verification system for verifying whether or not reticle data is created so that desired exposure can be performed,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ticle verification system for verifying reticle data for flat panel display production.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FPD) 제작용 레티클 데이터는,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 상에 쇼트 프레임을 규정하여 노광요소(이하, 반복요소라고도 칭한다.)로서 잘라내어 제작되고, 상기 노광요소의 도형 데이터 및 패널기판 상의 노광위치를 표시하는 좌표정보를 포함하고 있다.Reticle data for producing a flat panel display (FPD) is formed by defining a short frame on the panel layout data, cut out as an exposure element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 repeating element), and the figure data of the exposure element and the exposure position on the panel substrate. It contains coordinate information indicating.

상기 레티클 데이터를 사용하여 FPD의 패널기판 상에 전사하는 경우, 상기 레티클 데이터의 노광요소를 배치하는 좌표정보를 사용하여, 노광장치에서 FPD의 패널기판 상에 전사된다.When the reticle data is transferred onto the panel substrate of the FPD, it is transferred onto the panel substrate of the FPD by the exposure apparatus by using coordinate information for arranging the exposure elements of the reticle data.

이 때, 레티클에 설치된 노광요소의 도형 데이터 또는 상기 좌표정보에 오류가 있으면, 레티클을 쓸모없게 만들어 버릴 뿐 아니라 패널기판도 쓸모없게 만들어 버리게 된다. 특히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 레티클 데이터 작성시에는, 사람 손에 의한 노광영역의 분할이 필요한 경우가 많아, 실수가 발생하기 쉬운 상황에 있다.At this time, if there is an error in the figure data or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exposure element installed in the reticle, the reticle is rendered useless and the panel substrate is made useless. In particular, when creating reticle data for flat panel display, division of the exposure area by human hands is often necessary, and a situation is likely to cause mistakes.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레티클 도형 데이터와 좌표정보로부터 노광장치를 시뮬레이션하여 검증하는 방법이 고려된다. 여기서, 노광장치와 시뮬레이션의 관계에서는, 예를 들면 노광장치의 비용 최적화를 도모하는 기술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노광장치에 있어서 시간과 수고를 저감하여 계측조건을 최적화하는, 계측조건의 최적화 방법을 제공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계측조건의 최적화를 행하도록 한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 것에 불과하다.In order to prevent this, a method of simulating and verifying an exposure apparatus from reticle figure data and coordinate information is considered. Her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 exposure apparatus and a simulation, there exists a technique which aims at cost optimization of an exposure apparatus, for example. Patent Literature 1 describes a technique for providing a method for optimizing measurement conditions by optimizing measurement conditions by reducing time and effort in an exposure apparatus using a simulator. However, Patent Document 1 merely discloses an invention in which the measurement conditions are optimized.

일반적으로,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 패널기판의 크기는, 노광장치의 노광범위를 대폭 초과하는 크기이다. 따라서, 노광장치에 장착하는 레티클은 패널기판보다 작고, 레티클 상에는 패널기판 상의 일부분을 잘라낸 요소를 노광요소로서 배설한다.In general, the size of the panel substrate for flat panel display is a size that greatly exceeds the exposure range of the exposure apparatus. Therefore, the reticle to be mounted on the exposure apparatus is smaller than the panel substrate, and on the reticle, an element obtained by cutting off a portion of the panel substrate is disposed as the exposure element.

레티클을 사용하여 노광장치에 의해 노광하는 경우, 레티클 상의 노광요소를 반복배치하여 노광함으로써,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 패널기판을 제조한다.When exposing with an exposure apparatus using a reticle, a panel substrate for flat panel displays is manufactured by repeatedly placing and exposing the exposure elements on the reticle.

이와 같이, 레티클을 작성할 때에는, 디스플레이 패널 영역의 분할과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데이터의 절단을 행하여 레티클의 노광요소 등을 제작하는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작할 때에는, 이것을 반복노광함으로써 패널기판을 제작하기 때문에, 레이아웃 데이터의 절단과 노광요소의 반복배치시 실수가 발생하기 쉽다.In this way, when the reticle is created, the display panel area is divided and the display layout data is cut to produce the exposure elements of the reticle, and when the display panel is manufactured, the panel substrate is produced by repeating exposure to the layout data. It is easy to cause mistakes during cutting and repeated placement of exposure elements.

또한, 레이아웃 데이터의 절단을 수반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도 디스플레이 패널 영역의 분할은 필요하기 때문에, 노광요소의 반복배치의 지정은 반드시 실시 해야만 한다. 이 때 반복배치의 지시에 대한 실수가 발생하는 경우가 매우 많다. 따라서, 제조전 공정에 있어서 노광결과를 미리 검증하는 어떠한 검증수단이 요망되고 있다.In addition, since division of the display panel area is necessary even when the layout data is not cut, the repetitive arrangement of the exposure elements must be specified. At this time, mistakes in the instructions of the repetition are very common. Therefore, some verification means for verifying the exposure result in advance in the pre-manufacturing process is desired.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6-140204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6-140204

본 발명은, 레티클에 설치된 노광요소에 의한 노광결과를 미리 검증 가능한 레티클 검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ticle verification system capable of verifying an exposure result by an exposure element provided in a reticle in advance.

또한, 본 발명은 노광장치의 동작을 시뮬레이션함으로써, 노광요소에 의한 노광결과를 미리 검증 가능한 레티클 검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ticle verification system capable of verifying an exposure result by an exposure element in advance by simulating the operation of the exposure apparatus.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에 실행시킴으로써, 상기 레티클 검증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적합한 레티클 검증용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Moreover, this invention makes it a subject to provide the program for reticle verification suitable for building the said reticle verification system by implementing on a computer.

본 발명에 의하면,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노광용 레티클에 포함되는 노광요소의 도형 데이터와, 그리드 격자점의 좌표에 의해서 표시되고, 디스플레이 패널 상의 상기 노광요소의 노광위치를 표시하는 좌표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노광요소의 도형 데이터 및 좌표정보를 토대로, 상기 노광요소에 대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의 레이아웃 도형요소를 생성하는 레이아웃 도형요소 생성수단과, 상기 레이아웃 도형요소 생성수단이 생성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의 복수의 레이아웃 도형요소의 위치관계를 토대로 상기 노광요소를 검증하는 검증수단과, 상기 검증수단이 검증한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해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티클 검증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emory means for storing figure data of an exposure element included in a flat panel display exposure reticle, coordinate information displayed by coordinates of grid lattice points and indicating an exposure position of the exposure element on a display panel; Layout figure element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 layout figure element on the display panel corresponding to the exposure element based on the figure data and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exposure element stored in the storage means; There is provided a reticle verification system comprising verification means for verifying the exposure element on the basis o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a plurality of layout figure elements on the display panel and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the result verified by the verification means. .

레이아웃 도형요소 생성수단은, 기억수단에 기억된 노광요소의 도형 데이터 및 좌표정보를 토대로, 상기 노광요소에 대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의 레이아웃 도형요소를 생성한다. 검출수단은, 상기 레이아웃 도형요소 생성수단이 생성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의 복수의 레이아웃 도형요소의 위치관계를 토대로 상기 노광요소를 검증한다. 표시수단은 상기 검증수단이 검증한 결과를 표시한다.The layout figure element generating means generates a layout figure element on the display panel corresponding to the exposure element based on the figure data and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exposure element stored in the storage means. The detecting means verifies the exposure element based o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plurality of layout figure elements on the display panel generated by the layout figure element generating means. The display means displays the result verified by the verification means.

여기서, 상기 표시수단은 적어도 검증결과를 표시하는 윈도우를 가지고, 상기 검증수단은, 상기 복수의 레이아웃 도형요소에 대응하는 그리드 격자끼리의 연산처리를 행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노광요소를 검증하고,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검증수단에 의한 검증결과 얻어지는 도형을 상기 윈도우 상에 표시하도록 구성해도 된다.Here, the display means has at least a window for displaying a verification result, and the verification means verifies the plurality of exposure elements by performing arithmetic processing of grid grid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layout figure elements, and displays the display. The means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on the window a figure obtained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by the verification means.

또한, 상기 레티클의 데이터는 트랜지스터 도형을 정의하는 중간계층 또는 트랜지스터 도형을 정의한 외부 라이브러리를 중간계층으로서 갖는 동시에, 상기 트랜지스터 도형을 정의하는 중간계층 또는 외부 라이브러리를 포인터 구조에 의해 필요에 따라서 전개하는 테이블 구조를 갖는 전개수단을 구비해서 되도록 구성해도 된다.Further, the data of the reticle has a middle layer defining a transistor figure or an external library defining a transistor figure as an intermediate layer, and a table which expands the intermediate layer or external library defining the transistor figure as necessary by a pointer structure. You may comprise so that the developing means which has a structure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검증수단은, 2개의 레이아웃 도형요소의 논리 OR처리를 행한 후, 상기 어느 하나의 레이아웃 도형요소와 상기 논리 OR의 결과 얻어지는 도형요소 중의 당해 레이아웃 도형요소에 대응하는 영역의 논리 XOR처리 또는 차분(差分)처리를 행함으로써, 상기 2개의 레이아웃 도형요소의 차이를 추출하는 차이 추출수단을 갖도록 구성해도 된다.In addition, the verification means performs a logical OR processing of the two layout figure elements, and then performs a logic XOR process or difference of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layout figure element among any one of the layout figure elements and the figure elements obtained as a result of the logical OR. The processing may be performed so as to have difference extraction means for extrac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layout figure elements.

또한 상기 검증수단은, 2개의 레이아웃 도형요소의 논리 AND처리를 행함으로 써 상기 2개의 레이아웃 도형요소의 오버랩량을 검출하는 오버랩량 검출수단을 구비해서 되도록 구성해도 된다.The verification means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overlap amount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overlap amount of the two layout figure elements by performing a logical AND process of the two layout figure elements.

또한 상기 검증수단은, 상기 오버랩량 검출수단이 검출한 오버랩량이, 지시된 오프셋값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검증하는 오프셋 검증수단을 구비해서 되도록 구성해도 된다.The verification means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offset verification means for verifying whether or not the overlap amount detected by the overlap amount detection means satisfies the indicated offset value.

또한 상기 검증수단은, 상기 오버랩량 검출수단이 상기 2개의 레이아웃 도형요소의 오버랩량이 없는 것을 검출한 후, 논리 OR처리를 행하여 2개의 레이아웃 도형요소가 닫힌 하나의 도형으로 형성되는 결과가 확인된 경우에는, 상기 2개의 레이아웃 도형요소는 연속된 도형요소라고 판별하는 요소 판별수단을 구비해서 되도록 구성해도 된다.Further, the verification means detects that the overlap amount detection means does not have the overlap amount of the two layout figure elements, and then performs a logical OR process to confirm that a result of forming two layout figure elements as one closed figure is confirmed. The two layout figure elements may be provided so as to include element discriminating means for discriminating them as continuous figure elements.

또한, 상기 각 노광요소에는 도형요소 및 상기 도형요소를 둘러싸는 소정 폭의 블라인드 프레임이 포함되고, 상기 검증수단은, 상기 블라인드 프레임 내연(內緣)에 대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의 그리드 격자에 대해 소정 오프셋값의 범위 내에, 상기 도형요소의 레이아웃 도형요소의 종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증하는 종점 검증수단을 구비해서 되도록 구성해도 된다.In addition, each of the exposure elements includes a figure element and a blind fram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surrounding the figure element, and the verification means is predetermined for a grid grating on the display panel corresponding to the blind frame internal combustion. In the range of an offset value, you may comprise so that end point verification means which verifies whether the end point of the layout figure element of the said figure element exists.

또한, 에러의 검증결과가 포함되는 에러 레이어를 지정하는 지정수단을 가지고, 상기 표시수단이 상기 검증결과를 표시하는 윈도우 상에 에러 도형정보를 표시하는 경우, 상기 지정수단이 지정한 에러 레이어의 에러 도형정보를 레이어 단위로 상기 윈도우 상에 표시하도록 구성해도 된다.Also, when the display means displays error figure information on a window displaying the verification result, and has designation means for designating an error layer including the verification result of the error, the error figure of the error layer designated by the designation means.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window in units of layers.

또한,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검증결과를 표시하는 윈도우와는 상이한 다이얼 로그 박스를 가지고, 상기 지정수단은 상기 다이얼로그 박스 상에서 상기 에러 레이어를 지정하며,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다이얼로그 박스 상에서 에러 개수를 표시하는 동시에, 상기 지정수단에 의한 에러 레이어의 지정에 응답하여 당해 레이어의 에러 도형정보를 상기 윈도우 상에 표시하도록 구성해도 된다.The display means has a dialog box different from the window displaying the verification result, the designation means designates the error layer on the dialog box, and the display means displays the number of errors on the dialog box. At the same time, in response to the designation of the error layer by the designation means, the error figure information of the layer may be displayed on the window.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컴퓨터를, 상기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레티클 검증 시스템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제공된다.Moreover, according to this invention, the program for making a computer function as a reticle verification system in any one of the above is provided.

컴퓨터는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레티클 검증 시스템으로서 기능한다.The computer functions as the reticle ve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 by executing the program.

본 발명의 레티클 데이터 노광 검증 시스템은, 레티클에 설치된 노광요소에 의한 노광결과를 미리 검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 reticle data exposure verif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verify the exposure result by the exposure element provided in the reticle in advance.

또한, 노광장치의 동작을 시뮬레이션함으로써, 노광요소에 의한 노광결과를 미리 검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by simulating the operation of the exposure apparatus, it is possible to verify the exposure result by the exposure element in advance.

또한, 본 발명의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실행됨으로써 상기 레티클 데이터 노광 검증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the pro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computer to execute the reticle data exposure verification system.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레티클 검증 시스템 및 레티클 검증용 프로그램에 대해서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reticle verification system and the reticle verification program of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are demonstrated.

또한, 상세하게는 후술하겠지만,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레티클 검증 시스템은, 1대 또는 복수대의 컴퓨터 및 상기 컴퓨터가 실행됨으로써 레티클 검증 시스템 을 구축하는 레티클 검증용 프로그램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컴퓨터는 레티클 데이터 작성용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레티클 데이터를 작성하기 위한 레티클 데이터 작성 시스템으로서도 기능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In addition, although it mentions later in detail, the reticle verification system of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comprised by the reticle verification program which builds a reticle verification system by running one or more computers and the said computer. The computer also functions as a reticle data creation system for creating reticle data by executing a reticle data creation program. In addition, in each figure,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same par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FPD)용 패널기판과 레티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a)는 평면도, 도 1(b)는 측면도이다.1: is a figure which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nel substrate for flat panel displays (FPD), and a reticle i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FIG. 1 (a) is a top view, and FIG. 1 (b) is a side view.

도 1에 있어서, 101은 패널기판, 102는 특성이 보증된 노광장치(미도시)의 노광영역, 103은 노광장치의 노광 가능 영역, 104는 광원계 기구, 105는 차광계 기구, 106은 레티클, 107은 노광면이다. 여기서 패널기판(101)의 재질은 유리나 플라스틱 필름 등이 사용 가능하다.In Fig. 1, reference numeral 101 denotes a panel substrate, 102 an exposure region of an exposure apparatus (not shown) with guaranteed characteristics, 103 an exposure region of an exposure apparatus, 104 a light source mechanism, 105 a light shielding mechanism, and 106 a reticle. 107 denotes an exposure surface. The panel substrate 101 may be made of glass, plastic film, or the like.

최근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이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보이는 바와 같이 대형화되어 노광장치가 패널기판(101)을 일괄하여 노광할 수 없다(도 1(a)의 평면도 참조). 따라서 어떠한 형태로 노광영역을 분할하고, 반복노광을 행할 필요성이 생긴다. 노광장치와 패널기판(101)의 위치관계는, 광원으로부터 보아 광원계 기구(104), 차광계 기구(105), 레티클(106), 노광면(107), 패널기판(101)으로 되고, 도 1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여기에 렌즈계 기구가 추가된다(도 1(b)의 측면도 참조).Recent flat panel displays are enlarged as shown in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r a plasma display panel, so that the exposure apparatus cannot collectively expose the panel substrate 101 (see the plan view in Fig. 1 (a)).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ivide the exposure area into some form and perform repeated exposure.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exposure apparatus and the panel substrate 101 is a light source system mechanism 104, a light shield system mechanism 105, a reticle 106, an exposure surface 107, and a panel substrate 101 when viewed from a light source. Although not described in 1, a lens system mechanism is added thereto (see also the side view of FIG. 1 (b)).

또한, 차광계 기구(105)란,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기계적으로 차폐하기 위한 직사각형의 기계적인 기구이다.In addition, the light shielding system mechanism 105 is a rectangular mechanical mechanism for mechanically shielding light from a light sourc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패널기판 상의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와 레티클 상의 레티클 레이아웃 데이터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panel layout data on a panel substrate and reticle layout data on a reticl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서, 액정 패널(201)은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211)로서 1종류의 대형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 A1이 패널기판(210) 상에 하나 존재하는 예이다. 액정 패널(201)의 경우에는,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 A1을 분할하여, 반복구조를 갖는 데이터군을 쇼트 프레임(213)에 대응시켜 추출하고, 이것을 레티클(205) 상에 배치하여 레티클 레이아웃 데이터(206)로 한다.In FIG. 2, the liquid crystal panel 201 is an example in which one large panel layout data A1 is present on the panel substrate 210 as the panel layout data 211. In the cas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201, the panel layout data A1 is divided, and a data group having a repeating structure is extrac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short frame 213, and the reticle layout data 206 is placed on the reticle 205. Shall be.

통상 이 경우에는,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 A1의 절단을 수반하는 노광영역의 분할이 행해지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의 각 분할된 요소(패널 레이아웃 요소)에 대응하는 레티클 레이아웃 데이터의 각 요소를, 노광요소 또는 반복요소라고 칭한다. 레티클 레이아웃 데이터는 복수의 노광요소에 의해서 구성되게 된다. 또한, 212는 특성이 보증된 노광영역이다.Usually, in this case, division of the exposure area with cutting of the panel layout data A1 is performed. In this embodiment, each element of the reticle layout data corresponding to each divided element (panel layout element) of panel layout data is called an exposure element or a repeating element. The reticle layout data is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exposure elements. 212 is an exposure area whose properties are guaranteed.

액정 패널(202)은,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로서 중형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 A2 와 A3가 존재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도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 A2와 A3를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의 절단을 수반하는 노광영역 분할을 행하고, 반복구조를 갖는 데이터군을 쇼트 프레임(213)에 대응시켜 작성하는 것이 통례이다.The liquid crystal panel 202 is a case where the medium panel layout data A2 and A3 exist as panel layout data. Also in this case, it is common to create the panel layout data A2 and A3 by dividing the exposure area with the cutting of the panel layout data, and to create a data group having a repeating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short frame 213.

액정 패널(203)은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로서, 소형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 A4 와 A5가 패널기판 상에 복수 배열된 경우이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복수의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 A4와 복수의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 A5를 각각 쇼트 프레임(213)에 대응시켜 생성하고, 이 생성된 레티클 레이아웃 데이터(206)를 레티클(205) 상에 배치하여 노광의 횟수를 줄이는 조작이 필요로 된다. 따라서, 통상 이 경우에는 노광영역의 분할은 필요하지만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의 절단은 수반하지 않는다.The liquid crystal panel 203 is a case of panel layout data in which a plurality of small panel layout data A4 and A5 are arranged on a panel substrate. In such a case, a plurality of panel layout data A4 and a plurality of panel layout data A5 are genera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short frame 213, respectively, and the generated reticle layout data 206 is disposed on the reticle 205 to perform exposure. The operation to reduce the number of times is required. Therefore, in this case, division of the exposure area is usually required, but no cutting of the panel layout data is involved.

액정 패널(204)은, 중형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 A2와 소형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 A4, A5의 3종류의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가 패널기판 상에 존재하는 경우이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중형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 A2는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의 절단을 수반하는 노광영역 분할을 행하여 쇼트 프레임(213)에 대응시켜 생성하고, 소형 레이아웃 데이터 A4, A5는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의 절단을 수반하지 않는 노광영역 분할을 행하고 쇼트 프레임(213)에 대응시켜 생성하여, 레티클 레이아웃 데이터(206)로 한다.The liquid crystal panel 204 is a case where three types of panel layout data of medium panel layout data A2 and small panel layout data A4 and A5 exist on a panel substrate. In such a case, the medium-sized panel layout data A2 is genera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short frame 213 by dividing the exposure area accompanying the cutting of the panel layout data, and the small layout data A4 and A5 do not involve cutting the panel layout data. An exposure area division is performed, which is genera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short frame 213 to be the reticle layout data 206.

이와 같이, 레티클을 제작하는 경우, 패널기판(210)의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211) 등으로부터 반복구조를 갖는 데이터군을 추출하고, 이것을 레티클(205) 상에 복수의 쇼트 프레임(213)으로서 배치하여, 레티클 레이아웃 데이터를 작성한다. 이 때, 공통성이 높고, 보다 큰 쇼트 프레임 영역을 추출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the reticle, a data group having a repeating structure is extracted from the panel layout data 211 of the panel substrate 210 and arranged as a plurality of short frames 213 on the reticle 205. Create the reticle layout data. At this time, the short frame area having a high commonality is extracted.

어떤 경우에도 노광장치 시뮬레이션을 행함으로써 오(誤)데이터가 없는 것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것은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의 절단을 수반하지 않는 경우에도 반복배치를 행하는 노광영역의 분할은 반드시 필요하고, 이 반복배치를 지정할 때 실수가 발생하기 쉽기 때문이다. 또한, 레티클 데이터에 있어서의 쇼트 프레임 데이터는 블라인드 프레임이 설정된 도형요소가 되어, 이것을 노광요소, 또는 반복요소라고 칭한다.In any case, it is important to confirm that there is no erroneous data by performing exposure apparatus simulation. This is because the division of the exposure area for repeating arrangements is necessary even when the panel layout data is not cut, and mistakes are likely to occur when specifying the repeating arrangements. The short frame data in the reticle data is a figure element in which a blind frame is set, which is called an exposure element or a repeating element.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레티클 검증 시스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 에, 먼저 레티클 데이터의 작성 순서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설명한다.Before describing the reticle ve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e procedure for creating the reticle data will first be outlined.

도 3 및 도 4는,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로부터 레티클 데이터를 작성할 때의 일반적인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3은 레티클 검증 시스템(레티클을 제작하는 시점에서는 레티클 제작 시스템으로서 기능시킨다.)의 표시부(1)의 표시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레티클 제작 시스템을 구성하는 CPU(미도시)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3 and 4 are views showing a general processing procedure when creating reticle data from panel layout data, and FIG. 3 shows a display unit 1 of a reticle verification system (functioning as a reticle production system at the time of producing a reticle). Fig. 4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ing procedure of a CPU (not shown) constituting the reticle production system.

도 3(a)에는 패널기판(210) 상의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211)를 나타내고, 도 3(b)에는 패널기판(210) 상으로의 쇼트 프레임(213)의 설정과, 레티클(205) 상으로의 쇼트 프레임(213)의 배치를 나타내고, 도 3(c)에는 패널기판(210) 상의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211)의 절단(예를 들면 쇼트 프레임(213)을 따른 절단)을 행하는 것에 의한 추출, 보정 패턴(미도시) 생성 및 블라인드 프레임(미도시) 생성을 행할 때의 처리를 나타내고 있다.FIG. 3A shows panel layout data 211 on the panel substrate 210. FIG. 3B shows setting of the short frame 213 onto the panel substrate 210 and onto the reticle 205. FIG. Fig. 3 (c) shows the arrangement of the short frame 213, and the extraction by cutting the panel layout data 211 on the panel substrate 210 (for example, cutting along the short frame 213), Processing at the time of generating a correction pattern (not shown) and generating a blind frame (not shown) is shown.

또한 도 3(d)에는 레티클 설계 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되는 레티클의 좌표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좌표정보에는, 노광요소 데이터인 각 쇼트 프레임에 대응하는 레티클 레이아웃 데이터(본 실시형태에서는 노광요소, 또는 반복요소라고도 칭한다.)의 폭과 높이의 정보, 반복요소를 반복하여 배치하는 위치의 정보(반복배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3 (d) shows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reticle output from the reticle design system. The coordinate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width and height of the reticle layout data (also referred to as an exposure element or a repetition element in this embodiment) corresponding to each shot frame as exposure element data, and information on a position where the repetition element is repeatedly arranged. (Repeat batch information) is included.

도 3 및 도 4를 사용하여 레티클 데이터의 작성처리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레티클 데이터를 작성하는 경우, 먼저 CPU는,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211)를 불러오고(스텝 S401), 패널기판(210) 상에서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211)에 대해 복수의 쇼트 프레임(213)을 설정하고, 이것을 레티클(205) 상에 쇼트 프레임(213)을 배치하여 레티클 레이아웃 데이터(206)를 작성한다(스텝 S402).3 and 4, the reticle data creation process will be described schematically. When creating the reticle data, the CPU first loads the panel layout data 211 (step S401) and the panel substrate 210. On the panel layout data 211, a plurality of shot frames 213 are set, and the shot frames 213 are arranged on the reticle 205 to create the reticle layout data 206 (step S402).

다음으로, 쇼트 프레임(213)을 토대로 노광영역의 분할을 행한다. 이 때, 통상 지정된 쇼트 프레임(213)의 바로 아래에는 배선 데이터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것을 절단해야만 한다. 여기서 데이터 절단부분에, 상기 절단부분보다도 폭이 넓은 패턴(보정 패턴)을 생성시키는 경우(스텝 S403, S404)와 발생시키지 않는 경우(스텝 S405)가 있다.Next, the exposure area is divided based on the shot frame 213. At this time, since wiring data exists immediately below the designated short frame 213, this should be cut off. Here, there are cases where a pattern (correction pattern) having a wider width than the cut portion is generated in the data cut portion (steps S403 and S404) and not generated (step S405).

보정 패턴을 발생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쇼트 프레임(213)을 오버랩시켜서 정의한 후, 처리 스텝 S406으로 이행한다(스텝 S405).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노광할 때, 노광 데이터 그 자체를 다중 노광시킴으로써, 미소(微小)한 어긋남에 의한 데이터의 오(誤)절단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correction pattern is not generated, the short frame 213 is overlapped and defined, and then the process proceeds to processing step S406 (step S405). By configuring in this way, when exposing, multiple exposure of the exposure data itself can prevent the erroneous cutting of the data by the slight misalignment.

보정 패턴을 생성시키는 경우에는 보정 패턴 생성 후, 처리 스텝 S406으로 이행한다(스텝 S403, S404). 보정 패턴을 생성한 경우, 보정 패턴 그 자체가 다중 노광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결과적으로 미소한 어긋남에 의한 오절단이 방지된다.When generating the correction pattern, the process proceeds to processing step S406 after generating the correction pattern (steps S403 and S404). When the correction pattern is generated, it is common for the correction pattern itself to be subjected to multiple exposures, and as a result, miscution due to minute misalignment is prevented.

처리 스텝 S402에 있어서, 데이터의 절단을 수반하지 않는 노광영역의 분할의 경우에는, 바로 노광영역을 둘러싸는 소정 폭의 프레임(블라인드 프레임)의 생성처리(스텝 S406)로 옮겨진다.In the process step S402, in the case of division | segmentation of the exposure area which does not involve cutting | disconnection of data, it transfers to the generation process (step S406) of the frame (blind frame) of the predetermined width immediately surrounding an exposure area.

처리 스텝 S406의 블라인드 프레임 생성처리에서는, 지정된 폭으로 블라인드 프레임을 생성한다. 보정 패턴은 배선 패턴보다도 폭 넓은 패턴으로 구성되고, 또한, 블라인드 프레임은 그 내연(內緣)이 상기 보정 패턴의 외연(外緣)에 대응하도 록 구성된다.In the blind frame generation process of processing step S406, a blind frame is generated with a specified width. The correction pattern is composed of a pattern wider than the wiring pattern, and the blind fram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inner edge thereof corresponds to the outer edge of the correction pattern.

이것에 의해, 노광영역의 데이터와 블라인드 프레임에 의해서 구성되는 노광요소(반복요소)가 제작된다. 또한, 상기 노광요소에 대응된 좌표정보가 작성된다.As a result, an exposure element (repeating element) composed of data of the exposure area and the blind frame is produced. Further, coordina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xposure element is created.

마지막으로, 레티클 레이아웃 데이터 및 상기 레이아웃 데이터에 대응된 좌표정보를 출력하여 처리가 종료된다(스텝 S407). 상기 레이아웃 데이터는 레티클 레이아웃 데이터, 및 쇼트 프레임(213)의 데이터가 추가된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이다.Finally, the process is terminated by outputting the reticle layout data and coordina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ayout data (step S407). The layout data is panel layout data to which reticle layout data and data of the short frame 213 are added.

여기서, 레티클 레이아웃 데이터란, 노광요소의 도형을 정의하는 정보로서, 도형 데이터로서 직사각형 도형, 일필 도형, 중심선에 폭이 정의된 도형, 및 이들 도형 데이터를 구성하는 중간 모듈로 구성되는 데이터 파일이다.Here, the reticle layout data is information defining the figure of the exposure element, and is a data file composed of rectangular figures, pencil figures, figures whose widths are defined in the center line, and intermediate modules constituting the figure data as figure data.

좌표정보란, 전술한 바와 같이, 레티클 레이아웃 데이터에 포함되는 노광요소의 노광위치를 정의하는 정보로서, 노광요소의 명칭과 높이와 폭과 반복배치 정보(반복횟수와 배치좌표의 정보)가 기술되어 있는 텍스트 파일이다.As described above, the coordinate information is information defining the exposure position of the exposure element included in the reticle layout data. The name, height, width, and repetitive arrangement information (repetition frequency and arrangement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exposure element are described. Text file.

또한, 레티클 데이터란, 상기 레티클 레이아웃 데이터 및 좌표정보에 의해서 구성되는 정보를 말한다.In addition, reticle data means the information comprised by the said reticle layout data and coordinate information.

도 5는 패널기판에 형성되는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최상위 모듈을 탑 모듈(511)이라 칭하고, 이것이 1개 존재한다. 다른 모듈은 모두 이 탑 모듈(511)에 예속된다. 이것이 레이아웃 데이터 하위 모듈(512~515)로서, 이것은 계층화되어 있어도 된다. 모듈이 갖는 레이아웃 데이터란, 예를 들면 액정 패널의 경우에는, 박막 트랜지스터나 액정 드라이버부의 각 트랜지스터의 배 치 데이터(516), 배선 데이터(517), 스루홀 배치 데이터(518)가 있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panel layout data formed on a panel substrate. The uppermost module is called the top module 511, and there is one of them. All other modules are bound to this top module 511. This is the layout data submodule 512 to 515, which may be layered. In the case of a liquid crystal panel,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liquid crystal panel, the module includes layout data 516, wiring data 517, and through hole arrangement data 518 of each transistor of the thin film transistor and the liquid crystal driver.

이들의 트랜지스터, 배선, 스루홀은 명칭(배치 데이터는 라이브러리명, 배선 데이터는 배선 타입명, 스루홀 데이터는 스루홀명)을 가지고 있고, 그 내용은 라이브러리 파일(배치 모듈 라이브러리, 배선 타입 라이브러리, 스루홀 라이브러리)(519)에 격납(格納)되어 있어, 라이브러리와는 명칭 일치로 확인되게 된다.These transistors, wirings, and through holes have names (batch data is library name, wiring data is wiring type name, through hole data is through hole name), and the contents are library files (batch module library, wiring type library, through hole). A hall library 519, and the library is identified by name matching.

또한, 트랜지스터 데이터는 다용되기 때문에, 라이브러리 형식으로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와는 독립적으로 관리되는 경우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ransistor data is used abundantly, the library format may be managed independently of the panel layout data.

도 6은 레티클 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본적으로는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와 동일한 구조이다. 탑 모듈(521)은 마찬가지로 1개 존재한다. 탑 모듈(521)의 아래에는 복수의 반복요소(522, 523)가 하위 모듈로서 존재하고, 이것이 레티클 데이터의 기본단위가 된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reticle data. It is basically the same structure as the panel layout data. There is one top module 521 as well. Under the top module 521, a plurality of repeating elements 522 and 523 exist as lower modules, which become a basic unit of reticle data.

노광요소인 반복요소를 구성하는 데이터로서는, 먼저 노광 대상 데이터로서 블라인드 프레임 데이터(524), 보정 패턴 데이터(525), 절단된 데이터 및 절단 대상이 되지 않은 데이터(526), 쇼트 프레임 데이터(527)가 있다. 그 밖에, 반복요소의 폭과 높이 데이터(528), 반복요소 배치 데이터(529), 절단 후의 쇼트 프레임 내 레이아웃 하위 모듈 데이터(530), 배치 데이터(535), 스루홀 데이터(536)가 있다.As the data constituting the repetitive element as an exposure element, blind frame data 524, correction pattern data 525, cut data and non-cut data 526, and short frame data 527 as exposure object data. There is. In addition, there are the width and height data 528 of the repeating elements, the repeating element arrangement data 529, the layout submodule data 530 in the short frame after cutting, the arrangement data 535, and the through hole data 536.

모듈이 갖는 레이아웃 데이터란,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액정 패널의 경우에는, 박막 트랜지스터나 액정 드라이버부의 각 트랜지스터의 배치 데이터(531), 배선 데이터(532), 스루홀 데이터(533)가 있다. 이들의 트랜지스터 등의 배치 데이터(531), 배선 데이터(532), 스루홀 데이터(533)는 명칭을 가지고, 그 내용은 라이브러리 파일(배치 모듈 라이브러리, 배선 타입 라이브러리, 스루홀 라이브러리, 얼라이먼트 마크 라이브러리)(534)에 격납되어 있어, 라이브러리와는 명칭 일치로 확인되게 된다.The layout data that the module has is similar to the panel layout data.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liquid crystal panel, the layout data 531, the wiring data 532, and the through hole data 533 of the thin film transistors and the respective transistors of the liquid crystal driver unit are included. have. The layout data 531, wiring data 532, and through hole data 533 of these transistors have names, and the contents thereof are library files (batch module library, wiring type library, through hole library, alignment mark library). It is stored in 534, and it is confirmed by name matching with the library.

패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모두 라이브러리 파일에서 명칭의 일치 여부로 확정시키는 데이터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노광시에는 이제는 사용하지 않지만 쇼트 프레임 데이터도 보유한다.As in the case of the panel, all have a data structure which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names match in the library file. In addition, although not used at the time of exposure, it also retains short frame data.

또한, 트랜지스터 데이터는 다용되기 때문에 라이브러리 형식으로 레티클 데이터와는 독립적으로 관리되는 경우도 있다.In addition, since transistor data is versatile, the library may be managed independently of the reticle data.

도 7은, 레티클 레이아웃 데이터의 물리층, 각 데이터 클래스 및 층 코드의 예를 메탈 1층과 2층인 경우에 있어서 나타내는 테이블이다.FIG. 7 is a table showing examples of the physical layer, each data class, and layer code of the reticle layout data in the case of the metal first and second layers.

예를 들면 메탈 1층(알루미늄 제1층)의 경우, 쇼트 프레임 데이터는 층 코드(101), 블라인드 프레임 데이터는 층 코드(102), 패턴 데이터는 층 코드(104), 보정 패턴은 층 코드(105)라고 하면, 메탈 2층(알루미늄 제2층)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규정되고, 각 층 코드를 독립시켜, 독립적으로 처리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들의 층 코드는 각 반복요소에 있어서 공통으로 사용된다. 즉, 물리층과 데이터 클래스가 동일하면, 각 반복요소간에 있어서 층 코드는 공통이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first metal layer (aluminum first layer), the short frame data is the layer code 101, the blind frame data is the layer code 102, the pattern data is the layer code 104, and the correction pattern is the layer code ( 105, the two metal layers (aluminum second layer) are similarly defined, and each layer cord is made independent and can be processed independently. These layer codes are commonly used for each repeating element. In other words, if the physical layer and the data class are the same, the layer codes are common among the repeating elements.

도 6 및 도 7에서 나타낸 레티클의 데이터는 최종적으로 파일 출력되지만, 그 내용은 직사각형 도형, 일필 도형, 중심선에 폭이 정의된 도형, 및 이들 도형 데이터를 합친 모듈을 중간계층 모듈 또는 라이브러리 모듈로서 갖는 모듈로 구성된다. 중간계층 모듈 또는 라이브러리 모듈로서 활용되는 것은 트랜지스터 모듈이 다.The data of the reticle shown in FIGS. 6 and 7 is finally filed, but the contents thereof include a rectangular figure, a pen figure, a figure whose width is defined in a center line, and a module in which these figure data are combined as a middle layer module or a library module. It is composed of modules. It is a transistor module to be utilized as a middle layer module or a library module.

트랜지스터 모듈은 그 수가 많아, 전개하여 보유하면 데이터량이 방대해지기 때문에, 통상은 라이브러리 모듈로서 중간계층 정의된 형식으로 출력된다.Since the number of transistor modules is large and the amount of data becomes large when they are expanded and held, they are usually output in a middle layer defined format as a library module.

여기서, 도형 데이터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분야에 있어서의 사실상의 표준(de facto standard)으로서 이용되는 GDS 포맷에 대비시키면, 직사각형 도형은 렉탱글, 일필 도형은 바운더리, 중심선에 폭이 정의된 도형은 패스, 이들 도형 데이터를 합친 모듈은 셀이라고 칭해지는 것이다.Here, when the figure data is compared with the GDS format used as a de facto standard in the field related to the present embodiment, a rectangular figure is a rectangle, a pencil figure is a boundary, and a figure is defined with a width at the center line. Is a path, and the module which combined these figure data is called a cell.

도 8은, 레티클 제작 시스템이 좌표정보 출력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행하는 좌표정보 출력처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패널기판 및 레티클에 대한 반복요소의 수치표현과 배치규정을 나타내고 있다(얼라이먼트 마크를 포함한다).Fig. 8 is a diagram showing coordinate information output processing performed by a reticle production system by executing a coordinate information output program, which shows numerical expressions and arrangement rules of repeating elements for a panel substrate and a reticle (including alignment marks).

도 8에 있어서, 801은 패널기판, 802는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 803은 패널기판의 XY 중심좌표(본 예에서는, 4개의 쇼트 프레임 A의 중심좌표에 일치하고 있다.)(0,0), 804는 얼라이먼트 마크(그 좌표는 패널기판(801)의 중심좌표(0,0)를 기준으로 하는 좌표(X0, Y0)이다.)이다.In Fig. 8, reference numeral 801 denotes a panel substrate, 802 denotes panel layout data, and 803 denotes an XY center coordinate of the panel substrate (in this example, coincides with the center coordinates of the four short frames A.) (0,0), 804 Is an alignment mark (the coordinates are coordinates (X0, Y0) based on the center coordinates (0,0) of the panel substrate 801).

805, 808, 811은 레티클, 807은 특성이 보증된 노광영역이다. 또한, 806, 809, 810, 812, 813은 각각, 쇼트 프레임 A, B1, C1, B2, C2에 대응하는 반복요소이다.805, 808, and 811 are reticles and 807 are exposure areas with guaranteed properties. 806, 809, 810, 812, and 813 are repeating elements corresponding to the short frames A, B1, C1, B2, and C2, respectively.

도 8의 예에서는 1개의 반복요소(806)가 레티클(805)에 형성되고, 2개의 반복요소(809, 810)가 레티클(808)에 형성되며, 2개의 반복요소(812, 813)가 레티클(811)에 형성되어 있다.In the example of FIG. 8, one repeating element 806 is formed in the reticle 805, two repeating elements 809 and 810 are formed in the reticle 808, and two repeating elements 812 and 813 are formed in the reticle. 811 is formed.

블라인드 프레임까지 포함한 노광 데이터가 반복요소(806, 809, 810, 812, 813)로서 각각 레티클(805, 808, 811) 상에 작성되게 된다. 즉, 반복요소란, 블라인드 프레임, 절단된 데이터, 보정 패턴 및 절단 대상이 되지 않은 데이터로 되는 노광 데이터로 구성된다. 이것이 쇼트 정보의 기본이 된다.Exposure data including blind frames are created on the reticles 805, 808, and 811 as repeating elements 806, 809, 810, 812, and 813, respectively. In other words, the repeating element is composed of blind frame, cut data, correction pattern, and exposure data that is not cut data. This is the basis of the short information.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복이 없어도 반복요소라고 칭한다. 반복이 없는 경우의 반복수는 0이다. 도 8의 예에서는, 쇼트 프레임 A에 대응하는 반복요소(806)의 수는 2×2(=4)(반복횟수는 2×2-1)이고(이것에 의해, 반복요소 A의 집합인 반복집합(814)이 형성된다.), 쇼트 프레임 B1, C1, B2, C2에 대응하는 반복요소(809, 810, 812, 813)의 반복횟수는 0이다.In this embodiment, even if there is no repetition, it is called a repetition element. The number of repetitions when there is no repetition is zero. In the example of FIG. 8, the number of repeating elements 806 corresponding to the short frame A is 2x2 (= 4) (the number of repetitions is 2x2-1) (therefore, iteration which is a set of repeating elements A). A set 814 is formed.),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the repeating elements 809, 810, 812, and 813 corresponding to the short frames B1, C1, B2, and C2 is zero.

각 반복요소는 명칭을 갖는다. 각 반복요소는 각 반복요소 자체의 좌표 중심에 대해 폭(W)과 높이(H)가 부여된다. 각 반복요소는, 그 반복요소에 의해서 구성되는 반복집합의 중심좌표를 기준으로서 배치된다. 도면의 예에서는 패널기판(801)의 중심좌표(0,0)가 이것에 해당하고, 중심좌표(0,0)를 기준으로 하는 위치에 배치된다.Each repeating element has a name. Each repeating element is given a width W and a height H with respect to the coordinate center of each repeating element itself. Each repeating element is arranged based on the center coordinates of the repeating set constituted by the repeating element. In the example of the figure, the center coordinates (0,0) of the panel substrate 801 correspond to this, and are arrange |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center coordinates (0,0).

한편, 레티클의 레이아웃 데이터로서는, 각 반복요소는 그 중심위치가 레티클의 중심좌표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좌표에 배치된다.On the other hand, as the layout data of the reticle, each repeating element is arranged at coordinates whose center position is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center coordinate of the reticle.

얼라이먼트 마크에 대해서는, 패널기판(801)에 대해서는 패널기판(801)의 중심좌표(0,0)를 기준으로 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레티클에 대해서는 레티클의 중심좌표를 기준으로 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얼라이먼트 마크에 대해서는 라이브러리 파일에 격납 정의되어 있다.For the alignment mark, the panel substrate 801 is disposed at a position relative to the center coordinates (0,0) of the panel substrate 801, and the reticle is disposed at a position relative to the center coordinate of the reticle. Alignment marks are stored and defined in the library file.

도 9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레티클 제작 시스템이 좌표정보 출력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행하는 좌표정보 출력처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좌표정보 출력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널기판(801) 상의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802)로부터 반복요소가 배치된 3개의 레티클(805, 808, 811)을 생성하는 경우의 출력결과를 나타내고 있다.9 is a diagram showing coordinate information output processing performed by the reticle production system by executing a coordinate information output program as in the above, and shows an example of coordinate information output. As shown in FIG. 9, the output result at the time of generating three reticles 805, 808, 811 in which repeating elements are arrange | positioned from the panel layout data 802 on the panel substrate 801 is shown.

여기서는, 노광 쇼트 정보로서, 패널기판 상에서의 쇼트 정보로서 반복요소의 명칭과 반복수와 폭과 높이와 배열지정된 배치위치와, 레티클 상에서의 쇼트 정보로서 동 반복요소 명칭과 폭과 높이와 배치위치가 좌표정보로서 유저에 제공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Here, as the exposure short information, the name of the repeating element, the number of repeating elements, the width and the height and the arrangement position designated as the short information on the panel substrate, and the repeating element name, the width, the height and the arrangement position as the short information on the reticle The example provided to a user as coordinate information is shown.

도 10~도 12는 노광영역의 분할처리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2개의 분할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11은 도 10의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1003)를 분할하여 절단할 때 보정 패턴(1004)을 생성하는 예, 도 12는 도 10의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1003)를 분할하여 절단할 때 보정 패턴을 생성하지 않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10 to 12 are diagrams illustrating a division processing method of an exposure area, and show two division forms, and FIG. 11 generates a correction pattern 1004 when dividing and cutting the panel layout data 1003 of FIG. 10. 12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correction pattern is not generated when the panel layout data 1003 of FIG. 10 is divided and cut.

즉, 보정 패턴(1004)을 생성하는 경우, 도 10 및 도 11에 있어서, 쇼트 프레임(1002) 바로 아래에서 데이터(예를 들면 배선 데이터)(1003)를 절단하고, 절단부위에 소정 길이 △분 만큼 신장시킨 보정 패턴(1004, 1004)을 연속적으로 생성한다. 이 때, 보정 패턴(1004)은 상기 절단부위보다도 소정 길이 안쪽 위치부터, 상기 절단부위보다도 소정 길이만큼 폭 넓게 구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2중 노광을 행하는 부위(1007)에 보정 패턴(1004)이 형성된다.That is, when generating the correction pattern 1004, in Figs. 10 and 11, the data (for example, wiring data) 1003 is cut directly under the short frame 1002, and a predetermined length? The correction patterns 1004 and 1004 extended by the length are generated successively. At this time, the correction pattern 1004 may be configured to be wider by a predetermined length than the cut portion from a position inside the predetermined length than the cut portion. In this way, the correction pattern 1004 is formed in the portion 1007 where the double exposure is performed.

보정 패턴(1004)의 바깥쪽 위치와 블라인드 프레임(1005)의 안쪽 위치가 소 정량의 오프셋을 가지고 소정량 겹치도록, 소정 폭의 블라인드 프레임(1005)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보정 패턴을 갖는 노광요소 데이터가 작성된다. 블라인드 프레임(1005)의 내연(1006)은 쇼트 프레임(1002)보다 소정 길이 △분 만큼 신장한 부위가 된다. 블라인드 프레임(1005)의 내연은 노광영역의 외연이 된다.A blind frame 1005 of a predetermined width is formed such that the outer position of the correction pattern 1004 and the inner position of the blind frame 1005 overlap a predetermined amount with a small amount of offset. In this manner, exposure element data having a correction pattern is created. The inner edge 1006 of the blind frame 1005 is a portion that extends by a predetermined length Δ minutes from the short frame 1002. The inner edge of the blind frame 1005 becomes the outer edge of the exposure area.

이와 같이, 보정 패턴(1004)을 생성시켜서 절단하는 경우, 데이터(1003)의 절단은 쇼트 프레임(1002) 바로 아래에서 행해지고, 보정 패턴(1004)은 인접하는 노광요소의 쌍방이 노광되는 2중 노광영역으로 되며, 인접하는 노광요소에 의해서 형성되는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는 보정 패턴(1004)에 의해서 접속이 확보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generating and cutting the correction pattern 1004, the cutting of the data 1003 is performed directly under the short frame 1002, and the correction pattern 1004 is a double exposure in which both of the adjacent exposure elements are exposed. The panel layout data, which is formed as an area and formed by adjacent exposure elements, is secured by the correction pattern 1004.

한편, 보정 패턴을 생성시키지 않고 절단하는 경우에는, 레이아웃 데이터를 오버랩시킨다. 오버랩시키는 경우,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쇼트 프레임(1002)보다 소정 길이 △분 만큼 신장시킨 부분에서 절단한다. 인접하는 쇼트 프레임(100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소정 길이 △분 만큼 신장시킨 부분에서 절단하여 레티클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2중 노광을 행하는 부위(1007)에 오버랩부(1008)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when cutting without generating a correction pattern, layout data is overlapped. When overlapping, as shown in FIG. 12, it cut | disconnects in the part extended by the predetermined length (DELTA) minutes from the shot frame 1002. As shown in FIG. Similarly, the adjacent short frames 1001 are also cut at portions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Δ minutes to form a reticle. In this manner, the overlap portion 1008 is formed in the portion 1007 where the double exposure is performed.

오버랩부(1008)의 바깥쪽 위치와 블라인드 프레임(1005)의 안쪽 위치가 소정량의 오프셋을 가져서 소정량 겹치도록, 소정 폭의 블라인드 프레임(1005)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오버랩부(1008)를 갖는 노광요소 데이터가 작성된다. 블라인드 프레임(1005)의 내연(1006)은 쇼트 프레임(1002)보다 △분 만큼 신장한 부위가 된다. 블라인드 프레임(1005)의 내연은 노광영역의 외연이 된다.A blind frame 1005 of a predetermined width is formed such that the outer position of the overlap portion 1008 and the inner position of the blind frame 1005 overlap a predetermined amount with a predetermined amount of offset. As described above, the exposure element data having the overlap portion 1008 is created. The inner edge 1006 of the blind frame 1005 is a portion extended by Δ minutes from the short frame 1002. The inner edge of the blind frame 1005 becomes the outer edge of the exposure area.

도 13은 사선부(1301)를 갖는 쇼트 프레임(1002)에 있어서 절단한 노광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보정 패턴(1004)을 형성한 노광요소의 예이다.FIG. 13 is a diagram showing an exposure element cut in the short frame 1002 having an oblique portion 1301, and is an example of an exposure element in which a correction pattern 1004 is formed.

도 13에 있어서, 사선부(1301)를 갖는 쇼트 프레임(1002)이 설정 가능하면 반복구조의 추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경우가 있어 효과적이다. In Fig. 13, when the short frame 1002 having the oblique portions 1301 can be set, it is possible to easily extract the repeating structure, which is effective.

보정 패턴(1004, 1004)은, 절단된 배선 데이터(1003)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안쪽 방향과 바깥쪽 방향에 대해서 소정의 보정값이 설정된다. 또한, 배선 데이터(1003)의 폭방향에 대한 보정 패턴(1004, 1004)의 값은 배선 데이터(1003)를 사이에 두는 폭방향의 양쪽에 대해서, 각각 소정의 보정값이 설정된다. 블라인드 프레임(1005)의 폭은 수평방향(Wh)과 수직방향(Wv)에서 지정 가능하다.In the correction patterns 1004 and 1004, predetermined correction values are set in the inward direction and the outward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ut wiring data 1003. Further, as for the values of the correction patterns 1004 and 1004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iring data 1003, predetermined correction values are set for both of the width directions sandwiching the wiring data 1003. The width of the blind frame 1005 can be specifi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 and the vertical direction Wv.

수평으로 절단한 단부에 대응하는 보정 패턴(1004)은 직사각형이고, 사선부(1301)에 대응하는 보정 패턴(1004)은 평행사변형이다.The correction pattern 1004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ly cut end is a rectangle, and the correction pattern 1004 corresponding to the diagonal portion 1301 is a parallelogram.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연(1006)에 사선부(1301)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프레임(1005)을 갖는 경우에는, 보정 패턴(1004, 1004)에 의한 2중 노광이 데이터 절단부위에는 필요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3, when the blind frame 1005 including the oblique part 1301 is included in the inner edge 1006, the double exposure by the correction patterns 1004 and 1004 is necessary for the data cutting part. .

이상, 도 1~도 13은 레티클 레이아웃 데이터와 좌표정보가 어떻게 하여 작성되는지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는, 이와 같이 하여 작성된 레티클 레이아웃 데이터와 좌표정보로부터 합성되는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의 검증을 행하고, 결과로서 레티클 데이터 노광 검증을 행하는 것이다.1 to 13 describe how reticle layout data and coordinate information are created. In this embodiment, the panel layout data synthesized from the reticle layout data and the coordinate information thus created is verified, and the reticle data exposure verification is performed as a result.

도 14는 본 실시형태의 레티클 검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도면으로, 컴퓨터 및 상기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에 의해서 구성한 예이다. 본 실 시형태의 레티클 검증 시스템은, 중앙처리장치(CPU)와, 상기 CPU 상에서 주행하는 복수의 프로그램군과, 프로그램군이나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장치와, 키보드나 마우스에 의해서 구성된 입력장치와, 표시장치를 구비하고 있다.FIG. 1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ticle ve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is an example configured by a computer and a program executed by the computer. The reticle verif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plurality of program groups running on the CPU,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program groups and data, an input device composed of a keyboard or a mouse, and a display. It is equipped with a device.

본 실시형태의 레티클 검증 시스템의 개요를 설명하자면, 본 실시형태의 레티클 검증 시스템은 노광장치 시뮬레이터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레티클 윈도우 상에 표시된 레티클 레이아웃 데이터를 좌표정보를 토대로 패널기판 윈도우 상에 표시한다. 여기에 도형 연산처리를 추가하여 검증을 행하고, 에러 도형을 표시하는 기능을 추가하면 레티클 검증 시스템이 구성된다. 여기서 에러 도형을 표시하는 윈도우는, 예를 들면 패널기판 윈도우이다.To explain the outline of the reticle verification system of this embodiment, the reticle verification system of this embodiment functions as an exposure apparatus simulator, and displays reticle layout data displayed on the reticle window on the panel substrate window based on the coordinate information. The figure is added to the figure processing to perform verification, and the addition of a function for displaying an error figure constitutes a reticle verification system. The window displaying the error figure is, for example, a panel substrate window.

프로그램의 구성으로서는, 초기설정으로서 레티클 레이아웃 데이터와 좌표정보의 불러오기 및 내부 테이블의 작성, 도형과 도형의 그리드 격자끼리의 연산처리와 거기에 수반하는 검증처리, 검증결과 도형의 표시의 3단계로 나뉜다. 이들의 프로그램 기능은 모두 메뉴 윈도우 상에 표시된 커맨드를 조작함으로써 실행된다.The program consists of three steps: initial reticle layout data and coordinate information import, creation of internal tables, calculation of the grid grids of figures and figures, accompanying verification processes, and verification result figures display. Divided. All of these program functions are executed by operating the commands displayed on the menu window.

도형의 표시 윈도우로서는 적어도 검증결과 도형의 표시인 패널기판 윈도우가 필요하고, 입력부분과 연산부분에 관해서는 도형 표시기능은 반드시 필요로 되지는 않지만 조작 확인상 도형 표시기능은 있는 쪽이 편리하다.As a display window of the figure, at least a panel substrate window, which is a display of the verification result figure, is required. A figure display function is not necessarily required for the input portion and the calculation portion, but it is more convenient to have a figure display function for operation confirmation.

도 14에 있어서, 레티클 검증 시스템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등에 의해서 구성된 표시부(1), 키보드(2)나 마우스(3)에 의해서 구성된 조작부(16), 중앙처리장치(CPU)(7), 자기디스크 장치나 반도체 메모리 등에 의해서 구성된 기억부(8)를 구비하고 있다.In Fig. 14, the reticle verification system includes a display unit 1 constituted by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r the like, an operation unit 16 constituted by a keyboard 2 or a mouse 3,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7, a magnetic disk. The storage part 8 comprised by the apparatus, semiconductor memory, etc. is provided.

표시부(1) 상에는, 패널기판(12) 상의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를 조작하는 패널기판 윈도우(9), 레티클(13) 상의 레티클 레이아웃 데이터를 조작하는 레티클 윈도우(10), 조작부(16)에 의한 조작을 지시하는 메뉴 윈도우(11)의 적어도 3개의 윈도우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패널기판 윈도우(9) 상에서 설정된 쇼트 프레임을 레티클 윈도우(10) 상에 쇼트 프레임으로서 설정하는 조작을 윈도우간에 행한다.On the display unit 1, the panel substrate window 9 for operating the panel layout data on the panel substrate 12, the reticle window 10 for operating the reticle layout data on the reticle 13, and the operation by the operation unit 16 are operated. It is configured to display at least three windows of the instructing menu window 11. The operation of setting the short frame set on the panel substrate window 9 as the short frame on the reticle window 10 is performed between the windows.

레티클 데이터의 검증결과는 표시부(1)에 표시되는데, 패널기판 윈도우(9), 레티클 윈도우(10), 메뉴 윈도우(11) 모두에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레티클 데이터의 검증결과를 표시할 때, 상기 각 윈도우(9~11)를 소거하여, 상기 각 윈도우(9~11)가 존재하고 있던 영역에 검증결과만을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The verification result of the reticle data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 but may be displayed on all of the panel substrate window 9, the reticle window 10, and the menu window 11. In addition, when displaying the verification result of the reticle data, each window 9-11 may be erased and only a verification result may be displayed in the area | region where each said window 9-11 existed.

레티클의 제작작업이나 검증작업은, 조작부(16)에 의해서 메뉴 윈도우(11) 상에 표시된 커맨드를 선택함으로써, 조작부(16)에 당해 커맨드의 기능을 가지게 하여, 조작부(16)를 조작해서 패널기판 윈도우(9) 상에서 쇼트 프레임의 설정, 패널기판 윈도우(9)와 레티클 윈도우(10)간의 이동, 레티클 윈도우(10) 상에 대응하는 쇼트 프레임의 설정 등의 각종 작업을 행한다.The reticle production work or the verification work is performed by selecting the command displayed on the menu window 11 by the operation unit 16 so that the operation unit 16 has the function of the command, and the operation unit 16 is operated to operate the panel substrate. Various operations such as setting a short frame on the window 9, moving the panel substrate window 9 and the reticle window 10, and setting a corresponding short frame on the reticle window 10 are performed.

기억부(8)는, CPU(7)가 실행하는 레티클 데이터 생성용 프로그램, 레티클 검증용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프로그램 기억부(4), 입출력 데이터나 처리 도중의 중간 데이터 등의 데이터 파일을 기억하는 데이터 파일 기억부(5), 룰 파일이나 라이브러리 파일이라는 참조 파일을 기억하는 파일 기억부(6)를 구비하고 있다.The storage unit 8 stores data files such as a reticle data generation program executed by the CPU 7, a program storage unit 4 storing a reticle verification program, and input / output data and intermediate data during processing. A file storage section 5 and a file storage section 6 for storing reference files such as rule files and library files are provided.

상기 프로그램의 구성으로서는, 레티클 제작 시스템용 프로그램으로서, 쇼트 프레임 설정 프로그램, 반복구조 검증 프로그램, 블라인드 프레임간 최소 간격 검 증 프로그램, 데이터 절단 프로그램, 보정 패턴 생성 프로그램, 블라인드 프레임 생성 프로그램, 좌표정보 리스트 출력 프로그램, 각종 데이터의 입출력 프로그램이라고 하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The program is composed of a short frame setting program, a repeat structure verification program, a blind frame minimum gap verification program, a data cutting program, a correction pattern generating program, a blind frame generating program, and a coordinate information list output as a program for a reticle production system. Programs and programs called input / output programs of various data.

이들 쇼트 프레임 설정, 반복구조 검증, 블라인드 프레임간 최소 간격 검증, 데이터 절단, 보정 패턴 생성, 블라인드 프레임 생성, 좌표정보 리스트 출력이라고 하는 기능은 모두 메뉴 윈도우 상에 표시된 커맨드를 조작부(16)에 의해서 선택함으로써 실행된다.These functions such as short frame setting, repeating structure verification, minimum space between blind frames verification, data cutting, correction pattern generation, blind frame generation, and coordinate information list output are all selected by the operation unit 16 on the command displayed on the menu window. Is executed.

또한, 레티클 데이터 검증용 프로그램으로서, 입력처리부용 프로그램, 도형 연산처리에 의한 검증처리부용 프로그램, 검증결과 표시부용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다.The reticle data verification program includes an input processing part program, a verification processing part program by graphic arithmetic processing, and a verification result display part program.

파일구성으로서는, 레티클 제작용 파일구성으로서, 입력 파일로서의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 파일과 출력 파일로서의 레티클 레이아웃 데이터 파일과 좌표정보 리스트 파일 외에 참조 파일로서의 라이브러리 파일과 룰 파일로 구성된다. 또한, 데이터 파일인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 파일, 레티클 레이아웃 데이터 파일 및 좌표정보 리스트 파일은 데이터 파일 기억부(5)에 기억된다. 참조 파일인 라이브러리 파일 및 룰 파일은 참조 파일 기억부(6)에 기억된다.The file structure includes a panel layout data file as an input file, a reticle layout data file as an output file, a coordinate information list file, and a library file as a reference file and a rule file as a file structure for a reticle production. In addition, the panel layout data file, the reticle layout data file, and the coordinate information list file, which are data files, are stored in the data file storage unit 5. The library file and the rule file which are reference files are stored in the reference file storage unit 6.

또한, 레티클 검증용 파일 구성으로서는, 입력 파일로서의 레티클 레이아웃 데이터와 좌표정보 파일, 출력 파일로서의 레티클 데이터 파일과 좌표정보 리스트 파일 외에 참조 파일로서의 라이브러리 파일과 룰 파일로 구성된다.The reticle verification file configuration includes a reticle layout data and coordinate information file as an input file, a reticle data file and a coordinate information list file as an output file, and a library file and a rule file as a reference file.

이와 같이 하여 레티클 레이아웃을 실행하는 레티클 설계 시스템이나 레티클 데이터의 검증을 행하는 레티클 데이터 검증 시스템이 구성되게 된다.In this manner, a reticle design system for executing the reticle layout or a reticle data verification system for verifying the reticle data is configured.

여기서, 표시부(1), 조작부(16), 기억부(8)는, 각각 표시수단, 조작수단, 기억수단을 구성하고 있다.Here, the display part 1, the operation part 16, and the memory | storage part 8 comprise the display means, the operation means, and the storage means, respectively.

상기 표시수단, 조작수단, 기억수단은 레티클 제작 시스템으로서 기능하는 경우, 다음과 같이 기능할 수 있다.When the display means, the operation means, and the storage means function as the reticle production system, they can function as follows.

예를 들면, 표시수단은, 적어도 패널기판의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를 표시하는 패널기판 윈도우, 레티클 레이아웃 데이터를 표시하는 레티클 윈도우 및 상기 조작수단의 커맨드를 표시하는 메뉴 윈도우를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isplay means can display a panel substrate window displaying at least panel layout data of the panel substrate, a reticle window displaying reticle layout data, and a menu window displaying commands of the operation means.

조작수단은 메뉴 윈도우에 표시되는 커맨드를 선택하여 입력한다. 이것에 의해, 패널기판의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 상에 설정된 쇼트 프레임에 대해 반복배열을 지정하는 등의 조작을 행할 수 있다.The operation means selects and inputs a command displayed in the menu window.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erform an operation such as specifying a repeating arrangement for the short frame set on the panel layout data of the panel substrate.

기억수단은 주기억장치 및 외부기억장치로서 기능할 수 있다. 기억수단에는,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를 절단 가능한 조건, 보정 패턴의 폭 및 블라인드 프레임간 최소 거리를 포함하는 생성조건을 기억할 수 있다. 또한, 기억수단에는, 조작수단에 의해서 설정한 생성조건을 기억할 수 있다.The storage means can function as a main memory device and an external memory device. The storage means can store generation conditions including a condition capable of cutting the panel layout data, the width of the correction pattern, and the minimum distance between the blind frames. In addition, the storage conditions set by the operation means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means.

또한, CPU(7)는 레티클 제작 시스템의 경우, 레티클 데이터 생성수단, 반복 검증수단, 블라인드 프레임 간격 검증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레티클 데이터 생성수단은 상기 조작수단에 의해서 상기 패널기판 윈도우 상에 설정된 쇼트 프레임에 대응하는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를 잘라내어 부분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로서 추출하고, 상기 부분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에 절단 데이터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이 절단 데이터의 단부에 보정 패턴을 형성하는 동시에, 내연이 상기 보정 패턴의 외연에 대응하는 블라인드 프레임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부분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에 대응하는 노광요소 데이터를 상기 레티클 윈도우 상에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레티클 데이터 생성수단은, 상기 생성조건을 만족하도록 상기 노광요소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reticle production system, the CPU 7 constitutes a reticle data generation means, an iterative verification means, and a blind frame interval verification means. The reticle data generating means cuts out the panel layout data corresponding to the short frame set on the panel substrate window by the operation means and extracts the extracted panel layout data as partial panel layout data. By forming a correction pattern at an end portion of the data and simultaneously forming a blind frame whose inner edge corresponds to the outer edge of the correction pattern, exposure element data corresponding to the partial panel layout data may be generated on the reticle window. The reticle data generating means may generate the exposure element data so as to satisfy the generating condition.

상기 레티클 데이터 생성수단은, 상기 조작수단에 의해서 상기 패널기판 윈도우 상에 설정된 쇼트 프레임에 대응하는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를 잘라내어 부분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로서 추출하는 추출수단, 상기 부분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에 절단 데이터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이 절단 데이터의 단부에 보정 패턴을 형성하는 보정 패턴 생성수단, 및 내연이 상기 보정 패턴의 외연에 대응하는 블라인드 프레임을 형성하는 블라인드 프레임 생성수단을 가지고, 상기 부분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에 대응하는 노광요소 데이터를 상기 레티클 윈도우 상에 생성할 수 있다.The reticle data generating means includes: extracting means for cutting out panel layout data corresponding to a short frame set on the panel substrate window by the operation means and extracting the extracted panel layout data as partial panel layout data; and the cut data is included in the partial panel layout data. And a correction pattern generating means for forming a correction pattern at an end of the cut data, and a blind frame generating means for forming a blind frame whose inner edge corresponds to the outer edge of the correction pattern, the exposure corresponding to the partial panel layout data. Element data may be generated on the reticle window.

또한, 반복 검증수단은 쇼트 프레임과 반복배열이 지정된 영역에 대응하는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비교 조회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terative verification means can compare and inquire whether or not the panel layout data corresponding to the short frame and the repetitive arrangement-designated region match.

또한, 블라인드 프레임 간격 검증수단은 복수의 상기 블라인드 프레임이 존재하는 경우에, 블라인드 프레임 사이가 소정의 최소간격 이상으로 떨어져 있는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lind frame interval verifying means may verify whether the blind frames are separated by more than a predetermined minimum interval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the blind frames.

한편, 상기 표시수단, 조작수단, 기억수단은, 레티클 검증 시스템으로서 기능하는 경우, 다음과 같이 기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isplay means, the operation means, and the storage means function as the reticle verification system, they can function as follows.

예를 들면, 표시수단은 검증수단이 검증한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 시수단은 적어도 검증결과를 표시하는 윈도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표시수단은, 검증수단에 의한 검증결과 얻어지는 도형을 상기 윈도우 상에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isplay means may display the result verified by the verification means. In addition, the display means may have a window for displaying at least the verification result. In addition, the display means can display a figure obtained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by the verification means on the window.

또한, 표시수단은, 검증결과를 표시하는 윈도우 상에 에러 도형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 지정수단이 지정한 에러 레이어의 검증결과 도형 정보를 레이어 단위로 윈도우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수단은 검증결과를 표시하는 윈도우와는 상이한 다이얼로그 박스를 가지고, 상기 다이얼로그 박스 상에서 에러 개수를 표시하는 동시에, 지정수단에 의한 에러 레이어의 지정에 응답하여 당해 레이어의 검증결과 도형 정보를 상기 윈도우 상에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error figur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a window displaying the verification result, the display means may display the verification result figure information of the error layer designated by the designation means on the window in units of layers. Also, the display means has a dialog box different from the window displaying the verification result, displays the number of errors on the dialog box, and displays the verification result figure information of the layer in response to designation of the error layer by the designation means. Can be displayed on the window.

조작수단은 지정수단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지정수단은 에러의 검증결과가 포함되는 에러 레이어를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지정수단은 윈도우와는 상이한 다이얼로그 박스 상에서 에러 레이어를 지정할 수 있다.The operation means can function as a designation means. The designation means may designate an error layer that contains an error verification result. The designation means can also designate an error layer on a dialog box different from that of the window.

기억수단은,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노광용 레티클에 포함되는 노광요소의 도형 데이터와, 그리드 격자점의 좌표에 의해서 표시되고, 디스플레이 패널 상의 상기 노광요소의 노광위치를 표시하는 좌표정보를 기억할 수 있다.The storage means can be displayed by the figure data of the exposure element included in the flat panel display exposure reticle and the coordinates of the grid lattice points, and can store the coordinate information indicating the exposure position of the exposure element on the display panel.

또한, CPU(7)는 레이아웃 도형요소 생성수단, 검증수단, 전개수단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PU 7 can function as layout figure element generating means, verification means and development means.

레이아웃 도형요소 생성수단은, 기억수단에 기억된 노광요소의 도형 데이터 및 좌표정보를 토대로, 노광요소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의 레이아웃 도형요소를 생성할 수 있다.The layout figure element generating means can generate the layout figure element on the display panel corresponding to the exposure element based on the figure data and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exposure element stored in the storage means.

검증수단은, 레이아웃 도형요소 생성수단이 생성한 디스플레이 패널 상의 복 수의 레이아웃 도형요소의 위치관계를 토대로 노광요소를 검증할 수 있다. 또한, 노광요소의 도형 데이터는 선 정보에 폭이 정의된 선 데이터와 직사각형 데이터와 각 꼭짓점을 기술한 다각형 데이터의 적어도 3종류로 구성되고, 검증수단은, 상기 복수의 레이아웃 도형요소에 대응하는 그리드 격자끼리의 연산처리를 행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노광요소를 검증할 수 있다.The verification means may verify the exposure element based o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plurality of layout figure elements on the display panel generated by the layout figure element generation means. Further, the figure data of the exposure element is composed of at least three types of line data whose width is defined in the line information, rectangular data and polygon data describing each vertex, and the verification means includes a grid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layout figure elements. The plurality of exposure elements can be verified by performing arithmetic processing between the grids.

검증수단은, 2개의 레이아웃 도형요소의 논리 OR처리를 행한 후, 상기 어느 하나의 레이아웃 도형요소와 상기 논리 OR의 결과 얻어지는 도형요소의 논리 XOR처리 또는 차분처리를 행함으로써, 상기 2개의 레이아웃 도형요소의 차이를 추출하는 차이 추출수단을 가질 수 있다.The verification means performs a logical OR process of the two layout figure elements, and then performs the logical XOR process or the difference processing of the one of the layout figure elements and the figure element obtained as a result of the logical OR. It may have a difference extraction means for extracting the difference of.

검증수단은, 2개의 레이아웃 도형요소의 논리 AND처리를 행함으로써 상기 2개의 레이아웃 도형요소의 오버랩량을 검출하는 오버랩량 검출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The verification means may include overlap amount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n overlap amount of the two layout figure elements by performing a logical AND process of the two layout figure elements.

검증수단은, 오버랩량 검출수단이 검출한 오버랩량이, 지시된 오프셋값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검증하는 오프셋 검증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The verification means may include offset verification means for verifying whether or not the overlap amount detected by the overlap amount detection means satisfies the indicated offset value.

검증수단은, 오버랩량 검출수단이 2개의 레이아웃 도형요소의 오버랩량이 없는 것을 검출한 후, 논리 OR처리를 행하여 2개의 레이아웃 도형요소가 닫힌 하나의 도형으로 형성되는 결과가 확인된 경우에는 상기 2개의 레이아웃 도형요소는 연속한 도형요소라고 판별하는 요소 판별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The verification means detects that the overlap amount detection means does not have the overlap amount of the two layout figure elements, and then performs a logical OR process to confirm that the results of forming the two layout figure elements into one closed figure are determined. The layout figure element may be provided with element discriminating means for discriminating that it is a continuous figure element.

또한, 레티클의 데이터는 트랜지스터 도형을 정의하는 중간계층 또는 트랜지스터 도형을 정의한 외부 라이브러리를 중간계층으로서 갖도록 구성할 수 있고, 이 경우, 전개수단은, 상기 트랜지스터 도형을 정의하는 중간계층 또는 외부 라이브러리를, 포인터 구조에 의해 필요에 따라 전개하는 테이블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data of the reticle may be configured to have an intermediate layer defining a transistor figure or an external library defining a transistor figure as an intermediate layer. In this case, the developing means may include an intermediate layer or an external library defining the transistor figure, The pointer structure allows you to have a table structure that expands as needed.

또한, 각 노광요소에는 도형요소 및 상기 도형요소를 둘러싸는 소정 폭의 블라인드 프레임이 포함되고, 검증수단은, 상기 블라인드 프레임 내연에 대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의 그리드 격자에 대해 소정 오프셋값의 범위 내에, 상기 도형요소의 레이아웃 도형요소의 종점(終點)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증하는 종점 검증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exposure element includes a figure element and a blind frame of a predetermined width surrounding the figure element, and the verification means is within a range of a predetermined offset value with respect to the grid grating on the display panel corresponding to the blind frame inner edge. End point verification means for verifying whether or not there is an end point of the layout figure element of the figure element may be provided.

또한, 기억수단에 기억된 프로그램은, 표시수단, 조작수단, 기억수단 및 CPU를 갖는 컴퓨터를, 상기 기능을 갖는 레티클 검증 시스템으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The program stored in the storage means can cause a computer having display means, operation means, storage means and a CPU as a reticle verification system having the above function.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레티클 검증 시스템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processing of the reticle ve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에 있어서, 입력되는 레티클 레이아웃 데이터는 소위 GDS 포맷에 의한 표현형식 데이터로, 좌표값이 기지의 점인 복수의 그리드 격자점에 의해서 표현한 형식의 데이터이며, 중간계층 구조를 허용하는 형식의 데이터이다. 상기 레티클 데이터 파일에는,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노광용 레티클에 포함되는 노광요소의 도형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In Fig. 15, the reticle layout data to be input is so-called GDS format representation format data, which is data in a format expressed by a plurality of grid grid points whose coordinate values are known points, and is data in a format that allows an intermediate hierarchy structure. . The reticle data file includes graphic data of an exposure element included in a flat panel display exposure reticle.

통상, 중간계층으로서는 트랜지스터 계층이 취해진다. 경우에 따라서는 트랜지스터 계층은 외부 라이브러리로서 레티클 레이아웃 데이터 파일과는 별도 장착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별도 장착되어 있어도 실질적으로는 중간계층과 동등하다.Usually, a transistor layer is taken as an intermediate layer. In some cases, the transistor hierarchy may be mounted separately from the reticle layout data file as an external library. However, even if attached separately, it is substantially equivalent to the middle layer.

레티클 레이아웃 데이터 파일에 기재되어 있는 반복요소의 반복배치 위치 등 을 기술한 좌표정보는, 통상 텍스트 파일이다. 상기 좌표정보에는, 그리드 격자점의 좌표에 의해서 표시되고, 디스플레이 패널 상의 노광요소의 노광위치를 표시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The coordinate information describing the repetitive arrangement position and the like of the repeating elements described in the reticle layout data file is usually a text file. The coordinate information is displayed by the coordinates of the grid lattice points and includes information indicating the exposure position of the exposure element on the display panel.

처리는, 프로그램 기억부(4)에 기억된 입력처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입력처리단계(스텝 S151), 도형 연산처리에 의한 검증처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도형과 도형의 그리드 격자점끼리의 연산처리에 의한 검증처리단계(스텝 S152, S153), 및 검증결과 표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검증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단계(스텝 S154)의 3단계로 구성된다.The processing includes an input processing step of executing an input processing program stored in the program storage section 4 (step S151), and a calculation processing of grid grid points of figures and figures, which executes a verification processing program by figure calculation processing. By the verification processing steps (steps S152 and S153) and the display step (step S154) for displaying the verification results for executing the verification result display program.

입력처리단계(스텝 S151)에서는, CPU(7)는, 데이터 파일 기억부(5)로부터 레티클 레이아웃 데이터 파일 및 좌표정보 파일을 불러오는 입력처리를 행하고, 상기 좌표정보를 토대로 하는 반복요소의 배치정보로부터 패널기판 상의 노광요소 데이터 구조를 작성한다.In the input processing step (step S151), the CPU 7 performs an input process of retrieving the reticle layout data file and the coordinate information file from the data file storage unit 5, and from the arrangement information of the repeating elements based on the coordinate information. The exposure element data structure on the panel substrate is created.

여기서, 하나의 반복요소와 공간적으로 접하는 다른 반복요소를 용이하게 픽업할 수 있는 테이블 구조(후술하는 도 17의 테이블 구조 1)를 가진 형태로 작성된다. 또한, 레티클 데이터가 중간계층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데이터량 삭감을 위해 중간계층을 유지하면서 최하층까지 용이하게 픽업할 수 있는 테이블 구조(후술하는 테이블 구조 2)를 가진 형태로 작성된다.Here, it is created in a form having a table structure (table structure 1 of FIG. 17 to be described later) which can easily pick up another repeating element in spatial contact with one repeating element. In addition, when the reticle data has an intermediate layer, it is created in a form having a table structure (table structure 2 described later) that can easily pick up to the lowest layer while maintaining the intermediate layer for reducing the data amount.

그 이후, CPU(7)는 도형의 연산처리에 의한 검증처리에 들어간다(스텝 S152, S153). 연산에는 논리연산과 차분연산이 있다. 상세하게는 후술하겠지만, 검증해야 하는 대상은 2중 노광영역의 검증, 접노광(接露光)-1의 검증, 접노광-2의 검증, 비 노광영역의 검증으로 크게 나뉜다.Thereafter, the CPU 7 enters a verification process by arithmetic processing of figures (steps S152 and S153). There are logical operations and differential operations. A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the subjects to be verified are divided into verification of the double exposure area, verification of the exposure exposure-1, verification of the exposure exposure-2, and verification of the non-exposure area.

이들의 검증을 행하는데 필요한 논리연산은 AND, OR 및 XOR이다. 또는 XOR 대신에 차분연산을 적용해도 된다. 이 논리처리 또는 차분처리는 모두 그리드 격자점끼리의 연산처리이다. 이들 연산처리 결과는 또한 도형 데이터로서 격납된다. CPU(7)는 처리 스텝 S153의 처리를 전체 레이어에 대해서 행한다(스텝 S153).The logical operations required to perform these verifications are AND, OR and XOR. Alternatively, differential operation may be applied instead of XOR. This logic process or difference process is both arithmetic processing of grid grid points. These arithmetic processing results are also stored as graphic data. The CPU 7 performs the processing of the processing step S153 for all the layers (step S153).

마지막으로 CPU(7)는, 연산처리한 결과의 도형을 표시부(1)에 표시하는 표시처리를 행한다(스텝 S154). 검증해야 하는 대상은, 2중 노광영역의 검증, 접노광-1의 검증, 접노광-2의 검증, 비노광영역의 검증이기 때문에, 조작부(16)에 의해서 설정된 판정기준(파라미터)을 토대로, 이들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도형 데이터형식으로 표시한다. 이 도형 데이터는 에러를 표시하는 데이터이다.Finally, the CPU 7 performs a display process of displaying the figure of the result of the calculation process on the display unit 1 (step S154). The subjects to be verified are the verification of the double exposure area, the verification of the exposure exposure-1, the verification of the exposure exposure-2, and the verification of the non-exposure area, and therefore, based on the determination criteria (parameters) set by the operation unit 16, Any one of these is displayed in graphic data format. This figure data is data indicating an error.

여기서 중요한 것은, 논리처리 또는 차분처리의 연산처리는 레이어 단위로 처리되고, 작성되는 노광 에러 데이터도 데이터 파일 기억부(5)에 레이어 단위로 격납되어 간다는 것이다. 이는, 노광은 레이어 단위로 행해짐으로 레이어 단위로 검증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표시부(1)에서의 표시시에도 레이어 단위로 되기 때문에, 에러 데이터를 레이어 단위로 격납시켜 둔 쪽이 액세스 시간이 빨라지기 때문이다.What is important here is that arithmetic processing of logic processing or differential processing is processed in units of layers, and the exposure error data to be created is also stored in the data file storage unit 5 in units of layers. This is because the exposure is performed in units of layers, and therefore verification must be performed in units of layers. In addition, since the display unit 1 is used in units of layers even when the display unit 1 displays, the access time is faster when the error data is stored in units of layers.

또한, CPU(7)는, 처리결과를 표시부(1)에 표시시키는 경우, 에러 데이터 여부의 판정기준이 설정되어 있을 때에는 에러 데이터만을 표시시키고, 에러 데이터 여부의 판정기준이 설정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단순히 처리결과를 표시시키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CPU(7)는, 처리결과를 표시부(1)에 표시시키는 경우, 반드시 도형을 표시할 필요는 없고, 문자 등으로 에러 내용, 또는 에러 여부의 판단을 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순히 처리결과를 표시하도록 구성해도 된다.In addition, when displaying the processing result on the display unit 1, the CPU 7 displays only the error data when the criterion for determining whether the error data is set, or simply when the criterion for determining whether the error data is not set. The processing result may be displayed. In addition, when displaying the processing result on the display unit 1, the CPU 7 does not necessarily display the figure, and simply displays the processing result when the error content or the error is not determined by characters or the like. You may comprise so that.

도 16은 레티클(13) 상의 레티클 레이아웃 데이터(162), 레티클 레이아웃 데이터(162) 중의 반복요소(163), 좌표정보, 패널기판(12) 상의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161)의 관계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FIG. 16 is an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ticle layout data 162 on the reticle 13, the repeating element 163 in the reticle layout data 162, the coordinate information, and the panel layout data 161 on the panel substrate 12. to be.

또한, 도 17은 도 16에 나타낸 반복요소(163)에 있어서, 다중노광, 접노광-1, 접노광-2의 가능성 있는 반복요소(163)를 나타내는 테이블 구조 1로서, 기억부(8)의 데이터 파일 기억부(5)에 기억된다.FIG. 17 is a table structure 1 showing possible repeating elements 163 of multiple exposure, close exposure-1, and close exposure-2 in the repeating element 163 shown in FIG. It is stored in the data file storage section 5.

상기 테이블은, 어드레스, 인스턴스명, 반복요소명, 2중 노광 또는 접노광-1 또는 접노광-2의 포인터 개수 및 포인터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The table includes an address, an instance name, a repeating element name, the number of pointers of the double exposure or the close exposure-1 or the close exposure-2, and the pointer information.

여기서, 어드레스란 배치된 반복요소 데이터의 순서를 나타내는 어드레스, 인스턴스명이란 배치된 반복요소에 붙여진 고유명, 반복요소명이란 레티클 데이터에 기재되어 있는 반복요소의 라이브러리명이다. 또한 인스턴스란, 단일 또는 복수의 도형요소(예를 들면 셀이나 디바이스 등)에 의해서 구성되는, 하나의 합쳐진 단위의 도형요소이다.Here, the address is an address indicating the order of arranged repeating element data, the instance name is a unique name given to the arranged repeating element, and the repeating element name is a library name of the repeating element described in the reticle data. In addition, an instance is a figure element of one united unit comprised of a single figure or a plurality of figure elements (for example, a cell or a device).

레티클(13) 상에 배설된 레티클 레이아웃 데이터(162)에 포함되는 각 반복요소(163)는, 좌표정보를 토대로 패널기판(12) 상의 소정위치에 노광되어, 패널기판 상에 대응하는 패널 레이아웃 요소가 형성된다. 반복요소 A1_1과 같이 노광이 반복되는 반복요소(163)의 경우에는, 좌표정보에 의해서 정해진 위치에 정해진 횟수만큼 노광처리가 이루어진다. 이것에 의해, 패널기판(12) 상에, 복수의 패널 레이아 웃 요소에 의해서 구성된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가 형성된다.Each repeating element 163 included in the reticle layout data 162 disposed on the reticle 13 is expos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panel substrate 12 based on the coordinate information, and the panel layout element corresponding to the panel substrate is exposed. Is formed. In the case of the repeating element 163 in which exposure is repeated, such as the repeating element A1_1, the exposure process is perform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t a position determined by the coordinate information. As a result, panel layout data composed of a plurality of panel layout elements is formed on the panel substrate 12.

패널기판(12) 상에 배치된 반복요소(163)간의 논리처리 또는 차분처리가 주요한 처리가 되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부여된 반복요소(163)로부터 인접하는 반복요소(163)를 용이하게 픽업할 수 있는 구조가 바람직하다.Since the logic processing or the differential processing between the repeating elements 163 disposed on the panel substrate 12 becomes the main processing, it is possible to easily pick up the adjacent repeating elements 163 from any given repeating elements 163. It is preferred that the structure can be.

여기에서는, 레티클 레이아웃 데이터(162) 중의 반복요소(163)가 갖는 폭(W)과 높이(H)의 데이터를 이용한다. 폭(W)과 높이(H)는, 이를 초과하여 데이터는 존재하지 않는 최소영역을 나타내고 있고, 테이블 구조 1에서는 각 반복요소(163)의 폭(W)과 높이(H)가 인접하는 반복요소(163)로의 포인터를 보유하고 있다. 상기 포인터는 어드레스 포인터로서, 관련되는 반복요소(163)에 부여되어 있는 어드레스가 포인터로서 사용된다.Here, data of the width W and the height H of the repeating element 163 in the reticle layout data 162 is used. The width (W) and height (H) represent the minimum region where there is no data exceeding this. In the table structure 1, the repeating elements where the width (W) and the height (H) of each repeating element (163) are adjacent to each other. It holds a pointer to 163. The pointer is an address pointer, and an address given to the associated repeating element 163 is used as the pointer.

여기서, 인접에는, 폭(W)방향 영역 및 높이(H)방향 영역의 적어도 한쪽이, 오버랩되어 있는 형태, 접해 있는 형태, 1 그리드 격자분 간격을 두고 옆에 존재하고 있는 형태 등의 세형태가 있다. 외곽형상의 폭(W)과 높이(H)가 인접해 있기 때문에, 이것이 인접하였다 하더라도 실제 노광 데이터의 인접 여부는 별도의 문제이지만, 폭(W)과 높이(H)가 인접해 있지 않는 한 실제의 노광 데이터는 인접하지 않는다. 간단히 말하면 의심스러운 곳에 대해 검색하기 쉬운 테이블 구조를 작성해 두고, 매회 전체 대상물을 검증의 대상으로는 하지 않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처리시간의 단축을 꾀할 수 있다.Here, three forms such as a form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width (W) direction region and the height (H) direction region overlap each other, such as an overlapping form, a contact form, and a form that exists next to each other by a grid lattice interval, are present. have. Since the width W and the height H of the outline shape are adjacent to each other, whether or not the exposure data is adjacent to each other is a separate problem even if they are adjacent to each other, but unless the width W and the height H are adjacent to each other, Are not adjacent to each other. In short, a table structure that makes it easy to search for suspicious places is created, and the structure that does not use the entire object for verification every time is adopted. As a result, the processing time can be shortened.

도 18은, 레티클 레이아웃 데이터와 좌표정보로부터 작성되는 패널기판 상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9는 도 18의 데이터 구조에 대응하는 테이 블 구조 2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계층화 구조를 유지한 테이블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FIG. 18 is a diagram showing a data structure on a panel substrate created from reticle layout data and coordinate information, and FIG. 19 is a diagram showing table structure 2 corresponding to the data structure of FIG. 18, and a table structure maintaining a hierarchical structure. Indicates.

도 18에 있어서, 계층구조의 최상위에 유일하게 위치하는 탑 모듈의 하층에는, 배치된 반복요소(182, 188)가 설치되어 있다. 배치된 반복요소(182, 188)는, 예를 들면 트랜지스터 계층이다.In FIG. 18, the repeating elements 182 and 188 which are arrange | positioned are provided in the lower layer of the tower module uniquely located in the top of a hierarchy. Arranged repeating elements 182 and 188 are, for example, transistor layers.

배치된 반복요소(182)의 하층에는, 도형 데이터(183), 트랜지스터(TR1)(184) 및 도형 데이터(185)로 되는 직렬 계층구조, 및 트랜지스터(TR2)(186) 및 도형 데이터(187)로 되는 직렬 계층구조가 병렬로 설치되어 있다.Under the arranged repeating element 182, a series hierarchical structure consisting of figure data 183, transistors TR1 184 and figure data 185, and transistors TR2 186 and figure data 187 The serial hierarchical structure is installed in parallel.

배치된 반복요소(188)의 하층에는, 도형 데이터(189), 트랜지스터(TR1)(190) 및 도형 데이터(191)로 되는 직렬 계층구조, 및 트랜지스터(TR2)(192) 및 도형 데이터(193)로 되는 직렬 계층구조가 병렬로 설치되어 있다.Under the arranged repeating element 188 is a series hierarchical structure consisting of figure data 189, transistors TR1 190 and figure data 191, and transistors TR2 192 and figure data 193. The serial hierarchical structure is installed in parallel.

또한, 도 19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은 어드레스, 인스턴스명, 반복요소명, 또는 라이브러리명, 도형 데이터로의 포인터, 중간계층 모듈 인스턴스명, 중간계층 모듈 라이브러리명, 및 중간계층 모듈 라이브러리로의 포인터를 가지고 있다.19, the table includes an address, an instance name, a repeating element name, or a library name, a pointer to graphic data, a middle module instance name, a middle module library name, and a pointer to a middle layer library. Have.

반복요소는 중간계층을 갖는 경우가 있고, 대부분의 경우 이것은 트랜지스터 계층이다. 이 트랜지스터 계층을 전개해버리면 데이터량이 방대해지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간계층을 미리 전개하는 것이 아니라 중간계층인 채로 포인터 구조에서 데이터를 라이브러리로서 유지하여, 필요에 따라 전개하는 동적(다이내믹)인 처리를 행하고 있다.The repeating element may have an intermediate layer, and in most cases it is a transistor layer. Since the amount of data becomes large when the transistor hierarchy is expanded, in this embodiment, dynamic (dynamic) processing is performed in which the data is held as a library in the pointer structure while the intermediate layer is not developed in advance, but expanded as needed. Is doing.

단, 2개의 상이한 중간계층에 동일한 보다 하위의 중간계층이 출현하였다 하 더라도, 이것은 공통화하지 않는 수법을 채용하고 있다. 이는, 주목하고 있는 반복요소에 출현한 트랜지스터가 다른 반복요소에 출현하였다 하더라도, 주목한 요소만으로 완전히 전개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이다. 도 19에서는 트랜지스터 TR1과 TR2가 상이한 반복요소에 출현하고 있지만, 독립적으로 테이블 등록되어 있는 예가 나타내어져 있다.However, even if the same lower middle layer appears in two different middle layers, this method does not make common use. This is because even if the transistor appearing in the repeating element of interest is present in another repeating element, it can be fully developed with only the element of interest. In Fig. 19, an example in which the transistors TR1 and TR2 appear in different repeating elements but is independently registered in the table is shown.

도 20, 도 21은 도형의 논리처리 또는 차분처리와 검증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한쪽 노광영역 검출을 위한 도형 논리처리 또는 도형 차분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한쪽 노광이란, 인접하는 반복요소를 비교한 경우, 인접하는 부분에 있어서 한쪽의 반복요소만이 노광되는 요소를 갖는 경우를 말한다.20 and 21 are diagrams for explaining logic processing or difference processing and verification processing of figures, and show figure logic processing or figure difference processing for detecting one exposure area. Here, when one exposure is compared with an adjacent repeating element, it means the case where only one repeating element is exposed in the adjacent part.

예를 들면, 도 20에 있어서, 레티클의 반복요소 A와 레티클의 반복요소 B가 패널기판 상의 지정된 좌표에 배치되는 경우, 반복요소 A와 반복요소 B에 대응하는 패널 레이아웃 요소가 오버랩되어 영역 A', B'로서 패널기판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한다.For example, in FIG. 20, when the repeating element A of the reticle and the repeating element B of the reticle are arranged at the specified coordinates on the panel substrate, the panel layout elements corresponding to the repeating element A and the repeating element B overlap to form an area A '. , B 'is placed on the panel substrate.

영역 A'는 반복요소 A에 대응하는 패널기판 상의 영역이었다고 하면, 이 영역에는 반복요소 B에 대응하는 패널기판 상의 영역 B'의 일부가 투영되어 있다. 즉, 영역 A'는 패널기판 상의 영역에서 반복요소 A에 상당하는 영역과 오버랩부(2001)의 논리합 영역으로서, 여기에는 반복요소 B에 대응하는 패널 레이아웃 요소 B'의 일부가 투영되어 있다.A region A 'is a region on the panel substrate corresponding to the repeating element A, and part of the region B' on the panel substrate corresponding to the repeating element B is projected on this region. That is, the area A 'is a logical sum area of the overlap portion 2001 and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repeating element A in the area on the panel substrate, and part of the panel layout element B' corresponding to the repeating element B is projected thereon.

마찬가지로, 영역 B'는 패널기판 상의 영역에서 반복요소 B에 상당하는 영역과 오버랩부(2001)의 논리합 영역으로서, 여기에는 반복요소 A에 대응하는 패널 레 이아웃 요소 A'의 일부가 투영되어 있다.Similarly, the region B 'is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repeating element B and the logical sum region of the overlapping portion 2001 in the region on the panel substrate, in which part of the panel layout element A' corresponding to the repeating element A is projected. .

따라서,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복요소 A에 대응하는 패널기판 상의 패널 레이아웃 요소 A와 영역 A'의 패널 레이아웃 요소에 대해 XOR을 취하면, 한쪽에는 존재하고 있지만 다른쪽에는 존재하고 있지 않은 영역(한쪽 노광영역)(2101)의 데이터가 추출되게 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21, when XOR is taken for the panel layout element A on the panel substrate corresponding to the repeating element A and the panel layout element of the area A ', the area exists on one side but does not exist on the other side. Data of the (one exposure area) 2101 is extracted.

이는 통상 오버랩 지정 실수이다. 이 실수는, 레티클 데이터 작성시의 쇼트 프레임 지정 실수이거나, 레티클 데이터를 작성할 때의 블라인드 프레임 지정 실수이거나, 배치좌표의 지정 실수 등이 생각된다. 통상, 오버랩되어 있는 부위의 노광 데이터는 양자가 완전히 오버랩되어 있어야 한다.This is usually an overlap assignment mistake. This mistake may be a short frame designation mistake at the time of reticle data creation, a blind frame designation mistake at the time of reticle data creation, or a designation mistake of a batch coordinate. In general, the exposure data of the overlapping portions should be completely overlapped.

또한, 여기서 XOR이라고 하였지만 차분을 취한다는 표현이어도 동등하다. 그 경우에는 차분(A-A')을 취하여, 결과가 양이면 반복요소 A에 존재하고 있고 반복요소 B에는 존재하고 있지 않은 데이터를 오버랩시켜 버린 것이 되고, 결과가 음이면 반대로 반복요소 A에는 존재하지 않고 반복요소 B에 존재하고 있는 데이터를 오버랩시켰다고 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it is called XOR here, the expression of taking a difference is also equivalent. In that case, the difference (A-A ') is taken, and if the result is positive, the data overlapping the data existing in the repeating element A and not present in the repeating element B overlaps. Instead, it can be said that data existing in the repeating element B is overlapped.

본 예에서는 후자이다. 동일한 정보를 XOR 결과로부터 얻고자 하면, XOR 결과와 반복요소 A, XOR 결과와 반복요소 B의 각 AND를 취하고, 전자의 결과가 논리 1이면 반복요소 A에 존재하고 반복요소 B에는 존재하지 않는 데이터를 오버랩시키고, 후자의 결과가 논리 1이면 반복요소 A에는 존재하지 않고 반복요소 B에 존재하고 있던 데이터를 오버랩시킨 것이 된다.In this example it is the latter. To obtain the same information from the XOR result, take the XOR result and each AND of the repeating element A, the XOR result and the repeating element B. If the former result is logical 1, the data exists in repeating element A and not in repeating element B. If the latter result is logical 1, the data existing in the repeating element B instead of the repeating element A is overlapped.

차분결과는 부호를 가지고 있어 단순한 논리처리보다 정보량이 많아, XOR 결 과에서 차분처리와 완전히 동등한 정보를 얻고자 하면 추가의 AND처리가 필요하게 된다. 정리하면, 논리처리이면 OR과 XOR과 AND, 차분처리를 사용하면 OR과 차분처리,에 의해서 정보로서 완전 등가인 검증결과가 얻어지게 된다.The difference result is coded, so there is more information than simple logic process, and additional AND processing is required if you want to obtain information that is completely equivalent to difference process in XOR result. In summary, if the logic process is OR, XOR, AND, and the difference process is used, the OR and difference process results in a completely equivalent verification result as information.

도 22~도 24는, 한쪽 노광영역 검출의 OR처리를 그리드 격자를 사용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22 to 24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OR process of detecting one exposure area using a grid grating.

논리처리 및 차분처리는 모두 그리드 격자끼리 행해진다. 여기서 OR의 정의는, 결과가 논리 1인 경우 그 그리드 격자가 노광되고, 논리 0인 경우 그 그리드는 노광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Both logic processing and difference processing are performed between grid grids. Here, the definition of OR indicates that the grid grating is exposed if the result is logic 1, and that grid is not exposed if logic 0.

도 22에서는, 반복요소 A에 대응하는 패널기판 상의 패널 레이아웃 요소 A와 반복요소 B에 대응하는 패널기판 상의 패널 레이아웃 요소 B의 논리 OR처리를 행하여, 그 결과로서 반복요소 A, B의 패널 레이아웃 요소 A, B가 오버랩부(2001)에 의해서 오버랩된 상태의 결과가 얻어져 있다. 도 22에는, 오버랩부(2001)의 중심선(2201)이 그리드 상에 표시되어 있다.In FIG. 22, logical OR processing is performed on panel layout element A on the panel substrate corresponding to repeating element A and panel layout element B on the panel substrate corresponding to repeating element B, and as a result, panel layout elements of repeating elements A and B are performed. The result of the state where A and B overlapped by the overlap part 2001 is obtained. In FIG. 22, the centerline 2201 of the overlap portion 2001 is displayed on the grid.

도 23은, 도 22에 대응하는 표시를 그리드 격자점으로 표시한 도면으로, 도면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대응하는 오버랩부의 중심선(2201)을 기입하고 있다. 즉, 반복요소 A의 노광 데이터 L, 반복요소 B의 노광요소 R, 및 이들의 논리 OR을 취한 처리결과를 나타내고 있다.FIG. 23 is a diagram in which the display corresponding to FIG. 22 is displayed by grid lattice points, and the center line 2201 of the corresponding overlap portion is written in order to make the drawing clear. That is, the processing result which took the exposure data L of the repeating element A, the exposure element R of the repeating element B, and these logical ORs is shown.

도 24는, 도 23에 나타낸 각 그리드 격자점에 대한 논리합(OR)의 정의를 나타내는 논리값 표이다. ○는 논리값 0이고, 노광되지 않는 그리드 격자점이다. ●는 논리값 1이고, 노광되는 그리드 격자점이다. ●로 둘러싸인 영역이 노광되는 영 역이 된다.FIG. 24 is a logical value table showing the definition of the logical sum OR for each grid lattice point illustrated in FIG. 23. (Circle) is a logic value 0 and is a grid lattice point which is not exposed. Is a logic value 1 and is a grid lattice point to be exposed. The area enclosed by the triangle becomes an exposed area.

도 23에 나타낸 논리 OR처리결과의 도면은 표시부(1)에 표시된다. 표시개소는 패널기판 윈도우(9), 레티클 윈도우(10)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패널기판 윈도우(9), 레티클 윈도우(10) 및 메뉴 윈도우(11)를 소거하고, 표시부(1)의 전역에 도 23의 처리결과를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문자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에는 패널기판 윈도우(9), 레티클 윈도우(10) 및 메뉴 윈도우(11) 중 어느 하나에 표시해도 되며, 또는 이들의 윈도우를 소거하고, 표시부(1)의 전역에 처리결과를 문자로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The diagram of the logical OR processing result shown in FIG. 23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 The display position may be either the panel substrate window 9 or the reticle window 10. In addition, the panel substrate window 9, the reticle window 10, and the menu window 11 may be erased to display the processing result of FIG. It is also possible to display characters, and in this case, the panel substrate window 9, the reticle window 10, and the menu window 11 may be displayed, or these windows may be erased and the display unit 1 may be displayed. You can display the result of processing in characters throughout the parentheses.

도 25, 도 26은, 도 21의 배타적 논리합(XOR)처리 또는 차분처리를 그리드 격자점을 사용하여 행한 경우의 설명도이다.25 and 26 are explanatory diagrams in the case where the exclusive OR operation or difference processing in FIG. 21 is performed using grid lattice points.

도 25에는, 레티클 상의 반복요소 A의 노광 데이터(패널 레이아웃 요소)를 L, 패널기판 상의 영역 A'의 노광 데이터(패널 레이아웃 요소)를 R, 및 이들의 논리 XOR 또는 차분의 처리결과를 나타내고 있다.FIG. 25 shows the exposure data (panel layout element) of the repeating element A on the reticle L, the exposure data (panel layout element) of the region A 'on the panel substrate, and the logic XOR or difference thereof. .

도 26은, 도 25에 나타낸 노광 데이터 L, R의 각 그리드 격자점에 대한 배타적 논리합(XOR), 노광 데이터 L, R의 각 그리드 격자점을 사용한 (L-R) 차분처리의 정의를 나타내는 논리값 표이다.FIG. 26 is a logic value table showing the definition of (LR) difference processing using an exclusive OR (XOR) for each grid lattice point of the exposure data L and R shown in FIG. 25 and each grid lattice point of the exposure data L and R; to be.

○는 논리값 0으로, 노광 데이터 L, R의 양쪽에 노광하는 데이터가 존재하거나, 또는 노광 데이터 L, R의 양쪽에 노광하는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그리드를 표시하고 있다. 또한, ●는 논리값 1로서, 노광 데이터 L, R 중 어느 한쪽에 노광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그리드를 표시하고 있다. 또한, 양●는 노광 데이터 L에 노광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를 표시하고, 음●는 노광 데이터 R에 노광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를 표시하고 있다.(Circle) is a logic value 0, and has shown the grid which the data to expose exists in both exposure data L and R, or the data to expose to both exposure data L and R does not exist. Denotes a grid in which the data to be exposed is exposed to either of the exposure data L or R as the logic value 1. FIG. Positive & tilde & indicates that there is data to be exposed to the exposure data L, and negative & tilde & indicates that there is data to be exposed to the exposure data R.

이와 같이 하여, 한쪽 영역에만 존재하는 노광되는 격자점이 검출된다. 차분처리의 경우는, 양 음의 부호에 따라서, 노광되는 격자점이 어느 쪽에 존재하고 있었는지의 정보도 부가되게 된다. 이와 같이, XOR의 경우에는 결과는 차이가 있는 것만이 판명되지만, 차분의 경우에는 양 음의 부호에 의해 어느 쪽 영역에 노광 데이터가 한쪽 존재하고 있었는지의 정보까지 부가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다.In this way, the exposed lattice point existing only in one region is detected. In the case of difference processing, information on which lattice points are exposed is also added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ve and negative signs.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XOR, only the results are found to be different, but in the case of difference, it is convenient because the positive negative sign can add information on which area the exposure data existed.

XOR 또는 차분처리를 한 결과, 논리 1의 경우 그 그리드는 노광 데이터가 한쪽에만 존재하는 도형 데이터를 나타내고, 논리 0의 경우는 노광 데이터는 양쪽에 존재하거나 또는 양쪽에 존재하지 않는 그리드를 나타낸다.As a result of XOR or differential processing, in the case of logic 1, the grid represents figure data in which exposure data exists only on one side, and in the case of logic 0, the exposure data represents a grid which exists in both sides or does not exist in both sides.

도 27, 도 28은, 가장 일반적인 패널 레이아웃 요소의 오버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27 and 28 are explanatory diagrams showing overlap of the most common panel layout elements.

도 27은, 레티클의 노광하고자 하는 데이터(2707)를, 노광되지 않는 그리드 격자점(2704)과 노광되는 그리드 격자점(2705)에 의해 표시한 도면이다.FIG. 27 is a diagram showing the data 2707 to be exposed of the reticle by the grid lattice points 2704 not exposed and the grid lattice points 2705 exposed.

또한, 도 28은, 분할한 레티클의 반복요소를 좌표정보를 토대로 노광함으로써, 얻어진 노광 데이터 A, B에 의해서 데이터(2707)가 재현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28 is a diagram showing how the data 2707 is reproduced by the exposure data A and B obtained by exposing the repeated elements of the divided reticle based on the coordinate information.

분할하고자 하는 영역과 그 바로 아래에 있는 절단하고자 하는 노광 데이터(2707)에 대해, 오버랩 영역(2703)의 오버랩량이 지정되어 레티클 레이아웃 데이터는 작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이 바르게 복원되어 있는지를 검증할 필요가 있 다.Since the overlap amount of the overlap area 2703 is specified and the reticle layout data is created for the area to be divided and the exposure data 2707 to be cut immediately below it, it is necessary to verify whether it is correctly restored. have.

오버랩량이 오프셋값으로서 조작부(16)에 의해서 지정된 경우에는 기억부(8)에 기억되어, CPU(7)는 그 범위 내이면 에러는 아니라고 판단한다. 도 27, 도 28에서는 알기 쉽게 하기 위해 오버랩부(2703)의 중심선(2706)을 기입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중심선(2706)은 온 그리드이지만, 오버랩의 방법에 따라서는 온 그리드가 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When the overlap amount is designated by the operation unit 16 as an offset value, it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8, and the CPU 7 judges that it is not an error if it is within the range. In FIG. 27, FIG. 28, the center line 2706 of the overlap part 2703 is written in order to make it clear. In this example, the centerline 2706 is on-grid, but it may not be on-grid depending on the method of overlap.

도 29는 패널기판 상에 배치된 반복요소(패널 레이아웃 요소) A(L)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0은 패널기판 상에 배치된 반복요소 B(R)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1은 패널기판 상에 배치된 반복요소 A, B의 논리곱(AND)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한, 도 32는 패널기판 상에 배치된 반복요소 A, B의 AND의 논리값 표이고, 각 그리드 격자점에 대한 AND의 정의를 나타내고 있다.FIG. 29 shows a repeating element (panel layout element) A (L) disposed on a panel substrate, FIG. 30 shows a repeating element B (R) arranged on a panel substrate, and FIG. 31 shows a panel substrate. It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AND of AND of repeating elements A and B arrange | positioned on it. 32 is a logical value table of AND of repeating elements A and B arranged on the panel substrate, and shows the definition of AND for each grid lattice point.

도 29~도 32에 있어서, 배치된 반복요소 A, B는 ○로 표시된 노광되지 않는 그리드 격자점(2901)과, ●로 표시된 노광되는 그리드 격자점(2902)에 의해서 비노광영역과 노광영역이 표시되어 있다.29 to 32, the arranged repeating elements A and B have an unexposed area and an exposure area by an unexposed grid lattice point 2901 and a grid lattice point 2902 exposed by?. Is indicated.

또한, 도 31에 있어서, 배치된 반복요소 A, B는 오버랩부(2703)에 의해서 오버랩되어 있다. 이것이 오버랩에 의한 2중 노광을 생성시키는 가장 일반적인 예이다. 검출된 오버랩부(2703)는, 지정된 폭 플러스 마이너스 내의 소정의 오프셋값에 들어가 있으면 에러가 아닌 것으로 한다.In addition, in FIG. 31, the repeating elements A and B which are arrange | positioned are overlapped by the overlap part 2703. As shown in FIG. This is the most common example of creating double exposure by overlap. The detected overlap part 2703 is not an error if it falls within the predetermined offset value within the specified width plus minus.

도 33~도 36은, AND처리에 의해 추출된 2중 노광영역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로 표시된 노광되지 않는 그리드 격자점과, ●로 표시된 노광되는 그리드 격자점에 의해서 비노광영역과 노광영역이 표시되어 있다.33-36 is a figure which shows the example of the double exposure area extracted by AND process. In addition, the non-exposed area and the exposure area are displayed by the grid lattice points which are not exposed as indicated by o and the grid lattice points which are exposed by o.

도 33은, 도 29~도 32에 나타낸 예와 동일하고, 패널기판 상에 배치된 2개의 반복요소 A, B가 오버랩부(2703)만 오버랩하여 배치된 예이다. 배치된 반복요소 A, B의 AND처리에 의해서, 오버랩량(오프셋값)이 3 그리드 격자분으로 되어 있어, 통상은 정상으로 판단되는 예이다.33 is the same as the example shown in FIGS. 29-32, and is the example in which two repeating elements A and B arrange | positioned on the panel board | substrate overlap only the overlap part 2703. In FIG. By the AND processing of the arranged repeating elements A and B, the overlap amount (offset value) is three grid gratings, which is an example normally determined to be normal.

도 34는, 패널기판 상에 배치된 2개의 반복요소 A, B는 오버랩부(2703)로서 1 그리드 격자분만을 공유하고 있고, 지정된 폭 플러스 마이너스의 소정 오프셋값에는 들어가지 않아, 통상은 에러로 판단되는 예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4와 같이 오버랩 영역이 1 그리드 격자인 경우를 접노광-1이라고 칭한다.Fig. 34 shows that two repeating elements A and B arranged on a panel substrate share only one grid lattice as the overlap portion 2703, and do not enter the predetermined offset value of the specified width plus minus, and usually is an error. This is an example. In this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overlap area is one grid grating as shown in FIG. 34 is referred to as fold exposure-1.

도 35의 예는, 패널기판 상에 배치된 2개의 반복요소 A, B가, 1 그리드 격자분의 간격을 두고 인접하고 있는 데이터 배치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예를 접노광-2라고 칭하고, 통상은 에러라고 판단된다. 본 예에서는, AND처리 결과의 영역은 추출되지 않지만, OR처리를 행함으로써 1개의 닫힌 도형이 추출된다면 접노광-2의 타입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In the example of FIG. 35, two repeating elements A and B arranged on a panel substrate are adjacent to each other at intervals of one grid lattice. In this embodiment, this example is called exposure exposure-2, and it is judged that it is an error normally. In this example, the area of the AND processing result is not extracted, but if one closed figure is extracted by performing the OR process,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type of exposure exposure-2 is.

도 36의 예는, 패널기판 상에 배치된 2개의 반복요소 A, B가, 2 그리드 격자 이상 간격이 떨어져 있는 데이터 배치이다. 본 예에서는, AND처리 결과의 영역은 추출되지 않고, 또한 패널기판 상에 배치된 2개의 반복요소 A, B가, 2 그리드 격자 사이에는 1개 이상의 비노광영역 그리드 격자점(3601)이 존재한다. 이는 후술하는 비노광영역(3601)의 추출에 의해 검출된다.36 shows a data arrangement in which two repeating elements A and B arranged on a panel substrate are spaced apart by two or more grid grids. In this example, the region of the AND processing result is not extracted, and there are two repeating elements A and B arranged on the panel substrate, and at least one non-exposed area grid lattice point 3601 exists between the two grid lattice. . This is detected by extraction of the non-exposed area 3601 described later.

도 37 및 도 38은, 보정 패턴을 부가한 반복요소를 갖는 레티클 데이터에 관 하여, 2중 노광을 행하는 경우의 설명도이다.37 and 38 are explanatory views in the case of performing double exposure with respect to the reticle data which has a repeating element which added the correction pattern.

도 37에 있어서, 설정된 쇼트 프레임(1002)에 의해서,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 중의 제1층 메탈 배선(3702) 및 제2층 메탈 배선(3703)이 잘라내어져 있다.In FIG. 37, the first layer metal wiring 3702 and the second layer metal wiring 3703 in the panel layout data are cut out by the set short frame 1002.

보정 패턴을 설치하는 경우, 도 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층 메탈 배선(3702) 및 제2층 메탈 배선(3703)의 각 단부에, 각각 제1층 메탈 배선(3702)이나 제2층 메탈 배선(3703)의 폭보다도 소정 길이 폭이 넓고, 그들의 길이방향에 소정 길이를 갖는 보정 패턴(1004)을 연속적으로 일체로 형성한다.When providing a correction pattern, as shown in FIG. 38, the 1st layer metal wiring 3702 and the 2nd layer metal are respectively in the edge part of the 1st layer metal wiring 3702 and the 2nd layer metal wiring 3703, respectively. The predetermined length width is wider than the width of the wiring 3703, and the correction pattern 1004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is continuously formed integrally.

그 내연(1006)이 보정 패턴(1004)의 외연측과 소정 길이(예를 들면 1 그리드 격자분) 겹쳐지도록, 소정 폭의 블라인드 프레임(1005)이 형성된다.A blind frame 1005 of a predetermined width is formed so that the inner edge 1006 overlaps the outer edge side of the correction pattern 1004 by a predetermined length (for example, one grid lattice).

블라인드 프레임(1005)의 내연(1006)과 보정 패턴(1004)의 외연이 소정 길이(예를 들면 1 그리드 격자분) 겹치도록, 소정 폭의 블라인드 프레임(1005)이 형성된다.A blind frame 1005 of a predetermined width is formed so that the inner edge 1006 of the blind frame 1005 and the outer edge of the correction pattern 1004 overlap a predetermined length (for example, one grid lattice).

또한, 블라인드 프레임(1005)과 보정 패턴(1004)은 겹쳐지지 않고, 블라인드 프레임(1005) 내연과 보정 패턴(1004)은 접하도록 형성해도 된다.The blind frame 1005 and the correction pattern 1004 may not overlap each other, and the inner frame and the correction pattern 1004 of the blind frame 1005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여기에서는 생성된 보정 패턴(1004)이 2중 노광의 대상이 되는 영역(1007)이 된다.Here, the generated correction pattern 1004 becomes the area 1007 which is a target of double exposure.

따라서, 도 39, 도 4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정 패턴(1004)이 바르게 2중 노광영역으로 되어 있는지 여부를 AND처리의 결과도 사용하여 검증하게 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s. 39 and 40, it is verified using the result of the AND process whether or not the correction pattern 1004 is properly a double exposure area.

즉, 도 39에 있어서, 패널기판 상에 배치된 반복요소 A, B는, 쇼트 프레임(1002) 중의 지정된 쇼트 프레임 영역(3903, 3904)이 겹치도록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반복요소 A의 보정 패턴(1004)과 반복요소 B의 보정 패턴(1004)이 겹쳐져 2중 노광되게 되어, 패널기판 상에는, 반복요소 A의 메탈 배선(3901)과 반복요소 B의 메탈 배선(3902)이 연속하여 형성되게 된다.That is, in Fig. 39, the repeating elements A and B arranged on the panel substrate are arranged so that the designated shot frame regions 3403 and 3904 in the shot frame 1002 overlap. As a result, the correction pattern 1004 of the repeating element A and the correction pattern 1004 of the repeating element B are overlapped and exposed twice, and on the panel substrate, the metal wiring 3901 of the repeating element A and the metal of the repeating element B are exposed. The wiring 3902 is formed continuously.

도 40은, 이 모습을 그리드 격자점을 사용하여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0에 있어서, 반복요소 A의 쇼트 프레임 영역(3903)과 반복요소 B의 쇼트 프레임 영역(3904)을 겹쳐서, 반복요소 A, B의 그리드 격자점끼리 AND 논리처리를 행한 결과, 연속한 영역 A', 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는 논리 1로 노광되는 그리드 격자점을 표시하고, ○는 논리 0으로 노광되지 않는 그리드 격자점을 표시하고 있다.40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this state using grid lattice points. 40, as a result of overlapping the short frame region 3403 of the repeating element A and the short frame region 3904 of the repeating element B and performing the AND logic process between the grid grid points of the repeating elements A and B, the continuous region A ', B' is formed. In addition, ● indicates grid lattice points exposed by logic 1, and ○ indicates grid lattice points not exposed by logic 0.

또한, 도 38에는 블라인드 프레임 내연(1006)과 도형 데이터의 2중 노광 검증도 설명하고 있다. 즉, 도형 데이터(도 38의 경우에는 보정 패턴(1004))가 얼마만큼 블라인드 프레임(1005) 내부에 들어가 있는지를 검증하는 것으로서, 이 경우는 접노광-1(도 34 참조)인 '1' 즉 1 그리드 격자분 겹쳐져 접하는 것이 통상이다. 즉, 통상은 오버랩량인 오프셋값은 그리드 격자 1개분의 경우를 정상이라고 한다.38 also illustrates the double exposure verification of the blind frame internal combustion 1006 and the figure data. That is, it is to verify how much the figure data (correction pattern 1004 in the case of FIG. 38) is inside the blind frame 1005. In this case, it is '1', that is, exposure exposure-1 (see FIG. 34). It is common to overlap one grid lattice. That is, the offset value, which is usually the overlap amount, is assumed to be normal for one grid lattice.

단, 이 경우도 AND처리가 적용되어 2중 노광영역이 상기 지정된 오프셋값보다 큰 경우, 또는 작은 경우에는 에러가 된다.However, also in this case, an AND process is applied and an error occurs when the double exposure area is larger or smaller than the specified offset value.

또한, 도 38의 블라인드 프레임 내연(1006)과 도형 데이터의 2중 노광 검증은 이번 검증 중에서 다소 성질이 다르다. 즉, 레티클 레이아웃 데이터만 있으면 검증할 수 있기 때문에 좌표정보는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러나,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련의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좌표정보를 토대로 전개 배치한 결과에 대해 함께 검증처리를 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The double exposure verification of the blind frame internal combustion 1006 and the figure data in FIG. 38 is somewhat different in this verification. That is, coordinate information is not necessary because only reticle layout data can be verified. However, when performing a series of processes as shown in FIG. 15,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a verification process with respect to the result of the arrangement | positioning based on coordinate information.

도 41 및 도 42는 비노광영역 유무의 검증처리, 즉 패널기판의 전체 영역이 레티클 레이아웃 데이터(162)에 의해서 커버되었는지 여부의 검증처리에 대해서 설명하는 설명도이다.41 and 42 are explanatory views for explaining the verification processing for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non-exposed area, that is, whether the entire area of the panel substrate is covered by the reticle layout data 162. FIG.

도 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티클(13)에 설치된 레티클 레이아웃 데이터(162) 내의 반복요소(163)를, 좌표정보를 토대로 유사적으로 패널기판(12) 상에 노광처리하고, 패널기판(12) 상에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161)를 유사적으로 형성 배치해간다.As shown in FIG. 41, the repeating element 163 in the reticle layout data 162 provided in the reticle 13 is exposed to the panel substrate 12 similarly on the basis of the coordinate information, and the panel substrate 12 The panel layout data 161 is similarly formed and arranged on the surface.

레티클 레이아웃 데이터(162) 내의 반복요소(163)를 좌표정보를 토대로 패널기판(12) 상에 배치할 때, 도 4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복요소(163)의 블라인드 프레임의 내연에서 포함되는 노광 대상 영역과, 이 노광 대상 영역에 대응하는 패널기판(12)의 영역의 논리 OR을 취해간다. 이것을 전체 반복요소(163)에 대해 행하고, 패널기판(12) 상에 논리 0으로 되어 있는 그리드 격자가 존재하면, 그 영역은 노광 대상이 되지 않은 영역으로 에러이다.When arranging the repeating element 163 in the reticle layout data 162 on the panel substrate 12 based on the coordinate information, as shown in FIG. 42, the exposure target included in the inner edge of the blind frame of the repeating element 163. A logical OR of the area and the area of the panel substrate 12 corresponding to the exposure target area is taken. This is done for all the repeating elements 163, and if there is a grid grating of logic 0 on the panel substrate 12, the area is an error in the area not to be exposed.

도 41에는 반복요소 R1이 결락(缺落)되어 있기 때문에, 패널기판(12) 상에 레티클 데이터로 커버되지 않는(패널 레이아웃 데이터가 형성되지 않는) 영역(4101)이 발생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고, 이 경우 CPU(7)는 에러로 인식한다.41 shows an example in which a region 4101 is generated on the panel substrate 12 that is not covered with reticle data (no panel layout data is formed) because the repeating element R1 is missing. In this case, the CPU 7 recognizes it as an error.

이상 설명한 레티클 데이터의 논리처리와 검증항목의 관계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gic processing of the reticle data and the verification item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한쪽 노광 검증의 경우, 논리처리 또는 차분처리는, 도형 A와 도형 B에 대해 A와 B의 논리합(A OR B)을 취하고, 그 결과의 도형 A를 포함하는 영역 A'와 도형 A의 배타적 논리합(A' XOR A)을 취한다. 또는, 상기 논리합 결과의 도형 A를 포함하는 영역 A'와 도형 A의 차분을 취한다. 검출항목으로서는, 도형 A를 포함하는 영역에만 존재하고 도형 B를 포함하는 영역에 존재한 데이터를 검출한다(도 20~도 26 참조).In the case of one exposure verification, the logic or difference processing takes an OR of A and B with respect to the figures A and B, and the exclusive OR of the region A 'and the figure A including the resulting figure A Take (A 'XOR A). Alternative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gion A 'and the figure A including the figure A of the logical sum result is taken. As a detection item, data which exists only in the area | region containing the figure A, and existed in the area | region containing the figure B is detected (refer FIG. 20-FIG. 26).

2중 노광 검증(접노광-1을 포함한다)의 경우, 논리처리 또는 차분처리는, 도형 A와 도형 B에 대해 A와 B의 논리곱(A AND B)을 취한다. 검출항목으로서는, 2중 노광영역을 검출하고, 설정된 파라미터를 토대로 에러인지 여부를 판정하여, 에러로 판정한 경우에는 이 판정결과를 에러 리포트로서 출력한다(도 27~도 36, 도 39, 도 40 참조).In the case of the double exposure verification (including the exposure exposure-1), the logical processing or the differential processing takes a logical product (A AND B) of A and B with respect to the figures A and B. As a detection item, it detects a double exposure area, determines whether it is an error based on the set parameter, and if it determines with an error, outputs this determination result as an error report (FIGS. 27-36, 39, 40). Reference).

접노광-2의 경우, 논리처리 또는 차분처리는, 도형 A와 도형 B에 대해 A와 B의 논리곱(A AND B)을 취한다. 이 결과가 논리 0(도형 없음)이고, 또한 A와 B의 논리합(A OR B)의 결과가 하나의 도형을 형성하는 경우, 검출항목으로서는, 접노광-2 영역의 검출을 행하여, 설정된 파라미터를 토대로 에러 여부를 판정하고, 에러로 판정한 경우에는 이 판정결과를 에러 리포트로서 출력한다(도 39, 도 40 참조).In the case of the exposure exposure-2, the logic process or the difference process takes a logical product (A AND B) of A and B with respect to the figures A and B. When this result is logical 0 (no figure) and the result of the logical sum (A OR B) of A and B forms one figure, the detection item is detected by the exposure exposure-2 region, and the set parameter is applied. On the basis of this, whether or not an error is determined is judged, and when it is determined as an error, this determination result is output as an error report (see FIGS. 39 and 40).

비노광 검증의 경우, 논리처리 또는 차분처리는, 전체 레티클 레이아웃 데이터를 패널기판 상에 배치 전개하고, 논리합(OR)처리를 행한다. 검출항목으로서는, OR의 비트가 서지 않는(OR처리의 결과가 논리 0이 되는) 그리드 격자점을 비노광 영역으로서 검출한다(도 41, 도 42 참조).In the case of non-exposure verification, the logic process or the difference process arranges and expands all the reticle layout data on the panel substrate and performs an OR operation. As a detection item, grid lattice points at which the bits of the OR are not written (where the result of the OR processing is logical 0) are detected as the non-exposed areas (see FIGS. 41 and 42).

도 43 및 도 44는, 검증결과의 그래픽 표시에 대해서 설명하는 설명도로서, 도 43은 표시부(1)에 표시되는 다이얼로그 박스(431)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4는 표시부(1)의 패널기판 윈도우(12)에 표시되는 그래픽 데이터 형식의 에러 표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43 and 44 are explanatory diagrams for explaining the graphic display of the verification result. FIG. 43 is a diagram showing a dialog box 431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 and FIG. 44 is a panel substrate of the display unit 1.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error display of the graphic data format displayed on the window 12. FIG.

검증조건 등의 설정은, 조작부(16)에 의해서 다이얼로그 박스(431) 내의 조작버튼을 조작함으로써 설정한다. 예를 들면, 검증은 전체 레이어 단위로 행해지기 때문에, 조작부(16)로부터 다이얼로그 박스(431)에서 표시하고자 하는 레이어의 지정을 행하고, 계속해서 표시하고자 하는 에러 타입을 지정하여 검색을 지시한다.The setting of the verification condition is set by operating the operation button in the dialog box 431 by the operation unit 16. For example, since verification is performed in units of all layers, the operation unit 16 designates a layer to be displayed on the dialog box 431, and then specifies an error type to be displayed to instruct the search.

여기서, 표시하고자 하는 에러 타입이란, 한쪽 노광, 2중 노광, 접노광-1, 접노광-2, 비노광의 5종류이다. 각 에러타입은 표시하는 색을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4에서는, ●는 상기 5종류의 에러 중 어느 하나의 에러를 갖는 그리드 격자점(에러 그리드 격자점)을 표시하고, ○는 상기 에러를 갖지 않는 그리드 격자점을 표시하고 있다.Here, the error types to be displayed are five kinds of exposure, single exposure, double exposure-1, close exposure-2, and non-exposure. Each error type can specify the color to display. In Fig. 44,? Indicates a grid lattice point (error grid lattice point) having an error of any of the five types of errors, and? Indicates a grid lattice point having no error.

CPU(7)는, 설정된 조건을 토대로 에러 개소가 몇개소 있는지를 유저에 표시한다.The CPU 7 displays to the user how many error points there are based on the set conditions.

계속해서, 유저가 조작부(16)에 의해서 표시조작 영역(432) 내의 각 조작버튼을 조작하여, 에러의 개소를 다음, 이전, 최초, 최후로 지시하면 그 때 패널기판 윈도우(12)에 표시되어 있는 에러 영역에 대해, 지시된 내용이 표시된다.Subsequently, when the user operates each operation button in the display operation area 432 by the operation unit 16 and instructs the location of the error next, previous, first, or last, it is displayed on the panel substrate window 12 at that time. For an error area that is present, the indicated content is displayed.

에러 개소는 여러 개소가 표시되는 것이 통례로서, 예를 들면 그 다음을 지정하면, 거기서 표시되어 있는 해상도에 있어서 상방 좌측을 시점으로 하여 우측으 로 이동하고, 우측에 영역이 없으면 하방 좌측으로 점프하여 표시를 행한다. 또한 확대, 축소가 지시된다면 그 때 표시되어 있는 중심좌표에 대해 확대 또는 축소한 그래픽 데이터를 표시한다.It is common that the error point is displayed in several places. For example, if the next is designated, the left side is shifted to the right with the upper left as the starting point in the resolution displayed there. Display. In addition, if enlargement or reduction is instructed, graphic data enlarged or reduced for the displayed central coordinate is displayed.

도 45는, 검출된 에러 도형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에러 데이터는, 탑 모듈(451)에 에러 모듈(452, 454, 456, 458)의 모듈명이 자동생성되어 링크된다. 에러가 되는 도형 데이터(453, 455, 457, 459)는 각 에러 모듈(452, 454, 456, 458)의 바로 아래에 링크된다. 에러 모듈(452, 454, 456, 458)은 인스턴스명도 라이브러리명도 동일하고, 따라서 동일한 형상을 한 에러 데이터여도 공유화는 되지 않는다. 이는 에러는 패널기판에 있어서 기본적으로는 독립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이다.4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structure of a detected error figure. The error data is automatically generated and linked to the top module 451 by the module names of the error modules 452, 454, 456, and 458. The graphic data (453, 455, 457, 459) which become an error are linked directly under each error module (452, 454, 456, 458). The error modules 452, 454, 456, and 458 have the same instance name and library name. Therefore, even error data having the same shape is not shared. This is because errors occur basically independently of the panel substrate.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레티클 검증 시스템에 있어서는, CPU(7)는, 기억부(8)의 데이터 파일 기억부(5)에 기억된 노광요소의 도형 데이터 및 좌표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노광요소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의 패널 레이아웃 요소(레이아웃 도형요소)를 생성하고, 복수의 상기 패널 레이아웃 요소의 위치관계를 토대로 하는 검증결과를 표시부(1)에 표시한다. 또한, 에러 여부의 판단기준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복수의 상기 패널 레이아웃 요소의 위치관계를 판별함으로써 상기 노광요소의 에러 여부를 검증하고, 검증결과를 표시부(1)에 표시한다. 표시부(1)에서는, 패널기판 윈도우(9) 또는 레티클 윈도우(10) 내에, 또는 이들의 윈도우와 관계없는 표시영역에 상기 검증결과를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reticle ve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PU 7 refers to the figure data and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exposure element stored in the data file storage 5 of the storage 8. Thus, a panel layout element (layout figure element) on the display panel corresponding to the exposure element is generated, and a verification result based o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plurality of panel layout elements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 In addition, when an error criterion is set,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plurality of panel layout elements is determined to verify whether the exposure element is in error, and the verification resul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 The display unit 1 displays the verification results in the panel substrate window 9 or the reticle window 10 or in a display area irrelevant to these windows.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레티클 검증 시스템은, 레티클 레이아웃 데이터와 노광요소(반복요소)의 배치정보를 입력으로 하고, 노광장치의 동작을 시뮬레이션하며 또한 도형 연산처리함으로써, 유사적으로 노광처리를 행하여, 레티클에 의해서, 패널기판 상에 적정한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가 형성되는지 여부의 검증, 환언하면 레티클의 적정 여부의 검증을 행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reticle ve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puts the reticle layout data and the arrangement information of the exposure element (repetition element), simulates the operation of the exposure apparatus, and performs a graphic calculation process to perform exposure processing similarly. The reticle is used to verify whether or not proper panel layout data is formed on the panel substrate, in other words, to verify proper reticle.

즉, 작성된 레티클 데이터가 옳은지 여부를, 노광장치를 시뮬레이션하는 것과 도형 연산처리를 행함으로써, 레티클 데이터를 검증할 수 있다. 이는 특히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를 제조할 때 사용되는 레티클 데이터 검증에 위력을 발휘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레티클 레이아웃 데이터와 좌표정보로부터 작성되는 패널기판 데이터가 바르게 노광되어야 하는 데이터로 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해서 검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at is, the reticle data can be verified by simulating the exposure apparatus and performing a graphic arithmetic operation on whether the generated reticle data is correct. This is particularly useful for verifying the reticle data used when manufacturing a flat panel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anel substrate data created from the reticle layout data and the coordinate information is correctly exposed data. Can be verified.

또한, 노광장치의 동작 시뮬레이션과 도형 연산처리를 토대로 하는 검증기능을 추가함으로써 가능해지기 때문에, 제조공정에 들어가기 전에 검증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it becomes possible by adding the verification function based on the operation simulation of the exposure apparatus and the figure calculation process, it is possible to verify before ente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이 결과,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의 제조에 있어서, 작업시간도 포함한 비용면에 커다란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레티클 검증 시스템을 제조 전에 실시해 둠으로써, 레티클이 바른 데이터인 것을 확인해 두면, 불필요한 비용 부담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s a result, in the manufacture of flat panel displays, there is a great effect on the cost including the working time. In other words, by performing the reticle ve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manufactur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unnecessary cost burden in advance if it is confirmed that the reticle is correct data.

그것들은 레티클 제작비용, 패널기판 제작비용, 오제조된 경우에 있어서의 인건비를 포함하는 제조시간과 해석시간의 비용 등으로 이들 불필요한 출비를 하지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이 효과는 영역의 분할만 필요한 단순한 반복배치 지정의 경우에 있어서도 완전히 동일하다. 왜냐하면 반복지정에 인위적 지시 실수가 들어 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y do not have to make such unnecessary expenditures at the cost of manufacturing time and analysis time, including reticle manufacturing cost, panel substrate manufacturing cost, labor cost in the case of mis-manufacturing. This effect is exactly the same in the case of simple repetition designation that only requires division of regions. This is because there are many cases of artificial designation mistakes in repetitive designation.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표시부(1), 조작부(16), CPU(7) 및 기억부(8)를 갖는 컴퓨터에 실행시킴으로써 상기 레티클 검증 시스템을 구축하는 레티클 검증용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효과를 나타내는 레티클 검증방법이 제공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ticle verification program for constructing the reticle verification system by executing on a computer having the display unit 1, the operation unit 16, the CPU 7, and the storage unit 8. Become. In addition, a reticle verification method is provided.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하나의 컴퓨터를 사용하여 레티클 검증 시스템을 구축하도록 하였지만, 복수의 컴퓨터를 사용하여 구축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각 프로그램은 시스템 구성에 따라서 적절히 분할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reticle verification system is constructed using one computer, but may be constructed using a plurality of computers. In this case, the above programs can be configured as appropriately divided according to the system configuration.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각종 디스플레이 제조용 레티클의 검증을 행하는 레티클 검증 시스템에 이용 가능하다. 또한, 컴퓨터를, 각종 디스플레이 제조용 레티클의 검증을 행하는 레티클 검증 시스템으로서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에 이용 가능하다.It can be used for a reticle verification system which verifies reticles for manufacturing various displays such as liquid crystal displays. The computer can also be used for a program that functions as a reticle verification system that verifies various reticles for display produ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 패널기판과 레티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nel substrate for flat panel displays, and a reticle i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패널기판 상의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와 레티클 상의 레티클 레이아웃 데이터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panel layout data on a panel substrate and reticle layout data on a reticl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레티클 데이터를 생성할 때의 전체적인 표시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display contents when generating reticle data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레티클 데이터를 생성할 때의 전체적인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4 is a flowchart showing the overall processing when generating the reticle data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panel layout data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레티클 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reticle data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레티클 데이터의 테이블이다.7 is a table of reticle data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좌표정보 출력처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8 is a diagram showing coordinate information output processing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좌표정보 출력처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9 is a diagram showing coordinate information output processing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노광영역의 분할처리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FIG. 10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method of performing division processing of an exposure area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노광영역의 분할처리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It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division processing method of the exposure area i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노광영역의 분할처리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It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division processing method of the exposure area i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노광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3 is a view showing an exposure elemen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레티클 검증 시스템의 블록도이다.14 is a block diagram of a reticle verification system of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레티클 검증 시스템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processing of the reticle ve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각종 데이터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relationship of the various data i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데이터 테이블이다.17 is a data tab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패널기판 상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8 is a diagram showing a data structure on a panel substrat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패널기판 상의 데이터 구조에 대응하는 테이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9 shows a table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data structure on the panel substrat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형의 각종처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It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various process of the figure i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형의 각종처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It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various process of the figure i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한쪽 노광영역 검출의 OR처리를 나 타내는 설명도이다.Fig. 22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OR process of detecting one exposure area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한쪽 노광영역 검출의 OR처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It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OR process of detection of one exposure area i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한쪽 노광영역 검출의 OR처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24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OR process of detecting one exposure area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배타적 논리합 처리 또는 차분처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It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exclusive OR process or difference process i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배타적 논리합 처리 또는 차분처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It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exclusive OR process or difference process i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노광 데이터의 오버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It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overlap of exposure data i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노광 데이터의 오버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It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overlap of exposure data i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패널기판 상에 배치된 반복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9 is a diagram showing repeating elements disposed on a panel substrat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패널기판 상에 배치된 반복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0 is a diagram showing repeating elements disposed on a panel substrat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패널기판 상에 배치된 반복요소의 논리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Fig. 31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the logical product of the repeating elements arranged on the panel substrat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패널기판 상에 배치된 반복요소의 논리값 표이다.32 is a logic value table of repeating elements disposed on the panel substrat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2중 노광영역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example of the double exposure area i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2중 노광영역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example of the double exposure area i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2중 노광영역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example of the double exposure area i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2중 노광영역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example of the double exposure area i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3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2중 노광처리의 설명도이다.37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double exposure proces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2중 노광처리의 설명도이다.38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double exposure proces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2중 노광 검증처리의 설명도이다.39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double exposure verification proces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2중 노광 검증처리의 설명도이다.It is explanatory drawing of the double exposure verification process i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4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비노광영역 검증처리의 설명도이다. 41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non-exposed area verification proces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비노광영역 검증처리의 설명도이다. 42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non-exposed area verific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검증결과의 설명도이다.43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verification result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검증결과의 설명도이다.44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verification result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검출된 에러 도형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5 is a diagram showing a data structure of an error figure detect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the sign

1…표시부One… Display

2…키보드2… keyboard

3…마우스3 ... mouse

4…프로그램 기억부4… Program memory

5…데이터 파일 기억부5... Data file storage

6…파일 기억부6... File storage

7…CPU7 ... CPU

8…기억부8… Memory

9…패널기판 윈도우9... Panel Board Window

10…레티클 윈도우10... Reticle windows

11…메뉴 윈도우11... Menu window

12, 101, 210, 801…패널기판12, 101, 210, 801... Panel board

13, 205, 805, 808, 811…레티클13, 205, 805, 808, 811... Reticle

16…조작부16... Control panel

102, 212…노광영역102, 212... Exposure area

103…노광 가능 영역103... Exposed Area

104…광원계 기구104... Light source

105…차광계 기구105... Shading system

107…노광면107... Exposed surface

162…레티클 레이아웃 데이터162... Reticle layout data

163…노광요소(반복요소)163... Exposure Element (Repeating Element)

201~204…액정패널201-204. LCD panel

206…레티클 레이아웃 데이터206... Reticle layout data

161, 211, 802, 1003…패널 레이아웃 데이터161, 211, 802, 1003... Panel layout data

213, 1002…쇼트 프레임213, 1002... Short frame

431…다이얼로그 박스431... Dialog box

432…표시조작영역432... Display operation area

804…얼라이먼트 마크804... Alignment mark

806, 809, 810, 812, 813…반복요소806, 809, 810, 812, 813... Repeat element

1004…보정 패턴1004... Correction pattern

1005…블라인드 프레임1005... Blind frame

1006…내연(內緣)1006... Internal combustion

1007…2중 노광을 행하는 부위1007... Site to perform double exposure

1008, 2001, 2703…오버랩부1008, 2001, 2703... Overlap part

1301…사선부1301... Oblique line

2101…한쪽 노광영역2101... Single exposure area

2201, 2706…중심선2201, 2706... center line

2707…노광 데이터2707... Exposure data

2704, 2705, 2901, 2902…그리드 격자점2704, 2705, 2901, 2902... Grid grid points

2707…데이터2707... data

3601…비노광영역 그리드 격자점3601... Non-exposed grid grid points

3702, 3703, 3901, 3902…메탈배선3702, 3703, 3901, 3902... Metal wiring

3903, 3904…쇼트 프레임 영역3903, 3904... Short frame area

Claims (11)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노광용 레티클에 포함되는 노광요소의 도형 데이터와, 그리드 격자점의 좌표에 의해서 표시되고, 디스플레이 패널 상의 상기 노광요소의 노광위치를 표시하는 좌표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Storage means for storing figure data of the exposure element included in the flat panel display exposure reticle, coordinate information displayed by the coordinates of the grid lattice points, and indicating the exposure position of the exposure element on the display panel;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노광요소의 도형 데이터 및 좌표정보를 토대로, 상기 노광요소에 대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의 레이아웃 도형요소를 생성하는 레이아웃 도형요소 생성수단과,Layout figure element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 layout figure element on the display panel corresponding to the exposure element based on the figure data and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exposure element stored in the storage means; 상기 레이아웃 도형요소 생성수단이 생성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의 복수의 레이아웃 도형요소의 위치관계를 토대로 상기 노광요소를 검증하는 검증수단과,Verification means for verifying the exposure element based o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a plurality of layout figure elements on the display panel generated by the layout figure element generation means; 적어도 상기 검증수단이 검증한 결과를 표시하는 윈도우를 가지는 표시수단을 구비하고,Display means having at least a window for displaying a result verified by the verification means, 상기 검증수단은, 상기 복수의 레이아웃 도형요소에 대응하는 그리드 격자점끼리의 연산처리를 행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노광요소를 검증하며,The verification means verifies the plurality of exposure elements by performing arithmetic processing of grid grid point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layout figure elements,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검증수단에 의한 검증결과 얻어지는 도형을 상기 윈도우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티클 검증 시스템.And the display means displays a figure obtained on the result of verification by the verification means on the window.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검증수단은, 2개의 레이아웃 도형요소의 논리 OR처리를 행한 후, 상기 어느 하나의 레이아웃 도형요소와 상기 논리 OR의 결과 얻어지는 도형요소 중의 당해 레이아웃 도형요소에 대응하는 영역의 논리 XOR처리 또는 차분처리를 행함으로써, 상기 2개의 레이아웃 도형요소의 차이를 추출하는 차이 추출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티클 검증 시스템.The verification means performs logical OR processing of the two layout figure elements, and then performs logical XOR or differential processing of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layout figure element among the one layout figure element and the figure element obtained as a result of the logical OR. And difference extracting means for extrac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layout figure element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검증수단은, 2개의 레이아웃 도형요소의 논리 AND처리를 행함으로써 상기 2개의 레이아웃 도형요소의 오버랩량을 검출하는 오버랩량 검출수단을 구비해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티클 검증 시스템.And said verifying means comprises overlap amount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n overlap amount of said two layout figure elements by performing a logical AND process of two layout figure elements.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검증수단은, 상기 오버랩량 검출수단이 검출한 오버랩량이, 지시된 오프셋값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검증하는 오프셋 검증수단을 구비해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티클 검증 시스템.And the verifying means comprises offset verifying means for verifying whether or not the overlap amount detected by the overlap amount detecting means satisfies the indicated offset value.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검증수단은, 상기 오버랩량 검출수단이 상기 2개의 레이아웃 도형요소의 오버랩량이 없는 것을 검출한 후, 논리 OR처리를 행하여 2개의 레이아웃 도형요소가 닫힌 하나의 도형으로 형성되는 결과가 확인된 경우에는 상기 2개의 레이아웃 도형요소는 연속된 도형요소라고 판별하는 요소 판별수단을 구비해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티클 검증 시스템.If the verification means detects that the overlap amount detection means does not have an overlap amount of the two layout figure elements, and performs a logical OR process, when it is confirmed that a result of forming two layout figure elements into one closed figure is confirmed, And the two layout figure elements are provided with element discriminating means for discriminating them as consecutive figure element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각 노광요소에는 도형요소 및 상기 도형요소를 둘러싸는 소정 폭의 블라인드 프레임이 포함되고,Each of the exposure elements includes a figure element and a blind fram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surrounding the figure element, 상기 검증수단은, 상기 블라인드 프레임 내연에 대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의 그리드 격자점에 대해 소정 오프셋값의 범위 내에, 상기 도형요소의 레이아웃 도형요소의 종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증하는 종점 검증수단을 구비해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티클 검증 시스템.The verifying means includes end point verifying means for verifying whether or not an end point of a layout figure element of the figure element exists within a range of a predetermined offset value with respect to a grid lattice point on the display panel corresponding to the blind frame inner edge; Reticle verif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에러의 검증결과가 포함되는 에러 레이어를 지정하는 지정수단을 가지고,Specifying means for specifying an error layer in which an error verification result is included, 상기 표시수단이 상기 검증결과를 표시하는 윈도우 상에 에러 도형정보를 표시하는 경우, 상기 지정수단이 지정한 에러 레이어의 에러 도형정보를 레이어 단위로 상기 윈도우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티클 검증 시스템.And when the display means displays the error figure information on the window displaying the verification result, the error figure information of the error layer designated by the designation means is displayed on the window in units of layers. 제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검증결과를 표시하는 윈도우와는 상이한 다이얼로그 박스를 가지고,The display means has a dialog box different from the window displaying the verification result, 상기 지정수단은 상기 다이얼로그 박스 상에서 상기 에러 레이어를 지정하며,The designation means designates the error layer on the dialog box,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다이얼로그 박스 상에서 에러 개수를 표시하는 동시에, 상기 지정수단에 의한 에러 레이어의 지정에 응답하여 당해 레이어의 에러 도형정보를 상기 윈도우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티클 검증 시스템.And said display means displays the number of errors on said dialog box, and displays error figure information of said layer on said window in response to designation of an error layer by said designation means. 제1항 및 제4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레티클 검증 시스템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A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functioning as the reticle ve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and 4.
KR1020080076841A 2007-09-04 2008-08-06 Reticle inspection system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KR10104126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229215 2007-09-04
JP2007229215A JP5020003B2 (en) 2007-09-04 2007-09-04 Reticle verification system and progra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4616A KR20090024616A (en) 2009-03-09
KR101041263B1 true KR101041263B1 (en) 2011-06-14

Family

ID=40462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6841A KR101041263B1 (en) 2007-09-04 2008-08-06 Reticle inspection system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020003B2 (en)
KR (1) KR101041263B1 (en)
CN (1) CN101382736B (en)
TW (1) TWI384568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81356A (en) * 2012-12-14 2013-03-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Method for reducing mask board splicing errors
JP6598421B2 (en) 2013-02-22 2019-10-30 キヤノン株式会社 Mask pattern determination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9942A (en) * 1997-06-09 1998-12-22 Mitsubishi Electric Corp Layout pattern verification device
JPH11119410A (en) * 1997-10-14 1999-04-30 Fujitsu Ltd Pattern designing method and pattern designing device
JP2000267254A (en) * 1999-03-17 2000-09-29 Fujitsu Ltd Pattern data verify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therefor
JP2004265386A (en) * 2003-02-10 2004-09-24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Pattern simulation method, its program, medium storing program, and device for pattern simulatio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3753A (en) * 1993-07-15 1995-04-0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of forming implant indicators for implant verification
JPH10214770A (en) * 1997-01-30 1998-08-11 Sony Corp Method and equipment for verifying joint at the time of pattern transfer in split exposure
JP2000089448A (en) * 1998-09-11 2000-03-31 Fujitsu Ltd Method for displaying, inspecting and modifying pattern for exposure
JP4133047B2 (en) * 2002-07-05 2008-08-13 シャープ株式会社 Correction mask pattern verification apparatus and correction mask pattern verification method
US6784446B1 (en) * 2002-08-29 2004-08-31 Advanced Micro Devices, Inc. Reticle defect printability verification by resist latent image comparison
JP2005005520A (en) * 2003-06-12 2005-01-06 Renesas Technology Corp Method of manufacturing photomask for evaluating aligner, same photomask, and method of evaluating aberration
TWI222694B (en) * 2003-06-18 2004-10-21 Macronix Int Co Ltd MROM mask verification method
US7314689B2 (en) * 2004-01-27 2008-01-01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masks with oblique features
DE112005000548B4 (en) * 2004-03-09 2015-11-19 Hoya Corp. Method for assisting mask production, method for providing mask blanks and method for handling mask blanks
TWI236081B (en) * 2004-09-29 2005-07-11 Powerchip Semiconductor Corp Method for verifying photomask
JP2008304716A (en) * 2007-06-07 2008-12-18 Jedat Inc System and program for designing ret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9942A (en) * 1997-06-09 1998-12-22 Mitsubishi Electric Corp Layout pattern verification device
JPH11119410A (en) * 1997-10-14 1999-04-30 Fujitsu Ltd Pattern designing method and pattern designing device
JP2000267254A (en) * 1999-03-17 2000-09-29 Fujitsu Ltd Pattern data verify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therefor
JP2004265386A (en) * 2003-02-10 2004-09-24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Pattern simulation method, its program, medium storing program, and device for pattern simu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063653A (en) 2009-03-26
CN101382736B (en) 2011-10-05
JP5020003B2 (en) 2012-09-05
KR20090024616A (en) 2009-03-09
TW200915462A (en) 2009-04-01
CN101382736A (en) 2009-03-11
TWI384568B (en) 2013-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29754B1 (en) Method and system for checking for power errors in ASIC designs
JP6254190B2 (en) Display congestion indicators for channels in the circuit design layout
US83595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miconductor device fabrication using modeling
US20120047479A1 (en) Incremental Layout Analysis
US7506285B2 (en) Multi-dimensional analysis for predicting RET model accuracy
JP2006344176A (en) Macro arrangement design device with consideration given to density, program, and design method
JP2005202928A (en) Layout processor, layout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1041263B1 (en) Reticle inspection system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JPH021107A (en) Automatic verification apparatus of pattern for mask of reticle use
JP5309623B2 (en) Photomask data processing method, photomask data processing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using hierarchical structure
JPH10319571A (en) Manufacture of mask for exposure and its device
KR100607014B1 (en) Pattern simulation method, program, storage device for storing the program, and apparatus the same
US7254804B2 (en) Method of verifying corrected photomask-pattern results and device for the same
US20090293038A1 (en) Method and correction apparatus for correcting process proximity effect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CN112949242B (en) Shading tape layout drawing method, photomask layout drawing method and photomask layout
JP2008304716A (en) System and program for designing reticle
US11704468B2 (en) Puzzle-based pattern analysis and classification
JP2009134335A (en) Panel board data verification system and program
US20110119544A1 (en) User Guided Short Correction And Schematic Fix Visualization
CN104573149A (en) Repetitive error report removing method for DRC (design rule checking) of FPD (flat panel display)
JP2004265386A (en) Pattern simulation method, its program, medium storing program, and device for pattern simulation
JP5459647B2 (en) Pattern simulation method, apparatus thereof, and program thereof
JP2006317529A (en) Pattern layout method, its apparatus, and its program
JP2511535B2 (en) Layout design support device
JP2008171060A (en) Pattern simulation method, its apparatus, its program, and medium recor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