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0569B1 - 적층형 심카드 커넥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적층형 심카드 커넥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0569B1
KR101040569B1 KR1020080050016A KR20080050016A KR101040569B1 KR 101040569 B1 KR101040569 B1 KR 101040569B1 KR 1020080050016 A KR1020080050016 A KR 1020080050016A KR 20080050016 A KR20080050016 A KR 20080050016A KR 101040569 B1 KR101040569 B1 KR 101040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m card
housing
sim
card connector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0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4026A (ko
Inventor
노양운
김상규
김정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0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0569B1/ko
Priority to US12/419,716 priority patent/US20090298541A1/en
Priority to EP09157769A priority patent/EP2128994A2/en
Publication of KR20090124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4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0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0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16Mechanical arrangements for accommodating identification devices, e.g. cards or chips; with connectors for programming identification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5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housing of the card connector
    • G06K7/007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housing of the card connector having multiple insertion slots, the respective slots suited for the same or different card form fac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mechanical means, e.g. by pins operating electric conta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card read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심카드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심카드 커넥터 장치는 내부에 복수의 심카드가 장착되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부에 복수의 심카드가 적층형으로 장착되도록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분리하는 분리판과, 복수의 심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점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두 개의 심카드를 적층형으로 삽입할 수 있는 심카드 커넥터를 제공하여, 일반적인 이동 단말기에 비해 많은 부품이 필요한 듀얼 심카드 단말기의 효율적인 공간활용을 가능하게 한다.
심카드, 듀얼 심카드(dual SIM card), 심카드 커넥터

Description

적층형 심카드 커넥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stacked SIM card connector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심카드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심카드가 적층형으로 삽입되고, 심카드 커넥터에 형성된 접점부를 통하여 복수의 심카드 사이의 심카드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심카드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의 통신방식에는 유럽의 시분할 다중접점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방식 및 코드분할 다중화(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방식 등이 있다. 이 중 상기 GSM 방식은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 가입자 간의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이동 단말기에 심카드(SIM Card: Subscriber Identity Module Card)를 장착하여 사용한다. 심카드는 이동 단말기를 작동하는데 필요한 대부분의 정보를 내장하고 있으며, 특히 암호 등 가입자의 개인정보 뿐만 아니라, 전화번호, 네트워크번호 등의 관련정보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가 암호화되어 내장되어 있다. 이에, 이동 단말기는 본체에 내장되는 메인 인쇄회로기판에 심카드 커넥터를 구비하고, 심카드가 심카드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설계된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심카드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가 주로 사용되고 있지만, 최근에는 이동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서비스 대역이 다양해짐에 따라 두 개의 심카드를 함께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이하, '듀얼 심카드 단말기'라 한다)도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두 개의 심카드 커넥터를 사용하는 구조는 일반적인 휴대폰의 1.5배 이상의 부품이 사용되어 배치 및 디자인 단계부터 어려움이 많은 실정이다. 따라서, 최근 시장 동향 및 소비자들의 요구에 따른 소형 휴대폰 개발을 위해서는 심카드 커넥터의 실장 구조 축소가 커다란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두 개의 심카드를 구비할 경우 각 심카드를 제어하기 위한 추가적인 회로 등이 요구되며, 이로 인한 인쇄회로기판 상의 레이아웃도 추가적인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의 심카드 커넥터의 실장 구조를 축소하고, PCB 보드의 공간상의 제약을 극복하기 위한 신 개념의 심카드 커넥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듀얼 심카드 단말기에서 인쇄회로기판 상의 심카드 커넥터의 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두 개의 심카드를 적층형으로 삽입할 수 있는 심카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쇄회로기판 상에 추가의 부품을 실장할 필요가 없이, 두 개의 심카드가 각각 마스터부 또는 슬레이브부로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심카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카드 커넥터 장치는 하우징, 분리판, 접점부를 포함한다. 하우징은 내부에 복수의 심카드를 장착한다. 분리판은 하우징 내부에 복수의 심카드가 적층형으로 장착되도록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분리한다. 접점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복수의 심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점부는 분리판 및 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은 일면에 심카드가 삽입되는 심카드 삽입부가 형성되거나, 일면 및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에 심카드가 삽입되는 심카드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접점부 중 복수의 심카드의 개수의 접점부는, 복수의 심카드의 장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카드 커넥터 장치는 복수의 심카드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추가 접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마스터 처리부, 슬레이브 처리부, 심카드 커넥터 장치를 포함한다. 심카드 커넥터 장치는 하우징, 분리판, 접점부를 포함한다. 하우징은 내부에 복수의 심카드를 장착한다. 분리판은 하우징 내부에 복수의 심카드가 적층형으로 장착되도록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분리한다. 접점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복수의 심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심카드 커넥터의 복수의 접점부 중 2개의 접점부에서, 제1심카드 및 제2심카드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고, 제1심카드만 장착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제1심카드를 마스터 처리부와 연결한다.
또한, 심카드 커넥터의 복수의 접점부 중 2개의 접점부에서, 제1심카드 및 제2심카드가 모두 장착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제1심카드를 마스터 처리부와 연결하고, 제2심카드를 슬레이브 처리부와 연결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마스터 처리부, 슬레이브 처리부, 심카드 커넥터 장치를 포함한다. 심카드 커넥터 장치는 하우징, 분리판, 접점부, 추가 접점부를 포함한다. 하우징은 내부에 복수의 심카드를 장착한다. 분리판은 하우징 내부에 복수의 심카드가 적층형으로 장착되도록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분리한다. 접점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복수의 심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추가 접점부는 제1심카드 및 제2심카드의 장착 여부를 감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심카드 커넥터의 추가 접점부 에서 제1심카드만 장착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제1심카드를 마스터 처리부와 연결하한다.
또한, 심카드 커넥터의 추가 접점부에서 제1심카드 및 제2심카드가 모두 장착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제1심카드를 마스터 처리부와 연결하고, 제2심카드를 슬레이브 처리부와 연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카드 선택 방법은 이동 단말기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심카드 커넥터에 제1심카드 및 제2심카드의 장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하는 단계에서, 제1심카드만 장착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1심카드가 마스터 처리부와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카드 선택 방법은 판단하는 단계에서, 제1심카드 및 제2심카드가 모두 장착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1심카드는 마스터 처리부와 연결되고, 제2심카드는 슬레이브 처리부와 연결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심카드를 적층형으로 삽입할 수 있는 심카드 커넥터를 제공함으로써, 일반적인 이동 단말기보다 1.5배 이상의 부품이 필요한 듀얼 심카드 단말기의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심카드 커넥터의 하우징 또는 분리판에 추가의 접점부를 구비하도록 하고, 심카드 커넥터에 장착된 복수의 심카드를 마스터부 또는 슬레이브부 간에 각각 연결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 상에 추가의 부품을 실장할 필요가 없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카드 커넥터 장치의 사시도이다.
심카드 커넥터 장치(100)는 하우징(110), 분리판(12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점부(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하우징(110)은 듀얼 심카드 단말기에서 복수의 심카드를 상하로 적층할 수 있도록 하는 직육면체 형상이다. 그러나 하우징(110)의 형상은 반드시 직육면체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심카드가 장착될 수 있는 다른 여러 가지 형상이 될 수 있다.
하우징(110)에는 복수의 심카드가 삽입되는 심카드 삽입부(140)가 형성된다. 심카드 삽입부(140)는 하우징(11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고, 일면 및 이에 대향하는 타면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분리판(120)은 듀얼 심카드 단말기에서 하우징 내부에 복수의 심카드가 적층형으로 분리되어 장착되도록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을 분리한다. 분리판(120)은 심카드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점부(130)를 구비하고, 접점부(130)는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심카드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 상의 접점부(130)는 하우징(110)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분리판(120)은 심카드가 하우징(110) 내부에 장착 될 때, 심카드를 가이드 해주는 역할을 하도록 분리판(120)의 측면에서 연장되는 다양한 형태의 가이드부(122)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10)과 분리판(120)은 일체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복수의 심카드는 분리판(120)을 경계로 하우징(110)의 내부에 적층형으로 장착되므로 듀얼 심카드 단말기의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하다.
도 2a 내지 도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카드 커넥터 장치에 복수의 심카드가 장착된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복수의 심카드가 장착된 심카드 커넥터 장치(200)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복수의 심카드가 장착된 심카드 커넥터 장치(200)의 상부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c는 복수의 심카드가 장착된 심카드 커넥터 장치(200)의 하부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심카드(10) 및 제2심카드(20)는 분리판(220)을 경계로 층을 이루는 구조로 장착된다. 제1심카드(10) 및 제2심카드(20)에 사용되는 제1 및 제2는 복수의 심카드를 서로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1심카드(10) 및 제2심카드(20)는 하우징(210)의 일면에 형성된 심카드 삽입부(240)를 통하여 삽입된다.
제1심카드(10) 및 제2심카드(20)가 심카드 커넥터 장치(200)에 장착되는 방법은 다양하다. 예를 들어, 슬라이드 트레이(slide tray) 방식, 삽입(insert) 방 식, 푸쉬-풀(push-pull) 방식, 푸쉬-푸쉬(push-push)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2b는 복수의 심카드가 장착된 심카드 커넥터 장치(200)의 상부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0)은 6개의 접점부(230-1)와 제1심카드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는 추가 접점부(250-1)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의 복수의 접점부(130-1)와 추가 접점부(250-1)는 제1심카드(10)의 접점과 연결된다.
도 2c는 복수의 심카드가 장착된 심카드 커넥터 장치(200)의 하부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0)은 6개의 접점부(230-2)와 제2심카드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는 추가 접점부(250-2)를 포함한다. 하우징(210)의 복수의 접점부(230-2)와 추가 접점부(250-2)는 제2심카드(20)의 접점과 연결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카드 커넥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따른 심카드 커넥터 장치(300)는 하우징(310), 분리판(32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점부(330)를 포함한다. 하우징(310)은 일면 및 이에 대향하는 타면에 형성되어 심카드가 삽입되도록 하는 심카드 삽입부(340)를 각각 포함한다. 이 경우 복수의 심카드는 하우징(310)의 일면 및 이에 대향하는 타면으로 각각 삽입될 수 있다.
도 4a 및 4c는 복수의 심카드가 장착된 심카드 커넥터를 이동 단말기의 인쇄회로기판에 실장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카드 커넥터(100)는 내부에 제1심카드(10) 및 제2심카드(20)가 실장되어 있다. 심카드 커넥터(100)는 하우징(110)에 형성된 접점부(130-1, 130-2)를 통하여 제1심카드(10) 및 제2심카드(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 즉, 심카드 커넥터(100)에 포함된 접점부(130-1, 130-2)는 심카드(10, 20)의 접점과 접속하고, 인쇄회로기판(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접점부(130-1, 130-2)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카드 커넥터(100)의 분리판(120)에 접점부(130-1, 130-2)가 형성될 수도 있다. 제1심카드(10) 및 제2심카드(20)는 분리판(120)에 형성된 접점부를 통하여 심카드 커넥터(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접점부(130-1, 130-2)는 분리판(120) 또는 하우징(110)에 함께 형성되나, 제1심카드(10)와 접속하는 접점부(130-1)는 분리판(120)에 형성되고, 제2심카드(20)와 접속하는 접점부(130-2)는 하우징(110)에 분리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서는 심카드 커넥터(200)는 내부에 제1심카드(10) 및 제2심카드(20)가 실장되어 있다. 제1심카드(10)는 하우징(210)에 형성된 접점부(230-1)를 통하여 심카드 커넥터(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심카드(20)는 분리판(220)에 형성된 접점부(230-2)를 통하여 심카드 커넥터(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심카드 커넥터(200)는 제1심카드(10) 및 제 2심카드(20)의 장착 여부를 판단하는 추가 접점부(210-1, 210-2)를 더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써 심카드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심카드 커넥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카드 커넥터 장치(400)는 하우징(410), 분리 판(420) 및 접촉 핀세트(510)를 포함한다. 접촉 핀세트(510)는 심카드와 이동 단말기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것으로, 커넥터 장치에 장착될 수 있는 심카드의 개수만큼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심카드 커넥터 장치(400)에 실장된 제1심카드(10) 및 제2심카드(20)와 마스터처리부 및 슬레이브처리부간의 연결을 제어하기 위해 제1접촉 핀세트(510-1) 및 제2접촉 핀세트(510-2)가 제공된다. 접촉 핀세트(510-1, 520-2)는 심카드의 접점에 상응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이동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촉핀의 세트이다.
심카드 커넥터(400)는 제1심카드(10) 및 제2심카드(20)의 실장여부에 따른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핀(520-1, 520-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분리판(420) 또는 하우징(410)은 제1심카드(10) 및 제2심카드(20)의 실장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추가 접점부(450-1, 450-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접점부(450-1, 450-2)에서 제1심카드(10) 및 제2심카드(20)의 실장 여부가 판단되고, 이에 따라 제1심카드(10) 및 제2심카드(20)는 마스터 처리부 또는 슬레이브 처리부와 연결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접촉 핀세트(510-1, 520-2)에 포함된 접촉핀 중 어느 하나에서 제1심카드(10) 및 제2심카드(20)의 실장여부에 따른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경우, 분리판(420) 또는 하우징(410)에 형성된 제1심카드(10) 및 제2심카드(20)의 접점과 접속하는 하나 이상의 접점부(430-1, 430-2)중 어느 하나에서 제1심카드(10) 및 제2심카드(20)의 실장여부가 판단되므로, 추가 접점부(450)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도 6은 심카드의 장착 상태에 따른 동작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6을 살펴보면, 듀얼 심카드의 장착 상태에 따라 4가지의 동작이 가능하다. 심카드의 장착여부는 추가 접점부 또는 복수의 접점부 중 어느 하나에서 감지된다. 추가 접점부에 상응하는 제어핀는 심카드가 심카드 커넥터에 장착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장착"신호를 생성하고, 심카드가 심카드 커넥터에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된 경우, "비장착"신호를 생성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접점부에 상응하는 접촉핀세트 중 어느 하나의 접촉핀에서 "장착" 또는 "비장착"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심카드가 심카드 커넥터에 장착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a) 제1심카드는 장착되고, 제2심카드는 장착되지 않은 경우, (b) 제2심카드는 장착되고, 제1심카드는 장착되지 않은 경우, (c) 제1심카드 및 제2심카드가 모두 장착된 경우, (d) 제1심카드 및 제2심카드가 모두 장착되지 않은 경우로 구분될 수 있다.
도 6의 표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및 (b)의 경우, 심카드 커넥터에 장착된 제1심카드 또는 제2심카드는 마스터 처리부에 연결된다. 제1심카드 및 제2심카드가 모두 장착된 (c)의 경우는, 제1심카드는 마스터 처리부에 연결되고, 제2심카드는 슬레이브 처리부에 연결된다. 제1심카드 및 제2심카드가 모두 장착되지 않은 (d)의 경우는, 이동 단말기는 동작하지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카드 커넥터 장치에서 수행되는 심카드 선택 방법에 관해 순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듀얼 심카드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입력부의 전원키를 누르면, 듀얼 심카드 단말기의 각 부분에 전원이 인가된다(S700).
전원이 인가되면, 심카드 커넥터에 구비된 추가 접점부는 심카드 커넥터의 하우징에 제1심카드가 결합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S710). 추가 접점부에서 제1심카드가 심카드 커넥터 내부에 분리된 일공간에 장착된 것으로 감지될 경우, 제어핀은 "장착" 신호를 발생하고, 심카드 커넥터는 제1심카드를 이동 단말기의 마스터 처리부와 연결한다(S712). 이후, 추가 접점부는 심카드 커넥터의 하우징에 제2심카드가 결합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S714). 추가 접점부에서 제2심카드가 심카드 커넥터 내부에 분리된 다른 공간에 장착된 것으로 감지될 경우, 제어핀은 "장착"신호를 발생하고, 심카드 커넥터는 제2심카드를 이동 단말기의 슬레이브 처리부와 연결한다(S716).
한편, 단계 S710에서, 추가 접점부에서 제1심카드가 심카드 커넥터내부에 분리된 일공간에 장착된 것으로 감지되지 않을 경우, 제어핀은 "비장착"신호를 발생하고, 단계 S720가 진행된다. 추가 접점부는 심카드 커넥터의 분리된 다른 공간에 제2심카드가 결합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감지한다(S720). 추가 접점부에서 제2심카드가 심카드 커넥터 내부에 분리된 다른 공간에 장착된 것으로 감지될 경우, 제어핀은 "장착"신호를 발생하고, 심카드 커넥터는 제2심카드를 이동 단말기의 마스터 처리부와 연결한다(S722). 단계 S720에서, 추가 접점부에서 제2심카드가 심카드 커넥터 내부에 분리된 다른 공간에 장착된 것으로 감지되지 않을 경우, 제어핀은 "비 장착"신호를 발생하고, 심카드 연결 방법은 종료된다.
상기 각 단계에서, 심카드 장착여부는 추가 접점부에서 감지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심카드 장착여부는 복수의 접점부 중 어느 하나에서 감지될 수도 있다. 이로써, 심카드의 장착여부에 따라 복수의 심카드가 마스터 처리부 또는 슬레이브 처리부와 각각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카드 커넥터가 마스터 처리부 및 슬레이브 처리부와 연결되는 것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8은 이동 단말기의 마스터 처리부(810) 및 슬레이브 처리부(820)와 심카드 커넥터(400)를 도시한다. 심카드 커넥터 장치(400)는 하우징, 분리판, 접점부를 포함한다. 하우징은 내부에 복수의 심카드를 장착한다. 분리판은 하우징 내부에 복수의 심카드가 적층형으로 장착되도록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분리한다. 접점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복수의 심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심카드 커넥터 장치(400)는 제1심카드 및 제2심카드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추가 접점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심카드 커넥터(400)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접점부 중 어느 하나 또는 추가 접점부는, 복수의 심카드의 장착 여부를 감지한다. 감지된 제1심카드(10) 및 제2심카드(20)의 장착 상태에 따라 제1심카드(10) 및 제2심카드(20)는 마스터 처리부(810) 또는 슬레이브 처리부(820)와 연결된다. 심카드 커넥터(400)에서 수행되는 구체적인 심카드의 선택 방법에 관해서는 도 6 및 도 7에서 상술하였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카드 커넥터 장치의 사시도.
도 2a 내지 도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카드 커넥터 장치에 복수의 심카드가 장착된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카드 커넥터 장치의 사시도.
도 4a 및 4c는 복수의 심카드가 장착된 심카드 커넥터를 인쇄회로기판에 실장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써 심카드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심카드 커넥터 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카드의 장착 상태에 따른 동작결과를 나타내는 표.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카드 커넥터 장치에서 수행되는 심카드 선택 방법에 관해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마스터 처리부,슬레이브 처리부, 심카드 커넥터 장치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마스터 처리부;
    슬레이브 처리부; 및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제1심카드 및 제2심카드가 적층형으로 장착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분리하는 분리판과, 상기 제1심카드 및 상기 제2심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접점부를 구비하는 심카드 커넥터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접점부는 상기 분리판 및 상기 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접점부 중 2개의 접점부는, 상기 제1심카드 및 상기 제2심카드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2개의 접점부에서 제1심카드만 장착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제1심카드를 상기 마스터 처리부와 연결하고,
    상기 2개의 접점부에서 제1심카드 및 제2심카드가 모두 장착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제1심카드를 상기 마스터 처리부와 연결하고, 제2심카드를 상기 슬레이브 처리부와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삭제
  9. 삭제
  10. 마스터 처리부;
    슬레이브 처리부; 및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제1심카드 및 제2심카드가 적층형으로 장착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분리하는 분리판과, 상기 제1심카드 및 상기 제2심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점부와, 상기 제1심카드 및 상기 제2심카드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추가 접점부를 구비하는 심카드 커넥터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접점부는 상기 분리판 및 상기 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추가 접점부는, 상기 제1심카드 및 상기 제2심카드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추가 접점부에서 제1심카드만 장착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제1심카드를 상기 마스터 처리부와 연결하고,
    상기 추가 접점부에서 제1심카드 및 제2심카드가 모두 장착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제1심카드를 상기 마스터 처리부와 연결하고, 제2심카드를 상기 슬레이브 처리부와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삭제
  12. 삭제
  13. 마스터 처리부,
    슬레이브 처리부, 및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제1심카드 및 제2심카드가 적층형으로 장착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분리하는 분리판과, 상기 제1심카드 및 상기 제2심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접점부를 구비하는 듀얼 심카드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접점부는 상기 분리판 및 상기 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이동 단말기의 심카드 선택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심카드 커넥터에 제1심카드 및 제2심카드의 장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심카드만 장착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1심카드가 상기 마스터 처리부와 연결되는 단계; 및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심카드 및 제2심카드가 모두 장착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1심카드는 상기 마스터 처리부와 연결되고, 제2심카드는 상기 슬레이브 처리부와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카드 선택 방법.
  14. 삭제
KR1020080050016A 2008-05-29 2008-05-29 적층형 심카드 커넥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KR101040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0016A KR101040569B1 (ko) 2008-05-29 2008-05-29 적층형 심카드 커넥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US12/419,716 US20090298541A1 (en) 2008-05-29 2009-04-07 Stacking type sim card connector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EP09157769A EP2128994A2 (en) 2008-05-29 2009-04-09 Stacking type sim card connector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0016A KR101040569B1 (ko) 2008-05-29 2008-05-29 적층형 심카드 커넥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4026A KR20090124026A (ko) 2009-12-03
KR101040569B1 true KR101040569B1 (ko) 2011-06-16

Family

ID=41024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0016A KR101040569B1 (ko) 2008-05-29 2008-05-29 적층형 심카드 커넥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90298541A1 (ko)
EP (1) EP2128994A2 (ko)
KR (1) KR1010405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52697B (zh) * 2008-12-10 2011-12-1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US20130210386A1 (en) * 2010-06-23 2013-08-15 Polar Wireles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Routing Communications
KR200470788Y1 (ko) * 2012-03-20 2014-01-08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듀얼 마이크로 메모리 소켓 커넥터
EP3509224B1 (en) 2012-05-04 2020-12-02 Nokia Technologies Oy An apparatus for receiving a plurality of memory cards
US9203458B2 (en) * 2012-10-16 2015-12-01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Inline tray assembly for receiving multiple data cards
WO2016015269A1 (zh) * 2014-07-31 2016-02-04 华为技术有限公司 双卡连接装置及移动终端
KR101594469B1 (ko) 2015-11-17 2016-02-16 신상우 배관 연결용 프레싱 공구
US10249972B1 (en) * 2017-09-22 2019-04-02 Google Llc Vertically stacking circuit board connectors
CN111399613B (zh) * 2018-12-14 2023-03-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存储装置以及电子设备
KR20210099264A (ko) 2020-02-04 2021-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품 적층 실장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62074A1 (en) * 2003-02-04 2006-07-27 Gaby Bader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hysical properties of a be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98507B2 (ja) * 1998-05-27 2002-07-02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TW483599U (en) * 2001-05-11 2002-04-11 Quanta Comp Inc Client ID connector with two ID slot
KR100713413B1 (ko) * 2004-10-30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드 정보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구동 모드를 선택하는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62074A1 (en) * 2003-02-04 2006-07-27 Gaby Bader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hysical properties of a b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4026A (ko) 2009-12-03
US20090298541A1 (en) 2009-12-03
EP2128994A2 (en) 2009-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0569B1 (ko) 적층형 심카드 커넥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US9214772B2 (en) Apparatus having a tray with two perpendicular grooves for holding two memory cards
US8827749B2 (en) Mounting socket for mobile phone
US7950945B2 (en) SIM card connecting devi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2035776B1 (ko) 심카드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기
US20040092149A1 (en) Multiple card holding apparatus
US20070259567A1 (en) Multiple mode micro memory card connector
JP6662848B2 (ja) 3−in−2カードコネクタおよび3−in−2カードコネクタを含むモバイル端末
US7357678B1 (en) SIM card connector
US7052290B1 (en) Low profile connector for electronic interface modules
US20090137136A1 (en) Housing, Terminal and Connector Using Housing and Terminal
KR101400853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심카드 커넥터 장치
US9208406B2 (en) Dual card connector and wireless electronic device employing same
KR10060883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멀티 소켓
CN211209729U (zh) 一种终端设备
KR100919948B1 (ko) 심카드 커넥터 및 심카드 커넥터에 사용되는 접촉 단자
KR101044095B1 (ko) 카드 커넥터를 통해 접지된 하부 케이스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062811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수기능 카드 접속용 소켓
CN206742524U (zh) 一种t卡和sim卡二合一的连接器
US20130323943A1 (en) Smart card securing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KR100810348B1 (ko) 슬림형 휴대 단말기의 심카드 이탈 방지 장치
KR20190066442A (ko) 카드 커넥터
KR20020078733A (ko) 소형화를 구현한 uim 카드가 장착된 셀룰러 폰
WO2016011605A1 (zh) 数码卡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