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0313B1 - Wiper apparatus having variable driving angle - Google Patents

Wiper apparatus having variable driving ang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0313B1
KR101040313B1 KR1020100112118A KR20100112118A KR101040313B1 KR 101040313 B1 KR101040313 B1 KR 101040313B1 KR 1020100112118 A KR1020100112118 A KR 1020100112118A KR 20100112118 A KR20100112118 A KR 20100112118A KR 101040313 B1 KR101040313 B1 KR 101040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otation
wiper
groove
closed cur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21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혁재
Original Assignee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2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031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0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03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18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with means for additionally adjusting the wiper arm working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urface to be wi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16Means for transmitting drive
    • B60S1/18Means for transmitting drive mechan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PURPOSE: A wiper device with a variable driving angle is provided to conveniently regulate the driving angle of wipers by changing the relative rotational angle between a guide unit and a connecting unit. CONSTITUTION: A wiper device with a variable driving angle comprises a wiper unit(10), a guide unit(40), and a fixing unit(50). The guide unit has a holding protrusion which is fitted in one of holding grooves formed at regular angle intervals in the fixing unit. The guide unit has an operating protrusion which is operated by a user through an opening(22) of a cover(20). Accordingly, the guide unit is rotated by an accurate desired angle and the user can recognize the driving angle of the wiper unit accurately.

Description

가변 구동각을 가지는 와이퍼장치{Wiper Apparatus Having Variable Driving Angle}Wiper Apparatus Having Variable Driving Angle {Wiper Apparatus Having Variable Driving Angle}

본 발명은 구동각을 조절할 수 있는 와이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이드부에 형성된 원형의 폐곡선 경로에 회전핀의 삽입돌기가 삽입되어 순환됨에 따라, 상기 회전핀이 연결부의 삽입홈에 끼워지거나 빠지도록 이동되어 와이퍼부의 구동을 조절 가능한 와이퍼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per device that can adjust the driving angle, and more specifically, as the insertion protrusion of the rotation pin is inserted into the circular closed curve path formed in the guide part and circulated, the rotation pin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of the connection por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per device which is moved so as to be lost or removed, and which controls the driving of the wiper unit.

일반적으로, 종래의 와이퍼의 경우, 4절 링크를 사용한 구동 방식이 사용되었다. 4절 링크란, 4개의 링크를 사용하여, 최장 길이를 가지는 링크는 고정되고, 이에 연결된 최단 길이를 가지는 링크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최장 길이를 가지는 링크에 연결된 또 다른 링크가 왕복 운동을 하도록 설계된 구동 방식이다.In general,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wiper, a driving method using a four-section link has been used. By using four links, a four-section link is designed so that the link having the longest length is fixed and another link connected to the longest link is reciprocated as the link having the shortest length is rotated. It is a driving method.

즉, 종래에는 이를 이용하여 와이퍼가 왕복 운동하도록 하였으나, 이와 같은 4절 링크 방식은 와이퍼가 일정 각도로만 구동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That is, in the related art, the wiper is reciprocated using this, but the four-section link method has a problem that the wiper can only be driven at a predetermined angle.

또한, 필수적으로 구동 각도를 변경하여야 할 상황이 발생된다고 하더라도, 링크 자체를 재설계하여 각 링크의 길이를 조절해야만 하였으므로, 링크의 교체 및 기구 재설계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바람직한 방법이 아니다.In addition, even if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driving angle,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length of each link by redesigning the link itself. Therefore, it is time-consuming and expensive to replace the link and redesign the mechanism. no.

그리고,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자적인 방식으로 와이퍼의 구동 각도를 제어하는 방법을 사용할 경우, 별도의 전력을 사용하게 되며, 장치의 내구성이 떨어져 고장이 잦고, 단가가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when a method of controlling the driving angle of the wiper in an electronic manner is used, a separate power is used, and the durability of the device decreases frequently, resulting in a problem of increased cost.

따라서, 이를 해결할 방법이 요구되는 상황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way to solve this problem.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와이퍼부의 구동 각도를 다양하게 설정하기 위한 와이퍼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o provide a wiper device for variously setting the driving angle of the wiper unit.

또한, 내구성이 강하고, 소형의 장비에도 사용 가능하도록 설계된 와이퍼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to provide a wiper device that is durable and designed to be used in small equipment.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한 과정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변 구동각을 가지는 와이퍼 장치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부, 일측이 개방되고, 내측에는 수용공간 및 상기 수용공간에 노출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연결부, 원형의 폐곡선 경로를 가지되, 상기 폐곡선 경로의 일부는 상기 원형의 곡률보다 작은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 가이드홈이 상기 수용공간에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개방된 일측에 구비된 가이드부,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를 가지며, 상기 회전부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삽입돌기가 상기 폐곡선 경로를 따라 순환함에 따라 상기 삽입홈에 끼워지거나 빠지도록 이동되되, 상기 삽입홈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는 회전핀, 상기 회전핀이 상기 삽입홈에 끼워져 회전됨으로 인해 함께 회전된 연결부를 소정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부 및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의 회전에 따라 구동되는 와이퍼부를 포함한다.Wiper device having a variable drive ang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cess, the rotating part for providing a rotational force, one side is open, the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in the receiving space and the insertion groove exposed to the inside, circular A guide groove having a closed curve path, wherein a part of the closed curve path is formed to expose the receiving space, the guide groove formed to have a curvature smaller than the circular curvature, and the opening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on part, the accommodation space Is positioned in, and has an insertion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is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ry unit is moved to fit or exit the insertion groove as the insertion protrusion circulates along the closed curve path, the insertion groove Rotation pin having a restoring force in the insertion direction, because the rotation pin is rotat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It is connected to the rotary connection and the restoration unit and the connecting part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for returning to a predetermined location and comprising a wiper to be driven with the rotation of the link portion.

그리고, 상기 폐곡선 경로의 원형의 곡률보다 작은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 상기 폐곡선 경로의 일부는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ortion of the closed curve path formed to have a curvature smaller than the circular curvature of the closed curve path ma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폐곡선 경로의 원형의 곡률보다 작은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 상기 폐곡선 경로 일부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The guide part may be rotatably provided at the connection part to change a position of a part of the closed curve path formed to have a curvature smaller than a circular curvature of the closed curve path.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가이드부의 외측에서 상기 가이드부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작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part may be provided with an operation protrusion for rotating the guide part from the outside of the guide part.

또한, 상기 복원부는 토션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storing unit may be formed of a torsion spring.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를 회전 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 또는 상기 고정부 중 어느 한쪽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다른 한쪽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part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part connected to the guide part to fix the guide part, wherein either one of the guide part or the fixing part is formed with a locking groove, and the other side may have a locking protrusion. .

또한,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회전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ertion protrusion may be provided to be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ry pin.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변 구동각을 가지는 와이퍼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wiper device having the variable drive ang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가이드부와 연결부의 상대 회전각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와이퍼의 구동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Firs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riving angle of the wiper can be adjusted only by changing the relative rotation angle of the guide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둘째, 기계적인 방식만을 사용하여 와이퍼의 구동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전력 소모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Second, since the driving angle of the wiper can be adjusted using only a mechanical method, there is an advantage that no separate power consumption occurs.

셋째, 또한, 이에 따라 내구성이 강화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ird, there is also an advantage that the durability can be enhanced accordingly.

넷째, 와이퍼의 구동 각도를 제한 없이 설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Fourth,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riving angle of the wiper can be set without limitation.

다섯째, 소형의 장비에도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Fifth,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applied to small equipment.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 구동각을 가지는 와이퍼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 구동각을 가지는 와이퍼장치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 구동각을 가지는 와이퍼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 구동각을 가지는 와이퍼장치의 가이드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 구동각을 가지는 와이퍼장치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 구동각을 가지는 와이퍼장치의 회전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 구동각을 가지는 와이퍼장치의 회전핀 및 연결부가 회전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 구동각을 가지는 와이퍼장치의 회전핀이 연결부의 삽입홈에서 빠지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 구동각을 가지는 와이퍼장치의 연결부가 초기 위치로 복원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 구동각을 가지는 와이퍼장치의 연결부가 초기 위치로 완전히 복원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 구동각을 가지는 와이퍼장치의 회전핀이 연결부의 삽입홈에 재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 구동각을 가지는 와이퍼장치의 고정부를 나타낸 사시도;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 구동각을 가지는 와이퍼장치의 고정부 및 가이드부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iper device having a variable driving angle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wiper device having a variable drive ang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iper device having a variable drive ang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uide portion of the wiper device having a variable drive ang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of the wiper device having a variable drive ang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otating pin structure of the wiper device having a variable drive ang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rotation of the rotary pin and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wiper device having a variable drive ang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 pin of the wiper device having a variable drive angle is removed from the insertion groove of the connect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wiper device having a variable drive angle is restored to the initial 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wiper device having a variable drive angle is completely restored to the initial 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 pin of the wiper device having a variable drive ang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of the connecting por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ing part of the wiper device having a variable drive ang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1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fixing part and a guide part of a wiper device having a variable driving ang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designation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퍼장치의 모습이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와이퍼장치는 소형 광학장비에 사용되는 와이퍼장치인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차량의 와이퍼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First, referring to Figures 1 and 2, a state of the wip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As shown, the wiper device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 wiper device used in small optical equipment, but is not limited to this, it is natural that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such as a wiper of a vehicle.

본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장치에는 와이퍼부(10)가 구비되고, 커버(20) 내측에 연결부(30), 가이드부(40) 및 고정부(50)가 위치된다. 또한, 와이퍼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회전부(60)가 후방에 구비된다. 그리고, 회전부(6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결부(30)는 와이퍼부(10)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와이퍼부(10)에 전달할 수 있다.In the wip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wiper part 10 is provided, and the connection part 30, the guide part 40, and the fixing part 50 are positioned inside the cover 20. In addition, the rotating unit 60 for driving the wiper device is provided at the rear. In addition, as the rotation unit 60 rotates, the connection unit 30 may be connected to the wiper unit 10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to the wiper unit 10.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도 3을 참조하여 상기한 각 구성요소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에는, 와이퍼장치의 각 구성요소가 나열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Hereinaft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each component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3, it can be seen that each component of the wiper device is listed.

먼저, 와이퍼부(10)는 물체 표면의 이물질, 수분 등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와이퍼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생략하도록 한다.First, the wiper unit 10 is provid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moisture, and the like on the surface of the object, and may have various wiper shapes that are generally used, and thus details thereof will be omitted.

커버(20)는 본 발명의 와이퍼부(10)를 구동시키키 위한 구성요소들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구성요소들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동시에 깔끔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The cover 20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components for driving the wiper portion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by protecting the components from external impact and at the same time forming a neat appearance.

특히 본 실시예에서, 커버(20) 일측에 개구홀(22)이 커버(20)의 둘레를 따라 길게 형성되고, 이를 통해 이후 가이드부(40)의 조작돌기(47)를 조작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ening hole 22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ver 20 on one side of the cover 20, through which the operation protrusion 47 of the guide part 40 can be manipulated.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회전부(60)는 와이퍼장치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구비되며, 일반적으로는 모터 등에 의해 축회전되는 방식이 사용된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회전부(6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에는 타 구성요소와의 결합을 위한 중공(62)이 형성된다.The rotating unit 60 is provided to provide rotational force to the wiper device, and generally, a method of axially rotating by a motor or the like is used.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otating part 6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hollow 62 is formed on the inside for coupling with other components.

다음으로, 고정부(50)는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며, 특히, 이후 가이드부(40)를 일정 각도 회전 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가이드부(40)는 고정부(5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동시에,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킨 후에는 고정부(50)에 고정시킬 수 있다.Next, the fixing unit 50 is provided in a fixed state so as not to rotate, and in particular, to allow the guide unit 40 to be fixed after a certain angle of rotation. That is, the guide part 40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xing part 50, and may be fixed to the fixing part 50 after being rotated at a desired angle.

한편, 상기 가이드부(40)는 이와 같이 고정부(50)에 의해 고정되는 방법 외에 다른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즉, 고정부(50)는 가이드부(40)의 회전각을 조절하기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다른 방식에 의해 구현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생략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guide portion 40 may be fixed in a variety of ways other than being fixed by the fixing unit 50 in this way. That is, the fixing part 50 is provided to easily adjust the rotation angle of the guide part 40, may be implemented by other methods or may be omitted depending on the case.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50)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에는 회전부(60)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홀(52)이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부(50)에 대한 더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xing part 50 is formed in a disc shape, and a through hole 52 through which the rotating part 60 can penetrate is formed inside. And, more specific details about the fixing unit 50 will be described later.

다음으로, 연결부(30)는 와이퍼부(10)와 직접 연결되는 구성요소로, 회전부(60)의 회전력을 와이퍼부(10)에 전달하여 와이퍼부(10)가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와이퍼부(10)와 연결된 반대쪽 일측은 개방되며, 내측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Next, the connection part 30 is a component directly connected to the wiper part 10, and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tion part 60 to the wiper part 10 so that the wiper part 10 can be driven. And, the opposite side connected to the wiper 10 is open, the receiving space is formed inside.

또한, 측면에는 상기 수용공간에 노출되는 삽입홈(32)이 형성된다. 삽입홈(32)은 연결부(30) 내측의 수용공간에만 노출되도록 소정 깊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와 같이 연결부(30) 측면을 완전히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insertion groove 32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is exposed to the receiving space. The insertion groove 32 may be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so as to be exposed only to the receiving space inside the connection part 30, but may also be formed to completely penetrate the side surface of the connection part 30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가이드부(40)는 상기 연결부(30)의 개방된 일측에 구비되며, 회전부(60)의 회전력에 연동되어 회전되지 않는 구성요소이다. 즉, 연결부(30) 및 와이퍼부(10)는 회전부(6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나, 가이드부(40)는 이와 관계 없이 고정 위치를 유지한다.The guide part 4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on part 30 that is open, and is a component that does not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tion part 60. That is, the connection part 30 and the wiper part 10 are rota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art 60, but the guide part 40 maintains a fixed position irrespective of this.

그리고, 가이드부(40)가 상기 연결부(30)의 수용공간에 노출되는 부분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이에 대해서는 도 4에 자세히 도시된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이드부(40)의 모습이 확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a guide groove is formed at a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40 exposed to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connection portion 30, which is shown in detail in FIG. 4. Referring to FIG. 4, it can be seen that the state of the guide part 40 is enlarged.

상기와 같이, 가이드부(40)가 상기 연결부(30)의 수용공간에 노출되는 부분 측에는 가이드홈(45)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상기한 조작돌기(47)가 구비된다. 그리고, 가이드부(40)의 내측에는 통과홀이 형성되어, 회전부(60)가 통과홀을 관통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통과홀은 회전부(60)가 회전되더라도 이와 관계 없이 고정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guide groove 45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guide portion 40 is exposed 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30, the one side is provided with the operation projection 47. In addition, a through hole is formed inside the guide part 40, and the rotating part 60 may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As a result, the through-hole can maintain the fixed position irrespective of this even if the rotating part 60 is rotated.

또한,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홈(45)의 형상은 전체적으로 원형의 폐곡선 경로를 가진다. 이때, 상기 폐곡선 경로의 어느 일부 구간은 원형의 곡률보다 작은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폐곡선 경로의 일부는 곡률이 0인 직선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specifically, the shape of the guide groove 45 has a circular closed curve path as a whole. In this case, any part of the closed curve path is formed to have a curvature smaller than a circular curvature, and as shown, a part of the closed curve path is formed as a straight line with zero curvature.

하지만, 본 실시예와 달리, 폐곡선 경로의 일부는 직선 외에도 곡률이 작은 완만한 곡선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원형의 폐곡선 경로를 제1구간(45a)이라 칭하고, 원형의 곡률보다 작은 곡률을 가지는 일부는 제2구간(45b)이라 칭한다.However,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a part of the closed curve path may be formed as a smooth curve having a small curvature in addition to a straight lin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elow, the circular closed curve path is referred to as a first section 45a, and a part having a curvature smaller than the circular curvature is referred to as a second section 45b.

여기서,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연결부(30) 및 가이드부(40) 사이에는 회전핀(70)이 구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회전핀(70)은 연결부(30)의 수용공간에 위치된다. 연결부(30), 가이드부(40) 및 회전핀(70)의 자세한 결합 관계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 referring again to FIG. 3, it can be seen that the rotation pin 70 is provided between the connection part 30 and the guide part 40. That is, the rotary pin 70 is locat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30. A detailed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connection part 30, the guide part 40, and the rotation pin 7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핀(70)은 전체적으로 길게 형성되며, 회전부(60)에 의해 회전되도록 회전부(60)와 연결된다. 또한, 회전핀(70)에는 삽입돌기(72)가 더 형성되고, 삽입돌기(72)는 가이드부(40)의 가이드홈(45)에 삽입된다. 즉, 회전핀(70)은 회전부(60)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며, 이에 따라 삽입돌기(72)가 가이드홈(45)의 폐곡선 경로를 따라 순환하게 된다.As shown, the rotating pin 70 is formed to be long overall, and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part 60 to be rotated by the rotating part 60. In addition, the insertion pin 72 is further formed on the rotary pin 70, and the insertion protrusion 72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45 of the guide part 40. That is, the rotation pin 70 is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provided from the rotation unit 60, so that the insertion protrusion 72 is circulated along the closed curve path of the guide groove 45.

그리고, 이와 더불어 회전핀(70)의 끝단은 연결부(30)의 삽입홈(32)에 삽입된다. 결과적으로, 회전부(60)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핀(70)이 회전되면서 삽입돌기(72)가 가이드홈(45)을 따라 순환되고, 또한 회전핀(70)의 끝단이 삽입홈(32)에 삽입되므로, 연결부(30) 역시 회전된다.In addition, the end of the rotary pin 7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32 of the connecting portion 30. As a result, as the rotation unit 60 rotates, the insertion pin 72 is circulated along the guide groove 45 while the rotation pin 70 is rotated, and the end of the rotation pin 7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32. Since it is inserted in, the connecting portion 30 is also rotated.

정리하면, 회전부(60), 회전핀(70), 연결부(30), 와이퍼부(10)의 순서로 회전력이 전달되는 것이다.In summary, the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in the order of the rotation part 60, the rotation pin 70, the connection part 30, the wiper part 10.

여기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와이퍼장치에는 상기 회전력에 따라 회전된 연결부(30)를 소정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부가 더 구비된다. 이에 따라, 회전핀(70)에 의해 함께 회전된 연결부(30)는 차후 회전핀(70)이 삽입홈(32)에서 빠지게 될 경우, 회전부(6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역회전하여 소정 위치로 복귀될 수 있게 된다.Here, although not shown, the wip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restoring unit for providing a restoring force for returning the connection portion 30 rotated according to the rotational force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ccordingly, the connection part 30 rotated together by the rotation pin 70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rotation part 60 when the rotation pin 70 is later removed from the insertion groove 32. It will be possible to return to the position.

즉, 연결부(30)는 회전핀(70)이 삽입홈(32)에 끼워질 경우에는 회전부(60)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며, 회전핀(70)이 삽입홈(32)에서 빠질 경우에는 회전부(6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복귀되는 것이다.That is, the connection part 30 is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on part 60 when the rotation pin 7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32, the rotation pin 70 is to be removed from the insertion groove (32) In this case, the rotating part 60 is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at of the rotating part 60 to be return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복원부는 토션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며, 일단이 연결부(30)에 연결되고, 타단이 고정부(50)에 연결되는 것으로 하였다. 따라서, 연결부(30)의 회전에 따라 토션 스프링에 텐션이 가해지고, 회전핀(70)이 삽입홈(32)에서 빠질 경우 상기 텐션의 해소에 의해 연결부(30)가 역회전하여 복귀된다.In this embodiment, the restoring portion is to be formed of a torsion spring, one e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30, the other end is to be connected to the fixing portion (50). Therefore, the tension is applied to the torsion spring as the connection part 30 rotates, and when the rotating pin 70 is pulled out of the insertion groove 32, the connection part 30 is reversely rotated and returned by the release of the tension.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회전핀(70)을 안착시킬 수 있는 안착부(80)가 더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안착부(80)에는 회전핀(70)이 위치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회전핀(70)은 상기 안착홈 상에서 연결부(30)의 삽입홈(32)에 끼워지거나 빠지도록 왕복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안착부(80)는 도 3, 도 5 및 도 13에 도시되며, 특히 그 구조를 보다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반원 형상의 단면으로 도시하였다. 본래 안착부(80)의 형상은 완전한 원형을 가질 것이며, 따라서 회전핀(70)은 안착홈에 구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re is further provided a seating portion 80 that can seat the rotary pin (70). Specifically, the seating portion 80 is formed with a seating groove in which the rotary pin 70 is positioned, and the rotary pin 70 is reciprocated to be fitted into or removed from the insertion groove 32 of the connection part 30 on the seating groove. Can be. Here, the seating portion 80 is shown in Figures 3, 5 and 13, in particular shown in a semi-circular cross-section so that the structure can be more easily understood. Originally the shape of the seating portion 80 will have a perfect circular shape, so that the rotary pin 70 can be held in a restraint groove.

이때, 회전핀(70)은 삽입홈(32)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74)가 회전핀(70)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구비됨에 의해 상기 복원력이 구현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회전핀(70)은 삽입홈(32)에 항상 끼워진 상태로 유지된다.At this time, the rotation pin 70 is formed to have a restoring force in the direction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32, in this embodiment the elastic member 74 is provided to surround the outer side of the rotation pin 70 by the restoring force This is implemented. Therefore, in general, the rotary pin 70 is always kept in the insertion groove 32.

그리고, 안착부(80)는 회전부(60)에 연결되므로, 회전핀(70)이 안착부(80)의 회전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And, since the seating portion 80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portion 60, the rotary pin 70 may be rotated with the rotation of the seating portion (80).

이상으로,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 및 이들의 연결 관계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동 과정을 차례로 도시한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제 구동 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descrip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nection relations thereof have been described. 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7 to 11 sequentially showing the driv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tual driv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Explain.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회전핀(70)의 끝단은 연결부(30)의 삽입홈(32)에 삽입되고, 삽입돌기(72)는 가이드부(40)의 가이드홈(45)에 삽입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회전부(60)가 회전됨에 따라 회전핀(70)이 회전되고, 삽입홈(32)에 의해 회전핀(70)에 걸려 있는 연결부(30)가 회전된다.First, referring to Figure 7, the end of the rotary pin 7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32 of the connecting portion 30, the insertion projection 72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45 of the guide portion 40 You can see that. In this state, as the rotating part 60 is rotated, the rotating pin 70 is rotated, and the connection part 30 caught by the rotating pin 70 is rotated by the insertion groove 32.

또한, 이때 삽입돌기(72)는 가이드홈(45)의 제1구간(45a)을 순환하는 상태이다.In this case, the insertion protrusion 72 is in a state of circulating the first section 45a of the guide groove 45.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면, 삽입돌기(72)가 가이드홈(45)의 제2구간(45b)에 도달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2구간(45b)은 제1구간(45a)보다 작은 곡률을 가지며, 특히 본 실시예에서 직선으로 형성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Next, referring to FIG. 8, it can be seen that the insertion protrusion 72 reaches the second section 45b of the guide groove 45. The second section 45b has a curvature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section 45a, and in particular, the second section 45b is formed as a straight line as described above.

즉, 삽입돌기(72)는 원형을 가지는 제1구간(45a)에서 이보다 작은 곡률을 가지는 제2구간(45b)으로 진입함에 따라, 회전핀(70)은 안쪽으로 밀려 들어가 끝단이 삽입홈(32)에서 빠지게 된다.That is, as the insertion protrusion 72 enters the second section 45b having a curvature smaller than the first section 45a having a circular shape, the rotation pin 70 is pushed inward and the end thereof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32. ).

결국, 제2구간(45b)은 직선 형태가 아니더라도, 회전핀(70)이 삽입홈(32)에서 빠질 정도의 곡률을 가지면 족한 것이다. 물론, 가공성 및 신뢰성 등의 측면을 고려하여 볼 때, 제2구간(45b)은 본 실시예와 같이 직선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As a result, even if the second section 45b does not have a straight shape, it is sufficient that the rotation pin 70 has a curvature enough to fall out of the insertion groove 32. Of course, in consideration of aspects such as workability and reliability, it will be preferable that the second section 45b is formed in a straight shape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면, 회전핀(70)은 삽입홈(32)에서 완전히 빠진 상태로 회전을 지속하게 되고, 연결부(30)는 복원부의 복원력에 의해 미리 설정된 초기 위치로 역회전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 9, the rotation pin 70 continues to rotate in a completely removed state from the insertion groove 32, and the connection part 30 is rotated back to a preset initial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restoration part. can confirm.

이어 도 10을 참조하면, 연결부(30)는 초기 위치로 완전히 복귀되며, 회전핀(70)은 회전을 지속함에 따라 삽입돌기(72)가 제2구간(45b)으로부터 제1구간(45a)에 다시 진입하게 된다.10, the connecting portion 30 is completely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and as the rotary pin 70 continues to rotate, the insertion protrusion 72 is moved from the second section 45b to the first section 45a. You will enter again.

한편, 이때 회전핀(70)은 전과 달리 삽입홈(32)에서 빠져 안쪽으로 밀려 들어가 연결부(30)의 내벽을 따라 회전되는 상태이므로, 삽입돌기(72)가 제1구간(45a)에 원활히 진입할 수 없다는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삽입돌기(72)는 회전핀(7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6에 자세히 도시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rotation pin 70 is pushed inward from the insertion groove 32 and rotate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connecting portion 30 as before, the insertion protrusion 72 smoothly enters the first section 45a. The problem arises that you can't. Therefore, the insertion protrusion 72 needs to be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on pin 70, which is shown in detail in FIG.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회전핀(70)에는 삽입돌기(72)의 단면적보다 큰 개구홈이 형성되고, 이에 삽입돌기(72)가 끼워진 형태로 위치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삽입돌기(72)는 회전핀(70)에서 전후로 소폭 가동될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an opening groove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sertion protrusion 72 is formed in the rotation pin 70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insertion protrusion 72 may be located in the inserted shape. Therefore, the insertion protrusion 72 can be slightly moved back and forth in the rotary pin 70, it is possibl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또한, 개구홈의 내측에는, 회전핀(7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74)의 복원력과 반대 방향으로 삽입돌기(72)를 복원시키는 또 다른 탄성부재(76)가 구비될 수 있다. 이는 필수적으로 구비될 필요는 없으나, 본 발명의 원활한 구동을 위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ner side of the opening groove, another elastic member 76 for restoring the insertion projection 72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74 for providing a restoring force to the rotary pin 70 may be provided. This is not necessarily provided, but may be provided for smooth driving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고려하여 다시 도 10을 참조하면, 삽입돌기(72)가 제2구간(45b)으로부터 제1구간(45a)에 도달할 경우, 삽입돌기(72)가 회전핀(70)의 끝단 부분으로 이동됨에 따라 원활히 제1구간(45a)으로 진입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again in consideration of this, when the insertion protrusion 72 reaches the first section 45a from the second section 45b, the insertion protrusion 72 moves to the end portion of the rotary pin 70. As it can be seen that it can smoothly enter the first section (45a).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면, 복원부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원된 연결부(30)의 삽입홈(32)과 회전핀(70)의 위치가 다시 일치되어, 회전핀(70)이 삽입홈(32)에 재삽입된다. 본 시점 이후로는, 연결부(30)가 다시 회전핀(7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나열된 과정들이 반복됨으로 인해, 연결부(30)는 정, 역회전을 반복하고, 이에 따라 와이퍼부(10) 역시 왕복 운동하게 된다.Next, referring to FIG. 11, the position of the insertion groove 32 and the rotation pin 70 of the connecting portion 30 restored to the initial position by the restoration unit is matched again, and the rotation pin 7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 Is reinserted in 32). After this point, the connection part 30 again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otary pin 70, and because the above-described processes are repeated, the connection part 30 repeats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s, and thus the wiper part ( 10) will also reciprocate.

이상으로, 본 발명의 구동 과정에 대해 설명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와이퍼장치는 와이퍼부(10)의 왕복 각도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The driv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On the other hand, the wip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rbitrarily set the reciprocating angle of the wiper portion 1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와이퍼장치는, 연결부(30)가 회전핀(7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중, 삽입돌기(72)가 제2구간(45b)에 진입하여 회전핀(70)이 삽입홈(32)에서 빠지게 될 경우 연결부(30)는 역회전하여 복원된다.As described above, the wip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connecting portion 30 is rotated together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ry pin 70, the insertion projection 72 enters the second section 45b to rotate the rotary pin 70 ) Is removed from the insertion groove 32, the connection portion 30 is restored by rotating in reverse.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와이퍼장치의 회전 각도는, 제2구간(45b)의 위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삽입홈(32)의 초기 위치로부터 제2구간(45b)의 시작점이 가까이 위치될 경우, 와이퍼부(10)가 작은 각도로 왕복되며, 삽입홈(32)의 초기 위치로부터 제2구간(45b)의 시작점이 멀리 위치될 경우, 와이퍼부(10)는 큰 각도로 왕복될 수 있는 것이다.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rotation angle of the wip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econd section 45b. That is, when the starting point of the second section 45b is located close to the initial position of the insertion groove 32, the wiper portion 10 is reciprocated at a small angle, and the second section (from the initial position of the insertion groove 32) When the starting point of 45b) is located far, the wiper portion 10 can be reciprocated at a large angle.

정리하면, 연결부(30) 및 가이드부(40)의 상대 회전각을 변경하는 것으로 와이퍼부(10)의 왕복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In summary, the reciprocating angle of the wiper portion 10 can be adjusted by changing the relative rotation angles of the connecting portion 30 and the guide portion 40.

이와 같이 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50)가 구비된다. 그리고, 도 12에는 고정부(50) 의 모습이 자세히 도시되며, 도 13에는 고정부(50) 및 가이드부(40)의 연결 관계가 도시된다.To do this, in this embodiment, the fixing part 50 is provided. In addition, the state of the fixing part 50 is shown in detail in FIG. 12, and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fixing part 50 and the guide part 40 is shown in FIG. 13.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부(50)는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며, 가이드부(40)를 일정 각도 회전 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가이드부(40) 또는 고정부(50) 중 어느 한쪽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다른 한쪽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걸림홈 및 걸림돌기가 구현되지 않더라도 가이드부(40)를 임의로 적절히 회전시켜 와이퍼부(10)의 구동 각도를 변경할 수 있으나, 구비되는 것이 정확한 구동 및 사용 중 진동 방지 측면에서 효과적이다.As described above, the fixing part 50 is provided in a fixed state so as not to rotate, and to fix the guide part 40 after a predetermined angle rotation. In order to implement this, either one of the guide portion 40 or the fixing portion 50 is formed with a locking groove, the other side may be formed with a locking projection. Of course, even if the locking groove and the locking projection are not implemented, the driving angle of the wiper portion 10 may be changed by arbitrarily appropriately rotating the guide portion 40, but it is effective in terms of accurate driving and vibration prevention during use.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50)에 걸림홈(54)이 형성되며, 가이드부(40)에 걸림돌기(49)가 구비된다. 특히, 걸림홈(54)은 고정부(50)에 원형으로 일정 각도마다 구비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만큼 정확히 가이드부(4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현재 와이퍼부(10)의 구동 각도를 정확히 인지할 수 있는 것이다.Specifical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cking groove 54 is formed in the fixing part 50, and the locking protrusion 49 is provided in the guide part 40. In particular, the locking groove 54 is provided in the fixed portion 50 in a circular shape for each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user can rotate the guide portion 40 exactly as desired. That is, the user can accurately recognize the driving angle of the current wiper 10.

또한, 본 실시예에서 걸림돌기(49)는 볼플런저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볼플런저가 사용될 경우, 사용자는 우수한 조작 감도를 느낄 수 있는 동시에, 가이드부(40)가 고정부(5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cking protrusion 49 is formed of a ball plunger. When the ball plunger is used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feel the excellent operation sensitivity, and at the same time, the guide part 40 can be stably fixed to the fixing part 50.

한편, 언급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40)에는 가이드부(40)의 외측에서 가이드부(4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작돌기(47)가 구비될 수 있다. 조작돌기(47)는 상기한 커버(20)의 개구홀(22)을 통해 조작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가이드부(40)를 회전시켜 와이퍼부(10)의 구동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mentioned, the guide portion 40 may be provided with a manipulation projection 47 to enable the guide portion 40 to rotate on the outside of the guide portion 40. Since the operation protrusion 47 is formed to protrude so as to be manipulated through the opening hole 22 of the cover 20, the user easily adjusts the driving angle of the wiper unit 10 by rotating the guide unit 40. Can b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와이퍼장치는 와이퍼부(10)의 구동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때 별도의 제어수단이 구비되지 않으므로 추가 전력을 소모하지 않으며, 견고한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wip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driving angle of the wiper unit 10, and since no separate control means is provided, it does not consume additional power and may have a solid durability.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nd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thereof has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is obvious to them.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be regard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 와이퍼부
20: 커버
22: 개구홀
30: 연결부
32: 삽입홈
40: 가이드부
45: 가이드홈
50: 고정부
60: 회전부
70: 회전핀
72: 삽입돌기
80: 안착부
10: wiper part
20: cover
22: opening hole
30: connection
32: insertion groove
40: guide part
45: guide groove
50: fixed part
60: rotating part
70: rolling pin
72: insertion protrusion
80: seating part

Claims (7)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부;
일측이 개방되고, 내측에는 수용공간 및 상기 수용공간에 노출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연결부;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며, 내측에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안착부;
원형의 폐곡선 경로를 가지되, 상기 폐곡선 경로의 일부는 상기 원형의 곡률보다 작은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 가이드홈이 상기 수용공간에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개방된 일측에 구비된 가이드부;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어 상기 안착부와 함께 회전되고,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안착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폐곡선 경로를 순환하는 삽입돌기를 가지며, 상기 삽입돌기가 원형의 곡률 부분에 위치될 경우에는 상기 삽입홈에 끼워지고, 원형의 곡률보다 작은 곡률을 가지는 부분에 위치될 경우에는 상기 삽입홈에서 빠지도록 이동되되, 상기 삽입홈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는 회전핀;
상기 회전핀이 상기 삽입홈에 끼워져 회전됨으로 인해 함께 회전된 연결부를, 상기 회전핀이 상기 삽입홈에서 빠질 경우 소정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부; 및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의 회전에 따라 구동되는 와이퍼부;
를 포함하는 와이퍼장치.
Rotating portion to provide a rotational force;
One side is open, the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inside the receiving space and the insertion groove exposed to the receiving space;
A seating portion provid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having a seating groove formed therein, the seating portion being connected to the rotating portion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ortion;
A guide portion having a circular closed curve path, wherein a part of the closed curve path is formed such that a guide groove formed to have a curvature smaller than the circular curvature is exposed to the accommodation space and is provided at an open side of the connection part;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is rotated with the seat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has an insertion protrusion for circulating the closed curve path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seating portion, when the insertion protrusion is located in the circular curvature portion A rotation pin fitted to the insertion groove and moved to be removed from the insertion groove when positioned in a portion having a curvature smaller than a circular curvature, the rotation pin having a restoring force in a direction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A restoring unit providing a restoring force to return to a predetermined position when the rotatable pin is removed from the insertion groove when the rotation pin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and rotated together; And
A wiper part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and driven according to rotation of the connection part;
Wiper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곡선 경로의 원형의 곡률보다 작은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 상기 폐곡선 경로의 일부는 직선으로 형성되는 와이퍼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portion of the closed curve path formed to have a curvature smaller than a circular curvature of the closed curve path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폐곡선 경로의 원형의 곡률보다 작은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 상기 폐곡선 경로 일부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와이퍼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guide part is rotatably provided at the connection part to change a position of a part of the closed curve path formed to have a curvature smaller than a circular curvature of the closed curve path.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가이드부의 외측에서 상기 가이드부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작돌기가 구비된 와이퍼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guide unit is a wiper device provided with an operation projection for rotating the guide portion from the outside of the guide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부는 토션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와이퍼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restoration unit is formed of a torsion spr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를 회전 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 또는 상기 고정부 중 어느 한쪽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다른 한쪽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와이퍼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xing part connected to the guide part to fix the guide part after rotation,
One of the guide portion or the fixing portion is formed with a locking groove, the other side is a wiper device formed with a locking proj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회전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와이퍼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nsertion protrusion is a wiper device provided to be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ry pin.
KR1020100112118A 2010-11-11 2010-11-11 Wiper apparatus having variable driving angle KR1010403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118A KR101040313B1 (en) 2010-11-11 2010-11-11 Wiper apparatus having variable driving ang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118A KR101040313B1 (en) 2010-11-11 2010-11-11 Wiper apparatus having variable driving ang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0313B1 true KR101040313B1 (en) 2011-06-10

Family

ID=44405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2118A KR101040313B1 (en) 2010-11-11 2010-11-11 Wiper apparatus having variable driving ang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0313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10454A (en) * 1991-04-05 1992-11-02 Asmo Co Ltd Wiper device of variable sweeping angle
JPH062750A (en) * 1992-06-18 1994-01-11 Sankyo Seisakusho:Kk Cam device
JPH061044U (en) * 1992-06-12 1994-01-11 株式会社三共製作所 Swing drive device for wiper
KR20010001913U (en) * 1999-06-30 2001-01-26 정몽규 Wind shield wiper for vehicl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10454A (en) * 1991-04-05 1992-11-02 Asmo Co Ltd Wiper device of variable sweeping angle
JPH061044U (en) * 1992-06-12 1994-01-11 株式会社三共製作所 Swing drive device for wiper
JPH062750A (en) * 1992-06-18 1994-01-11 Sankyo Seisakusho:Kk Cam device
KR20010001913U (en) * 1999-06-30 2001-01-26 정몽규 Wind shield wiper for vehicl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67880B2 (en) Lid opening / closing device
CN105393027B (en) For the shift range conversion equipment of the vehicles
KR101932807B1 (en) Handle device for vehicle
KR101316303B1 (en) Overhead console of vehicle
KR101825774B1 (en) Multi-shaft drive device
JP5750617B2 (en) Endoscope bending angle adjustment mechanism and endoscope
US20180039222A1 (en) Transmission device for a photosensitive drum
KR20110098657A (en) Holding device
KR101040313B1 (en) Wiper apparatus having variable driving angle
KR20150088780A (en) Fishing reel
JP2005254969A (en) Manually retractable vehicular outside mirror
JP5436325B2 (en) Assist grip
KR102018496B1 (en) Sliding gear box for vehicle
JP2016078836A (en) Power outlet tray for automobile
KR20130053307A (en) Overhead console of vehicle
JP5690237B2 (en) Assist grip
JP5571339B2 (en) Game board mounting device for pachinko machines
JP2016211697A (en) Ball screw nut, ball screw mechanism and actuator
EP3657245B1 (en) Diopter adjustment mechanism and optical instrument including diopter adjustment mechanism
JP6200337B2 (en) Operating device
JP4046047B2 (en) Optical fiber outlet
CN106004429B (en) Vehicle shift operation device
JP2019002411A (en) Belt mounting jig, and, belt mounting device with belt mounting jig
JP4801562B2 (en) Rotary switch device
JP2010264838A (en) Coat hook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