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9673B1 - 연료전지 스택용 셀 전압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셀 전압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연료전지 스택용 셀 전압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셀 전압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9673B1
KR101039673B1 KR1020090118993A KR20090118993A KR101039673B1 KR 101039673 B1 KR101039673 B1 KR 101039673B1 KR 1020090118993 A KR1020090118993 A KR 1020090118993A KR 20090118993 A KR20090118993 A KR 20090118993A KR 101039673 B1 KR101039673 B1 KR 101039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voltage
cell
pins
voltage measuremen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8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훈
금영범
정귀성
유정한
김덕환
서정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8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96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9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9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537Electric variables
    • H01M8/04544Voltage
    • H01M8/04559Voltage of fuel cell sta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전지 스택용 셀 전압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셀 전압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분리판의 접속단자와 이에 접속되는 셀 전압 측정단자가 2열로 배치되는 종래의 구조를 탈피하여 이들을 1열 구조로 배치함으로써 분리판의 형상이 간단해지고 셀 전압 측정단자 결합시의 오작업을 줄일 수 있는 셀 전압 측정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분리판에 형성된 접속단자와; 전체 분리판들 중 선택된 분리판들의 접속단자에 접속되는 핀들을 가진 복수의 셀 전압 측정단자와; 상기 각 셀 전압 측정단자의 핀들로부터 센싱된 전압과 각 셀 전압 측정단자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각 셀의 평균전압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분리판의 접속단자와 셀 전압 측정단자가 연료전지 스택에서 각각 1열로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용 셀 전압 측정장치가 개시된다.
연료전지, 스택, 셀, 셀 전압, 평균전압, 1열 구조, 접속단자, 셀 전압 측정단자

Description

연료전지 스택용 셀 전압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셀 전압 측정방법{CELL VOLTAGE MEASURING DEVICE FOR FUEL CELL STACK AND METHOD FOR MEASURING CELL VOLTAG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연료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셀 전압 측정장치에서 분리판의 접속단자와 이에 연결되는 셀 전압 측정단자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는 고효율의 청정 에너지원으로서 점차 그 사용영역이 확대되어 가고 있으며, 여러 종류의 연료전지 중에서 특히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PEMFC: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는 다른 형태의 연료전지에 비해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작동하고 시동시간이 짧으며 부하 변화에 대한 빠른 응답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는 효율이 높고 전류밀도 및 출력밀도가 크다. 또한 반응가스(수소 및 공기 중 산소)의 압력 변화에 덜 민감하며 다양한 범위의 출력을 낼 수 있다. 이런 이유로 무공해 차량의 동력원, 자 가 발전용, 이동용 및 군사용 전원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는 수소와 산소를 전기화학적으로 반응하여 물을 생성하면서 전기를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공급된 수소가 애노드의 촉매에서 수소이온과 전자로 분리되고, 분리된 수소이온은 전해질막을 통해 캐소드로 넘어가게 된다.
이때, 캐소드에 공급된 공기 중 산소는 외부 도선을 통해 캐소드로 들어온 전자와 결합하여 물을 생성하면서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킨다.
한편, 실제 차량에서 필요한 전위를 얻기 위해서는 단위 셀을 필요한 전위만큼 적층하여야 하며, 단위 셀을 적층한 것을 스택(= 연료전지 스택)이라 한다. 1개의 단위 셀에서 발생하는 전위는 약 1.3V로서, 차량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생산하기 위해 다수의 셀을 직렬로 적층하고 있다.
각 단위 셀은 막전극접합체(MEA:Membrane Electrode Assembly)를 포함하며, 상기 막전극접합체에서 수소이온이 전달되는 고분자 전해질막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수소가 공급되는 애노드 전극과 공기(산소)가 공급되는 캐소드 전극이 구비된다.
또한 촉매층을 포함하는 상기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의 바깥쪽에는 가스확산층이 배치되며, 이러한 막전극접합체와 반응가스 및 냉각수 유로가 형성된 분리판을 순차적으로 적층한 것이 연료전지 스택이다.
한편, 연료전지 차량에서는 연료전지 스택을 구성하는 셀의 전압을 연료전지 스택의 성능 및 고장 여부를 파악하고 반응가스의 유량 제어 등 각종 제어에 사용 하고 있는바, 분리판을 커넥터 및 도선으로 셀 전압 측정장치에 연결하여 각 셀의 전압을 측정하도록 하고 있다.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과 관련한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셀들이 적층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스택 양단을 고정한 상태에서, 각 분리판의 측면에 전압 측정을 위한 접속단자가 형성되고, 여기에 셀 전압 측정단자가 부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미국특허 제6,844,093호, 일본공개특허 제2004-79192호).
이때, 분리판에 2열의 접속단자가 형성되어 분리판의 접속단자에 2열로 셀 전압 측정단자가 연결되는데, 일본공개특허 제2004-79192호에 개시된 구조에서는 2열의 셀 전압 측정단자가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어 셀 전압을 측정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조에서는 분리판 단자와 전압 측정단자가 2열의 구조를 가지는 경우 분리판의 형상이 복잡해지고, 1열과 2열의 단자 간격으로 인해 셀 전압 측정단자를 분리판에 1열 결합한 뒤 2열 결합할 때 결합하고자 하는 분리판에서 이탈하여 다른 분리판에 연결하게 되는 오작업의 가능성이 있다. 마찬가지로 지그재그 형태로 결합하는 과정에서 연결하고자 하는 분리판 대신에 다른 분리판에 연결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종래의 2열 구조를 탈피하여 분리판의 형상이 간단해지고 셀 전압 측정단자 결합시의 오작업을 줄일 수 있는 셀 전압 측정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분리판에 형성된 접속단자와; 전체 분리판들 중 선택된 분리판들의 접속단자에 접속되는 핀들을 가진 복수의 셀 전압 측정단자와; 상기 각 셀 전압 측정단자의 핀들로부터 센싱된 전압과 각 셀 전압 측정단자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각 셀의 평균전압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분리판의 접속단자와 셀 전압 측정단자가 연료전지 스택에서 각각 1열로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용 셀 전압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셀 전압 측정장치를 구비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에 연료전지 스택에 설치된 각 셀 전압 측정단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각 셀 전압 측정단자의 핀들로부터 센싱된 전압과 각 셀 전압 측정단자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각 셀의 평균전압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각 셀 전압 측정단자의 정보는 셀 전압 측정단자들이 분리판의 접속단자에 연결된 상태에서 각 셀 전압 측정단자의 전압이 센싱되는 핀들에 대한 위치정보와, 이웃한 셀 전압 측정단자 간의 간격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셀 전압 측정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종래 2열의 단자 구조를 1열의 단자구조로 변경하게 되면서 더욱 간단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고, 금형 등 제작비용 및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분리판 구조가 간단해짐에 따라 제작이 용이해지고, 종래 2열 단자 구조에서 발생하던 작업자의 오작업 문제가 방지될 수 있으며, 보다 안정감 있는 셀 전압 측정 및 모니터링이 가능해진다.
또한 셀 전압 측정단자 내 셀 수를 쉽게 조정할 수 있고, 직접적으로 센싱되는 부분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며, 셀 전압 측정단자의 전압측정용 핀 수 및 위치 설정, 셀 전압 측정단자의 간격, 전압이 센싱되는 분리판 선정 등에 있어서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셀 전압 측정단자의 설치 후 각 단자의 핀 위치정보, 단자 간격정보 등 필요한 정보만 제어부에 입력하게 되면 정확한 각 셀의 평균전압 산출이 가능해진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셀 전압 측정장치에서 분리판의 접속단자와 이에 연결되는 셀 전압 측정단자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2열 분리판 접속단자와 2열 셀 전압 측정단자를 가지는 구조에서 탈피하여, 1열 분리판 접속단자에 1열 셀 전압 측정단자가 결합된 구조를 가지는 셀 전압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셀 전압 측정장치의 셀 전압 측정단자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셀들이 적층되어 구성된 연료전지 스택(10)에서 셀 전압 측정을 위해 연료전지 스택의 각 분리판(11)에는 전체 1열로 배치되도록 접속단자(12)가 형성되어 구비된다.
또한 분리판(11)에 형성된 1열의 접속단자(12)를 따라 복수의 셀 전압 측정단자(21)가 전체적으로 1열로 배치되어 분리판의 접속단자에 접속, 연결되는데, 이때 각 셀 전압 측정단자(21)의 핀(미도시됨)들이 미리 선택된 분리판(11)의 접속단자(12)에 접속되도록 하여 셀 전압 측정단자와 분리판의 접속단자가 접속, 연결된다.
여기서, 분리판(11)의 접속단자(12)에 접속된 셀 전압 측정단자(21)의 핀(도 2a 및 도 2b, 도 3에서 도면부호 22임)들은 셀 전압 측정장치의 제어부(도면부호 20임)에 연결되며, 셀 전압 측정장치의 제어부(20)는 핀(22)들을 통해 센싱되는 전압으로부터 각 셀의 평균전압을 산출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셀 전압 측정단자를 모두 1열로 배치하는 경우 모든 분리판의 접속단자에 셀 전압 측정단자를 접속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또한 모든 분리판의 접속단자에 셀 전압 측정단자의 핀을 접속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모든 분리판에서 전압을 센싱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셀 전압 측정장치에서는 상기와 같이 분리판의 접속단자에 접속된 각 셀 전압 측정단자의 핀들을 통해 전압을 센싱한 뒤 각 핀에서 센싱된 전압들을 기초로 하여 핀 사이에 있는 모든 셀들의 평균전압을 산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셀 전압 측정장치는, 각 분리판(11a,11b, 도 1에서는 도면부호 11임)에 형성된 접속단자(도 1에서 도면부호 12임)와, 전체 분리판들 중 선택된 분리판들의 접속단자에 접속되는 핀(22)들을 가진 복수의 셀 전압 측정단자(21a,21b,21c,도 1에서 도면부호 21)와, 상기 각 셀 전압 측정단자의 핀(22)들로부터 센싱된 전압(V1~Vn)과 셀 전압 측정단자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각 셀의 평균전압을 산출하는 제어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2a 및 도 2b, 도 3 참조).
여기서, 분리판의 접속단자와 셀 전압 측정단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연료전지 스택에서 전체 1열로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며, 특히 복수의 셀 전압 측정단자는 전체 스택 및 분리판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렇게 복수의 셀 전압 측정단자(21a~21c)가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됨으로써 1열로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일부 분리판('노출부'의 분리판)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셀 전압 측정단자 사이에서 노출되는 구조가 된다.
상기와 같이 셀 전압 측정단자의 핀들이 접속되는 분리판 간의 간격, 분리판 의 접속단자에 접속되는 셀 전압 측정단자의 핀 위치 및 핀 간 간격은 다양하게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셀 전압 측정단자 사이로 노출되는 분리판(상기 핀에 접속되지 않는 비접속 분리판임)의 수, 그리고 이웃 배치된 두 셀 전압 측정단자 간의 간격 등이 임의로 다양하게 조정될 수 있다.
결국, 연료전지 스택의 전체 분리판 중에는 접속단자가 각 셀 전압 측정단자의 핀들에 접속되는 접속 분리판과, 상기 각 셀 전압 측정단자 내에서 핀들에 접속되지 않는 비접속 분리판과, 이웃한 셀 전압 측정단자 사이에서 노출되는 분리판(이 역시 비접속 분리판임)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셀 전압 측정장치에서는 제어부가 셀 전압 측정단자의 각 핀들로부터 센싱되는 전압과, 상기 셀 전압 측정단자들이 분리판의 접속단자에 연결된 상태에서 각 셀 전압 측정단자의 전압이 센싱되는 핀들에 대한 위치정보와, 이웃한 셀 전압 측정단자 간의 간격정보를 기초로 하여 각 셀의 평균전압을 산출함으로써 셀 전압 측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2a 및 도 2b,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셀 전압 측정장치의 구성을 예시한 구성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 및 도 2b는 동일한 셀 전압 측정단자가 규칙적으로 1열 배열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2a 및 도 2b의 실시예는 각 셀 전압 측정단자(21a~21c)에서 전압이 센싱되는 핀(22)들, 즉 분리판(11a)의 접속단자에 접속되는 핀(22)들의 위치가 모두 동일하고, 각 셀 전압 측정단자 내에서 핀들이 접속되는 분리판 간의 간격이 모두 동일하며, 1열로 배치되는 셀 전압 측정단자 간의 간격이 모두 동일한 것이다.
또한 도 3은 전압이 센싱되는 핀들의 위치가 상이한 여러 형태의 셀 전압 측정단자를 1열 조합하여 사용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3의 실시예는 각 셀 전압 측정단자(21a~21c)에서 전압이 센싱되는 핀(22)들, 즉 분리판(11a)의 접속단자에 접속되는 핀(22)들의 위치가 일부 또는 전부 상이하고, 각 셀 전압 측정단자 내에서 핀들이 접속되는 분리판 간의 간격이 일부 또는 전부 상이하며, 1열로 배치되는 셀 전압 측정단자 간의 간격이 일부 또는 전부 상이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셀 전압 측정장치에서 제어부는 이웃한 핀에서 센싱되는 전압과 이웃한 핀 사이의 셀 수를 고려하여 각 셀의 평균전압을 산출하게 되는데, 전압이 센싱되는 전체 핀들에서 볼 때 이웃한 핀 사이의 셀 수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핀들에 대한 위치정보와 셀 전압 측정단자 간의 간격정보가 된다.
여기서, 핀(22)들에 대한 위치정보는 셀 전압 측정단자(21a~21c)들을 분리판(11a)의 접속단자에 연결한 상태에서 정해지는 각 셀 전압 측정단자 내 이웃한 핀 간(전압이 센싱되는 이웃한 핀 간)의 간격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웃한 핀(22) 간의 간격은, 각 핀이 하나의 분리판 접속단자에 접속된다고 할 때, '핀 사이의 비접속 분리판(접속단자가 핀에 접속되지 않은 분리판임)의 수에 1을 더한 수', 또는 '접속 분리판(접속단자가 핀에 접속된 분리판임) 사이에 위치되는 셀의 수'가 된다. 이와 같이 두 핀(22) 간의 간격에 있어서 떨어진 두 접속 분리판(11a) 사이의 셀 수는 그 사이의 비접속 분리판(11b) 수에 1을 더한 것이므로 같은 개념이다.
또한 각 셀 전압 측정단자(21a~21c)에서 첫 번째 핀과 마지막 핀의 위치정보를 더 포함하는데, 첫 번째 핀의 경우 '해당 셀 전압 측정단자가 덮고 있는 첫 번째 핀 바로 앞의 비접속 분리판의 수'가 되고, 마지막 핀의 경우 '해당 셀 전압 측정단자가 덮고 있는 마지막 핀 바로 뒤의 비접속 분리판의 수'가 된다.
그리고, 이웃한 셀 전압 측정단자(21a~21c) 간의 간격정보에서 두 단자 간의 간격은 '이웃한 두 셀 전압 측정단자 사이에 노출된 분리판의 수 + 1'이 되는데, 이때 노출된 분리판의 수에 상기 첫 번째 핀 바로 앞의 비접속 분리판 및 상기 마지막 핀 바로 뒤의 비접속 분리판이 중복 계산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각 셀 전압 측정단자(21a~21c)가 연료전지 스택(10)에 설치된 상태에서, 두 셀 전압 측정단자 간의 노출된 분리판의 수는 전체가 노출된 분리판의 수로, 상기 비접속 분리판의 수는 일부라도 셀 전압 측정단자에 덮혀 있는 분리판의 수로 하는 것이 가능하며, 물론 그 반대로 할 수도 있다.
결국, 각 셀 전압 측정단자(21a~21c)가 연료전지 스택(10)에 설치된 뒤 상기의 각 정보가 제어부(20)에 제공(입력)되고 나면, 제어부(20)는 각 핀(22)들로부터 센싱 입력되는 전압(V1~Vn)과 상기 각 정보를 기초로 하여, 전압이 센싱되는 이웃한 핀(22)들 사이에 위치된 각 셀의 평균전압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도 2a 및 도 2b와 도 3을 참조하여 각 셀의 평균전압이 산출되는 과정을 예를 통해 설명하면, 우선 도 2a의 실시예에서 동일 셀 전압 측정단자(21a) 내에 구 비된 두 핀(22)에 의해 센싱되는 전압 V1과 V2와 두 핀 간의 간격으로부터 두 핀 사이에 위치된 셀들의 전압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즉, 첫 번째(1st) 셀과 두 번째(2nd) 셀의 셀 전압은 이웃한 두 핀의 센싱 전압 V1과 V2과 두 핀의 간격으로부터 얻어지는 셀 평균전압이며, '(V2-V1)/(핀 간 간격)'이 된다.
이때, '핀 간 간격'은 '두 핀 사이의 비접속 분리판의 수 + 1 = 두 핀 사이의 셀 수 = 2'가 된다.
또한 센싱 전압 V3와 V2로부터 세 번째(3rd) 셀과 네 번째(4th) 셀의 셀 전압을 산출할 수 있게 되는데, 이때 셀 전압은 '(V3-V2)/(핀 간 간격) = (V3-V2)/2'가 된다.
이와 같이 셀 전압 측정단자의 핀 사이에 위치한 셀들의 전압은 두 핀 사이의 전압과 핀 간 간격으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
또한 이웃한 두 셀 전압 측정단자(21a,21b) 사이에 위치된 셀들의 전압은 다음과 같이 산출될 수 있다.
즉, 도 2a의 실시예에서, 이웃한 두 셀 전압 측정단자(21a,21b) 사이의 마지막 핀과 첫 번째 핀으로부터 센싱되는 전압 V3와 V4로부터 셀 전압 측정단자 사이에 노출된 다섯 번째(5th), 여섯 번째(6th), 일곱 번째(7th) 셀들의 전압이 산출될 수 있는데, 이는 셀 평균전압으로서 '(V4-V3)/(두 셀 전압 측정단자 간 간격 + 두 핀 사이 앞/뒤의 비접속 분리판의 총 수)'로 산출된다.
여기서, '두 셀 전압 측정단자 간 간격 = 노출된 분리판 수 + 1 = 2 + 1 = 3'이고, 앞/뒤의 비접속 분리판의 수는 모두 0이므로, 결국 '(V4-V3)/3이 된다.
다음으로, 동일한 방식을 적용하여, 도 2b의 실시예에서는 1 ~ 4 번째(1st~4th) 각 셀의 평균전압은, 전압 V1과 V2가 센싱되는 두 핀(22) 간의 간격이 '두 핀 사이의 비접속 분리판의 수 + 1 = 두 핀 사이의 셀 수 = 4'이 되므로, '(V2-V1)/4'가 된다.
또한 5 ~ 7 번째 각 셀의 평균전압은 '(V3-V2)/(두 셀 전압 측정단자 간 간격 + 앞/뒤의 비접속 분리판의 수)'가 되며, 여기서 '두 셀 전압 측정단자 간 간격'은 '노출된 분리판 수 + 1'이므로 '2 + 1 = 3'이 되고, 앞/뒤의 비접속 분리판의 수는 모두 0이 된다. 즉, '(V3-V2)/(2 + 1 + 0 + 0) = (V3-V2)/3'이 된다.
다음으로, 동일한 방식을 적용하여, 도 3의 실시예에서는 V2, V1 전압에 의해 첫 번째 셀 전압이 산출되고, V2와 V3 전압에 의해 두 핀(22) 사이에 위치한 각 셀의 전압이 산출된다.
즉, 2 ~ 4 번째(2nd ~ 4th) 셀 전압은 평균전압으로서, '(V3-V2)/(핀 간 간격) = (V3-V2)/3'이 된다.
또한 V3와 V4에 의해 5 ~ 7 번째(5th ~ 7th) 셀 전압이 산출되는데, 각 셀의 평균전압으로서, '(V4-V3)/(두 셀 전압 측정단자 간 간격 + 두 핀 사이에서 앞/뒤의 비접속 분리판의 총 수)'로 산출된다.
여기서, 두 셀 전압 측정단자(21a,21b) 간 간격은 '노출된 분리판 수 1 + 1' = 2이고, 첫 번째 셀 전압 측정단자의 마지막 핀 뒤 비접속 분리판의 수는 0이며, 두 번째 셀 전압 측정단자의 첫 번째 핀 앞 비접속 분리판(점선 도시)의 수는 1이 되는바, 결국 5 ~ 7 번째(5th ~ 7th) 셀 전압(각 셀의 평균전압)은 '(V4-V3)/(2 + 0 + 1)=(V4-V3)/3'이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상술한 방법에 의해 연료전지 스택의 전체 셀에 대해 셀 전압(셀의 평균전압)을 산출할 수 있게 되며, 통상 연료전지 스택의 전체 분리판 중맨 처음 분리판과 맨 마지막 분리판의 전압을 센싱하여 전체 셀의 평균전압 '(Vn-V1)/전체 셀 수'을 산출하고 있으므로, 이를 셀 전압 측정단자에 의해 얻어지는 각 셀의 평균전압과 비교하여 셀 및 셀 전압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각 셀의 평균전압은 연료전지 시스템 및 차량의 각종 제어에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에 따르면, 종래 2열의 단자 구조를 1열의 단자구조로 변경하게 되면서 더욱 간단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고, 금형 등 제작비용 및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분리판 구조가 간단해짐에 따라 제작이 용이해지고, 종래 2열 단자 구조에서 발생하던 작업자의 오작업 문 제가 방지될 수 있으며, 보다 안정감 있는 셀 전압 측정 및 모니터링이 가능해진다.
또한 셀 전압 측정단자 내 셀 수를 쉽게 조정할 수 있고, 직접적으로 센싱되는 부분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며, 셀 전압 측정단자의 전압측정용 핀 수 및 위치 설정, 셀 전압 측정단자의 간격, 전압이 센싱되는 분리판 선정 등에 있어서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셀 전압 측정단자의 설치 후 각 단자의 핀 위치정보, 단자 간격정보 등 필요한 정보만 제어부에 입력하게 되면 정확한 각 셀의 평균전압 산출이 가능해진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셀 전압 측정장치의 셀 전압 측정단자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셀 전압 측정장치의 구성을 예시한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료전지 스택
11 : 분리판
11a : 접속 분리판
11b : 비접속 분리판
12 : 접속단자
20 : 제어부
21, 21a, 21b, 21c : 셀 전압 측정단자
22 : 핀

Claims (10)

  1. 분리판에 형성된 접속단자와;
    전체 분리판들 중 선택된 분리판들의 접속단자에 접속되는 핀들을 가진 복수의 셀 전압 측정단자와;
    상기 각 셀 전압 측정단자의 핀들로부터 센싱된 전압과 각 셀 전압 측정단자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각 셀의 평균전압을 산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분리판의 접속단자와 셀 전압 측정단자가 연료전지 스택에서 각각 1열로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용 셀 전압 측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셀 전압 측정단자가 연료전지 스택에 간격을 두고 1열로 배치되어 이웃한 두 셀 전압 측정단자 사이에 위치된 분리판이 노출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용 셀 전압 측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셀 전압 측정단자의 정보는 셀 전압 측정단자들이 분리판의 접속단자에 연결된 상태에서 각 셀 전압 측정단자의 전압이 센싱되는 핀들에 대한 위치정보와, 이웃한 셀 전압 측정단자 간의 간격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용 셀 전압 측정장치.
  4. 청구항 1의 셀 전압 측정장치를 구비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에 연료전지 스택에 설치된 각 셀 전압 측정단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각 셀 전압 측정단자의 핀들로부터 센싱된 전압과 각 셀 전압 측정단자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각 셀의 평균전압을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각 셀 전압 측정단자의 정보는 셀 전압 측정단자들이 분리판의 접속단자에 연결된 상태에서 각 셀 전압 측정단자의 전압이 센싱되는 핀들에 대한 위치정보와, 이웃한 셀 전압 측정단자 간의 간격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웃한 셀 전압 측정단자 간의 간격은 '이웃한 셀 전압 측정단자 사이에 노출된 분리판의 수 + 1'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핀들에 대한 위치정보는 분리판의 접속단자에 접속된 이웃한 핀 간의 간격과, 각 셀 전압 측정단자에서 첫 번째 핀과 마지막 핀의 위치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제어부는 동일 셀 전압 측정단자 내에 구비된 이웃한 핀에 의해 센싱되는 전압(Vn,Vn-1)과 이웃한 핀 간의 간격으로부터 하기 식(1)에 의해 두 핀 사이 각 셀의 평균전압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방법.
    식(1): 각 셀의 평균 전압 = (Vn - Vn -1)/(핀 간 간격)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이웃한 핀 간의 간격은 '핀 사이의 비접속 분리판(핀과 비접속된 분리판임)의 수에 1을 더한 수', 또는 '접속 분리판(접속단자가 핀에 접속된 분리판임) 사이에 위치되는 셀의 수'이고,
    상기 첫 번째 핀의 위치정보는 '해당 셀 전압 측정단자가 덮고 있는 첫 번째 핀 바로 앞의 비접속 분리판의 수'이며,
    상기 마지막 핀의 위치정보는 '해당 셀 전압 측정단자가 덮고 있는 마지막 핀 바로 뒤의 비접속 분리판의 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제어부는 이웃한 셀 전압 측정단자의 두 핀에 의해 센싱되는 전압(Vn -2,Vn -3), 이웃한 셀 전압 측정단자 간의 간격, 각 셀 전압 측정단자에서 첫 번째 핀과 마지막 핀의 위치정보로부터 하기 식(2)에 의해 두 핀 사이 각 셀의 평균전압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방법.
    식(2): 각 셀의 평균 전압 = (Vn -2 - Vn -3)/(두 셀 전압 측정단자 간 간격 + 두 핀 사이 상기 앞/뒤의 비접속 분리판의 총 수)
KR1020090118993A 2009-12-03 2009-12-03 연료전지 스택용 셀 전압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셀 전압 측정방법 KR101039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993A KR101039673B1 (ko) 2009-12-03 2009-12-03 연료전지 스택용 셀 전압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셀 전압 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993A KR101039673B1 (ko) 2009-12-03 2009-12-03 연료전지 스택용 셀 전압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셀 전압 측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9673B1 true KR101039673B1 (ko) 2011-06-09

Family

ID=44405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8993A KR101039673B1 (ko) 2009-12-03 2009-12-03 연료전지 스택용 셀 전압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셀 전압 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96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6122A (ko) 2019-11-08 2021-05-18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차량용 연료전지 센싱 시스템 및 방법
US11664513B2 (en) 2019-11-08 2023-05-30 Hyundai Mobi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sensing fuel cell of vehic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9192A (ja) 2002-08-09 2004-03-11 Toyota Motor Corp セル電圧モニターの燃料電池スタックへの取付け構造
KR20090006553A (ko) * 2007-07-12 2009-0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장치
KR20090037644A (ko) * 2007-10-12 2009-04-16 주식회사 효성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장치
KR20090114829A (ko) * 2008-04-30 2009-1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 전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9192A (ja) 2002-08-09 2004-03-11 Toyota Motor Corp セル電圧モニターの燃料電池スタックへの取付け構造
KR20090006553A (ko) * 2007-07-12 2009-0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장치
KR20090037644A (ko) * 2007-10-12 2009-04-16 주식회사 효성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장치
KR20090114829A (ko) * 2008-04-30 2009-1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 전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6122A (ko) 2019-11-08 2021-05-18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차량용 연료전지 센싱 시스템 및 방법
US11664513B2 (en) 2019-11-08 2023-05-30 Hyundai Mobi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sensing fuel cell of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34851B1 (en) Fuel cell system
KR101336426B1 (ko) 연료전지의 스택 전압 검출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스택 전압 검출 장치
US20050215124A1 (en) Fuel cell voltage monitoring system and associated electrical connectors
US11355763B2 (en) Cell-monitoring connector configured to be detachably mounted to fuel cell
US8802250B2 (en) Fuel cell bypass diode structures and attachment methods
US2014008728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ypassing Fuel Cells
EP2787570B1 (en) Method of fabricating fuel cell stack device
US6844093B2 (en) Fuel cell stacking body
KR101173386B1 (ko) 연료전지의 스택 전압 검출 장치
KR101039673B1 (ko) 연료전지 스택용 셀 전압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셀 전압 측정방법
US10158141B2 (en) Fuel cell system including multiple fuel cell stacks
CN108886155B (zh) 用于与多个隔板接触的方法以及燃料电池系统
JP6407069B2 (ja) 燃料電池スタック
US9337499B2 (en) Dual electrolyte fuel cell assembly
JP5302758B2 (ja) 燃料電池スタック
KR101308254B1 (ko) 연료 전지 스택의 상태 진단 장치 및 그 방법
KR101090626B1 (ko) 일체형 연료전지의 스택 전압 검출 장치
KR101105050B1 (ko) 연료전지 스택
US20090090637A1 (en) Reliable, Fault-Tolerant, Electrolyzer Cell Stack Architecture
KR101372081B1 (ko) 연료전지 스택용 분리판의 전압 단자대 정렬장치
JP2012014864A (ja) セルスタック装置、燃料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燃料電池装置
KR101314449B1 (ko) 기액 분리기를 일체화시킨 다단형 연료전지 스택
JP6797153B2 (ja) 電気化学反応セルスタック
KR20240015770A (ko) 연료전지 스택용 셀 전압 측정장치
KR20200069498A (ko) 셀 모니터링 커넥터가 탈착 가능한 연료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