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9585B1 -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 - Google Patents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9585B1
KR101039585B1 KR1020110012095A KR20110012095A KR101039585B1 KR 101039585 B1 KR101039585 B1 KR 101039585B1 KR 1020110012095 A KR1020110012095 A KR 1020110012095A KR 20110012095 A KR20110012095 A KR 20110012095A KR 101039585 B1 KR101039585 B1 KR 101039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irs
wheelchair
adult
mov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2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주)이안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안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이안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10012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95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9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9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02Ram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4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02Ramps
    • E04F2011/005Ramps collapsible, e.g. folding, telescopic

Abstract

본 발명은 성인의 보폭에 알맞게 다수 개의 챌판과 디딤판이 상하측으로 순차적으로 반복되는 성인용 계단을 구비하는 계단구조에 있어서; 상기 성인용 계단의 좌측에 형성된 경사면으로 장애인이 탄 휠체어가 쉽게 오르내릴 수 있는 완만한 경사면을 갖는 휠체어 이동면과; 상기 성인용 계단의 최상측 디딤판과 연장되는 상측바닥면에서 좌측으로 수평연장되어 상기 휠체어 이동면의 상측까지 연장되는 레일홈을 갖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휠체어 이동면 상부에 위치되는 판체로, 상면에는 유아의 보폭에 알맞게 다수 개의 챌판과 디딤판이 상하측으로 순차적으로 반복형성되고, 우측면에는 하부로 수직연장되어 상기 성인용 계단의 챌판 및 디딤판과 이격되는 측벽이 형성되며, 하부 저면은 하측바닥면 상부에 위치되어 다수 개의 이동롤러에 의해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하측바닥면과 이격설치되고, 측단면이 "ㄱ"자형상인 판체로 일측단은 최상측 디딤판 선단부에는 고정결합되고 타측단은 상기 상측바닥면의 레일홈에 삽입되어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지지되는 안내롤러를 갖는 가이드판이 형성되며, 상기 휠체어 이동면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스위치에 따라 유압 또는 공기압에 의해 신축되되 그 선단은 상기 측벽에 고정설치되는 작동바를 갖고 필요에 따라 상기 휠체어 이동면과 상기 성인용 계단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상하측 슬라이딩실린더가 형성되는 유아용 이동계단을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계단의 좌측에는 장애인이 탄 휠체어가 쉽게 오르내리는 휠체어 이동면을 완만한 경사로 이루고 그 우측에는 성인이 오르내리는 성인용 계단을 형성시키면서 휠체어 이동면과 성인용 계단 상면에 위치되어 공기압 또는 유압에 의해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유아용 이동계단을 형성시킴으로써 평상시에는 성인용과 유아용 계단으로 사용하다가 휠체어 이용시에는 유아용 이동계단을 성인용 계단 상면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휠체어 이동면을 사용하여 휠체어를 보다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Stairs structure of building for handicapped person and infant}
본 발명은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계단의 좌측에는 장애인이 탄 휠체어가 쉽게 오르내리는 휠체어 이동면을 완만한 경사로 이루고 그 우측에는 성인이 오르내리는 성인용 계단을 형성시키면서 휠체어 이동면과 성인용 계단 상면에 위치되어 공기압 또는 유압에 의해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유아용 이동계단을 형성시킴으로써 평상시에는 성인용과 유아용 계단으로 사용하다가 휠체어 이용시에는 유아용 이동계단을 성인용 계단 상면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휠체어 이동면을 사용하여 휠체어를 보다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는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단(階段;stairs)은 사람이 오르내리기 위하여 건물이나 비탈에 만든 층층대로, 수직면인 챌판과 수평면인 디딤판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디딤판에는 미끄럼짐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수단인 논슬립이 선단면이나 상면에 고정되고, 측단에는 난간손잡이를 갖는 난간이 형성되어 통행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런 구조의 계단은 휠체어를 탄 장애인이나 보폭이 작은 유아는 통행할 수 없어 장애인이나 유아에게는 불편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계단과는 별도로 계단주변에는 엘리베이터를 만들어 노약자나 장애인이 이용하도록 유도하고 있으나,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추가비용이 크게 소요되는 금전적인 부담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일측에 접철경사판체(10)가 접혀져 보관되는 판체접철보관부(25)를 갖고 계단(30)에 고정되는 난간바(20)와, 난간바(20)의 판체접철보관부(25)에 접어 보관하다가 필요시 계단(30) 일측에 펼치고 난간바(20)에 고정시키는 접철경사판체(10)로 구성된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가 등록특허 10-0738261로 제안된바 있으나, 난간바(20)에 기대어 보관중인 접철경사판체(10)의 보관이 수월치 않고 부주의로 인해 전도의 위험이 항상 도사리고 있어 많은 사람들이 통행하는 장소에 설치하기에는 위험부담이 크고, 기립되어 보관중인 접철경사판체(10)의 외관으로 인해 주변환경이 흉물스럽게 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계단의 좌측에는 장애인이 탄 휠체어가 쉽게 오르내리는 휠체어 이동면을 완만한 경사로 이루고 그 우측에는 성인이 오르내리는 성인용 계단을 형성시키면서 휠체어 이동면과 성인용 계단 상면에 위치되어 공기압 또는 유압에 의해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유아용 이동계단을 형성시킴으로써 평상시에는 성인용과 유아용 계단으로 사용하다가 휠체어 이용시에는 유아용 이동계단을 성인용 계단 상면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휠체어 이동면을 사용하여 휠체어를 보다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는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성인의 보폭에 알맞게 다수 개의 챌판과 디딤판이 상하측으로 순차적으로 반복되는 성인용 계단을 구비하는 계단구조에 있어서;
상기 성인용 계단의 좌측에 형성된 경사면으로 장애인이 탄 휠체어가 쉽게 오르내릴 수 있는 완만한 경사면을 갖는 휠체어 이동면과;
상기 성인용 계단의 최상측 디딤판과 연장되는 상측바닥면에서 좌측으로 수평연장되어 상기 휠체어 이동면의 상측까지 연장되는 레일홈을 갖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휠체어 이동면 상부에 위치되는 판체로, 상면에는 유아의 보폭에 알맞게 다수 개의 챌판과 디딤판이 상하측으로 순차적으로 반복형성되고, 우측면에는 하부로 수직연장되어 상기 성인용 계단의 챌판 및 디딤판과 이격되는 측벽이 형성되며, 하부 저면은 하측바닥면 상부에 위치되어 다수 개의 이동롤러에 의해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하측바닥면과 이격설치되고, 측단면이 "ㄱ"자형상인 판체로 일측단은 최상측 디딤판 선단부에는 고정결합되고 타측단은 상기 상측바닥면의 레일홈에 삽입되어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지지되는 안내롤러를 갖는 가이드판이 형성되며, 상기 휠체어 이동면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스위치에 따라 유압 또는 공기압에 의해 신축되되 그 선단은 상기 측벽에 고정설치되는 작동바를 갖고 필요에 따라 상기 휠체어 이동면과 상기 성인용 계단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상하측 슬라이딩실린더가 형성되는 유아용 이동계단을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계단의 좌측에는 장애인이 탄 휠체어가 쉽게 오르내리는 휠체어 이동면을 완만한 경사로 이루고 그 우측에는 성인이 오르내리는 성인용 계단을 형성시키면서 휠체어 이동면과 성인용 계단 상면에 위치되어 공기압 또는 유압에 의해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유아용 이동계단을 형성시킴으로써 평상시에는 성인용과 유아용 계단으로 사용하다가 휠체어 이용시에는 유아용 이동계단을 성인용 계단 상면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휠체어 이동면을 사용하여 휠체어를 보다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의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는, 어른의 보폭에 따른 높낮이를 갖는 우측의 성인용 계단(10)과, 휠체어가 쉽게 오르내릴 수 있는 경도를 갖는 좌측의 휠체어 이동면(20)과, 상측바닥면(13)에 형성되어 유아용 이동계단(40)이 슬라이딩 안내되는 가이드레일(30)과, 휠체어 이동면(20) 상부에 위치되어 필요시 성인용 계단(10)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되고 유아의 보폭에 따른 높낮이를 갖는 유아용 이동계단(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성인용 계단(10)은, 성인의 보폭에 알맞게 다수 개의 챌판(12)과 디딤판(11)이 상하측으로 순차적으로 반복된다.
상기 휠체어 이동면(20)은, 상기 성인용 계단(10)의 좌측에 형성된 경사면으로 장애인이 탄 휠체어가 쉽게 오르내릴 수 있는 완만한 경사면을 갖는다.
상기 가이드레일(30)은, 상기 성인용 계단(10)의 최상측 디딤판(11)과 연장되는 상측바닥면(13)에서 좌측으로 수평연장되어 상기 휠체어 이동면(20)의 상측까지 연장되는 레일홈(31)을 갖는다.
상기 유아용 이동계단(40)은, 상기 휠체어 이동면(20) 상부에 위치되었다가 휠체어 이동면(20) 사용시에만 우측의 상기 성인용계단(10)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판체로, 상면에는 유아의 보폭에 알맞게 다수 개의 챌판(42)과 디딤판(41)이 상하측으로 순차적으로 반복형성되고, 우측면에는 하부로 수직연장되어 상기 성인용 계단(10)의 챌판(12) 및 디딤판(11)과 이격되는 측벽(43)이 형성되며, 하부 저면은 하측바닥면(14) 상부에 위치되어 다수 개의 이동롤러(44)에 의해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하측바닥면(14)과 이격설치되고, 측단면이 "ㄱ"자형상인 판체로 일측단은 최상측 디딤판(41) 선단부에 고정결합되고 타측단은 상기 상측바닥면(13)의 가이드레일(30) 레일홈(31)에 삽입되어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지지되는 안내롤러(45a)를 갖는 가이드판(45)이 형성되며, 상기 휠체어 이동면(20)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스위치(46d)에 따라 유압 또는 공기압에 의해 신축되되 그 선단은 상기 측벽(43)에 고정설치되는 작동바(46b,46c)를 갖고 필요에 따라 신축되어서 상기 휠체어 이동면(20)이나 상기 성인용 계단(10)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상하측 슬라이딩실린더(46,46a)가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우측의 성인용 계단(10)과 좌측의 유아용 이동계단(40)으로 사용하다가, 휠체어를 탄 장애우가 계단을 올라가거나 내려오려 할 때에는, 잠시 계단을 왕래하는 사람들의 출입을 통제한 상태에서 스위치(46d)를 작동시킨다.
이때, 상하측 슬라이딩실린더(46,46a)의 작동바(46b,46c)는 길게 확장되면서 유아용 이동계단(40)은 상측의 가이드판(45) 안내롤러(45a)가 가이드레일(30)의 레일홈(31)을 따라 우측으로 슬라이딩 안내된다. 또한, 유아용 이동계단(40) 저면의 다수 개 이동롤러(44)는 하측바닥면(14)에서 유아용 이동계단(40)을 이격시켜 슬라이딩 이동이 보다 용이하게 유도하게 된다.
이렇게 유아용 이동계단(40)이 성인용 계단(10) 상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유아와 성인들이 유아용 이동계단(40)을 사용함과 동시에 휠체어를 탄 장애우는 휠체어 이동면(20)을 사용하면 된다.
장애우가 휠체어 이동면(20)을 사용한 후에는 상기와 반대로 휠체어 이동면(20) 상부로 유아용 계단(40)을 이동시켜 성인용 계단(10)을 사용하면 된다.
1 : 계단
10 : 성인용 계단 11 : 디딤판
12 : 챌판 13 : 상측바닥면
14 : 하층바닥면
20 : 휠체어 이동면
30 : 가이드레일 31 : 레일홈
40 : 유아용 이동계단 41 : 디딤판
42 : 챌판 43 : 측벽
44 : 이동롤러 45 : 가이드판
45a : 안내롤러 46,46a : 상하측 슬라이딩실린더
46b,46c : 작동바

Claims (1)

  1. 성인의 보폭에 알맞게 다수 개의 챌판(12)과 디딤판(11)이 상하측으로 순차적으로 반복되는 성인용 계단(10)을 구비하는 계단구조에 있어서;
    상기 성인용 계단(10)의 좌측에 형성된 경사면으로 장애인이 탄 휠체어가 쉽게 오르내릴 수 있는 완만한 경사면을 갖는 휠체어 이동면(20)과;
    상기 성인용 계단(10)의 최상측 디딤판(11)과 연장되는 상측바닥면(13)에서 좌측으로 수평연장되어 상기 휠체어 이동면(20)의 상측까지 연장되는 레일홈(31)을 갖는 가이드레일(30)과;
    상기 휠체어 이동면(20) 상부에 위치되는 판체로, 상면에는 유아의 보폭에 알맞게 다수 개의 챌판(42)과 디딤판(41)이 상하측으로 순차적으로 반복형성되고, 우측면에는 하부로 수직연장되어 상기 성인용 계단(10)의 챌판(12) 및 디딤판(11)과 이격되는 측벽(43)이 형성되며, 하부 저면은 하측바닥면(14) 상부에 위치되어 다수 개의 이동롤러(44)에 의해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하측바닥면(14)과 이격설치되고, 측단면이 "ㄱ"자형상인 판체로 일측단은 최상측 디딤판(41) 선단부에 고정결합되고 타측단은 상기 상측바닥면(13)의 가이드레일(30) 레일홈(31)에 삽입되어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지지되는 안내롤러(45a)를 갖는 가이드판(45)이 형성되며, 상기 휠체어 이동면(20)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스위치(46d)에 따라 유압 또는 공기압에 의해 신축되되 그 선단은 상기 측벽(43)에 고정설치되는 작동바(46b,46c)를 갖고 필요에 따라 신축되어서 상기 휠체어 이동면(20)이나 상기 성인용 계단(10)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상하측 슬라이딩실린더(46,46a)가 각각 형성되는 유아용 이동계단(40)을 구비하는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
KR1020110012095A 2011-02-10 2011-02-10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 KR101039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095A KR101039585B1 (ko) 2011-02-10 2011-02-10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095A KR101039585B1 (ko) 2011-02-10 2011-02-10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9585B1 true KR101039585B1 (ko) 2011-06-13

Family

ID=44405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2095A KR101039585B1 (ko) 2011-02-10 2011-02-10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95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340B1 (ko) 2018-06-11 2019-02-20 삼성유비스 주식회사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
KR200491121Y1 (ko) 2018-08-21 2020-02-24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이동식 경사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4960A (ja) 2001-04-03 2002-10-09 Sumitomo Forestry Co Ltd 収容棚兼用階段
KR100657843B1 (ko) 2006-09-27 2006-12-15 주식회사 거성이엔지건축사사무소 장애인 및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
KR100738261B1 (ko) 2006-11-28 2007-07-11 (주)홍주산업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
KR100911171B1 (ko) 2009-03-13 2009-08-06 (주)플랜에이건축사사무소 환자와 장애인 및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4960A (ja) 2001-04-03 2002-10-09 Sumitomo Forestry Co Ltd 収容棚兼用階段
KR100657843B1 (ko) 2006-09-27 2006-12-15 주식회사 거성이엔지건축사사무소 장애인 및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
KR100738261B1 (ko) 2006-11-28 2007-07-11 (주)홍주산업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
KR100911171B1 (ko) 2009-03-13 2009-08-06 (주)플랜에이건축사사무소 환자와 장애인 및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340B1 (ko) 2018-06-11 2019-02-20 삼성유비스 주식회사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
KR200491121Y1 (ko) 2018-08-21 2020-02-24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이동식 경사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76700A (en) Walking aid device
CA2844895C (en) Adjustable staircase
KR101090782B1 (ko) 계단 겸용 수직형 리프트장치 및 그 작동방법
KR100689065B1 (ko)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
KR101220161B1 (ko)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리프트 겸용 하이브리드 계단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보조장치의 이동방법
KR101039585B1 (ko)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
IT201600071622A1 (it) Dispositivo di ausilio per salire/scendere scale
KR100911171B1 (ko) 환자와 장애인 및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
KR100936020B1 (ko) 저상식 휠체어 리프트
KR100738261B1 (ko)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
US5740825A (en) Articulated stair walker
JP2012184073A (ja) エスカレータの踏段装置
US20180371761A1 (en) Catwalk system tiny house
KR101950340B1 (ko)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
KR200464975Y1 (ko) 접이식 계단이 구비된 싱크대
JP2009018111A (ja) 階段昇降装置
KR100993942B1 (ko)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
KR102037880B1 (ko) 교통약자용 계단 이송 장치
KR101180864B1 (ko)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자동 접철장치
KR101158845B1 (ko)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
KR101136987B1 (ko)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
KR100883313B1 (ko)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
KR20200134488A (ko) 이동식 계단
RU151163U1 (ru) Лестница-лифт
CN220451273U (zh) 一种方便使用的悬浮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