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9378B1 - 슬러지를 이용한 연료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슬러지를 이용한 연료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9378B1
KR101039378B1 KR1020100062596A KR20100062596A KR101039378B1 KR 101039378 B1 KR101039378 B1 KR 101039378B1 KR 1020100062596 A KR1020100062596 A KR 1020100062596A KR 20100062596 A KR20100062596 A KR 20100062596A KR 101039378 B1 KR101039378 B1 KR 101039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powder
fuel
forming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2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광
장민훈
Original Assignee
장민훈
장영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민훈, 장영광 filed Critical 장민훈
Priority to KR1020100062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93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9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9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1/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 B30B11/16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using pocketed rollers, e.g. two co-operating pocketed roll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러지를 이용한 연료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연료탄에 관한 것으로서, (a) 슬러지 분말, 석유화학 분말, 소석회 분말 및 물을 혼합하여 슬러지 혼합물을 생성하는 혼합단계; (b) 상기 슬러지 혼합물을 성형부에 투입하여 연료탄을 성형하는 연료탄 성형단계; 및 (c) 상기 연료탄을 열풍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를 이용한 연료 제조방법에 의하면, 슬러지 분말에 석유화학 분말, 소석회 분말 등을 첨가하여 고형으로 성형시킨 후 건조시켜 열량이 보다 상승된 연료탄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슬러지를 이용한 연료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FUEL USING SLUDGE}
본 발명은 슬러지를 이용한 연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슬러지 분말에 석유화학 분말, 소석회 분말 등을 첨가하여 고형으로 성형시킨 후 건조시켜 자체 열량이 보다 상승된 연료탄을 제조할 수 있는 슬러지를 이용한 연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하수처리나 폐수처리, 또는 각종 가축분뇨 등의 처리에는 다량의 슬러지를 포함하고 있는 오. 폐수가 발생하게 되는바, 이를 슬러지와 분리하기 위하여 원심분리기나 농축기 등을 사용하여 슬러지를 수분과 분리시킨 후 적정의 과정을 거쳐 폐기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수분을 제거한 슬러지를 폐기할 경우는 심각한 토질의 오염과 더불어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즉, 하수도의 보급에 의해 발생하는 슬러지와, 가축분뇨 등의 처리시에 다량으로 발생하는 슬러지에 의해 이의 매립지 등 처분지의 확보가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슬러지를 이용하여 귀중한 자원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이 모색되고 있고, 또한 콘포스트에 의한 녹색 농지로의 환원 및 슬러지 소각재의 용융 슬러그를 토목 등 건설자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모색되고 있으나, 이러한 경우 시설비의 투자가 많이 소요되어 현실성이 저조한 문제점이 따랐다.
또한, 기존 하수처리장이나 폐수처리장 등에는 물에 슬러지가 함유된 상태로 이동되므로 응집조에는 응집제 등을 투여함으로서 플록을 형성하여 고형화한 다음 이를 원심분리기 내지 농축기 등을 이용하여 주로 원심력에 의해 물과 슬러지를 분리하게 되고, 상기에서 분리된 슬러지는 대부분 폐기하거나 매립 또는 소각 처분하게 되므로 폐기시 발생하는 악취나 토양 오염 등의 문제는 심각한 환경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근래 들어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슬러지를 연료화할 수 있는 연료탄으로 성형하는 제조설비가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지만, 상기 슬러지만으로 제조된 연료탄은 자체 열량이 부족하여 실질적으로는 발전소용 및 가정용 보일러 등의 연료로 사용됨이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하,폐수 슬러지를 건조한 슬러지 분말에 석유화학 폐제품을 분쇄시킨 석유화학 분말 및 점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소석회 등을 첨가하여 고형의 연료탄을 성형한 후 가정용, 발전소용 등의 연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슬러지를 이용한 연료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슬러지를 이용한 연료 제조방법은, (a) 슬러지 분말, 석유화학 분말, 소석회 분말 및 물을 혼합하여 슬러지 혼합물을 생성하는 혼합단계; (b) 상기 슬러지 혼합물을 성형부에 투입하여 연료탄을 성형하는 연료탄 성형단계; 및 (c) 상기 연료탄을 열풍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슬러지 혼합물은 그 전체 중량에 대해 50 ~ 70중량%의 슬러지 분말, 22 ~ 30중량%의 석유화학 분말, 1 ~ 3중량%의 소석회 분말 및 7 ~ 9중량%의 물의 혼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석유화학 분말은 비닐, PE, PVC, PP 및 RDF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러지 분말은 하,폐수 슬러지 또는 음식물 쓰레기로 구성되며, 건조기에서 건조된 후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러지 분말은, 외측회전통 및 내측회전통으로 구성되어 있고, 일측의 가이드롤러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면서 모터와 연결된 체인밸트에 의해 구동되는 롤러가 외측회전통의 타측 외주면에 접하면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외측회전통과 내측회전통의 내주면에 교반날개판 및 교반편이 형성되어 있으며, 호퍼로 투입된 슬러지가 버너의 열풍에 의해서 건조되어 토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내측회전통의 내부에 상기 버너에서 나오는 화염을 내측회전통 내부로 고르게 분산시키기 위해 복수개의 반사보호갓 및 에너지 절약판이 장착되고, 상기 내측회전판의 외주면에는 상기 외측회전통에서 낙하된 상기 슬러지를 고르게 분쇄하기 위해 축방향으로 다수의 직선톱니가 돌출형성되는 건조기를 통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와 (b)단계 사이에는, (d) 상기 (a)단계의 슬러지 혼합물을 교반기에 투입하여 3 ~ 4분동안 교반시켜 숙성시키는 숙성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성형부는 복수의 성형홈이 형성된 한 쌍의 제1,제2 성형롤러와, 상기 제1,제2 성형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러지 혼합물은 상기 성형홈에 충진된 후 제1,제2 성형롤러의 회전에 의해 연료탄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성형홈은 제1,제2 성형롤러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타원 형상 또는 반구 형상, 직육면체, 정육면체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연료탄은 슬러지 분말, 석유화학 분말 및 소석회 분말의 혼합으로 이루어지는 슬러지 혼합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러지 혼합물은 그 전체 중량에 대해 50 ~ 70중량%의 슬러지 분말, 22 ~ 30중량%의 석유화학 분말, 1 ~ 3중량%의 소석회 분말 및 7 ~ 9중량%의 물의 혼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를 이용한 연료 제조방법에 의하면, 슬러지 분말에 석유화학 분말, 소석회 분말 등을 첨가하여 고형으로 성형시킨 후 건조시켜 열량이 보다 상승된 연료탄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슬러지탄을 가정용 보일러 및 발전소용 연료로 사용함으로써 화석 연료의 일부를 대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를 이용한 연료 제조방법에서 슬러지 분말을 생성하기 위한 킬른 건조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를 이용한 연료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를 이용한 연료 제조방법에서 슬러지탄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성형롤러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를 이용한 연료 제조방법에서 슬러지 분말을 생성하기 위한 건조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를 이용한 연료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를 이용한 연료 제조방법에서 슬러지탄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성형롤러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를 이용한 연료 제조방법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a) 슬러지 분말, 석유화학 분말, 소석회 분말 및 물을 혼합하여 슬러지 혼합물을 생성하는 혼합단계, (b) 상기 슬러지 혼합물을 성형부에 투입하여 연료탄을 성형하는 연료탄 성형단계, (c) 상기 연료탄을 열풍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a)와 (b)단계 사이에는, (d) 상기 (a)단계의 슬러지 혼합물을 교반기에 투입하여 3 ~ 4분동안 교반시켜 숙성시키는 숙성단계가 더 포함되어 있다.
상기 (a)의 혼합단계에서는 전체 중량에 대해 50 ~ 70중량%의 슬러지 분말, 22 ~ 30중량%의 석유화학 분말, 1 ~ 3중량%의 소석회 분말 및 7 ~ 9중량%의 물을 혼합하여 슬러지 혼합물을 생성한다(S10).
여기서, 상기 슬러지 분말은 하,폐수 슬러지를 포함하되, 음식물 쓰레기 및 분뇨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분쇄 기능을 가지고 있는 킬른 건조기에서 건조시킨 후 생성된다.
또한, 분쇄 기능이 없는 건조기에서 건조된 후 햄머밀과 같은 분쇄기를 통해 일정 크기 이하의 입자를 가지도록 분쇄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킬른 건조기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이전에 출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401384호(발명의 명칭: 쓰레기 건조장치)에 개시된 건조장치로 적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킬른 건조기가 아닌 통상의 건조장치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덧붙여, 상기 등록특허에서는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고 있지만, 이를 본 발명에 적용할 시에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 대신에 하,폐수 슬러지를 투입하여 건조시키게 된다.
이하, 전술한 등록특허에 개시된 건조장치 즉, 본 발명의 건조기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는데, 음식물 쓰레기를 하,폐수 슬러지로 대체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건조기는 내측회전통(100) 및 외측회전통(200)으로 구성되어 있고, 일측의 가이드롤러(30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면서 모터(310)와 연결된 체인밸트(320)에 의해 구동되는 롤러(330)가 외측회전통(200)의 타측 외주면(230)에 접하면서 회전하도록 구동수단(34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내측회전통(100)과 외측회전통(200)의 내주면에 다수의 교반날개판(110)(210) 및 교반편(120)(220)이 차례로 형성되어 있으며, 공급부(400)의 호퍼(410)로 투입된 폐기물이 버너(500)의 열풍에 의해서 건조된 폐기물 및 연소가스가 배출수단(600)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구성한 쓰레기의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측회전통(100)의 내부에 상기 버너(500)에서 나오는 화염을 내측회전통(100) 내부로 고르게 분산시키기 위해 복수개의 반사보호갓(130) 및 에너지 절약판(140)이 다수의 지지대(135)에 의해 결합된다.
이때, 상기 반사보호갓(130) 및 에너지 절약판(140)의 일측과 상기 내측회전통(100)의 내주면의 결합관계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바와 같이 용접으로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측회전판(100)은 외측회전판(200)의 내부에 도시되지 않은 용접 또는 지지수단의 나사체결에 의해 단단히 고정되어 있어서, 상기 외측회전통(200)이 구동수단(340)에 의해 회전하면 상기 내측회전통(100)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반사보호갓(130)은 원뿔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그 꼭지점측이 상기 버너(500)에서 나오는 화염과 마주 보도록 설치되어 버너(500)에서 나오는 화염을 상기 내측회전통(100)의 내주면으로 고르게 분산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에너지 절약판(140)은 원판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그 판상에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회전판(100)의 외주면에는 상기 외측회전판(200)에서 낙하된 음식물 쓰레기를 고르게 분쇄하기 위해 축방향으로 다수의 직선톱니(150)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측회전통(100)의 일단 내주면에는 음식물 쓰레기의 이송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경사진 돌조(160)가 형성되며, 상기 경사진 돌조(160)와 교반날개판(110) 사이에는 상기 내측회전통(100)으로 반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신속하게 이송시키기 위해 이송스크류(170)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회전통(200)의 타단 내측으로 상기 버너(500)에서 나오는 화염을 외측회전통(200)으로 고르게 전달시키기 위해 경사진 돌조(240)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건조기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프레임(800)상에 설치되는 공급부(400)의 호퍼(410)를 통해 하/폐수 슬러지가 투입되고, 상기 구동수단(340)의 모터(310)와 연결된 체인밸트(320)에 의해 구동되는 롤러(330)가 외측회전통(200)의 타측 외주면(230)에 접하면서 외측회전통(200) 및 내측회전통(100)이 같은 방향 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공급부(400)를 통해 투입된 하,폐수 슬러지는 상기 내측회전통(100)의 이송스크류(170)를 거쳐 교반날개판(110) 및 교반편(120)에 차례로 교반되어서 이송되며, 상기 내측회전통(100)의 끝부분에서 상기 외측회전통(200)으로 낙하되어 다시 교반날개판(210) 및 교반편(220)을 차례로 거치면서 상기 내측회전판(100)의 직선톱니(150)에 낙하되어 분쇄된다.
이때, 상기 호퍼(410)에는 음식물 쓰레기 및 분뇨 등을 더 투입할 수 있다.
이 후 상기 외측회전통(200)의 끝부분에서는 상기 배출수단(600)으로 낙하되어 스크류(630)를 통해 상기 슬러지를 완전히 파쇄하여 토출구(640)를 통해 밖으로 나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버너(500)에서 나온 화염의 흐름을 살펴보면, 상기 버너(500)에서 나온 화염은 먼저 공급부(400)를 통해 내측회전통(100)으로 투입된 하,폐수 슬러지를 상기 반사보호갓(130)을 통해 내측회전통(100)의 내주면으로 분산시켜 건조시키고, 상기 에너지 절약판(140)의 관통홀(141)을 통해 열의 흐름을 서서히 머무르게 하여 열에너지를 절약하면서 효과적으로 건조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버너(500)에서 나오는 화염이 상기 외측회전통(200)의 경사진 돌조(240)를 거쳐 외측회전통(200)의 내주면에 고르게 분산시켜줌으로써, 상기 내측회전통(100)에서 외측회전통(200)으로 낙하된 건조된 슬러지는 완전히 건조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건조되면서 나온 연소가스는 상기 배출수단(600)의 팬(610)에 의해 배기연통(620)으로 배출하게 되며, 또한 상기 버너(500)의 상부에 설치된 배기통(700)을 통해 버너(500)에서 나온 열을 이동시켜 재활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S10단계에서의 석유화학 분말은 상기 슬러지 분말과 혼합되어 보다 높은 열량을 가지는 후술하는 연료탄을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생활 쓰레기 건조물,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PVC(polyvinyl chloride), 폐기물 고형연료(RDF;Refuse Derived Fuel), 비닐 등 석유화학 폐제품을 용융 및 분쇄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석유화학 분말의 첨가로 인해 상기 (b)단계에서 성형되는 연료탄은 석유화학 분말이 첨가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아래의 표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20 ~ 30% 이상의 높은 열량을 가지게 되며, 구체적으로는 대략 6,500 ~ 8,000kcal 정도의 고열량을 가지게 된다.
슬러지 분말 슬러지 분말+석유화학 분말
열량(Kcal) 5000 ~ 5500 6500 ~ 8000
상기 소석회(calcium hydroxide;Ca(OH)2) 분말은 상기 슬러지 분말과 석유화학 분말의 혼합시에 점성을 부여하여 슬러지 분말과 석유화학 분말의 혼합물을 고화 처리하는 점결제(粘結劑)로서 기능하며, 또한 상기 혼합물의 ph가 높아 상기 고화 처리시의 산화, 환원 반응에 의해 암모니아 등의 유해가스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소석회를 생석회(CaO)를 대체할 수 있으며, 소석회 및 생석회 모두를 첨가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S10 단계에서는 별도의 사일로 또는 탱크 등에 수용된 슬러지 분말, 석유화학 분말, 소석회 분말 및 물을 로터리 밸브 또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용하여 적정량으로 배출시킨 후 스크류 컨베이어 등을 통해 이송시키면서 동시에 혼합시킬 수 있다.
상기 S10단계 이후에는 상기 슬러지 혼합물을 교반기에 투입하여 3 ~ 4분동안 교반시켜 숙성시키는 숙성단계를 거치게 된다(S20).
만약, 상기 교반 시간이 3분 미만이면 슬러지 혼합물의 점도가 상당히 높은 상태를 가지게 되어 후술하는 도 3 및 도 4의 성형부(900)에서 연료탄 성형작업의 수행이 어렵게 되고 마찬가지로, 상기 교반 시간이 4분을 넘게되면 슬러지 혼합물의 점도가 낮은 상태를 가지게 되어 상기 성형부(900)에서 연료탄 성형작업의 수행이 어렵게 된다.
상기 S20의 숙성단계를 거친 적정한 점도를 가지는 슬러지 혼합물은 성형부(900)에 투입되어 연료탄으로 성형된다(S30).
여기서, 상기 연료탄은 슬러지 분말, 석유화학 분말 및 소석회 분말이 혼합되어 구체적인 외관 형상을 가지도록 성형된 상태이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성형부(900)는 복수의 성형홈(910)이 형성된 한 쌍의 제1,제2 성형롤러(920,930)와, 상기 제1,제2 성형롤러(920,93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슬러지 혼합물은 상기 성형홈(910)에 충진된 후 제1,제2 성형롤러(920,930)의 회전에 의해 압출되어 고형(固形)의 연료탄으로 성형된다.
한편, 상기 성형홈(910)은 상기 제1,제2 성형롤러(920,930)에는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타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성형홈의 장축 길이는 50 ~ 70mm가 되도록 한다.
이외에도, 상기 성형홈(910)은 반구 형상, 직육면체, 정육면체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반구의 직경 또는 직육면체, 정육면체의 모서리 길이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료탄을 성형하기 위해 상기 성형부(900) 이외에 본 분야에서 관용적으로 사용되는 조개탄 성형기 등과 같은 공지의 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다음, 상기 S30단계에서 성형된 연료탄을 열풍 건조시켜 가정용 보일러, 화력발전소용, 시장점포용 등 다양한 용도의 연료로서 사용 가능한 연료탄을 얻게 된다(S40).
상기 S40단계에서 연료탄을 열풍 건조시키기 위한 구성으로는 히터(미도시)와 송풍팬(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예로 메쉬 컨베이어 벨트상에서 이송되는 상기 연료탄에 히터의 발열과 송풍팬의 동작으로 인해 발생된 고온 열풍을 공급하게 된다.
한편, 상기 히터의 발열량이 과다하여 연료탄이 메쉬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송되는 과정 중에 연소되거나, 히터의 발열량이 적어서 연료탄을 충분히 열풍 건조시킬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히터의 발열온도 즉, 상기 S40단계에서의 열풍 건조온도는 70 ~ 80℃가 되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900: 성형부 910: 성형홈
920: 제1 성형롤러 930: 제2 성형롤러

Claims (11)

  1. (a) 슬러지 분말, 석유화학 분말, 소석회 분말 및 물을 혼합하여 슬러지 혼합물을 생성하는 혼합단계;
    (b) 상기 슬러지 혼합물을 성형부에 투입하여 연료탄을 성형하는 연료탄 성형단계; 및
    (c) 상기 연료탄을 열풍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슬러지 혼합물은 중량을 기준으로 한 상대적 조성비가 슬러지 분말:석유화학 분말:소석회 분말:물=50~70:22~30:1~3:7~9이며,
    상기 (a)와 (b)단계 사이에는,
    (d) 상기 (a)단계의 슬러지 혼합물을 교반기에 투입하여 3 ~ 4분동안 교반시켜 숙성시키는 숙성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를 이용한 연료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유화학 분말은 비닐, PE, PVC, PP 및 RDF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를 이용한 연료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분말은 하,폐수 슬러지 또는 음식물 쓰레기로 구성되며, 건조기에서 건조된 후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를 이용한 연료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분말은,
    외측회전통 및 내측회전통으로 구성되어 있고, 일측의 가이드롤러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면서 모터와 연결된 체인밸트에 의해 구동되는 롤러가 외측회전통의 타측 외주면에 접하면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외측회전통과 내측회전통의 내주면에 교반날개판 및 교반편이 형성되어 있으며, 호퍼로 투입된 슬러지가 버너의 열풍에 의해서 건조되어 토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내측회전통의 내부에 상기 버너에서 나오는 화염을 내측회전통 내부로 고르게 분산시키기 위해 복수개의 반사보호갓 및 에너지 절약판이 장착되고, 상기 내측회전판의 외주면에는 상기 외측회전통에서 낙하된 상기 슬러지를 고르게 분쇄하기 위해 축방향으로 다수의 직선톱니가 돌출형성되는 건조기를 통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를 이용한 연료 제조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부는 복수의 성형홈이 형성된 한 쌍의 제1,제2 성형롤러와, 상기 제1,제2 성형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러지 혼합물은 상기 성형홈에 충진된 후 제1,제2 성형롤러의 회전에 의해 연료탄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를 이용한 연료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홈은 제1,제2 성형롤러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타원 형상 또는 반구 형상, 직육면체, 정육면체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를 이용한 연료 제조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00062596A 2010-06-30 2010-06-30 슬러지를 이용한 연료 제조방법 KR101039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596A KR101039378B1 (ko) 2010-06-30 2010-06-30 슬러지를 이용한 연료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596A KR101039378B1 (ko) 2010-06-30 2010-06-30 슬러지를 이용한 연료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9378B1 true KR101039378B1 (ko) 2011-06-09

Family

ID=44405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2596A KR101039378B1 (ko) 2010-06-30 2010-06-30 슬러지를 이용한 연료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93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5602A (ko) * 2019-02-28 2020-09-0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파우더형 건조물을 활용한 부착 방지 건조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9074A (ko) * 2000-12-30 2002-07-12 이 상 종 가연성 폐기물 연료화 방법
KR100366232B1 (ko) * 2001-08-20 2002-12-31 김오형 가연성쓰레기의 재생연료 제조 장치
KR20030003159A (ko) * 2002-11-19 2003-01-09 김준영 하수 슬러지와 폐합성수지류를 이용한 고형연료(r.d.f)제조장치와 그 제조방법
KR100401384B1 (ko) * 2001-09-14 2003-10-22 장영광 쓰레기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9074A (ko) * 2000-12-30 2002-07-12 이 상 종 가연성 폐기물 연료화 방법
KR100366232B1 (ko) * 2001-08-20 2002-12-31 김오형 가연성쓰레기의 재생연료 제조 장치
KR100401384B1 (ko) * 2001-09-14 2003-10-22 장영광 쓰레기 건조장치
KR20030003159A (ko) * 2002-11-19 2003-01-09 김준영 하수 슬러지와 폐합성수지류를 이용한 고형연료(r.d.f)제조장치와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5602A (ko) * 2019-02-28 2020-09-0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파우더형 건조물을 활용한 부착 방지 건조 장치 및 방법
KR102281474B1 (ko) * 2019-02-28 2021-07-2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파우더형 건조물을 활용한 부착 방지 건조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76907A (zh) 一种快速高效、环保节能污泥处理系统的设备及方法
CN102701710B (zh) 以城市生活污泥为原料的环保砖及其生产方法
CN107880967A (zh) 一种污泥生物质混合燃料的生产方法
CN105174908A (zh) 一种利用生活污泥或河湖污泥制作烧结砖的方法
CN106747315A (zh) 一种烧结砖及其制备方法
KR100787948B1 (ko) 유기성 폐기물 탄화를 위한 외열식 로타리 탄화로 장치
CN101914405B (zh) 一种污泥成型燃料及其生产方法和生产系统
KR101039378B1 (ko) 슬러지를 이용한 연료 제조방법
KR101860041B1 (ko) 하이브리드 슬러지 연료탄 생산 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CN102775034A (zh) 一种污泥焚烧处理方法及污泥焚烧处理装置
CN102964041B (zh) 污泥焚烧处理装置及其焚烧处理方法
KR20020059074A (ko) 가연성 폐기물 연료화 방법
KR101042619B1 (ko)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압축성형 숯연료 제조방법
KR101253430B1 (ko) 자화 연소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202543010U (zh) 污泥调理脱水处理处置系统
JP2005220194A (ja) バイオマス燃料及びその製造方法
CN102674644A (zh) 污泥调理脱水处理处置系统及方法
KR101229005B1 (ko) 슬러지를 이용한 연료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0195641Y1 (ko) 폐기식품 숯 제조 장치용 건류 탄화기
KR100319803B1 (ko) 오니탄의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07226B1 (ko) 가연성 폐기물의 연료화를 위한 건조로
CN106186634A (zh) 干燥机
KR101999637B1 (ko) 건조된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발전소용 rps 대응 연료탄 생산 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JP5349786B2 (ja) 脱水有機廃棄物の燃料化方法及びバイオマス燃料
KR102503144B1 (ko) 혼합 폐기물을 이용하는 열재생 에너지 생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