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9219B1 - 축열 연소식 열처리로의 연소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축열 연소식 열처리로의 연소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9219B1
KR101039219B1 KR1020090115021A KR20090115021A KR101039219B1 KR 101039219 B1 KR101039219 B1 KR 101039219B1 KR 1020090115021 A KR1020090115021 A KR 1020090115021A KR 20090115021 A KR20090115021 A KR 20090115021A KR 101039219 B1 KR101039219 B1 KR 101039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heat treatment
treatment furnace
heat storage
regener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5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9570A (ko
Inventor
야스유키 기모토
히로토시 우에시마
Original Assignee
쥬가이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가이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가이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69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9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9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9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5/00Disposition of burners with respect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to one another; Mounting of burners in combustion apparatus
    • F23C5/08Disposition of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66Preheating the combustion air or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1/00Devices for conducting smoke or fumes, e.g. f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5/00Heating of air supplied for combustion
    • F23L15/02Arrangements of re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2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with a time programme acting through electrical means, e.g. using time-delay relays
    • F23N5/203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with a time programme acting through electrical means, e.g. using time-delay relays using electron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3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3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9/36Arrangements of he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7/00Arrangements for using waste heat; Arrangements for using, or disposing of, waste gases
    • F27D17/004Systems for reclaiming waste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7D99/0001Heating elements or systems
    • F27D99/0033Heating elements or systems using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27/00Ignition or checking
    • F23N2227/10Sequential burner run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31/00Fail safe
    • F23N2231/30Representation of working ti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37/00Controlling
    • F23N2237/02Controlling two or more bur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34Indirect CO2mitigation, i.e. by acting on non CO2directly related matters of the process, e.g. pre-heating or heat reco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ir Supply (AREA)
  • Tunnel Furnaces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복수 쌍의 축열식(蓄熱式) 버너가 설치됨과 더불어 열처리로(熱處理爐) 내에 있어서의 연소 배기 가스의 일부를 열처리로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排出部)가 설치된 축열 연소식 열처리로에 있어서, 열처리로 내에 있어서의 연소 부하(負荷)에 따라서, 각 쌍의 축열식 버너의 연소 및 정지를 적절하게 제어함과 더불어, 열처리로에 있어서의 열 이용률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하였다. 복수 쌍의 축열식 버너(20)가 설치됨과 더불어 열처리로(10) 내에 있어서의 연소 배기 가스의 일부를 열처리로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13)가 설치된 축열 연소식 열처리로에 있어서, 열처리로 내에 있어서의 연소 부하에 따라서, 복수 쌍의 축열식 버너에 있어서의 연소 및 정지를 전환해서 제어할 때에, 배출부에 가까운 위치의 축열식 버너의 쌍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정지시키는 시간을 길게 하였다.

Description

축열 연소식 열처리로의 연소 제어 방법{COMBUSTION CONTROL METHOD FOR REGENERATIVE-COMBUSTION HEAT TREAT FURNACE}
본 출원은, 일본국 특허 출원 번호 2008-319593호에 근거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연료 분사 노즐을 구비한 버너부와 축열재를 수용시킨 축열실을 갖춘 1쌍의 축열식 버너가, 열처리로에 있어서의 피처리재(被處理材)의 이동 방향을 따라 복수 쌍 설치됨과 더불어, 열처리로 내에 있어서의 연소 배기 가스의 일부를 열처리로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가 설치되고, 각 쌍에 있어서의 한쪽의 축열식 버너에서, 축열실을 통해서 연소용 공기를 버너부에 인도함과 더불어 이 버너부에 있어서의 연료 분사 노즐로부터 연료 가스를 분사시켜서 연소를 실행하는 한편, 다른 쪽의 축열식 버너에서, 연소 배기 가스를 축열재가 수용된 축열실에 인도해서 축열재에 연소 배기 가스의 열을 축열시켜 배출시키는 조작을 번갈아 실행하는 축열 연소식 열처리로에 관한 것이다. 특히, 열처리로 내에 있어서의 연소 부하에 따라서, 각 쌍의 축열식 버너의 연소 및 정지를 적절하게 제어함과 더불어, 열처리로에 있어서의 열 이용률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한 점에서 특징을 갖는 것이다.
종래부터, 피처리재를 열처리할 때에, 연료 분사 노즐을 구비한 버너부와 축열재를 수용시킨 축열실을 갖춘 1쌍의 축열식 버너가, 열처리로에 있어서의 피처리재의 이동 방향을 따라 복수 쌍 설치됨과 더불어, 열처리로 내에 있어서의 연소 배기 가스의 일부를 열처리로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가 설치되고, 각 쌍에 있어서의 한쪽의 축열식 버너에서, 축열실을 통해서 연소용 공기를 버너부에 인도함과 더불어 이 버너부에 있어서의 연료 분사 노즐로부터 연료 가스를 분사시켜서 연소를 실행하는 한편, 다른 쪽의 축열식 버너에서, 연소 배기 가스를 축열재가 수용된 축열실에 인도해서 축열재에 연소 배기 가스의 열을 축열시켜 배출시키는 조작을 번갈아 실행하도록 한 축열 연소식 열처리로가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이러한 축열 연소식 열처리로에 있어서, 피처리재의 종류나 크기, 처리 목적 등에 따라, 열처리로 내에 있어서의 연소 부하를 변경시키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종래에 있어서는, 일본국 특개평 8-35623호 공보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열처리로 내에 있어서의 연소 부하에 따라서, 열처리로에 설치된 복수 쌍의 축열식 버너의 연소 및 정지를 제어할 때에, 연소 부하의 감소에 따라, 열처리로에 설치된 복수 쌍 중 소정의 위치에 있어서의 축열식 버너로부터 차례로, 그 연소를 정지시키도록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렇게 열처리로 내에 있어서의 연소 부하의 감소에 따라, 열처리로에 설치된 복수 쌍 중 소정의 위치에 있어서의 축열식 버너로부터 차례로, 그 연소를 정지시키도록 하였을 경우, 연소 부하가 낮은 상태에서의 열처리가 계속되면, 일정한 축열식 버너가 오래 정지되게 되고, 이 축열식 버너에의 연료의 공급이나 축열실에 있어서의 급배기(給排氣)의 전환을 실행하는 각종의 전환 밸브 등에 연료 가스 성분이나 연소 배기 가스 성분이 부착되어서, 연소를 재개시킬 경우 등에, 이러한 전환 밸브가 적절하게 작동하지 않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에 있어서는, 열처리로 내에 있어서의 연소 부하에 따라서, 열처리로에 설치된 복수 쌍의 축열식 버너에 있어서의 연소 및 정지를 제어할 때에, 일본국 특허 제3562142호 공보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연소 부하가 저하하였을 경우에 있어서, 복수 쌍의 축열식 버너를 정지시킬 경우, 정지시키는 축열식 버너를 일정한 사이클(cycle)로 변경시켜, 각각의 축열식 버너에 있어서의 연소 시간을 균일화시켜서, 열처리로 내에 있어서의 온도 분포를 균일화시키도록 한 것도 제안되어 있다.
여기서, 이렇게 연소 부하가 저하하였을 경우에 있어서, 정지시키는 축열식 버너를 일정한 사이클로 변경시켜서, 열처리로에 설치된 각각의 축열식 버너에 있어서의 연소 시간을 균일화시키도록 하였을 경우, 열처리로 내에 있어서의 연소 배기 가스의 일부를 열처리로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의 부근에 위치하는 축열식 버너의 연소 시간과, 이 배출부에서 떨어진 위치에 있어서의 축열식 버너의 연소 시간이 동일하게 되어, 배출부의 부근에 위치하는 축열식 버너의 연소에 의해 발생한 고온의 연소 배기 가스가, 상기의 배출부를 통해서 금방 열처리로 외부로 인도되어, 열처리로에 있어서의 열 이용률이 크게 저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연료 분사 노즐을 구비한 버너부와 축열재를 수용시킨 축열실을 갖춘 1쌍의 축열식 버너가, 열처리로에 있어서의 피처리재의 이동 방향을 따라 복수 쌍 설치됨과 더불어, 열처리로 내에 있어서의 연소 배기 가스의 일부를 열처리로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가 설치되고, 각 쌍에 있어서의 한쪽의 축열식 버너에서, 축열실을 통해서 연소용 공기를 버너부에 인도함과 더불어 이 버너부에 있어서의 연료 분사 노즐로부터 연료 가스를 분사시켜서 연소를 실행하는 한편, 다른 쪽의 축열식 버너에서, 연소 배기 가스를 축열재가 수용된 축열실에 인도해서 축열재에 연소 배기 가스의 열을 축열시켜 배출시키는 조작을 번갈아 실행하는 축열 연소식 열처리로에 있어서, 열처리로 내에 있어서의 연소 부하에 따라서, 각 쌍의 축열식 버너의 연소 및 정지를 제어할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축열 연소식 열처리로에 있어서, 열처리로 내에 있어서의 연소 부하에 따라서, 각 쌍의 축열식 버너에 있어서의 연소 및 정지를 제어할 때에, 연소 부하가 낮은 상태에서의 열처리가 계속되었을 경우에 있어서도, 일정한 축열식 버너의 정지 시간만이 길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이 축열식 버너에의 연료의 공급이나 축열실에 있어서의 급배기의 전환을 실행하는 각종의 전환 밸브 등에 연료 가스 성분이나 연소 배기 가스 성분이 부착되는 것을 억제함과 더불어, 배출부의 부근에 위치하는 축열식 버너의 연소에 의해 발생한 고온의 연소 배기 가스가, 배출부를 통해서 금방 열처리로 외부로 인도되는 것을 억제하여, 열처리로에 있어서의 열 이용률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축열 연소식 열처리로의 연소 제어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연료 분사 노즐을 구비한 버너부와 축열재를 수용시킨 축열실을 갖춘 1쌍의 축열식 버너가, 열처리로에 있어서의 피처리재의 이동 방향을 따라 복수 쌍 설치됨과 더불어, 열처리로 내에 있어서의 연소 배기 가스의 일부를 열처리로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가 설치되고, 각 쌍에 있어서의 한쪽의 축열식 버너에서, 축열실을 통해서 연소용 공기를 버너부에 인도함과 더불어 이 버너부에 있어서의 연료 분사 노즐로부터 연료 가스를 분사시켜서 연소를 실행하는 한편, 다른 쪽의 축열식 버너에서, 연소 배기 가스를 축열재가 수용된 축열실에 인도해서 축열재에 연소 배기 가스의 열을 축열시켜 배출시키는 조작을 번갈아 실행하는 축열 연소식 열처리로에 있어서, 열처리로 내에 있어서의 연소 부하에 따라서, 복수 쌍의 축열식 버너에 있어서의 연소 및 정지를 전환해서 제어할 때에, 각 쌍이 축열식 버너의 연소 정지 시간은 상기의 배출부와 상기 축열식 버너의 쌍과의 거리가 짧을수록 길게 설정되도록 하였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축열 연소식 열처리로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연소 배기 가스의 일부를 열처리로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가, 상기의 피처리재를 열처리로 내에 도입시키는 입구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입구측의 배출부에 가까운 위치의 쌍인 축열식 버너 쌍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정지되는 시간이 길어지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 쌍의 축열식 버너에 있어서의 연소 및 정지를 전환해서 제어할 때에, 복수 쌍의 축열식 버너에 있어서의 연소 및 정지를 전환하는 횟수(回數)를 변경시켜서, 정지시키는 시간을 제어시키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축열 연소식 열처리로의 연소 제어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열처리로 내에 있어서의 연소 부하에 따라서, 복수 쌍의 축열식 버너에 있어서의 연소 및 정지를 전환해서 제어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연소 부하가 낮은 상태에서의 열처리가 계속되었을 경우에 있어서도, 일정한 축열식 버너의 정지 시간만이 길어지는 것이 방지되어서, 이 축열식 버너에의 연료의 공급이나 축열실에 있어서의 급배기의 전환을 실행하는 각종의 전환 밸브 등에 연료 가스 성분이나 연소 배기 가스 성분이 부착되는 것이 억제되어, 연소를 재개시킬 경우 등에, 이러한 전환 밸브가 적절하게 작동하지 않게 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축열 연소식 열처리로의 연소 제어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열처리로 내에 있어서의 연소 부하에 따라서, 복수 쌍의 축열식 버너에 있어서의 연소 및 정지를 전환해서 제어할 때에, 상기의 배출부에 가까운 위치의 축열식 버너의 쌍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정지시키는 시간을 길게 하였기 때문에, 배출부의 부근에 위치하는 축열식 버너의 연소 시간이 작아지게 되어서, 이 축열식 버너의 연소에 의해 발생한 고온의 연소 배기 가스가, 상기의 배출부를 통해서 금방 열처리로의 외부로 인도되는 비율이 감소하고, 열처리로에 있어서의 열 이용률이 크게 저하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 이점 및 특징은, 이하의 실시형태의 설명이나 첨부한 도면에 근거해서 명확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축열 연소식 열처리로의 연소 제어 방법을 첨부 도면에 근거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축열 연소식 열처리로의 연소 제어 방법은, 특히 하기의 실시형태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적의(適宜) 변경해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처리로(10)의 입구(11)로부터 열처리로(10) 내에 인도된 강재(鋼材)로 이루어지는 피처리재(1)를, 반송 롤러(2)에 의해 열처리로(10) 내에서 반송시켜서 열처리하고, 이렇게 열처리가 된 피처리재(1)를 열처리로(10)의 출구(12)를 통과시켜서 열처리로(10)로부터 꺼내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의 열처리로(10)에 있어서의 입구(11)의 근방에, 이 열처리로(10) 내에 있어서의 연소 배기 가스의 일부를 열처리로(10)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13)가 설치됨과 더불어, 버너부(21)와 축열실(22)을 갖는 1쌍의 축열식 버너(20)가 대향하도록 하여, 상기의 피처리재(1)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열처리로(10)에 복수 쌍의 축열식 버너(20)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의 1쌍의 축열식 버너(20)에 있어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의 축열식 버너(20)에 있어서, 축열재(22a)가 수용된 축열실(22)에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파이프(23)에 설치된 공기 공급용 밸브(23a)를 여는 한편, 축열실(22)을 통해서 연소 배기 가스를 배출하는 배기 가스 배출 파이프(24)에 설치된 가스 배출용 밸브(24a)를 닫고, 상기의 공기 공급 파이프(23)를 통해서 축열실(22) 내에 인도한 연소용 공기를 이 축열실(22) 내에서 가열한다. 그리고, 이렇게 가열된 연소용 공기를 버너부(21)에 공급함과 더불어, 이 버너부(21)에 설치된 연료 분사 노즐(25)에 연료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 밸브(25a)를 열고, 이 연료 분사 노즐(25)로부터 연료 가스를 분사시켜, 이 연료 가스를 열처리로(10) 내에서 연소시키도록 한다.
한편, 다른 쪽의 축열식 버너(20)에 있어서는, 연료 분사 노즐(25)에 연료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 밸브(25a)를 닫아서 연소를 실행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의 공기 공급 파이프(23)에 설치된 공기 공급용 밸브(23a)를 닫는 한편, 축열실(22)을 통해서 연소 배기 가스를 배출하는 배기 가스 배출 파이프(24)에 설치된 가스 배출용 밸브(24a)를 열고, 상기한 바와 같이 열처리로(10) 내에서 연소된 후의 연소 배기 가스를 흡인해서 축열실(22)에 인도하여, 이 축열실(22)에 수용된 축열재(22a)에 연소 배기 가스의 열을 축열시킨다. 그 후, 이렇게 축열재(22a)에 축열되어서 냉각된 연소 배기 가스를 상기의 배기 가스 배출 파이프(24)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의 각 쌍에 있어서의 축열식 버너(20)에 있어서, 각각 상기한 바와 같이 한쪽의 축열식 버너(20)에서, 연료 분사 노즐(25)로부터 연료 가스를 분사시켜서 연소를 실행하는 한편, 다른 쪽의 축열식 버너(20)에서, 연소 배기 가스를 축열실(22)에 인도해서 축열재(22a)에 연소 배기 가스의 열을 축열시켜 배출시키고, 이러한 조작을 번갈아 실행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실시형태의 축열 연소식 열처리로의 연소 제어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의 열처리로(10)에서 열처리하는 피처리재(1)의 종류나 크기 등이 변경되어서, 열처리로(10) 내에 있어서의 연소 부하가 변화되었을 경우에, 상기한 바와 같이 쌍으로 이루어진 축열식 버너(20)에 있어서의 연소 및 정지를 전환해서 제어할 때에, 축열식 버너(20)의 연소에 의해 발생한 고온의 연소 배기 가스가, 상기의 배출부(13)를 통해서 금방 열처리로(10)의 외부로 인도되는 비율이 감소하도록, 열처리로(10)의 입구(11) 부근에 설치된 배출부(13)에 가까운 위치에 있어서의 쌍으로 이루어진 축열식 버너(20)로부터 순차적으로 정지시키는 시간을 길게 하도록 하였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열처리로(10) 내에 있어서의 연소 부하가 변화되었을 경우에 있어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의 배출부(13)에 가까운 위치로부터 차례로 설치된 4쌍의 축열식 버너(20a, 20b, 20c, 20d)에 있어서의 연소 및 정지를 전환해서 제어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열처리로(10) 내에 있어서의 연소 부하가 감소하여, 1쌍의 축열식 버너(20)에 있어서의 연소를 정지시킬 경우, 예를 들면, 하기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출부(13)에 제일 가까운 위치에 있어서의 쌍으로 이루어진 축열식 버너(20a)를 4회 정지시키고, 이어서 배출부(13)에 2번째로 가까운 위치에 있어서의 쌍으로 이루어진 축열식 버너(20b)를 3회 정지시키고, 이어서 배출부(13)에 3번째로 가까운 위치에 있어서의 쌍으로 이루어진 축열식 버너(20c)를 2회 정지시키고, 이어서 배출부(13)에 4번째로 가까운 위치에 있어서의 쌍으로 이루어진 축열식 버너(20d)를 1회 정지시키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서, 이러한 조작을 반복해서 실행하도록 한다. 또한, 하기의 표 1에 나타내는 연소 횟수는, 쌍으로 이루어진 축열식 버너(20)가 각각 연소와 배기를 전환하면서 동작할 경우에 있어서, 각각이 연소와 배기를 세트(set)로 하여 실행한 횟수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이렇게 연소 횟수에 의해 정지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그 제어가 용이하게 실행되도록 된다.

연소 횟수
축열식 버너의 배출부로부터 가까운 순번 및 그 연소 제어
1번째 20a 2번째 20b 3번째 20c 4번째 20d
1 정지 연소 연소 연소
2 정지 연소 연소 연소
3 정지 연소 연소 연소
4 정지 연소 연소 연소
5 연소 정지 연소 연소
6 연소 정지 연소 연소
7 연소 정지 연소 연소
8 연소 연소 정지 연소
9 연소 연소 정지 연소
10 연소 연소 연소 정지
11 정지 연소 연소 연소
또한, 상기의 4쌍의 축열식 버너(20a, 20b, 20c, 20d)를 정지시키는 타이밍이나 횟수는, 특히 상기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배출부(13)에 가까운 위치에 있어서의 쌍으로 이루어진 축열식 버너(20)로부터 순차적으로 정지되는 시간이 길어지는 것이라면, 상기의 4쌍의 축열식 버너(20a, 20b, 20c, 20d)를 정지시키는 타이밍이나 횟수를 변경시키는 것은 가능하며, 또한 배출부(13)로부터 더욱 떨어진 위치에 있어서의 쌍으로 이루어진 축열식 버너(20)에 대해서도, 연소 및 정지를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면, 연소 부하가 낮은 상태에서의 열처리가 계속되었을 경우에 있어서도, 일정한 쌍으로 이루어진 축열식 버너(20)만이 오래 정지한다고 하는 일이 없고, 이러한 쌍으로 이루어진 축열식 버너(20)에 연료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 밸브(25a)나, 축열실(22)에 있어서의 급배기의 전환을 실행하는 공기 공급용 밸브(23a)나 가스 배출용 밸브(24a) 등에, 연료 가스 성분이나 연소 배기 가스 성분이 부착되는 것이 억제되어, 연소를 재개시킬 경우에, 이러한 밸브(23a, 24a, 25a)가 적절하게 작동되지 않게 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의 배출부(13)에 가까운 위치에 있어서의 쌍으로 이루어진 축열식 버너(20)로부터 순차적으로 정지시키는 시간이 길어지도록 하였기 때문에, 배출부(13)의 부근에 위치하는 쌍으로 이루어진 축열식 버너(20)의 연소에 의해 발생한 고온의 연소 배기 가스가, 상기의 배출부(13)를 통해서 금방 열처리로(10) 외부로 인도되는 비율이 감소하여, 열처리로(10)에 있어서의 열 이용률이 저하하는 것도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축열 연소식 열처리로의 연소 제어 방법에 의해 제어를 실행하는 열처리로의 내부 상태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
도 2는 동(同)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상기의 열처리로의 개략 평면도.
도 3은 동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상기의 열처리로에 있어서, 1쌍의 축열식 버너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
도 4는 동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축열 연소식 열처리로의 연소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어를 실행하는 배출부에 가까운 위치로부터 차례로 설치된 4쌍의 축열식 버너를 나타낸 개략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피처리재
2: 반송 롤러
10: 열처리로
11: 입구
12: 출구
13: 배출부
20, 20a, 20b, 20c, 20d: 축열식 버너
21: 버너부
22: 축열실
22a: 축열재
23: 공기 공급 파이프
23a: 공기 공급용 밸브
24: 배기 가스 배출 파이프
24a: 가스 배출용 밸브
25: 연료 분사 노즐
25a: 가스 공급 밸브

Claims (3)

  1. 연료 분사 노즐을 구비한 버너부와 축열재(蓄熱材)를 수용시킨 축열실(蓄熱室)을 갖춘 1쌍의 축열식 버너가, 열처리로(熱處理爐)에 있어서의 피처리재(被處理材)의 이동 방향을 따라 복수 쌍 설치됨과 더불어, 열처리로 내에 있어서의 연소 배기 가스의 일부를 열처리로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排出部)가 설치되고, 각 쌍에 있어서의 한쪽의 축열식 버너에서, 축열실을 통해서 연소용 공기를 버너부에 인도함과 더불어 이 버너부에 있어서의 연료 분사 노즐로부터 연료 가스를 분사시켜서 연소를 실행하는 한편, 다른 쪽의 축열식 버너에서, 연소 배기 가스를 축열재가 수용된 축열실에 인도해서 축열재에 연소 배기 가스의 열을 축열시켜서 배출시키는 조작을 번갈아 실행하는 축열 연소식 열처리로에 있어서,
    열처리로 내에 있어서의 연소 부하에 따라서, 복수 쌍의 축열식 버너에 있어서의 연소 및 정지를 전환해서 제어할 때에, 각 쌍의 축열식 버너의 연소 정지 시간은 상기 배출부와 상기 축열식 버너의 쌍과의 거리가 짧을수록 길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 연소식 열처리로의 연소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연소 배기 가스의 일부를 열처리로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가, 상기의 피처리재를 열처리로 내에 도입시키는 입구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 연소식 열처리로의 연소 제어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복수 쌍의 축열식 버너에 있어서의 연소 및 정지를 전환해서 제어할 때에, 복수 쌍의 축열식 버너에 있어서의 연소 및 정지를 전환하는 횟수(回數)를 변경시켜서, 정지시키는 시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 연소식 열처리로의 연소 제어 방법.
KR1020090115021A 2008-12-16 2009-11-26 축열 연소식 열처리로의 연소 제어 방법 KR1010392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319593 2008-12-16
JP2008319593A JP4615045B2 (ja) 2008-12-16 2008-12-16 蓄熱燃焼式熱処理炉の燃焼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9570A KR20100069570A (ko) 2010-06-24
KR101039219B1 true KR101039219B1 (ko) 2011-06-03

Family

ID=42021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5021A KR101039219B1 (ko) 2008-12-16 2009-11-26 축열 연소식 열처리로의 연소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199673A3 (ko)
JP (1) JP4615045B2 (ko)
KR (1) KR101039219B1 (ko)
CN (1) CN101749944B (ko)
TW (1) TWI38660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37299B (zh) * 2012-11-22 2014-12-17 中国石油集团工程设计有限责任公司 Teg重沸器火管加热控制方法
JP7029277B2 (ja) * 2017-11-06 2022-03-03 日本碍子株式会社 リジェネレイティブバーナ、工業炉及び焼成品の製造方法
CN109189118B (zh) * 2018-08-27 2021-04-23 江苏丰东热技术有限公司 一种烧嘴燃烧控制方法及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7664A (ja) 1996-07-30 1998-02-20 Kawasaki Steel Corp 連続式加熱炉の炉温制御方法
JP2003222326A (ja) 2002-01-30 2003-08-08 Jfe Engineering Kk 狭ピッチ蓄熱式バーナ群を備えた加熱炉およびその操炉方法
JP2006349281A (ja) 2005-06-17 2006-12-28 Sumitomo Metal Ind Ltd 連続式加熱炉、及びその燃焼制御方法
KR100782440B1 (ko) 2000-09-13 2007-12-05 제이에프이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축열식 연소 버너용 축열체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59387A (en) * 1962-08-09 1964-12-01 Combustion Eng Rapid cycling heat treating furnace and method of operation
JP3328471B2 (ja) * 1995-08-16 2002-09-24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加熱炉の燃焼制御方法
JP3562142B2 (ja) 1996-06-25 2004-09-0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蓄熱式燃焼装置における燃焼制御方法
JP3404516B2 (ja) * 1997-04-25 2003-05-12 日本ファーネス工業株式会社 焼成制御装置及び焼成制御方法
JPH11337052A (ja) * 1998-05-28 1999-12-10 Daido Steel Co Ltd 蓄熱式バーナをそなえた炉の炉温制御方法
JP3462393B2 (ja) * 1998-07-24 2003-11-0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蓄熱式バーナ装置の熱負荷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4093513B2 (ja) * 1999-02-22 2008-06-04 東京瓦斯株式会社 燃焼設備におけるバーナのon−off制御方法
KR100681575B1 (ko) * 1999-09-01 2007-02-09 제이에프이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열처리 설비, 다공성 축열체의 설치 방법, 열처리된물체의 제조 방법, 다공성 축열체의 선정 방법, 및 사용완료된 다공성 축열체 구성 부재
CA2639404A1 (en) * 2001-01-17 2002-07-25 Jfe Steel Corporation Heating furnace with regenerative burner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heating furnace
JP2003293034A (ja) * 2002-04-04 2003-10-15 Nippon Steel Corp 加熱炉の間引き運転方法
CN100447491C (zh) * 2007-02-06 2008-12-31 顾向涛 蓄热式燃烧装置用换向时间控制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7664A (ja) 1996-07-30 1998-02-20 Kawasaki Steel Corp 連続式加熱炉の炉温制御方法
KR100782440B1 (ko) 2000-09-13 2007-12-05 제이에프이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축열식 연소 버너용 축열체
JP2003222326A (ja) 2002-01-30 2003-08-08 Jfe Engineering Kk 狭ピッチ蓄熱式バーナ群を備えた加熱炉およびその操炉方法
JP2006349281A (ja) 2005-06-17 2006-12-28 Sumitomo Metal Ind Ltd 連続式加熱炉、及びその燃焼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615045B2 (ja) 2011-01-19
CN101749944A (zh) 2010-06-23
TW201027012A (en) 2010-07-16
KR20100069570A (ko) 2010-06-24
TWI386602B (zh) 2013-02-21
EP2199673A3 (en) 2011-03-23
EP2199673A2 (en) 2010-06-23
JP2010144942A (ja) 2010-07-01
CN101749944B (zh) 2015-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7664B1 (ko) 축열 연소식 열처리로의 연소 제어 방법
KR101039219B1 (ko) 축열 연소식 열처리로의 연소 제어 방법
TW201207153A (en) Continuous gas carburizing furnace
KR101906126B1 (ko) 가열로의 냉각 장치
KR101019367B1 (ko) 축열 연소식 가열로의 연소 제어 방법
JP5404532B2 (ja) 蓄熱燃焼式熱処理炉の燃焼制御方法
JP2014048020A (ja) 連続式加熱炉
JP7091012B2 (ja) 蓄熱燃焼式工業炉の燃焼制御方法
JP5398685B2 (ja) 加熱炉における蓄熱式バーナの燃焼制御方法
KR101372631B1 (ko) 축열 연소식 열처리로의 연소 제어 방법
JP2015194279A (ja) 連続炉
JPH0320405A (ja) 多帯式連続加熱炉の炉内温度変更方法
JP2014129558A (ja) 連続加熱炉及び加熱・圧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