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9099B1 - 나사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나사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9099B1
KR101039099B1 KR1020100120580A KR20100120580A KR101039099B1 KR 101039099 B1 KR101039099 B1 KR 101039099B1 KR 1020100120580 A KR1020100120580 A KR 1020100120580A KR 20100120580 A KR20100120580 A KR 20100120580A KR 101039099 B1 KR101039099 B1 KR 101039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groove
disk
receiving
outer circum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0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승우
이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울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울금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울금속
Priority to KR1020100120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90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9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9099B1/ko
Priority to CN201180066046.8A priority patent/CN103328958B/zh
Priority to PCT/KR2011/005612 priority patent/WO201207074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0Turntables carrying articles or materials to be transferred, e.g. combined with ploughs or scrap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01B11/2425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of screw-threa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2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characterised by the flaw, defect or object feature examin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하며 외주에 나사를 수취하는 수취부가 마련된 이송 디스크를 포함하고, 이송 디스크의 수취부는 이송 디스크의 외주를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다수 개의 수취홈부 및 수취홈부에 나사부가 삽입된 나사의 머리부가 얹히는 받침부로 구성되어, 나사는 수취부에 매달려 있도록 수취되며, 받침부는 이송 디스크에 의하여 이송되는 나사를 촬영하는 촬영 장치의 조명 빛이 투과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나사 이송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나사 이송 장치{Apparatus for Transferring Screw}
본 발명은 나사의 외관을 검사하는 장비에 적용되어 검사할 나사를 연속적으로 이송하는 나사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전에는 머리부와 나사부를 가지는 나사의 품질 관리를 위하여 실시하는 나사의 외관 검사(예를 들어, 머리부의 외경 측정 등)가 수작업과 육안으로 이루어졌고, 사정이 이러하다 보니, 대량 생산되는 나사 모두를 일일이 검사하는 것이 어려워(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인력이 동원되어야 함) 대부분이 전수 검사보다는 샘플링 검사를 하는 실정이었으나, 최근에 들어서는 전용의 검사 장비가 보급됨에 따라 이 전용의 검사 장비에 의하여 전수 검사를 하는 추세에 있다.
일반적으로, 나사 검사 장비는 공급 장치, 이송 장치, 외관 검사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촬영 장치 등으로 이루어지는데, 이송 장치는 상하방향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디스크를 포함하고, 촬영 장치는 카메라를 포함한다.
디스크의 상면에는 공급 장치로부터의 나사가 놓인다. 이 때, 나사는 머리부가 하측을 향하는 상태로 공급되어 디스크에 거꾸로 세워진다.
카메라는 이와 같이 거꾸로 세워져서 이송되는 나사를 촬영하여 나사에 대한 측면영상(나사부의 치수(길이), 나사산의 형상 검사 등에 이용)이나 평면영상(머리부의 치수(직경) 검사 등에 이용)을 획득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나사 검사 장비는 나사의 외관을 검사하려면 디스크 상에 나사를 거꾸로 세워 놓아야 하는바, 이는 머리부의 상부가 평평한 나사(예를 들어, 접시머리 나사)만 가능한 것이고, 머리부의 상면이 평평하지 않은 나사(예를 들어, 둥근머리 나사)의 경우에는 거꾸로 세워 놓을 수 없어 적용이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머리부의 상면이 평평하지 않은 나사(예를 들어, 둥근머리 나사 등)에 대해서도 외관 검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로로 정확히 이송할 수 있는 나사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나사를 공급 위치에서 배출 위치로 이송하기 위하여 상하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하며 외주에 상기 공급 위치로부터의 나사를 수취하는 수취부가 마련된 이송 디스크를 포함하고, 상기 수취부는 나사의 나사부가 삽입되고 상기 이송 디스크의 외주를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다수의 홈부와; 상기 홈부에 삽입된 나사의 머리부가 얹히는 받침부로 구성되어, 나사는 상기 수취부에 매달려 있도록 수취되며, 상기 받침부는 나사의 외관 검사를 위하여 상기 이송 디스크에 의하여 상기 배출 위치 측으로 이송되는 나사를 촬영하는 촬영 장치의 조명 빛이 투과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나사 이송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에서, 상기 이송 디스크는 외주에 상기 홈부의 하부를 형성하는 홈 형상의 오목부 다수 개가 외주를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다수의 오목부 사이에 각각 볼록부가 마련된 디스크 본체와; 서로 간의 사이에 상기 홈부의 상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다수 개의 볼록부 상에 각각 장착된 인덱스 블록과; 상기 인덱스 블록 상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이웃한 인덱스 블록을 향하는 양쪽인 좌우가 각각 일정한 길이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이 돌출부의 상부를 상기 받침부로 하는, 빛의 투과가 가능한 투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인덱스 블록은 상기 디스크 본체의 외주 측 방향을 향하는 부분에 상기 홈부에 삽입되는 나사가 상기 투광판과 충돌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커버하는 보호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광판의 상부 중 적어도 상기 받침부와 상기 투광판을 커버하는 보호부는 동일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각 인덱스 블록의 보호부는 그 외측과 상부가 만나는 부분이 라운드 또는 사면으로 모따기(면취처리)가 될 수 있다.
상기 홈부는 그 폭이 상기 이송 디스크의 외주 측에서 중심부 측으로 갈수록 축소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각 홈부의 입구 측에는 상기 홈부에 나사가 삽입되도록 유도하는 안내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안내부는 상기 서로 이웃한 홈부의 입구 사이에 각각 상기 이송 디스크의 회전방향 측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마련한 경사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송 디스크의 홈부에 나사가 매달려 있도록 수취되기 때문에, 머리부가 평평하지 않은 나사의 경우에도 배출 위치 측으로 이송할 수 있다. 그리고, 홈부에 삽입된 나사의 머리부가 얹히는 이송 디스크의 받침부가 빛을 투과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기 때문에, 카메라에 의한 나사의 머리부 평면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나사를 이송 디스크의 상측에서 촬영 시 이 반대편에서 제공되는 역광이 받침부를 투과하므로 머리부에 대한 윤곽이 정확히 나타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만약, 역광이 받침부를 투과할 수 없거나 기타 원인(예를 들어, 간섭 등)에 의하여 일부만을 투과하는 경우에는 머리부에 대한 윤곽이 부정확한 영상이 획득되므로 외관 검사를 위한 영상으로서 부적합하게 된다. 예를 들어, 획득한 영상과 미리 저장된 영상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해당 나사가 양품인지 불량인지를 판단하는 경우, 머리부에 대한 윤곽이 부정확한 영상에 해당하는 나사는 모두 양품임에도 불량품으로 판단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 보호부에 의하여 홈부에 삽입되는 나사와 투광판의 충돌에 따른 투광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보호부와 투광판이 동일평면을 이루기 때문에, 홈부에 나사를 삽입하거나 이탈시키는 과정 중 나사의 머리부가 보호부와 투광판의 경계부에서 걸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보호부와 투광판의 경계부에 단차가 지도록 턱이 있을 시, 이 턱에 나사의 머리부가 걸리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각 보호부에서 외측과 상부가 만나는 부분을 모따기 처리한 것에 의하여 홈부에 나사를 삽입할 때 보호부에 나사의 머리부가 걸리는 현상 또한 방지할 수 있다. 즉, 홈부에 삽입되는 나사의 머리부가 받침부에 얹히도록 안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그 홈부의 폭이 이송 디스크의 중심부 측으로 갈수록 축소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홈부에 나사를 일정 깊이 삽입하면 더 이상 나사가 삽입되지 않아 홈부에 삽입된 나사의 위치를 일정하도록 정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홈부의 입구 측에 홈부로의 나사 삽입을 유도하는 경사면인 안내부가 마련되기 때문에, 피더(feeder)를 이용하여 나사를 공급하더라도 이 피더로부터의 나사를 홈부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나사 이송 장치를 적용한 나사 검사 장비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a, 도 2b는 도 1의 A 부분을 B 방향에서 본 상태가 도시된 구성도로, 도 2a는 역광 조명의 오프(off) 상태를 나타내고, 도 2b는 역광 조명의 온(on)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나사 이송 장치의 주요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C 부분이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C 부분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나사 이송 장치가 적용된 나사 검사 장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 검사 장비는 공급 위치(P1) 측의 나사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나사(S)(이하, 도면부호의 병기 생략)를 배출 위치(P2)로 이송하는 나사 이송 장치(20), 이 나사 이송 장치(20)의 이송작용에 의하여 공급 위치(P1)에서 배출 위치(P2) 측으로 이송되는 나사를 촬영하는 촬영 장치(30), 이 촬영 장치(30)로부터의 영상 신호를 분석하여 촬영된 나사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영상 분석 장치(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고, 이것들 외로는 나사 이송 장치(20)에 의한 나사 이송 공간과 촬영 장치(30)에 의한 나사 촬영 공간을 외부와 차단하는 하우징(50)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50)은 촬영 장치(30)에 의한 촬영 시 외부로부터의 빛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A 부분을 B 방향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3은 나사 이송 장치(20)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나사 공급 장치는 하우징(50)의 외부에 설치된 볼 피더(bowl feeder)(도시되지 않음) 및 이 볼 피더로부터의 나사를 나사 이송 장치(200)에 하나씩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리니어 피더(linear feeder)(110)를 포함한다.
나사 이송 장치(20)는 리니어 피더(110)로부터의 나사를 수취하며 수취한 나사를 배출 위치(P2)로 이송하기 위하여 회전운동을 하는 이송 디스크(D1)를 포함한다. 이송 디스크(D1)는 회전축(X1)에 중심부가 장착되어 회전축(X1)과 함께 회전한다. 회전축(X1)은 하우징(50)에 마련된 마운팅 프레임(도시되지 않음) 상에 상하방향(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한편, 모터를 포함하는 축 구동 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로 회전된다.
이송 디스크(D1)는 그 외주에 리니어 피더(110)로부터의 나사를 수취하는 수취부가 마련되는데, 이 수취부는 리니어 피더(110)로부터의 나사가 한 개씩 삽입되는 다수 개의 수취홈부(H-1)로 구성된다. 다수의 수취홈부(H-1)는 이송 디스크(D1)의 외주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또, 수취홈부(H-1)는 이송 디스크(D1)의 상, 하측을 향하는 두 부분이 터져서 입구 및 상하가 개방된 구조를 가진다. 이 때, 이 수취홈부(H-1)의 입구라 함은 이송 디스크(D1)의 외주방향을 향하는 개구를 말한다.
리니어 피더(110)는 이송 디스크(D1)의 외주 측에 말단이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이 리니어 피더(110)의 말단 측은 공급 위치(P1)가 된다. 그리고, 다수의 수취홈부(H-1) 중 이송 디스크(D1)의 회전운동에 따라 공급 위치(P1) 측에 위치하는 수취홈부(H-1)에는 리니어 피더(110)로부터 공급되는 나사가 수취홈부(H-1)의 입구를 통하여 삽입된다.
리니어 피더(110)로부터의 나사는 그 머리부가 이송 디스크(D1)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수취홈부(H-1)에 그 나사부가 삽입되고, 수취부는 수취홈부(H-1)에 이 같이 삽입된 나사의 머리부를 받치는 받침부(H-2)를 더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나사는 수취부에 매달려 있도록 수취된다.
도 2a,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장치(30)는 나사의 머리부에 대한 외관 검사에 필요한 영상(머리부에 대한 평면영상)을 제공하기 위하여 이송 디스크(D1)의 상측(배출 위치(P2) 측으로 이송되는 나사의 직상)에서 수취홈부(H-1)에 삽입된 나사의 머리부를 촬영하는 카메라(310A), 이 카메라(310A)에 의한 나사 촬영 시에 순광을 제공하는 순광 조명(320A), 카메라(310A)에 의한 나사 촬영 시에 역광을 제공하는 역광 조명(330A)을 포함한다.
여기서, 역광 조명(330A)은 이송 디스크(D1)를 사이에 두고 카메라(310A)와 대향하도록 이송 디스크(D1)의 하측에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역광 조명(330A)을 비롯하여 카메라(310A) 및 순광 조명(320A)은 마운팅 브래킷 등에 의하여 하우징(50)에 장착된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C 부분이 도시된 분해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이송 디스크(D1)는 디스크 본체(210)를 포함한다. 이 디스크 본체(210)는 회전축(X1)에 중심이 장착된다. 디스크 본체(210)는 또, 외주에 수취홈부(H1)의 하부를 형성하는 홈 형상의 오목부(212) 다수 개가 외주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바람하게는, 등간격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마련되어, 이 다수 개의 오목부(212) 사이에는 각각 볼록부(214)가 마련된다. 이 오목부(212)와 볼록부(214)에 의하면, 디스크 본체(210)는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톱니바퀴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이송 디스크(D1)는 디스크 본체(210)의 볼록부(214) 상에 서로 이격되도록 각각 장착되고 서로 간의 사이에 마련되는 여유 공간에 의하여 수취홈부(H-1)의 상부를 형성하는 인덱스 블록(220), 이 인덱스 블록(220)의 상부에 각각 결합되며 양쪽이 수취홈부(H-1) 측으로 각각 일정한 길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이 돌출부(232)의 상부를 받침부(H-2)로 하며 빛의 투과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투광판(230)을 포함한다. 투광판(230)의 경우에는 아크릴이나 유리와 같은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인덱스 블록(220)은 그 좌우 양측이 서로 평행하도록 형성되고 디스크 본체(210)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므로, 수취홈부(H-1)는 디스크 본체(210)의 외주 측에서 중심부 측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축소되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수취홈부(H-1)의 폭이 축소됨에 따라, 나사는 수취홈부(H-1)에 일정한 깊이 이상 삽입되지 않게 된다. 즉, 원하는 위치로의 정렬이 용이하도록 한 구조인 것이다.
인덱스 블록(220)은 디스크 본체(210)의 외주방향 측을 향하는 부분에 리니어 피더(110)로부터의 나사가 수취홈부(H-1)에 자연스럽게 삽입되도록 유도하는 수취용 안내부(222)가 마련된다. 수취용 안내부(222)는 디스크 본체(210)의 회전방향 측으로 일정한 각도 상향 경사지도록 각각 마련된 경사면으로 구성된다.
인덱스 블록(220)의 상측에는 투광판 수용홈(224)이 좌우방향으로 마련되어, 투광판(230)은 이 투광판 수용홈(224) 내에 꼭 맞게 수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인덱스 블록(220)은 이와 같이 투광판 수용홈(224)에 수용된 투광판(230)과 동일평면의 구조를 이룰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투광판 수용홈(224)의 내부에 투광판(230)이 수용됨에 따라, 각 인덱스 블록(220)은 디스크 본체(210)의 외주방향을 향하는 부분인 외측이, 수취홈부(H-1)에 삽입되는 나사와 투광판(230) 간의 충돌을 사전에 예방하는 투광판 보호부(226)로서의 역할을 한다.
각 인덱스 블록(220)은 그 외측과 상부가 만나는 부분이 라운드 또는 사면으로 모따기가 되어 면취부(228)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각 인덱스 블록(220)은 볼록부(214) 상에 장착된 하부 블록(고정 블록), 이 하부 블록의 상부에 디스크 본체(210)의 방사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에 투광판(230)이 장착된 상부 블록(가동 블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와 하부 블록 간의 슬라이드 결합을 위하여, 상부 블록과 하부 블록 중 하나에는 서로 마주 보는 부분에 가이드 홈이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는 이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또, 상부 블록의 슬라이드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로크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로크 수단은 상부 블록에 나사 결합된 스톱 볼트를 포함하고 스톱 볼트를 죄면 이 스톱 볼트의 압박에 의하여 가이드 홈과 돌기가 밀착되어 상부 블록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살펴본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리니어 피더(110)로부터 연속 공급되는 나사는 공급 위치(P1)에 위치하는 수취홈부(H-1)에 수취용 안내부(222)의 안내작용에 따라 한 개씩 순차적으로 삽입되고 받침부(H-2)의 지지를 받아 매달린 상태로 배출 위치(P2) 측으로 이송된다.
이와 같은 나사 이송 과정에서, 카메라(310A)는 나사의 머리부를 촬영하여 머리부에 대한 평면영상을 획득하고, 순광 조명(320A)은 순광을 제공한다. 그리고, 역광 조명(330A)은 역광을 제공하여, 카메라(310A)에 의하여 촬영된 나사의 평면영상에는 나사의 머리부에 대한 윤곽이 나타난다.
특히, 도 2b와 같이, 역광 조명(330A)으로부터의 역광이 받침부(H-2)를 구성하는 투광판(230)을 투과하여 카메라(310A) 측을 향하므로 나사의 머리부 전체 윤곽을 해당 영상에 정확히 나타낼 수 있다.
영상 분석 장치는 촬영 장치(30)로부의 영상 신호를 미리 저장하여 둔 것과 비교하거나 규칙성을 파악하는 방식으로 분석, 해당 나사가 불량품인지 양품인지를 판단한다.
이상에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250은 공급 위치(P1)에서 수취홈부(H-1)에 삽입되어 이송되는 나사가, 배출 위치(P2)에 도착하기 전에 디스크 본체(210)의 회전운동에 따른 원심력으로 인하여 수취홈부(H-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커버로, 이 커버(250)는 이송 디스크(D1)의 외주 중 나사 이송 구간을 이송 디스크(D1)와의 간섭 발생이 없도록, 둘러싸고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도면부호 260은 정렬 가이드로, 이 정렬 가이드(260)는 수취홈부(H-1)에 삽입된 나사가 정위치(바람직하게는, 폭이 축소된 수취홈부(H-1)에 의하여 나사를 더 이상 삽입할 수 없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정렬하는 역할을 한다. 정렬 가이드(260)는 수취홈부(H-1)에 삽입된 나사 중 그 위치가 입구 측에 치우친 것들과 접촉, 상대적으로 깊이 삽입되도록 밀어낸다.
이상,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20 : 나사 이송 장치 210 : 디스크 본체
212 : 오목부 214 : 볼록부
220 : 인덱스 블록 222 : 수취용 안내부
230 : 투광판 232 : 돌출부
224 : 투광판 수용홈 226 : 투광판 보호부
228 : 면취부 D1 : 이송 디스크
H-1 : 수취홈부 H-2 : 받침부
P1 : 공급 위치 P2 : 배출 위치
X1 : 회전축

Claims (8)

  1. 나사를 공급 위치에서 배출 위치로 이송하기 위하여 상하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하며 외주에 상기 공급 위치로부터의 나사를 수취하는 수취부가 마련된 이송 디스크를 포함하고,
    상기 수취부는, 나사의 나사부가 삽입되고 상기 이송 디스크의 외주를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다수의 홈부와; 상기 홈부에 삽입된 나사의 머리부가 얹히는 받침부로 구성되어, 나사는 상기 수취부에 매달려 있도록 수취되며,
    상기 받침부는 나사의 머리부에 대한 외관을 검사하고자 상기 이송 디스크에 의하여 상기 배출 위치 측으로 이송되는 나사를 촬영하는 촬영 장치의 역광이 상하방향으로 투과하도록 투광 재질로 이루어진 나사 이송 장치.
  2. 나사를 공급 위치에서 배출 위치로 이송하기 위하여 상하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하며 외주에 상기 공급 위치로부터의 나사를 수취하는 수취부가 마련된 이송 디스크를 포함하고,
    상기 수취부는, 나사의 나사부가 삽입되고 상기 이송 디스크의 외주를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다수의 홈부와; 상기 홈부에 삽입된 나사의 머리부가 얹히는 받침부로 구성되어, 나사는 상기 수취부에 매달려 있도록 수취되며,
    상기 이송 디스크는, 외주에 상기 홈부의 하부를 형성하는 홈 형상의 오목부 다수 개가 외주를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다수의 오목부 사이에 각각 볼록부가 마련된 디스크 본체와; 서로 간의 사이에 상기 홈부의 상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다수의 볼록부 상에 각각 장착된 인덱스 블록과; 상기 인덱스 블록 상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이웃한 인덱스 블록을 향하는 양쪽인 좌우가 각각 일정한 길이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이 돌출부의 상부를 상기 받침부로 하는 투광판을 포함하되, 상기 투광판은 빛의 투과가 가능하여, 상기 받침부는 나사의 외관을 검사하고자 상기 이송 디스크에 의하여 상기 배출 위치 측으로 이송되는 나사를 촬영하는 촬영 장치의 조명 빛을 투과시키는 나사 이송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인덱스 블록은 상기 디스크 본체의 외주 측 방향을 향하는 부분인 외측에, 상기 홈부에 삽입되는 나사가 상기 투광판과 충돌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커버하는 보호부가 마련된 나사 이송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투광판의 상부 중 적어도 상기 받침부와 상기 보호부는 동일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나사 이송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각 인덱스 블록의 보호부는 그 외측과 상부가 만나는 부분이 라운드 또는 사면으로 모따기가 된 나사 이송 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그 폭이 상기 이송 디스크의 외주 측에서 중심부 측으로 갈수록 축소되는 구조를 가지는 나사 이송 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 홈부의 입구 측에는 상기 홈부에 나사가 삽입되도록 유도하는 안내부가 마련된 나사 이송 장치.
  8. 나사를 공급 위치에서 배출 위치로 이송하기 위하여 상하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하며 외주에 상기 공급 위치로부터의 나사를 수취하는 수취부가 마련된 이송 디스크를 포함하고,
    상기 수취부는, 나사의 나사부가 삽입되고 상기 이송 디스크의 외주를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다수의 홈부와; 상기 홈부에 삽입된 나사의 머리부가 얹히는 받침부로 구성되어, 나사는 상기 수취부에 매달려 있도록 수취되며,
    상기 받침부는 나사의 외관을 검사하고자 상기 이송 디스크에 의하여 상기 배출 위치 측으로 이송되는 나사를 촬영하는 촬영 장치의 조명 빛이 투과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각 홈부의 입구 측에는 상기 홈부에 나사가 삽입되도록 유도하는 안내부가 마련되며,
    상기 안내부는 상기 서로 이웃한 홈부의 입구 사이에 각각 상기 이송 디스크의 회전방향 측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마련한 경사면으로 구성된 나사 이송 장치.
KR1020100120580A 2010-11-25 2010-11-30 나사 이송 장치 KR101039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580A KR101039099B1 (ko) 2010-11-30 2010-11-30 나사 이송 장치
CN201180066046.8A CN103328958B (zh) 2010-11-25 2011-07-29 零件供应装置和零件检查设备
PCT/KR2011/005612 WO2012070743A1 (ko) 2010-11-25 2011-07-29 부품 공급장치 및 부품 검사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580A KR101039099B1 (ko) 2010-11-30 2010-11-30 나사 이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9099B1 true KR101039099B1 (ko) 2011-06-03

Family

ID=44405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0580A KR101039099B1 (ko) 2010-11-25 2010-11-30 나사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90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944B1 (ko) * 2011-11-25 2013-05-29 나사록코팅 주식회사 부품 검사를 위한 이송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4367A (ja) 2003-05-06 2004-12-16 Yutaka:Kk 頭部付きネジの検査装置、検査方法及びパンチの欠け検出方法
JP2005221270A (ja) * 2004-02-03 2005-08-18 Tsunehiro Yoshida ネジの検査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4367A (ja) 2003-05-06 2004-12-16 Yutaka:Kk 頭部付きネジの検査装置、検査方法及びパンチの欠け検出方法
JP2005221270A (ja) * 2004-02-03 2005-08-18 Tsunehiro Yoshida ネジの検査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944B1 (ko) * 2011-11-25 2013-05-29 나사록코팅 주식회사 부품 검사를 위한 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4858B2 (en) Visually inspecting optical fibers
KR101067647B1 (ko) 정밀나사용 헤드 측면부의 크랙검사장치
KR101083293B1 (ko) 나사 선별 장비
US6914672B2 (en) Inspecting apparatus for foreign matter and inspecting mechanism thereof
RU2520040C1 (ru) Светопроницаемый патрон
KR101301068B1 (ko) 부품 선별 시스템
JP3774893B2 (ja) 検査装置
KR101038739B1 (ko) 나사 검사 장비
CN103884651A (zh) 一种全自动瓶盖质量检测系统
CN107430076B (zh) 用于物体、特别是金属盖板的光学检测装置及方法
TWI645174B (zh) 攝像模組眩光測試機台及眩光測試方法
KR20150138555A (ko) 물체 비전 검사 장치 및 물체 비전 검사 방법
KR101039099B1 (ko) 나사 이송 장치
EP1448972A1 (en) Ophthalmic article inspection system
KR101366188B1 (ko) 측면 및 표면 검사기능을 갖는 비전 검사 장치
KR101299127B1 (ko) 대상물 비전 검사를 위한 조명 어셈블리
KR101268944B1 (ko) 부품 검사를 위한 이송장치
KR20010080190A (ko) 웨이퍼 가공 장치에서 웨이퍼 파편 검출 시스템 및 방법
KR101308885B1 (ko) 나사 검사장치의 나사지지구조
KR101645133B1 (ko) 하네스 비전검사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비전검사장치, 비전검사방법 및 비전검사시스템
KR101485425B1 (ko) 커버 글라스 분석 장치
KR101399006B1 (ko) 대상물 표면 비전 검사 장치
KR100890736B1 (ko) 이미지 센서 검사용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센서검사장비
KR101221099B1 (ko) Led칩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JP3014684B1 (ja) 側面検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