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8657B1 - 계단식 콘크리트 옹벽용 조립식 경관목책 - Google Patents

계단식 콘크리트 옹벽용 조립식 경관목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8657B1
KR101038657B1 KR1020080029508A KR20080029508A KR101038657B1 KR 101038657 B1 KR101038657 B1 KR 101038657B1 KR 1020080029508 A KR1020080029508 A KR 1020080029508A KR 20080029508 A KR20080029508 A KR 20080029508A KR 101038657 B1 KR101038657 B1 KR 101038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landscape
angle
concrete retaining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9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4426A (ko
Inventor
최두영
Original Assignee
신영기술개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기술개발(주) filed Critical 신영기술개발(주)
Priority to KR1020080029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8657B1/ko
Publication of KR20080034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4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8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8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1W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단식 콘크리트 옹벽의 전면에 길이 방향으로 상하에 앵커로 취부되는 상, 하부 브라켓과; 상,하부 브라켓과 결합하는 상부 체결앵글과 하부 재치앵글과; 상부 체결앵글 및 하부 재치앵글에 수직으로 취부되는 경관 목재블록으로 구성하여 도로변의 절개지에 콘크리트 구조물의 계단식 콘크리트 옹벽에 간편하게 조립 설치하여 주위 경관을 조경할 수 있게 한 계단식 콘크리트 옹벽용 조립식 경관목책에 관한 것이다.
경관목재, 조경, 계단식 콘크리트 옹벽.

Description

계단식 콘크리트 옹벽용 조립식 경관목책{ A decoration wood panel for concrite breast wall}
본 발명은 도로변의 절개지에 콘크리트 구조물의 계단식 콘크리트 옹벽에 간편하게 조립 설치하여 주위 경관을 조경할 수 있게 한 계단식 콘크리트 옹벽용 조립식 경관목책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계단식 콘크리트 옹벽의 전면에 길이 방향으로 상하에 앵커로 취부되는 상, 하부 브라켓과; 상,하부 브라켓과 결합하는 상부 체결앵글과 하부 재치앵글과; 상부 체결앵글 및 하부 재치앵글에 수직으로 취부되는 경관목재블록으로 구성하여서 된 계단식 콘크리트 옹벽용 조립식 경관목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터널, 제방 및 철도 등의 구축을 위한 절토 사면에 조경과 절토 사면에 절개면의 암석이 붕괴되어 낙석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상 콘크리트 구조물로 되는 경사진 옹벽이나 계단식 옹벽을 축조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로 축조되는 계단식 콘크리트 옹벽의 경우에 있어서는 옹벽에 초본류 등을 식물을 식생시킬 수 없기 때문에 콘크리트 전면이 그대로 노출되는 상태로 구축하게 되어 주변의 미관과 경관을 크게 해치는 결과를 초래하는 단점을 나타내 고 있었다.
또한, 이러한 단점을 다소 해소하기 위하여 계단식 콘크리트 옹벽의 전면을 페인팅하여 미관을 부여하는 방법도 제공되고 있으나, 이는 외부 노출 상태가 장기간 경과되면 퇴색되거나 페인팅이 떨어져 버리는 현상이 발생하여 오히려 주변 경관을 해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어 자주 보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계단식 콘크리트 옹벽 자체에 직접 앵커를 사용하여 경관목책용 목재블록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현장의 시공 조건이 불리한 옹벽에서 작업자가 경관목책용 목재블록을 하나씩 일일이 취부하여야 함으로써 경관목책의 설치 시공이 복잡하여 공기가 길어지는 비경제적인 요인이 발생하고, 체결 후에는 앵커 볼트와 너트가 경관목책표면으로 노출되어 녹물 등이 발생하여 목책에 얼룩이 발생하여 경관목책이 지저분하여져 미관과 경관을 해치는 결과를 초래하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으며, 손상된 부위의 경관목책을 보수작업을 수행할 시에도 일일이 경관목책용 목재블록을 해체하여야만 됨으로써, 이의 보수 및 교체작업이 번잡하고 많은 인력과 작업시간을 요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여 콘크리트 옹벽이나 계단식 콘크리트 옹벽 전면에 집단화된 원목, 인조목 또는 합성목으로 되는 장식목책용 블 록을 간단히 조립식으로 부착, 설치하는 간단한 시공방법으로 설치하여 시공비등을 절감하여 계단식 콘크리트 옹벽의 노출된 전면을 미화하고 도로 주변 미관과 경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계단식 콘크리트 옹벽용 경관목책을 제공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경관목책의 블록표면에 앵커볼트나 너트의 노출을 배제하여 설치 후 장기 방치시 녹물로 인한 경관목책의 오염이나 외관훼손 현상을 배제하여 경관목책의 경관 기능과 내구성을 향상시켜 설치 내구 연한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계단식 콘크리트 옹벽용 경관목책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경관목책 중 손상되거나 훼손된 부위가 발생하면 훼손 부위집단화된 목재블록의 경관목책을 볼트,너트의 해체작업없이 일시에 간편하게 해체하고 재설치할 수 있게 하여 경관목책의 교체 및 보수를 효율적이며 간편하게 수행하ㅎ 수 있는 계단식 콘크리트 옹벽용 경관목책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계단식 콘크리트 옹벽의 전면에 길이 방향으로 상하에 앵커로 취부되는 상, 하부 브라켓과; 상,하부 브라켓과 결합하는 상부 체결앵글과 하부 재치앵글과; 상부 체결앵글 및 하부 재치앵글에 수직으로 연속취부되는 경관 목재블록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경관 목재블록이 집단화된 패널상의 경관목책을 볼트 너트 등의 체결 수단없이 계단식 콘크리트 옹벽에 조립식으로 착탈시켜 줄 수 있게 함으로써 설치 및 해체작업을 용이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안정된 장소에서 경관 목재블록이 집단화된 패널상의 경관목책을 조립할 수 있게 됨으로써 계단식 콘크리트 옹벽 전면의 외관이나 배열상태가 균일하여 가일층 미관과 경관을 향상실 수 있으며, 장기 방치시 녹물로 인한 경관목책의 오염이나 외관훼손 현상을 배제하여 경관목책의 경관 기능과 내구성을 향상시켜 설치 내구 연한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등의 특징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발췌하여 확대한 설치상태 단면도이고, 도 4의 (가), (나) 는 본 발명의 설치 결합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계단식 콘크리트 옹벽(W)의 전면에 길이 방향으로 상하에 앵커볼트(60)(61)로 취부되는 상, 하부 브라켓(10),(20)과; 상,하부 브라켓(10),(20)과 결합하는 상부 체결앵글(30) 및 하부 재치앵글(40)과; 상부 체결앵글(30) 및 하부 재치앵글(40)에 수직으로 연속 취부되는 경관 목재블록(50)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계단식 콘크리트 옹벽(W)의 전면에 길이 방향으로 상하에 앵커로 취부되는 상부 브라켓(10)은 옹벽(W)의 상부에 매입된 앵커볼트(60)에 결합되는 단면"ㄷ"형으로서 취부면(11)의 선단 개구부(12) 양측 선단 내측에 경사진 걸림돌 조(13),(14)를 길이방향으로 형성하고 걸림돌조(13), (14)와 소정의 거리를 두고 저지돌조(15),(16)를 연하여 길게 돌출시켜 형성하고 있고, 하부 브라켓(20)은 옹벽(W)의 하부에 매입된 앵커볼트(61)에 결합되는 것으로, 하부브라켓(20)은 앵커볼트(51)과 결합되는 취부면(21)과 취부면(21) 하단에 재치홈(22)과 받침턱(23)을 "S"형으로 형성하고 있다.
상부 브라켓(10)과 결합하는 상부 체결앵글(30)은 단면"ㄷ"형으로서 취부면(31)의 선단 개구부(32) 양측 선단 외측에 경사진 걸림돌조(33),(34)를 길이방향으로 하향 절곡하여 저지턱(35),(36)이 형성되게 하고, 하부 재치앵글(40)은 하부에 목재블록(50)의 취부편(41)을 하향 형성하고, 이의 상단에 상기한 "S'형으로 절곡 형성된 하부 브라켓(20)의 재치홈(22)과 받침턱(23)의 상면과 일치하는 삽치편(42)과 재치편(43)이 "S"형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계단식 콘크리트 옹벽(W)의 전면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된 상부 체결앵글(30) 및 하부 재치앵글(40)의 취부면(31) 및 취부편(41)에는 복수의 경관 목재블록(50)이 연속하여 스테인레스스틸제 체결볼트(51),(52)로 체결되어 상부 체결앵글(30) 및 하부 재치앵글(40)에 경관 목재블록(50)이 집단화된 패널상의 경관목책(P)를 길게 형성한다.
상기의 경관 목재블록(50)은 방부, 방습 등의 기능을 지닌 천연목, 인공목, 합성목 어느 것이나 좋다.
또한, 녹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 하부 브라켓(10),(20)과; 상,하부 브라켓(10),(20)과 결합하는 상부 체결앵글(30) 및 하부 재치앵글(40)은 경량의 알루미 늄으로 압출하여 요구되는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고, 앵커볼트(60),(61)와 너트(63),(64) 및 체결볼트(51),(52)는 스테인레스스틸제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4의 (가),(나)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장에서 절개지에 콘크리트로 구축되는 계단식 콘크리트 옹벽(W)의 전면에 미리 적당한 상하 위치에 소정의 간격으로 스테인레스스틸제 앵커볼트(60),(61)를 매입설치하고, 상부 브라켓(10)과 하부 브라켓(20)의 취부면(11),(21)을 앵커볼트(61),(62)와 너트(63),(64)로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하고, 작업이 편한 장소나 제작 공장에서 미리 시공하기 위한 계단식 콘크리트 옹벽(W)의 길이로 절단 가공된 상부 체결앵글(30)의 취부면(31)과 하부 재치앵글(40)의 취부편(41)에 경관 목재블록(50)의 이면을 접곡하여 체결볼트(51),(52)로 연속하여 체결하여 경관 목재블록(50)이 집단화하여 취부된 패널상의 경관목책(P)을 미리 제작한 후, 이를 정개지의 계단식 콘리트 옹벽(W)의 전면마다 설치하는데, 이때, 설치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패널상의 경관목책(P)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재치앵글(40)의 "S"형으로 형성된 삽지편(42)와 재치편(43)을 계단식 콘크리트 옹벽(W)의 전면에 취부된 하부 브라켓(20)의 "S"형 재치홈(22)과 받침턱(23) 상부에 일치시켜 재치한 다음, 패널상의 경관목책(P)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체결앵글(30)과 마주보는 계단식 콘리트 옹벽(W)의 전면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브라켓(10)의 선단 개구부(12),(32)를 일치시킨 다음. 가벼운 타격공구로 패널 상의 경관목책(P)의 상부를 타격하면, 3각 쐐기 형태로 경사진 걸림돌조(13),(14)가 탄성적으로 벌어지면서 강제 끼움상태로 결합되게 되며, 이때 걸림돌조(33),(34)와 걸림돌조(13),(14)의 후방에는 저지돌조(15),(16) 및 저지턱(35),(36)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서 상부 체결앵글(30)과 상부 브라켓(10)은 과다한 삽입 결합이 저지되어 정확한 형틀을 유지하면서 패널상의 경관목책(P)의 설치를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장기간 방치하여 파손되거나 훼손된 부위가 발생하면, 파손부위의 패널상의 경관목책(P)와 계단식 콘크리트 옹벽(W)의 전면의 상부 공간에 지렛대를 집어넣고 전방 외측으로 힘을 가하면 옹벽의 상부 브라켓(10)과 패널상의 경관목책(P)d의 상부 체결앵글(30)의 걸림돌조(13),(14) 및 걸림돌조(33),(34)이 해체되면서 패널상의 경관목책(P)를 해체할 수 있게 되어 집단화된 경관 목재블록(50)을 용이하게 보수,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의 설명에서는 계단식 콘크리트 옹벽에 관하여 집중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벽체로 형성된 옹벽에도 동일하게 적용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발췌하여 확대한 설치상태 단면도이고,
도 4의 본 발명발명치 결합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패널상의 경관목재
10:상부브라켓 11:취부면 12:선단개구부 13,14:걸림돌조
15,16:저지돌조
20:하부브라켓 21:취부면 22;재치홈 23:받침턱
30:상부체결앵글 31:취부면 32:선단개구부
33,34:걸림돌조 35,36:저지턱 40:하부재치앵글
41:취부편 42:삽지편 43:재치편
50:경관 목재블록 51,52:체결볼트
60,61:앵커볼트 62,63:너트

Claims (7)

  1. 계단식 콘크리트 옹벽(W)의 전면에 길이 방향으로 상하에 앵커볼트(60)(61)로 취부되는 상, 하부 브라켓(10),(20)과; 상,하부 브라켓(10),(20)과 결합하는 상부 체결앵글(30) 및 하부 재치앵글(40)과; 상부 체결앵글(30) 및 하부재치앵글(40)에 수직으로 연속 취부되는 경관 목재블록(50)으로 구성되는 계단식 콘크리트 옹벽용 조립식 경관목책에 있어서,
    상부 브라켓(10)은 옹벽(W)의 상부에 매입된 앵커볼트(60)에 결합되는 단면"ㄷ"형으로서 취부면(11)의 선단 개구부(12) 양측 선단 내측에 경사진 걸림돌조(13),(14)를 길이방향으로 형성하고 걸림돌조(13), (14)와 소정의 거리를 두고 저지돌조(15),(16)를 연하여 길게 돌출시켜 형성하고 있고, 하부 브라켓(20)은 옹벽(W)의 하부에 매입된 앵커볼트(61)에 결합되고, 하부브라켓(20)은 앵커볼트(51)과 결합되는 취부면(21)과 취부면(21) 하단에 재치홈(22)과 받침턱(23)을 "S"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식 콘크리트 옹벽용 조립식 경관목책.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부 브라켓(10)과 결합하는 상부 체결앵글(30)은 단면"ㄷ"형으로서 취부면(31)의 선단 개구부(32) 양측 선단 외측에 경사진 걸림돌조(33),(34)를 길이방향으로 하향 절곡하여 저지턱(35),(36)이 형성되게 하고, 하부 재치앵글(40)은 하부에 목재블록(50)의 취부편(41)을 하향 형성하고, 이의 상단에 상기한 "S'형으로 절곡 형성된 하부 브라켓(20)의 재치홈(22)과 받침턱(23)의 상면과 일치하는 삽치편(42)과 재치편(43)이 "S"형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식 콘크리트 옹벽용 조립식 경관목책.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80029508A 2008-03-31 2008-03-31 계단식 콘크리트 옹벽용 조립식 경관목책 KR101038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508A KR101038657B1 (ko) 2008-03-31 2008-03-31 계단식 콘크리트 옹벽용 조립식 경관목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508A KR101038657B1 (ko) 2008-03-31 2008-03-31 계단식 콘크리트 옹벽용 조립식 경관목책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4426A KR20080034426A (ko) 2008-04-21
KR101038657B1 true KR101038657B1 (ko) 2011-06-02

Family

ID=39573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9508A KR101038657B1 (ko) 2008-03-31 2008-03-31 계단식 콘크리트 옹벽용 조립식 경관목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86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171B1 (ko) 2018-07-20 2019-03-26 산림조합중앙회 친환경 흙탕물 방지용 목책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637B1 (ko) * 2010-01-12 2010-09-07 홍순용 보강 일체형 옹벽 시공을 위한 스페이서 겸용 지압판 및 이에 의한 옹벽 시공방법
KR102240949B1 (ko) * 2020-06-25 2021-05-20 씨엔피씨 주식회사 벽체 외관 개선을 위한 장착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7785A (ja) * 2001-11-09 2003-05-21 Hiroshi Michigami 外装された土木・建築構造体及びこれに使用する金具
JP2006037365A (ja) * 2004-07-22 2006-02-09 San Buresu:Kk 擁壁用ブロック及び擁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7785A (ja) * 2001-11-09 2003-05-21 Hiroshi Michigami 外装された土木・建築構造体及びこれに使用する金具
JP2006037365A (ja) * 2004-07-22 2006-02-09 San Buresu:Kk 擁壁用ブロック及び擁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171B1 (ko) 2018-07-20 2019-03-26 산림조합중앙회 친환경 흙탕물 방지용 목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4426A (ko) 2008-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6625B2 (en) Retaining wall support posts
CA2782912C (en) Anchor system for securing a concrete wall panel to a supporting concrete foundation
KR101345989B1 (ko) 합성목재 난간 결합구조
KR101038657B1 (ko) 계단식 콘크리트 옹벽용 조립식 경관목책
US20060248816A1 (en) Landscape timber connector
US20040076468A1 (en) Security barrier and method to utilize the same
KR200416629Y1 (ko) 에이치빔 지주 지지 조립체
KR101881515B1 (ko) 경사면 각도 조절이 가능한 데크로드 난간 구조물
KR100974510B1 (ko) 도로용 울타리
KR20090033581A (ko) 녹생토 옹벽 구조물 및 식생 네일링 공법
KR101519511B1 (ko) 쇼크리트 비탈면 식생보강용기 결합구조
KR200449524Y1 (ko) 목재 메쉬휀스
KR20090096077A (ko) 사면 식생-안정화 구조 및 사면 식생-안정화 공법
AU751023B2 (en) Retaining wall support posts
KR101350108B1 (ko) 조립식 지주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200376910Y1 (ko) 식생반이 부설된 방음벽
KR101134536B1 (ko) 비탈면 보호를 위한 조립식 수목옹벽
KR100690072B1 (ko) 에이치빔 지주 지지 조립체
KR200465745Y1 (ko) 도로조경수용 바람막이 고정구
JP3062878B2 (ja) 壁面等の保護体
KR20010028490A (ko) 인삼 재배막 지주대
KR200281831Y1 (ko) 낙석 방지책 조립식 지주
JP4396846B2 (ja) べた基礎の施工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型枠取付具
JP2003253683A (ja) 植生基礎構造物及びその施工方法
JPS597375Y2 (ja) 防雪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1126

Effective date: 20110506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