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8468B1 - 유화장치의 폐기물 배출수단 - Google Patents

유화장치의 폐기물 배출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8468B1
KR101038468B1 KR1020080130497A KR20080130497A KR101038468B1 KR 101038468 B1 KR101038468 B1 KR 101038468B1 KR 1020080130497 A KR1020080130497 A KR 1020080130497A KR 20080130497 A KR20080130497 A KR 20080130497A KR 101038468 B1 KR101038468 B1 KR 101038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screw
conveying
emulsification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0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1694A (ko
Inventor
안용하
Original Assignee
안용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용하 filed Critical 안용하
Priority to KR1020080130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8468B1/ko
Publication of KR20100071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1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8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8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F23G5/442Waste feed arrangements
    • F23G5/444Waste feed arrangements for solid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1/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 C10G1/1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from rubber or rubber was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 F23J15/02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for removing solid particulate material from the gasflow
    • F23J15/027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for removing solid particulate material from the gasflow using cyclone sepa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3/00Furnace arrangements
    • F23G2203/80Furnaces with other means for moving the waste through the combustion zone
    • F23G2203/801Furnaces with other means for moving the waste through the combustion zone using conveyors
    • F23G2203/8013Screw convey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5/00Waste feed arrangements
    • F23G2205/12Waste feed arrangements using conveyors
    • F23G2205/121Screw convey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Cycl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화장치에서 배출되는 폐기물을 외부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먼저 밀집상태를 갖게 한 후 다시 파쇄된 상태로 배출시키고 배출되는 폐기물을 싸이클론을 거쳐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배출과정에서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면서 원활하게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한 유화장치의 폐기물 배출수단이다.
본 발명의 폐기물 배출수단(30)은, 긴 이송관로(31)에 유화수단(10)으로부터 배출되는 입구측으로 폐기물이 이송 및 밀집시키면서 구동부(33)에 의해 회전되도록 하는 1차 이송스크류(32)를 이송관로(31)의 중간부까지 위치하도록 구비하고 상기 1차 이송스크류(32)와 적정간격의 공간부(31a)를 두고 2차 이송스크류(34)를 이송관로(31)의 출구 측으로 구동부(35)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하면서 2차 이송스크류(34)의 중간부 위치에 이송되는 폐기물이 유입되는 싸이클론(50)을 구비한 것이다.
유화장치, 배출수단, 이송관로

Description

유화장치의 폐기물 배출수단{exhausting method of waste for oil produ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유화장치의 폐기물 배출수단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유화장치에서 배출되는 폐기물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먼저 밀집상태를 갖게 한 후 파쇄된 상태로 배출시키어 싸이클론을 거쳐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유화장치의 폐기물 배출수단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하수슬러지, 축산분뇨 등의 유기성 폐기물이나 합성수지, 고무, 비닐 등 고분자 폐기물의 처리방법은 유화장치에 의하여 열분해시키어 이 과정에서 나오는 유화가스를 에너지화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유화장치는 열분해실의 입구측에 폐기물을 이송하여 투입하는 투입부를 구성하고, 열분해실의 출구측에는 열분해 과정을 거쳐 나오는 잔존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구성한 것이며, 상기 배출부에는 외부로 배출과정에서 폐기물이 압축시키면서 이송하여 외부에 배출시 압축된 상태로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고분자류 등과 같이 유화과정에서 충분히 유화되지 못하고 녹은 상태 이거나 고형체의 형태로 배출되는 경우 압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어 유화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없거나 탄화되는 등의 불완전한 유화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어 단순히 압축하여 배출하는 것만으로는 위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는 것이다.
도 1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제안된 유화장치의 배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유화장치(1)로부터 배출되는 처리물을 구동부(3)에 의해 회전하는 이송스크류(2)에 의해 별도로 구비하는 함체(4)에 투입하고 투입된 처리물은 함체(4)에 쌓여지면서 저장되도록 함과, 상기 함체(4)내의 하부에 구동부(5)에 의하여 회전하는 이송스크류(6)를 구비하여 출구측에 배출관(7)을 형성하여 처리물을 이송스크류에 의하여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런데 함체(4)에 쌓인 처리물은 유화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뭉쳐지거나 굳어지는 현상이 발생됨에 따라 처리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이송스크류(6)를 회전시키면 이송스크류에 접촉하는 처리물과 그 근방에 위치한 처리물만 배출되어 굴 형태를 이루므로써 상부에 위치한 처리물은 배출되지 않게 되어 정상적인 배출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더욱이 함체내는 밀폐되어 있어 외부에서 처리물을 내려줄 수 없기 때문에 상당한 어려움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출구측에 배출관을 구비하여 이송스크류에 의하여 배출되는 처리물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배출관내에 채워지면서 배출되어야 외부공기의 유입을 제어할 수 있으나 처리물이 정상적으로 배출하지 못할 때에는 배출관내에 충분한 밀폐성을 갖지 못하고 배출되어지는 등 현실적으로 적용하는데 많은 문제점을 야기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유화장치에서 배출되는 폐기물을 외부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먼저 밀집상태를 갖게 한 후 다시 파쇄된 상태로 배출시키고 배출되는 폐기물을 싸이클론을 거쳐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배출과정에서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면서 원활하게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한 유화장치의 폐기물 배출수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해결수단으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화장치의 입구측에 폐기물을 이송하여 투입하는 폐기물 공급수단과, 공급수단으로부터 폐기물을 공급받아 저산소하에서 적정온도로 가열하여 증기상태의 오일물질로 변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유화수단과, 상기 유화수단의 출구측에 유화과정을 거쳐 나오는 잔존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폐기물 배출수단을 구성하는 폐기물 유화장치로서,
상기 폐기물 배출수단은, 긴 이송관로에 유화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폐기물을 구동부에 의한 회전으로 이송 및 밀집시키는 1차 이송스크류를 이송관로의 중간부까지 위치하도록 구비함과, 상기 1차 이송스크류와 적정간격의 공간부를 두고 이송관로의 출구 측으로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2차 이송스크류를 구비함과, 상기 2차 이송스크류의 중간부 위치에 파쇄된 폐기물을 수거한 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싸이클론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유화과정을 거쳐 배출되는 폐기물을 먼저 이송하면서 밀집시킨 후 다시 밀집된 폐기물을 파쇄하여 싸이클론에 수거한 후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시키는 기능을 향상과 배출의 효율성으로 안전성 및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화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배출수단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출구측 이송스크류의 일부 확대 사시도를 나타내었다.
도 2에서와 같이, 유화장치(100)는,
투입되는 폐기물을 공급받아 다단으로 형성되는 유화로에 이송스크류에 의하여 지그재그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저산소하 상태로 적정온도의 가열하여 증기상태의 오일물질로 변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유화수단(10)과, 상기 유화수단(10)의 입구측에 폐기물을 이송하여 투입하는 폐기물 공급수단(20)과, 상기 유화수단(10)의 출구측에 유화과정을 거쳐 나오는 잔존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폐기물 배출수단(30)으로 구성이 이루어진다.
도 3, 4에서와 같이, 상기 폐기물 배출수단(30)은,
긴 이송관로(31)에 유화수단(10)으로부터 배출되는 폐기물을 이송하면서 밀집되도록 하는 1차 이송스크류(32)를 중간부에 이르게 하면서 구동부(33)에 의해 회전하도록 축설하고, 상기 1차 이송스크류(32)와 적정간격의 공간부(31a)를 두고 또 다른 2차 이송스크류(34)를 이송관로(31)의 출구 측으로 구동부(35)에 의해 회전하도록 축설한다.
상기 2차 이송스크류(34)의 선단부에 톱니형상의 파쇄편(34a)을 형성하여 1차 이송스크류(32)에 의해 밀집되어 나오는 폐기물이 공간부(31a)로 유입되어 채워지면서 2차 이송스크류(34)의 선단부에 이르는 폐기물은 2차 이송스크류(34)의 선단부에 형성한 파쇄편(34a)에 의하여 파쇄되고 파쇄되는 폐기물은 2차 이송스크류(34)에 의하여 이송되어 2차 이송스크류(34)의 중간부에 연결되면서 내부에 교반기(51)를 갖는 싸이클론(50)으로 보내지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관로(31)의 입구 측에 구비되는 1차 이송스크류(32)의 후단부에는 축이 후방으로 확장되게 테이퍼부(32a)를 형성하면서 스크류 날개의 피치가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하여 이 부분에서 이송되는 폐기물이 더욱 밀집되어 외부로부터 공기유입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이송관로(31)의 입,출구 측에 위치하는 1, 2차 이송스크류(32,34)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송날개도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하여 폐기물의 이송방향이 동일하도록 하면서 동시에 1차 이송스크류(32)에 의하여 밀집되어 나오는 폐기물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회전하는 2차 이송스크류(34)의 선단부에 형성된 파쇄편(34a)에 물리어지면서 파쇄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2차 이송스크류(34)에는 하방의 중간부에 연결되는 싸이클론(50)을 중심으로 스크류 날개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하여 파쇄된 폐기물이 싸이클론(50)에 유입되면서 일부 외측으로 이송될 수 있는 폐기물의 유입을 제어하면서 유입된 폐기물은 역으로 이송시키어 싸이클론(50)으로 보내지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에 대하여 작동상태를 더 상세히 설명하면,
유화수단(10)에 의하여 유화공정을 거쳐 나오는 폐기물이 배출수단(30)에 공급되면 이송관로(31)의 입구 측에 위치하여 구동부(33)에 의하여 회전하는 1차 이송스크류(32)에 의하여 이송되며 이송과정에서 후방부에 이르게 되면 1차 이송스크류(32)의 축이 외측으로 확장되는 테이퍼부(32a) 및 스크류 날개의 피치가 좁아져 이송 공간부의 협소로 인하여 폐기물이 밀집되어지면서 이송되어 공간부(31a)로 이송되므로써 외부공기의 유입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밀집된 상태의 폐기물이 공간부(31a)로 나오게 되어 2차 이송스크류(34) 선단부에 이르게 되면 2차 이송스크류(34)는 입구 측의 1차 이송스크류(32)와 반대회전을 하면서 선단부의 스크류 날개에 형성한 파쇄편(34a)에 의하여 파쇄되면서 파쇄되는 폐기물은 2차 이송스크류(34)에 의하여 이송되어 2차 이송스크류(34)의 중간부에 연결되는 싸이클론(50)으로 유입된다.
여기서 2차 이송스크류(34)가 1차 이송스크류(32)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지만 스크류 날개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함에 따라 폐기물의 이송방향이 한 방향으로 이송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이송과정 중에 파쇄된 폐기물은 수직 상으로 긴 통 형상의 싸이클론(50)에 쌓여지고 배출할 때 내부에 구비되는 교반기(51)의 작동으로 폐기물을 흐틀어 주어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상태를 유지시키어 주는 것이며, 배출시 싸이클론(50)의 하단에 구비되는 로타리밸브 등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싸이클론(50)은 수직상으로 긴 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설치시 지면 아래에 위치할 수 있어 별도의 버켓콘베이어등을 이용하여 지상으로 올려 배출위치로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배출수단을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화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배출수단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출구 측인 2차 이송스크류의 일부 확대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배출수단 31: 이송관로
31a: 공간부 32,34: 이송스크류
33,35: 구동부 34a: 파쇄편
50: 싸이클론

Claims (5)

  1. 투입되는 폐기물을 공급받아 다단으로 형성되는 유화로에 이송스크류에 의하여 지그재그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저산소하 상태로 적정온도의 가열하여 증기상태의 오일물질로 변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유화수단(10)과, 상기 유화수단(10)의 입구측에 폐기물을 이송하여 투입하는 폐기물 공급장치(20)와, 상기 유화수단(10)의 출구측에 유화과정을 거쳐 나오는 잔존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폐기물 배출수단(30)을 구비하는 유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 배출수단(30)은, 긴 이송관로(31)에 유화수단(10)으로부터 배출되는 폐기물을 구동부(33)에 의한 회전으로 이송 및 밀집시키는 1차 이송스크류(32)를 이송관로(31)의 중간부까지 위치하도록 구비함과,
    상기 1차 이송스크류(32)와 적정간격의 공간부(31a)를 두고 이송관로(31)의 출구 측으로 구동부(35)에 의해 회전하는 2차 이송스크류(34)를 구비함과,
    상기 2차 이송스크류(34)의 중간부 위치에 폐기물이 유입되는 싸이클론(50)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장치의 폐기물 배출수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이송스크류(32)의 후단부에는 이송스크류 축이 후방으로 확장되게 테이퍼부(32a)를 형성하면서 스크류 날개의 피치가 좁아지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장치의 폐기물 배출수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이송스크류(34)의 선단부에는 1차 이송스크류(32)에 의해 밀집되어 나오는 폐기물을 파쇄할 수 있도록 파쇄편(34a)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장치의 폐기물 배출수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 2차 이송스크류(32,34)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송방향이 동일하도록 스크류 날개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장치의 폐기물 배출수단.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이송스크류(34)에는 중간 부분에 연결되는 싸이클론(50)를 중심으로 스크류 날개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하여 파쇄된 폐기물이 2차 이송스크류(34)의 외측으로 몰려지지 않게 외측 부분은 내측으로 이송기능을 갖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장치의 폐기물 배출수단.
KR1020080130497A 2008-12-19 2008-12-19 유화장치의 폐기물 배출수단 KR101038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0497A KR101038468B1 (ko) 2008-12-19 2008-12-19 유화장치의 폐기물 배출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0497A KR101038468B1 (ko) 2008-12-19 2008-12-19 유화장치의 폐기물 배출수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1694A KR20100071694A (ko) 2010-06-29
KR101038468B1 true KR101038468B1 (ko) 2011-06-01

Family

ID=42369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0497A KR101038468B1 (ko) 2008-12-19 2008-12-19 유화장치의 폐기물 배출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84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039B1 (ko) * 2012-05-08 2013-06-12 안용하 폐기물의 유화시스템
CN102690036B (zh) * 2012-06-15 2013-12-25 宋永生 污泥干化系统及其干化工艺
CN108176525A (zh) * 2017-12-27 2018-06-19 中国天辰工程有限公司 一种旋风分离器防阻塞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019Y1 (ko) 2002-04-23 2002-07-31 정주산업개발 주식회사 쓰레기소각로에 연계된 폐기물 건조설비와 폐플라스틱의유화설비
KR20020084019A (ko) * 2002-10-11 2002-11-04 손영석 디지털 독극물등의 오염물질 측정센스가 달린 정미기
KR100577008B1 (ko) 2006-01-07 2006-05-10 정인중 폐플라스틱 재생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019Y1 (ko) 2002-04-23 2002-07-31 정주산업개발 주식회사 쓰레기소각로에 연계된 폐기물 건조설비와 폐플라스틱의유화설비
KR20020084019A (ko) * 2002-10-11 2002-11-04 손영석 디지털 독극물등의 오염물질 측정센스가 달린 정미기
KR100577008B1 (ko) 2006-01-07 2006-05-10 정인중 폐플라스틱 재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1694A (ko) 2010-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09343B1 (en) Treatment of municipal solid waste
CA254173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sludge
KR100820868B1 (ko) 탈염기능을 갖는 고분자류 폐기물 유화장치
KR101038468B1 (ko) 유화장치의 폐기물 배출수단
EP261506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inuous preparation of disintegrated biomass sludge
WO2008128466A1 (fr) Unité d'élimination de déchets
JP2005331231A (ja) 乾燥機
KR20020086417A (ko) 폐플라스틱 및 폐고무 열분해장치
KR100957245B1 (ko) 부산물 또는 슬러지 건조장치
KR100923030B1 (ko) 유화장치
KR100481946B1 (ko) 슬러지 처리장치
CN104235857B (zh) 焚烧炉进料装置
CN106516604B (zh) 一种加热螺旋式物料输送装置
JP2009166040A (ja) 縦形撹拌加熱反応装置
KR20230087649A (ko) 연속식 폐합성수지 열분해 처리설비의 폐합성수지 투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식 폐합성수지 열분해 처리설비의 순환 열분해 장치
JP4988695B2 (ja) 嫌気性処理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廃棄物処理システム
KR102009175B1 (ko) 건조장치를 포함하는 슬러지 연료화 시스템
JP2008007737A (ja) 廃プラスチック熱分解油化還元装置
US20120040328A1 (en) Fermenter feed system for fermentable biomass of a biogas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feed system
KR102512498B1 (ko) 슬러지 건조 장치
CN214076982U (zh) 一种水泥窑协同处置污泥废弃物的预处理装置
JP3895103B2 (ja) 廃棄プラスチックの脱塩素処理装置
KR20090048007A (ko) 고분자류 폐기물 유화장치
CN206218690U (zh) 一种加热螺旋式物料输送装置
CN112878143A (zh) 一种沥青再生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