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8415B1 - 차량 및 화물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및 화물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8415B1
KR101038415B1 KR1020080107419A KR20080107419A KR101038415B1 KR 101038415 B1 KR101038415 B1 KR 101038415B1 KR 1020080107419 A KR1020080107419 A KR 1020080107419A KR 20080107419 A KR20080107419 A KR 20080107419A KR 101038415 B1 KR101038415 B1 KR 101038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vehicle
module
terminal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7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8321A (ko
Inventor
이행영
Original Assignee
(주)대광라이텍
(주)중앙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광라이텍, (주)중앙뷰텍 filed Critical (주)대광라이텍
Priority to KR1020080107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8415B1/ko
Publication of KR20100048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8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8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8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5/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correcting errors; Monitor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7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interrog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및 화물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장착되어 관제센터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차량단말기와, 차량의 화물수용부에 장착되어 상기 차량단말기와 RF통신이 가능한 화물단말기를 구비하고, 상기 화물단말기에는 화물봉인장치를 봉인 및 봉인해제할 수 있는 화물봉인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차량및화물종합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관제센터와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차량단말기에서 상기 관제센터에 상기 화물봉인장치의 봉인장치의 봉인해제를 요청하면 상기 관제센터에서 상기 차량단말기에 봉인해제승인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화물봉인장치를 봉인해제 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운행자 또는 제3자가 관제센터의 승인없이 임의로 화물봉인장치를 봉인해제할 수 없도록 하여 화물봉인장치의 무선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차량 및 화물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및 화물 관리 시스템은, 원격지에 위치되는 관제센터와, 차량에 장착되어 상기 관제센터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차량단말기와, 상기 차량의 화물수용부에 장착되어 상기 차량단말기와 RF통신이 가능한 화물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차량단말기는 상기 관제센터와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모듈과, 상기 화물단말기와 RF통신을 위한 차량RF통신모듈과, 상기 무선통신모듈 및 상기 차량RF통신모듈을 제어하는 차량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화물단말기는 상기 차량단말기와 RF통신을 위한 화물RF통신모듈과, 상기 화물수용부의 화물출입구에 설치된 화물봉인장치를 봉인 및 봉인해제하는 화물봉인모듈과, 상기 화물RF통신모듈 및 상기 화물봉인모듈을 제어하는 화물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차량제어모듈은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관제센터에 상기 화물봉인장치의 봉인해제를 요청하고 상기 관제센터로부터 상기 화물봉인장치의 봉인해제를 승인받는 경우 상기 차량RF통신모듈이 상기 화물단말기에 봉인해제승인정보를 송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화물제어모듈은 상기 화물RF통신모듈에 봉인해제승인정보를 수신받는 경우 상기 화물봉인모듈이 상기 화물봉인장치를 봉인해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80107419
관제센터, 차량, 화물, 컨테이너, RFID, 무선통신, RF통신, 봉인장치

Description

차량 및 화물 관리 시스템{VEHICLE AND CARGO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차량 및 화물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장착되어 관제센터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차량단말기와, 차량의 화물수용부에 장착되어 상기 차량단말기와 RF통신이 가능한 화물단말기를 구비하고, 상기 화물단말기에는 화물봉인장치를 봉인 및 봉인해제할 수 있는 화물봉인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차량및화물종합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관제센터와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차량단말기에서 상기 관제센터에 상기 화물봉인장치의 봉인장치의 봉인해제를 요청하면 상기 관제센터에서 상기 차량단말기에 봉인해제승인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화물봉인장치를 봉인해제 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운행자 또는 제3자가 관제센터의 승인없이 임의로 화물봉인장치를 봉인해제할 수 없도록 하여 화물봉인장치의 무선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차량 및 화물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 및 화물 관리 시스템은 컨테이너항을 예를 들어 게이트에 고정형 RFID 리더를 일정한 간격(100m 이내)으로 여러 군데 설치하고, RFID 태그를 장착한 차량이 게이트에 진입하거나 항만내로 진입시 컨테이너의 이동경로, 온도, 습 도 등의 차량및화물종합정보 및 화물종합정보를 RFID 리더의 유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관제센터로 통보하여 왔다.
하지만, 이러한 차량및화물종합정보 및 화물종합정보를 실시간으로 전국 전역으로 서비스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RFID 리더가 100m 간격 또는 특정지역에 설치되어야 하거나 아니면 이동형으로 고가의 RFID 리더가 차량에 장착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차량 및 화물 관리 시스템은 차량의 화물수용부의 화물출입구에 설치된 화물봉인장치를 관제센터에서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차량운행자 또는 제3자가 RFID 리더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사각지대에서 임의로 화물봉인장치를 봉인해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에 장착되어 관제센터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차량단말기와, 차량의 화물수용부에 장착되어 상기 차량단말기와 RF통신이 가능한 화물단말기를 구비하고, 상기 화물단말기에는 화물봉인장치를 봉인 및 봉인해제할 수 있는 화물봉인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차량및화물종합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관제센터와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음은 물론 차량운행자 또는 제3자가 관제센터의 승인없이 임의로 화물봉인장치를 봉인해제할 수 없도록 하여 화물봉인장치의 무선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차량 및 화물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암호화 코드를 입력받아 화물봉인장치를 해제할 수 있는 RF리모컨을 구비하여 관제센터로부터 암호화 코드를 부여받은 경우에는 간편하게 화물봉인장치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한 차량 및 화물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물봉인장치의 외부충격 및 파손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충격감지센서모듈을 구비하여 관제센터에서 화물봉인장치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 차량 및 화물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물상태감지센서모듈 및 GPS모듈을 구비하여 차량및화물종합정보를 관제센터에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 차량 및 화물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및 화물 관리 시스템은, 원격지에 위치되는 관제센터와, 차량에 장착되어 상기 관제센터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차량단말기와, 상기 차량의 화물수용부에 장착되어 상기 차량단말기와 RF통신이 가능한 화물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차량단말기는 상기 관제센터와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모듈과, 상기 화물단말기와 RF통신을 위한 차량RF통신모듈과, 상기 무선통신모듈 및 상기 차량RF통신모듈을 제어하는 차량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화물단말기는 상기 차량단말기와 RF통신을 위한 화물RF통신모듈과, 상기 화물수용부의 화물출입구에 설치된 화물봉인장치를 봉인 및 봉인해제하는 화물봉인모듈과, 상기 화물RF통신모듈 및 상기 화물봉인모듈을 제어하는 화물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차량제어모듈은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관제센터에 상기 화물봉인장치의 봉인해제를 요청하고 상기 관제센터로부터 상기 화물봉인장치의 봉인해제를 승인받는 경우 상기 차량RF통신모듈이 상기 화물단말기에 봉인해제승인정보를 송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화물제어모듈은 상기 화물RF통신모듈에 봉인해제승인정보를 수신받는 경우 상기 화물봉인모듈이 상기 화물봉인장치를 봉인해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및 화물 관리 시스템은, 암호화 코드를 입력받아 상기 화물단말기에 상기 화물봉인장치의 봉인해제신호를 RF송출이 가능한 RF리모컨을 더 포함하되, 상기 화물제어모듈은 상기 화물RF통신모듈에 봉인해제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화물봉인모듈이 상기 화물봉인장치를 봉인해제하도록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및 화물 관리 시스템은, 상기 화물단말기는 상기 화물봉인장치의 외부충격 및 파손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충격감지센서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화물제어모듈은 상기 충격감지센서모듈에 충격정보가 감지되면 상기 화물RF통신모듈이 상기 차량단말기에 충격정보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차량제어모듈은 상기 차량RF통신모듈에 충격정보를 수신받는 경우 상기 무선통신모듈이 상기 관제센터에 충격정보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및 화물 관리 시스템은, 상기 화물단말기는 상기 차량의 화물수용부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화물상태감지센서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화물제어모듈은 상기 화물RF통신모듈이 상기 화물상태감지센서모듈에 감지된 화물상태정보를 상기 차량단말기에 송신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차량단말기는 현재 차량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GPS모듈과, 상기 GPS모듈로부터 수집되는 차량의 위치정보 및 상기 차량RF통신모듈을 통해 송수신되는 각종 정보를 포함한 차량및화물종합정보를 저장하는 차량메모리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차량제어모듈은 상기 관제센터로부터 차량및화물종합정보를 요청받는 경우 상기 무선통신모듈이 상기 차량메모리모듈에 저장된 차량및화물종합정보를 상기 관제센터에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및 화물 관리 시스템은, 상기 화물단말기는 상기 차량의 화물수용부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화물상태감지센서모듈과, 상기 화물상태감지센서모듈에서 감지된 화물상태정보 및 상기 화물RF통신모듈을 통해 송 수신되는 각종 정보를 포함한 화물종합정보를 저장하는 화물메모리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차량제어모듈은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관제센터로부터 화물종합정보를 요청받는 경우 상기 화물단말기로부터 상기 차량RF통신모듈에 수신되는 상기 화물메모리모듈에 저장된 화물종합정보를 상기 무선통신모듈이 상기 관제센터에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및 화물 관리 시스템은 차량및화물종합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관제센터와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음은 물론 차량운행자 또는 제3자가 관제센터의 승인없이 임의로 화물봉인장치를 봉인해제할 수 없도록 하여 화물봉인장치의 무선원격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및 화물 관리 시스템은 암호화 코드를 입력받아 화물봉인장치를 해제할 수 있는 RF리모컨을 구비하여 관제센터로부터 암호화 코드를 부여받은 경우에는 간편하게 화물봉인장치를 해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및 화물 관리 시스템은 화물봉인장치의 외부충격 및 파손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충격감지센서모듈을 구비하여 관제센터에서 화물봉인장치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화물상태감지센서모듈 및 GPS모듈을 구비하여 차량및화물종합정보를 관제센터에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및 화물 관리 시스템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및 화물 관리 시스템의 배치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및 화물 관리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면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및 화물 관리 시스템은 관제센터(10)와, 차량단말기(20)와, 화물단말기(30)와, RF리모컨(4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관제센터(10)는 원격지에 위치되어 상기 차량단말기(20)와 무선통신을 통해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게 되는데, 상기 차량단말기(20)에 교통정보 등을 송신하고, 상기 차량단말기(20)로부터 차량및화물종합정보를 수신받아 이를 모니터링하며 차량 및 화물을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관제센터(10)는 상기 차량단말기(20)로부터 화물봉인장치의 봉인해제를 요청받는 경우 봉인해제승인정보를 상기 차량단말기(20)에 송신함으로써 화물봉인장치(L)를 원격으로 제어하게 된다.
상기 차량단말기(20)는 차량에 장착되어 상기 관제센터(10)와 무선통신을 하게 되는데, 무선통신모듈(21)과, 차량RF통신모듈(22)과, GPS모듈(23)과, 차량메모리모듈(24)과, 차량디스플레이모듈(25)과, 차량전원공급모듈(26)과, 차량제어모듈(27)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무선통신모듈(21)은 상기 차량제어모듈(27)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관제센터(10)와 무선통신을 위해 구비된다.
상기 무선통신모듈(21)이 상기 관제센터(10)와 무선통신을 하기 위해서 TCP/IP 프로토콜 및 각종 세계 표준 프로토콜이 활용될 수 있고, 상기 무선통신모듈(21)은 CDMA / GSM 무선통신이 지원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량RF통신모듈(22)은 상기 차량제어모듈(27)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화물단말기(30)와 RF통신을 위해 구비된다.
즉, 상기 차량RF통신모듈(22)은 상기 관제센터부터 상기 화물봉인장치(L)의 봉인해제를 승인받는 경우 상기 화물단말기(30)에 봉인해제승인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화물단말기(30)로부터 상기 화물단말기(30)의 충격감지센서모듈(33) 및 화물상태감지센서모듈(34)로부터 감지된 충격정보 및 화물상태정보를 포함한 화물종합정보를 수신받게 된다.
상기 GPS모듈(23)은 현재 차량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데, 상기 GPS모듈(23)로부터 수집되는 차량의 위치정보는 상기 차량메모리모듈(24)에 저장된다.
물론, 상기 관제센터(10)로부터 차량의 위치정보를 요구하는 경우에는 상기 차량제어모듈이(27)이 상기 차량메모리모듈(24)에 저장된 차량의 위치정보를 상기 관제센터(10)로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통신모듈(21)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차량메모리모듈(24)은 상기 GPS모듈(23)로부터 수집되는 차량의 위치정보 및 상기 차량RF통신모듈(22)을 통해 송수신되는 각종 정보를 포함한 차량및화물종합정보를 저장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차량메모리모듈(24)은 후술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및 화물 관리 시스템과 차이가 나는 구성요소이다.
한편, 상기 차량메모리모듈(24)은 상기 차량제어모듈(27)에 의해 제어되는데, 상기 차량제어모듈(27)은 상기 관제센터(10)로부터 차량및화물종합정보를 요청받는 경우 상기 무선통신모듈(21)이 상기 차량메모리모듈(24)에 저장된 차량및화물종합정보를 상기 관제센터(10)에 송신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상기 차량디스플레이모듈(25)은 상기 관제센터(10)로부터 수신된 교통정보 및 기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또한 상기 화물단말기(30)로부터 수신되는 화물종합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차량디스플레이모듈(25)은 LCD 또는 LED 등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출할 수 있는 수단이면 되는 것이고, 보다 넓은 개념으로 정보를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포함된다 할 것이다.
상기 차량전원공급모듈(26)은 상기 차량단말기(2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차량전원공급모듈(26)은 자체 백업용 배터리를 내장하도록 하여 차량전원의 문제발생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량제어모듈(27)은 상기 차량단말기(20)를 구성하는 다른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차량제어모듈(27)은 상기 무선통신모듈(21)을 통하여 상기 관제센터(10)에 상기 화물봉인장치(L)의 봉인해제를 요청하고 상기 관제센터(10)로부터 상기 화물봉인장치(L)의 봉인해제를 승인 받는 경우 상기 차량RF통신모듈(22)이 상 기 화물단말기(30)에 봉인해제승인정보를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차량제어모듈(27)은 상기 차량RF통신모듈(22)에 충격정보를 수신받는 경우 상기 무선통신모듈(21)이 상기 관제센터(10)에 충격정보를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차량제어모듈(27)은 상기 관제센터(10)로부터 차량및화물종합정보를 요청받는 경우 상기 무선통신모듈(21)이 상기 차량메모리모듈(24)에 저장된 차량및화물종합정보를 상기 관제센터(10)에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화물단말기(30)는 차량의 화물수용부에 장착되어 상기 차량단말기(20)와 RF통신을 하게 되는데, 화물RF통신모듈(31)과, 화물봉인모듈(32)과, 충격감지센서모듈(33)과, 화물상태감지센서모듈(34)과, 화물디스플레이모듈(36)과, 화물전원공급모듈(37)과, 화물제어모듈(38)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화물RF통신모듈(31)은 상기 화물제어모듈(38)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차량단말기(20)와 RF통신을 위해 구비된다.
즉, 상기 화물RF통신모듈(31)은 상기 충격감지센서모듈(33) 및 상기 화물상태감지센서모듈(34)로부터 감지된 충격정보 및 화물상태정보를 상기 차량단말기(20)에 송신하게 된다.
상기 화물봉인모듈(32)은 상기 화물제어모듈(38)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화물수용부의 화물출입구(G)에 설치된 화물봉인장치(L)를 봉인 및 봉인해제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화물봉인모듈(32)은 상기 차량단말기(20)로부터 상기 화물RF통신모 듈(31)에 봉인해제승인정보를 수신받는 경우 상기 화물제어모듈(38)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화물봉인장치(L)를 봉인해제하게 된다.
한편, 상기 화물수용부의 화물출입구(G)는 차량에 적재되는 화물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일예로 컨테이너의 경우에는 컨테이너개폐문이 될 것이고, 유조차량의 경우에는 해치밸브가 될 것이다. 그 밖에 가스운송차량, 물류운송차량, 현금수송차량, 무기고관리차량, 각종위험물운송차량, 군용차량, 중장비차량 등 각각의 차량에 따라 화물이 출입되는 화물출입구(G)에 상기 화물봉인장치(L)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충격감지센서모듈(33)은 상기 화물봉인장치(L)의 외부충격 및 파손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충격감지센서모듈(33)에 충격정보가 감지되면 상기 화물제어모듈(38)은 상기 화물RF통신모듈(31)이 상기 차량단말기(20)에 충격정보를 송신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상기 화물상태감지센서모듈(34)은 상기 차량의 화물수용부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화물상태감지센서모듈(34)에 감지된 화물상태정보는 상기 화물제어모듈(38)에 의해 상기 화물RF통신모듈(31)이 상기 차량단말기(20)에 화물상태정보를 송신하도록 한다.
상기 화물디스플레이모듈(36)은 상기 화물봉인모듈(32)의 상태, 상기 충격감지센서모듈(33)에서 감지된 충격정보 및 상기 화물상태감지센서모듈(34)에서 감지 된 화물상태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화물디스플레이모듈(36)은 상기 차량디스플레이모듈(25)과 마찬가지로 LCD 또는 LED 등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출할 수 있는 수단이면 되는 것이고, 보다 넓은 개념으로 정보를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포함된다 할 것이다.
상기 화물전원공급모듈(37)은 상기 화물단말기(3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한편, 상기 화물전원공급모듈(37)은 상기 차량전원공급모듈(26)과 마찬가지로 자체 백업용 배터리를 내장하도록 하여 차량전원의 문제발생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물제어모듈(38)은 상기 화물단말기(30)를 구성하는 다른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화물제어모듈(38)은 상기 화물RF통신모듈(31)에 보인해제승인정보를 수신받는 경우 상기 화물봉인모듈(32)이 상기 화물봉인장치(L)를 봉인해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화물제어모듈(38)은 상기 화물RF통신모듈(31)에 상기 RF리모컨(40)으로 부터 봉인해제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화물봉인모듈(32)이 상기 화물봉인장치(L)를 봉인해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화물제어모듈(38)은 상기 충격감지센서모듈(33)에 충격정보가 감지되면 상기 화물RF통신모듈(31)이 상기 차량단말기(20)에 충격정보를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화물제어모듈(38)은 상기 화물RF통신모듈(31)이 상기 화물상태감지센서모듈(34)에 감지된 화물상태정보를 상기 차량단말기(20)에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RF리모컨(40)은 암호화코드를 입력받아 상기 화물단말기(20)에 상기 화물봉인장치(L)의 봉인해제신호를 RF송출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관제센터(10)로부터 암호화 코드를 부여받은 경우에는 간편하게 상기 화물봉인장치(L)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RF리모컨(40)으로 부터 송출되는 봉인해제신호는 상기 화물RF통신모듈(31)에 수신되게 되고, 이 경우 상기 화물제어모듈(38)은 상기 화물봉인모듈(32)이 상기 화물봉인장치(L)를 봉인해제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및 화물 관리 시스템에 대해 살펴보았고,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및 화물 관리 시스템을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및 화물 관리 시스템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및 화물 관리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면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및 화물 관리 시스템은 관제센터(10)와, 차량단말기(20)와, 화물단말기(30)와, RF리모컨(4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관제센터(10) 및 상기 RF리모컨(4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차량단말기(20)는 차량에 장착되어 상기 관제센터(10)와 무선통신을 하게 되는데, 무선통신모듈(21)과, 차량RF통신모듈(22)과, GPS모듈(23)과, 차량디스플레이모듈(25)과, 차량전원공급모듈(26)과, 차량제어모듈(27)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차량메모리모듈(24)이 구성요소에 포함되어 있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GPS모듈(23)로부터 수집되는 차량의 위치정보는 상기 차량메모리모듈(24)에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무선통신모듈(21)을 통해 상기 관제센터(21)에 무선통신으로 실시간으로 통보되거나, 상기 차량RF통신모듈(22)을 통해 상기 화물단말기(30)로 차량의 위치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화물단말기(30)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포함되지 않았던 화물메모리모듈(35)에 차량의 위치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한편, 상기 차량제어모듈(27)은 상기 무선통신모듈(21)을 통하여 상기 관제센터(10)로부터 화물종합정보를 요청받는 경우 상기 화물단말기(30)로부터 상기 차량RF통신모듈(22)에 수신되는 상기 화물메모리모듈(35)에 저장된 화물종합정보를 상기 무선통신모듈(21)이 상기 관제센터(10)에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이하 상기 차량단말기(20)의 다른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동일하 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화물단말기(30)는 상기 화물단말기(30)는 차량의 화물수용부에 장착되어 상기 차량단말기(20)와 RF통신을 하게 되는데, 화물RF통신모듈(31)과, 화물봉인모듈(32)과, 충격감지센서모듈(33)과, 화물상태감지센서모듈(34)과, 화물메모리모듈(35)과, 화물디스플레이모듈(36)과, 화물전원공급모듈(37)과, 화물제어모듈(38)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추가로 상기 화물메모리모듈(35)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화물메모리모듈(35)은 상기 화물상태감지센서모듈(33)에서 감지된 화물상태정보 및 상기 화물RF통신모듈을 통해 송수신되는 각종 정보를 포함한 화물종합정보를 저장하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화물메모리모듈(35)에 저장된 화물종합정보는 상기 관제센터(10)로부터 상기 차량단말기(20)가 화물종합정보를 요청받는 경우 상기 상기 화물제어모듈(38)의 제어에 의해 상기 화물RF통신모듈(31)을 통해 상기 차량단말기(20)에 송신하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차량 및 화물 관리 시스템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 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및 화물 관리 시스템의 배치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및 화물 관리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및 화물 관리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G 화물출입구
L 화물봉인장치
10 관제센터
20 차량단말기
21 무선통신모듈
22 차량RF통신모듈
23 GPS모듈
24 차량메모리모듈
25 차량디스플레이모듈
26 차량전원공급모듈
27 차량제어모듈
30 화물단말기
31 화물RF통신모듈
32 화물봉인모듈
33 충격감지센서모듈
34 화물상태감지센서모듈
35 화물메모리모듈
36 화물디스플레이모듈
37 화물전원공급모듈
38 화물제어모듈
40 RF리모컨

Claims (5)

  1. 원격지에 위치되는 관제센터와, 차량에 장착되어 상기 관제센터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차량단말기와, 상기 차량의 화물수용부에 장착되어 상기 차량단말기와 RF통신이 가능한 화물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차량단말기는 상기 관제센터와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모듈과, 상기 화물단말기와 RF통신을 위한 차량RF통신모듈과, 상기 무선통신모듈 및 상기 차량RF통신모듈을 제어하는 차량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화물단말기는 상기 차량단말기와 RF통신을 위한 화물RF통신모듈과, 상기 화물수용부의 화물출입구에 설치된 화물봉인장치를 봉인 및 봉인해제하는 화물봉인모듈과, 상기 화물RF통신모듈 및 상기 화물봉인모듈을 제어하는 화물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차량제어모듈은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관제센터에 상기 화물봉인장치의 봉인해제를 요청하고 상기 관제센터로부터 상기 화물봉인장치의 봉인해제를 승인받는 경우 상기 차량RF통신모듈이 상기 화물단말기에 봉인해제승인정보를 송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화물제어모듈은 상기 화물RF통신모듈에 봉인해제승인정보를 수신받는 경우 상기 화물봉인모듈이 상기 화물봉인장치를 봉인해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화물단말기는 상기 차량의 화물수용부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화물상태감지센서모듈과, 상기 화물상태감지센서모듈에서 감지된 화물상태정보 및 상기 화물RF통신모듈을 통해 송수신되는 각종 정보를 포함한 화물종합정보를 저장하는 화물메모리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차량제어모듈은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관제센터로부터 화물종합정보를 요청받는 경우 상기 화물단말기로부터 상기 차량RF통신모듈에 수신되는 상기 화물메모리모듈에 저장된 화물종합정보를 상기 무선통신모듈이 상기 관제센터에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및 화물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암호화 코드를 입력받아 상기 화물단말기에 상기 화물봉인장치의 봉인해제신호를 RF송출이 가능한 RF리모컨을 더 포함하되,
    상기 화물제어모듈은 상기 화물RF통신모듈에 봉인해제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화물봉인모듈이 상기 화물봉인장치를 봉인해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및 화물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단말기는 상기 화물봉인장치의 외부충격 및 파손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충격감지센서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화물제어모듈은 상기 충격감지센서모듈에 충격정보가 감지되면 상기 화물RF통신모듈이 상기 차량단말기에 충격정보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차량제어모듈은 상기 차량RF통신모듈에 충격정보를 수신받는 경우 상기 무선통신모듈이 상기 관제센터에 충격정보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및 화물 관리 시스템.
  4. 삭제
  5. 삭제
KR1020080107419A 2008-10-30 2008-10-30 차량 및 화물 관리 시스템 KR101038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7419A KR101038415B1 (ko) 2008-10-30 2008-10-30 차량 및 화물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7419A KR101038415B1 (ko) 2008-10-30 2008-10-30 차량 및 화물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8321A KR20100048321A (ko) 2010-05-11
KR101038415B1 true KR101038415B1 (ko) 2011-06-02

Family

ID=42275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7419A KR101038415B1 (ko) 2008-10-30 2008-10-30 차량 및 화물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84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9937A (ko) * 2020-09-01 2021-10-06 주식회사 아모센스 물품 운송 시스템
US11907897B2 (en) 2017-09-28 2024-02-20 Amosense Co., Ltd. Transportation data logging device and item transport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74242A2 (ko) * 2010-12-02 2012-06-07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봉인 기능을 포함한 컨테이너 통신 장치 및 시스템
CN103134550A (zh) * 2011-11-25 2013-06-05 上海仁哲弘誉信息技术有限公司 Rfid无线物流温度监控设备
KR102287360B1 (ko) 2019-11-26 2021-08-06 주식회사 옵티로 영상분석 및 블록체인을 활용한 화물 이동 정보 관리 시스템
KR20210156502A (ko) 2020-06-18 2021-12-27 재단법인 경북자동차임베디드연구원 화물 운송 상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7313A (ko) * 2006-05-02 2007-11-07 주식회사 이피아테크 Rf를 이용한 컨테이너 위치추적 및 실시간 관리 시스템
KR20070114483A (ko) * 2006-05-29 2007-12-04 (주)프리비아 인공위성을 이용한 위치인식 및 무선 제어 기능을 갖는전자 씰 겸용 컨테이너 도어락
KR20080046397A (ko) * 2006-11-22 2008-05-27 씨제이 지엘에스 주식회사 전자태그 및 위치인식 기술을 이용한 화물 용기 개폐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7313A (ko) * 2006-05-02 2007-11-07 주식회사 이피아테크 Rf를 이용한 컨테이너 위치추적 및 실시간 관리 시스템
KR20070114483A (ko) * 2006-05-29 2007-12-04 (주)프리비아 인공위성을 이용한 위치인식 및 무선 제어 기능을 갖는전자 씰 겸용 컨테이너 도어락
KR20080046397A (ko) * 2006-11-22 2008-05-27 씨제이 지엘에스 주식회사 전자태그 및 위치인식 기술을 이용한 화물 용기 개폐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07897B2 (en) 2017-09-28 2024-02-20 Amosense Co., Ltd. Transportation data logging device and item transport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210119937A (ko) * 2020-09-01 2021-10-06 주식회사 아모센스 물품 운송 시스템
KR102421413B1 (ko) * 2020-09-01 2022-07-15 주식회사 아모센스 물품 운송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8321A (ko) 2010-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8415B1 (ko) 차량 및 화물 관리 시스템
KR100812769B1 (ko) Rf를 이용한 컨테이너 위치추적 및 실시간 관리 시스템
KR101118016B1 (ko) 컨테이너의 보안을 유지하기 위해 컨테이너를 모니터링하기위한 시스템 및 방법
CA2909021C (en) Global intelligent remote detection system
CN113424237B (zh) 供应链中的智能物理封闭件
KR100815932B1 (ko) 컨테이너 정보 송출 시스템 및 컨테이너 추적 시스템
CN103514708B (zh) 基于北斗与gis的物流运输智能短报文信息告警装置
JP5528468B2 (ja) モバイルタグローカルデータ報告システム
US20080231454A1 (en) Cargo Container Monitoring Device
KR101630199B1 (ko) 운송 모니터링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운송정보 제공방법
KR20050067392A (ko) 컨테이너의 보안을 유지하기 위해 컨테이너를 모니터링하기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01460981A (zh) 用于监测所封闭的对象完整性的安全装置
EP2562100A2 (en) Container, in particular transport container for food
US8149118B2 (en) Device and method for registering the opening of closures of spaces to be secured
KR20150037777A (ko) 컨테이너 보안을 위한 엠투엠 데이터 통신 장치 및 방법
CN101813703A (zh) 利用多传感器监视集装箱安全性、内容物和状态的方法及系统
EP3837567B1 (en) Enclosure with uwb sensor
KR20210155053A (ko) 알에프를 이용한 컨테이너 위치파악 및 실시간 관리시스템
KR101160657B1 (ko) 유조차 관리 시스템
KR101689349B1 (ko) 양방향 통신을 지원하는 물류 IoT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1306513B1 (ko) 전자 봉인에 의한 시설물 개폐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US20090307000A1 (en) Method and system for globally monitoring aircraft components
KR20160061573A (ko) 자이로센서와 충격센서 및 카메라를 이용한 컨테이너 관리 시스템
RU2661076C2 (ru) Система контро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опасных грузов (СК ТОГ)
KR101608439B1 (ko) 사물 통신을 이용한 컨테이너 정보 통합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