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8138B1 - 고압 계통의 전압, 전류 측정 및 오차 보정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고압 계통의 전압, 전류 측정 및 오차 보정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8138B1
KR101038138B1 KR1020080088638A KR20080088638A KR101038138B1 KR 101038138 B1 KR101038138 B1 KR 101038138B1 KR 1020080088638 A KR1020080088638 A KR 1020080088638A KR 20080088638 A KR20080088638 A KR 20080088638A KR 101038138 B1 KR101038138 B1 KR 101038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urrent
comparator
power factor
error cor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8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9931A (ko
Inventor
강용철
장성일
최정환
김용균
송일근
이병성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080088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8138B1/ko
Publication of KR20100029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9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8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8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06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measuring current and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28Provision in measuring instruments for reference values, e.g. standard voltage, standard wavefor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2Measuring effective values, i.e. root-mean-square val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5/00Arrangements for measuring phase angle between a voltage and a current or between voltages or curr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5/00Testing or calibrating of apparatus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R35/005Calibrating; Standards or reference devices, e.g. voltage or resistance standards, "golden" referen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ement Of Current Or Volt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 계통의 전압, 전류 측정 및 오차 보정 시스템 및 오차 보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22,9kV 고압 계통의 전압 및 전류를 고정밀 급으로 계측하고, 배전 기기와 단말기의 오차를 산정하여 이를 보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고압 계통의 전압, 전류 측정 및 오차 보정 시스템은, 고압 계통의 전압 및 전류를 계측하고, 계측된 상기 전압 및 전류의 실효치 및 위상을 비교기로 전송하는 계측기; 배전용 기기의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전압 및 전류로부터 역률을 계산하며, 상기 전압, 전류의 실효치 및 역률을 상기 비교기로 전송하는 단말기; 및 상기 고압 계통의 전압 및 전류의 실효치 및 위상차와,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전압, 전류의 실효치 및 상기 역률로부터 계산된 위상차를 서로 비교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전압, 전류 및 역률에 대한 오차 보정값을 계산하는 비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고압 계통의 전압, 전류 측정 및 오차 보정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voltage and current and correcting errors in high voltage power system}
본 발명은 고압 계통의 전압, 전류 측정 및 오차 보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22,9kV 고압 계통의 전압 및 전류를 고정밀 급으로 계측하고, 배전 기기와 단말기의 오차를 산정하여 이를 보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22.9kV 고압 계통의 배전선로, 차단기, 개폐기, 리클로져 및 변압기의 전압/전류 측정 및 점검은 검상기, 검전기 등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검상기 또는 검전기는 계측 오차가 너무 커서 전압 및 전류의 유무만을 판정하는 용도로만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유지보수 작업 시 작업자가 직접 계측 장비를 고압 계통에 접촉시켜 계측하기 때문에 감전에 따른 인명 피해 가능성이 존재하였다. 또한, 22.9kV 고압 계통의 차단기, 개폐기, 리클로져 및 감시 장비가 설치된 주상 변압기에는 전압/전류의 측정을 위해 단말기가 설치되는데, 상기 단말기 또한 측정된 전압/전류 값의 정확도가 매우 낮아 정밀한 측정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고압 계통의 전압 및 전류를 계측하기 위한 장비들은 그 신뢰성 및 정확도가 매우 낮아 배전계통의 유지보수 및 운영 업무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자칫 배전 계통에 대한 오감시, 오제어의 문제점 또한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압 계통의 전압 및 전류를 고정밀 급으로 계측하고, 배전 기기와 단말기의 오차를 산정하여 이를 보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압 계통의 전압, 전류 측정 및 오차 보정 시스템은, 고압 계통의 전압 및 전류를 계측하고, 계측된 상기 전압 및 전류의 실효치 및 위상을 비교기로 전송하는 계측기; 배전용 기기의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전압 및 전류로부터 역률을 계산하며, 상기 전압, 전류의 실효치 및 역률을 상기 비교기로 전송하는 단말기; 및 상기 고압 계통의 전압 및 전류의 실효치 및 위상차와,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전압, 전류의 실효치 및 상기 역률로부터 계산된 위상차를 서로 비교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전압, 전류 및 역률에 대한 오차 보정값을 계산하는 비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본 발명에 따른 고압 계통의 전압, 전류 측정 및 오차 보정 시스템은 고압 계통의 전압 및 전류를 계측하고, 계측된 상기 전압 및 전류의 순시치를 비교기로 전송하는 계측기; 배전용 기기의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전압 및 전류로부터 역률을 계산하며, 상기 전압, 전류의 실효치 및 역률을 상기 비교기로 전송하는 단말기; 및
상기 고압 계통의 전압 및 전류의 순시치로부터 전압, 전류의 실효치 및 위상을 계산하고, 계산된 상기 고압 계통의 전압, 전류의 실효치 및 위상차와,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전압, 전류의 실효치 및 상기 역률로부터 계산된 위상차를 서로 비교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전압, 전류 및 역률에 대한 오차 보정값을 계산하는 비교기;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비교기는, 상기 계산된 오차 보정값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비교기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오차 보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배전용 기기로부터 측정된 전압, 전류 및 역률에 대한 오차를 보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차 보정값은 상기 배전용 기기로부터 측정된 전압, 전류의 비오차 및 위상차 오차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계측기는 상기 비교기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고압 계통의 전압, 전류 계측기는, 고압 계통의 전압 또는 전류를 계측하는 계측부; 및 상기 계측부에서 계측된 상기 고압 계통의 전압 또는 전류를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송출하는 무선 통신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전압, 전류 계측기는, 상기 계측부에서 계측된 전압 또는 전류 값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선 통신부는, 기 설정된 전송 주기에 따라 계측된 상기 고압 계통의 전압 및 전류값을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에서 송출되는 상기 고압 계통의 전압 및 전류값은, 상기 전압 및 전류의 순시치이거나, 상기 전압 및 전류의 실효치 및 위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고압 계통의 배전 기기용 단말기는, 배전용 기기의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고, 상기 전압 및 전류로부터 역률을 계산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 및 계산된 상기 배전용 기기의 전압, 전류 및 역률을 비교기로 전송하고, 상기 비교기로부터 상기 전압, 전류 및 역률에 대한 오차 보정값을 전송받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전송받은 상기 오차 보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 및 계산된 상기 전압, 전류 및 역률을 보정하는 오차 보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배전 기기용 단말기는, 상기 측정 및 계산된 상기 배전용 기기의 전압, 전류 및 역률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배전용 기기의 전압 및 전류는, 상기 전압 및 전류의 실효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오차 보정값은 상기 전압, 전류의 비오차 및 위상차 오차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고압 계통의 전압, 전류 측정 및 오차 보정 방법은, (a) 계측기에서, 고압 계통의 전압 및 전류를 계측하고, 계측된 상기 전압 및 전류의 실효치 및 위상을 비교기로 전송하는 단계; (b) 단말기에서, 배전용 기기의 전압, 전류를 측정하고 상기 전압 및 전류로부터 역률을 계산하며, 상기 전압, 전류의 실효치 및 계산된 역률을 상기 비교기로 전송하는 단계; (c) 비교기에서, 상기 (a) 단계에서 수신된 상기 고압 계통의 전압 및 전류의 실효치 및 위상차와, 상기 (b) 단계에서 수신된 상기 상기 배전용 기기의 전압, 전류의 실효치 및 상기 역률로부터 계산된 역률을 서로 비교하여 상기 (b) 단계에서 수신된 전압, 전류 및 역률에 대한 오차 보정값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c) 단계의 수행 후, (d) 상기 비교기에서, 상기 계산된 오차 보정값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비교기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오차 보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배전용 기기의 전압, 전류 및 역률의 오차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고압 계통의 전압, 전류 측정 및 오차 보정 방법은, (a) 계측기에서, 고압 계통의 전압 및 전류를 계측하고, 계측된 상기 전압 및 전류의 순시치를 비교기로 전송하는 단계; (b) 단말기에서, 배전용 기기의 전압, 전류를 측정하고 상기 전압 및 전류로부터 역률 을 계산하며, 상기 전압, 전류의 실효치 및 계산된 역률을 상기 비교기로 전송하는 단계; (c) 비교기에서, 상기 (a) 단계에서 수신된 상기 고압 계통의 전압 및 전류의 순시치로부터 전압, 전류의 실효치 및 위상을 계산하는 단계; (d) 상기 비교기에서, 상기 (c) 단계에서 계산된 상기 고압 계통의 전압 및 전류의 실효치 및 위상차와, 상기 (b) 단계에서 수신된 상기 상기 배전용 기기의 전압, 전류의 실효치 및 상기 역률로부터 계산된 역률을 서로 비교하여 상기 (b) 단계에서 수신된 전압, 전류 및 역률에 대한 오차 보정값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d) 단계의 수행 후, (e) 상기 비교기에서, 상기 계산된 오차 보정값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f)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비교기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오차 보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배전용 기기의 전압, 전류 및 역률의 오차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배전 기기와 단말기의 오차를 산정하여 이를 보정하여 줌으로써 고압 계통의 전압 및 전류를 매우 정밀하게 계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계측기와 비교기와의 통신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므로 안전사고를 줄이고 작업자의 인명 피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은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및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기재된 내용을 바탕으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압 계통의 전압, 전류 측정 및 오차 보정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압 계통의 전압, 전류 측정 및 오차 보정 시스템은, 계측기(100), 단말기(200), 및 비교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계측기(100)는, 22.9kV 고압 계통의 전압 및 전류를 계측하고, 계측된 상기 전압 및 전류의 순시치 또는 전압 및 전류의 실효치 및 위상을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비교기(300)로 전송한다.
상기 계측기(100)에서의 계통의 전압, 전류값의 비교기(300)로의 전송은 상기 비교기(300)에서 측정 개시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함으로써 개시된다.
또한 상기 계측기(100)에서 계측된 전압, 전류값의 순시치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경우, 상기 계측기(100)는 먼저 상기 비교기(300)로부터 시간 동기 신호를 전송받아 계측된 전압, 전류값을 동기화한다. 한편, 상기 계측기(100)는 전압, 전 류값을 동기화하지 않고 전압, 전류의 실효치와 위상을 계산하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비교기(300)로 전송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비교기(300)로부터 시간 동기 신호 수신이 불필요하다.
또한 상기 계측기(100)는 계측된 상기 계통의 전압, 전류의 순시치 또는 전압, 전류의 실효치와 위상을 기 설정된 전송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상기 비교기(300)로 전송한다. 이때, 전송 주기는 수십 분의 1초에서 수 초로 다양화 시킬 수 있다.
상기 단말기(200)는, 배전용 차단기, 개폐기, 리클로져, 감시 장비가 설치된 변압기 등과 같은 배전용 기기의 전압, 전류를 측정하고 상기 전압, 전류로부터 역률을 계산하며, 유/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측정된 전압, 전류의 실효치 및 역률을 상기 비교기(30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200)는 상기 비교기(300)로부터 상기 전압, 전류 및 역률에 대한 오차 보정값을 전송받아 이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된 전압, 전류 및 역률의 오차를 보정함으로써 배전 기기와 단말기의 오차를 개선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비교기(300)는, 상기 계측기(100)로부터 수신된 상기 고압 계통의 전압 및 전류값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상기 배전용 기기의 전압, 전류, 역률에 대한 오차 보정값을 계산한다. 계산된 상기 오차 보정값은 상기 단말기(200)로 전송된다.
상기 비교기(300) 또한 상기 계측기(100)로부터 수신되는 값에 따라 그 구성이 달라진다. 먼저, 상기 계측기(100)에서 상기 고압 계통의 전압 및 전류값의 실효치 및 위상이 전송되는 경우, 상기 비교기(300)는 상기 고압 계통의 전압 및 전류의 실효치와 상기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전압 및 전류의 실효치를 비교하여 상기 단말기(200)에서 측정된 전압 및 전류의 비오차를 계산하고, 상기 고압 계통의 전압, 전류의 위상과 상기 역률로부터 도출된 위상차를 비교하여 상기 단말기(200)에서 측정된 전압 및 전류의 위상차 오차를 계산한다. 그리고, 상기 계측기(100)에서 상기 고압 계통의 전압 및 전류의 순시치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비교기(300)는 먼저 전송된 전압 및 전류의 순시치를 이용하여 실효치 및 위상을 구하게 되며, 이후의 과정은 상기 실효치 및 위상이 전송된 경우와 동일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압 계통의 전압, 전류 측정 및 오차 보정 시스템에 있어서 계측기(100)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계측기(100)는, 계측부(110) 및 무선 통신부(120)를 포함하며, 저장부(13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계측부(110)는, 고압 계통의 전압 또는 전류를 계측하며, 상기 무선 통신부(120)는, 상기 계측부(110)에서 계측된 상기 고압 계통의 전압, 전류의 순시치 또는 상기 전압, 전류의 실효치 및 위상을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비교기(300)로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무선 통신부(120)는, 기 설정된 전송 주기에 따라 계측된 상기 값들을 주기적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130)는, 상기 계측부(110)에서 계측된 전압, 전류의 순시치 또는 상기 전압, 전류의 실효치 및 위상을 저장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압 계통의 전압, 전류 측정 및 오차 보정 시스템에 있어서 배전 기기용 단말기(200)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200)는, 측정부(210), 통신부(220) 및 오차 보정부(230)을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저장부(2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210)는, 배전용 차단기, 개폐기, 리클로져, 감시 장비가 설치된 변압기 등과 같은 배전용 기기의 전압, 전류를 측정하고 역률을 계산한다.
상기 통신부(220)는,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측정부(210)에서 측정 및 계산된 상기 배전용 기기의 전압, 전류의 실효치 및 역률을 비교기(300)로 전송하고, 상기 비교기(300)로부터 상기 전압, 전류 및 역률에 대한 오차 보정값을 전송받는다. 여기에서 상기 오차 보정값은 상기 전압, 전류의 비오차(ratio error) 및 위상차 오차를 의미한다.
상기 오차 보정부(230)는, 상기 통신부(220)를 통하여 전송받은 상기 오차 보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측정부(210)에서 측정 및 계산된 전압, 전류 및 역률을 보정한다.
상기 저장부(240)는, 상기 측정부(210)에서 측정 및 계산된 전압, 전류 및 역률값을 저장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압 계통의 전압, 전류 측정 및 오차 보정 시스템에 있어서 비교기(300)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교기(300)는, 제1통신부(310), 제2통신부(320), 및 오차 계산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통신부(310)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계측기(100)로부터 계측된 고압 계통의 전압, 전류의 순시치 또는 전압, 전류의 실효치 및 위상을 전송받아 상기 오차 계산부(330)로 전송한다.
상기 제2통신부(320)는,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단말기(200)로부터 배전용 기기의 전압, 전류의 실효치 및 역률을 전송받아 상기 오차 계산부(330)로 전송한다.
상기 오차 계산부(330)는, 상기 제1통신부(310)에서 수신된 상기 고압 계통의 전압, 전류의 순시치 또는 전압, 전류의 실효치 및 위상을 이용하여, 상기 제2통신부(320)에서 수신된 상기 배전용 기기의 전압, 전류, 역률에 대한 오차 보정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상기 오차 보정값을 상기 제2통신부(320)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압 계통의 전압, 전류 측정 및 오차 보정 시스템에 있어서 고압 계통의 전압, 전류 측정 및 오차 보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비교기(300)에서 계측기(100)로 시간 동기 신호 및 측정 개시 신호를 송신한다(S501). 다음으로, 계측기(100)에서, 상기 측정 개시 신호에 따라 상기 시간 동기 신호와 동기화된 고압 계통의 전압 및 전류를 계측하고(S502), 상기 고압 계통의 전압, 전류의 순시치 또는 전압, 전류의 실효치 및 위상을 비교기로 전 송한다(S503).
한편, 단말기(200)는 배전용 기기의 전압, 전류를 측정하고 상기 전압, 전류로부터 역률을 계산하며, 상기 측정된 전압, 전류의 실효치 및 역률을 상기 비교기(300)로 전송한다(S504).
이후, 비교기(300)에서 상기 계측기(100)로부터 수신된 상기 고압 계통의 전압, 전류의 순시치 또는 전압, 전류의 실효치 및 위상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상기 배전용 기기의 전압, 전류, 역률에 대한 오차 보정값을 계산하고(S505), 상기 계산된 오차 보정값을 단말기로 전송한다(S506).
상기 단말기(200)는, 상기 비교기(300)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오차 보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측정된 전압, 전류 및 역률의 오차를 보정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도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은 본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압 계통의 전압, 전류 측정 및 오차 보정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압 계통의 전압, 전류 측정 및 오차 보정 시스템에 있어서 계측기(100)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압 계통의 전압, 전류 측정 및 오차 보정 시스템에 있어서 배전 기기용 단말기(200)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압 계통의 전압, 전류 측정 및 오차 보정 시스템에 있어서 비교기(300)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압 계통의 전압, 전류 측정 및 오차 보정 시스템에 있어서 고압 계통의 전압, 전류 측정 및 오차 보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상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계측기 110 : 계측부
120 : 무선 통신부 130 : 저장부
200 : 단말기 210 : 측정부
220 : 통신부 230 : 오차 보정부
240 : 저장부 300 : 비교기
310 : 제1통신부 320 : 제2통신부
330 : 오차 계산부

Claims (17)

  1. 고압 계통의 전압 및 전류를 계측하고, 계측된 전압 및 전류의 실효치 및 위상을 비교기로 전송하는 계측기;
    배전용 기기의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고 측정된 전압 및 전류로부터 역률을 계산하여, 상기 측정된 전압, 전류의 실효치 및 역률을 비교기로 전송하고, 상기 비교기로부터 상기 측정된 전압, 전류 및 상기 계산된 역률에 대한 오차 보정값을 수신하여, 상기 측정된 전압, 전류와 상기 계산된 역률에 대하여 오차 보정을 행하는 단말기; 및
    상기 고압 계통의 전압 및 전류의 실효치 및 위상차와,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전압, 전류의 실효치 및 역률로부터 계산된 위상차를 서로 비교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전압, 전류 및 역률에 대한 오차 보정값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비교기;
    를 포함하는 고압 계통의 전압, 전류 측정 및 오차 보정 시스템.
  2. 고압 계통의 전압 및 전류를 계측하고, 계측된 전압 및 전류의 순시치를 비교기로 전송하는 계측기;
    배전용 기기의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고 측정된 전압 및 전류로부터 역률을 계산하여, 상기 측정된 전압, 전류의 실효치 및 상기 계산된 역률을 비교기로 전송하고, 상기 비교기로부터 상기 측정된 전압, 전류 및 상기 계산된 역률에 대한 오차 보정값을 수신하여, 상기 측정된 전압, 전류와 상기 계산된 역률에 대하여 오차 보정을 행하는 단말기; 및
    상기 고압 계통의 전압 및 전류의 순시치로부터 전압, 전류의 실효치 및 위상차를 계산하고, 상기 고압 계통의 상기 계산된 전압, 전류의 실효치 및 위상차와,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전압, 전류의 실효치 및 역률로부터 계산된 위상차를 서로 비교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측정된 전압, 전류 및 상기 역률에 대한 오차 보정값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비교기;
    를 포함하는 고압 계통의 전압, 전류 측정 및 오차 보정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기는, 상기 계산된 오차 보정값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비교기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오차 보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배전용 기기로부터 측정된 전압, 전류 및 역률에 대한 오차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계통의 전압, 전류 측정 및 오차 보정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 보정값은 상기 배전용 기기로부터 측정된 전압, 전류의 비오차 및 위상차 오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계통의 전압, 전류 측정 및 오차 보정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기는 상기 비교기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계통의 전압, 전류 측정 및 오차 보정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배전용 기기의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고, 상기 전압 및 전류로부터 역률을 계산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 및 계산된 상기 배전용 기기의 전압, 전류 및 역률을 비교기로 전송하고, 상기 비교기로부터 상기 전압, 전류 및 역률에 대한 오차 보정값을 전송받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전송받은 상기 오차 보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 및 계산된 상기 전압, 전류 및 역률을 보정하는 오차 보정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고압 계통의 배전 기기용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 기기용 단말기는,
    상기 측정 및 계산된 상기 배전용 기기의 전압, 전류 및 역률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계통의 배전 기기용 단말기.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배전용 기기의 전압 및 전류는, 상기 전압 및 전류의 실효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계통의 배전 기기용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 보정값은 상기 전압, 전류의 비오차 및 위상차 오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계통의 배전 기기용 단말기.
  14. 삭제
  15. (a) 계측기에서, 고압 계통의 전압 및 전류를 계측하고, 계측된 상기 전압 및 전류의 실효치 및 위상을 비교기로 전송하는 단계;
    (b) 단말기에서, 배전용 기기의 전압, 전류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전압 및 전류로부터 역률을 계산하며, 상기 측정된 전압, 전류의 실효치 및 계산된 역률을 상기 비교기로 전송하는 단계;
    (c) 비교기에서, 상기 (a) 단계에서 수신된 상기 고압 계통의 전압 및 전류의 실효치 및 위상차와, 상기 (b) 단계에서 수신된 상기 배전용 기기의 전압, 전류의 실효치 및 역률로부터 계산된 위상차를 서로 비교하여 상기 (b) 단계에서 수신된 전압, 전류 및 역률에 대한 오차 보정값을 계산하는 단계;
    (d) 상기 비교기에서, 상기 계산된 오차 보정값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e)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비교기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오차 보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배전용 기기의 상기 측정된 전압, 전류 및 상기 계산된 역률의 오차를 보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압 계통의 전압, 전류 측정 및 오차 보정 방법.
  16. 삭제
  17. (a) 계측기에서, 고압 계통의 전압 및 전류를 계측하고, 계측된 전압 및 전류의 순시치를 비교기로 전송하는 단계;
    (b) 단말기에서, 배전용 기기의 전압, 전류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전압 및 전류로부터 역률을 계산하며, 상기 측정된 전압, 전류의 실효치 및 계산된 역률을 상기 비교기로 전송하는 단계;
    (c) 비교기에서, 상기 (a) 단계에서 수신된 상기 고압 계통의 전압 및 전류의 순시치로부터 전압, 전류의 실효치 및 위상을 계산하는 단계;
    (d) 비교기에서, 상기 (c) 단계에서 계산된 상기 고압 계통의 전압 및 전류의 실효치 및 위상차와, 상기 (b) 단계에서 수신된 상기 배전용 기기의 전압, 전류의 실효치 및 상기 역률로부터 계산된 위상차를 서로 비교하여 상기 (b) 단계에서 수신된 전압, 전류 및 역률에 대한 오차 보정값을 계산하는 단계;
    (e) 비교기에서, 상기 계산된 오차 보정값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f) 단말기에서, 상기 비교기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오차 보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배전용 기기의 상기 측정된 전압, 전류 및 상기 계산된 역률의 오차를 보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압 계통의 전압, 전류 측정 및 오차 보정 방법.
KR1020080088638A 2008-09-09 2008-09-09 고압 계통의 전압, 전류 측정 및 오차 보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038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638A KR101038138B1 (ko) 2008-09-09 2008-09-09 고압 계통의 전압, 전류 측정 및 오차 보정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638A KR101038138B1 (ko) 2008-09-09 2008-09-09 고압 계통의 전압, 전류 측정 및 오차 보정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9931A KR20100029931A (ko) 2010-03-18
KR101038138B1 true KR101038138B1 (ko) 2011-05-31

Family

ID=42179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8638A KR101038138B1 (ko) 2008-09-09 2008-09-09 고압 계통의 전압, 전류 측정 및 오차 보정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81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098B1 (ko) * 2012-09-20 2013-09-11 한국전력공사 배전기기의 전압 및 전류의 전송 오차에 대한 자동 보정 장치 및 방법
KR101526904B1 (ko) * 2013-11-18 2015-06-16 주식회사 채움시스템 고압 계통의 자기 또는 폴리머 애자 분압 전압 진단 시스템
WO2017084510A1 (zh) * 2015-11-22 2017-05-26 李荣亮 一体式户外高压电力计量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6210A (ko) * 1996-12-28 1998-09-25 임태현 검상장치
KR19980065398U (ko) * 1998-08-20 1998-11-25 나병영 무선전파 송수신 방식에 의한 근거리 전력선 전류 원격계측장치
KR20000066983A (ko) * 1999-04-22 2000-11-15 고인석 코어없는 개방형 변류기를 이용한 전력선 전류 측정장치
KR20060038527A (ko) * 2004-10-30 2006-05-04 한국전력공사 배전계통의 전기품질 실시간 감시기능을 갖는 배전자동화단말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6210A (ko) * 1996-12-28 1998-09-25 임태현 검상장치
KR19980065398U (ko) * 1998-08-20 1998-11-25 나병영 무선전파 송수신 방식에 의한 근거리 전력선 전류 원격계측장치
KR20000066983A (ko) * 1999-04-22 2000-11-15 고인석 코어없는 개방형 변류기를 이용한 전력선 전류 측정장치
KR20060038527A (ko) * 2004-10-30 2006-05-04 한국전력공사 배전계통의 전기품질 실시간 감시기능을 갖는 배전자동화단말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9931A (ko) 2010-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12256B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e accuracy of a backup time source
US10859611B2 (en) Measuring and mitigating channel delay in remote data acquisition
US10429429B2 (en) Differential protection method, differential protection device and differential protection system
US8093885B2 (en) Residual magnetic flux determining apparatus
US20100301872A1 (en) Method for Determination of a Setting Value Which Indicates a Ground Impedance, and Measurement Device
EP2693586B1 (en) Clock synchronization for line differential protection
CN102914758A (zh) 一种基于ieee1588对时方式的电子式互感器校验装置
US8923361B2 (en) Protection control apparatus
KR101038138B1 (ko) 고압 계통의 전압, 전류 측정 및 오차 보정 시스템 및 방법
CN111133324B (zh) 用于识别电运行机构中的局部放电的方法和装置
US9680297B2 (en) Current differential relay
KR20100029932A (ko) 계기용 변압변류기 및 전력량계의 오차 측정 시스템 및방법
US10338122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a fault in an electrical network
JP6449663B2 (ja) 故障点標定方法及び故障点標定システム
US9057744B2 (en) Protective relaying device
JP6548592B2 (ja) 保護制御装置
US20230280383A1 (en) Wireless synchronized measurements in power distribution networks
JP5485344B2 (ja) 監視装置、監視システム
US9857408B2 (en) Insulation monitoring device
US20160225548A1 (en) Power switching control apparatus and closing control method
CN110703146A (zh) 励磁涌流测量仪
JP6365220B2 (ja) 保護リレーシステムおよび保護リレーシステムのサンプリング同期監視方法
KR20140106099A (ko) 송배전용 개폐기류에 적용하는 스프링 탄성변화 측정방법 및 그 장치
RU2624001C1 (ru) Интеллектуальная микропроцессор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величины технических потерь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KR20130092803A (ko) 주파수보호 기능을 가진 머징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