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7393B1 - 차량단말의 주행정보 수집기능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단말의 주행정보 수집기능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7393B1
KR101037393B1 KR1020090023856A KR20090023856A KR101037393B1 KR 101037393 B1 KR101037393 B1 KR 101037393B1 KR 1020090023856 A KR1020090023856 A KR 1020090023856A KR 20090023856 A KR20090023856 A KR 20090023856A KR 101037393 B1 KR101037393 B1 KR 101037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vehicle terminal
gps
driving information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3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5049A (ko
Inventor
이상근
Original Assignee
이나루티앤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나루티앤티(주) filed Critical 이나루티앤티(주)
Priority to KR1020090023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7393B1/ko
Publication of KR20100105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5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7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7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08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 G08G1/0112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from the vehicle, e.g. floating car data [FC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5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etermining speed or overspe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센터장치와, 기지국, 차량단말을 포함하는 교통정보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차량단말의 주행정보를 수집하는 기능을 검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시험대상 도로에서 기록된 GPS 수신정보를 저장하는 GPS 수신정보DB; 상기 GPS 수신정보를 읽어와서 상기 GPS 수신정보를 전송하는 GPS 신호를 발생시키는 GPS 신호발생기; 상기 시험대상 도로의 지도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GPS 신호에 따라 가상의 차량이 상기 지도정보에서 주행하는 것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차량주행 표시부; 차량단말을 가동시키고 상기 차량단말로부터 저장되는 주행정보를 수집하는 주행정보 수집부; 상기 GPS 수신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단말의 주행정보를 평가하는 차량단말 평가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차량단말의 주행정보 수집기능 검사장치 및 방법에 의해, 실제로 도로주행시 수집한 GPS신호를 이용하여 차량단말의 주행정보 수집기능을 검사함으로써, 도로를 직접 주행하지 않고서도 차량단말을 검사하고 그 정확성도 떨어뜨리지 않고 검사를 할 수 있다.
교통정보시스템, 기지국, 차량단말, 도로주행, 검사, 수집

Description

차량단말의 주행정보 수집기능 검사 장치 및 그 방법{A test system of inspecting collecting function of an on-board equipment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센터장치와, 기지국, 차량단말을 포함하는 교통정보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차량단말의 주행정보를 수집하는 기능을 실내에서 검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시험대상 도로에서 실제로 주행하면서 기록한 GPS 수신정보를 GPS 신호로 발생시키고, 차량단말이 발생된 GPS 신호를 수신하여 생성한 주행정보를 평가하여 검사하는 차량단말의 주행정보 수집기능 검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통정보시스템은 도시 내의 가로구간으로부터 교통정보 등을 수집하고 가공하여 배포하는 도시지역 교통정보체계를 말한다. 교통정보에 대한 운전자의 요구가 증대하면서 교통정보의 제공은 교통시설의 효율적인 운영 및 교통수요 분산 등 교통수단 및 교통체계의 효율적인 관리 및 운영뿐만 아니라 교통수요관리 측면에서도 중요하다.
교통정보서비스는 운전자에게 교통소통정보나 교통관련지식을 사전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운전을 유도한다. 즉, 교통정보서비스는 운전자에게 도로정체상황, 공사, 사고 및 통제 등의 정보를 제공하여 교통상황에 따라 우회도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교통정보서비스는 교통량 분산 효과에 따른 교통소통 증진과 최적경로 선택에 의한 여행시간 감소 및 사고 등 위험상황의 사전숙지에 따른 사고예방 등으로 직간접 손실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제공되는 교통정보는 일부 제한된 지역에 설치된 검지기, CCTV 등을 통해 수집됨으로써 분석 및 입력 등의 절차로 다소 시간이 지난 뒤 제공하고 있어 모든 시민의 교통정보 요구를 충족시켜 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교통 안전관리, 재해, 재난 등 돌발상황 관리에 활용하기에 미흡한 면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로에 대한 교통정보를 실시간 제공하는 교통정보시스템이 제시되고 있다. 상기 교통정보시스템은 차량단말 - 기지국 - 센터장치로 구성된다. 차량단말과 기지국은 무선으로 연결되어, 차량에 탑재된 차량단말이 고속으로 이동하여도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교통정보시스템에서 차량단말은 규격에 부합하는지를 검사하기 위하여 성능시험 등을 수행하여야 한다. 차량단말은 GPS 수신기가 장착되어 GPS 수신정보를 이용하여 주행정보를 수집한다. 따라서 차량단말의 주행정보 수집기능 성 능을 시험하기 위해서, 차량단말을 차량에 장착하고 차량이 실제 도로를 주행하면서 검사를 수행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검사방법은 검사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도로주행 테스트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안으로 GPS 시뮬레이션을 이용하는 기술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9-0005614호(2009.01.14.공개), "실내형 GPS수신기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이하 선행기술 1)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 1은 동체의 위치에 해당하는 좌표값을 제공해주는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하는 3차원 가상 환경에서 GPS 위성 신호를 수신하는 GPS수신기가 탑재된 상기 동체를 임의의 위치로 주행 및 이동시키는 동체 시뮬레이터와; 상기 동체 시뮬레이터로부터 획득한 동체의 위치 데이터를 유효한 좌표값으로 변환하고, 상기 위치 데이터와 동체 정보를 기반으로 부가 동체 정보를 계산하여 출력하는 동체 정보 처리부와; 상기 동체 정보 처리부에서 획득한 동체 위치 좌표값과 부가 동체 정보에 따라 동체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GPS 위성 신호를 방사하는 GPS 시뮬레이터를 포함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 1은 차량의 동체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실제 차량의 주행을 시뮬레이션하고 이 주행결과에 따른 위치좌표를 GPS 시뮬레이터를 통해 GPS 신호를 발생함으로써, 실내에서도 GPS 수신기를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1은 차량의 동체 시뮬레이터를 구성하기 위하여 많은 비용이 소모되고, 차량의 주행을 시뮬레이션 하더라도 현실의 상황과 동일하지 않는다.
또, 선행기술 1 이외에 종래의 GPS 시뮬레이터를 이용하는 기술들도 대부분 차량의 동체 궤적 정보를 가상으로 만들어 넣어주기 때문에, 상기 선행기술 1과 같이 현실 상황을 그대로 재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교통정보시스템은 교통상황과 운행환경에 따라 생성되는 주행정보가 다르기 때문에 현실 상황에서 실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 교통정보시스템에서 차량단말이 규격에 맞는가하는 것을 검사하는 검사장치는 아주 다양한 상황을 테스트할 필요는 없다. 즉, 제품 개발을 위한 테스트 장비라면 아주 다양한 상황을 모두 재현해 볼 필요가 있지만, 규격검사를 위한 장치는 전형적인 테스트 상황에서만 검사하여 통과여부를 결정하면 된다. 그러나 규격검사의 요건상 실외환경에서 테스트해야 하므로, 실외환경과 동일한 환경을 제공해주어야 한다.
요약하면, 교통정보시스템에서의 차량단말의 주행정보 수집기능을 실내에서 검사하기 위한 검사장치는 전형적인 테스트 상황에서 검사할 수 있어야 하고, 전형적인 테스트 상황은 실외에서의 환경과 동일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센터장치와, 기지국, 차량단말을 포함하는 교통정보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차량단말의 주행정보를 수집하는 기능을 실내에서 검사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시험대상 도로에서 실제로 주행하면서 기록한 GPS 수신정보를 GPS 신호로 발생시키고, 차량단말이 발생된 GPS 신호를 수신하여 생성한 주행정보를 평가하여 검사하는 차량단말의 주행정보 수집기능 검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센터장치와, 기지국, 차량단말을 포함하는 교통정보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차량단말의 주행정보를 수집하는 기능을 검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시험대상 도로에서 기록된 GPS 수신정보를 저장하는 GPS 수신정보DB; 상기 GPS 수신정보를 읽어와서 상기 GPS 수신정보를 전송하는 GPS 신호를 발생시키는 GPS 신호발생기; 상기 시험대상 도로의 지도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GPS 신호에 따라 가상의 차량이 상기 지도정보에서 주행하는 것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차량주행 표시부; 차량단말을 가동시키고 상기 차량단말로부터 저장되는 주행정보를 수집하는 주행정보 수집부; 상기 GPS 수신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단말의 주행정보를 평가하는 차량단말 평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차량단말의 주행정보 수집기능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GPS 신호발생기는, 상기 GPS 수신정보의 수신시각의 시간 흐름과 동일한 시간 흐름으로 상기 수신정보를 GPS신호로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차량단말의 주행정보 수집기능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행정보 수집부는, 기지국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기지국 장치가 상기 차량단말로부터 상기 GPS 신호에 의해 수집된 주행정보를 수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기지국 장치에 의해 수집한 주행정보를 가져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차량단말의 주행정보 수집기능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단말 평가부는 상기 차량단말이 GPS 신호로부터 주행정보를 구하는 규칙과 동일한 규칙으로 상기 GPS 수신정보로부터 주행정보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주행정보와 상기 수집된 주행정보를 비교하여 유사여부의 정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차량단말의 주행정보 수집기능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GPS 수신정보는 수신시각, 위치좌표, 차량속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차량단말의 주행정보 수집기능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행정보는 링크 또는 세그먼트 구간, 구간길이, 통과속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GPS 신호발생기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검사장치를 이용하여 차량단말의 주행정보 수집기능을 검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GPS수신장치가 장착된 차량으로 시험대상의 도로를 주행하면서 GPS 수신정보를 기록하여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검사장치는 차량단말을 가동시키고, 상기 GPS 수신정보를 읽어와서, 상기 GPS 신호발생기를 이용하여 상기 GPS 수신정보를 전송하는 GPS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c) 상기 검사장치는 상기 시험대상 도로의 지도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GPS 신호에 따라 가상의 차량이 상기 지도정보에서 주행하는 것을 디 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d) 상기 차량단말로부터 저장된 주행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e) 상기 GPS 수신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단말의 주행정보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차량단말의 주행정보 수집기능 검사방법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GPS 신호발생기는 상기 GPS 수신정보의 수신시각의 시간 흐름과 동일한 시간 흐름으로 상기 수신정보를 GPS신호로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차량단말의 주행정보 수집기능 검사방법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d1) 기지국 장치가 상기 차량단말로부터 상기 GPS 신호에 의해 수집된 주행정보를 수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d2) 상기 기지국 장치에 의해 수집된 주행정보를 가져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차량단말의 주행정보 수집기능 검사방법에 있어서, 상기 (e)단계에서, (e1) GPS 신호로부터 주행정보를 구하는 차량단말의 규칙과 동일한 규칙으로, 상기 GPS 수신정보로부터 주행정보를 계산하여 구하는 단계; (e2) 상기 계산된 주행정보와 상기 수집된 주행정보와 비교하여 유사여부의 정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단말의 주행정보 수집기능 검사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실제로 도로주행시 수집한 GPS신호를 이용하여 차량단말의 주행정보 수집기능을 검사함으로써, 도로를 직접 주행하지 않고서도 실외상황과 동일하 게 차량단말을 검사하고 그 정확성도 떨어뜨리지 않고 검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단말의 주행정보 수집기능 검사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실제로 도로주행시 수집한 GPS신호를 바로 이용함으로써, GPS 신호 발생기 이외에 별도의 추가적인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검사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교통정보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교통정보시스템은 크게 센터장치(100), 기지국(200), 차량단말(300)로 구성된다.
센터장치(100)는 차량단말(300) 또는 기지국(200)간의 실시간 통신을 통하여 차량의 위치, 속도 등 운행정보 및 상황정보를 수신하여 취합하고, 취합된 각 차량의 운행정보를 분석하여 도로의 소통정보 등을 생성한다. 센터장치(100)는 생성된 소통정보 등을 기지국(200) 또는 차량단말(300)에 전송한다. 소통정보 등은 도로의 예상통과시간 이외에도 돌발상황정보, 기상정보 등이 있다.
기지국(200)은 교차로, 도로변, CCTV지주 및 관련 시설물에 설치되어, 차량단말(300) 및 센터장치(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비이다. 기지국(200)은 차량(10)이 인터넷과 연결하기 위한 무선통신망(20)을 제공한다. 기지국(200)은 접속되는 차량단말(300)로부터 축적된 운행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운행정보를 센터장치(100)로 전송한다. 한편, 기지국(200)에는 CCTV 등 현장장치가 구비되어 현장장치에서 수집되는 정보들(예를 들면 CCTV영상 등)도 함께 센터장치(100)로 전송한다.
기지국(200)은 센터장치(100)와 인터넷(50)을 통해 연결된다. 이들 간의 통신망은 광통신기반 인터넷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고용량의 고속 통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센터장치(100)와 기지국(200) 간의 유선구간은 수요처의 설계방침에 따라 광통신 이외의 대안이 사용될 수 있다.
차량단말(On Board Equipment, 300)은 차량(10) 내에 설치되어 무선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비이다. 차량단말(300)은 무선랜을 통해 인터넷에 연결하여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차량단말(300)은 GPS(60)로부터 주기적으로 위치 및 속도 정보를 얻어, 차량(10)의 이동경로에 따른 운행정보를 축적하고 기지국(200)에 접속이 이루어질 경우 축적된 운행정보를 기지국(200)에 전송한다. 또, 차량단말(300)은 접속된 기지국(200)로부터 전송되는 소통정보 및 인근 CCTV 화면 등의 정보를 수신한다.
차량단말(300)은 IEEE 802.11a/e를 근간으로 하는 무선통신기술을 활용하여 기지국 또는 기지국(200)과 통신한다. 특히, 차량단말(300)을 탑재하는 차량(10)은 빠른 속도로 주행하므로, 차량단말(300)과 기지국(200)간의 무선통신은 이동환경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차량단말(300)은 기지국(200)과 빨리 접속하여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해야 한다.
다시 말하면, 교통정보시스템에서는 무선랜 시스템을 통해, 차량(10) 내에 설치된 차량단말(300)이 차량의 운행정보를 수집하여, 기지국(200)을 통해 센터장치(100)로 전송한다. 센터장치(100)는 각 차량(10)의 운행정보를 취합하여 소통정보 등을 만들어 각 기지국(200)로 전송하면, 차량단말(300)은 전체 교통정보를 기지국(200)을 통해 수신한다. 이를 통해, 각 차량(10)으로부터 실시간으로 교통정보가 수집되고 배분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단말(300)을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단말(300)은 무선인터페이스(310), GPS수신기(320), 제어부(330), 메모리(340), 통합커넥터(360), 스위치(370), 전원(3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추가로, 스피커(351) 및 디스플레이(3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인터페이스(310)는 기지국(200)과 교신하기 위한 것으로, IEEE 802.11a/e의 규격에 의한다. 통합커넥터(360)는 다른 단말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통 합적인 포트로서, IEEE802.3 10/100Base-T/TX, USB1.1 이상, RS-232 통신 등을 지원한다. 5V 제어신호의 입력을 위한 외부입력포트(GPI)가 2개 이상 있어야 한다.
GPS수신기(320)는 GPS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이다. 차량단말(300)은 GPS수신기(320)를 통해 차량의 주행위치 또는 주행속도 등의 자료를 얻는다.
제어장치(330)는 전체 차량단말장치를 제어하는 메인프로세서이다. 메모리(340)는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메모리(340)는 차량이 운행 중에 수집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 메모리(340)에 펌웨어가 저장되고, 제어장치(330)는 메모리(340)로부터 펌웨어를 읽어 실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52)는 교통정보를 효과적으로 표출하고 정보의 전송을 쉽게 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화면 해상도가 640ㅧ480픽셀 이상이며, 화면보다 큰 이미지를 축소하여 표시할 수 있어야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라 이용되는 지도정보의 구성요소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도정보는 노드, 링크, 정점으로 구성된다. 노드는 도로가 교차하는 교차로를 의미한다. 도 3에서 N1, N2, ..., N6을 지칭하는 원을 말한다. 노드는 경도와 위도로 그 위치가 표시되고 식별된다.
링크는 노드와 노드를 연결하는 도로, 즉, 선을 의미한다. 도 3에서 L12, L13, ..., L56 등을 지칭하는 선을 말한다. 링크는 방향성을 갖는다. 예를 들면, 노드 N1과 N2를 연결하는 링크는 N1에서 N2방향의 연결도로인 L12와 N2에서 N1방향 의 연결도로인 L21이 있을 수 있다. 만약, 링크가 한 방향으로만 운행하는 도로라면 링크는 하나일 수 있다. 노드 N3과 N5 사이에는 N3에서 N5로만 운행할 수 있는 도로만 있고, 노드 N5와 N6 사이는 운행방향에 따라 서로 도로가 다른 것임을 알 수 있다. 링크는 구간의 시작노드와 도착노드로 표시되고 식별된다.
링크 구간 중에서 중간위치를 정점(vertex)이라고 한다. 예를 들면, 링크 L12에는 V121과 V122의 정점이, 링크 L12에는 V131과 V132의 정점이 있다. 링크가 직선구간으로 전제하기 힘든 도심구간 난반사 지역에 정점 정보를 보유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지도정보를 가질 수 있다. 정점은 링크의 속성으로 리스트로 관리된다.
일반적으로 GIS(지도정보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지도정보(맵)는 용량이 상당히 큰데, 정점(vertex) 정보가 상당수를 차지한다. 보다 지도정보가 보다 자세하게 표시되기 위해서는 링크를 잘게 쪼개서 각 구간의 위치좌표를 가지고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교통정보에 이용되는 지도정보는 도로구간의 정체 등 소통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지 자세한 길안내를 위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길의 위치를 자세히 표시하기 위한 정점(vertex) 정보를 모두 가지고 있을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교통정보시스템에서는 노드-링크 정보DB의 주행 중 자동 갱신을 위해 지도정보DB를 저용량으로 축약하여 관리하도록 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DB용량 부담의 가장 큰 원인인 정점정보를 최소화하였으며, 정점정보 없이도 대다수의 많은 도로에서 링크정보를 작성할 수 있음을 전제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단말(300)의 차량 주행정보 수집방법을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단말(300)의 차량 주행정보 수집방법은, (a) 차량이 상기 지도정보의 제1 노드를 출발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310); (b) 차량이 제1 노드로부터 출발하면, 세그먼트 단위의 시간 또는 길이 간격으로 구간길이와 통과시간을 포함하는 세그먼트 주행정보를 구하여 저장하는 단계(S320); (c) 차량이 상기 지도정보의 제2 노드로 도착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330); (d) 차량이 제2 노드를 도착하면, 직전 세그먼트에서 제2 노드까지의 세그먼트 주행정보를 구하여 저장하는 단계(S340); (e) 상기 기지국에 접속하면, 저장된 세그먼트 주행정보를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S350)로 구분된다.
주행정보는 차량단말(300)에서 GPS 정보를 활용하여 작성하는 주요 항목들, 예를 들면, 구간속도, 통과시간 등을 말한다. 도 3에서, 차량이 노드 N0, N1, N3, N5, N4, N7을 거쳐 주행한다면, 링크 L01, L13, L35, L54, L47에서의 주행정보를 작성할 것이다. 링크의 주행정보는 기본적으로 구간길이와 통과시간을 포함한다. 구간길이와 통과시간을 알면 구간속도를 구할 수 있다.
차량단말(300)은 주행정보로서 링크 중간 중간의 세그먼트 정보를 작성한다. 세그먼트 정보는 링크길이가 비교적 긴 도시부 고속도로 및 고속도로 등의 정보를 제공할 때 링크단위가 아닌 세그먼트 단위로 정보제공이 가능하도록 한다.
먼저, 차량이 지도정보의 제1 노드로부터 출발하는지를 판단하여(S310), 출발하면 세그먼트 단위 간격으로 구간길이와 통행시간 등을 수집하여 저장한 다(S320).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차량이 제1 노드(또는 시점노드) N1에서 출발하여 제2 노드(또는 종점노드) N2를 향하면서, 그 사이(링크)를 세그먼트 S1, S2 등으로 나누어 정보를 수집한다.
이때 링크를 세그먼트로 나누는 기준은 세그먼트 시간단위(△t) 또는 세그먼트 거리단위(△L)에 의한다.
예를 들면, 차량단말(300)이 제1 노드를 출발한 후 거리 △L 을 주행하면 출발점 V0 에서 △L을 주행한 지점 V1 까지를 첫 번째 세그먼트 S1 로 보고 이 세그먼트의 구간길와 통행시간 등의 세그먼트 주행정보를 구하여 저장한다. 또, 주행지점 V1에서부터 다시 세그먼트 거리단위인 △L 을 주행하면 다음 두 번째 세그먼트 S2 에 대한 세그먼트 주행정보를 구하여 저장한다. 이와 같이, 세그먼트 거리단위(△L) 마다 링크를 나누어 세그먼트 주행정보를 작성한다. 도 5에서, 상기와 같이 세그먼트 거리단위(△L)에 의해 구해지는 세그먼트는 S1, S2, S3 이다.
도 5의 실시예는 세그먼트 단위를 거리단위(△L)로 하였으나, 시간단위로도 할 수 있다. 즉, 제1 노드를 출발한 후 일정한 시간 △t 마다 세그먼트로 나누어 세그먼트 주행정보를 구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차량이 지도정보의 제2 노드를 도착하는지를 판단하여(S330), 도착하면 직전 세그먼트에서 제2 노드까지의 세그먼트 주행정보를 구하여 저장한다(S340).
차량이 주행하면서 세그먼트 단위를 채우기 전에 제2 노드(또는 종점노드) N2에 도착하면 제2 노드까지의 구간을 마지막 세그먼트로 정하여 세그먼트 주행정보를 구하여 저장한다. 도 5에서, 지점 V3이 직전 세그먼트의 마지막 위치이고 차량이 제2 노드 N2에 도착하여 마지막 세그먼트 S4에 대한 주행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한다.
도 5에서의 세그먼트 S1, S2, S3은 세그먼트 거리단위(△L)로 구분되므로 동일한 거리를 갖는다. 그러나 마지막 세그먼트 S4는 직전 세그먼트 S3에서 노드 N2를 벗어나는 지점까지의 거리이므로, 세그먼트 S4의 구간길이는 △L'로서, 세그먼트 거리단위(△L)와는 다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차량이 지도정보의 노드를 출발하는지 도착하는지를 판단하는 방법을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일반적인 내비게이션 시스템(또는 지도정보시스템) 등의 지도정보(맵)는 모든 지도상의 위치, 즉, 노드와 노드 사이(또는 링크 구간) 안에서도 자세한 위치좌표(정점의 위치좌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링크 내에서도 정점의 위치좌표로 GPS좌표와의 차이를 보정(매칭)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지도정보는 정점을 상당부분 생략하였기 때문에 링크 구간 내에서 지도정보의 위치와 GPS좌표간의 매칭을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차량이 지도정보의 노드를 출발하였는지 도착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노드매칭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잘못 판단하는 경우 상당한 오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6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 노드매칭은 지 도정보 상의 노드 N1의 위치좌표와 차량의 위치좌표 M1 을 비교하여 그 거리 차이가 일정한 거리(또는 B1의 반경) 이내이면 차량이 지도상의 노드 N1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B1을 스냅(snap)이라고 한다. 상기 스냅은 GPS에 의한 차량의 위치 오차도 감안한 것이다. 즉, GPS오차에 의해 정확한 차량의 위치를 파악하지 못하더라도 일정한 스냅 범위 안에 차량이 있으면 차량이 노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노드를 진출하는 지점이란 스냅 범위(Snap Boundary)를 벗어나는 지점이고 노드를 진입하는 지점이란 스냅 범위 안으로 들어오는 지점을 말한다.
또, 일반적으로 스냅의 반경은 일정한 거리로 정해지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도 6b와 같이, 횡축 도로와 종축 도로의 도로폭의 차이가 심한 경우 스냅을 B1로 정하거나 B2로 정하는 경우, 모두 문제가 발생한다. 즉, B1로 스냅을 정하면, 차량 M1은 이미 교차로(노드)에 진입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지도상의 노드에 진입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할 것이다. 또, B2로 스냅을 정하면, 차량 M2는 이미 교차로(노드)에 진입하지 못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지도상의 노드에 진입하한 것으로 판단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냅은 2개의 스냅을 정하여 횡축 또는 종축의 거리를 모두 비교하여 판단한다. 즉, 도 6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냅영역 B3은 횡축의 차이를 비교하는 제1 스냅과 종축의 차이를 비교하는 제2 스냅으로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스냅의 구성에 의하여 스냅영역은 도 6c와 같이, 직사각형 모양이 된다.
한편, 차량이 노드를 출발 또는 도착하는 것을 판단하는 기준점은 노드(또는 교차로)를 진출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5에서 지점 V0과 V4를 의미한다. 즉, 차량의 위치가 제1 노드를 진입한 후 진출하면 차량이 제1 노드를 출발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차량의 위치가 제2 노드를 진입한 후 제2 노드를 진출하면 차량이 제2 노드에 도착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스냅을 이용한 판단은 다음과 같다.
차량 위치와 노드 위치의 횡축 차이가 노드의 제1 스냅의 값보다 크거나, 또는 차량 위치와 노드 위치의 종축 차이가 노드의 제2 스냅의 값보다 크면 상기 노드를 진출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또, 차량 위치와 노드 위치의 횡축 차이가 노드의 제1 스냅의 값보다 작고, 차량 위치와 노드 위치의 종축 차이가 노드의 제2 스냅의 값보다 작으면 상기 노드를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기준점을 차량이 진입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할 수도 있다. 즉, 차량의 위치가 이전 노드를 진출한 후 제1 노드를 진입하면 차량이 제1 노드를 출발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c)단계에서, 차량의 위치가 제1 노드를 진출한 후 제2 노드를 진입하면 차량이 제2 노드에 도착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도 5의 세그먼트 주행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을 다시 보면 다음과 같다. 노드를 진출하는 지점을 기준점(또는 세그먼트 단위 정보작성 기준점)으로 하여, △t의 시간경과 또는 △L의 거리경과 마다 세그먼트 정보를 작성한다. 즉, 링크 단위의 정보작성 및 세그먼트 단위의 정보작성은 모두 노드를 벗어나는 지점을 기준으로 작성한다.
한편, 상기 제2 스냅의 값이 정해지지 않는 경우, 상기 횡축 차이와 종축 차이를 모두 제 1 스냅의 값과 비교한다. 따라서 이 경우 스냅영역은 정사각형의 형태가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차량단말이 수집하는 주행정보의 구성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행정보 리스트는 각 주행정보 레코드들로 구성되고, 주행정보 레코드는 BOR, 개체ID, 링크/노드 정보, 다수의 세그먼트 주행정보로 구성된다.
BOR(Begin Of Record)은 이번 주행정보 레코드가 마지막인지 여부, 세그먼트 정보 개수, 링크 매칭(링크의 시점노드와 종점노드가 매칭됨)이 완료된 정보인지를 나타낸다.
개체ID는 링크 매칭이 완료된 정보이면 링크ID, 그렇지 않으면 노드ID를 입력한다. 시점노드에서 출발하여 종점노드를 도착하면 링크ID를, 시점노드를 출발하였으나 종점노드에 도착한 경우가 아니면 노드ID가 입력된다.
도 7b와 같이, 링크/노드 정보는 개체ID에 입력된 링크 또는 노드에 대한 정보이다. 즉, 노드에서 출발하는 시각, 총 통과시간 (완성된 링크의 경우 총 통과시간, 완성되지 않은 경우는 마지막 세그먼트까지의 총 통과시간), 평균속도 등에 대한 정보를 입력한다.
세그먼트 주행정보는 도 7c에서 보는 바와 같다. 즉, 세그먼트 구간길이, 구 간통행시간, 구간 평균속도, GPS속도 표준편차, 세그먼트 작성지점의 위치 등에 대한 정보를 입력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단말의 주행정보 수집기능을 검사하기 위한 전체 검사 시스템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단말을 검사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은 검사장치(30), GPS수신정보DB(40), 차량단말(300)로 구성된다. 추가적으로, 기지국 장치(200)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GPS수신정보DB(40)는 검사장치(30)와 별도의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구현할 수도 있고, 검사장치(30)에 내장한 저장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것은 설계사항이므로 구현시의 상황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GPS수신정보DB(40)는 시험대상 도로(15)에서 기록된 GPS 수신정보를 저장한다.
도 8의 상단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험차량(10)은 GPS수신장치(11)를 장착하고 시험대상 도로(15) 위를 실제로 주행한다. GPS수신장치(11)는 GPS위성(60)으로부터 GPS신호를 모두 수신하여 기록한다. 기록하는 GPS신호는 수신시각, 차량(10)의 위치좌표, 차량(10) 속도 등을 포함한다.
시험차량(10)은 시험대상인 도로 구간을 처음부터 끝까지 주행하고, GPS수신장치(11)는 그 구간에서 수신한 GPS신호를 모두 기록 저장한다.
GPS수신장치(11)에서 기록된 GPS수신정보는 GPS수신정보DB(40)로 이관된다. 다수의 시험차량(10)들이 상기와 같이 다양한 다수의 시험도로를 주행하면서 GPS수신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시험차량(10)이 시간대를 달리하여 동일한 시험도로를 주행하여 GPS수신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록된 GPS수신정보들은 모두 GPS수신정보DB(40)에 이관되어 저장된다.
검사장치(30), GPS수신정보DB(40), 차량단말(300)들은 실내 시험실(70) 내부에 설치된다. 실내 시험실(70)은 외부 전파신호를 차단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 전파신호가 들어오면 시험시 잘못된 결과가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검사장치(30)는 상기 GPS수신정보DB(40)로부터 GPS신호를 읽어와서 GPS신호 발생기(31)를 통해 GPS신호를 발생시킨다. 발생되는 GPS신호는 GPS위성(60)에서 방사되는 신호를 시뮬레이션한 신호이다.
이때, 검사장치(30)는 GPS신호 발생기(31)가 GPS수신정보의 수신시각의 시간 흐름과 동일한 시간 흐름으로 상기 수신정보를 GPS신호로 발생시키도록 제어한다. GPS수신정보는 수신시각에 따라 각 GPS신호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GPS수신정보가 3시부터 4시간까지 수신된 것이고 시험을 시작하는 시각이 10시이면, 10시부터 11시까지 GPS신호를 발생시키고, 각 GPS신호는 수신시각의 상대적인 시각에 의해 해당 시각에 발생된다.
한편, 검사장치(30)는 GPS수신정보의 위치좌표를 읽어와서 그 위치좌표를 따라 주행하는 가상의 차량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검사장치(30)는 지도정보를 미리 저장하여 지도정보에 따른 지도맵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지도맵 상에서 상기 가상의 차량을 표시한다.
따라서 검사자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차량이 어느 곳을 주행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가상의 차량이 표시되는 위치도 GPS수신정보의 시간 흐름에 따라 표시한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표시하면, 실제 시험차량(10)이 시험대상 도로(15)를 주행하는 상황을 그대로 재현할 수 있다.
차량단말(300)은 검사대상이 되는 단말이다. 차량단말(300)은 GPS신호발생기(31)와 같은 실내 시험실(70)에서 검사된다. 차량단말(300)은 GPS수신기(320)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GPS신호발생기(31)에서 발생되는 GPS신호를 수신한다.
차량단말(300)은 GPS신호를 수신하면, 앞서 도 4 내지 도 6에서 본 바와 같이, 주행정보를 계산하여 저장한다.
검사장치(30)는 차량단말(300)에서 생성한 주행정보를 가져와서 주행정보가 잘 작성된 것인지를 판단한다. 판단의 기준은 GPS수신정보를 이용한다. 차량단말(300)이 주행정보를 추출하는 방식으로 GPS수신정보에서 주행정보를 계산하여, 계산된 주행정보와 차량단말에서 생성한 주행정보를 비교한다. 2개의 주행정보의 유사여부의 정도에 따라 평가한다.
한편, 차량단말(300)에서 생성한 주행정보를 가져오는 방법은 직접 차량단말(300)의 메모리를 읽어오는 방법과 기지국 장치(200)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후자는 기지국 장치(200)를 가동시켜 차량단말(300)이 접속하고 주행정보를 업로드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전자의 방법은 단지 차량단말(300)의 주행정보 수집기능만 검사할 수 있는 반면, 후자는 차량단말(300)의 업로드 기능도 검사할 수 있다.
특히, 차량단말(300)이 규격이 부합하는지를 검사하는 경우, 전형적인 시험도로를 적어도 하나이상 적용하여 유사도가 기준치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각 차량단말(300)마다 모두 다른 시험도로나 그 복잡도가 각기 다르게 적용된다면 규격시험으로서는 부적합하다. 또, 단 하나의 시험도로만을 적용한다면 규격시험의 정확성에서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전형적인 시험도로를 테스트 풀(pool)로 형성하여 그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적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단말의 주행정보 수집기능 검사 장치의 구성을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검사장치(30)는 GPS 수신정보DB(40), GPS 신호발생기(31), 차량주행 표시부(32), 주행정보 수집부(33), 차량단말 평가부(34)로 구성된다.
GPS 수신정보DB(40)는 시험대상 도로에서 기록된 GPS 수신정보를 저장한다.
GPS 신호발생기(31)는 상기 GPS 수신정보를 읽어와서 상기 GPS 수신정보를 전송하는 GPS 신호를 발생시킨다.
차량주행 표시부(32)는 상기 시험대상 도로의 지도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GPS 신호에 따라 가상의 차량이 상기 지도정보에서 주행하는 것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앞서 본 바와 같이, 차량주행 표시부(32)는 GPS수신정보를 읽어와서 수신시각을 참조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GPS 위치좌표에 해당하는 위치에 가상의 차량을 위치시킨다. 차량주행 표시부(32)는 시험대상 도로의 지도정보를 가지고 있다. GPS위치좌표에 해당하는 위치가 중심이 되도록 지도맵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그 지도맵 상에 가상의 차량을 위치시킨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가상의 차량이 위치되므로 가상의 차량이 지도맵 상을 이동하는 것으로 보인다.
검사자는 이를 통해 현재 차량단말(300)이 어느 곳을 주행하면서 주행정보를 수집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주행정보 수집부(33)는 차량단말(300)을 가동시키고 상기 차량단말로부터 저장되는 주행정보를 수집한다. 특히, 주행정보 수집부(33)는 기지국 장치(200)와 연결되어, 상기 기지국 장치(200)가 상기 차량단말로부터 상기 GPS 신호에 의해 수집된 주행정보를 수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기지국 장치에 의해 수집한 주행정보를 가져오도록 할 수 있다.
주행정보 수집부(33)는 차량단말(300)을 가동시킨다. 차량단말(300)이 가동되면 GPS신호발생기(31)로부터 방사되는 GPS신호를 수신하여 주행정보를 생성한다. GPS신호발생기(31)가 시험도로를 주행하는 처음부터 종료지점까지에 해당하는 모든 GPS신호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전송하여 완료하면, 주행정보 수집부(33)는 차량단말(300)에 접속하여 저장된 주행정보를 가져온다.
다른 실시예로서, 기지국 장치(200)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차량단말(300)이 모든 주행정보를 생성하면, 주행정보 수집부(33)는 기지국 장치(200)를 가동시 킨다. 기지국 장치(200)가 가동되면, 기지국 장치(200)는 차량단말(300)과 접속하여 연결한다. 차량단말(300)은 기지국 장치(200)에 연결되면 자동으로 저장되었던 주행정보를 기지국 장치(200)로 업로드한다. 업로드가 완료되면, 주행정보 수집부(33)는 기지국 장치(200)에 접속하여 주행정보를 가져온다.
차량단말 평가부(34)는 상기 GPS 수신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단말(300)의 주행정보를 평가한다. 구체적으로, 차량단말 평가부(34)는 상기 차량단말이 GPS 신호로부터 주행정보를 구하는 규칙과 동일한 규칙으로 상기 GPS 수신정보로부터 주행정보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주행정보와 상기 수집된 주행정보를 비교하여 유사여부의 정도를 판단한다.
차량단말(300)에 대한 평가기준을 사전에 정하고, 유사여부의 정도가 이 평가기준을 넘으면 검사를 통과하고 평가기준을 넘지 않으면 불합격 처리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단말의 주행정보 수집기능 검사 방법을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검사방법은, (a) GPS수신장치(10)가 장착된 차량으로 시험대상의 도로를 주행하면서 GPS 수신정보를 기록하여 저장하는 단계(S810); (b) 검사장치(30)는 차량단말(300)을 가동시키고, 상기 GPS 수신정보를 읽어와서, 상기 GPS 신호발생기를 이용하여 상기 GPS 수신정보를 전송하는 GPS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S820); (c) 상기 검사장치(30)는 상기 시험대상 도로의 지도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GPS 신호에 따라 가상의 차량이 상기 지도정보에서 주행하는 것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S830); (d) 차량단말(300)로부터 저장된 주행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840); (e) 상기 GPS 수신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단말(300)의 주행정보를 평가하는 단계(S850)로 구분된다.
특히, 상기 (b)단계에서, GPS 신호발생기는 상기 GPS 수신정보의 수신시각의 시간 흐름과 동일한 시간 흐름으로 상기 수신정보를 GPS신호로 발생시킨다.
또, 상기 (d)단계에서, (d1) 기지국 장치가 상기 차량단말로부터 상기 GPS 신호에 의해 수집된 주행정보를 수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d2) 상기 기지국 장치에 의해 수집된 주행정보를 가져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상기 (e)단계에서, (e1) GPS 신호로부터 주행정보를 구하는 차량단말의 규칙과 동일한 규칙으로, 상기 GPS 수신정보로부터 주행정보를 계산하여 구하는 단계; (e2) 상기 계산된 주행정보와 상기 수집된 주행정보와 비교하여 유사여부의 정도를 판단한다.
상기 차량단말의 주행정보 수집기능 검사방법에 대한 설명 중 미흡한 부분은 앞서 설명한 차량단말의 주행정보 수집기능 검사장치에 대한 설명을 참고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단말의 주행정보 수집기능 검사 장치 및 방법을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정보를 수집하는 차량단말을 검사하는 검사장치를 개발할 수 있다. 특히, 실내에서도 실외와 동일한 환경하에서 차량단말의 주행정보 수집기능을 검사하는 장비를 개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정보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단말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이용되는 지도정보의 구성요소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단말의 차량 주행정보 수집방법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주행정보를 수집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차량이 지도정보의 노드를 출발하는지 도착하는지를 판단하는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차량단말이 수집하는 주행정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단말의 주행정보 수집기능 검사 장치 및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검사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단말의 주행정보 수집기능 검사 장치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단말의 주행정보 수집기능 검사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차량 11 : GPS수신장치
15 : 도로 20 : 무선통신망(기지국의 통신영역)
30 : 검사장치 31 : GPS신호 발생기
32 : 차량주행 표시부 33 : 주행정보 수집부
34 : 차량단말 평가부 40 : GPS수신정보 DB
50 : 인터넷 60 : GPS위성
120 : 인증서버 200 : 기지국
300 : 차량단말 310 : 무선인터페이스
311 : 안테나 320 : GPS수신기
330 : 제어부 340 : 메모리
351 : 스피커 352 : 디스플레이
360 : 통합커넥터 370 : 스위치
380 : 전원

Claims (10)

  1. 센터장치와, 기지국, 차량단말을 포함하는 교통정보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차량단말의 주행정보를 수집하는 기능을 검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시험대상 도로에서 기록된 GPS 수신정보를 저장하는 GPS 수신정보DB;
    상기 GPS 수신정보를 읽어와서 상기 GPS 수신정보를 전송하는 GPS 신호를 발생시키는 GPS 신호발생기;
    상기 시험대상 도로의 지도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GPS 신호에 따라 가상의 차량이 상기 지도정보에서 주행하는 것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차량주행 표시부;
    차량단말을 가동시키고 상기 차량단말로부터 저장되는 주행정보를 수집하는 주행정보 수집부;
    상기 GPS 수신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단말의 주행정보를 평가하는 차량단말 평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단말의 주행정보 수집기능 검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GPS 신호발생기는,
    상기 GPS 수신정보의 수신시각의 시간 흐름과 동일한 시간 흐름으로 상기 수신정보를 GPS신호로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단말의 주행정보 수집기능 검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정보 수집부는,
    기지국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기지국 장치가 상기 차량단말로부터 상기 GPS 신호에 의해 수집된 주행정보를 수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기지국 장치에 의해 수집한 주행정보를 가져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단말의 주행정보 수집기능 검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단말 평가부는
    상기 차량단말이 GPS 신호로부터 주행정보를 구하는 규칙과 동일한 규칙으로 상기 GPS 수신정보로부터 주행정보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주행정보와 상기 수집된 주행정보를 비교하여 유사여부의 정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단말의 주행정보 수집기능 검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GPS 수신정보는 수신시각, 위치좌표, 차량속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단말의 주행정보 수집기능 검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정보는 링크 또는 세그먼트 구간, 구간길이, 통과속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단말의 주행정보 수집기능 검사장치.
  7. GPS 신호발생기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검사장치를 이용하여 차량단말의 주행정보 수집기능을 검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GPS수신장치가 장착된 차량이 시험대상의 도로를 주행하면서 GPS 수신정보를 기록하여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검사장치는 차량단말을 가동시키고, 상기 GPS 수신정보를 읽어와서, 상기 GPS 신호발생기를 이용하여 상기 GPS 수신정보를 전송하는 GPS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c) 상기 검사장치는 상기 시험대상 도로의 지도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GPS 신호에 따라 가상의 차량이 상기 지도정보에서 주행하는 것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d) 상기 차량단말로부터 저장된 주행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e) 상기 GPS 수신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단말의 주행정보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단말의 주행정보 수집기능 검사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GPS 신호발생기는 상기 GPS 수신정보의 수신시각의 시간 흐름과 동일한 시간 흐름으로 상기 수신정보를 GPS신호로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단말의 주행정보 수집기능 검사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d1) 기지국 장치가 상기 차량단말로부터 상기 GPS 신호에 의해 수집된 주행정보를 수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d2) 상기 기지국 장치에 의해 수집된 주행정보를 가져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단말의 주행정보 수집기능 검사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에서,
    (e1) GPS 신호로부터 주행정보를 구하는 차량단말의 규칙과 동일한 규칙으로, 상기 GPS 수신정보로부터 주행정보를 계산하여 구하는 단계;
    (e2) 상기 계산된 주행정보와 상기 수집된 주행정보와 비교하여 유사여부의 정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단말의 주행정보 수집기능 검사방법.
KR1020090023856A 2009-03-20 2009-03-20 차량단말의 주행정보 수집기능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KR101037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856A KR101037393B1 (ko) 2009-03-20 2009-03-20 차량단말의 주행정보 수집기능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856A KR101037393B1 (ko) 2009-03-20 2009-03-20 차량단말의 주행정보 수집기능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5049A KR20100105049A (ko) 2010-09-29
KR101037393B1 true KR101037393B1 (ko) 2011-05-26

Family

ID=43009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3856A KR101037393B1 (ko) 2009-03-20 2009-03-20 차량단말의 주행정보 수집기능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73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222B1 (ko) * 2015-12-18 2017-03-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 조사데이터의 품질 평가 장치 및 방법
WO2019117614A1 (ko) * 2017-12-15 2019-06-20 주식회사 웨이티즈 V2x 적용 자율협력도로와 커넥티드카 시험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7423A (ja) 2002-04-17 2003-10-31 Minolta Co Ltd シミュレーター、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4163424A (ja) 2002-10-23 2004-06-10 Siemens Ag Gpsシミュレーションシナリオを用いて、所定の道程に沿った現実の走行実験をシミュレーションするためにgpsシミュレーションシナリオを生成する方法及びgpsシミュレーションシナリオを用いて、所定の道程に沿った現実の走行実験をシミュレーションするために、gpsシミュレーションシナリオを生成する方法を実施する装置
JP2004333353A (ja) 2003-05-09 2004-11-25 Aisin Aw Co Ltd ナビ試験システム及びナビ試験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7423A (ja) 2002-04-17 2003-10-31 Minolta Co Ltd シミュレーター、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4163424A (ja) 2002-10-23 2004-06-10 Siemens Ag Gpsシミュレーションシナリオを用いて、所定の道程に沿った現実の走行実験をシミュレーションするためにgpsシミュレーションシナリオを生成する方法及びgpsシミュレーションシナリオを用いて、所定の道程に沿った現実の走行実験をシミュレーションするために、gpsシミュレーションシナリオを生成する方法を実施する装置
JP2004333353A (ja) 2003-05-09 2004-11-25 Aisin Aw Co Ltd ナビ試験システム及びナビ試験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5049A (ko) 201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51125B9 (zh) 通过车辆和服务器数据库进行两步对象数据处理以生成、更新和传送精确道路特性数据库的系统和方法
US2020013247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cting and verifying route deviations
CN107850672B (zh) 用于精确车辆定位的系统和方法
KR102086081B1 (ko) 다변측량을 이용한 디바이스의 위치 확인
EP3136128B1 (en) Trajectory matching using peripheral signal
EP3673407A1 (en) Automatic occlusion detection in road network data
US937731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reating digital street network database
Soteropoulos et al. Automated drivability: Toward an assessment of the spatial deployment of level 4 automated vehicles
WO2015051718A1 (zh) 一种动态轨迹导航方法及云平台
CN111656135A (zh) 基于高清地图的定位优化
CN114286925A (zh) 用于识别潜在通信障碍的系统和方法
US20200182969A1 (en) Automatic detection of overhead obstructions
CN110940347B (zh) 一种辅助车辆导航方法和系统
US20160187144A1 (en) Selecting Feature Geometries for Localization of a Device
US11237007B2 (en) Dangerous lane strands
KR20170117040A (ko) 디바이스의 위치 확인을 위한 기하학적 지문 감식
KR20140145824A (ko) 사용자 단말의 맵매칭 방법
CN110208739A (zh) 辅助车辆定位的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30066354A (ko) 사용자 단말의 맵매칭 방법 및 장치
CN112437869A (zh) 行驶车道的走向的确定
CN111693056A (zh) 用于维护和更新自修复的高清晰度地图的小地图
CN109074758A (zh) 用于在车辆中取决于行驶情况地播放地图图示的方法
KR101043981B1 (ko) 세그먼트 단위에 의한 차량단말의 차량 주행정보 수집방법 및 그 차량단말과 교통정보시스템
Rogers Creating and evaluating highly accurate maps with probe vehicles
JP2010216955A (ja) 車両位置提示方法、及び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