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9222B1 - 도로 조사데이터의 품질 평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도로 조사데이터의 품질 평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9222B1
KR101709222B1 KR1020150181578A KR20150181578A KR101709222B1 KR 101709222 B1 KR101709222 B1 KR 101709222B1 KR 1020150181578 A KR1020150181578 A KR 1020150181578A KR 20150181578 A KR20150181578 A KR 20150181578A KR 101709222 B1 KR101709222 B1 KR 101709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urvey
evaluation
vehic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1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록
윤천주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81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92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9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9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1Devices or auxiliary means for setting-out or checking the configuration of new surfacing, e.g. templates, screed or reference line supports; Applications of apparatus for measuring, indicating, or recording the surface configuration of existing surfacing, e.g. profilograph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2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e.g. determining profi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3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roughness or irregularity of surfa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3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7/00Tracing profiles
    • G01C7/02Tracing profiles of land surfa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5Quality analysis or management

Abstract

도로 조사데이터의 품질 평가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조사차량을 이용하여 수집한 조사데이터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데이터 평가장치에 있어서, 평가기준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평가기준수신부와 상기 조사데이터 및 상기 조사차량의 주행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조사데이터 및 상기 평가기준 데이터와 관련 있는 주행데이터를 동기화하여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와 상기 주행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조사차량이 상기 평가기준 데이터를 만족시키며 주행하였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주행데이터와 동기화되어 저장된 조사데이터의 품질을 평가하는 데이터평가부 및 상기 데이터평가부가 상기 조사차량이 상기 평가기준 데이터를 만족시키지 않으며 주행하였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조사차량이 상기 평가기준 데이터를 만족시키지 않으며 주행한 시점의 상기 조사차량의 위치를 저장하는 위치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평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로 조사데이터의 품질 평가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Assessing Quality of Road Investigation Data}
본 실시예는 도로조사데이터의 품질을 평가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도로의 기하구조(곡선반경, 종단 경사 등) 및 도로의 포장상태(균열율, 소성, 변형 등) 등의 데이터를 조사하는 데 있어, 일반적으로 다양한 센서를 탑재한 조사차량을 이용한다. 조사차량이 도로를 주행하면서 탑재된 센서를 이용하여 조사 목적에 부합하는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조사하여 수집한다.
도로조사데이터의 품질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종래에는 조사차량에 탑재된 센서의 정확도만으로 평가하였다. 즉, 도로조사데이터를 수집하는 데 사용된 센서의 정확도만을 평가하여, 도로조사데이터가 유효한지 또는 정확한지를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도로조사데이터의 품질은 조사차량에 탑재된 센서 자체의 측정 오차 외에도 조사차량의 주행 특성 또는 주행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로의 1차로의 편경사를 조사하는 상황에서 조사차량이 도로의 1차로와 2차로를 넘나들며 편경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면, 아무리 정확한 센서를 이용하여 도로조사데이터를 취득하였다 하더라도 취득한 도로조사데이터의 품질은 신뢰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다른 예로 수집 센서(예, 회전식 레이저)의 특성상 60km/hour의 속도로 조사(예를 들어, 편차 10%)하여 동일 간격(예를 들어, 기준 간격 10m)의 데이터를 수집하여야 하는 목적의 조사에서 조사차량의 속도의 편차가 기준치 이상으로 주행하였을 경우 기준 간격 이상으로 데이터간 간격이 발생하여 수집된 데이터의 분석에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이 경우, 기존에는 수집 데이터 간격을 확인하고 각 센서의 데이터를 평가하기 위해서 수집된 전 구간의 데이터를 평가하기 때문에 시간적·비용적 소모가 많았다. 즉, 조사 목적에 부합하는 조사 방식·기준으로(예, 도로 조사 차량 주행 특징 중 한정 차로 주행) 수집되는 데이터이어야만, 각 센서의 수집 데이터 평가를 통해 신뢰성을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도로조사데이터의 품질을 평가함에 있어, 조사차량의 주행 특성 또는 주행 상태 등의 조사차량의 주행데이터를 반영하여 도로조사데이터의 품질을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조사차량이 조사한 도로조사데이터의 품질을 평가함에 있어, 조사차량의 주행 특성 및 주행 상태 등을 고려하여 도로조사데이터의 품질을 평가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조사차량을 이용하여 수집한 조사데이터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데이터 평가장치에 있어서, 평가기준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평가기준수신부와 상기 조사데이터 및 상기 조사차량의 주행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조사데이터 및 상기 평가기준 데이터와 관련 있는 주행데이터를 동기화하여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와 상기 주행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조사차량이 상기 평가기준 데이터를 만족시키며 주행하였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주행데이터와 동기화되어 저장된 조사데이터의 품질을 평가하는 데이터평가부 및 상기 데이터평가부가 상기 조사차량이 상기 평가기준 데이터를 만족시키지 않으며 주행하였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조사차량이 상기 평가기준 데이터를 만족시키지 않으며 주행한 시점의 상기 조사차량의 위치를 저장하는 위치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평가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조사차량을 이용하여 수집한 조사데이터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데이터 평가방법에 있어서, 평가기준 데이터, 상기 조사데이터 및 상기 조사차량의 주행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과정과 상기 조사데이터 및 상기 평가기준 데이터와 관련 있는 주행데이터를 동기화하여 저장하는 저장과정과 상기 조사차량의 주행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차량이 상기 평가기준 데이터를 만족시키며 주행하였는지를 판단하는 판단과정과 상기 판단 과정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조사차량의 주행데이터와 동기화되어 저장된 조사데이터의 품질을 평가하는 평가과정 및 상기 판단과정에서 상기 조사차량이 상기 평가기준 데이터를 만족시키지 않으며 주행하였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조사차량이 상기 평가기준 데이터를 만족시키지 않으며 주행한 시점의 상기 조사차량의 위치를 저장하는 위치저장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평가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조사차량의 주행 특성 또는 주행 상태를 고려하여 도로조사데이터의 품질을 평가하기 때문에, 보다 신뢰성 있는 도로조사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조사차량이 요구되는 주행 기준 또는 평가 기준을 만족시키지 않으며 주행한 경우, 주행 기준 또는 평가 기준을 벗어나 주행한 위치를 저장함으로써, 추후 주행 기준 또는 평가 기준을 벗어나 주행한 위치에 대하여 재조사가 필요한 경우, 도로의 재조사가 필요한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도로 조사데이터 품질 평가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평가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조사데이터 품질 평가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도로조사데이터 품질 평가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조사데이터 품질 평가 시스템은 조사데이터 수집부(110), 주행데이터 수집부(120), 데이터 평가장치(130) 및 운용자단말기(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사데이터 수집부(110)는 조사차량 내에 구비되며, 다양한 센서를 구비하여 조사의 목적에 맞는 조사데이터를 수집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도로에 경사가 있는지 여부를 조사하는 경우, 조사데이터 수집부(110)는 자이로 센서 또는 경사(틸트, Tilt) 센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센서를 이용하여 도로의 경사도를 측정한다. 조사데이터 수집부(110)는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수집한 조사데이터를 데이터 평가장치(130)로 전송한다.
주행데이터 수집부(120)는 조사차량 내에 구비되며, 차량의 주행데이터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주행데이터 수집부(120)는 차량의 온보드 진단(OBD; On Board Diagnostics) 시스템에 연결되어, 온보드 진단 시스템으로부터 차량의 주행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온보드 진단 시스템이란 엔진제어부인 ECU(Engine Control Unit, 125)로부터 차량 내부에 탑재된 각각의 모듈 또는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자가 진단 시스템이다. 주행데이터 수집부(120)는 온보드 진단 시스템으로부터 차량의 주행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차량의 주행데이터는 차량의 감·가속 정보, 감·가속 페달 가동 유무, 차로 변경 여부, 차량의 회전 여부, 차량의 속도 정보 또는 차량의 자세 정보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주행데이터 수집부(120)는 전술한 차량의 주행데이터를 측정하며, 이를 데이터 평가장치(130)로 전송한다. 데이터 평가장치(130)는 조사데이터 수집부(110)가 수집한 조사데이터의 품질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 주행데이터 수집부(120)는 유선 커넥터 등을 이용하여 온보드 진단 시스템으로부터 차량 진단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다. 예컨대, 이더넷(Ethernet),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IEEE 1394, 직렬통신(serial communication) 및 병렬 통신(parallel communication)과 같은 유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밖에 적외선 통신(Infrared Radiation), 블루투스(Bluetooth), 홈 RF(Radio Frequency) 및 와이파이 무선 랜(Wireless LAN)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온보드 진단 시스템은 자동차 산업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최근에 생산되는 차량은 충격센서, 온도센서, 압력센서, 가속센서, 타이어압 센서, 기후센서 등과 같은 여러 센서들로부터 여러 가지 계측과 제어를 위한 센서 정보를 수신한다. 이러한 센서들은 ECU(125)에 의하여 제어된다. 이러한 ECU(125)는 원래 엔진의 점화시기와 연료분사, 가변 밸브 타이밍, 공회전, 한계 값 설정 등 엔진의 핵심 기능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이었으나 차량과 컴퓨터 성능의 발전과 함께 자동변속기 제어를 비롯해 구동계통, 제공계통, 조향 계통 등 차량의 모든 부분들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온보드 진단 시스템은 센서 정보 이외에 ECU(125)로부터 주행거리, RPM, 속도, 연비, 배터리전압, 냉각수교환, 공회전 시간 등의 주행 정보를 획득하여 감지할 수 있다.
주행데이터 수집부(120)는 센서를 이용해 차량의 주행 경과나 주행 상태를 측정하여 차량의 주행데이터를 수집한다. 주행데이터 수집부(120)는 GPS 정보를 수신하는 모듈을 포함하며, 온보드 진단 시스템을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데이터를 측정함과 함께 현재 차량의 위치를 함께 측정할 수 있다.
데이터 평가장치(130)는 조사데이터 수집부(110)와 주행데이터 수집부(120)로부터 각각 조사데이터, 주행데이터 및 조사차량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기 입력된 평가 기준을 기준으로 조사차량이 평가 기준을 만족시키며 주행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조사데이터의 품질을 평가하는 역할을 한다. 데이터 평가장치(130)는 조사차량이 평가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주행한 것으로 판단하여 조사데이터의 품질이 기준치 이하라고 평가한 경우, 주행한 시점의 조사차량의 위치도 함께 저장한다. 여기서, 기 입력된 평가 기준은 조사차량이 조사 목적에 부합하도록 주행하였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으로써, 데이터 평가장치(130)의 운용자로부터 도로조사 전에 미리 입력받는다.
데이터 평가장치(130)는 내부의 데이터 통신부를 이용하여, 전술한 과정을 통해 평가한 조사데이터의 품질 평가결과를 운용자단말기(140)로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평가장치(130)는 조사데이터의 품질 평가결과를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방식으로 운용자단말기(14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방식은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RF(Radio Frequency)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초 광대역(UWB, Ultra Wide Band) 통신, Zigbee,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무선랜(WLAN, 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고속하향패킷접속(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통신일 수 있다.
데이터 평가장치(130)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조사차량의 내부에 구비된 장치일 수 있으나, 조사차량 내에 배치된 별도의 장치일 수 있다. 조사차량과 별도의 장치인 경우, 데이터 평가장치(130)는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태블릿 PC(Tablet PC), 휴대용 개인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랩톱(Laptop) 등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평가장치(130)는 데이터 평가장치(130) 내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또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평가장치(130)가 스마트폰인 경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킴으로써 데이터 평가를 실행하고, 결과를 출력하며,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데이터 평가장치(13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운용자단말기(140)는 데이터 평가장치(130)로부터 조사데이터의 품질 평가결과를 수신한다. 데이터 평가장치(130)의 운용자는 운용자단말기(140)를 이용하여 조사데이터의 품질 평가결과를 실시간으로 수신함에 따라, 조사데이터의 품질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운용자단말기(140) 역시 데이터 평가장치(130)와 마찬가지로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태블릿 PC(Tablet PC), 휴대용 개인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랩톱(Laptop) 등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조사데이터 수집부(110)와 주행데이터 수집부(120)가 이동통신 단말기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조사데이터 수집부(110)와 주행데이터 수집부(120)의 역할을 하는 기기이면 어떠한 장치도 무관하다. 또한 도 1에서는 조사데이터 수집부(110)와 주행데이터 수집부(120)가 조사차량과 별개의 구성인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차량 내부의 구성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평가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평가장치(130)는 평가기준수신부(210), 데이터저장부(220), 데이터평가부(230), 위치저장부(240) 및 결과출력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평가기준수신부(210)는 데이터 평가장치(130)의 운용자로부터 조사 목적을 반영할 수 있는 평가 기준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한다. 데이터저장부(220)는 주행데이터 수집부(120)가 측정한 차량의 주행데이터 중 어떠한 데이터에 주목하여야 하는지를 수신한 평가 기준에 입각하여 판단할 수 있으며, 데이터평가부(230)는 평가 기준에 따라 조사데이터의 품질을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가기준수신부(210)가 수신한 조사의 목적이 특정 도로의 1차로의 경사도를 조사하기 위함인 경우, 주행데이터 수집부(120)가 측정한 차량의 주행데이터 중 차량의 차로 변경 여부가 관심 데이터에 해당하는 반면, 차량의 감·가속 정보, 감·가속 페달 가동 유무 등은 관심 데이터에 해당하지 않는다. 평가기준수신부(210)는 데이터 평가장치(130)의 운용자로부터 평가 기준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데이터저장부(220)와 데이터평가부(230)로 전달한다.
데이터저장부(220)는 조사데이터 수집부(110)와 주행데이터 수집부(120)로부터 각각 조사데이터와 주행데이터를 수신하며, 평가기준수신부(210)로부터 수신한 평가 기준에 따라 조사데이터와 주행데이터를 동기화하여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데이터저장부(220)가 조사데이터와 주행데이터를 동기화하여 저장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데이터평가부(230)가 조사데이터의 품질을 평가함에 있어 직접적으로 조사데이터의 품질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주행데이터를 이용하여 조사데이터의 품질을 평가하기 때문에, 데이터평가부(230)가 주행데이터를 이용하여 조사데이터의 품질을 평가할 수 있도록 평가기준수신부(210)는 주행데이터와 조사데이터를 동기화하여 저장한다. 평가기준수신부(210)는 조사데이터 수집부(110)와 주행데이터 수집부(120)로부터 수신한 조사데이터와 주행데이터를 저장하며, 저장함에 있어 평가기준수신부(210)로부터 수신한 평가 기준과 관련도 있는 주행데이터를 조사데이터와 동기화하여 저장한다. 예를 들어, 조사 목적이 특정 도로의 1차로의 경사도를 조사하기 위함인 경우, 조사데이터 수집부(110)는 자이로 센서 또는 경사 센서를 이용하여 도로의 경사도를 측정하는 한편, 주행데이터 수집부(120)는 온보드 진단 시스템을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데이터를 측정한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이 경우, 평가 기준이 차량의 차로 변경 유무이기 때문에, 데이터저장부(220)는 각각의 측정부(110, 12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단순히 저장하지 않고, 조사데이터, 즉 도로의 경사도에 관한 정보를 차량의 주행데이터 중 평가 기준과 관련도 있는 차량의 차로 변경 여부에 관한 정보와 동기화하여 저장한다.
또한 데이터저장부(220)는 주행데이터 수집부(120)로부터 현재 조사차량의 위치를 수신하여 조사데이터 및 주행데이터와 함께 동기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저장부(220)는 조사데이터 및 주행데이터와 함께 조사차량의 위치도 동기화하여 저장함에 따라, 데이터평가부(230)가 주행데이터를 이용하여 조사차량이 평가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주행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위치저장부(240)가 조사차량의 현재 위치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데이터평가부(230)는 조사차량이 조사 목적에 부합하는 평가 기준을 만족하며 주행하였는지를 판단하여, 주행데이터와 동기화된 조사데이터의 품질을 평가한다. 데이터평가부(230)는 조사데이터와 동기화되어 데이터저장부(220)에 저장된 주행데이터를 수신하며, 주행데이터를 토대로 조사차량이 평가기준수신부(210)로부터 평가 기준을 만족하며 주행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평가 기준이 차량의 차로 변경 유무인 경우, 데이터평가부(230)는 데이터저장부(220)에 조사데이터에 동기화되어 저장된 주행데이터, 즉 차량의 차로 변경 여부를 토대로 조사차량이 조사대상 도로의 1차선에서 차로를 변경하며 주행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이와 같이 데이터평가부(230)는 주행데이터를 토대로 조사차량이 평가 기준을 만족하며 주행하였는지를 판단하고, 판단한 결과에 따라 주행데이터와 동기화되어 저장된 조사데이터의 품질을 평가한다. 전술한 예에서 조사 목적은 도로의 1차로의 경사도를 조사하는 것이기 때문에, 조사데이터가 1차로 이외의 경사에 관한 데이터라면, 이는 무의미한 데이터가 된다. 따라서 데이터평가부(230)는 주행데이터를 토대로 조사차량이 조사대상 도로의 1차선이 아닌 다른 차선으로 주행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주행데이터와 동기화된 조사데이터, 즉 도로의 경사에 관한 데이터는 품질이 기준치 이하라고 평가할 수 있다. 한편, 조사차량이 평가 기준을 만족하며 주행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데이터평가부(230)는 주행데이터와 동기화된 조사데이터의 품질이 기준치 이상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위치저장부(240)는 데이터평가부(230)가 조사데이터의 품질을 기준치 이하로 평가하는 경우, 평가 시점에서 데이터저장부(220)에 조사데이터 및 주행데이터와 동기화되어 저장된 조사차량의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 위치저장부(240)는 조사차량의 주행이 평가 기준을 만족하지 않았던 지점의 위치를 저장함으로써, 추후 재조사가 필요한 지점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는 위치저장부(240)는 GPS 모듈을 구비하여, 실시간으로 조사차량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위치저장부(240)는 실시간으로 조사차량의 위치를 파악하며, 조사데이터의 품질이 기준치 이하인 시점에서의 조사차량의 위치를 저장할 수 있다.
결과출력부(250)는 데이터평가부(230)의 데이터 평가 결과를 외부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조사차량이 평가 기준을 벗어나 주행하고 있는 것으로 데이터평가부(230)가 판단하는 경우, 결과출력부(250)는 이 사실을 외부로 출력함으로써 조사차량의 운전자 또는 동승자 등에게 알린다. 결과출력부(250)는 음향 모듈 또는 광 모듈을 구비하여, 데이터평가부(230)가 조사차량이 평가 기준을 벗어나 주행을 하고 있다고 판단 시, 음향 신호 또는 광 신호로 이 사실을 출력한다. 조사차량의 운전자 또는 동승자는 결과출력부(250)가 출력하는 음향 신호 또는 광신호로부터 조사차량을 평가 기준을 벗어나게 주행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결과출력부(250)는 서로 다른 음향 신호 또는 광 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평가부(230)의 데이터 평가 결과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사차량이 평가 기준을 만족시키며 주행하고 있는 경우, 결과출력부(250)는 녹색의 광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조사차량이 평가 기준을 벗어나 주행하고 있는 경우, 결과출력부(250)는 적색의 광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결과출력부(250)는 데이터 평가장치(13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데이터의 평가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평가장치(130)가 스마트 폰인 경우, 스마트 폰의 화면으로 데이터의 평가 결과를 출력함으로써 조사차량의 운전자 또는 동승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데이터통신부(260)는 무선 통신모듈을 구비하며,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운용자단말기(140)로 조사차량의 위치 또는 데이터의 평가 결과를 전송한다. 데이터통신부(260)는 데이터평가부(230)로부터 데이터의 평가 결과를 수신하며, 위치저장부(240)로부터 데이터의 평가 결과가 기준치 이하인 시점에서의 조사차량의 위치를 수신한다. 데이터통신부(260)는 수신한 조사차량의 위치 또는 데이터의 평가 결과를 운용자단말기(140)로 무선통신 망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도 2에 도시된 데이터 평가장치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는 장치 내부의 각각의 모듈을 연결하는 통신 경로에 연결되어 상호 간에 유기적으로 동작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 또는 신호선을 이용하여 통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조사데이터 품질 평가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데이터 평가장치(130)는 평가 기준, 조사데이터, 주행데이터 및 차량의 위치를 수신하고, 동기화하여 저장한다(S310). 데이터 평가장치(130)는 평가기준수신부(210)를 이용하여 평가 기준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저장부(220)로 제공하며, 데이터저장부(220)는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하기 위한 주행데이터를 조사데이터와 동기화하여 저장한다. 또한 데이터 평가장치(130)는 주행데이터를 조사데이터와 동기화하여 저장하며, 주행데이터 수집부(120)로부터 수신한 조사차량의 위치도 함께 동기화하여 저장한다.
데이터평가부(230)는 주행데이터를 토대로 조사차량이 평가 기준을 만족시키며 주행하였는지를 판단한다(S320). 데이터평가부(230)는 평가기준수신부(210)로부터 수신한 평가 기준에 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행데이터를 토대로 조사차량이 평가 기준을 만족시키며 주행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주행데이터를 토대로 조사차량이 평가 기준을 벗어나 주행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데이터평가부(230)는 주행데이터와 동기화되어 저장된 조사데이터의 품질을 기준치 이하로 평가한다(S330). 데이터 평가장치(130)가 주행데이터를 토대로 조사차량이 평가 기준을 벗어나 주행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조사데이터는 평가 기준을 만족시키지 않기 때문에 관심 데이터에 해당하지 않는다. 따라서 데이터평가부(230)는 주행데이터와 동기화되어 저장된 조사데이터의 품질을 기준치 이하로 평가한다.
위치저장부(240)는 주행데이터와 동기화되어 저장된 조사데이터의 품질을 기준치 이하로 평가하는 시점에서의 조사차량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며, 결과출력부(250)는 평가 결과를 출력한다(S340). 위치저장부(240)는 조사데이터의 품질을 기준치 이하로 평가하는 시점에서 데이터저장부(220)에 조사데이터 및 주행데이터와 동기화되어 저장된 조사차량의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 위치저장부(240)는 조사차량의 주행이 평가 기준을 만족하지 않았던 지점의 위치를 저장함으로써, 추후 재조사가 필요한 지점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데이터 평가장치(130)의 결과출력부(250)는 조사데이터의 품질의 평가 결과를 출력한다.
주행데이터를 토대로 조사차량이 평가 기준을 만족시키며 주행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데이터 평가장치(130)는 주행데이터와 동기화되어 저장된 조사데이터의 품질을 기준치 이상으로 평가하며 이를 출력한다(S350).
데이터 평가장치(130)는 데이터의 평가결과 또는 조사차량의 위치정보를 운용자단말기(140)로 전송한다(S360). 데이터 평가장치(130)의 데이터통신부(260) 는 데이터평가부(230)로부터 데이터의 평가 결과를 수신하며, 위치저장부(240)로부터 데이터의 평가 결과가 기준치 이하인 시점에서의 조사차량의 위치를 수신한다. 데이터통신부(260)는 수신한 조사차량의 위치 또는 데이터의 평가 결과를 운용자단말기(140)로 무선통신 망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도 3에서는 과정 S310 내지 과정 S360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3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과정 S310 내지 과정 S360 중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3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S320을 먼저 수행하고, S310을 수행해도 무방하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과정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즉,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조사데이터 수집부 120: 주행데이터 수집부
130: 데이터 평가장치 140: 운용자단말기
210: 평가기준수신부 220: 데이터저장부
230: 데이터평가부 240: 위치저장부
250: 결과출력부 260: 데이터통신부

Claims (12)

  1. 조사차량을 이용하여 수집한 조사데이터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데이터 평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사차량이 조사 목적에 부합하도록 주행하였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평가기준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평가기준수신부;
    상기 조사데이터 및 상기 조사차량의 주행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조사데이터 및 상기 평가기준 데이터와 관련 있는 주행데이터를 동기화하여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
    상기 주행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조사차량이 상기 평가기준 데이터를 만족시키며 주행하였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주행데이터와 동기화되어 저장된 조사데이터의 품질을 평가하는 데이터평가부; 및
    상기 데이터평가부가 상기 조사차량이 상기 평가기준 데이터를 만족시키지 않으며 주행하였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조사차량이 상기 평가기준 데이터를 만족시키지 않으며 주행한 시점의 상기 조사차량의 위치를 저장하는 위치저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평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저장부는,
    상기 주행데이터를 온보드 진단(OBD; On-Board Diagnostics)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평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저장부는,
    GPS 모듈을 구비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조사차량의 위치를 파악하며, 상기 조사차량이 상기 평가기준 데이터를 만족시키지 않으며 주행한 시점의 상기 조사차량의 위치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평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평가부가 평가한 조사데이터의 품질의 평가 결과를 외부로 출력하는 결과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평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출력부는,
    상기 데이터평가부가 평가한 조사데이터의 품질의 평가 결과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결과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평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데이터의 품질의 평가 결과 또는 상기 평가기준 데이터를 만족시키지 않으며 주행한 시점의 상기 조사차량의 위치를 수신하여, 무선 통신을 이용해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평가장치.
  7. 조사차량을 이용하여 수집한 조사데이터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데이터 평가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사차량이 조사 목적에 부합하도록 주행하였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평가기준 데이터, 상기 조사데이터 및 상기 조사차량의 주행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과정;
    상기 조사데이터 및 상기 평가기준 데이터와 관련 있는 주행데이터를 동기화하여 저장하는 저장과정;
    상기 조사차량의 주행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조사차량이 상기 평가기준 데이터를 만족시키며 주행하였는지를 판단하는 판단과정;
    상기 판단 과정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조사차량의 주행데이터와 동기화되어 저장된 조사데이터의 품질을 평가하는 평가과정; 및
    상기 판단과정에서 상기 조사차량이 상기 평가기준 데이터를 만족시키지 않으며 주행하였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조사차량이 상기 평가기준 데이터를 만족시키지 않으며 주행한 시점의 상기 조사차량의 위치를 저장하는 위치저장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평가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과정은,
    상기 조사차량의 주행데이터를 온보드 진단(OBD; On-Board Diagnostics) 시스템으로부터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평가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저장과정은,
    GPS 모듈을 구비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조사차량의 위치를 파악하며, 상기 조사차량이 상기 평가기준 데이터를 만족시키지 않으며 주행한 시점의 상기 조사차량의 위치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평가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과정에서 평가한 조사데이터의 품질의 평가 결과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평가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과정은,
    상기 평가 과정에서 평가한 조사데이터의 품질의 평가 결과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결과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평가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데이터의 품질의 평가 결과 또는 상기 평가기준 데이터를 만족시키지 않으며 주행한 시점의 상기 조사차량의 위치를 수신하여, 무선 통신을 이용해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평가방법.
KR1020150181578A 2015-12-18 2015-12-18 도로 조사데이터의 품질 평가 장치 및 방법 KR101709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578A KR101709222B1 (ko) 2015-12-18 2015-12-18 도로 조사데이터의 품질 평가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578A KR101709222B1 (ko) 2015-12-18 2015-12-18 도로 조사데이터의 품질 평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9222B1 true KR101709222B1 (ko) 2017-03-08

Family

ID=58404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1578A KR101709222B1 (ko) 2015-12-18 2015-12-18 도로 조사데이터의 품질 평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922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3994B1 (ko) * 2017-03-31 2018-02-01 주식회사 엘비씨소프트 고위험군 운전자 운행행태 분석시스템
KR20180131152A (ko) * 2017-05-31 2018-12-10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도로지도 구축을 위한 도로 혼잡 위치 판별 및 재조사 경로 생성 방법
CN110388958A (zh) * 2018-04-17 2019-10-29 铃木株式会社 路面环境信息收集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5614A (ko) * 2007-07-09 2009-01-14 자동차부품연구원 실내형 gps수신기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105049A (ko) * 2009-03-20 2010-09-29 이나루티앤티(주) 차량단말의 주행정보 수집기능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26223A (ko) * 2009-09-07 2011-03-15 자동차부품연구원 실시간 주행 차량 시험 및 분석 시스템
KR101206064B1 (ko) * 2012-07-13 2012-11-28 주식회사 허즈앤티 차량의 주행 상황을 필터링한 노면 평탄성 측정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5614A (ko) * 2007-07-09 2009-01-14 자동차부품연구원 실내형 gps수신기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105049A (ko) * 2009-03-20 2010-09-29 이나루티앤티(주) 차량단말의 주행정보 수집기능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26223A (ko) * 2009-09-07 2011-03-15 자동차부품연구원 실시간 주행 차량 시험 및 분석 시스템
KR101206064B1 (ko) * 2012-07-13 2012-11-28 주식회사 허즈앤티 차량의 주행 상황을 필터링한 노면 평탄성 측정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3994B1 (ko) * 2017-03-31 2018-02-01 주식회사 엘비씨소프트 고위험군 운전자 운행행태 분석시스템
KR20180131152A (ko) * 2017-05-31 2018-12-10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도로지도 구축을 위한 도로 혼잡 위치 판별 및 재조사 경로 생성 방법
KR102384429B1 (ko) * 2017-05-31 2022-04-07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도로지도 구축을 위한 도로 혼잡 위치 판별 및 재조사 경로 생성 방법
CN110388958A (zh) * 2018-04-17 2019-10-29 铃木株式会社 路面环境信息收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7127B2 (en) VIN based accelerometer threshold
CN101796375B (zh) 通过特征地点对车辆位置的校正
US20200410789A1 (en) Recording device, record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140309905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nding and receiving messages between an electronic control unit of a vehicle and an external device
KR101709222B1 (ko) 도로 조사데이터의 품질 평가 장치 및 방법
US20140329544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formation of parking lot, and parking lo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US10685556B2 (en)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inspection
US20220262172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Tampering in a Vehicle
US20180190043A1 (en) Mileage Tracking Provisioning
CN103914889B (zh) 一种对车辆速度的采集行为进行异常检测的系统及方法
Ekler et al. Social driving in connected car environment
CN114379570A (zh) 车辆数据操纵和机械故障的自动检测
CN113011852A (zh) 车辆保养提醒方法、装置、车载设备及存储介质
EP3547058B1 (en) Diagnosis device and diagnosis method
JP2019040378A (ja)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走行道路判定方法、走行道路判定装置、車載装置およびデータ構造
KR101026212B1 (ko) 차량의 화물 환경 지표 획득 서버에서의 차량의 화물 환경 지표 획득 방법, 차량의 화물 환경 지표 획득 서버, 및 화물 환경 지표 정보가 표시가능한 차량
EP3782142A1 (en) Methods and control arrangements for diagnosing short-range wireless transmission functionality of vehicles
CN110660217B (zh) 用于检测信息安全的方法及装置
Romero et al. Engine data collection and development of a pilot driving cycle for Pereira city by using low cost diagnostic tools
KR101745144B1 (ko) 센서의 활용정보 구축 장치 및 그 방법
US20150235482A1 (en) Method for providing data associated with a vehicle
US20230042482A1 (en) Server,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EP3425607A1 (en) Mobile body management device, mobile body management method and storage medium
KR20190128862A (ko) 협대역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차량 사고 분석 시스템 및 차량 사고 분석 방법
US1197126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and evaluating fuel consumptions of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