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6937B1 - 블라인드의 승강 및 개폐조절이 가능한 멀티-블라인드 장치 - Google Patents
블라인드의 승강 및 개폐조절이 가능한 멀티-블라인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36937B1 KR101036937B1 KR1020100008651A KR20100008651A KR101036937B1 KR 101036937 B1 KR101036937 B1 KR 101036937B1 KR 1020100008651 A KR1020100008651 A KR 1020100008651A KR 20100008651 A KR20100008651 A KR 20100008651A KR 101036937 B1 KR101036937 B1 KR 1010369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slide
- blind
- double
- wind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유닛 및 슬라이드유닛을 구동시키는 슬라이드 구동유닛을 통해 블라인드의 승하강시 원하는 위치에서 하나의 블라인드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블라인드의 개폐를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는 블라인드의 승강 및 개폐조절이 가능한 멀티-블라인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의 승강 및 개폐조절이 가능한 멀티-블라인드 장치는 개방부와 커버부가 반복되는 복수의 이중-블라인드; 상기 복수의 이중-블라인드 중에서 하나의 이중-블라인드가 결합되고 권취되는 제1권취부; 상기 복수의 이중-블라인드 중에서 다른 하나의 이중-블라인드가 결합되고 권취되는 제2권취부; 상기 제1권취부 및 제2권취부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권취부를 회전시키는 조작력 전달유닛; 상기 제1권취부나 제2권취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중-블라인드 중 하나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유닛; 및 상기 슬라이드유닛을 구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드 구동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블라인드의 승강 및 개폐조절이 가능한 멀티-블라인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슬라이드유닛 및 슬라이드유닛을 구동시키는 슬라이드 구동유닛을 통해 블라인드의 승하강시 원하는 위치에서 하나의 블라인드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블라인드의 개폐를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는 블라인드의 승강 및 개폐조절이 가능한 멀티-블라인드 장치를 제공한다.
종래의 블라인드 장치는 볼 체인으로 구조작력을 전달하게 되어 있어서, 구조작력의 전달이 정확하지가 않고, 제품의 조립 과정에서 볼 체인을 두개의 클러치 부분에 끼우는 작업이 어렵고 시간이 많이 걸린다. 또한 종래의 멀티 블라인드 장치는 설계의 특성상 두 개의 권취봉이 항상 같이 회전하게 되어 있어서 블라인드의 세로 높이를 조절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특히, 볼 체인 방식을 이용한 멀티 블라인드 장치에서는 두 개의 권취봉 중에서 하나만 독립적으로 회전시켜 블라인드를 풀거나 감아서 블라인드의 세로 높이를 조절하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이중-블라인드의 승강 조작뿐만 아니라, 슬라이드유닛 및 슬라이드유닛을 구동시키는 슬라이드 구동유닛을 통해 블라인드의 승하강시 원하는 위치에서 하나의 블라인드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블라인드의 개폐를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는 블라인드의 승강 및 개폐조절이 가능한 멀티-블라인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의 승강 및 개폐조절이 가능한 멀티-블라인드 장치는 개방부와 커버부가 반복되는 복수의 이중-블라인드; 상기 복수의 이중-블라인드 중에서 하나의 이중-블라인드가 결합되고 권취되는 제1권취부; 상기 복수의 이중-블라인드 중에서 다른 하나의 이중-블라인드가 결합되고 권취되는 제2권취부; 상기 제1권취부 및 제2권취부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권취부를 회전시키는 조작력 전달유닛; 상기 제1권취부나 제2권취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중-블라인드 중 하나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유닛; 및 상기 슬라이드유닛을 구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드 구동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이중-블라인드의 개방부 및 커버부는 상기 제1 및 제2권취부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반복 교차되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유닛은 제1권취부 또는 제2권취부의 외주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드부; 및 상기 슬라이드부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부와 함께 슬라이딩되는 복수의 이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드 구동유닛은 상기 이동부가 슬라이딩되도록 일측이 복수의 이동부 중 하나에 결합되고 타측이 복수의 이동부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는 슬라이드 조정줄; 및 상기 슬라이드 조정줄이 원활히 작동하도록 상기 조작력 전달유닛에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 조정줄의 일측과 타측이 연결되는 복수의 풀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구동유닛은 상기 이동부가 슬라이딩되도록 일측이 복수의 이동부 중 하나에 결합되고 타측이 복수의 이동부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는 슬라이드 조정줄; 상기 슬라이드 조정줄이 원활히 작동하도록 상기 조작력 전달유닛에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 조정줄의 일측과 타측이 연결되는 복수의 풀리부; 및 상기 풀리부에 연결된 슬라이드 조정줄이 연결되는 개폐조작부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조작부는 상기 슬라이드 조정줄이 연결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에 연결되는 조작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는 풀리 형상으로서 상기 외주에 슬라이드 조정줄이 연결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에는 기어치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에 기어치가 형성된 일측에 대응하는 상기 조작부재의 일측에 상기 회전부재의 기어치에 치합하는 기어치가 형성되고, 상기 조작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하여 상기 회전부재에 연결된 슬라이드 조정줄이 조정됨으로써 상기 이동부가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 조작력 전달유닛은 제1권취부에 연결되는 제1기어부; 제2권취부에 연결되는 제2기어부; 상기 제1기어부와 제2기어부를 연결하는 연동부; 및 상기 제1기어부 또는 제2기어부에 연결되는 승강 조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연동부는 제1기어부 또는 제2기어부에 연결되는 연동기어; 상기 연동기어에 연결됨과 동시에 제1기어부 또는 제2기어부에 연결되는 이동기어; 및 상기 이동기어가 연동기어에 연결됨과 동시에 제1기어부 또는 제2기어부와 치합 및 이탈되도록 이동시키는 결합조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조정부는 일단이 상기 이동기어에 연결되고, 타단은 일자 또는 십자 볼트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조정부의 타단에 형성된 볼트부재를 조절하는 경우에 그 조절 정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동부는 조작력 전달유닛에서 탈착가능하게 구성되어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연동부는 상기 제1기어부 및 제2기어부에 각각 결합되는 베어링을 더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이중-블라인드의 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하단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하단바는 다른 하나의 하단바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의 승강 및 개폐조절이 가능한 멀티-블라인드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이중-블라인드의 승강 조작뿐만 아니라, 슬라이드유닛 및 슬라이드유닛을 구동시키는 슬라이드 구동유닛을 통해 블라인드의 승하강시 원하는 위치에서 하나의 블라인드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블라인드의 개폐를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의 승강 및 개폐조절이 가능한 멀티-블라인드 장치가 오픈 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의 승강 및 개폐조절이 가능한 멀티-블라인드 장치가 닫힌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의 승강 및 개폐조절이 가능한 멀티-블라인드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의 승강 및 개폐조절이 가능한 멀티-블라인드 장치에 있어서 일측에 장착되는 조작력 전달유닛 중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의 승강 및 개폐조절이 가능한 멀티-블라인드 장치에 있어서 타측에 장착되는 조작력 전달유닛 중 다른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의 승강 및 개폐조절이 가능한 멀티-블라인드 장치에 있어서 타측에 장착되는 조작력 전달유닛 중 도 5에 도시된 구성과 다른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개폐조작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의 (a)는 도 6에 도시된 개폐조작부 중 회전부재의 측면도이고, (b)는 조작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의 승강 및 개폐조절이 가능한 멀티-블라인드 장치가 닫힌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의 승강 및 개폐조절이 가능한 멀티-블라인드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의 승강 및 개폐조절이 가능한 멀티-블라인드 장치에 있어서 일측에 장착되는 조작력 전달유닛 중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의 승강 및 개폐조절이 가능한 멀티-블라인드 장치에 있어서 타측에 장착되는 조작력 전달유닛 중 다른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의 승강 및 개폐조절이 가능한 멀티-블라인드 장치에 있어서 타측에 장착되는 조작력 전달유닛 중 도 5에 도시된 구성과 다른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개폐조작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의 (a)는 도 6에 도시된 개폐조작부 중 회전부재의 측면도이고, (b)는 조작부재의 측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의 승강 및 개폐조절이 가능한 멀티-블라인드 장치가 오픈 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의 승강 및 개폐조절이 가능한 멀티-블라인드 장치가 닫힌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의 승강 및 개폐조절이 가능한 멀티-블라인드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의 승강 및 개폐조절이 가능한 멀티-블라인드 장치(100)는 복수의 이중-블라인드(110), 권취부(120), 조작력 전달유닛(130), 슬라이드유닛(140) 및 슬라이드 구동유닛(15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중-블라인드(110)는 다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본 실시예서는 두개의 이중-블라인드(111, 112)로 이루어지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에서, 상기 "이중-블라인드(dual-shade)"란 용어는 단일의 블라인드에 개방되는 부분(개방부)과 커버되는 부분(커버부)이 반복되게 구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개방부와 커버부가 반복되게 구성되는 하나의 이중-블라인드(111) 및 다른 하나의 이중-블라인드(112)는 제1권취부(121) 및 제2권취부(122)의 위치차이에 의해 정면에서 바라볼 때, 도 2의 상세도인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포개지도록 위치된다. 또한, 상기 이중-블라인드(110)의 개방부 및 커버부는 제1권취부(121) 및 제2권취부(122)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반복 교차되어 형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권취부(120)는 제1권취부(121) 및 제2권취부(122)로 구성된다. 상기 제1권취부(121)에는 복수의 이중-블라인드(110) 중에서 하나의 이중-블라인드(이하, "제1블라인드"(111)라 함)의 일단이 결합되며 권취되고, 상기 제2권취부(122)에는 복수의 이중-블라인드(110) 중에서 다른 하나의 이중-블라인드(이하, "제2블라인드"(112)라 함)의 일단이 결합되며 권취된다. 여기에서, 상기 권취부는 본 실시예에서 봉 형상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블라인드를 결합하고 권취할 수 있으면 어느 형상(예를 들면, 파이프 형상, 사각형 형상 등)이든지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의 승강 및 개폐조절이 가능한 멀티-블라인드 장치(100)는 두 블라인드(111, 112)를 상하이동시키면서 선택적으로 그 중 하나의 블라인드를 횡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빛 등을 차단시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두개의 이중-블라인드가 승강(상하이동)하면서 그 중 어느 하나가 횡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구성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특별한 변동이 없는 한 설명의 편의상 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이중-블라인드를 제1권취부에 결합되는 이중-블라인드(제1블라인드(111))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조작력 전달유닛(130)은 두개의 바디 및 사용자가 조작시에 조작력을 전달시키기 위한 부품 등으로 구성되며, 하나의 바디는 권취부(120)의 일측에 다른 하나의 바디는 권취부(120)의 타측에 결합된다. 즉, 상기 조작력 전달유닛(130)에는 제1권취부(121) 및 제2권취부(122)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조작력 전달유닛(130)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권취부(121, 122)를 회전시켜, 상기 이중-블라인드(111, 112)를 승강(상하 이동)시킨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유닛(140)은 제1권취부(121)나 제2권취부(122)에 구비되어 상기 이중-블라인드(111, 112) 중 하나를 수직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이러한 구성의 일례로, 본 실시예서는 상기 슬라이드유닛(140)이 제1권취부(121)에 구비되어 상기 제1블라인드(111)를 횡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상기 슬라이드유닛(140)은 제1권취부(121) 또는 제2권취부(122)의 외주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드부(141) 및 상기 슬라이드부(141)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부(141)와 함께 슬라이딩되는 복수의 이동부(14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서는 상기 슬라이드부(141)가 제1권취부(121)의 외주에 결합된 형태를 나타냈다. 이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부(141)의 외주에 제1블라인드(111)가 권취됨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부(141)의 원주둘레는 제2권취부(122)의 원주둘레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142)는 권취부(120)의 상측에 구비된 하우징(160)에 안내되어 후술할 슬라이드 조정줄(151)에 의해 슬라이딩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권취부(121)에 결합된 제1블라인드(111)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이동부(142)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하여, 상기 이동부(142)에는 그 측면에 복수의 휠(143)이 구비되거나, 또는 이동될 수 있는 다른 부재가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이동부(142)의 측면에 구비된 휠(143) 대신에 돌기부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상기 하우징(160)의 내측에 홈부를 형성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라이드유닛(즉, 이동부(142))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드 구동유닛(150)을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의 승강 및 개폐조절이 가능한 멀티-블라인드 장치에 있어서 일측에 장착되는 조작력 전달유닛 중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의 승강 및 개폐조절이 가능한 멀티-블라인드 장치에 있어서 타측에 장착되는 조작력 전달유닛 중 다른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 구동유닛(150)은 슬라이드 조정줄(151) 및 복수의 풀리부(15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드 조정줄(151)은 이동부(142)를 슬라이딩시키는 줄로 이루어진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다른 부재(예를 들면, 벨트, 체인 등)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부(142)가 슬라이딩되도록 슬라이드 조정줄(151)의 일측이 복수의 이동부(142) 중 하나에 결합되고 타측이 복수의 이동부(142)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조정줄(151)이 원활히 작동하도록 상기 복수의 풀리부(152)가 상기 조작력 전달유닛(13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 조정줄(151)의 일측과 타측이 각각의 풀리부(152)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을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조작력 전달유닛(130)의 일측의 바디(도 3의 우측 바디 및 도 5 참조)에 두개의 풀리부(152)를 형성하고, 상기 풀리부(152)에 슬라이드 조정줄(151)이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하나의 풀리부(152)에 연결된 슬라이드 조정줄(151) 중 하나가 두개의 이동부(142) 중 하나(도 3에서 우측의 이동부)에 결합되고, 다른 풀리부(152)에 연결된 다른 슬라이드 조정줄(151)은 조작력 전달유닛(130)의 타측 바디(도 3의 좌측 바디)에 형성된 풀리부(152)(도 4 참조)에 연결되면서 다른 이동부(도 3의 좌측 이동부)에 결합된다(이러한 연결관계에 대해서는 대략 도 3에 점선으로 표시함).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슬라이드 조정줄(151)을 잡아당기면 상기 이동부(142)가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이동부(142)와 결합된 슬라이딩부(141)도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 경우, 상기 슬라이딩부(141)에 제1블라인드(111)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블라인드(111)는 횡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이러한 이중-블라인드의 슬라이딩과 상하이동을 함께 설명하면, 후술할 승강 조정부(승강 조정줄)(137)를 잡아당기면, 이에 의해 복수의 이중-블라인드(111, 112)가 승강(상하이동)되고, 상기 이중-블라인드(111, 112)가 상하이동되는 중에 원하는 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드 조정줄(151)을 잡아당기면 상기 제1블라인드(111)가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이중-블라인드의 개방부 및 커버부가 서로 포개져 선택적인 개폐가 가능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블라인드의 상하이동에 대해서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작력 전달유닛(130)은 제1권취부(121)에 연결되는 제1기어부(131), 제2권취부(122)에 연결되는 제2기어부(132), 상기 제1기어부(131)와 제2기어부(132)를 연결하는 연동부(138), 및 상기 제1기어부(131) 또는 제2기어부(132)에 연결되는 승강 조정부(137)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승강 조정부(137)는 이중-블라인드(111, 112)를 권취시키는 승강 조정줄(137)로 이루어진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다른 부재(예를 들면, 벨트, 체인 등)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동부(138)는 제1기어부(131) 또는 제2기어부(132)에 연결되는 연동기어(133), 상기 연동기어(133)에 연결됨과 동시에 제1기어부(131) 또는 제2기어부(132)에 연결되는 이동기어(134), 및 상기 이동기어(134)가 연동기어(133)에 연결됨과 동시에 제1기어부(131) 또는 제2기어부(132)와 치합 및 이탈되도록 이동시키는 결합조정부(13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기어(134)와 제1기어부(131)가 치합 및 이탈되는 것을 나타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조정부(135)는 일단이 이동기어(134)에 연결되고, 타단은 일자 또는 십자 볼트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볼트부재의 조절에 의해 결합 조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연동부(138)는 조작력 전달유닛(130)에서 탈착가능하게 구성되어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동기어(133), 이동기어(134), 및 결합조정부(135)가 도 4의 하측에 위치되게 도시하였지만, 상기 연동기어(133), 이동기어(134), 및 결합조정부(135)는 반대의 위치, 즉 도 4의 상측에 위치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결합조정부(135)의 위치를 변경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블라인드 장치는 상기 복수의 이중-블라인드의 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하단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하단바는 다른 하나의 하단바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대한 작동을 설명하면, 사용자가 승강 조정줄(137)을 당길 경우, 제2기어부(132)는 회전되고, 상기 제2기어부(132)의 회전에 연동되어 연동기어(133)가 회전되고, 상기 연동기어(133)의 회전에 연동되어 이동기어(134)가 회전되고, 상기 이동기어(134)의 회전에 연동되어 제2기어부(131)가 회전된다. 따라서, 제1권취부(121) 및 제2권취부(122)는 회전되고, 이에 결합된 각각의 이중-블라인드(111, 112)가 상하이동된다.
또한, 상기 결합조정부(135)를 드라이버 등의 조작으로 외부로 이동시킬 경우, 상기 이동기어(134)는 연동기어(133) 및 제1기어부(131)와의 결합이 해제되고, 이 경우에 상기 승강 조정줄(137)을 당길 경우, 제2권취부(122)에 감긴 제2블라인드(112)만이 상하이동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두개의 블라인드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거나 멀티-블라인드 장치의 설치 및 시공시에 블라인드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조정줄(151)을 당길 경우, 슬라이드부(141)는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슬라이드부(141)에 감긴 제1블라인드(111)가 횡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블라인드(111) 및 제2블라인드(112)의 개방부 및 커버부가 서로 포개져 선택적인 개폐가 가능하게 된다.
이하, 전술한 슬라이드 구동유닛(150)과 다른 구성예의 슬라이드 구동유닛(150')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슬라이드 구동유닛(150)과 중복되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고, 슬라이드 구동유닛(150')의 차이점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의 승강 및 개폐조절이 가능한 멀티-블라인드 장치에 있어서 타측에 장착되는 조작력 전달유닛 중 도 5에 도시된 구성과 다른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개폐조작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의 (a)는 도 6에 도시된 개폐조작부 중 회전부재의 측면도이고, (b)는 조작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 구동유닛(150')은 전술한 슬라이드 구동유닛(150)의 슬라이드 조정줄(151)과 유사한 슬라이드 조정줄(151'), 전술한 슬라이드 구동유닛(150)의 풀리부(152)와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갖는 풀리부(152), 및 개폐조작부(15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유사하게 슬라이드 조정줄(151')을 채용할 수 있고, 그 기능 및 구성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거의 같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의 슬라이드 조정줄(151')은 사용자가 직접 이를 이용하지 않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조작력 전달유닛(130)의 일측의 바디(도 3의 우측 바디 및 도 6 참조)에 두개의 풀리부(152)를 형성하고, 상기 풀리부(152)에 슬라이드 조정줄(151')이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하나의 풀리부(152)에 연결된 슬라이드 조정줄(151') 중 하나가 두개의 이동부(142) 중 하나(도 3에서 우측의 이동부)에 결합되고, 다른 풀리부(152)에 연결된 다른 슬라이드 조정줄(151')은 조작력 전달유닛(130)의 타측 바디(도 3의 좌측 바디)에 형성된 풀리부(152)(도 4 참조)에 연결되면서 다른 이동부(도 3의 좌측 이동부)에 결합되고, 또한 상기 풀리부(152)에 연결된 슬라이드 조정줄(151')이 상기 개폐조작부(153)의 회전부재(154)에 연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풀리부(152)는 상기 슬라이드 조정줄(151')이 원활히 작동하도록 상기 조작력 전달유닛(130)에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 조정줄(151')의 일측과 타측이 연결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조작부(153)는 웜기어와 웜휠 타입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상기 슬라이드 조정줄(151')이 연결되는 회전부재(154) 및 상기 회전부재(154)에 연결되는 조작부재(155)를 포함한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서 일례로서, 상기 회전부재(154)의 외주는 풀리 형상으로서, 즉 상기 외주측에 형성된 홈 형상(158)에 슬라이드 조정줄(151')이 연결되고, 상기 회전부재(154)의 일측에는 기어치(156)가 형성된다. 또한, 일례로서, 상기 회전부재(154)에 기어치(156)가 형성된 일측에 대응하는 상기 조작부재(155)의 일측에 상기 회전부재의 기어치(156)에 치합하는 기어치(157)가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회전부재(154) 및 조작부재(155)는 일례로서 든 전술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슬라이드유닛(140)을 구동시킬 수 있는 어떠한 구성 및 구조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회전부재(154)와 조작부재(155)를 헬리컬 기어나 마찰판 등과 같은 형태의 구조 및 구성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재(155)를 회전시키면, 상기 조작부재(155)가 회전하면서 상기 조작부재(155)의 기어치(157)와 치합된 상기 회전부재(154)의 기어치(156)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154)가 회전하고, 상기 회전부재(154)에 연결된 슬라이드 조정줄(151')이 당겨져서 상기 이동부(142)가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 경우, 상기 이동부(142)에 결합된 슬라이드부(141)도 같이 이동되어, 상기 슬라이드부(141)에 감겨진 이중-블라인드(본 실시예서는 제1블라인드(111))가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므로, 상기 제1블라인드(111) 및 제2블라인드(112)의 개방부 및 커버부가 서로 포개져 선택적인 개폐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멀티-블라인드 장치 110: 이중-블라인드
111: 제1블라인드 112: 제2블라인드
120: 권취부 121: 제1권취부
122: 제2권취부 130: 조작력 전달유닛
131: 제1기어부 132: 제2기어부
138: 연동부 140: 슬라이드유닛
141: 슬라이드부 142: 이동부
150, 150': 슬라이드 구동유닛 151, 151': 슬라이드 조정줄
152: 풀리부 153: 개폐조작부
154: 회전부재 155: 조작부재
111: 제1블라인드 112: 제2블라인드
120: 권취부 121: 제1권취부
122: 제2권취부 130: 조작력 전달유닛
131: 제1기어부 132: 제2기어부
138: 연동부 140: 슬라이드유닛
141: 슬라이드부 142: 이동부
150, 150': 슬라이드 구동유닛 151, 151': 슬라이드 조정줄
152: 풀리부 153: 개폐조작부
154: 회전부재 155: 조작부재
Claims (12)
- 개방부와 커버부가 반복되는 복수의 이중-블라인드;
상기 복수의 이중-블라인드 중에서 하나의 이중-블라인드가 결합되고 권취되는 제1권취부;
상기 복수의 이중-블라인드 중에서 다른 하나의 이중-블라인드가 결합되고 권취되는 제2권취부;
상기 제1권취부 및 제2권취부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권취부를 회전시키는 조작력 전달유닛;
상기 제1권취부 또는 제2권취부의 외주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드부, 및 상기 슬라이드부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부와 함께 슬라이딩되는 복수의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중-블라인드 중 하나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유닛; 및
상기 슬라이드유닛의 이동부가 슬라이딩되도록 일측이 복수의 이동부 중 하나에 결합되고 타측이 복수의 이동부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는 슬라이드 조정줄, 및 상기 슬라이드 조정줄이 원활히 작동하도록 상기 조작력 전달유닛에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 조정줄의 일측과 타측이 연결되는 복수의 풀리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구동유닛
을 포함하는 멀티-블라인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블라인드의 개방부 및 커버부는 상기 제1 및 제2권취부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반복 교차되어 형성되는
멀티-블라인드 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구동유닛은 상기 풀리부에 연결된 슬라이드 조정줄이 연결되는 개폐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멀티-블라인드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조작부는, 상기 슬라이드 조정줄이 연결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에 연결되는 조작부재를 포함하는
멀티-블라인드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는 풀리 형상으로서 상기 외주에 슬라이드 조정줄이 연결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에는 기어치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에 기어치가 형성된 일측에 대응하는 상기 조작부재의 일측에 상기 회전부재의 기어치에 치합하는 기어치가 형성되고;
상기 조작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하여 상기 회전부재에 연결된 슬라이드 조정줄이 조정됨으로써 상기 이동부가 슬라이딩되는
멀티-블라인드 장치.
- 삭제
- 개방부와 커버부가 반복되는 복수의 이중-블라인드;
상기 복수의 이중-블라인드 중에서 하나의 이중-블라인드가 결합되고 권취되는 제1권취부;
상기 복수의 이중-블라인드 중에서 다른 하나의 이중-블라인드가 결합되고 권취되는 제2권취부;
상기 제1권취부 및 제2권취부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1권취부에 연결되는 제1기어부, 상기 제2권취부에 연결되는 제2기어부, 상기 제1기어부와 제2기어부를 연결하는 연동부, 및 상기 제1기어부 또는 제2기어부에 연결되는 승강 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권취부를 회전시키는 조작력 전달유닛;
상기 제1권취부나 제2권취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중-블라인드 중 하나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유닛; 및
상기 슬라이드유닛을 구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드 구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연동부는, 상기 제1기어부 또는 제2기어부에 연결되는 연동기어, 상기 연동기어에 연결됨과 동시에 제1기어부 또는 제2기어부에 연결되는 이동기어, 및 상기 이동기어가 연동기어에 연결됨과 동시에 제1기어부 또는 제2기어부와 치합 및 이탈되도록 이동시키는 결합조정부를 포함하는
멀티-블라인드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조정부는 일단이 상기 이동기어에 연결되고, 타단은 일자 또는 십자 볼트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볼트부재의 조절에 의해 결합 조정이 이루어지는
멀티-블라인드 장치.
- 삭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중-블라인드의 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하단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하단바는 다른 하나의 하단바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멀티-블라인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90007437 | 2009-01-30 | ||
KR1020090007437 | 2009-01-30 | ||
KR1020090087225 | 2009-09-15 | ||
KR20090087225 | 2009-09-15 | ||
KR1020090119947A KR20100088520A (ko) | 2009-01-30 | 2009-12-04 | 이중 블라인드시트 및 이중 롤 유닛을 갖는 블라인드 장치 |
KR1020090119947 | 2009-12-04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88577A KR20100088577A (ko) | 2010-08-09 |
KR101036937B1 true KR101036937B1 (ko) | 2011-05-25 |
Family
ID=4275472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19947A KR20100088520A (ko) | 2009-01-30 | 2009-12-04 | 이중 블라인드시트 및 이중 롤 유닛을 갖는 블라인드 장치 |
KR1020100008651A KR101036937B1 (ko) | 2009-01-30 | 2010-01-29 | 블라인드의 승강 및 개폐조절이 가능한 멀티-블라인드 장치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19947A KR20100088520A (ko) | 2009-01-30 | 2009-12-04 | 이중 블라인드시트 및 이중 롤 유닛을 갖는 블라인드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20100088520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8677B1 (ko) * | 2009-04-17 | 2011-07-12 | (주)주원창호 | 이중 블라인드 시트의 승강중 개폐가 가능한 블라인드장치 |
KR101115198B1 (ko) * | 2011-05-09 | 2012-02-24 | 김흥기 | 입체 블라인드 시트의 임의 위치 개폐장치 |
KR20160133823A (ko) | 2015-05-13 | 2016-11-23 | 전상준 | 블라인드 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01004A (ko) * | 2002-06-26 | 2004-01-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컴퓨터 키보드 |
KR200401004Y1 (ko) * | 2005-08-11 | 2005-11-15 | 유준 | 광량조절용 롤스크린 |
KR100866344B1 (ko) * | 2008-05-07 | 2008-10-31 | 김성철 | 롤 블라인드 |
-
2009
- 2009-12-04 KR KR1020090119947A patent/KR20100088520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10
- 2010-01-29 KR KR1020100008651A patent/KR10103693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01004A (ko) * | 2002-06-26 | 2004-01-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컴퓨터 키보드 |
KR200401004Y1 (ko) * | 2005-08-11 | 2005-11-15 | 유준 | 광량조절용 롤스크린 |
KR100866344B1 (ko) * | 2008-05-07 | 2008-10-31 | 김성철 | 롤 블라인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88520A (ko) | 2010-08-09 |
KR20100088577A (ko) | 2010-08-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528318B2 (en) | Window shade and actuating system thereof | |
EP2877666B1 (en) | Window shade, its control modul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TWI604124B (zh) | 窗簾及其控制模組 | |
US9657517B2 (en) | Window shade and actuating system thereof | |
US8286684B2 (en) | Handle with anti-rotation mechanism for a window treatment | |
EP3434857A1 (en) | Screen with head rail, bottom rail and middle rail and a first control unit for the middle rail and a second control unit for the bottom rail | |
KR101036937B1 (ko) | 블라인드의 승강 및 개폐조절이 가능한 멀티-블라인드 장치 | |
KR20130066589A (ko) | 블라인드 | |
MXPA03002730A (es) | Mecanismo de control de elevacion de persiana y metodo. | |
WO2015074446A1 (zh) | 一种百叶窗翻转分机构及包含该机构的时序控制滑块系统 | |
US7360574B2 (en) | Device for controlling a venetian blind | |
JP5504480B2 (ja) | 横型ブラインド | |
AU9512001A (en) | Single control tilt drive unit | |
US9228392B2 (en) | Venetian blind comprising pairwise interconnected slats | |
CN110043108B (zh) | 一种医疗康复设备 | |
KR101213737B1 (ko) | 안전 끈을 갖는 롤 블라인드 | |
JP4612463B2 (ja) | 昇降コード選択型ローマンシェード | |
KR101248892B1 (ko) | 이중 블라인드 시트의 승강중 개폐가 가능한 블라인드장치 | |
JP5315009B2 (ja) | ブラインド | |
KR102199482B1 (ko) | 분할된 테잎벨트가 구비된 이중블라인드커튼 | |
WO2010087656A2 (ko) | 블라인드의 승강 및 개폐조절이 가능한 멀티-블라인드 장치 | |
CN211666605U (zh) | 内置百叶窗 | |
JP7274947B2 (ja) | ブラインド用駆動装置 | |
JP5493129B2 (ja) | ブラインド | |
JP2012012866A (ja) | 横型ブラインド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