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6488B1 - Food waste disposer with crushing and dehydration for sink - Google Patents
Food waste disposer with crushing and dehydration for sin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36488B1 KR101036488B1 KR1020100078678A KR20100078678A KR101036488B1 KR 101036488 B1 KR101036488 B1 KR 101036488B1 KR 1020100078678 A KR1020100078678 A KR 1020100078678A KR 20100078678 A KR20100078678 A KR 20100078678A KR 101036488 B1 KR101036488 B1 KR 1010364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sink
- food
- food waste
- crush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0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entrifugal treatme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1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applying pressure, e.g. wringing; by brushing; by wip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08—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vertical containers
- B02C18/1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vertical containers with drive arranged below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분쇄 및 탈수 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 해머의 타격 파쇄력을 이용하여 음식물찌꺼기를 분쇄시킨 다음 일차적으로 유수를 제거하는 고액분리 과정을 거쳐 탈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일시적으로 보관되는 과정에서 건조되게 하여 음식물쓰레기의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쾌적한 환경에서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processor for a sink having a crushing and dehydrating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by dehydrating the food waste using the blow crushing force of the rotary hammer and then dehydration through a solid-liquid separation process to remove the oil wat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handler for a sink that can be dried in the process of being made and temporarily stored, thereby facilitating the disposal of food waste, as well as handling food waste in a comfortable environment.
최근 들어 주방이나 업소에서 사용되는 싱크대에는 음식물찌꺼기를 분쇄하여 분쇄된 상태 그대로 혹은 2차 처리한 다음 물과 함께 하수구로 흘려보내 처리하는 음식물 처리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음식물 처리기는 처리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시판되고 있다.Recently, food sinks that are used in kitchens or businesses have been used to treat food wastes by crushing food waste as it is, or after the second treatment, and then flowing it to the sewer with water. The conventional food waste treatment machine is manufactured and market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a treatment method.
이와 같은 파쇄기형 음식물 처리기는 싱크대를 통해서 유입된 음식물 처리기를 파쇄만 하여 하수관으로 배출하게 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 방식은 사용자들에게는 발생된 대상물을 즉시 깨끗하고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큰 편의성을 제공하지만 하수계통이 이 같은 대량의 유기물 방류에 적합하도록 관경이 크고 직선 구간 위주여야 하고 회전부분도 회전 반경이 큰 모양으로 설계되어 있어야만 중간에 막히는 일이 없이 잘 동작하고 이들 하수가 모이는 종말 하수 처리장은 이 같은 미처리 유기물의 대량 방류에 적합하도록 처리 용량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Such a shredder type food processor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ood processor introduced through the sink is crushed and discharged to the sewer pipe. This method provides users with great convenience in that the generated objects can be removed immediately and completely, but the diameter should be large and straight lined and the rotating part should be suitable for the discharge of large quantities of organic matter. Designed to be of a large radius of rotation, the terminal sewage treatment plant, operating well without any blockages and collecting these sewers, must have a treatment capacity suitable for the mass discharge of these untreated organics.
이 방식은 하수관거 체계가 이를 염두에 두고 완비된 미국과 유럽의 일부 지역에서만 사회적 법적으로 허용되는 방식임에도 불구하고 편의성을 이유로 법적으로 허용되지 않는 한국에서도 그 사용이 늘고 있다. 한편, 이 방식에 대한 법적 환경적 논란을 피하기 위해서 파쇄된 유기물에 유기체 분해 성질이 있다고 알려진 미생물 제제를 혼합한 후 하수구로 방류하는 소위 유사 디스포저 방식이 있다.This method is increasingly used in Korea, where sewage systems are not legally allowed for convenience, even though they are only socially legally permitted in some parts of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which have been completed with this in mind.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avoid the legal environmental controversy about this method, there is a so-called similar disposer method in which the crushed organic material is mixed with a microbial agent known to have an organic decomposition property and discharged to the sewer.
앞서 설명한 회전판 해머의 파쇄력을 이용하는 소위 디스포저의 메커니즘을 그대로 이용하되 하수관으로 유입되기 전의 분쇄된 유기물과 물이 섞인 상태에 유용미생물이나 분해 촉진 제제를 혼합한 다음 역시 하수관으로 방류하는 방법이다. The mechanism of the so-called disposer using the crushing force of the rotating plate hammer as described above is used as it is, but the useful microorganism or decomposition promoting agent is mixed with the pulverized organic matter and water before entering the sewer pipe, and then discharged into the sewer pipe.
이는 유기물 고형분의 하수 방류를 금하고 있는 법률을 우회하는 수단에 불과한 것으로 판단된다.This seems to be a means of bypassing the law prohibiting the sewage of organic solids.
일본에서는 씽크대 부착형 디스포저 구조의 탁월한 편의성과 파쇄력, 내구성 등을 응용하여 디스포저의 외부 하류에 독립적인 고액 분리 장치와 건조 혹은 미생물 발효 소멸 장치를 부가하여 시스템을 완성한 제품과 기술들도 많이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이 방식은 죽상으로 파쇄되어 물과 혼합된 유기물이 자유낙하에 의해 호스를 통해 하류의 고액분리, 건조 및 미생물 발효 소멸 장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쉽게 막히는 문제가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디스포저의 출구와 후속 장치 사이의 낙차를 충분히 두기에는 씽크대 하부의 높이가 충분치 않다는 문제가 있으며 디스포저와 연결 호스, 후속 장치 등 씽크대 하부의 좁은 공간에 설치해야 되는 장치의 부피가 너무 크다는 문제가 있다.
In Japan, there are many products and technologies that have completed the system by adding an independent solid-liquid separator and drying or microbial fermentation and extinction device by applying the superior convenience, crushing power, and durability of the sink-type disposer structure. It is introduced. However, this method has a problem that the organic matter mixed with water, which is crushed into the atherosclerosis, is easily blocked in the process of moving freely by falling down into the solid-liquid separation, drying, and microbial fermentation and destruction device through the ho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eight of the lower part of the sink is not enough to allow sufficient free fall between the outlet and the subsequent devic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olume of the device that needs to be installed in a narrow space under the sink, such as a disposer, a connecting hose and a subsequent device, is too large.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씽크대에 부착된 장치를 이용하여 발생된 조리부산물이나 잔반과 같은 유기물질을 직접 들어내 보관통에 넣거나 이동하는 수고를 덜고 발생된 유기물은 회전판에 부착된 타격 해머에 의한 파쇄력을 이용하여 분쇄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와 특성의 유기물들을 처리하게 하고 파쇄 공정에 이어 곧바로 파쇄물에서 물을 제거하는 탈수작용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유기물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관로를 막거나 정체되는 일이 없어 장치의 동작 신뢰성을 확보하고 처리된 유기물 잔량을 최소화하여 후속 건조과정의 소요 에너지의 양을 최소화하며 탈수과정에서는 냄새의 원인이 되는 발효성분의 액체가 함께 제거되도록 하여 음식물쓰레기로부터 악취가 발생되지 않아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분쇄 및 탈수 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is problem, to reduce the effort of directly lifting the organic material, such as cooking by-products or residue generated by using the device attached to the sink to put or move in the storage container and the generated organic material is attached to the rotating plate By crushing using the crushing force by the hammer, the organic materials of various shapes and characteristics are treated, and the dehydration action is performed immediately after the crushing process to remove the water from the crushed materials. It ensures the operation reliability of the device and minimizes the amount of organic matter processed, thereby minimizing the amount of energy required in the subsequent drying process, and in the dehydration process, liquids of fermentation ingredients that cause odors are removed together to remove odor from food waste. Grinding not generated to create a pleasant environment To provide a sink for food treatment system having a dehydrating function it is an object.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쇄 및 탈수 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는, 싱크대의 배수구에 장착되는 연결구; 연결구에 연결되어 분리된 오수와 분쇄된 유기물을 분리하여 배출시켜 주는 하우징; 상부에는 복수의 가격돌기가 구비되어 연결구의 저부 안쪽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하우징에 설치된 액츄에이터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 타격판; 및 회전 타격판과 하우징에 의해 형성된 공간부 내부에 설치되어 원심력으로 음식물찌꺼기를 이송하면서 탈수시켜 주는 탈습이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ood sink for a sink having a crushing and dehydra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the connector is mounted to the drain of the sink; A housing connected to the connector to separate and separate the separated sewage and the crushed organic material; A rotary blow plate provided at a top thereof with a plurality of price protrusions installed to be located inside the bottom of the connector and driven by an actuator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a dehumidifying and transferring means install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rotary blow plate and the housing to dehydrate while transporting the food dregs by centrifugal force.
특히, 연결구의 내부에는 회전 타격판과의 사이에 일정 크기로 분쇄된 유기물만 통과할 수 있도록 투과구멍이 형성된 투과링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particular, the inside of the connect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ermeation ring is further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formed so as to pass only the organic matter crushed to a predetermined size between the rotary striking plate.
또한, 탈습이송수단은, 회전 타격판의 저부에 설치되어 분쇄된 유기물로부터 물기를 분리시켜 주는 탈수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ehumidifying transfer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ehydration container which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rotary blow plate to separate the water from the pulverized organic matter.
그리고, 하우징은 연결구보다 넓은 직경을 갖도록 구성되고 외주면에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음식물배출구 및 하수배출구가 형성되며, 탈수용기는 회전 타격판의 저부에 설치되는 축부; 및 음식물배출구와 하수물배출구 사이의 공간을 구획할 수 있도록 축부에 연장하여 형성되는 망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housing is configured to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connector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ood outlet and sewage outlet is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respectively, the dehydration vessel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rotary blow plate; And a mesh portion extending from the shaft portion to partition the space between the food outlet and the sewage outlet.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분쇄 및 탈수 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의 다른 실시예의 탈습이송수단은, 액츄에이터의 구동축과 2중관 구조로 설치되어 이 액츄에이터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회전분쇄판과 하우징 사이에 설치된 스크류압착기; 및 분쇄물이 스크류압착기에 의해 압착될 수 있도록 그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하우징에 설치되는 압착탈수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dehumidifying transfer means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sink food waste treatment device having a crushing and dewater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etween the rotary grinding plate and the housing so as to be rotatable by the actuator and the drive shaft of the actuator Screw presses; And a crimping and dewatering net unit installed in the housing in a form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pulverized product can be compressed by a screw compactor.
이때의 하우징은 압착탈수망부가 설치되는 상부공간부와 그 하부에 하부공간부로 구획시켜 주는 격벽; 상부공간부에는 압착탈수망부의 외부로 탈수된 물을 배출할 수 있게 형성된 하수배출구; 격벽에는 스크류압착기의 저부와 연통되도록 압착탈수망부의 안쪽으로 연장 형성된 음식물배출구; 및 하부공간부에 설치되어 격벽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스크류압착기가 회전 타격판과 연동하여 회전시켜주는 감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housing is partitioned to partition the upper space portion and the lower space portion is installed below the compression dehydration net portion; The upper space portion has a sewage outlet formed to discharge the dewatered water to the outside of the crimping dehydration network; The partition wall has a food outlet formed to extend inwardly of the crimp dehydration net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bottom of the screw compactor; And a deceleration means installed in the lower space to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rotary blow plate installed in the screw press installed through the partition wall.
그리고, 감속수단은 감속기어 또는 감속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eceleration means may be a reduction gear or a reduction belt.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탈습이송수단은, 회전분쇄판과 중첩된 하부에 투입구가 형성되고, 하우징에 그 중심부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유도플레이트; 액츄에이터에 의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유도플레이트 아래에 설치되어, 투입구로부터 떨어지는 음식물쓰레기를 압착시켜 주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바; 스크류바를 감싸면서 일측에는 투입구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주입구가 형성되고, 회전분쇄판에 의해 분쇄된 유기물을 가압하여 토출시켜 주며, 분리된 하수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배수관이 구비된 스크류하우징; 스크류바의 단부를 감싸면서 압송된 음식물 찌거기를 저장하고, 분리된 하수를 배수시키도록 하우징에 탈부착되는 저장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another dehumidified transfer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let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verlapping the rotary grinding plate, the guide plate is installed to extend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housing; At least one screw bar installed under the induction plate so as to be rotatable by an actuator to compress food waste falling from the inlet; An injection hol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inlet to surround the screw bar, and pressurizes and discharges the organic material pulverized by the rotary grinding plate; and a screw housing having a drain pipe to discharge the separated sewag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a storage container for storing the pressurized food waste while wrapping the end of the screw bar, detachable to the housing to drain the separated sewag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분쇄 및 탈수 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에는 저장용기에 탈취장치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ood processor for a sink having a crushing and dehydra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odorizing device is further provided in the storage contain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쇄 및 탈수 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는, 저장용기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어 설치되고, 저장용기에는 음식물쓰레기를 흡입하기 위한 진공펌프가 더 구비된다.In addition, the food processor for a sink having a crushing and dehydra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container is installed separated from the housing, the storage container is further provided with a vacuum pump for sucking the food waste.
본 발명의 분쇄 및 탈수 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food treatment device for a sink having a grinding and dehydrat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첫째, 씽크대 부착형으로써 조리부산물이나 잔반 등의 유기물을 들어내거나 옮겨 담을 필요가 없다.First, it does not need to lift or move organic materials such as cooking by-products or residues as the sink stand type.
둘째, 음식물 쓰레기를 잘게 파쇄함과 동시에 탈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유기고형물의 잔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Second, since the food waste is finely crushed and dehydrated, the remaining amount of organic solids can be minimized.
셋째, 유기물을 잘게 파쇄하고 고속 회전 및 스크류 압착 탈수 과정을 거침으로써 냄새의 원인이 되는 발효액이나 부패액체를 제거하여 처리물을 장시간 보관하더라도 악취가 발생하지 않아 불쾌감을 유발하지 않게 되어 쾌적한 주방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Third, by crushing the organic matter finely and going through a high-speed rotation and screw compression dehydration process, the fermentation broth or spoiled liquid that causes odors is removed. You can make it.
넷째, 유기물을 잘게 파쇄하고 압착 탈수 과정을 거쳐 많은 부분의 수분을 제거하기 때문에 후속 건조공정에서는 큰 폭으로 증가된 유기물 표면적의 접촉효과와 함께 유기물의 건조에 소요되는 에너지가 크게 줄고 건조에 필요한 시간도 크게 줄어든다. Fourth, since organic matters are crushed finely and compressed water is removed to remove a large part of water, subsequent drying process greatly reduces the energy required for drying organic matters and the time required for drying, with the contact effect of the organic surface area greatly increased. Also greatly reduces.
다섯째, 분쇄와 고액분리 및 탈수과정이 하나의 몸체로 이뤄진 장치로 진행되게 하여 음식물 처리기의 전체 구성을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에 있어서도 유리하다.
Fifth, the pulverization and solid-liquid separation and dehydration process to proceed to a device consisting of a single body can simply configure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food processor. Therefore, not only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but also the maintenance is advantageou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탈수용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가)는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나)는 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food waste processor for a sin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ehydration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food processor for a sin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food waste processor for a sin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view showing a food waste processor for a sink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B) is a cross-sectional view thereof.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ood waste processor for a sink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ood waste processor for a sink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ood waste processor for a sink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common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should proper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own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equivalents that may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water and variations.
((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탈수용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S"는 싱크대를, "O"는 싱크대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수구를 각각 나타낸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sink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ehydration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reference numeral "S" denotes a sink, and "O" denotes a drain hole formed under the sink.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1000)는, 배수구(S)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100)와, 이 연결구(100)의 저부에 연결되어 파쇄되어 탈수된 음식물찌꺼기와 탈수된 물을 분리하여 배출하기 위한 하우징(200)과, 음식물찌꺼기를 파쇄시켜 주는 회전 타격판(310)과, 분쇄된 음식물찌꺼기를 탈수시킨 다음 이송시켜주는 탈습이송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연결구(100)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유입구(120)와 유출구(130)가 구비된다. 특히, 유출구(130)는 유입구(120)보다 넓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하여 유입구(120)로부터 자유낙하되는 음식물찌꺼기가 더욱 강한 원심력을 받아 분쇄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유입구(120)는 배수구(S)에 장착되게 되는데, 장착방법으로는 볼트나 스크류와 같은 고정수단(미도시됨)을 통해 장착하는 방법이라든가 원터치 방식으로 배수구(S)에 장착될 수 있게 하는 장착수단을 모두 이용할 수 있다.
유출구(130)에는 내부에 투과링(110)이 구비된다. 투과링(110)은 소정의 폭을 갖는 링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복수의 투과구멍(111)이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투과구멍(111)은 투과링(110)의 폭 중심에서 아래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투과링(110)은 유출구(130)의 안쪽면에 끼움 설치된다.
하우징(200)은 상기 유출구(130)의 아래에 설치된다. 특히, 하우징(200)은 유출구(130)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하는데, 이는 투과구멍(111)을 통해 파쇄된 음식물쓰레기가 자유낙하됨에 따라 후술하게 될 탈습이송수단(300)의 상부에 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이러한 하우징(200)은 외주면에 분쇄되어 탈수된 음식물찌꺼기와 탈수된 하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음식물배출구(210)와 하수배출구(220)가 형성된다. 특히, 음식물배출구(210)는 하우징(200)의 상부에 형성되고, 하수배출구(220)는 하우징(200)의 저부에 형성된다. 이는 후술하게 될 탈습이송수단(300)에 의하여 탈수된 음식물쓰레기는 하우징(200)의 상부에 있게 되고 탈수된 하수는 하우징(200)의 하부에 고이기 때문이다.Th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음식물배출구(210)와 하수배출구(22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진공펌프(23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음식물찌꺼기와 하수를 신속하게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진공펌프(230)는 도면에서와 같이 하수에 비해 많은 양이 배출되는 음식물배출구(210)에 설치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install a
회전 타격판(310)은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부에는 가격돌기(311)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회전 타격판(310)은 자유낙하되는 음식물찌꺼기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이 되도록 연결구(100)의 유출구(130), 바람직하기로는 투과링(110)의 안쪽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회전 타격판(310)은 유출구(130)의 안쪽까지 연장설치되는 액츄에이터(320)의 구동축(32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Rotational
한편, 액츄에이터(320)는 회전 타격판(310)을 회전시켜 원심력을 발생시켜 준다. 이러한 액츄에이터(320)로는 구동모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액츄에이터(320)는 회전 타격판(310)이 낙하되는 음식물찌꺼기에 대하여 수직인 위치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우징(200)의 저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설치된 액츄에이터(320)는 그 구동축(321)이 하우징(200)의 저부로부터 관통되게 설치되고, 구동축(321)이 상단이 유출구(130)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On the other hand, the
탈습이송수단(300)은 회전 타격판(310)에 의해 파쇄된 음식물찌꺼기를 원심력으로 탈수시켜 주는 탈수용기(330)를 포함한다.
The dehumidifying and transporting
탈수용기(330)는, 도 2에서와 같이, 회전 타격판(310)의 저부에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축부(331)와, 이 축부(331)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는 망사부(332)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특히, 축부(331)는 회전 타격판(3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분쇄된 음식물찌꺼기가 투과구멍(111)을 통과하여 아래로 자연스럽게 낙하될 수 있게 한다. In particular, the
그리고, 망사부(332)는 축부(331)의 하단부로부터 윗쪽으로 사선방향으로 상향 연장되게 형성한다. 이는 위에서 떨어진 음식물찌꺼기가 원심력에 의해 탈수가 이루어지면서 탈수된 음식물찌꺼기가 윗쪽으로 이동하면서 음식물배출구(3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The
(작동)(work)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여기서, 화살표는 음식물찌꺼기가 제공되어 파쇄된 다음 탈수된 음식물찌꺼기 및 하수의 배출경로를 나타낸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food waste processor for a sin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arrows indicate the discharge path of the food waste and sewage which is provided and broken up and then dehydrated.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1000)는 싱크대(S)의 배수구(O)로부터 두줄로 표시한 바와 같이 음식물찌꺼기가 배출됨에 따라 작동한다. 우선, 액츄에이터(320)가 구동하면서 회전 타격판(310)을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음식물찌꺼기는 원심력을 받아 회전하면서 가격돌기(311)에 의해 가격되어 소정의 크기를 분쇄 및 파쇄되게 된다.The
분쇄 및 파쇄된 음식물찌꺼기는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원심력에 의해 계속 회전되면서 투과링(110)에 부딛히면서 결과적으로 투과구멍(111)을 통해 회전 타격판(310)의 아랫쪽으로 떨어지게 된다. As indicated by the arrow, the crushed and crushed food wastes continue to rotate by centrifugal force, impinging on the
이처럼 아래로 떨어지는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는 회전 타격판(310)과 함께 회전하는 탈수용기(330)에 의해 탈수가 진행된다. 그리고, 탈수된 음식물찌꺼기는 원심력에 의해 망사부(332)를 따라 위로 이동하여 음식물배출구(210)를 통해 배출되고, 하수는 망사부(332)를 통과하여 하우징(200) 저부의 하수배출구(2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The crushed food waste falling down as described above is dehydrated by the
((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여기서는 상술한 제1실시예의 구성과 비교하여 그 구성상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food waste processor for a sin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only the differences in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as compared with the configuration in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1000')는, 제1실시예와 비교해 볼 때 탈습이송수단(300')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이에 탈습이송수단(300')을 수용하여 지지하는 하우징(200')의 구성상 차이가 있게 되는데, 여기서는 하우징(200')과 탈습이송수단(300')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The
하우징(200')은 연결구(10)보다 넓은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격벽(240)이 구비되어 내부를 상부공간부(240a)와 하부공간부(240b)로 구획시켜 준다.The housing 20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connector 10, and a
특히, 이 격벽(240)에는 중앙에 설치구멍(241)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격벽(240)의 내부에는 음식물배출구(210')가 형성되어 하우징(200')의 외부로 연장형성된다. 그리고, 격벽(240)의 상부에는 상부공간부(240a)에 모인 하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하수배출구(220')가 형성된다.In particular, the
또한, 하부공간부(240b)의 내부에는 감속수단(250)이 구비된다. 감속수단(250)은 후술하게 될 탈습이송수단(300)의 스크류압착기(340)를 저속으로 회전시켜 주게 된다. 이러한 감속수단(250)으로는 감속기어라든가 감속벨트를 이용할 수 있으나, 도 4에서는 감속기어를 이용한 예를 보여주고 있는데, 감속수단(250)은 액츄에이터(320)의 구동축(321)에 장착되는 제1기어(251)와, 스크류압착기(340)에 설치된 제2기어(252)와, 이들 제1 및 제2기어(251,252) 사이에 치합되는 감속기어(2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deceleration means 250 is provided inside the
탈습이송수단(300')은, 탈수를 위한 스크류압착기(340)와 압착탈수망부(350)를 포함한다. The dehumidifying and transporting
스크류압착기(340)는 아래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나선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스크류압착기(340)는 상부공간부(240a)에 설치되게 되는데, 그 하부가 설치구멍(241)에 끼워져서 하부공간부(240b)까지 연장되게 설치된다. 하부공간부(240b)까지 연장된 하단부에는 상기 제2기어(252)가 장착된다.
특히, 스크류압착기(340)는 상기 액츄에이터(320)의 구동축(321)과 소정의 간격을 갖는 이중관 형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그 중심축 상에 장착구멍(342)이 관통 형성된다.In particular, the
또한, 스크류압착기(340)는 상부에 회전지지를 위하여 회전지지판(341)이 구비된다. 회전지지판(341)은 연결구(100)와 하우징(200') 사이에 끼워지게 설치된다. 특히, 이 회전지지판(341)에는 연결구(100)의 투과링(110)에 형성된 투과구멍(111)을 통해 파쇄된 음식물쓰레기가 아래로 낙하될 수 있도록 복수의 낙하구멍(341a)이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압착탈수망부(350)는 스크류압착기(340)를 감싸주는 형태가 되도록 상부공간부(240a) 내에 설치된다. 특히, 압착탈수망부(350)는 상기 낙하구멍(341a)을 통해 낙하되는 음식물찌꺼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압착탈수망부(350)는 하우징(200')의 내면과의 사이에 하수배출구(220')가 위치하게 하고, 압착탈수망부(350)의 안쪽에 음식물배출구(210')가 위치하도록 형성된다.The crimping dehydration
또한, 압착탈수망부(350)는 스크류압착기(340)가 회전함에 따라 그 홈부를 따라서 음식물찌꺼기가 아래로 이동하면서 탈수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스크류압착기(340)의 작동으로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dehydration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1000')는 음식물찌꺼기가 유입됨에 따라 작동한다. 우선, 회전 타격판(310)의 회전으로 음식물찌꺼기를 분쇄시키게 되고, 분쇄된 음식물찌꺼기는 투과구멍(111)을 통해 아래로 낙하된다.The
낙하된 음식물찌꺼기는 스크류압착기(340)와 압착탈수망부(350) 사이로 공급된다. 그리고, 스크류압착기(340)가 회전함에 따라 그 홈부를 따라 음식물찌꺼기가 이송되면서 탈수가 이루어진다. 이때, 탈수된 하수는 압착탈수망부(350)를 통해 상부공간부(240a)에 형성된 하수배출구(2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음식물찌꺼기는 스크류압착기(340)의 저부까지 이송되어 탈수가 끝남에 따라 음식물배출구(2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The dropped food waste is supplied between the
(( 제3실시예Third embodiment ))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가)는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나)는 그 단면도이다. 여기서, 상술한 각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Figure 5 is a view showing a food waste processor for a sink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and (B) is a cross-sectional view thereof. He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1000a)에는 파쇄된 음식물찌꺼기를 가압하여 수분을 분리시켜 주기 위한 스크류바(360)와 스크류하우징(370), 파쇄된 음식물 찌거기가 스크류하우징(370)으로 유도하기 위한 유도플레이트(380), 그리고 압송된 음식물찌꺼기를 보관하고 탈수된 오수를 배출시켜 주기 위한 저장용기(390)를 포함하여 구성된 탈습이송수단(300a)이 구비된다.
In the sink
스크류바(360)는 액츄에이터(320)의 구동축(321)과 직각방향으로 장착된다. 스크류바 (360)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지만,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한쌍의 스크류바(360)가 설치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때, 스크류바(360)와 구동축(321)은 이들의 회전축이 수직으로 교차회전할 수 있도록 웜기어 또는 베벨기어(361,321a)로 치합된다. 그리고, 이들 스크류바(360)는 단부가 하우징(200)의 측부로 연장되어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The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B"는 스크류바(360)를 회전지지하기 위하여 유도플레이트(380)에 설치된 베어링을 나타낸다.
In the drawings, reference numeral “B” denotes a bearing installed in the
스크류하우징(370)은 내부에 설치되는 스크류바(360)의 단부를 회전지지하며, 이 스크류바(360)가 회전됨에 따라 바깥쪽으로 음식물찌꺼기가 가압되게 하여 물기를 제거한다.The
이러한 스크류하우징(370)은 원통 형상으로 제작되며 음식물 찌꺼기로부터 오수가 잘 배출될 수 있도록 금속 등을 이용하여 망체로 형성한다. 그리고, 구동축(321)과 가까운 쪽에는 상부에 음식물 쓰레기를 유입받을 수 있도록 주입구(371)가 절개성형된다.The
또한, 스크류하우징(370)의 저부에는 탈수된 오수를 모을 수 있도록 집수판(372a)이 구비되며, 이 집수판(372a)의 저부에는 집수된 오수를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1000a)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수관(372)이 구비된다.In addition, the bottom of the
마지막으로, 스크류하우징(370)에는 주입구(371)가 형성된 반대쪽을 마감하는 마감판(373)에는 슬릿 형태와 같이 압송구멍(373a)이 형성된다. 압송구멍(373a)은 스크류바(360)에 의해 음식물 찌꺼기가 가압되면서 저장용기(390)로 떨어지도록 유도한다. 이 과정에서 음식물찌꺼기로부터 오수가 짜여져서 배수관(372)을 통해 배출되게 된다. 이러한 스크류하우징(370)은 구동축(321)과 가까운 위치로부터 하우징(200)을 관통하여 바깥쪽으로 빠져나가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회전분쇄판(310)과 스크류하우징(370)은 상하로 중첩된 형태로 설치된다.
Lastly, the
유도플레이트(380)는 회전 타격판(310)과 스크류하우징(370)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우징(200)에 설치된다. 특히, 유도플레이트(380)는 단부가 스크류하우징(370)의 단부를 감싸도록 하우징(200) 외부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유도플레이트(380)는 하우징(200)의 내부에 장착되는 부분에 투입구(381)가 형성된다. 투입구(381)는, 도면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주입구(371)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형성함으로써, 회전 타격판(310)에 의해 분쇄된 유기물이 이 투입구(381)를 통과하여 주입구(371)를 거쳐 스크류하우징(370)으로 용이하게 유도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저장용기(390)는 하우징(200)의 측면에 탈장착가능하게 구성되며, 특히 하우징(200)의 측부로 돌출된 유도플레이트(380)의 저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저장용기(390)는 스크류바(360)가 회전에 따라 가압되어 스크류바하우징(370)의 바깥쪽 단부로부터 토출되는 유기물(도면에서 점선의 화살표로 표시됨)을 저장하였다가 일정량이 축적되면 탈거하여 음식물찌거기를 처리하게 된다.Th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저장용기(390)는 스냅핏 방식으로 하우징(200)에 탈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누구라도 쉽게 분리와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 제4실시예Fourth embodiment ))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여기서, 상술한 제3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ood waste processor for a sink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third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1000b)에는 저장용기(390')에 건조탈취장치(391)가 더 구비된다. 도 6에서, 탈취장치(391)는 저장용기(39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유도플레이트(380)에 장착된 예를 보여준다.The sink
이때, 저장용기(390')는 통풍성이 우수한 재질을 이용하여 통풍효과를 높일 수도 있고, 그 바닥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베이스(393)를 더 구비한다. 저장용기(390‘)는 통기성이 있으면서 발열효과가 있는 카본나노튜브 수지재를 이용한 것과 같은 발열망을 이용하여 효율 높은 건조장치가 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393)에는 저장용기(390')에 충전된 분쇄유기물로부터 배출되는 오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로(미도시됨) 및 음식물찌거기를 가열 건조시킬 수 있는 히터(미도시)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이와 같이 이루어진 저장용기(390')는 정해진 시간 단위라든가 음식물찌꺼기를 처리하는 동안 건조탈취장치(391)를 가동시킴에 따라 도면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맨 나중에 유입되어 들어온 유기물 쪽을 향하여 고온의 건조 바람이 불어 이미 건조된 유기물로 새로 들어온 유기물의 수분이 침범하지 않아 악취와 수분이 건조탈취장치(391)에 의해 효과적으로 제거되게 되는 것이다.
The
(( 제5실시예Fifth Embodiment ))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여기서, 상술한 제3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ood waste processor for a sink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third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1000c)는, 저장용기(390")를 제조함에 있어서, 장착공간의 확보와 축적된 음식물찌거기를 쉽게 버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하우징(200)으로부터 분리하여 구성한 것이다. 디스포저 장치를 확장하여 처리된 유기물을 보관하도록 하는 공간까지 설치하기 어려운 장소나 하루 동안 혹은 한 번의 처리로 처리 유기물이 많은 양으로 발생되는 곳에서는 이 장치를 이용하여 별도의 장소에 보관장소를 구비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In the
이에 스크류하우징(370)과 저장용기(390") 사이에는 음식물찌거기를 압송시켜 주기 위한 압송관(394)이 더 구비된다.Th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압송관(394)에는 진공펌프(392)를 더 구비함으로써, 음식물찌거기의 압송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이에, 제5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1000c)는 저장용기(390")를 분리하여 싱크대에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장착공간을 확보하는데 편리하며, 저장용기(390")에 채워진 분쇄유기물을 처리하는데 있어서도 편리하다.
Thus, the sink
(( 제6실시예Sixth embodiment ))
도 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여기서, 상술한 제3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ood waste processor for a sink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third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1000d)는 파쇄된 유기물이 스크류바하우징(370)으로 용이하게 투입될 수 있도록 유도플레이트(380')의 투입구(381')를 나선형태로 형성한다.In the sink food processor 1000d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즉, 투입구(381')를 호퍼 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성하고, 이 투입구(381')가 주입구(371)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파쇄된 유기물이 도면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중력에 의하여 주입구(371)를 통해 스크류바하우징(370) 안으로 쉽게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그리고, 스크류하우징(370)은 그 주입구(371)를 상기 투입구(381')와 같은 크기로 절개성형함으로써 유기물의 낙하유도와 함께 스크류하우징(370)으로 쉽게 들어갈 수 있도록 유도되게 된다.
In addition, th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원심력으로 조리 부산물이나 잔반과 같은 유기물을 분쇄함과 동시에 탈수작용이 함께 이루어지기 때문에 유기물의 잔량을 최소화하면서도 악취가 발생되지 않아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dehydration is performed while pulverizing organic matters such as cooking by-products or residues by centrifugal forc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residual amount of organic matters and to produce a pleasant environment because no odor is generated. will be.
100 : 연결구 110 : 투과링
111 : 투과구멍 120 : 유입구
130 : 유출구 200 : 하우징
210, 210' : 음식물배출구 220, 220' : 하수배출구
230 : 진공펌프 240 : 격벽
240a : 상부공간부 240b : 하부공간부
241 : 설치구멍 250 : 감속수단
251 : 제1기어 252 : 제2기어
253 : 감속기어 300, 300', 300a : 탈습이송수단
310 : 회전 타격판 311 : 가격돌기
320 : 액츄에이터 321 : 구동축
330 : 탈수용기 331 : 축부
332 : 망사부 340 : 스크류압착기
341 : 회전지지판 341a : 낙하구멍
342 : 장착구멍 350 : 압착탈수망부
360 : 스크류바 370 : 스크류하우징
371 : 주입구 372 : 배수관
372a : 집수판 380 : 유도플레이트
381 : 투입구 O : 배수구
S : 싱크대100: connector 110: through ring
111: through hole 120: inlet
130: outlet 200: housing
210, 210 ':
230: vacuum pump 240: partition wall
240a:
241: mounting hole 250: deceleration means
251: first gear 252: second gear
253:
310: rotary blow plate 311: price projection
320: actuator 321: drive shaft
330: dehydration container 331: shaft portion
332: mesh portion 340: screw press
341:
342: mounting hole 350: compression dehydration part
360: screw bar 370: screw housing
371: inlet 372: drain pipe
372a: collecting plate 380: guide plate
381: inlet O: drain
S: sink
Claims (12)
상기 연결구(100)에 연결되어 분리된 오수와 분쇄된 유기물을 분리하여 배출시켜 주는 하우징(200);
상부에는 복수의 가격돌기(311)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구(100)의 저부 안쪽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200)에 설치된 액츄에이터(320)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 타격판(310); 및
상기 연결구(100)와 상기 하우징(200)에 의해 형성된 공간부 내부에 설치되어 음식물찌꺼기를 분쇄하면서 탈수시켜 주는 탈습이송수단(300);을 포함하고,
상기 탈습이송수단(300)은,
상기 액츄에이터(320)의 구동축(321)과 2중관 구조로 설치되어 이 액츄에이터(320)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회전분쇄판(310)과 상기 하우징(200) 사이에 설치된 스크류압착기(340); 및
분쇄물이 스크류압착기(340)에 의해 압착될 수 있도록 그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하우징(200)에 설치되는 압착탈수망부(3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 및 탈수 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
Connector 100 is mounted to the drain (O) of the sink (S);
A housing 200 connected to the connector 100 to separate and separate the separated sewage and the crushed organic material;
A rotary blow plate 310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ice protrusions 311 to be positioned inside the bottom of the connector 100 and driven by an actuator 320 installed in the housing 200; And
And a dehumidification transfer means (300) installed inside the space formed by the connector (100) and the housing (200) to dehydrate while crushing food waste.
The dehumidification transfer means 300,
A screw presser 340 installed between the drive shaft 321 of the actuator 320 and the rotary grinding plate 310 and the housing 200 to be rotatable by the actuator 320; And
For the sink having a crushing and dewatering function comprising a; decompression netting portion 350 is installed in the housing 200 in a form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be crushed by the screw presser 340 Food processor.
상기 하우징(200)은,
상기 압착탈수망부(350)가 설치되는 상부공간부(240a)와 그 하부에 하부공간부(240b)로 구획시켜 주는 격벽(240);
상기 상부공간부(240a)에는 압착탈수망부(350)의 외부로 탈수된 물을 배출할 수 있게 형성된 하수배출구(220');
상기 격벽(240)에는 상기 스크류압착기(340)의 저부와 연통되도록 압착탈수망부(350)의 안쪽으로 연장 형성된 음식물배출구(210'); 및
상기 하부공간부(240b)에 설치되어 상기 격벽(240)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스크류압착기(340)가 상기 회전 타격판(310)과 연동하여 회전시켜주는 감속수단(2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 및 탈수 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housing 200,
A partition wall 240 partitioning the upper space portion 240a on which the crimping and dewatering net portion 350 is installed and the lower space portion 240b thereunder;
The upper space portion 240a has a sewage outlet 220 'formed to discharge the dehydrated water to the outside of the crimping dehydration net portion 350;
The partition wall 240 has a food outlet 210 'extending inwardly of the compression dehydration network unit 35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bottom of the screw presser 340; And
And a deceleration means (250) installed in the lower space part (240b) to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rotary striking plate (310) for the screw press (340) installed through the partition wall (240). Food processor for a sink having a grinding and dehydration function.
상기 감속수단(250)은 감속기어 또는 감속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 및 탈수 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deceleration means 250 is a sink for food sink having a crushing and dehydr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gear or the reduction belt.
상기 연결구(100)에 연결되어 분리된 오수와 분쇄된 유기물을 분리하여 배출시켜 주는 하우징(200);
상부에는 복수의 가격돌기(311)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구(100)의 저부 안쪽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200)에 설치된 액츄에이터(320)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 타격판(310); 및
상기 연결구(100)와 상기 하우징(200)에 의해 형성된 공간부 내부에 설치되어 음식물찌꺼기를 분쇄하면서 탈수시켜 주는 탈습이송수단(300);을 포함하고,
상기 탈습이송수단(300)은,
상기 회전분쇄판(310)과 중첩된 하부에 투입구(381)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200)에 그 중심부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유도플레이트(380);
상기 액츄에이터(320)에 의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유도플레이트(380) 아래에 설치되어, 상기 투입구(381)로부터 떨어지는 음식물쓰레기를 압착시켜 주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바(360);
상기 스크류바(360)를 감싸면서 일측에는 상기 투입구(38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주입구(371)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분쇄판(310)에 의해 분쇄된 유기물을 가압하여 토출시켜 주며, 분리된 하수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배수관(372)이 구비된 스크류하우징(370);
상기 스크류바(360)의 단부를 감싸면서 압송된 음식물 찌거기를 저장하고, 분리된 하수를 배수시키도록 상기 하우징(200)에 탈부착되는 저장용기(3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 및 탈수 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
Connector 100 is mounted to the drain (O) of the sink (S);
A housing 200 connected to the connector 100 to separate and separate the separated sewage and the crushed organic material;
A rotary blow plate 310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ice protrusions 311 to be positioned inside the bottom of the connector 100 and driven by an actuator 320 installed in the housing 200; And
And a dehumidification transfer means (300) installed inside the space formed by the connector (100) and the housing (200) to dehydrate while crushing food waste.
The dehumidification transfer means 300,
Induction plate 380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verlapping with the rotary grinding plate 310, the induction plate 380 is installed to extend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housing 200;
At least one screw bar 360 installed under the induction plate 380 to be rotatable by the actuator 320 to compress food waste falling from the inlet 381;
An injection hole 371 is formed at one side while surrounding the screw bar 360 so as to be positioned below the inlet 381, and pressurizes and discharges the organic material pulverized by the rotary grinding plate 310, and is separated. A screw housing 370 having a drain pipe 372 to discharge the sewage;
A storage container 390 detachably attached to the housing 200 to store the food wastes conveyed while surrounding the end of the screw bar 360 and to drain the separated sewage. Food handler for the sink with the function.
상기 유도플레이트(380)는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주입구(371)의 상부에서 낙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나선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 및 탈수 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
The method of claim 9,
The induction plate 380 is a food processor for a sink having a crushing and dehydr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ood waste is formed in a spiral form so that it is easy to fall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inlet (371).
상기 저장용기(390)에는 건조탈취장치(391)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 및 탈수 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
The method of claim 9,
The storage container (390) is a food processing device for a sink having a crushing and dehydra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provided with a dry deodorizing device (391).
상기 저장용기(390)는 상기 하우징(200)으로부터 분리되어 설치되고,
상기 저장용기(390)에는 음식물쓰레기를 흡입하기 위한 진공펌프(392)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 및 탈수 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1,
The storage container 390 is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housing 200,
The storage container (390) is a food processor for a sink having a crushing and dehydra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vacuum pump (392) for sucking the food waste furth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78678A KR101036488B1 (en) | 2010-08-16 | 2010-08-16 | Food waste disposer with crushing and dehydration for sin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78678A KR101036488B1 (en) | 2010-08-16 | 2010-08-16 | Food waste disposer with crushing and dehydration for sink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36488B1 true KR101036488B1 (en) | 2011-05-24 |
Family
ID=44366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78678A KR101036488B1 (en) | 2010-08-16 | 2010-08-16 | Food waste disposer with crushing and dehydration for sin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36488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6079B1 (en) * | 2011-09-28 | 2014-11-27 | (주)제이에스에스탑 | The food-garbage treating device |
CN108005185A (en) * | 2017-11-30 | 2018-05-08 | 江苏永尚能源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kitchen waste treater |
CN111059865A (en) * | 2019-11-27 | 2020-04-24 | 秦子媛 | Continuous processing device of silage |
CN112403626A (en) * | 2020-12-08 | 2021-02-26 | 深圳茂元环保科技有限公司 | Dehydration and crushing device for kitchen waste treatment and using method thereof |
CN115213202A (en) * | 2022-07-14 | 2022-10-21 | 上海海事大学 | Garbage crusher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40802A (en) * | 1996-03-08 | 1997-09-16 | Shoji Tadokoro | Garbage disposer |
KR19980065515A (en) * | 1997-01-10 | 1998-10-15 | 정의균 | Food waste handler |
KR20020026143A (en) * | 2001-11-26 | 2002-04-06 | 송무석 | Food waste disposer which is installed to a sink |
KR20040029353A (en) * | 2004-03-19 | 2004-04-06 | 김성곤 | A smashing and compressive dehydrator of eating refuse |
-
2010
- 2010-08-16 KR KR1020100078678A patent/KR10103648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40802A (en) * | 1996-03-08 | 1997-09-16 | Shoji Tadokoro | Garbage disposer |
KR19980065515A (en) * | 1997-01-10 | 1998-10-15 | 정의균 | Food waste handler |
KR20020026143A (en) * | 2001-11-26 | 2002-04-06 | 송무석 | Food waste disposer which is installed to a sink |
KR20040029353A (en) * | 2004-03-19 | 2004-04-06 | 김성곤 | A smashing and compressive dehydrator of eating refuse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6079B1 (en) * | 2011-09-28 | 2014-11-27 | (주)제이에스에스탑 | The food-garbage treating device |
CN108005185A (en) * | 2017-11-30 | 2018-05-08 | 江苏永尚能源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kitchen waste treater |
CN111059865A (en) * | 2019-11-27 | 2020-04-24 | 秦子媛 | Continuous processing device of silage |
CN111059865B (en) * | 2019-11-27 | 2023-07-14 | 秦子媛 | Continuous processing device for silage |
CN112403626A (en) * | 2020-12-08 | 2021-02-26 | 深圳茂元环保科技有限公司 | Dehydration and crushing device for kitchen waste treatment and using method thereof |
CN112403626B (en) * | 2020-12-08 | 2022-06-28 | 深圳茂元环保科技有限公司 | Dehydration crushing device for kitchen waste treatment and use method thereof |
CN115213202A (en) * | 2022-07-14 | 2022-10-21 | 上海海事大学 | Garbage crusher |
CN115213202B (en) * | 2022-07-14 | 2024-04-23 | 上海海事大学 | Garbage crush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32941B1 (en) | A food garbage treating apparatus | |
KR101036488B1 (en) | Food waste disposer with crushing and dehydration for sink | |
KR101438024B1 (en) | apparatus for garbage disposal | |
KR101239581B1 (en) | Food waste disposer | |
KR100267141B1 (en) | Dry processing of food waste and its apparatus | |
KR100676729B1 (en) | A device for recycling a waste | |
KR20150003588U (en) | Apparatus for disposal of garbage | |
KR20130024351A (en) | Apparatus for garbage disposal | |
JP2002018397A (en) | Wet garbage dewatering and drying device | |
KR200379869Y1 (en) | Processing apparatus of the foodstuffs garbage in a sink | |
KR20070082135A (en) | Apparatus for garbage processing | |
KR200410006Y1 (en) | A food garbage treating apparatus | |
KR200341886Y1 (en) | Food-waste treatment apparatus | |
KR20140036486A (en) | Apparatus for vegetable garbage | |
KR100249600B1 (en) | Screw type food wastes compressor | |
KR101020458B1 (en) | Treatment apparatus of food waste | |
KR100947263B1 (en) | Garbage disposal apparatus | |
KR200383227Y1 (en) | Food garbage disposer | |
KR100425758B1 (en) | A waste food disposing apparatus | |
KR20040029353A (en) | A smashing and compressive dehydrator of eating refuse | |
KR200211904Y1 (en) | Device for pulverization and dehydration of trash | |
KR101618250B1 (en) | Dehydration discharge device of sludge | |
KR20200133431A (en) | Food waste structure of food waste disposal device | |
KR100653205B1 (en) | Food-waste treatment apparatus using microwave | |
KR200396787Y1 (en) | Compress screw structure for garbage processing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4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