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5978B1 - 건설폐기물 파쇄 및 분쇄 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건설폐기물 파쇄 및 분쇄 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5978B1
KR101035978B1 KR1020110001470A KR20110001470A KR101035978B1 KR 101035978 B1 KR101035978 B1 KR 101035978B1 KR 1020110001470 A KR1020110001470 A KR 1020110001470A KR 20110001470 A KR20110001470 A KR 20110001470A KR 101035978 B1 KR101035978 B1 KR 101035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construction waste
suction
unit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1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정병
Original Assignee
(주)행복건설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행복건설기계 filed Critical (주)행복건설기계
Priority to KR1020110001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59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5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5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61M35/003Portable hand-held applicators having means for dispensing or spreading integral med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05Materials having antiseptic or antimicrobial properties, e.g. silver compounds, rubber with sterilising ag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 파쇄 및 분쇄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건설폐기물이 공급되는 장소에 설치되고 내부에 수용되는 건설폐기물을 전달하는 공급수단과, 상기 공급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건설폐기물을 선별 스크린의 회전작동을 통해 선별하면서 하부로 이동시키는 두 개 이상의 선별수단과, 상기 선별수단의 수직하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선별 스크린을 거쳐 낙하되는 건설폐기물을 전달하는 제 1 이송수단들과, 상기 제 1 이송수단들을 통해 전달되는 건설폐기물을 공급받아 배출하고 일측에는 상기 건설폐기물과 함께 전달되는 무게가 가벼운 비닐, 섬유, 나무 가지, 플라스틱 등의 건설폐기물을 흡입하는 흡입수단이 장착되는 제 2 이송수단과, 상기 선별수단과 선별수단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선별수단의 선별 스크린에 공기를 분사하여 건설폐기물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수단과, 상기 선별수단들을 통해 선별된 건설폐기물을 공급받아 이송시키는 제 3 이송수단과, 상기 제 3 이송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건설폐기물을 공급받아 전달하고 일측에는 부피가 있는 비닐, 섬유, 나무 가지, 플라스틱 등의 건설폐기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수단이 장착되는 제 4 이송수단과, 상기 제 4 이송수단과 연계되어 교차되게 각각 설치되고 교차부분에는 바람을 이용하여 건설폐기물을 분리할 수 있도록 송풍수단이 설치되는 제 5 이송수단이 장착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설폐기물을 구성하는 돌이나 흙에 혼합된 비닐, 섬유, 나무 가지 등을 선별수단, 흡입수단, 배출수단, 송풍수단을 이용하여 선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과 경비를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설폐기물 파쇄 및 분쇄 처리시스템{Apparatus for separating wastes of sorting machine of reclaimed stones}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 파쇄 및 분쇄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설폐기물에 수용된 혼합물을 선별수단과 흡입수단 및 배출수단을 이용하여 최대한 선별하면서 자동화시스템을 구축하여 생산효율도 높일 수 있도록 한 건설폐기물 파쇄 및 분쇄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시의 재개발과 더불어 건물의 노후 및 기능 저하에 의한 건물의 해체와 도로의 보수가 증가함에 따라 폐 콘크리트나 폐 시멘트, 혹은 건설 쓰레기와 같은 건설폐기물들이 다량으로 배출되고 있다.
이 같은 건설폐기물들은 적절한 처리시스템을 통해 처리되어야함에도 불구하고 불법 매립 및 불법투기 등과 같이 부적절하게 처리됨으로써 환경오염 문제 및 다양한 사회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따라서 다량으로 발생되는 건설폐기물 중에서 불필요한 쓰레기는 분리하여 폐기하고 나머지 자원을 재활용하는 것은 자원 및 에너지 절약 측면뿐만 아니라 환경보호 측면에서도 그 중요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도 건설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대안이나 구조적인 시스템이 잘 갖추어지지 않고 있기에 건설폐기물들이 도로의 기층, 보조기층재, 콘크리트용 골재 및 우수한 도시 기반 형성재로 재활용될 수 있음에도 재활용되지 못하는 실정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건설폐기물을 구성하는 돌이나 흙에 혼합된 비닐, 섬유, 나무 가지 등을 선별수단, 흡입수단, 배출수단, 송풍수단을 이용하여 최대한으로 선별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건설폐기물을 공급하는 공급수단을 개선하여 사용목적과 환경에 따라 건설폐기물을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건설폐기물을 선별하는 선별 스크린에 공기를 공급하여 선별 스크린에 건설폐기물이 고착되거나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건설폐기물 파쇄 및 분쇄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건설폐기물이 공급되는 장소에 설치되고 내부에 수용되는 건설폐기물을 전달하는 공급수단과, 상기 공급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건설폐기물을 선별 스크린의 회전작동을 통해 선별하면서 하부로 이동시키는 두 개 이상의 선별수단과, 상기 선별수단의 수직하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선별 스크린을 거쳐 낙하되는 건설폐기물을 전달하는 제 1 이송수단들과, 상기 제 1 이송수단들을 통해 전달되는 건설폐기물을 공급받아 배출하고 일측에는 상기 건설폐기물과 함께 전달되는 무게가 가벼운 비닐, 섬유, 나무 가지, 플라스틱 등의 건설폐기물을 흡입하는 흡입수단이 장착되는 제 2 이송수단과, 상기 선별수단과 선별수단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선별수단의 선별 스크린에 공기를 분사하여 건설폐기물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수단과, 상기 선별수단들을 통해 선별된 건설폐기물을 공급받아 이송시키는 제 3 이송수단과, 상기 제 3 이송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건설폐기물을 공급받아 전달하고 일측에는 부피가 있는 비닐, 섬유, 나무 가지, 플라스틱 등의 건설폐기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수단이 장착되는 제 4 이송수단과, 상기 제 4 이송수단과 연계되어 교차되게 각각 설치되고 교차부분에는 바람을 이용하여 건설폐기물을 분리할 수 있도록 송풍수단이 설치되는 제 5 이송수단이 장착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설폐기물을 구성하는 돌이나 흙에 혼합된 비닐, 섬유, 나무 가지 등을 선별수단, 흡입수단, 배출수단, 송풍수단을 이용하여 선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과 경비를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건설폐기물을 공급하는 공급수단을 개선하여 사용목적과 환경에 따라 건설폐기물을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건설폐기물을 선별하는 선별 스크린에 공기를 공급하여 선별 스크린에 건설폐기물이 고착되거나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설폐기물의 혼합물을 빠르게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 파쇄 및 분쇄 처리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2 및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 파쇄 및 분쇄 처리시스템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4 및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 파쇄 및 분쇄 처리시스템을 구성하는 공급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 6 및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 파쇄 및 분쇄 처리시스템을 구성하는 선별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 8 및 9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 파쇄 및 분쇄 처리시스템을 구성하는 이송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 파쇄 및 분쇄 처리시스템을 구성하는 흡입수단을 나타낸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 파쇄 및 분쇄 처리시스템을 구성하는 분리수단을 나타낸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 파쇄 및 분쇄 처리시스템을 구성하는 배출수단을 나타낸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 파쇄 및 분쇄 처리시스템을 구성하는 제거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14 및 1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 파쇄 및 분쇄 처리시스템을 송풍수단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 파쇄 및 분쇄 처리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 및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 파쇄 및 분쇄 처리시스템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4 및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 파쇄 및 분쇄 처리시스템을 구성하는 공급수단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 및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 파쇄 및 분쇄 처리시스템을 구성하는 선별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8 및 9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 파쇄 및 분쇄 처리시스템을 구성하는 이송수단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 파쇄 및 분쇄 처리시스템을 구성하는 흡입수단을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 파쇄 및 분쇄 처리시스템을 구성하는 분리수단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 파쇄 및 분쇄 처리시스템을 구성하는 배출수단을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 파쇄 및 분쇄 처리시스템을 구성하는 제거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4 및 1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 파쇄 및 분쇄 처리시스템을 송풍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인 건설폐기물 파쇄 및 분쇄 처리시스템(100)은 건설폐기물(W)이 저장되는 장소에 설치되면서 수용되는 건설폐기물(W)을 전달하는 공급수단(110)과, 상기 공급수단(110)을 통해 공급되는 건설폐기물(W)을 선별하는 두 개 이상의 선별수단(120)과, 상기 선별수단(120)의 수직하부에 각각 설치되고 낙하되는 건설폐기물을 전달하는 제 1 이송수단(130)들과, 상기 제 1 이송수단(130)들을 통해 전달되는 건설폐기물(W)을 공급받아 배출하는 제 2 이송수단(140)과, 상기 제 2 이송수단(140)의 도중에 설치되고 무게가 가벼운 비닐, 섬유, 나무 가지, 플라스틱 등의 건설폐기물(W)을 흡입하는 흡입수단(150)과, 상기 선별수단(120)과 선별수단(120)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선별수단(120)에 공기를 분사하여 건설폐기물(W)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수단(160)과, 상기 선별수단(120)들을 통해 선별된 건설폐기물(W)을 공급받아 이송시키는 제 3 이송수단(170)과, 상기 제 3 이송수단(170)을 통해 공급되는 건설폐기물(W)을 공급받아 전달하는 제 4 이송수단(180)과, 상기 제 4 이송수단(180)의 일측에 장착되고 부피가 있는 비닐, 섬유, 나무 가지, 플라스틱 등의 건설폐기물(W)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수단(190)과, 상기 제 4 이송수단(180)과 연계되어 교차되게 각각 설치되고 선별된 건설폐기물(W)을 배출하는 제 5 이송수단(200)과, 상기 제 4 이송수단(180)과 제 5 이송수단(200)이 교차되는 부분에 설치되고 바람을 이용하여 건설폐기물(W)을 선별하는 송풍수단(210)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건설폐기물 파쇄 및 분쇄 처리시스템(100)은 도시된 도 2 및 3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시된 도 2는 상기 제 4 이송수단(180)과 교차되는 제 3 이송수단(170)의 연장수평선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선별수단(220)과 보조이송수단(230)이 더 장착되고, 상기 제 5 이송수단(200)에는 건설폐기물(W)과 함께 전달되는 무게가 가벼운 비닐, 섬유, 나무 가지 등의 건설폐기물(W)을 흡입하는 보조 흡입수단(240)이 더 장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시된 도 3은 상기 공급수단(110), 선별수단(120), 제 1 이송수단(120), 분리수단(160)은 제 3 이송수단(170)과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제 3 이송수단(170)의 전방에는 보조선별수단(220)과 보조이송수단(230)의 더 장착되며, 상기 선별수단(120)과 보조선별수단(220)의 사이에는 연결이송수단(250)이 더 장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공급수단(110)을 통해 공급되는 건설폐기물(W)은 선별수단(120)을 통해 일차로 선별된 후 상기 보조이송수단(230)과 연결이송수단(250)을 거쳐 상기 선별수단(120)과 다른 크기의 선별공이 형성되는 보조선별수단(220)에 전달되어 한 번더 선별함으로써 선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보조선별수단(220)은 선별수단(120)과, 상기 보조이송수단(230) 및 연결이송수단(250)은 이송수단(130, 140, 170, 180, 200)과, 상기 보조 흡입수단(240)은 흡입수단(150)과 유사하게 구성됨으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건설폐기물(W)이 공급되는 장소에 설치되고 내부에 수용되는 건설폐기물(W)을 전달하는 공급수단(110)은 내부에 건설폐기물(W)이 수용되는 공급 케이스(111)와, 상기 공급 케이스(111)의 하부에 설치되고 건설폐기물(W)을 외부로 배출 및 이송시키는 공급 이송판(113)과, 상기 공급 이송판(113)과 연동작동하는 공급 링크(115)들과, 상기 공급 이송판(113)과 공급 링크(115)들을 회전작동시키는 스프로켓(116) 및 공급 구동부(117)로 구성된다.
즉, 상기 공급수단(110)은 공급 케이스(111)의 내부에 건설폐기물(W)을 수용하면서, 공급 구동부(117)의 구동시 스프로켓(116)이 연동작동하여 공급 링크(115)와 공급 이송판(113)을 회전작동시켜, 상기 공급 케이스(111)의 내부에 수용된 건설폐기물(W)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스프로켓(116)은 기어로 대체될 수 있음을 밝힌다.
그리고 상기 공급 케이스(111)는 소정의 크기와 두께를 가지고 형성되는 다수개의 판을 결합하여 형성되고 전방에는 내부에 수용된 건설폐기물(W)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공간(11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공급 케이스(111)의 하부 설치되는 공급 이송판(113)은 양측에 수직면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면의 사이에는 수평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슈판(114)을 결합하여 형성된다.
즉, 상기 공급 이송판(113)은 슈판(114)의 상부에 안착되는 건설폐기물(W)을 배출공간(112)으로 이동시켜 외부로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공급 링크(115)는 상기 공급 이송판(113)을 구성하는 슈판(114)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연동작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공급 링크(115)들은 슈판(114)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장착되어 회동작동과 함께 연동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공급 이송판(113)과 공급 링크(115)을 회전작동시키는 공급 구동부(117)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제어하는 감속기로 구성된다.
즉, 상기 공급 구동부(117)는 공급 링크(115)들과 체결되는 스프로켓(116)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스프로켓(116)이 공급 링크(115)와 공급 이송판(113)을 회전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공급수단(110)을 통해 공급되는 건설폐기물(W)을 선별 스크린(122)의 회전작동을 통해 선별하면서 하부로 이동시키는 두 개 이상의 선별수단(120)은 다수개의 프레임을 결합하여 형성되는 선별 지지틀(121)과, 상기 선별 지지틀(12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둘레에는 다수개의 선별공(123)들이 형성되는 선별 스크린(122)과, 상기 선별 스크린(122)의 양측 끝단에 위치하는 선별 지지틀(121)에 고정장착되는 선별 고정부(124)와, 상기 선별 스크린(122)의 내부를 관통하여 선별 고정부(124)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선별 회전작동부(125)와, 상기 선별 스크린(122)과 선별 회전작동부(125)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작동시키는 선별 구동부(126)와, 상기 선별 회전작동부(125)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면서 회전작동을 통해 선별 스크린(122)의 내부에 부착된 건설폐기물(W)을 인출갈퀴(128)들과 인출고무판(129)을 통해 제거하는 선별부(127)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선별부(127)의 인출갈퀴(128)들과 인출고무판(129)은 상기 선별 회전작동부(125)의 외주면에 90°간격으로 돌출형성되면서 길이방향으로 교대로 장착된다.
즉, 상기 선별수단(120)은 선별 지지틀(121)의 상부에 원통 형상의 선별 스크린(122)을 장착한 후, 상기 선별 스크린(122)의 일측 상부에 인출갈퀴(128)들과 인출고무판(129)이 장착된 선별 회전작동부(125)를 장착한 다음, 상기 선별 구동부(126)의 작동에 따라 선별 스크린(122)과 선별 회전작동부(125)과 반대로 작동하여, 상기 선별 스크린(122)은 건설폐기물(W)을 선별하고 선별부(127)는 선별 스크린(122)에 부착이나 고착되는 건설폐기물(W)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선별수단(120)의 수직하부에 각각 설치되고 낙하되는 건설폐기물을 전달하는 제 1 이송수단(130)들과, 상기 제 1 이송수단(130)들을 통해 전달되는 건설폐기물(W)을 공급받아 배출하는 제 2 이송수단(140)과, 상기 선별수단(120)들을 통해 선별된 건설폐기물(W)을 공급받아 이송시키는 제 3 이송수단(170)과, 상기 제 3 이송수단(170)을 통해 공급되는 건설폐기물(W)을 공급받아 전달하는 제 4 이송수단(180)과, 상기 제 4 이송수단(180)과 연계되어 교차되게 각각 설치되고 선별된 건설폐기물(W)을 배출하는 제 5 이송수단(200)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상기 제 1, 2, 3, 4, 5 이송수단(130, 140, 170, 180, 200)은 소정의 높이와 길이를 가지도록 다수개의 프레임을 결합하여 형성되는 프레임 틀(131, 141, 171, 181, 201)과, 상기 프레임 틀(131, 141, 171, 181, 201)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경사지게 대칭설치되는 상부 롤러(132, 142, 172, 182, 202)들과, 상기 프레임 틀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하부 롤러(133, 143, 173, 183, 203)들과, 상기 상부 롤러(132, 142, 172, 182, 202)와 하부 롤러(133, 143, 173, 183, 203)를 따라 회전작동하는 이송벨트(134, 144, 174, 184, 204)와, 상기 프레임 틀(131, 141, 171, 181, 201)의 상부와 하부에 장착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를 회전작동시키는 구동모터로 구성되는 작동부(135, 145, 175, 185, 20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제 1, 2, 3, 4, 5 이송수단(130, 140, 170, 180, 200)은 작동부(135, 145, 175, 185, 205)의 작동시 이송벨트(134, 144, 174, 184, 204)가 상부 롤러(132, 142, 172, 182, 202)와 하부 롤러(133, 143, 173, 183, 203)를 따라 회전작동하면서 건설폐기물(W)을 이송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 2 이송수단(140)의 도중에 설치되고 무게가 가벼운 비닐, 섬유, 나무 가지, 플라스틱 등의 건설폐기물(W)을 흡입하는 흡입수단(150)은 흡입 케이스(151)와, 상기 흡입 케이스(15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흡입 회전부(153)와, 상기 흡입 회전부(153)에 장착되어 건설폐기물(W)을 선별하는 흡입 선별부(152)와, 상기 흡입 회전부(153)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흡입 회전구동부(154)와, 상기 흡입 선별부(152)를 통해 전달되는 건설폐기물(W)을 흡입하는 흡입부(155)와, 상기 흡입부(155)를 통해 공급되는 건설폐기물(W)을 수집하는 집진기(156)와, 상기 흡입부(155)를 통해 건설폐기물(W)을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 구동부(157)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 케이스(151)는 제 2 이송수단(140)을 구성하는 이송벨트(144)의 일측 상부를 감싸고 상부에는 간격을 두고 두 개의 연결공(151a)이 형성된다.
즉, 상기 흡입 케이스(151)는 외부의 영향을 최대한으로 줄이면서 이송 벨트(144)를 따라 이동하는 건설폐기물(W)을 흡입할 수 있도록 외면을 폐쇄하면서 하부를 개방하고 상부에는 경사면을 형성하면서 상면에 건설폐기물(W)이 배출될 수 있도록 두 개의 연결공(151a)을 형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흡입 케이스(151)에 형성되는 연결공(151a)의 개수는 사용목적과 환경에 따라 한 개 또는 다수개수로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또한, 상기 흡입 선별부(152)는 흡입 회전부(153)의 회전작동시 연동작동하면서 선별갈퀴(152a)들을 이용하여 부피가 있으면서 무게가 가벼운 비닐, 섬유, 나무 가지 등의 건설폐기물(W)을 흡입 케이스(151)의 상부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흡입 케이스(151)의 외부에 장착되고 흡입 회전부(153)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흡입 회전구동부(154)는 모터와 감속기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흡입 회전부(153)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흡입 케이스(151)의 연결공(151a)에 결합되는 흡입부(155)는 흡입 선별부(152)의 선별갈퀴(152a)를 통해 전달되는 건설폐기물(W)을 흡입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흡입부(155)의 개수는 흡입 케이스(151)에 형성되는 연결공(151a)의 개수를 따라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부(155)를 통해 전달되는 건설폐기물(W)을 연결배관(156a)과 연결부(156b)을 통해 공급받아 수집하는 집진기(156)는 기존의 공지된 기술을 택일하여 구성되고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집진기(156)의 연결부(156b)와 결합되는 흡입 구동부(157)는 상기 흡입부(155)를 통해 건설폐기물(W)을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력을 제공한다.
상기 선별수단(120)과 선별수단(120)의 사이에 설치되는 분리수단(160)은 외부공기를 유입하는 분리 구동부(161)와, 상기 분리 구동부(161)를 통해 전달되는 공기를 분할전달하는 분리 케이스(162)와, 상기 분리 케이스(162)에 각각 장착되고 공기를 전달하는 분리 연결배관(163)과, 상기 분리 연결배관(163)의 끝단에 결합되고 상기 선별 스크린(122)에 공기를 분사하는 분리 배출구(165)로 구성된다.
즉, 상기 분리수단(160)은 선별수단(120)과 선별수단(120)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선별수단(120)의 선별 스크린(122)과 선별공(123)에 공기를 분사하여 부착되는 건설폐기물(W)을 제거하면서도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분리 구동부(161)는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61c)와, 상기 흡입구(161c)에 장착되는 흡입팬(161b)과, 상기 흡입팬(161b)을 가동시키는 모터(161a)로 구성되어, 상기 모터(161a)의 구동시 연동작동하는 흡입팬(161b)을 이용하여 흡입구(161c)를 통해 외부공기를 유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분리 구동부(161)를 통해 전달되는 공기를 수용한 후 전달하는 분리 케이스(162)는 내부에 수용되는 공기를 전달받아 분할배출할 수 있도록 분배기(162a)가 장착된다.
즉, 상기 분리 케이스(162)는 분리 구동부(161)를 통해 전달되는 공기를 분배기(162a)를 통해 분할전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분리 케이스(162)의 상부 양측에 연통가능하게 각각 장착되는 분리 연결배관(163)은 일측에 공기조절밸브(164)를 각각 장착하여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분리 연결배관(163)의 끝단에 결합되는 분리 배출구(165)는 상기 선별수단(120)의 선별 스크린(122)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연결배관(163)을 통해 전달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선별 스크린(122)과 선별공(123)에 부착된 건설폐기물(W)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제 4 이송수단(180)의 일측에 장착되고 부피가 있는 비닐, 섬유, 나무 가지, 플라스틱 등의 건설폐기물(W)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수단(190)은 연통공(191a)이 구비된 배출 케이스(191)와, 상기 배출 케이스(191)의 내부에 장착되는 배출 회전부(192)와, 상기 배출 회전부(192)에 장착되면서 상기 이송 벨트(184)를 따라 이동하는 건설폐기물(W) 중 부피가 있는 비닐, 섬유, 나무 가지 등을 연통공(191a)으로 안내하여 배출하는 배출 선별부(193) 등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배출수단(190)은 상기 제 4 이송수단(180)을 구성하는 이송벨트(184)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 회전부(192)의 회전작동에 따라 배출 선별부(193)가 연동작동하여 상기 이송벨트(184)를 따라 이동하는 부피가 있는 건설폐기물(W)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출 케이스(191)의 내부에 이송 벨트(184)와 교차되게 설치되는 배출 회전부(192)는 구동모터(192a)와,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회전기어(192b)와, 상기 구동모터(192a)의 작동시 회전기어(192b)를 따라 회전작동하는 체인(192c)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배출 선별부(193)는 배출 회전부(192)의 체인(192c)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연결판(193a)과 상기 연결판(193a)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인출갈퀴(193b)들로 구성된다.
즉, 상기 배출 선별부(193)는 체인(192c)과 함께 연동작동하는 연결판(193a) 및 인출갈퀴(193b)들을 이용하여 상기 이송 벨트(184)를 따라 이동하는 부피가 있는 비닐, 섬유, 나무 가지 등의 건설폐기물(W)을 연통공(191a)으로 안내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배출 선별부(193)를 구성하는 인출갈퀴(193b)를 대신하여 제거판(194)이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거판(194)은 연결판(193a)에 고정장착되는 고정부(194a)와, 상기 고정부(194a)의 전방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전면 경사부(194b)와, 상기 고정부(194a)의 후방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건설폐기물(W)을 연통공(191a)으로 이송시키는 후면 이송부(194c)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전면 경사부(194b)와 후면 이송부(194c)의 일측이나 양측 끝단에는 수용되는 건설폐기물(W)이 제거판(194)의 외부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연결막이 더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제 4 이송수단(180)과 제 5 이송수단(200)이 교차되는 부분에 설치되고 바람을 이용하여 건설폐기물(W)을 선별하는 송풍수단(210)은 송풍 케이스(211)와, 상기 이송벨트(184)를 따라 공급되는 건설폐기물(W)을 선별하는 송풍 선별부(212)와, 상기 송풍 선별부(212)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송풍 구동부(213)와, 상기 송풍 케이스(211)에 바람을 공급하는 송풍팬(214) 등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송풍수단(210)은 이송벨트(184)를 따라 낙하되는 건설폐기물(W)을 송풍 선별부(212)와 송풍팬(214)을 이용하여 분리한 후 교차되게 설치되는 두 개의 제 5 이송수단(200)에 각각 전달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송풍 케이스(211)는 내부 중앙에 형성되는 연결통로(211a)를 기준으로 전방에 제 1 배출공간(211b)이 형성되고, 후방에는 제 2 배출공간(211c)이 형성되며, 전면 하부에는 제 1 배출공간(211b)과 연통되는 유입공(211d)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송풍 케이스(211)의 제 1 배출공간(211b)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송풍 선별부(212)는 회전축(212a)과 상기 회전축(212a)의 외면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선별갈퀴(212b)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214)은 송풍 케이스(211)의 전면에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유입공(211d)에 바람을 공급하여, 상기 송풍 선별부(212)를 통해 선별된 건설폐기물(W) 중 무게가 가벼운 비닐, 천, 나무 가지 등을 상기 제 2 배출공간(211c)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건설폐기물 파쇄 및 분쇄 처리시스템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정의 크기와 두께를 가지고 형성되는 다수개의 판을 결합하여 형성되고 전방에는 배출공간(112)이 형성되는 공급 케이스(111)와, 상기 공급 케이스(111)의 하부에 다수개의 슈판(114)을 결합하여 설치되고 상기 공급 케이스(111)의 내부에 수용되는 건설폐기물(W)을 배출공간(112)으로 이송시키는 공급 이송판(113)과, 상기 공급 이송판(113)을 구성하는 슈판(114)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공급 링크(115)들과, 상기 공급 링크(115)과 체결되면서 공급 이송판(113)과 공급 링크(115)를 함께 회전작동시키는 스프로켓(116) 또는 회동기어와, 상기 스프로켓(116) 또는 회동기어를 구동시키는 감속기와 모터로 구성되는 공급 구동부(117)로 구성되는 공급수단(110)을 구성한다.
이때, 상기 공급수단(110)은 선별수단(120)과 같은 개수로 형성되거나 하나로 구성되어 상기 선별수단(120)에 공급될 수 있음을 밝힌다.
그리고 상기 공급수단(110)의 전방으로 다수개의 프레임을 결합하여 형성되는 선별 지지틀(121)과, 상기 선별 지지틀(12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둘레에는 다수개의 선별공(123)들이 형성되는 선별 스크린(122)과, 상기 선별 스크린(122)의 양측 끝단에 위치하는 선별 지지틀(121)에 고정장착되는 선별 고정부(124)와, 상기 선별 스크린(122)의 내부를 관통하여 선별 고정부(124)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선별 회전작동부(125)와, 상기 선별 스크린(122)과 선별 회전작동부(125)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작동시키는 선별 구동부(126)와, 상기 선별 회전작동부(125)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면서 회전작동을 통해 선별 스크린(122)의 내부에 부착된 건설폐기물(W)을 인출갈퀴(128)들과 인출고무판(129)을 통해 제거하는 선별부(127)로 구성되는 두 개의 선별수단(120)을 간격을 두고 설치한다.
이때, 상기 선별 수단(120)은 건설폐기물(W)이 하부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선별수단(120)과 선별수단(120)의 사이에 모터(161a)의 구동시 연동작동하는 흡입팬(161b)을 이용하여 흡입구(161c)를 통해 외부공기를 유입하는 분리 구동부(161)와, 상기 분리 구동부(161)의 흡입팬(161b)을 통해 전달되는 공기를 수용한 후 분배기(162a)를 통해 분할전달하는 분리 케이스(162)와, 상기 분리 케이스(162)의 상부 양측에 연통가능하게 각각 장착되고 일측에는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공기조절밸브(164)가 각각 장착되는 분리 연결배관(163)과, 상기 분리 연결배관(163)의 끝단에 결합되고 상기 선별수단(120)의 선별 스크린(122)에 길이방향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건설폐기물(W)을 선별 스크린(122)에서 제거하는 분리 배출구(165)로 구성되는 분리수단(160)을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선별수단(120)의 하부에 소정의 높이와 길이를 가지도록 다수개의 프레임을 결합하여 형성되는 프레임 틀(131)과, 상기 프레임 틀(131)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경사지게 대칭설치되는 상부 롤러(132)들과, 상기 프레임 틀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하부 롤러(133)들과, 상기 상부 롤러(132)와 하부 롤러(133)를 따라 회전작동하는 이송벨트(134)와, 상기 프레임 틀(131)의 상부와 하부에 장착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를 회전작동시키는 구동모터로 구성되는 작동부(135)로 구성되는 제 1 이송수단(130)을 각각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이송수단(130)의 끝단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높이와 길이를 가지도록 다수개의 프레임을 결합하여 형성되는 프레임 틀(141)과, 상기 프레임 틀(141)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경사지게 대칭설치되는 상부 롤러(142)들과, 상기 프레임 틀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하부 롤러(143)들과, 상기 상부 롤러(142)와 하부 롤러(143)를 따라 회전작동하는 이송벨트(144)와, 상기 프레임 틀(141)의 상부와 하부에 장착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를 회전작동시키는 구동모터로 구성되는 작동부(145)로 구성되는 제 2 이송수단(140)을 각각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이송수단(140)을 구성하는 이송벨트(144)의 일측으로 간격을 두고 두 개의 연결공(151a)이 형성되는 흡입 케이스(151)와, 상기 흡입 케이스(151)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한 개 이상 설치되면서 흡입 회전부(153)의 회전작동시 연동작동하여 선별갈퀴(152a)들을 이용하여 상기 이송벨트(144)를 따라 이동되는 부피가 있는 비닐, 섬유, 나무 가지 등의 건설폐기물(W)을 상부로 이송시키는 흡입 선별부(152)와, 상기 흡입 케이스(151)의 외부에 장착되고 상기 흡입 회전부(153)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흡입 회전구동부(154)와, 상기 흡입 케이스(151)의 연결공(151a)에 결합되면서 상기 흡입 선별부(152)의 선별갈퀴(152a)들을 통해 상부로 전달되는 건설폐기물(W)을 흡입하는 흡입부(155)와, 상기 흡입부(155)를 통해 전달되는 건설폐기물(W)을 연결배관(156a)과 연결부(156b)을 통해 공급받아 수집하는 집진기(156)와, 상기 집진기(156)의 연결부(156b)와 결합되면서 상기 흡입부(155)를 통해 건설폐기물(W)을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 구동부(157)로 구성되는 흡입수단(150)을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선별수단(120)의 전방으로 소정의 높이와 길이를 가지도록 다수개의 프레임을 결합하여 형성되는 프레임 틀(171)과, 상기 프레임 틀(171)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경사지게 대칭설치되는 상부 롤러(172)들과, 상기 프레임 틀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하부 롤러(173)들과, 상기 상부 롤러(172)와 하부 롤러(173)를 따라 회전작동하는 이송벨트(174)와, 상기 프레임 틀(171)의 상부와 하부에 장착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를 회전작동시키는 구동모터로 구성되는 작동부(175)로 구성되는 제 3 이송수단(170)을 각각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제 3 이송수단(170)의 끝단 교차방향으로 다수개의 프레임을 결합하여 형성되는 프레임 틀(181)과, 상기 프레임 틀(181)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경사지게 대칭설치되는 상부 롤러(182)들과, 상기 프레임 틀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하부 롤러(183)들과, 상기 상부 롤러(182)와 하부 롤러(183)를 따라 회전작동하는 이송벨트(184)와, 상기 프레임 틀(181)의 상부와 하부에 장착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를 회전작동시키는 구동모터로 구성되는 작동부(185)로 구성되는 제 4 이송수단(180)을 각각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4 이송수단(180)을 구성하는 이송벨트(184)의 일측으로 하부 일측에 여과된 건설폐기물(W)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연통공(191a)이 형성되는 배출 케이스(191)와, 상기 배출 케이스(191)의 내부에 이송 벨트(184)와 교차되게 설치되고, 구동모터(192a)의 구동시 연동작동하는 회전기어(192b)들을 따라 이동하는 회전작동하는 체인(192c)으로 구성되는 배출 회전부(192)와, 상기 배출 회전부(192)의 체인(192c)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연결판(193a)에 인출갈퀴(193b)들을 장착하여 상기 이송 벨트(184)를 따라 이동하는 부피가 있는 비닐, 섬유, 나무 가지 등의 건설폐기물(W)을 연통공(191a)으로 안내하는 배출 선별부(193)으로 구성되는 배출수단(190)을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제 4 이송수단(180)의 끝단으로 교차되게 다수개의 프레임을 결합하여 형성되는 프레임 틀(201)과, 상기 프레임 틀(201)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경사지게 대칭설치되는 상부 롤러(202)들과, 상기 프레임 틀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하부 롤러(203)들과, 상기 상부 롤러(202)와 하부 롤러(203)를 따라 회전작동하는 이송벨트(204)와, 상기 프레임 틀(201)의 상부와 하부에 장착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를 회전작동시키는 구동모터로 구성되는 작동부(205)로 구성되는 제 5 이송수단(200)을 각각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4 이송수단(180)과 제 5 이송수단(200)이 교차되는 부분에 바람을 이용하여 건설폐기물(W)을 선별하는 송풍수단(210)은 송풍 케이스(211)와, 상기 이송벨트(184)를 따라 공급되는 건설폐기물(W)을 선별하는 송풍 선별부(212)와, 상기 송풍 선별부(212)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송풍 구동부(213)와, 상기 송풍 케이스(211)에 바람을 공급하는 송풍팬(214)으로 구성되는 송풍수단(210)을 장착하면 건설폐기물 파쇄 및 분쇄 처리시스템(10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건설폐기물 파쇄 및 분쇄 처리시스템의 조립 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건설폐기물 파쇄 및 분쇄 처리시스템을 이용하여 건설폐기물을 선별하고자 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공급 케이스(111)의 내부에 건설폐기물(W)을 공급한 후, 상기 공급 구동부(117)와 스프로켓(116)을 이용하여 공급 링크(115)와 공급 이송판(113)을 연동작동시켜, 상기 공급 이송판(113)의 상부에 안착되는 건설폐기물(W)을 배출공간(112)으로 연속해서 이송시킨다.
그리고 상기 공급 케이스(111)의 배출공간(112)을 통해 이송된 건설폐기물(W)은 두 개의 선별수단(120)에 각각 공급되어 선별과정을 거치게 된다.
즉, 상기 선별 스크린(122)의 내부에 공급되는 건설폐기물(W)은 회전작동하는 선별 스크린(122)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선별공(123)보다 작은 건설폐기물(W)은 하부로 낙하시켜 제 1 이송수단(130)에 전달하고 상기 선별공(123)보다 큰 건설폐기물(W)은 하부로 낙하시켜 제 3 이송수단(170)에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선별 스크린(122)은 반대로 회전작동하는 선별부(127)의 인출갈퀴(128)들과 인출고무판(129)을 통해 선별 스크린(122)에 건설폐기물(W)이 부착되거나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선별 스크린(122)은 분리수단(160)의 분리 배출구(165)를 통해 배출되는 바람을 통해 건설폐기물(W)이 선별 스크린(122)에 부착되거나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선별 스크린(122)에서 낙하되어 상기 제 1 이송수단(130)의 이송벨트(134)를 따라 제 2 이송수단(140)에 전달된 건설폐기물(W)은 이송벨트(144)를 따라 외부에 적층되되, 상기 건설폐기물(W) 중 무게가 가벼운 비닐, 섬유, 나무 가지 등은 흡입수단(150)을 통해 집진기 수집된다.
즉, 상기 이송벨트(144)를 따라 이동되는 건설폐기물(W) 중 무게가 가벼운 비닐, 섬유, 나무 가지 등은 흡입 케이스(151)의 내부에 회전 작동하는 흡입 선별부(152)의 선별갈퀴(152a)를 통해 상부로 이동시킨 후, 상기 흡입 구동부(157)를 통해 전달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흡입부(155)를 통해 건설폐기물(W)을 흡입한 한 다음, 흡입 집진기(156)에 건설폐기물(W)을 수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선별수단(120)을 거쳐 제 3 이송수단(170)으로 전달된 건설폐기물(W)은 이송벨트(174)를 따라 제 4 이송수단(180)으로 이송된 후 상기 제 4 이송수단(180)의 이송벨트(184)를 따라 제 5 이송수단(200)으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제 4 이송수단(180)의 이송벨트(184)를 따라 이동되는 건설폐기물(W) 중 부피가 있는 건설폐기물(W)은 배출수단(190)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배출 케이스(191)의 내부를 통과하는 건설폐기물(W) 중 부피가 있는 비닐, 섬유, 나무 가지 등은 상기 배출 회전부(192)를 따라 이동하는 배출 선별부(193)의 인출갈퀴(193b)들을 통해 배출 케이스(191)의 연통공(191a)으로 이동된 후 외부로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 4 이송수단(180)과 제 5 이송수단(200)이 교차되는 부분에 전달되는 건설폐기물(W)은 송풍수단(210)을 거쳐 외부로 이송벨트(204)를 따라 외부에 적층되는 것이다.
즉, 상기 송풍수단(210)은 이송벨트(184)를 따라 낙하되는 건설폐기물(W)을 송풍 선별부(212)와 송풍팬(214)을 이용하여 분리한 후 교차되게 설치되는 두 개의 제 5 이송수단(200)에 각각 전달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건설폐기물 파쇄 및 분쇄 처리시스템(100)은 건설폐기물(W)에 수용된 혼합물을 선별수단과 흡입수단 및 배출수단을 이용하여 선별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얻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건설폐기물 파쇄 및 분쇄 처리시스템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건설폐기물 파쇄 및 분쇄 처리시스템,
110 : 공급수단, 111 : 공급 케이스,
112 : 배출공간, 113 : 공급 이송판,
114 : 슈판, 115 : 공급 링크,
116 : 스프로켓 또는 회동기어와, 120 : 선별수단,
121 : 선별 지지틀, 122 : 선별 스크린,
123 : 선별공, 124 : 선별 고정부,
125 : 선별 회전작동부, 126 : 선별 구동부,
127 : 선별부, 130 : 제 1 이송수단,
140 : 제 2 이송수단, 150 : 흡입수단,
151 : 흡입 케이스, 152 : 흡입 선별부,
153 : 흡입 회전부, 154 : 흡입 회전구동부,
155 : 흡입부, 156 : 집진기,
157 : 흡입 구동부, 160 : 분리수단,
161 : 분리 구동부, 162 : 분리 케이스,
163 : 분리 연결배관, 164 : 공기조절밸브,
165 : 분리 배출구, 170 : 제 3 이송수단,
180 : 제 4 이송수단, 190 : 배출수단,
191 : 배출 케이스, 192 : 배출 회전부,
193 : 배출 선별부, 200 : 제 5 이송수단,
210 : 송풍수단, 220 : 보조선별수단,
230 : 보조이송수단, 240 : 보조 흡입수단.

Claims (8)

  1. 건설폐기물 파쇄 및 분쇄 처리시스템(100)에 있어서,
    건설폐기물(W)이 공급되는 장소에 설치되고 내부에 수용되는 건설폐기물(W)을 전달하는 공급수단(110)과,
    상기 공급수단(110)을 통해 공급되는 건설폐기물(W)을 선별 스크린(122)의 회전작동을 통해 선별하면서 하부로 이동시키는 두 개 이상의 선별수단(120)과,
    상기 선별수단(120)의 수직하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선별 스크린(122)을 거쳐 낙하되는 건설폐기물을 전달하는 제 1 이송수단(130)들과,
    상기 제 1 이송수단(130)들을 통해 전달되는 건설폐기물(W)을 공급받아 배출하고 일측에는 상기 건설폐기물(W)과 함께 전달되는 무게가 가벼운 비닐, 섬유, 나무 가지, 플라스틱 등의 건설폐기물(W)을 흡입하는 흡입수단(150)이 장착되는 제 2 이송수단(140)과,
    상기 선별수단(120)과 선별수단(120)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선별수단(120)의 선별 스크린(122)에 공기를 분사하여 건설폐기물(W)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수단(160)과,
    상기 선별수단(120)들을 통해 선별된 건설폐기물(W)을 공급받아 이송시키는 제 3 이송수단(170)과,
    상기 제 3 이송수단(170)을 통해 공급되는 건설폐기물(W)을 공급받아 전달하고 일측에는 부피가 있는 비닐, 섬유, 나무 가지, 플라스틱 등의 건설폐기물(W)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수단(190)이 장착되는 제 4 이송수단(180)과,
    상기 제 4 이송수단(180)과 연계되어 교차되게 각각 설치되고 교차부분에는 바람을 이용하여 건설폐기물(W)을 분리할 수 있도록 송풍수단(210)이 설치되는 제 5 이송수단(200)이 장착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파쇄 및 분쇄 처리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단(110), 선별수단(120), 제 1 이송수단(120), 분리수단(160)은 제 3 이송수단(170)과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제 3 이송수단(170)의 전방에는 보조선별수단(220)과 보조이송수단(230)의 더 장착되며, 상기 선별수단(120)과 보조선별수단(220)의 사이에는 연결이송수단(250)이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파쇄 및 분쇄 처리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단(110)은,
    소정의 크기와 두께를 가지고 형성되는 다수개의 판을 결합하여 형성되고 전방에는 배출공간(112)이 형성되는 공급 케이스(111)와,
    상기 공급 케이스(111)의 하부에 다수개의 슈판(114)을 결합하여 설치되고 상기 공급 케이스(111)의 내부에 수용되는 건설폐기물(W)을 배출공간(112)으로 이송시키는 공급 이송판(113)과,
    상기 공급 이송판(113)을 구성하는 슈판(114)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공급 링크(115)들과,
    상기 공급 링크(115)과 체결되면서 공급 이송판(113)과 공급 링크(115)를 함께 회전작동시키는 스프로켓(116) 또는 회동기어와,
    상기 스프로켓(116) 또는 회동기어를 구동시키는 감속기와 모터로 구성되는 공급 구동부(1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파쇄 및 분쇄 처리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별수단(120)은,
    다수개의 프레임을 결합하여 형성되는 선별 지지틀(121)과,
    상기 선별 지지틀(12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둘레에는 다수개의 선별공(123)들이 형성되는 선별 스크린(122)과,
    상기 선별 스크린(122)의 양측 끝단에 위치하는 선별 지지틀(121)에 고정장착되는 선별 고정부(124)와,
    상기 선별 스크린(122)의 내부를 관통하여 선별 고정부(124)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선별 회전작동부(125)와,
    상기 선별 스크린(122)과 선별 회전작동부(125)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작동시키는 선별 구동부(126)와,
    상기 선별 회전작동부(125)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면서 회전작동을 통해 선별 스크린(122)의 내부에 부착된 건설폐기물(W)을 인출갈퀴(128)들과 인출고무판(129)을 통해 제거하는 선별부(12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파쇄 및 분쇄 처리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입수단(150)은,
    상기 제 2 이송수단(140)을 구성하는 이송벨트(144)의 일측 상부를 감싸고 상부에는 간격을 두고 두 개의 연결공(151a)이 형성되는 흡입 케이스(151)와,
    상기 흡입 케이스(151)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한 개 이상 설치되면서 흡입 회전부(153)의 회전작동시 연동작동하여 선별갈퀴(152a)들을 이용하여 상기 이송벨트(144)를 따라 이동되는 부피가 있는 비닐, 섬유, 나무 가지 등의 건설폐기물(W)을 상부로 이송시키는 흡입 선별부(152)와,
    상기 흡입 케이스(151)의 외부에 장착되고 상기 흡입 회전부(153)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흡입 회전구동부(154)와,
    상기 흡입 케이스(151)의 연결공(151a)에 결합되면서 상기 흡입 선별부(152)의 선별갈퀴(152a)들을 통해 상부로 전달되는 건설폐기물(W)을 흡입하는 흡입부(155)와,
    상기 흡입부(155)를 통해 전달되는 건설폐기물(W)을 연결배관(156a)과 연결부(156b)을 통해 공급받아 수집하는 집진기(156)와,
    상기 집진기(156)의 연결부(156b)와 결합되면서 상기 흡입부(155)를 통해 건설폐기물(W)을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 구동부(15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파쇄 및 분쇄 처리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리수단(160)은,
    모터(161a)의 구동시 연동작동하는 흡입팬(161b)을 이용하여 흡입구(161c)를 통해 외부공기를 유입하는 분리 구동부(161)와,
    상기 분리 구동부(161)의 흡입팬(161b)을 통해 전달되는 공기를 수용한 후 분배기(162a)를 통해 분할전달하는 분리 케이스(162)와,
    상기 분리 케이스(162)의 상부 양측에 연통가능하게 각각 장착되고 일측에는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공기조절밸브(164)가 각각 장착되는 분리 연결배관(163)과,
    상기 분리 연결배관(163)의 끝단에 결합되고 상기 선별수단(120)의 선별 스크린(122)에 길이방향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건설폐기물(W)을 선별 스크린(122)에서 제거하는 분리 배출구(16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파쇄 및 분쇄 처리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190)은,
    상기 제 4 이송수단(180)을 구성하는 이송 벨트(184)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고 하부 일측에는 여과된 건설폐기물(W)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연통공(191a)이 형성되는 배출 케이스(191)와,
    상기 배출 케이스(191)의 내부에 이송 벨트(184)와 교차되게 설치되고, 구동모터(192a)의 구동시 연동작동하는 회전기어(192b)들을 따라 이동하는 회전작동하는 체인(192c)으로 구성되는 배출 회전부(192)와,
    상기 배출 회전부(192)의 체인(192c)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연결판(193a)에 인출갈퀴(193b)들을 장착하여 상기 이송 벨트(184)를 따라 이동하는 부피가 있는 비닐, 섬유, 나무 가지 등의 건설폐기물(W)을 연통공(191a)으로 안내하는 배출 선별부(19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파쇄 및 분쇄 처리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 선별부(193)를 구성하는 인출갈퀴(193b)를 대신하여 제거판(194)이 장착되되,
    상기 제거판(194)은 연결판(193a)에 고정장착되는 고정부(194a)와, 상기 고정부(194a)의 전방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전면 경사부(194b)와, 상기 고정부(194a)의 후방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건설폐기물(W)을 연통공(191a)으로 이송시키는 후면 이송부(194c)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파쇄 및 분쇄 처리시스템.
KR1020110001470A 2011-01-06 2011-01-06 건설폐기물 파쇄 및 분쇄 처리시스템 KR101035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1470A KR101035978B1 (ko) 2011-01-06 2011-01-06 건설폐기물 파쇄 및 분쇄 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1470A KR101035978B1 (ko) 2011-01-06 2011-01-06 건설폐기물 파쇄 및 분쇄 처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5978B1 true KR101035978B1 (ko) 2011-05-23

Family

ID=44366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1470A KR101035978B1 (ko) 2011-01-06 2011-01-06 건설폐기물 파쇄 및 분쇄 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597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5895B1 (en) 2002-07-24 2003-06-02 Seo Won Environ Ment Co Ltd Apparatus for sorting construction waste
KR20100053953A (ko) * 2008-11-13 2010-05-24 주식회사 성철환경개발 건설 폐기물의 선별 분리장치
KR100988351B1 (ko) 2010-05-07 2010-10-18 (주)행복건설기계 건설폐기물 선별장치용 상부스크린 폐기물 분리수단
KR100993618B1 (ko) 2010-05-07 2010-11-11 (주)행복건설기계 건설폐기물 이송 컨베이어용 폐기물 흡입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5895B1 (en) 2002-07-24 2003-06-02 Seo Won Environ Ment Co Ltd Apparatus for sorting construction waste
KR20100053953A (ko) * 2008-11-13 2010-05-24 주식회사 성철환경개발 건설 폐기물의 선별 분리장치
KR100988351B1 (ko) 2010-05-07 2010-10-18 (주)행복건설기계 건설폐기물 선별장치용 상부스크린 폐기물 분리수단
KR100993618B1 (ko) 2010-05-07 2010-11-11 (주)행복건설기계 건설폐기물 이송 컨베이어용 폐기물 흡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094141A1 (zh) 一种建筑垃圾分选系统
CN107282175A (zh) 一种建筑垃圾破碎处理用运输磁选设备
KR101223668B1 (ko)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KR101516568B1 (ko) 가연성 이물질 건식타격 선별장치
KR20110077796A (ko) 인조잔디 회수기
CN110090712B (zh) 处理建筑垃圾用的分拣装置及建筑垃圾再利用系统及方法
KR101136047B1 (ko) 토사와 골재에 혼재된 이물질 분리 선별장치
KR20090098463A (ko) 폐토사의 재생장치
KR20120084825A (ko)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
KR100694234B1 (ko) 폐기물 선별기의 스크린망 막힘 방지장치
KR101346354B1 (ko) 매립토사의 이물질 선별시스템
US3477649A (en) Solid waste reclaiming method and system
KR101035978B1 (ko) 건설폐기물 파쇄 및 분쇄 처리시스템
KR200409534Y1 (ko) 고효율 순환식 골재 세척 및 이물질 제거장치
KR100881454B1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JP3163451U (ja) 風力選別装置
KR20070052104A (ko) 고효율 순환식 골재 세척 및 이물질 제거장치
NO175461B (no) Innretning for sortering av söppel etter byggearbeider
CN115672734A (zh) 一种用于陈腐垃圾的三级筛分系统
CN214132654U (zh) 一种沙土分离机构
KR0123017B1 (ko) 폐건축물의 분리방법 및 장치
KR100374983B1 (ko) 건축폐기물의 토사 내에 포함된 이물질 제거장치
KR100404147B1 (ko) 쓰레기 분리용 선별장치
CN207857518U (zh) 一种生活垃圾卫生填埋场垃圾综合处理系统
KR101077917B1 (ko) 쓰레기 흡입선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