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5230B1 - 바이오 광검출부를 이용한 시료측정장치 - Google Patents

바이오 광검출부를 이용한 시료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5230B1
KR101035230B1 KR1020090023421A KR20090023421A KR101035230B1 KR 101035230 B1 KR101035230 B1 KR 101035230B1 KR 1020090023421 A KR1020090023421 A KR 1020090023421A KR 20090023421 A KR20090023421 A KR 20090023421A KR 101035230 B1 KR101035230 B1 KR 101035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plate
main body
fixing plate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3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4784A (ko
Inventor
유범상
주흥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엑스엘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엑스엘,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엑스엘
Priority to KR1020090023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5230B1/ko
Publication of KR20100104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4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5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5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5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 G01N21/3577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for analysing liquids, e.g. polluted 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55Specular reflectivity
    • G01N21/552Attenuated total reflection
    • G01N21/553Attenuated total reflection and using surface plasm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Optical Measuring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플라즈몬 공명현상을 이용하여 시료의 성분을 측정하는 바이오 광검출부를 이용한 시료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료용액의 성분을 측정하기 위한 항체, 시약 등의 바이오 리셉터가 카트리지의 유통 및 보관 중 오염 및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카트리지의 삽입 및 인출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셀 블록을 수밀한 상태로 바이오 리셉터가 고정된 금속막에 밀착시켜 공기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바이오 광검출부를 이용한 시료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면플라즈몬 공명, SPR, 카트리지

Description

바이오 광검출부를 이용한 시료측정장치{DEVICE FOR MEASURING TEST FLUID USING BIO PHOTO-DETECTOR}
본 발명은 표면플라즈몬 공명현상을 이용하여 시료의 성분을 측정하는 바이오 광검출부를 이용한 시료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료용액의 성분을 측정하기 위한 항체, 시약 등의 바이오 리셉터가 카트리지의 유통 및 보관 중 오염 및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카트리지의 삽입 및 인출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셀 블록을 수밀한 상태로 바이오 리셉터가 고정된 금속막에 밀착시켜 공기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바이오 광검출부를 이용한 시료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1960년대 말 Kretschmann이 프리즘을 이용하여 표면 플라즈몬 공명 현상(SPR: surface plasmon resonance)을 측정한 이래로 표면 플라즈몬 공명 현상에 기초한 수많은 물리, 화학 및 생물학적 물질을 측정하는 SPR 센서들이 개발되었다.
현재 표면 플라즈몬 공명 현상을 이용하는 상용 계측 장치 및 시스템들이 Biacore, Texas Instruments, GWC Technologies, 및 HTS Biosystems 사 등에서 제조 및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상용 계측 시스템들은 고가이고, 부피가 크므로 표면 플라즈몬 공명 센서의 소형화, 저가화, 고감도화를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국내에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한민국 특허 10-048034), 생명공학연구원(대한민국 특허(10-0511055), KMAC사(대한민국 특허 10-0628877 및 대한민국 특허 10-0588987) 등에서 표면 플라즈몬 공명 현상을 이용하는 특허를 출원한 바 있다.
본 발명은, 시료용액의 성분을 측정하기 위한 항체, 시약 등의 바이오 리셉터가 카트리지의 유통 및 보관 중 오염 및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카트리지의 삽입 및 인출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셀 블록을 바이오 리셉터가 고정된 금속막에 수밀한 상태로 밀착시켜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여 성분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바이오 광검출부를 이용한 시료측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이오 리셉터가 고정된 금속막이 구비된 기판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카트리지와, 전면에 형성된 삽입구를 통해 삽입된 상기 카트리지의 기판 중 금속막에 광반사를 유도하는 바이오 광검출부가 구비된 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카트리지는, 고정판부와; 상기 고정판부의 전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측면에 고정홈이 형성된 기판과; 상기 기판을 수용한 상태로 상기 고정판부 내로 인입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내측에 상기 기판의 고정홈에 걸림고정되는 고정편이 구비된 보호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의 삽입구 내에는 상기 보호판부의 고정편을 상기 기판의 고정홈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핀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기판이 상기 본체의 삽입구 내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보호판부가 상기 고정판부 내로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광검출부를 이용한 시료측정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카트리지의 기판의 측면에는 후측으로 경사져 형성된 경사면이 구비된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호판부에는, 상기 보호판 내에 구비된 탄성판과, 상기 탄성판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수용돌기와, 상기 탄성판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기판이 상기 본체의 삽입구 내로 삽입시 상기 본체의 삽입구에 걸림고정되는 걸림돌기로 이루어진 걸림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본체에는,
후단이 축고정되고 상기 본체의 삽입구를 통해 삽입된 상기 카트리지의 기판에 형성된 금속막과 대응되는 위치에 바이오 광검출부가 구비된 하부고정판과, 상기 하부고정판의 전단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기판 삽입시 상기 하부고정판의 상부면이 상기 기판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상승시키는 하부승강부재로 구성된 하부고정부와;
상기 하부고정판의 상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삽입구를 통해 삽입된 상기 카트리지의 기판에 형성된 금속막과 대응되는 위치에 시료가 투입되어 배출되는 플로우 셀이 저면에 형성된 셀블록이 구비된 상부고정판과, 상기 상부고정판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부승강부재로 구성된 상부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하부승강부재는 상기 하부고정판의 저면에 접한 상태로 축고정되는 캠부재와, 상기 캠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하부고정판을 승강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상부고정부에는 상기 본체의 바닥판 상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된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을 수용한 상태로 상기 상부고정판의 저면에 형성된 이동슬리브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승강부재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고정되고 일측에 편심축이 구비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편심축과 상기 상부고정판에 양단이 연결되어 상기 회전판의 회전에 따라 상기 상부고정판을 승강시키는 연결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이오 광검출부를 이용한 시료측정장치는 시료용액의 성분을 측정하기 위한 항체, 시약 등의 바이오 리셉터가 카트리지의 유통 및 보관 중 오염 및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카트리지의 삽입 및 인출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셀 블록을 바이오 리셉터가 고정된 금속막에 수밀한 상태로 밀착시켜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여 성분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이오 광검출부를 이용한 시료측정장치를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바이오 광검출부를 이용한 시료측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이오 광검출부를 이용한 시료측정장치는 도 1과 같이, 크게 금속막이 형성된 기판(150)이 구비된 카트리지(10)와, 전면에 형성된 삽입구(312)를 통해 삽입된 상기 카트리지(10)의 기판(150) 중 금속막에 광반사를 유도하는 바이오 광검출부(355)가 구비된 본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는 카트리지(10)의 일부분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카트리지(10)는 고정판부(110)와, 상기 고정판부(110)에 고정형성된 기판(150)과, 상기 기판(150)을 수용한 상태로 상기 고정판부(110)내로 인입가능하도록 구성된 보호판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판부(110)는 측정자가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간편하게 상기 본체(30)의 삽입구(312)로 상기 기판(150)을 인입 및 인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부고정판(110a)과, 하부고정판(110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고정판(110a) 및 하부고정판(110b) 사이에는 상기 기판(150)의 후단 부가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보호판부(130)가 인입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112)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기판(150)의 일측에는 금속막(152)이 이온도금법, 증착법 등의 기타 방법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금속막(152)에는 시료용액으로부터 검출하고자 하는 성분에 대한 항체, 시약 등의 리셉터(미도시)가 고정된다. 한편, 상기 기판(150)이 유리 등의 투명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판(150)의 일측에 금속막이 형성될 수 도 있으나, 도 3과 같이 상기 기판(150)은 일측에 관통구가 형성된 합성수지판으로 이루어지고, 금속막이 구비된 투명판이 상기 관통구에 구비되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시료용액이 리셉터가 고정된 금속막에 용이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도 3과 같이 금속막이 구비된 투명판이 상기 관통구의 하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판(150)의 측면에는 고정홈(154)이 형성되고, 상기 보호판부(130)의 내측에는 상기 기판(150)의 고정홈(154)에 걸림고정되는 고정편(134)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편(134)에 의해 상기 보호판부(130)가 상기 고정판부(110) 내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상기 카트리지(10)의 유통 및 보관 중 상기 보호판부(130)가 상기 고정판부(110) 내로 인입되어 상기 기판(150) 상에 형성된 리셉터가 오염 및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기판(150)의 측면에는 후측으로 경사져 형성된 경사면이 구비된 수용홈(156)이 형성되고, 상기 보호판부(130)에는 걸림고정부(136)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걸림고정부(136)는 도 3과 같이 상기 보호판부(130) 내에 구비된 탄성판(136a)과, 상기 탄성판(136a)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기판(150)의 수용홈(156)에 수용되는 수용돌기(136b)와, 상기 탄성판(136a)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걸림돌기(136c)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돌기(136c)는 상기 기판(150)이 상기 본체(30)의 삽입구(312) 내로 삽입되면 상기 걸림돌기(136c)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30)의 삽입구(312)에 걸림고정된다.
도 4는 카트리지(10)가 본체(30)에 삽입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카트리지(10)의 보호판부(130)의 일부가 본체(30)의 삽입구(312) 내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6은 카트리지(10)의 기판(150)이 보호판부(130)로부터 분리되어 본체(30) 내로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와 같이 상기 카트리지(10)가 상기 본체(30)에 삽입되기 전에는 상기 걸림고정부(136)의 수용돌기(136b)가 상기 기판(150)의 수용홈(156)에 수용되어 있어 상기 걸림돌기(136c)가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되고, 또한 상기 카트리지(10)의 보호판부(130)에 구비된 고정편(134)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아 상기 고정편(134)이 상기 기판(150)의 수용홈(156)에 걸림고정되어 있어 상기 기판(150)이 노출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상기 본체(30)의 전면판(310)에 형성된 삽입구(312)는 상기 카트리 지(10)의 보호판부(1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본체(30)의 전면판(310)의 내측에는 상기 카트리지(10)의 보호판부(130)의 삽입이 차단되고 상기 카트리지(10)의 기판(150)에 한하여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315)를 갖는 보조판(314)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판(314)에 분리핀(318)이 구비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도 5와 같이, 상기 카트리지(10)의 보호판부(130)가 상기 본체(30)의 전면판(310) 내측에 위치한 보조판(314)에 닿을 때까지 삽입되면, 상기 보조판(314)에 구비된 분리핀(318)이 상기 카트리지(10)의 보호판부(130)와 상기 기판(150)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분리핀(318)을 상기 기판(150)의 수용홈(156)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기판(150)은 상기 보호판부(130)로부터 고정해제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카트리지(10)의 고정판부(110)를 파지한 상태로 상기 고정판부(110)를 상기 본체(30) 방향으로 밀게 되면, 도 6과 같이 상기 기판(150)은 상기 보조판(314)의 삽입구(315)를 통과하여 상기 본체(30) 내로 삽입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보호판부(130)의 걸림고정부(136)의 수용돌기(136b)가 상기 기판(150)의 수용홈(156)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기판(150)의 측면에 접합게 되어 상기 걸림고정부(136)의 걸림돌기(136c)가 외측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보호판부(130)에 구비된 상기 걸림고정부(136)의 걸림돌기(136c)가 상기 본체(30)의 삽입구(3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30)의 삽입구(312)에 고정됨으로써, 진동, 충격 등의 외적 요인에 의해 상기 카트리지(10)가 상기 본체(30)로부터 분리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카트리지(10)를 본체(30)로부터 분리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본체(30)의 바이오 광검출부(355)를 이용하여 시료용액의 성분을 측정한 후 상기 카트리지(10)를 상기 본체(3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상기 카트리지(10)의 고정판부(110)를 파지한 상태로 잡아당기면, 도 7과 같이 상기 카트리지(10)의 보호판부(130)에 구비된 걸림고정부(136)가 상기 본체(30)의 삽입구(312)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카트리지(10)의 보호판부(130)가 상기 본체(30)의 삽입구(312)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카트리지(10)의 기판(150)에 한하여 인출된다. 이 상태에서 도 8과 같이 상기 카트리지(10)의 고정판부(110)를 조금 더 잡아당기면, 상기 보호판부(130)의 걸림고정부(136)에 형성된 수용돌기(136b)가 상기 기판(150)의 수용홈(156)에 수용되어 상기 보호판부(130)의 걸림고정이 해제되어 상기 카트리지(10)가 상기 본체(30)로부터 모두 분리된다.
도 9는 전면판(310) 및 양측판(330)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본체(30)는 바닥판(320)과; 상기 바닥판(320)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카트리지(10)가 삽입되는 삽입구(312)가 형성된 전면판(310)과; 상기 바닥판(32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양측판(330)과; 상기 전면판(310)의 삽입구(312)를 통해 삽입된 상기 카트리지(10)의 기판(150)에 형성된 금속막 상에 시료용액을 투입 및 배출시키는 셀블록(363)이 구비된 상부고정부와; 상기 기판(150)의 금속막 상에 투입된 시료용액에 광반사를 유도하는 바이오 광검출부(355)가 구비된 하부고정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바이오 광검출부(355)의 구성은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광원, 프리즘 및 수광센서로 이루어지거나, 광원, 회절격자가 구비된 광학기판 및 수광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등 본 발명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본체(30)의 하부고정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하부고정부는 후단이 양측판(330)에 축고정되고 바이오 광검출부(355)가 구비된 하부고정판(352)과, 상기 하부고정판(352)의 전단부(352a)의 높이를 조절하는 하부승강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카트리지(10)의 기판(150)이 상기 본체(30) 내에 삽입 전에는 상기 하부고정판(352)의 전단부가 하측으로 경사져 있도록 상기 하부승강부재가 상기 하부고정판(352)의 전단부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카트리지(10)의 기판(150)이 상기 하부고정판(352)에 걸리지 않아 상기 본체(30) 내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상기 하부승강부재는 도 9 및 도 10과 같이 상기 하부고정판(352)의 전단부(352a)의 저면에 접한 상태로 축고정되는 캠부재(353)와, 상기 캠부재(353)를 회전시켜 상기 하부고정판(352)의 전단부(352a)의 높이를 승강시키는 구동모터(354)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모터(354)를 이용하여 상기 캠부재(353)를 회전시키는 방법은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구동모터(354) 및 상기 캠부재(353)의 축에 편심축이 구비된 회전판(353a, 354a)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판(353a, 354a)의 편심축을 링크(356)로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11은 본체(30)의 상부고정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상부고정부는 시료용액이 투입되어 배출되는 플로우 셀(도 12의 363c)이 저면에 형성된 셀블록(363)이 구비되는 상부고정판(362)과, 상기 상부고정판(362)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부승강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고정판(362)을 상기 상부승강부재를 통해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어, 상기 카트리지(10)의 기판(150)의 삽입 전에는 상기 상부고정판(362)을 상측으로 이동시켜 삽입 시 상기 기판(150)이 상기 상부고정판(362)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기판(150)이 상기 본체(30)에 삽입된 후 상기 상부고정판(362)을 하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셀블록(363)을 상기 기판(150)의 금속막에 수밀하게 밀착고정시켜 상기 플로우 셀(도 12의 363c)에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상부고정부에는 상기 본체(30)의 바닥판(320) 상에 수직방향으로 가이드봉(364)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고정판(362)의 저면에는 상기 가이드봉(364)을 수용하는 이동슬리브(365)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상부고정판(362)은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상부승강부재는 상기 본체(30)의 바닥판(320)에 구비되는 구동모 터(366)와, 상기 구동모터(366)의 축에 고정되고 일측에 편심축이 구비된 회전판(367)과, 상기 회전판(367)의 편심축과 상기 상부고정판(362)의 측면에 형성된 축에 양단이 연결되는 연결링크(368)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모터(366)의 회전에 따라 상기 상부고정판(362)은 상기 가이드봉(364)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승강운동한다.
도 12는 상부고정판(362) 및 하부고정판(352) 사이에 기판(150)이 밀착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와 같이 상기 하부승강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하부고정판(352)에 구비된 바이오 광검출부(355)를 상기 기판(150)의 금속막이 구비된 투명판의 저면에 밀착고정시킬 수 있고, 또한 상기 상부승강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상부고정판(362)에 구비된 셀블록(363)을 상기 금속막이 구비된 투명판의 상부면에 수밀한 상태로 밀착시킬 수 있어 시료용액의 누수없이 상기 바이오 광검출부(355)를 이용하여 시료용액의 성분을 측정할 수 있다. 도 12의 부호 중 363b는 시료용액이 투입되는 투입구이고, 363c는 시료용액이 배출되는 배출구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바이오 광검출부를 이용한 시료측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카트리지의 일부분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카트리지가 본체에 삽입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카트리지의 보호판부의 일부가 본체의 삽입구 내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6은 카트리지의 기판이 보호판부로부터 분리되어 본체 내로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카트리지를 본체로부터 분리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전면판 및 양측판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체의 하부고정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체의 상부고정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상부고정판 및 하부고정판 사이에 기판이 밀착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Claims (5)

  1. 바이오 리셉터가 고정된 금속막이 구비된 기판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카트리지와, 전면에 형성된 삽입구를 통해 삽입된 상기 카트리지의 기판 중 금속막에 광반사를 유도하는 바이오 광검출부가 구비된 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카트리지는, 고정판부와; 상기 고정판부의 전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측면에 고정홈이 형성된 기판과; 상기 기판을 수용한 상태로 상기 고정판부 내로 인입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내측에 상기 기판의 고정홈에 걸림고정되는 고정편이 구비된 보호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의 삽입구 내에는 상기 보호판부의 고정편을 상기 기판의 고정홈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핀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기판이 상기 본체의 삽입구 내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보호판부가 상기 고정판부 내로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광검출부를 이용한 시료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기판의 측면에는 후측으로 경사져 형성된 경사면이 구비된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호판부에는, 상기 보호판 내에 구비된 탄성판과, 상기 탄성판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수용돌기와, 상기 탄성판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기판이 상기 본체의 삽입구 내로 삽입시 상기 본체의 삽입구에 걸림고정 되는 걸림돌기로 이루어진 걸림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광검출부를 이용한 시료측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후단이 축고정되고 상기 본체의 삽입구를 통해 삽입된 상기 카트리지의 기판에 형성된 금속막과 대응되는 위치에 바이오 광검출부가 구비된 하부고정판과, 상기 하부고정판의 전단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기판 삽입시 상기 하부고정판의 상부면이 상기 기판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상승시키는 하부승강부재로 구성된 하부고정부와;
    상기 하부고정판의 상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삽입구를 통해 삽입된 상기 카트리지의 기판에 형성된 금속막과 대응되는 위치에 시료가 투입되어 배출되는 플로우 셀이 저면에 형성된 셀블록이 구비된 상부고정판과, 상기 상부고정판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부승강부재로 구성된 상부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광검출부를 이용한 시료측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승강부재는 상기 하부고정판의 저면에 접한 상태로 축고정되는 캠부재와, 상기 캠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하부고정판을 승강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광검출부를 이용한 시 료측정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부에는 상기 본체의 바닥판 상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된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을 수용한 상태로 상기 상부고정판의 저면에 형성된 이동슬리브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승강부재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고정되고 일측에 편심축이 구비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편심축과 상기 상부고정판에 양단이 연결되어 상기 회전판의 회전에 따라 상기 상부고정판을 승강시키는 연결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광검출부를 이용한 시료측정장치.
KR1020090023421A 2009-03-19 2009-03-19 바이오 광검출부를 이용한 시료측정장치 KR101035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421A KR101035230B1 (ko) 2009-03-19 2009-03-19 바이오 광검출부를 이용한 시료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421A KR101035230B1 (ko) 2009-03-19 2009-03-19 바이오 광검출부를 이용한 시료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784A KR20100104784A (ko) 2010-09-29
KR101035230B1 true KR101035230B1 (ko) 2011-05-18

Family

ID=43009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3421A KR101035230B1 (ko) 2009-03-19 2009-03-19 바이오 광검출부를 이용한 시료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52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45757A1 (ko) * 2020-08-27 2022-03-03 (주)엠비티 생물학적 시료 내 표적 생체 분자를 검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일회용 광섬유 센서 및 이의 카트리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5238B1 (ko) 2016-04-14 2017-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먼지 감지센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7526A (ja) * 1997-01-09 1998-07-31 Nec Corp 生化学分析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試験片並びに生化学分 析方法
JP2006280258A (ja) * 2005-03-31 2006-10-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ハイブリダイゼーション用カートリッジ、ハイブリダイゼーション装置およびハイブリダイゼーション方法
JP2009022675A (ja) * 2007-07-23 2009-02-05 Sumitomo Electric Ind Ltd バイオセンサカートリッ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7526A (ja) * 1997-01-09 1998-07-31 Nec Corp 生化学分析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試験片並びに生化学分 析方法
JP2006280258A (ja) * 2005-03-31 2006-10-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ハイブリダイゼーション用カートリッジ、ハイブリダイゼーション装置およびハイブリダイゼーション方法
JP2009022675A (ja) * 2007-07-23 2009-02-05 Sumitomo Electric Ind Ltd バイオセンサカートリッ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45757A1 (ko) * 2020-08-27 2022-03-03 (주)엠비티 생물학적 시료 내 표적 생체 분자를 검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일회용 광섬유 센서 및 이의 카트리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784A (ko) 201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42371B2 (ja) 測定チップ着脱装置、spr測定システム及び測定チップ着脱方法
CN105793714B (zh) 自动分析装置
CN101140219B (zh) 微型芯片检验装置
EP09943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cal sensing utilizing a portable, detachable sensor cartridge
JPH03262945A (ja) 化学発光検出装置
KR101035230B1 (ko) 바이오 광검출부를 이용한 시료측정장치
WO1998032002A1 (en) Pipette and carrier assembly for a sensor
WO1998032002A9 (en) Pipette and carrier assembly for a sensor
WO2016004018A1 (en) Pipette tip system, device and method of use
US7537735B2 (en) Aspirator systems having an aspirator tip optical level detector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US7545501B2 (en) Sensor unit for assay and prism
US9588038B2 (en) Analytical system with capillary transport
EP2157418A1 (en) Fluid providing apparatus
JP2006322851A (ja) 全反射減衰を利用した測定装置及びその測定方法
CN215931658U (zh) 一种分光光度计
JP7366851B2 (ja) 検査装置
JP2007271360A (ja) 測定装置及びセンサユニットの保持方法
JP7321180B2 (ja) キュベット廃棄ユニット
JPH05264458A (ja) 化学発光分析装置
JPWO2020110904A1 (ja) 一体化チップ、計測システムおよび測定キット
JP2013545998A (ja) 試料受取装置
JP2006313091A (ja) 結合物質回収方法及び装置
JP2011007697A (ja) 自動分析装置
JP2006090836A (ja) 測定装置
JP2005017225A (ja) センサチップ及びセンサチップ収納ユニット並びに表面プラズモン共鳴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5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5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