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5203B1 - Combine - Google Patents
Comb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35203B1 KR101035203B1 KR1020067004094A KR20067004094A KR101035203B1 KR 101035203 B1 KR101035203 B1 KR 101035203B1 KR 1020067004094 A KR1020067004094 A KR 1020067004094A KR 20067004094 A KR20067004094 A KR 20067004094A KR 101035203 B1 KR101035203 B1 KR 1010352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rting
- rosin
- carrier
- processing
- barre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Abstract
탈곡 장치의 후부에 처리동을 배치하고, 상기 처리동에서 처리한 처리물과 상기 급동에서 처리된 처리물을 요동 선별 장치에 의해 선별하는 것 만으로는 곡물 입자의 로스가 발생했기 때문에 수확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고자 한다. 탈곡 장치의 후측부에 배치된 처리동의 하방에 처리동에서 처리한 처리물을 받아 전방으로 반송하는 반송체를 배치하고, 요동 선별 장치상에 재도입하여 재선별함과 함께, 2번물을 2번 환원 컨베이어에 의해 요동 선별 장치의 전단에 반송하고, 상기 2번 환원 컨베이어의 전단에 이삭가지 처리 장치를 마련한다. 그리고, 처리동 및 반송체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반송체 전부에서 낙하되는 처리물을 센서에서 검지하여 막힘을 방지한다.
The processing efficiency is further improved by arranging the treatment copper at the rear of the threshing apparatus, and the loss of grain particles is generated only by sorting the processed material and the processed material processed in the barrel by the rocking separator. I want to. The carrier which receives the processed material processed by the process cylinder and conveys it forward is arrange | positioned under the process cylinder arrange | positioned at the rear side of a threshing apparatus, reintroduced on a rocking | fever sorting apparatus, and reselected, and the 2nd thing is twice. It conveys to the front end of the rocking | flux sorting apparatus by a reduction conveyor, and provides the ear | edge branch processing apparatus in the front end of the said 2nd reduction conveyor. In addition, the process cylinder and the carrier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to facilitate maintenance. Furthermore, the sensor detects the processed object falling from all the carriers and prevents clogg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콤바인에 관한 탈곡 장치의 후부에 처리동을 마련하고, 탈곡 후의 곡물입자의 로스를 저감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처리동에서 처리한 처리물을 요동 선별 장치의 전부측으로 반송하는 반송체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종래, 탈곡 성능 및 선별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급동 후부 측방에서 평행으로 송진구 처리동(처리동)을 배치하고, 급동에서 처리되지 못한 이삭가지 부착 입자 등을 처리동에 보내 처리하고, 탈곡부에서 처리한 곡물 입자 중, 통상 10~15%의 곡물입자를 단립화하고, 처리망을 통하여 하방의 선별부의 요동 선별 장치위로 배출하도록 하고 있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improve threshing performance and sorting performance, a rosin ball processing cylinder (processing cylinder) is arranged in parallel from the rear side of the barrel, and the grain-attached particles, etc., which are not processed in the barrel are sent to the processing cylinder, and the threshing unit is processed. In the grains treated in the above, 10 to 15% of the grains are usually granulated and discharged onto the shaking screen sorting device in the lower sorting section through the processing network.
또한, 탈곡부로부터 흘러내려오는 곡물 입자나 짚가루 등으로부터 곡물입자를 선별 장치에서 선별한 후의 2번물을 2번 컨베이어, 2번 환원 컨베이어를 개재하여 다시 요동 선별 장치의 선별 개시부로 되돌려 보내 처리하도록 하고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In addition, the second object after sorting the grain particles from the grains and straw powder flowing down from the threshing unit is returned to the screening start portion of the swing screening apparatus through the second conveyor and the second reduction conveyor for processing. (See
또한, 수확 속도의 고속화에 따라 선별부도 보다 높은 처리 능력(선별 능력)이 요구되며, 선별부에서의 막힘 등의 방지책도 요구되고 있다. 예컨대, 배출 볏짚 체인에서의 배출 볏짚의 유량을 검지하여 선별부의 채프시브의 개구도를 조절하고, 피처리물이 많을 때는 채프시브의 개구도를 크게 하는 기술도 공지되어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2 참조.)In addition, as the harvesting speed is increased, the sorting unit also requires higher processing capacity (selection capacity), and measures for preventing clogging in the sorting unit are also required. For example, a technique is known in which the flow rate of the discharge straw in the discharge straw chain is detected to adjust the opening degree of the chaff sheave of the sorting part and to increase the opening degree of the chaff sheave when there are many objects to be processed. See 2.)
그러나, 콤바인 본기의 고속화, 고능률화 등에 따라 탈곡 처리량이 증가하면, 송진구 처리동의 처리물이 거칠어져 처리동망의 여과가 나빠지며, 기외로의 배출량이 증가하거나, 요동 선별 장치상에 여과되어도 채프시브 등에서 여과되지 않고 3번구로부터 기외로 배출이 증가하여 통상의 단립화율의 달성도 어려워졌다. 특히, 송진구 처리동의 바로 아래에 많은 곡물 입자가 치우쳐 집중되기 때문에 요동 선별의 불량을 초래하는 일이 있었다.However, if the threshing throughput is increased due to the high speed, high efficiency, etc. of the combine main unit, the processed material of the rosin port treatment ridge becomes coarse, and the filtration of the processing network is deteriorated. Emissions increased from the third port to the outside without being filtered through the sieve or the like, making it difficult to achieve a normal granulation rate. In particular, since a large number of grain particles are concentrated and concentrated underneath the rosin port treatment dong, there has been a case of causing a disturbance in screening.
또한, 종래의 콤바인에서 선별부 상부에 퇴적되는 피처리물의 양을 검지하는 센서를 마련하고, 채프시브의 개구도를 조절하는 기술도 존재하나, 송진 반송 컨베이어의 배진구(선별부에 미처리물을 재투입하는 부분)의 바로 후방, (즉, 선별부의 좌우 중앙 보다도 송진구 처리동쪽)에 센서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배진구로부터 선별부 상부에 재투입된 피처리물이 선별부상에서 요동에 의해 균등하게 고르게 되기 전에 센서에 접촉하고, 실제로 선별부 상부에 퇴적되어 있는 피처리물의 양이 그만큼 많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센서가 피처리물을 검지하여 채프시브의 개구도가 과도하게 커지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풍선별의 부담을 크게 하여 뉘와 볏짚 가루의 선별 정확도를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 technique for providing a sensor for detecting the amount of the workpiece to be deposited on the upper part of the sorting unit in the conventional combine, and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chaff sieve, but there is a dust discharge port (selection part in the sorting unit) Since the sensor is arranged immediately behind the re-input part (i.e., the east side of the sorting port rather than the left and right centers of the sorting part), the object to be re-injected from the dust exhaust port to the upper part of the sorting part is equalized by shaking on the sorting part. Even though the sensor contacts the sensor before being evenly selected, and the amount of the workpieces actually deposited on the upper part of the sorting unit is not so large, the sensor detects the workpieces and the opening of the chaff sheave may be excessively large. This may increase the burden on the balloon and reduce the sorting accuracy of the nucleus and rice straw powder.
특히, 최근에는 콤바인에 의한 수확 작업의 고효율화를 위해 콤바인의 수확작업시의 주행 속도가 고속화되고 있으며, 송진구 처리동에 의해 처리되는 미처리물의 양이 많아지는 경향이 있다. 그 결과, 송진 반송 컨베이어로부터 선별부에 재 투입되는 피처리물의 양이 많기 때문에, 센서를 선별부상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선별 능력의 향상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중요하다.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harvesting operation by the combine, the running speed during the harvesting operation of the combine is increased, and there is a tendency that the amount of untreated matters processed by the rosin port treatment wing increases. As a result, since there is a large amount of the workpiece to be re-injected from the rosin conveying conveyor, it is important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sorting capability to arrange the sensor at an appropriate position on the sorting section.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 11-318194호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1-318194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 5-161419호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5-161419
따라서, 3번구 등으로부터의 곡물 입자 로스를 저감할 수 있으며, 또한 요동 선별 장치의 선별폭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곡물 입자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송진구 처리동의 하방에 있으며 상기 송진구 처리동으로부터 배출된 처리물을 수용하고, 상기 처리물을 상기 송진구 처리동에 의한 탈곡물의 반송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반송하여 선별부의 요동 선별 장치상에 배출하는 반송체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체의 반송 방향 끝단부에 이삭가지 처리 장치를 위치시켜 이삭가지를 뽑아 제거하도록 하여 탈곡 효율을 향상하고자 한다.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grain particle loss from No. 3 or the like, and to effectively increase the grain particles by effectively utilizing the screening width of the rocking separator, it is located below the rosin bowl treatment ridge, A conveying body which accommodates the discharged processed material, conveys the said processed material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conveyance direction of the threshing material by the said rosin | mouth process cylinder, and discharges it on the shaking-separation apparatus of a sorting part, The conveyance of the said conveying body In order to improve the threshing efficiency by placing the ear branch processing apparatus in the direction end to remove the ear branch to remove.
또한, 본 발명은 반송체의 지지부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반송체를 착탈 가능하게 함으로써 송진구 처리동의 기능 향상을 도모함과 함께, 반송체의 유지를 간단하게 하고, 후방측으로 착탈 가능하게 함으로써 공정 시간을 단축화하는 것이다. 또한, 나아가서는 처리동 구동축에서 반송체를 언더 뜨로우(under throw) 방향으로 되도록 구동력을 전달시키도록 한 것이다.Moreover, this invention relates to the improvement of the support part of a carrier body, and it makes it possible to attach / detach a carrier body, to improve the function of a rosin port processing cylinder, to simplify maintenance of a carrier body, and to be detachable to a rear side, and process time. To shorten. Furthermore, the driving force is transmitted so that the conveying member may be in an under throw direction in the processing drive shaft.
또한, 처리동의 전측 베어링의 금속을 기어케이스와 겸용시킴으로써, 반송체의 경량화를 도모함과 함께 부품 수를 삭감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using the metal of the front bearing of the processing cylinder as the gear case, the weight of the carrier can be reduced and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또한, 센서의 배치를 개량하여 선별부에서의 처리 능력(선별 능력)을 향상시킨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이다.Moreover, the combine which improved the arrangement | positioning of a sensor and improved the processing capability (selection ability) in a sorting part is provided.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과 같은 것으로, 다음에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설명한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s described above, and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will be described next.
즉, 탈곡부와, 탈곡 후의 곡물 입자를 선별하는 선별부를 가지며, 상기 탈곡부에 급동을 배치하고, 상기 탈곡부의 후측부에 탈곡물을 재처리하는 송진구 처리동을 배치한 콤바인으로, 상기 송진구 처리동의 하방에 있으며 상기 송진구 처리동으로부터 배출된 처리물을 수용하고, 상기 처리물을 상기 송진구 처리동에 의한 탈곡물의 반송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반송하여 선별부의 요동 선별 장치상으로 배출하는 반송체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체의 전방에 이삭가지 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That is, it is a combine which has a threshing part and the sorting part which selects the grain grain after threshing, arrange | positions a barrel to the said threshing part, and arrange | positions the rosin-processing copper which reprocesses a threshing part in the rear side of the said threshing part, It is located in the lower side of the Jingu treatment dong, and receives the treated matter discharged from the rosin exit treatment dong, and conveys the treated matter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threshing product by the rosin exit treatment dong, and discharges it onto the swinging screening device of the sorting section. The carrier body is provided, and the ear branch processing apparatus is provided in front of the said carrier body.
상기 반송체의 반송 방향 끝단부는 상기 선별부 상에서 상기 급동의 끝단부 보다도 기체 진행 방향전측으로 위치함과 함께, 상기 반송체의 회동 방향은 상기 처리물을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향하여 선별부 상에 배출하는 방향으로 하고 있다.The conveying direction end of the carrier is located on the sorting part in the gas advancing direction front side than the end of the barrel, and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conveying body discharges the processed object onto the sorting part from below to upward. Direction.
상기 반송체의 전부의 배출부에는 우근을 마련하고, 상기 우근의 회전에 의하여 요동 선별 장치의 좌우 중심측으로 배출하도록 하고 있다.The right root is provided in all the discharge parts of the said conveyance body, and it is made to discharge to the left-right center side of the rocking | fluctuation sorting apparatus by rotation of the said right root.
상기 반송체의 반송 끝단부에는 이삭가지 처리 장치를 연결하고 있다.The ear tip processing apparatus is connected to the conveyance end part of the said conveyance body.
상기 탈곡부의 후부 하방으로부터 송진구 처리동 전부의 송진구로 가이드하는 가이드판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판의 하방에 상기 반송체의 전부로부터 배출되는 처리물을 확산하는 확산판을 마련하고 있다.The guide plate which guides from the lower part of the threshing part below to the rosin port of all the rosin-hole treatment ridges is provided, and the diffusion plate which spreads the process material discharged | emitted from all of the said conveyance bodies is provided below the said guide plate.
또한, 탈곡부와, 탈곡 후의 곡물 입자를 선별하는 선별부를 가지며, 상기 탈곡부에 급동을 배치하고, 상기 탈곡부의 후측부에 탈곡 입자를 재처리하는 송진구 처리동을 배치시킨 콤바인으로서, 상기 송진구 처리동의 하방에 배치하여 송진구 처리동으로부터 배출된 처리물을 수용하여 전방으로 반송하는 반송체를 구비하고, 반송체의 전부를 급동 후부이며 요동 선별 장치의 전후 중도부 상에 배치하고, 상기 반송체의 전방에 2번 환원 컨베이어의 전단부에 마련된 이삭가지 처리 장치를 배치하여 처리물을 요동 선별 장치 전부 상에 낙하시키도록 하고 있다.A combine having a threshing portion and a sorting portion for sorting grains after threshing, wherein a barrel is disposed in the threshing portion, and a rosin treatment tube for reprocessing the threshing grains is disposed at a rear side of the threshing portion. It is provided below the true-gut treatment dong, and is equipped with the conveying body which accommodates the process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rosin-processing ward, and conveys it forward, All the conveying bodies are arrange | positioned on the front-back middle part of a barrel rear part, and the oscillation screening apparatus, In the front of a conveyance body, the ear branch processing apparatus provided in the front end of the 2nd reduction conveyor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a processed material may fall on all the shaking-separation apparatuses.
또한, 탈곡부와, 탈곡 후의 곡물 입자를 선별하는 선별부를 가지며, 상기 탈곡부에 급동을 배치하고, 상기 탈곡부의 후측부에 탈곡 입자를 재처리하는 송진구 처리동을 배치시킨 콤바인으로서, 상기 송진구 처리동의 하방에서 상기 송진구 처리동으로부터 배출된 처리물을 수용하고, 상기 처리물을 상기 송진구 처리동에 의한 탈곡 입자의 반송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반송하여 선별부의 요동 선별 장치 상에 배출하는 반송체를 구비하고, 처리동 구동축과 처리동을 연결하는 처리동 보스에 제 1 기어를 마련하고, 상기 제 1 기어와 맞물리는 제 2 기어와 동축에 반송체를 구동하는 제 1 스프로킷을 배치하고, 상기 제 1 스프로킷과 연동하는 제 2 스프로킷에 의해 반송체를 구동하도록 하고 있다.A combine having a threshing portion and a sorting portion for sorting grains after threshing, wherein a barrel is disposed in the threshing portion, and a rosin treatment tube for reprocessing the threshing grains is disposed at a rear side of the threshing portion. A treatment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rosin treatment ward is received below the mouth treatment duct, and the treated matter is convey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threshing particles by the rosin treatment ridge to be discharged onto the swing sorting device of the sorting unit. The first gear is provided in the process cylinder boss which connects a process cylinder drive shaft and a process cylinder, and the 1st sprocket which drives a conveyance body is coaxial with the 2nd gear meshed with the said 1st gear. And a conveyance body is driven by the 2nd sprocket which cooperates with a said 1st sprocket.
상기 송진구 처리동의 하부에 마련된 상기 반송체는 기체 후방으로 향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고 있다.The said carrier body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said rosin port process cylinder is attached so that attachment or detachment is possible toward the back of a base body.
상기 반송체 전측의 구동축의 축단이 상기 제 2 스프로킷에 대하여 스플라인 결합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며, 반송체 후방의 탈착만으로 기체 후방으로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shaft end of the drive shaft in the front side of the said carrier body is supported by the spline coupling with respect to the said 2nd sprocket, and can be attached or detached to the back of the body only by the removal of the carrier body rear.
상기 착탈은, 상기 반송체의 축수틀과 함께 행해지는 것이다.The removal is performed together with the bearing frame of the carrier.
또한, 기체의 전후 방향으로 축가된 급동과 상기 급동의 후측부에 배치된 송진구 처리동과 상기 송진구 처리동의 하방에 배치되어 전방으로 반송하는 송진 반송 컨베이어를 구비하는 콤바인에 있어서,In addition, in the combiner provided with the barrel condens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a base body, the rosin port processing cylinder arrange | positioned at the back part of the said barrel, and the rosin conveying conveyor arrange | positioned under the rosin port processing cylinder and conveying forward,
선별부 상부에 퇴적된 피처리물의 양을 검출하는 센서를 상기 송진 반송 컨베이어의 배진구보다도 후방으로 배치하고 있다.A sensor for detecting the amount of the workpiece deposited on the upper part of the sorting unit is disposed behind the dust exhaust port of the rosin conveying conveyor.
상기 선별부 상부에 퇴적된 피처리물의 양을 검출하는 센서를 급동 후부 하방이며 선별부의 좌우 중앙보다도 급동쪽으로 배치하고 있다.The sensor which detects the quantity of the to-be-processed object deposited on the said sorting part is arrange | positioned below the barrel rear part, and is arrange | positioned toward the barrel rather than the left-right center of a sorting part.
<발명의 효과>Effect of the Invention
상기 구성에 의하여, 급동에서 처리되지 못한 미처리물은 송진구 처리동으로 보내져 처리되며, 상기 송진구 처리동에서 처리되어 처리동 망에서 낙하된 처리물은 반송체에 의해 전방으로 보내져 요동 선별 장치에 의해 재선별되고, 풍구질에 의해 다시 풍선별도 행해지도록 되어 처리 효율을 향상할 수 있으며, 곡물 입자 로스를 저하할 수 있고, 선별 장치의 선별폭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삭가지 처리 장치가 그 전방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삭가지 처리 장치에 의해 처리된 처리물과 송진구 처리동에 의해 처리된 처리물이 요동 선별 장치상에서 겹쳐지지 않고 각각 처리되어 막힘을 초래하는 것과 같은 현상이 없어 높은 효율로 선별할 수 있다.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unprocessed material which has not been processed in the barrel is sent to the rosin port treatment ridge for processing, and the processed matter which is processed in the rosin port processing ridge and dropped from the process ridge network is sent forward by the carrier to the oscillation screening device. It is reselected by this, and balloon sorting is performed again by a tuft, and process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grain particle loss can be reduced, and the sorting width of a sorting apparatus can be utilized effectively. And since the ear branch processing apparatus is located in front of it, the processed material processed by the ear branch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processed object by the rosin port processing copper do not overlap on the rocking | fever sorting apparatus, respectively, and cause clogging. There is no phenomena such as this, and it can select with high efficiency.
반송체의 반송 방향 끝단부는 상기 선별부 상으로, 상기 급동의 끝단부 보다도 기체 진행방향 전측으로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급동에 의한 탈입자 작용으로 수망에서 낙하하는 처리물의 누하가 적어지는 부분의 하방에 처리물이 투입되도록 되며, 누하물이 치우치지 않고, 선별부의 전후 방향의 폭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처리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송체의 회전 방향은 상기 처리물을 하방에서 상방으로 향하여 선별부 상에 배출되는 방향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반송한 처리물이 요동 선별 장치에 두드려지면서 요동 선별 장치에 배출되지 않기 때문에 곡물 입자가 상하는 일이 없고, 상방으로 던져짐으로써 분산되어 굳어서 요동 선별상에 낙하하지 않기 때문에 선별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Since the conveyance direction end part of a conveyance body is located in the gas advancing direction front side rather than the said end part of the said barrel on the said sorting part, it is below the part where the leakage of the process material which falls from a water net by the desorption action by a barrel is reduced. The treatment is introduced, the leakage is not biased, and the treatment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effectively using the wid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sorting section. In additio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carrier is a direction in which the processed material is discharged onto the sorting section from below to upward, so that the conveyed processed material is not discharged to the shaking sorting device while being knocked on the shaking sorting device. The particles do not deteriorate and are dispersed and hardened by being thrown upwards, so that the screen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because the particles do not fall on the rocking screen.
반송체의 전부의 배출부에는 우근이 마련되고, 상기 우근의 회전에 의해 요동 선별 장치의 좌우 중심축으로 배출하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우근에 의해 처리물이 요동 선별 장치측으로 날아가게 되어 요동 선별 장치의 폭 방향으로 건너 방출할 수 있게 된다.The right root is provided in all the discharge parts of the carrier, and since the right root is configured to be discharged to the left and right central axes of the swing sorting device, the processed material is blown to the swing sorting device side by the right root so that the swing sorting device Can be emitted across the width direction.
반송체의 반송 끝단부에는 이삭가지 처리 장치를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이삭가지 처리를 높은 효율로 행할 수 있으며 또한, 송진구 처리동에 의한 처리물에는 짚조각도 많으나 이것을 이삭가지 처리 장치에서 분쇄할 수 있기 때문에 선별 능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Since the ear branch processing device is connected to the conveying end of the carrier, the ear branch processing can be performed with high efficiency, and there are many straw pieces in the processed material by the rosin port processing copper, but it can be crushed by the ear branch processing device. As a result, the screening ability can be improved.
상기 탈곡부에서 처리되지 못한 미처리물은 탈곡부의 후부 하방에서 송진구 처리동 전부로 가이드판에 의해 스무스하게(자연스럽게) 송진구로 가이드 되도록 된다. 그리고, 송진구 처리동에서 처리후의 처리물은 반송체에 의해 전방으로 반송되며, 반송체 전부에서 배출되는 처리물은 확산판에 닿아 확산되고 요동 선별장치상으로 낙하되어, 굳어서 막히는 일이 없어 선별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The untreated material not processed in the threshing part is smoothly (naturally) guided to the rosin port by the guide plate from the rear portion of the threshing part to the entire rosin port treatment ridge. In the rosin port treatment ward, the treated material is conveyed forward by the carrier, and the treated material discharged from all of the carriers reaches the diffuser plate, diffuses and falls on the rocking separator, so that it does not become solid and clogged. Can improve.
또한, 반송체의 전방에 2번 환원 컨베이어의 전단부에 마련된 이삭가지 처리 장치를 배치하고, 처리물을 요동 선별 장치 전부상에 낙하시키도록 했기 때문에, 요동 선별 장치에서 처리된 2번물을 요동 선별 장치에 다시 당입하기 전에 이삭가지 처리 장치에 의해 처리할 수 있어 이삭가지 붙은 곡물 입자가 몇번이고 순환되는 일이 없어 곡물입자의 수량을 증가시켜 선별 효율도 향상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ear branch processing apparatus provided in the front-end | tip part of the 2nd reduction conveyor was arrange | positioned in front of a conveyance body, and the processing object was made to fall on all the shaking-separation apparatuses, the 2nd object processed by the shaking-separation apparatus was rocked and sorted. It can be processed by the ear branch processing apparatus before feeding back into the apparatus, so that the grain particles with the ear branch can not be circulated again and again, thereby increasing the number of grain particles and improving the sorting efficiency.
기어에 의한 변속 후에 스프로킷과 체인에 의해 반송체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되고, 간단한 구성에 의해 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되고, 반송체로는 스프로킷과 체인에 의한 전달부분에서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되어 오차를 흡수할 수 있다.After the gear shift, power is transmitted to the carrier by the sprocket and the chain, and power can be transmitted by the simple configuration, and the carrier can adjust the position at the transmission part by the sprocket and the chain. It can absorb.
반송체를 기체 후방으로 향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반송체의 교환·청소 등의 단계에서는 축수틀을 수통의 단연으로부터 분리시키고, 구동축측의 스플라인 감입부를 제 2 스프로킷측의 감합공으로부터 분리하여 반송체 전체를 수통의 상부로부터 뽑아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착탈이 상기 반송체의 축수틀과 함께 행해지기 때문에, 축수나 축수를 고정하는 부품 등의 분해가 불필요하게 되며 착탈을 간단히 행하여 조립 순번이나 방향을 틀리는 일이 없게 된다.Since the carrier body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rear of the body, the shaft frame is separated from the edge of the water tank at the stage of replacement or cleaning of the carrier body, and the spline inlet on the drive shaft side is separated from the fitting hole on the second sprocket side. The whole conveying body can be taken out from the upper part of a water tank. In addition, since the detachment is performed together with the bearing frame of the carrier, the disassembly of the bearing, the part which fixes the bearing, and the like are unnecessary, and the detachment is easily performed so that the assembly order and the direction are not wrong.
또한, 선별부 상부에 퇴적된 피처리물의 양을 검출하는 센서를 상기 송진 반송 컨베이어의 배진구보다도 후방으로 배치하기 때문에, 선별부 상에 퇴적된 피처리물의 양의 검출값이 송진 반송 컨베이어로부터 낙하된 직후의 피처리물에 의해 실제의 퇴적량에서 크게 떨어진 값이 되는 일이 없으며, 또한, 송진 반송 컨베이어에 의해 선별부로 재투입되는 피처리물과 급동의 수망을 통과하여 낙하된 피처리물이 요동에 의해 혼합되어 균등하게 고르게 된 위치에서 피처리물의 양이 검출됨으로써, 높은 정확도로 피처리물의 퇴적량을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sensor for detecting the amount of the workpiece deposited on the sorting unit is placed behind the dust outlet of the rosin conveying conveyor, the detected value of the amount of the workpiece deposited on the sorting unit falls from the rosin conveying conveyor. The treated material immediately after the end of the work is not greatly reduced from the actual amount of deposition, and the processed material dropped back through the water tank and the water reintroduced into the sorting unit by the rosin conveying conveyor By detecting the amount of the workpiece at a position uniformly evenly mixed by the shaking,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amount of deposition of the workpiece with high accuracy.
상기 선별부 상부에 퇴적된 피처리물의 양을 검출하는 센서를 급동 후부 하방이며 선별부의 좌우 중앙보다도 급동쪽으로 배치하였기 때문에, 선별부 상에 퇴적된 피처리물의 양의 검출값이 송진 반송 컨베이어로부터 낙하된 직후의 피처리물에 의해 실제로 퇴적량에서 크게 떨어진 값이 되는 일이 없으며, 또한, 송진 반송 컨베이어로부터 선별부로 재투입되는 피처리물과 급동의 수망을 통과하여 낙하된 피처리물이 요동에 의해 혼합되어 균등하게 고르게 된 위치에서의 피처리물의 양이 검출됨으로써, 높은 정확도로 피처리물의 퇴적량을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Since the sensor for detecting the amount of the workpiece deposited on the upper part of the sorting part is disposed below the barrel rearward and is steered toward the barrel than the left and right centers of the sorting part, the detection value of the amount of the workpiece deposited on the sorting part is transferred from the rosin conveyance conveyor. The object to be processed immediately after the drop does not actually fall far from the deposition amount, and the object to be dropped back from the rosin conveying conveyor to the sorting unit and the object dropped through the barrel of the barrel are shaken. By detecting the amount of the workpiece at the position where it is mixed and evenly uniformly,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deposition amount of the workpiece with high accurac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곡부를 구비한 콤바인의 전체 좌측면도.1 is an overall left side view of a combine having a threshing par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탈곡부를 구비한 콤바인의 전체 평면도.2 is an overall plan view of a combine having a threshing uni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탈곡부를 구비한 콤바인의 전체 우측면도.3 is an overall right side view of a combine having a threshing uni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탈곡부를 구비한 콤바인의 전체 정면도.4 is an overall front view of a combine having a threshing par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탈곡부 및 선별부의 좌측면 모식도.5 is a schematic view of the left side of the threshing part and the sorting part;
도 6은 송진구 처리동의 우측면도.6 is a right side view of the rosin mouth treatment ridge;
도 7은 송진구 처리동의 후면도.7 is a rear view of the rosin mouth treatment ridge.
도 8은 이삭가지 처리 장치와 선별 장치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an ear cutting processing apparatus and a sorting apparatus;
도 9는 이삭가지 처리 장치와 급동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정면도.The front view which shows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of an ear branch processing apparatus and a barrel.
도 10은 이삭가지 처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The side view which shows the internal structure of an ear branch processing apparatus.
도 11은 이삭가지 처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The front view which shows the internal structure of an ear branch processing apparatus.
도 12는 탈곡부와 송진구 처리동 부의 측면 모식도.It is a side schematic diagram of a threshing part and a rosin bowl process part.
도 13은 송진구 처리동으로부터 반송체로의 구동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 모식도.It is a side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drive structure from a rosin port process cylinder to a carrier body.
도 14는 탈곡부와 송진구 처리동의 정면도.14 is a front view of a threshing part and a rosin bowl.
도 15는 송진구 처리동으로부터 반송체로의 구동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 모식도.Fig. 15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rive configuration from the rosin port processing cavity to the carrier.
도 16은 송진구 처리동으로부터 반송체로의 구동 구성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 단면도.Fig. 16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drive configuration from a rosin ball processing ridge to a carrier.
도 17은 반송체 후부의 측면도.17 is a side view of a carrier body rear part;
도 18은 반송체 후지지부의 후면도.18 is a rear view of the carrier back support part;
도 19는 반송체의 다른 실시예의 탈곡부 및 선별부의 측면 단면도.19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threshing part and a sorting part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carrier;
도 20은 반송체와 반송체 구동부의 다른 실시예의 탈곡부의 측면 모식도.It is a schematic side view of the threshing part of the other Example of a carrier and a carrier drive part.
도 21은 반송체의 다른 실시예의 탈곡부의 측면 모식도.21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threshing por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carrier.
도 22는 반송체의 다른 실시예의 탈곡부 후부의 측면 모식도.It is a schematic side view of the threshing part rear part of another Example of a carrier body.
도 23은 송진구 처리동과 이삭가지 처리 장치의 정면도.23 is a front view of the rosin mouth treatment ridge and the ear branch processing apparatus;
도 24는 송진구 처리동과 다른 실시예의 반송체의 측면 모식도.It is a side schematic diagram of the conveyance body of a rosin ball process tool and another Example.
도 25는 탈곡부 및 선별부의 후면 단면도.25 is a rear sectional view of the threshing part and the sorting part;
도 26은 센서를 나타내는 모식도.26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ensor.
도 27은 송진구 처리동과 반송체의 측방에 마련하는 가이드판과 확산판을 마련한 정면도.The front view which provided the guide plate and the diffuser plate which are provided in the side of a rosin hole process cylinder and a conveyance body.
<부호의 설명><Code description>
10...이삭가지 처리 장치10 ... Grip processing unit
11...이삭가지 처리동11 ... Rice Branch Processing
12...탈곡부12 ... threshing part
17...선별부17 ... Selection
20...수망20 ... water
21...급동21.Rapid
22...송진구 처리동22 ...
23...송진구23 ...
24...처리동 망24 ... processed copper
27...요동 선별 장치27 ... swinging sorting device
28...급실28 ... class room
29...처리실29.Processing room
40...2번 환원 컨베이어40 ... 2 reduction conveyor
50...반송체50 ... carrier
56...우근56 ... right
100...처리동 보스100.Processing Boss
101...처리동 구동축101 ... Processing Drive Shaft
102...기어박스102 ... gearbox
106...제 1 스프로킷106 ... 1st Sprocket
107...제 2 스프로킷107 second sprocket
108...체인108 ... Chain
110...축수틀110 ... Axle Frame
<발명을 해결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Best Form for Solving the Invention
이하에서,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Below,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콤바인(201)의 전체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실시예의 콤바인(201)에 한정되지 않으며 급동과 송진구 처리동과 송진 반송 컨베이어를 구비하는 콤바인(자탈형·범용형)에 광범위하게 적용 가능하다.Hereinafter, the whole structure of the
크롤러(무한궤도)식 주행 장치(1)상에는 기체 프레임(2L)(2R)이 배치되며, 상기 기체 프레임(2L)(2R) 전측에는 일으킴·예취부(3)가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상기 예취부(3)는 전단에 분초판(4)을 돌출하여 곡물짚을 분초하고, 그 후부에 일으킴 케이스(5)를 세워 마련하고 상기 일으킴 케이스(5)에서 돌출한 타인(6)의 회전에 의해 곡물짚을 일으켜, 상기 분초판(4) 후부에 마련한 낫(7)으로 밑둥을 제거하도록 하고 있다.The
제거된 곡물짚은 상부 반송 장치, 하부 반송 장치, 세로 반송 장치(8)에서 후부로 반송되며, 상기 세로 반송 장치(8)의 상단에서 밑둥이 피드체인(9)에 받아 지며, 탈곡부(12) 내로 곡물짚이 반송된다. 그리고, 상기 피드체인(9) 후단에는 배출 볏짚 체인(18)이 마련되며, 상기 배출 볏짚 체인(18) 후부 하방에는 배출 볏짚 커터 장치, 확산 컨베이어 등으로 이루어지는 배출 볏짚 처리부(19)가 형성되며, 배출 볏짚을 절단하여 볏조각으로 한 후, 확산되면서 노밭에 균일 방출하도록 되어 있다.The removed grain straw is conveyed to the rear part from the upper conveying apparatus, the lower conveying apparatus, and the vertical conveying apparatus 8, is received by the
또한, 상기 탈곡부(12) 측부에는 선별 후의 정밀한 입자를 저류하는 그레인탱크(13)가 마련되며, 상기 그레인탱크(13) 전부에는 운전실(14)이 마련되는 한편, 그레인탱크(13) 후부에는 배출 기관(15)의 세로 기관(15a)이 세워 마련되며, 상기 세로 기관(15a)을 중심으로 하여 그레인탱크(13)가 측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하고, 본기 내부측에 배치된 구동계나 유압계의 유지를 용이하게 하고 있다.In addition, a
그리고, 상기 그레인탱크(13)의 저부에는 배출 컨베이어(16)가 전후 방향으로 마련되며, 상기 배출 컨베이어(16)로부터 상기 배출 기관(15)에 동력이 전달되어 배출 기관(15) 선단에서 트럭 등으로 그레인탱크(13) 내의 곡물 입자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탈곡부(12) 하방에는 선별부(17)가 마련되며, 탈곡부(12)에서 흘려 내려오는 곡물 입자나 볏짚 등(이하, [처리물]이라 함)으로부터 곡물입자를 선별하고, 상기 그레인탱크(13)로 반송하도록 하고 있다.In addition, a
다음에, 탈곡부(12)에 관하여 도 5, 도 6 및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Next, the threshing
탈곡부(12)에 형성된 급실(28)에는, 기체의 전후 방향으로 축가된 대략 원주형상의 급동(21)이 마련되며, 상기 급동(21)의 외주면에는 급치(21a·21a···)가 심어져 마련된다. 한편, 피드체인(9)에 의해 곡간(穀桿)의 밑둥부는 구속되면서 곡간(穀桿)의 선단부는 급동(21)의 하방에 삽입되면서 기체 후방으로 반송된다. 급동(21)의 회전에 의해, 급치(21a·21a···)가 뉘(처리물)에 접촉하여 탈입이 행해짐과 함께, 수망(20)은 급동(21)이 격납되는 급실(28)의 하반부를 덮도록 마련되며, 피처리물(뉘 및 세단된 볏짚의 혼합물)만을 하방으로 낙하하도록 되어 있다.The
그리고, 상기 급동(21) 후부로, 그레인탱크(13)측(본 실시예에서는 기체 우측)의 처리실(29)에, 대략 원주형상의 송진구 처리동(22)이 마련된다. 상기 송진구 처리동(22)은 급동(21)과 평행하게 되도록 전후 방향으로 횡가·축지된다. 또한, 급동(21)을 덮어 급실(28)을 형성하는 급동 케이스(61)의 후부(우)측면은 송진구 처리동(22)를 덮어 처리실(29)을 형성하는 처리동 케이스(62)의 전부(좌) 측면과 송진구(23)를 개재하여 연통하고 있다. 급동(21)에서 처리되지 못한 이삭가지 부착 입자 등의 미처리물은 송진구(23)에서 처리실(29) 내로 반송된다. 처리동 망(24)은 송진구 처리동(22)이 격납되는 처리실(29)의 하반부를 덮도록 마련되며 상기 처리동 망(24)에 마련된 구멍(그물코)을 통과하여 피처리물(뉘 및 세단된 볏짚의 혼합물)만을 하방으로 낙하하도록 하고 있다.Then, at the rear of the
또한, 송진구 처리동(22)의 후단부의 외주면에는 전후에 긴 판체로 이루어지는 우체(91)(91)가 고정 마련되어 있다. 상기 우체(91)(91)는 상기 송진구 처리동(22)과 일체적으로 회전하고, 송진구 처리동(22)에 의해 처리실(29)까지 반송되어 온 볏짚은 상기 우체(91·91···)의 회전에 의해 튀어 올라 송진구 처리동(22)의 하방으로 배출되고 후술하는 가이드판(81: 도 18 참조)에 의해 기체 외부로 가이드된다.Moreover, the
이어서, 탈곡부(12)의 하방으로 배치되는 선별부(17)에 관하여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선별부(17)에서는 요동 선별 장치(27)에 의한 요동 선별과 풍구(26)에 의한 풍선별이 행해지며 1번물과 2번물과 볏짚 등으로 분별된다.Next, the
요동 선별 장치(27)는 기틀(35) 내에 수납된다. 요동 선별 장치(27)의 전단부는 급동(21)의 전단부의 하방까지 연장되며 요동 선별 장치(27)의 후단부는 송진구 처리동(22) 후단부의 하방까지 연장되도록 요동 선별 장치(27)의 전후 길이가 정해져 있다. 그리고, 요동 선별 장치(27) 전하부에는 미도시의 요동축이 마련됨과 함께, 후부에는 미도시의 요동 구동 기구가 마련되며, 요동 구동 기구에 의해 요동 선별 장치(27)가 기틀(35)에 대하여 요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요동 선별 장치(27)의 전부에는 전류곡판(30)이 마련됨과 함께, 상기 전류곡판(30)의 후하방에 후류곡판(31)이 마련된다. 상기 전후의 유곡판(30)(31)은 판형의 부재를 파형으로 성형한 것이며, 수망(20)을 통과한 처리물(곡물입자 및 볏짚 등의 혼합물)은 전후의 유곡판(30)(31) 상에 낙하되며, 요동 선별 장치(27)의 요동에 의해 기체 후방으로 반송된다. 그리고, 상기 후류곡판(31) 후부에는 제 2 선별부인 망형의 그레인시브(32)가 연결됨과 함께, 상기 그레인시브(32)와 상기 후류곡판(31)의 상방 그리고 전류곡판(30)의 후방에는 제 1 선별부인 채프시브(33)가 씌워져 마련되어 있다.The
또한, 요동 선별 장치(27) 하방의 전후 도중 위치에는 좌우 방향으로 1번 컨베이어(36)와 2번 컨베이어(37)가 가로로 마련된다. 1번 컨베이어(36)와 2번 컨베이어(37)의 위치 관계는 1번 컨베이어(36)가 풍구(26)에 가까운 측(기틀(35)의 전부), 2번 컨베이어(37)가 풍구(26)로부터 먼 측(기틀(35)의 후부)이 된다.Moreover, the
1번 컨베이어(36)의 우단부에는 그 길이방향(반송방향)이 대략 상하방향이 되도록 마련된 양곡 컨베이어(38)가 연결되며, 상기 양곡 컨베이어(38)의 상단은 그레인탱크(13) 내와 연통하고 있다.The right end of the
요동 선별 장치(27) 내에서 선별되어 1번 컨베이어(36)의 유곡판(39) 상에 누하된 1번물은 1번 컨베이어(36)로부터 양곡 컨베이어(38)를 지나 그레인탱크(13)에 반송된다. The first article sorted in the
또한, 상기 2번 컨베이어(37)의 우단부에는 그 길이방향(반송방향)이 전방으로 기울어진 상방이 되도록 마련된 2번 환원 컨베이어(40)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2번 환원 컨베이어(40)의 전방 측단부에는 이삭가지 처리 장치(10)가 연결 마련된다.In addition, the
요동 선별 장치(27) 내에서 선별되어 2번 컨베이어(37)의 부근에 누하된 2번물은 2번 컨베이어(37)로부터 2번 환원 컨베이어(40)를 지나 이삭가지 처리 장치(10)로 반송된다. 이삭가지 처리 장치(10) 내의 이삭가지 처리동(11)에 의해 이삭가지가 제거된 후의 2번물은 요동 선별 장치(27)의 선별 개시부 즉 전류곡판(30) 상에 재투입된다.The second article sorted in the
요동 선별 장치(27)의 후단부 상방에는 흡인팬(25)이 전체 폭에 가로로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흡인팬(25)에 풍구(26), 세컨드 팬(46)으로부터 공급되는 선별풍의 흐름을 타고 온 먼지가 흡인되어 기외로 배출된다.Above the rear end of the
풍구(26)는 상기 전류곡판(30) 후부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풍구(26)의 팬 케이스(26a)는 상후방이 개방되고, 위로부터 차례로 가이드 상판(92), 가이드 중판 (93), 가이드 하판(94)과 각각 시단(일단)부가 우근체의 외주부에 배치되며, 가이드 상판(92)은 가이드 중판(93)의 상방에 배치되고 그 타단은 기울어져 상방으로 연장 마련되며 팬 케이스(26a)와 가이드 상판(92)의 사이에 제 1 풍로(96)를 형성하고 있다. 가이드 중판(93)은 풍구(26)의 상방에 배치되고 그 타단은 기울어져 후방으로 연장 마련되며 가이드 상판(92)과 가이드 중판(92)의 사이에 제 2 풍로(97)를 형성하고 있다. 가이드 하판(94)은 측면으로 보았을 때 대략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풍구(26)의 후부에 배치되며, 가이드 중판(93)과 가이드 하판(94)의 사이에 제 3상풍로(9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하판(94)과 팬 케이스(26a) 후단에 연장 마련한 유곡판(39)의 사이에 제 3 하풍로(99)가 형성되어 있다.The
상기 제 1풍로(96)를 흐르는 제 1 선별풍은 풍향을 상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서서히 바꾸면서 채프시브(33)로 향하여 흘러간다. 그리고, 상기 채프시브(33) 상면을 따라 흐르면서 후방의 흡인팬(25)으로 향하여 차례로 상승하여 빨아 들여지며, 상기 각 수망(20)(24)으로부터 요동 선별 장치(27)로 누하하는 처리물의 채프시브(33) 상에서의 풍선별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팬 케이스(26a)의 상단은 이삭가지 처리 장치(10)의 후하방으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전류곡판(30)의 요동에 의해 탈곡 후의 처리물이나 이삭가지 처리 장치(10)에 의해 처리된 곡물 입자 등을 고르게 한 후에 풍선별을 행하도록 하고, 또한 그 후부의 수망(20) 후부로부터 낙하하는 뉘나 볏가루 등을 선별함과 함께, 후술하는 반송체(50)에 의해 반송되어 낙하하는 처리물을 풍선별하고, 나아가 후술하는 산(70)을 무너지도록 하여 막힘이 생기지 않게 하고 있다. 즉, 반송체(50) 전단의 배출구는 제 1 풍로(96)의 후부 상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first sorting wind flowing through the first air passage 96 flows toward the
제 2 풍로(97)를 흐르는 제 2 선별풍은 채프시브(33)와 그레인시브(32)의 사이로 유도되고, 그 후, 채프시브(33) 하면을 따라 흐르면서 채프시브(33) 내를 차례로 상승하여 흡인팬(25)에 빨아들여지며, 후류곡판(31) 상에 대류하는 젖은 처리물을 후방으로 보냄과 동시에 채프시브(33)로부터 누하되는 처리물의 그레인시브(32) 상에서의 풍선별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The second sorting wind flowing through the
제 3 상풍로(98)를 흐르는 제 3 상선별풍은 후류곡판(31)의 후하면으로부터 그레인시브(32)를 통과하여 채프시브(33)의 후부로 흐르며, 마지막에는 흡인팬(25)으로 빨아들여지며, 그레인시브(32)로부터 누하되는 처리물의 그레인시브(32) 하에서의 풍선별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The third phase separation wind flowing through the third upper wind path 98 flows through the
제 3 하풍로(99)를 흐르는 제 3 하선별풍은 유곡판(39) 상을 뒤로 기울어져 하방으로 향하여 불어내고, 1번 컨베이어(36) 후부의 유곡판(95)에 충돌하여 풍향이 뒤로 기울어져 상방으로 변한 후, 그레인시브(32)의 후부로부터 흡인팬(25)으로 빨아 들여진다.The third downward wind flowing through the third downwind path 99 is inclined backward on the
그리고. 상기 1번 컨베이어(36)와 2번 컨베이어(37)의 사이에도 부압송 팬인 세컨드 팬(46)이 마련되며, 상기 세컨드 팬(46)의 토출구는 상후방으로 개구되며, 요동 선별 장치(27)의 후부에 마련된 스트롤럭(44)과 후부 유곡판(88)의 사이에 후부풍로(89)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후부 유곡판(88)은 요동 본체(49)의 후부 하방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요동되고, 상기 후부 유곡판(98)과 2번 컨베이어 후부의 유곡판의 사이에도 복귀풍로(84)를 형성하고 있다.And. A
이렇게 하여, 풍구(26)에 의한 선별풍의 풍력이 약해지는 선별부(17) 후부에서도 풍선별에 의한 선별 성능이 저하하지 않도록 하고, 후부풍로(89)는 세컨드 팬(46)에서 기울어져 상후방으로 불어내고, 스트롤럭(44)과 후부 유곡판(88)의 사이를 통과하여, 그레인시브(32) 후부 및 스트롤럭(44)으로부터 낙하하는 2번물을 풍선별한다. 그리고, 후부 유곡판(88)의 후단에서는 과류가 발생하여 복귀풍로(84)로 흘러들어간다. 즉, 이 과류는 2번 컨베이어로의 2번물의 아래쪽 흐름을 촉진하는 것이다.In this way, the sorting performance by a balloon according to a balloon does not fall also in the back part of the sorting
다음에, 이삭가지 처리 장치(10)에 관하여 도 8 내지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Next, the ear
이삭가지 처리 장치(10)는 이삭가지 처리동(11)을 2번 환원 컨베이어(40)의 전측의 종단 하방으로 배치하고, 이삭가지 처리장치(10)는 그레인탱크(13)의 뒤측, 즉, 정면으로 보았을 때 그레인탱크(13)의 우측에서 요동 선별 장치(27)의 좌측상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그레인탱크(13)를 개방함으로써 이삭가지 처리 장치(10)를 유지할 수 있다.The ear
상기 이삭가지 처리동(11)의 외주면에는 처리치(11a·11a···)가 적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상기 이삭가지 처리동(11)은 통체(45) 내에 수납되며, 상기 통체(45)의 우측(진행방향) 상후부에 공급구(41)를 마련하여 2번 환원 컨베이어(40)와 연통되어 있다. 상기 통체(45)의 내측면에는 츠스바(고정측 처리칼)(77·77···)가 돌출 마련되어 있다.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ar
또한, 통체(45)의 좌측 하방에 배출구(42)를 마련하고, 요동 선별 장치(27) 의 개시부는 면하여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배출구(42)의 전부 또는 측부에는 뉘 가이드판(43)을 상하방향으로 배치하여 낙하하는 뉘가 날아가 흩어지지 않도록 가이드하고 있다.Moreover, the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2번 환원 컨베이어(40)로부터의 2번물의 흐름을 설명하면, 2번물은 공급구(41)에서 이삭가지 처리 장치(10) 내로 투입된 후, 이삭가지 처리동(1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삭가지 처리동(11)의 외주에 구비되는 처리치(11a·11a···)와 이삭가지 처리 장치(10)의 외곽을 구성하는 통체(45)의 내측면에 돌출 마련된 츠스바(77·77···)에 의해 이삭가지를 제거하면서 배출구(42) 까지 반송되며, 상기 배출구(42)로부터 하방으로 향하여 배출된 후, 상기 배출구(42)의 근방에 배치된 뉘 가이드판(43)에 닿아 요동 선별 장치(27)의 선별 개시부, 즉, 전류곡판(30)의 전방표면상으로 낙하하도록 가이드 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flow of the second water from 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뉘 가이드판(43)의 배치는 배출구(42)의 전방으로 하고, 상기 배출구(42)의 개구가 기체 정면에서 보았을 때 중앙측에 걸쳐 넓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arrangement of the
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이삭가지 처리동(11)은 펑면에서 보았을 때 기체 진행 방향과 직교하여(좌우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이삭가지 처리동(11)의 회전 방향은 기체 진행 방향 좌측에서 보았을 때 시계방향으로 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the ear
이 이삭가지 처리동(11)의 회전 방향에 의해 상기 공급구(41)에서 투입되는 2번물이 통체 하방의 배출구(42)로부터 배출될 때에는 이삭가지 처리동(11)의 회전에 의한 바람의 흐름에 따라 전방으로 향하여 흐르며, 전류곡판(30)의 전방으로 배 출되도록 된다.When the second object introduced from the
이렇게 하여, 전류곡판(30)을 이동시키는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여 2번물을 확산시키고, 뉘층을 얇게 할 수 있으며, 1번 컨베이어(36)로의 누하가 행해지기 쉽다. 즉, 선별 성능의 향상이 도모되는 것이다.In this way, a sufficient distance for moving the current
또한, 상술한 뉘 가이드판(43)에는, 배출후의 2번물을 확실히 닿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뉘 가이드판(43)에 의한 선별 성능의 향상을 더욱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econd article after discharge can be reliably touched to the above-described nucle guide
다음에, 이삭가지 처리 장치(10)로의 구동 전달 구성에 관하여 도 10 및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Next, the drive transmission structure to the ear
이삭가지 처리 장치(10)로의 구동의 전달에 있어서, 구동원인 엔진으로부터의 구동은 출력축, 기어케이스, 1번 컨베이어(36), 2번 컨베이어(37) 등을 개재하고, 2번 환원 컨베이어(40)로 전달되며, 그리고, 상기 2번 환원 컨베이어(40)의 말단에서 이삭가지 처리 장치(10)로 전달된다.In the transmission of the drive to the ear
2번 환원 컨베이어(40)의 컨베이어 구동축(90) 끝단에 마련되어 있는 베벨기어(71)에서 스프로킷(72), 체인(73)을 통하여 구동축(11b)에 동력을 전달하고, 이삭가지 처리동(11)을 회전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The
다음에, 송진구 처리동(22) 및 처리실(29) 내부의 상세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Next, detailed configurations of the rosin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진구 처리동(22)의 외주면에는 스크류형의 나선체(22a)가 형성된다. 또한 나선체(22a)에는 복수의 처리치(22b·22b···)가 돌출 마련된다.As shown in FIG. 6, the screw
송진구 처리동(22)이 회전 구동되면, 송진구(23)로부터 처리실(29) 내에 반송되어 온 이삭가지 부착 입자 등의 미처리물은 기체 후방에 반송되면서 뉘와 이삭가지로 분리된다.When the rosin
이 때,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진구 처리동(22)을 피복하는 케이스의 일부를 형성하는 급동 케이스(61)의 후부 우측 판부의 외벽(우측면)에는 급동 케이스측 리드변(63·63···)이 마련된다. 또한, 송진구 처리동(22)을 피복하는 케이스의 대부분을 형성하는 처리동 케이스(62)의 전부 우측판의 내벽(좌측면)에는 처리동 케이스측 리드변(64·64···)이 마련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s. 6 and 7, the outer case (right side) of the rear right side plate portion of the
한 쌍의 급동 케이스측 리드변(63)과 처리동 케이스측 리드변(64)에서 리드변(65)이 형성된다. 리드변(65)은 송진구 처리동(22)의 회전에 의해 미처리물이 반송 방향(도 6중의 화살표A)으로 보내지도록 소정의 리드각(리드변(65)의 작용면에 수직인 벡터(B)와, 전후 방향으로 벡터(A)(화살표(A)가 이루는 각도) θ를 가지고(즉, 대략 나선형으로)처리실(29) 내벽의 상반부에 마련된다.The
이와 같이, 처리실(29)의 내벽면에 리드각 θ를 가지는 리드변(65·65···)을 마련함으로써, 송진구 처리동(22)의 회전 구동에 의한 처리실(29) 후방(배출 방향)으로의 미처리물의 반송이 촉진되며, 급실(28)로부터 송진구(23)를 지나 처리실(29)로 반송되어 온 미처리물이 처리실(29) 내를 빠르게 이동한다. 따라서, 급실(28) 후부 및 처리실(29) 전부(즉, 송진구(23)근방)에서의 미처리물의 대류 및 처리실(29)에서 급실(28)로의 미처리물의 역류가 방지되어 탈곡·선별 능력이 향상된 다.Thus, by providing th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리드변(65)(급동 케이스측 리드변(63) 및 처리동 케이스측 리드변(64))은 송진구(23)에 마련되어 있는 처리실(29) 전부에 배치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미처리물의 발생량 등에 따라 처리실(29) 중도부나 후부에 마련하여도 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ead side 65 (the barrel case
또한, 리드변(65)을 급동 케이스 측 리드변(63)과 처리동 케이스측 리드변 (64)의 두 개의 부재로 구성하며, 각각 급동 케이스(61) 및 처리동 케이스(62)에 장착함으로써, 처리실(29)의 상반부에 걸쳐 리드변(65)을 마련하여 상기 리드변(65)의 작용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 미처리물의 반송 능력이 향상된다. 또한, 처리실(29) 내의 청소, 유지 시의 분해·조립이 용이하여 유지성이 우수하다.In addition, the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드변(65)을 구성하는 급동 케이스측 리드변(63)의 전단부(63a)와 처리동 케이스측 리드변(64)의 후단부(64)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전후방향, 즉 미처리물의 반송 방향에서 겹쳐져(오버랩되어) 있으며, 처리동 케이스측 리드변(64)의 작용면을 따라 이동해 온 미처리물은 확실히 급동 케이스측 리드변(63)의 작용면에 건네진다. 따라서, 리드변(65)이 두 개의 부재로 나뉘어 있는 것과 관계없이 미처리물의 반송 능력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th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급동 케이스측 리드변(63)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송진구(23)의 상단에서 처리실(29)의 상부위치에 4단 평행으로 송진구(23)의 전단에서 급실(28)의 대략 후단 위치까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처리동 케이스측 리드변(64)은 송진구(2)의 상하 중도부로부터 처리실(29)의 상부 위치에 3단 평행 으로 송진구(23)의 전단에서 송진구(23)의 대략 후단 위치까지 마련되며 송진구(23)로부터 처리실(29) 내로 확실하게 반송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arrel case
또한, 상기 리드각 θ의 크기에 관하여는, 미처리물의 반송 방향에서 급동 케이스측 리드변(63)의 후단부(63b)로부터 처리동 케이스측 리드변(64)의 전단부(64a)까지의 길이(L1)가 미처리물의 반송 방향에서의 송진구(23)의 개구폭(L2)의 반 이상이 되도록(L1·(1/2) × L2)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regarding the magnitude | size of the said lead angle (theta), the length from the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송진구(23)로부터 처리실(29) 내로 반송되는 미처리물을 배출 방향(후방)으로 재빨리 이동시킬 수 있으며, 급실(228) 후부 및 처리실(29) 전부(즉, 송진구(23)근방)에서의 미처리물의 대류 및 처리실(29)로부터의 급실(28)로의 미처리물의 역류가 방지되며 탈곡·선별능력이 향상된다.By doing so, the unprocessed material conveyed from the
또한, 리드각 θ를 너무 크게 하면, 리드변(65)의 작용면과 미처리물의 마찰이 과대해져 처리동(22)의 회전 구동에 따른 부하가 증대하거나, 뉘의 탈곡이나 파쇄 등의 원인이 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콤바인의 사용 조건 등에 의해 리드각 θ를 적절히 선택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if the lead angle θ is too large, friction between the working surface of the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진구(23)로부터 떨어진 처리실(29) 중앙부로부터 후부에 걸쳐 리드각 θ를 가지지 않는(θ≒0) 칸막이 판(66·66···)이 처리동 케이스(62) 내벽에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처리실(29)의 중앙부로부터 후부에서는 오히려 미처리물이 빨리 후방으로 반송되는 것을 저해하여, 충분한 분리·선별을 행함으로써, 분리·선별(여과)을 촉진하여 로스를 감소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the
또한, 도 5에 나타낸 처리동망(24)에 관하여는, 판재에 뚫은 구멍을 다수 마 련한 프레스망으로 함으로써, 클림프망이나 콘케이브와 비교하여 처리물의 유통성(처리물의 하방으로의 낙하의 용이함)이 향상된다. 또한, 제조 비용을 저감화할 수 있다.In addition, with regard to the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중의 송진구 처리동(22)의 처리치(22b·22b···)가 처리동 케이스(62) 내벽에 마련된 저항판(67·67)간을 통과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처리실(29) 내에 반송되는 미처리물의 양이 많을 때(예컨대, 고속 주행에서의 수확 작업시 등)에도 처리동망(24) 상에 대류하여 뉘의 여과를 저해하는 긴 볏짚을 높은 효율로 세단하는 것이 가능하며, 분리·선별(여과)을 촉진하여 로스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처리치(22)의 선단 부분을 칼날 모양으로 가공함으로써 긴 볏짚의 세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the
다음에, 반송체(50)에 관하여 설명한다.Next, the
도 12 내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처리실(29)에서 송진구 처리동(22)의 하방에 반송체(50)가 송진구 처리동(22)과 평행으로 평면에서 보았을 때 중복하도록 전후방향으로 가로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반송체(50)에 의해 송진구 처리동(22)으로부터 처리동망(24)을 통하여 낙하하는 처리물을 받아 상기 처리물을 전방, 즉, 송진구 처리동(22)에 의한 탈입자의 반송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반송하여 요동 선별 장치(27)상에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2-14, in the
상기 반송체(50)는 처리실(29)의 하부에 전후 방향으로 정면에서 보았을 때, 깔때기형의 수통(52)을 가로로 마련하여 상방을 개방하고, 상기 수통(52) 내에 나선형체로서 스크류(53)를 구비하여 컨베이어를 가로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송진구 처리동(22)과 마찬가지로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반송체(50)는 그 반송 시단부를 처리동망(24)의 후단 하방으로 배치하고, 그 반송 끝단부를 상기 급동(21)의 끝단부 측판(59)에서 기체 진행 방향 전측으로 배치하고, 급동(21)의 후부와 전후방향에서 일부 중복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반송체(50) 및 송진구 처리망(22)에서 전방에는 상기 이삭가지 처리 장치(10)가 마련되며 측면에서 보았을 때 급동(21)과 중복하도록 배치되어 있다.When the said
또한, 상기 반송체(50)와 급동(21)이 측면에서 보았을 때 중복되지 않는 부분에서 반송체(50)로부터 처리물이 낙하하지 않도록 수통(52)의 급동(21)측에 측벽(54)이 고정 마련되는 한편, 반송체(50)와 급동(21)이 중복하는 부분, 즉, 반송 끝단부에서는 수통(52)의 급동(21)측이 개방 상태로 되어 배출부(52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52a)에 위치하는 스크류(53)의 구동축(55)에 판상의 우근(56)이 고정 부착되며, 상기 우근(56)의 회전에 의해 처리물을 요동 선별 장치(27)의 좌우 중심축으로 배출하도록 하고 있다.In addition, the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체(50) 전방에서, 스크류(53)의 구동축(55) 상에 기어(47a)가 고정되며, 상기 기어(47a)는 입력축(58)의 일단에 고정된 기어(47b)와 맞물려져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축(58)의 타단에 벨트차(48a)가 고정 부착되며, 상기 벨트차(48a)와, 송진구 처리동(22)의 구동축(34)에 고정 부착된 벨트차(48b)가 벨트(57)에서 권회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상기 송진구 처리동(22)의 구동측(34)에 벨트차(48a)(48b), 벨트(57) 및 기어(47a)(47b)를 개재하여 반송체(50)의 구동축(55)을 연동 연결시키고, 송진구 처리동(22)의 구동축(34)으로부터 반송체(50)의 구동축(55)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하여, 송진구 처리동(22)의 회전에 따라 반송체(50)를 회전 구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3, in front of the
또한, 다른 구동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 15 및 도 16에서 설명한다. 송진구 처리동(22)의 구동축(34)의 전단부에는 통모양의 처리동 보스(100)가 연결되며, 상기 처리동 보스(100)에는 처리동 구동축(101)이 연결된다. 바꾸어 말하면, 처리동 구동축(101)과 구동축(34)은 처리동 보스(100)를 개재하여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처리동 보스(100)는 기체 프레임(2)에 지지된 기어 박스(102)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되어 있다.In addition, another embodiment of another drive structure is described in FIGS. 15 and 16. A tubular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어 박스(102)에는 상기 처리동 보스(100)와 평행으로 중간축(103)이 축지되어 있으며, 상기 기어 박스(102) 내에서는 처리동 보스(100)에 마련되어 있는 제 1 기어(104)와 상기 중간 축(103)에 마련되어 있는 제 2 기어(105)가 맞물려 전동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축(103)의 일단(후단)은 기어 박스(102) 바깥에 돌출되어 있으며, 그 돌출부에는 제 1 스프로킷(106)이 감합·고정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6, the
한편,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반송체(50)의 전방에 있어서 스크류(53)의 구동축(55)의 전단부에 단면방형상의 스플라인 감입부(55a)가 소정 길이로 늘어져 형성된다. 이 스플라인 감함부(55a)가 감합·분리 가능한 감합공(107a)을 축심부에 구비하는 제 2 스프로킷(107)이 기받침(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 2 스프로킷(107)과 상기 제 1 스프로킷(106)은 체인(108)에 의해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6, in the front of the said
따라서, 구동축(55)측의 스플라인 감합부(55a)가 제 2 스프로킷(107)측의 감합공(107a)에 감합 상태이면, 반송체(50)는 송진구 처리동(22)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spline
단, 반송체(50)의 구동 구성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체인식 등이어도 되며, 또한, 송진구 처리동(22)으로부터 뿐만이 아니라 하방의 선별 장치 등으로부터 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However, the drive structure of the
한편, 반송체(50)의 후측부의 지지틀측(후측)의 구성은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반송체(50)의 구동축(55)의 후단은 축수틀(110)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상기 축수틀(110)은,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았을 때 5각형으로 형성되며, 그 중심부에 구동축(55) 및 스크류(53)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축수부(110a)). 그리고, 축수틀(110)의 하방측변부의 구부러짐부(111)(112)에는 볼트공이 천공 마련되며, 상기 볼트(113)에 의해 깔때기형의 수통(52)의 단연에 반송체(50) 전체가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tructure of the support frame side (rear side) of the rear part of the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도 12,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처리물이 송진구 처리동(22)으로부터 처리동망(24)을 통하여 떨어져 반송체(50)에 낙하하면, 상기 처리물은 스크류(53)의 회전에 의해 반송체(50)의 반송 끝단부인 배출부(52a) 까지 반송되고, 상기 배출부(52a)로부터 우근(56)의 회전에 의해 요동 선별 장치(27)의 좌우 중심측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송진구 처리동(22)으로부터 직접 2번 컨베이어(37)로 낙하하는 일이 없어, 2번물은 분산되어 요동 선별 장치(27) 상에 환원되도록 되고 요동 선별 장치(27)의 선별폭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반송된 처리물을 다시 선별하여 곡물 입자 로스를 저감함과 함께 곡물입자의 처리의 증가를 도모할 수 있다.12, 13, and 14, when the processing object falls from the rosin
또한, 상기 구성에 의해 반송체(50)의 교환·청소 등의 유지에 관하여는 볼트(113)를 떼어내고, 축수틀(110)을 수통(52)의 단연(52b,52c)으로부터 분리시키고, 구동축(55)측의 스플라인 감입부(55a)가 제 2 스프로킷(106)측의 감합공(107a)으로부터 분리되어 반송체(50) 전체를 수통(52)의 상부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In addition, with respect to the maintenance of replacement and cleaning of the
단, 반송체(50)의 구동 구성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벨트차식 등이어도 되며, 또한 송진구 처리동(22)에서 뿐만 아니라 하방의 선별 장치 등에서 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However, the drive configuration of the
여기서, 상기 반송체(50)의 구동축(55)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았을 때 반송체(50)가 급동(21)의 좌측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스크류측(53)과 우근(56)의 회전 방향을 반시계 방향으로 함으로써, 상기 스크류(53)에 의해 반송된 처리물은 우근(56)에 의해 요동 선별 장치(27)상에 언더 뜨로우(under throw)로 배출되게 되며 상기 처리물을 수통(52)의 배출부(52a)로부터 요동 선별 장치(27)의 채프시브(33) 등에 부딪히는 일 없이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처리물은 배출부(52a)로부터 요동 선별 장치(27) 상에 언더 뜨로우(under throw)로 배출되나, 스크류(53)과 우근(56)을 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처리물을 오버 뜨로우(over throw)로 배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Here, as shown in FIG. 14, when the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송진구 처리동(22)으로부터 처리동망(24)을 통하여 떨 어진 처리물이 반송체(50)에 낙하하면, 상기 처리물은 스크류(53)의 회전에 의해 반송체(50)의 반송 끝단부인 배출부(52a)까지 반송되며, 상기 배출부(52a)로부터 우근(56)의 회전에 의해 요동 선별 장치(27)의 좌우 중심측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송진구 처리동(22)으로부터 직접 2번 컨베이어(37)에 낙하하는 일이 없어 2번물은 분산되어 요동 선별 장치(27) 상에 환원되도록 되며, 요동 선별 장치(27)의 선별폭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반송한 처리물을 재선별하여 곡물 입자 로스를 저감함과 함께 곡물 입자의 처리의 증가를 도모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processed object dropped from the rosin
또한, 배출부(52a)에서, 도 12,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체(50)의 측방에 가이드판(115)과 확산판(116)을 마련하고 있다. 즉, 반송체(50) 전부와 급동(21) 후부가 측면에서 보았을 때 중복하는 기체 중앙측의 부분은 수망(20)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이 부분에 정면에서 보았을 때 수망(20)과 대략 중복하도록 가이드판(115)이 마련되며, 그 하방에 확산판(116)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판(115)은 송진구(23)와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중복하는 폭으로,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진구 처리동(22)의 하부에서, 즉, 처리동망(24)의 기체 중앙 방향 단부로부터 기울어져 횡하방의 수망(20)의 직선 방향으로 향하여 연장 마련되어 있다. 즉, 송진구(23)와 반송체(50)의 우근(56)이 위치하는 반송체(50)의 전부 배출측에서, 후면에서 보았을 때 반송체(50)의 기체 좌우 중앙측 상방으로 가이드판(115)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판(115)의 상단은 처리동망(24)의 기체 중앙측에 고정되어 기울어져 기체 좌우 중앙측으로 기울어져 하방으로 향하여 배치되며, 하단을 수망(20)의 후부에 고정하고, 나아가 가이드판(115)의 상하 좌우 중도 부에서 하방으로 향하여 확산판(116)이 기체 중앙측으로 기울어져 마련되어 있다.Moreover, in the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수망(20) 끝단에서 탈곡 처리되지 못한 이삭가지 부착 입자 등이 가이드판(115)에 가이드 되어 송진구(23)에서 송진구 처리동(22)으로 투입된다. 그리고, 송진구 처리동(22)에서 처리된 후의 처리물이 그 하방의 반송체(50)에 의해 전방으로 반송되어 전부에서 우근(56)에 의해 속박되면서 기체 좌우 중앙측으로 기울어져 상방으로 언더 뜨로우(under throw)로 방출된다. 이 때, 가이드판(115)에 닿은 처리물은 기체 중앙측 하방으로 다시 날아가도록 가이드된다. 또한, 투입된 처리물은 안내판(115) 뒤측에 배치되는 확산판(116)에 닿음으로써 요동 선별 장치(27) 상에 확산되어 방출되어 처리물이 굳는 일 없이 분산되고 요동 선별되어 선별 효율을 향상시킨다. By such a configuration, the particles attached to the ear branch, which are not threshed at the end of the
다음에, 반송체의 제 2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Next, a second embodiment of the carrier is described.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처리실(29)에서 송진구 처리동(22)의 하방에 반송체(60)가 송진구 처리동(22)과 평면에서 보았을 때 중복하도록 평행으로 전후방향으로 가로 마련되어 있다. 상기 반송체(60)는 처리실(29)의 하부에 전후 방향으로 정면에서 보았을 때 깔때기 모양의 수통(82)을 가로 마련하여 상방을 개방하고, 상기 수통(82)에 스크류(83)를 구비하여 컨베이어를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반송체(60)는 그 반송 끝단부(기체 진행 방향 전측)가 급동(21)의 대략 중앙부까지 연장 마련되며, 반송체(60) 및 송진구 처리동(22)의 전방으로 마련된 상기 이삭가지 처리 장치(10)에 연결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9 and FIG. 20, in the said
그리고, 반송체(60)에 의해, 송진구 처리동(22)으로부터 처리동망(24)을 통 하여 낙하하는 처리물을 받고, 상기 처리물을 송진구 처리동(22)에 의한 탈입자의 반송 방향과 반대방향인 반송 끝단부까지 스크류(83)의 회전에 의해 반송하고, 이삭가지 처리 장치(10)에 투입하고, 상기 이삭가지 처리 장치(10) 내의 이삭가지 처리동(11)에 의해 이삭가지를 제거한 후, 요동 선별 장치(27)의 선별 개시부에 재투입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And the
또한,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반송체(60)의 반송 시단부(기체 진행 방향 후측)에는, 2번 환원 컨베이어(80)의 후방 상단부가 연결되어 있으며, 2번 환원 컨베이어(80)로부터 반송되는 2번물을 반송체(60)로 받아, 상기 반송체(60) 내를 스크류(83)의 회전에 의해 그 반송 끝단부까지 반송하여 상기 이삭가지 처리 장치(10)에 투입하고, 이삭가지 처리 장치(10) 내의 이삭가지 처리동(11)에 의해 이삭가지를 제거한 후, 요동 선별 장치(27)의 선별 개시부에 재투입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0, the back upper end part of the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반송체(60)의 반송 시단부에 2번 환원 컨베이어(80)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 2번 환원 컨베이어(80)는 후방으로 경사하여 반송체(60)의 반송 시단부에 연결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2번 환원 컨베이어를 전방으로 경사하여 이삭가지 처리 장치를 연결하는 경우에 비해, 2번 환원 컨베이어(80)의 전체 길이를 단축할 수 있어 경량화와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2번 환원 컨베이어(80)는 양곡 컨베이어(38)와 겹쳐지지 않으므로, 탈곡부(12)의 가로폭을 단축할 수 있어 그레인탱크(13)의 용량을 증가하거나 그레인탱크(13)의 탈곡부(12)측의 측판을 간단화하거나 할 수 있다.Her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반송체(60)는 이삭가지 처리 장치(10) 내의 이삭가지 처리동(11)과 같은 축상에 배치되어 있으나,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체(60)를 전상회로 기울여 상기 반송체(60)의 반송 끝단부의 하방으로 이삭가지 처리 장치(10)를 배치하고, 반송되는 처리물을 이삭 가지 처리동(11)의 상방으로부터 투입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이삭가지의 많은 2번물과 송진구 처리동(22)의 처리물을 2번 환원 컨베이어(80)와 반송체(60)로 이루어지는 한 경로에서 이삭가지 처리 장치(10)에 투입하여 이삭가지를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효율로 이삭가지 처리를 행할 수 있으며,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부품 점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송진구 처리동(22)에 의한 처리물에는 볏짚 조각도 많은데, 이를 이삭가지 처리 장치(10)에서 분쇄할 수 있기 때문에, 선별 능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By this configuration, the number 2 of the number of ear branches and the processed material of the rosin
다음에, 반송체의 제 2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Next, a second embodiment of the carrier is described.
도 22,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처리실(29)에서 송진구 처리동(22)의 하방에 반송체(85)가 송진구 처리동(22)과 평행으로 평면에서 보았을 때 중복하도록 전후방향으로 가로 마련하고 있다. 상기 반송체(85)는 처리실(29)의 하부에 전후 방향으로 정면에서 보았을 때, 깔때기 모양의 수통(86)을 가로 마련하여 상방을 개방하고, 상기 수통(86) 내에 스크류(87)를 수납하여 컨베이어를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반송체(60)는 그 반송 끝단부(기체 진행 방향 전측)가 급동(21)의 후단부까지 연장 마련되며 상기 이삭가지 처리 장치(68)에 연결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2, FIG. 23, in the
그리고, 반송체(85)에 의해 송진구 처리동(22)으로부터 처리동망(24)을 통하 여 낙하되는 처리물을 받고, 상기 처리물을 송진구 처리동(22)에 의한 탈 입자의 반송 방향과 반대방향인 반송 끝단부까지 스크류(87)의 회전에 의해 반송하여, 이삭가지 장치(68)에 투입한다. 상기 이삭가지 처리 장치(68) 내에서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이삭가지 처리동(69)에 의해 이삭가지를 제거한 후, 요동 선별 장치(27)에 투입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And the receiving
또한,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반송체(85)의 반송 시단부(기체 진행 방향 후측)에는 2번 환원 컨베이어(80)의 후방 상단부가 연결되어 있으며, 2번 환원 컨베이어(80)로부터 반송되는 2번물을 반송체(85)로 받아 상기 반송체(85) 내를 스크류(87)의 회전에 의해 그 반송 끝단부까지 반송하여 이삭가지 처리 장치(68)에 투입하고, 이삭가지 처리장치(68) 내의 이삭가지 처리동(69)에 의해 이삭가지를 제거한 후, 요동 선별 장치(27)에 투입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2, the back upper end of the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반송체(60)의 반송 시단부에 2번 환원 컨베이어(80)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 2번 환원 컨베이어(80)는 후방으로 경사하여 반송체(50)의 반송 시단부에 연결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2번 환원 컨베이어를 전방으로 경사하여 이삭가지 처리 장치에 연결하는 경우에 비해, 2번 환원 컨베이어(80)의 전체 길이를 단축할 수 있어, 경량화와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2번 환원 컨베이어(80)는 양곡 컨베이어(38)와 겹쳐지지 않으므로, 탈곡부(12)의 횡폭을 단축할 수 있어 그레인탱크(13)의 용량을 증가시키거나 그레인탱크(13)의 탈곡부(12)측의 측판을 간소화 하거나 할 수 있다.Her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또한,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이삭가지 처리 장치(68)는 급동(21) 의 끝단부측판(59)의 바로 뒤 하방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삭가지 처리동(69)을 송진구 처리동(22) 전부 하방에서 급동(21) 후부 하방까지 연장하여 좌우 방향으로 가로 마련하고 있다. 상기 이삭가지 처리동(69)은 통체(75) 내에 수납되어 있으며, 상기 통체(75)의 진행방향 우측 후부에 개구를 마련하여 반송체(85)와 연통함과 함께, 진행 방향 우측 상부에 급동(21)의 횡폭과 대략 같은 횡폭을 가지는 개구부(75)를 마련하여 상방을 개방하고, 상기 개구부(75a)에서 급동(21)의 끝단부측판(59)에서 오버 뜨로우(over throw)한 볏짚 조각 등을 받아 이삭가지 처리동(69)에서 분쇄하고 확산하여, 요동 선별 장치(27) 상에 배출하도록 하고 있다.Moreover, as shown in FIG. 22, the said ear
이러한 구성에서 이삭가지 처리동(69)은 기체 진행방향 좌측에서 보았을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되기 때문에, 상기 반송체(85) 및 개구부(75a)에서 투입되는 처리물이나 볏짚 조각 등은 통체(75)의 전부하에 개구된 배출부(75b)로부터 배출될 때에는 이삭가지 처리동(69)의 회전에 의한 바람의 흐름에 따라 전방으로 향하여 흐르며, 요동 선별 장치(27)의 전방에 배출된다.In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ear
그 때문에, 요동 선별 장치(27)를 이동시키는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고, 처리물을 확산시켜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선별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Therefore, a sufficient distance for moving the
다음에, 반송체의 제 4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Next, a fourth embodiment of the carrier is described.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송진구 처리동(24)과 그 하방에 배치된 제 2의 처리동(78)의 2단식 처리동으로 한 것이다.As shown in FIG. 24, in this embodiment, it is set as the two-stage process cylinder of the said rosin | die
또한, 스크류식으로 구성된 송진구 처리동(37)과 제 2의 처리동(78)은 회전 수가 다르며, 송진구 처리동(24)의 하방에는 썬방식의 그물코가 세밀하지 않은 처리동망(24)이 늘어져 걸쳐지며, 제 2의 처리동(78)의 하방에는 그물코가 세밀한 제 2의 처리망(79)이 늘어져 걸처져 있다.In addition, the
송진구 처리동(24)은 수구가 급동(21)의 송진구(23)에 연통하여 급동(21)의 탈입자를 기체의 후방으로 보내면서 재처리하고, 처리동망(24)을 통과한 여과물을 제 2의 처리동(78) 상에 배출한다. 제 2의 처리동(78)은 송진구 처리동(22)으로부터의 여과물을 기체의 전방으로 보내면서 재처리하고, 그 처리물을 제 2의 처리망(79)을 통하여 요동 선별 장치(27)의 요동 선별 요동체(49) 상으로 환원한다. 이 송진구 처리동(22)과 제 2의 처리동(78)의 2단 처리로 이삭가지 부착 입자가 감소하고, 또한, 급동의 탈입자의 재처리 거리가 확보되어 정입자의 증가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Th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송진 반송 컨베이어(50)의 회전축의 전단부에 외감된 톱니바퀴와, 송진구 처리동(22)의 회전축의 전단부에 외감된 톱니바퀴가 서로 맞물려 있으며, 송진 반송 컨베이어(50)의 회전수와 송진구 처리동(22)의 회전수의 비가 대략 일정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송진구 처리동(22)에서 분리되어 송진 반송 컨베이어(50)에 포획되는 피처리물의 양과 송진 반송 컨베이어(50)에 의해 전방으로 반송되는 피처리물의 양을 소정의 비율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송진 반송 컨베이어(50) 및 송진구 처리동(22)의 회전축의 후단부측에서 톱니차, 벨트와 벨트차, 또는 체인과 스프로킷 등, 송진 반송 컨베이어(50)와 송진구 처리동(22)의 회전수 비를 대략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구동력을 분배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ear wheel wound around the front end of the rotary shaft of the
처리동망(24)에 마련된 구멍(그물코)을 통과하여 하방으로 낙하된 피처리물은 상기 송진 반송 컨베이어(50)에 의해 기체 전방(즉, 송진구 처리동(22)의 반송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향하여 반송된다. 그리고, 상기 피처리물은 송진 반송 컨베이어(50) 전단으로 마련된 배진구(50a)에서 선별부(17)로 재투입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처리물은 채프시브(33) 상에 유곡판(39)의 상방(즉, 1번 컨베이어(36)의 상방)이 되게 위치하여 낙하된다.The to-be-processed object which passed down through the hole (net nose) provided in th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송진 반송 컨베이어(50)는 스크류식의 컨베이어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벨트식의 컨베이어라도 된다. 또한, 송진 반송 컨베이어(50)에 의해 피처리물이 재투입되는 위치는 전류곡판(30) 상이어도 된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이하에서는 도 5, 도 25 및 도 26을 이용하여 센서(51)에 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센서(51)는 선별부(17) 전상부에 마련된 전류곡판(30) 및 채프시브(33)에 퇴적된 배출 볏짚의 양을 검지하고, 채프시브(33)의 개구도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며, 주로, 접촉체(51a) 및 센서부(51b)로 구성된다.The
접촉부(51a)는 길게 가느다란 판형의 부재이며, 그 일단은 센서부(51b)의 회전축에 장착되어 있다. 센서부(51b)는 리졸버(resolver), 회전식 전위차계, 로터리 인코더 등의 회전각도 센서이며, 기체에 대한 접촉체(51a)의 자세를 각도의 형으로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채프시브(33) 상에 퇴적되어 있는 피처리물(뉘 및 세단된 볏짚의 혼합물)의 상하방향의 두께 T[mm]는 채프시브(33) 상면에서 센서부(51b) 까지의 높이 H[mm]와 접축체(51a)의 길이 R[mm]과 센서부(51b)에 의해 검 출되는 접촉체(51a)의 회전각도 φ[rad]에 의해 φ=0 일 때는 0<T<H-R, φ>0 일 때는 T=H-R×cosθ 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접촉체(51a)의 회전각도 φ는 접촉체(51a)가 바로 밑을 향하고 있을 때(피처리물과 접촉하지 않을 때)를 0으로 하고, 접촉체(51a)가 후방으로 반송되어 가는 피처리물에 접촉하여 후방으로 회동할 때에 올바른 값을 갖는 것으로 정의한다.As shown in FIG. 26, the thickness T [mm] of the up-down direction of the to-be-processed object (mixture of the piled up and shredded rice straw) deposited on the
한편, 선별부(17)에서 볏짚과 뉘를 높은 정확도로 분리 가능한 범위 내에서 채프시브(33)로부터 그레인시브(32)로 낙하량을 최대한 많게 하고, 선별 처리능력이 극대로되는 채프시브(33)의 개구도와 피처리물(뉘 및 세단된 볏짚의 혼합물)의 상하방향의 두께 T[mm]의 관계를 실험 등을 통해 미리 구해놓는다. 그리고, 센서(51)로부터의 회전 각도 φ에 관한 정보(즉, 채프시브(33) 및 전류곡판(30) 상으로 피처리물의 퇴적량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채프시브(33)의 개구도를 조절한다. 예컨대, 피처리물이 센서(51)의 바로 아래에서만 산형으로 퇴적되어 있으며, 채프시브(33) 및 전류곡판(30) 상의 다른 장소에는 퇴적되지 않은 것과 같은 경우에는 센서(51)에 의해 검출되는 회전 각도 φ로부터 구해진 두께 T[mm]는 실제의 채프시브(33) 및 전류곡판(30) 상의 피처리물의 퇴적량을 올바르게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는 없다(이 경우, 실제의 퇴적량 보다도 퇴적량을 많은 견적으로 한다). 따라서, 피처리물이 채프시브(33) 및 전류곡판(30) 상에서 균등하게 고르게 되어 있는 것이 두께 T[mm]를 높은 정확도로 구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볼 때도 선별을 높은 효율로 행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볼때도 중요하다.On the other hand, within the range capable of separating rice straw and nuits in the
실제로는 선별부(17)의 요동에 의해 피처리물은 채프시브(33) 및 전류곡판 (30) 상에서 균등하게 고르게 되어 있으나, 송진 반송 컨베이어(50) 전단의 배진구(50a)의 바로 아래만은, 특히 수확시의 주행 속도가 클(수확물이 단위 시간당 탈곡부(12) 및 선별부(17)에 투입되는 양이 많은)때에는, 배진구(50a)에서 낙하된 피처리물이 산형으로 퇴적하는 경우가 있다.In reality, the object to be processed is uniformly formed on the
따라서, 센서(51)의 장착 위치는 송진 반송 컨베이어(50)에 의해 선별부(17)에 재투입되는 피처리물에 의해 생기는 극부적인 ‘산’에서 조금 떨어진 위치이며, 상기 송진 반송 컨베이어(50)에 의해 선별부(17)에 재투입되는 피처리물과 수망(20)을 통과하여 낙하된 피처리물이 요동에 의해 혼합하여 균등하게 고르게 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도 5 및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선별부(17)의 좌우중앙(도 25에 나타낸 좌우중앙선C-C)보다도 급동(21)의 회전축은 좌측방으로 치우쳐 있으며, 송진구 처리동(22)의 회전축은 우측방으로 치우쳐 있다. 따라서, 송진구 처리동(22)에서 발생하는 피처리물을 반송하는 송진 반송 컨베이어(50)도 또한 그 회전축이 선별부(17)의 좌우중앙보다도 우측방으로 치우쳐 있으며, 배진구(50a)로부터 선별부(17)상으로 낙하하는 피처리물은 선별부(17)의 좌우 중앙보다도 우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산(70)을 형성한다.As shown in Figs. 5 and 25, in this embodiment, the rotation axis of the
그리고, 센서(51)는 송진 반송 컨베이어(50)의 배진구(50a) 보다도 기체 후방(즉, 선별부(17)에서의 피처리물의 반송 방향의 하류측), 또한 선별부(17)의 좌우중앙보다도 급동(21)으로 치우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선별부(17) 상에 퇴적된 피처리물의 양의 검출치가 산(70)의 영향을 받아 실제의 퇴적량에서 크게 벗어 난 값이 되는 일 없으며, 또한, 송진 반송 컨베이어(50)에 의해 선별부(17)에 재투입되는 피처리물과 수망(20)을 통과하여 낙하된 피처리물이 요동에 의해 혼합하여 균등하게 고르게 된 위치에서 피처리물의 양이 검출됨으로써, 높은 정확도로 피처리물의 퇴적량을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또한, 센서(51)의 위치는 (1)송진 반송 컨베이어(50)의 배진구(50a) 보다도 기체 후방(즉, 선별부(17)에서 피처리물의 반송 방향의 하류측), 또는, (2)급동(21) 후부 하방에서 선별부(17)의 좌우중앙 보다도 급동(21)으로 치우친 것 어느 한쪽을 만족하도록 배치하여도 마찬가지로의 효과를 가져온다.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센서(51)의 센서부(51b)는 리졸버, 회전식 전위차계, 로터리 인코더 등의 회전 각도 센서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센서부(51b)를 접촉식의 스위치로 하여 접촉체(51a)가 소정의 각도 이상 회동했을 때에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가 행해지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정전 용량 센서 등을 사용하여도 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그리고, 상기 반송체(50)의 후방에 가이드판(81)을 마련하고 있다. 상기 가이드판(81)은, 도 12 내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처리동(22)의 하방에서 요동 선별 장치(27)의 상방으로 배치하고 있다. 가이드판(81)의 전단 위치는 처리동망(24)의 후단에서 전방으로 가이드판(81)의 후단위치는 요동 선별 장치(27)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전부를 높게 후부를 낮게 기울여 형성하고 있다. 상기 가이드판(81)은 처리동(22)의 좌우방향의 폭과 대략 동등하게 상기 흡인 팬(25)과 처리동 커버(76)의 사이에 배치하고 있으며, 볼트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And the
상기 가이드판(81)은 상기 송진구 처리동(22) 내부의 볏짚 등을 기체 외부로 가이드하는 것으로, 상기 처리동(22) 내부의 볏짚을 상기 우체(91)(91)의 회전에 의해 튀어 오르게 하여 처리동(22)의 하방으로 배출하고, 상기 가이드판(81)에 의해 기체 외부로 가이드 하고 있다. 이렇게 가이드판(81)을 마련함으로써, 볏짚이 상기 반송체(50)나 요동 선별 장치(27)에 혼입되지 않고 기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이 가이드판(81)의 설치는 임의 사항으로, 설치하지 않아도 콤바인으로서 기능하는 경우도 있다.The
탈곡 장치의 급동의 후부에 처리동을 배치하고, 처리동의 하방에 처리후의 곡물 입자나 먼지 등을 반송체에 의해 전방으로 배치하고, 그 전방에 이삭가지 처리 장치를 함으로써 보리나 쌀 등의 곡물 입자를 탈곡하여 선별하는 성능을 향상하는 용도에 이용할 수 있다.The processing copper is disposed behind the barrel of the threshing apparatus, and the grains and dust after the treatment are disposed forward by the carrier under the processing cylinder, and the grain processing apparatus such as barley or rice is provided by the ear branch processing apparatus. It can be used for the use which improves the performance which threshes and sorts.
Claims (13)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3303566 | 2003-08-27 | ||
JPJP-P-2003-00303566 | 2003-08-27 | ||
PCT/JP2004/009936 WO2005020665A1 (en) | 2003-08-27 | 2004-07-12 | Combin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17093A KR20070017093A (en) | 2007-02-08 |
KR101035203B1 true KR101035203B1 (en) | 2011-05-17 |
Family
ID=34269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7004094A KR101035203B1 (en) | 2003-08-27 | 2004-07-12 | Combine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4528723B2 (en) |
KR (1) | KR101035203B1 (en) |
CN (1) | CN100459842C (en) |
WO (1) | WO2005020665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168553B (en) * | 2009-03-03 | 2015-06-10 | 株式会社久保田 | Combine and thresher |
JP5246953B2 (en) * | 2009-07-23 | 2013-07-24 | ヤンマー株式会社 | Combine |
TWI641584B (en) | 2013-05-08 | 2018-11-21 | 橘生藥品工業股份有限公司 | α-substituted glycamine derivatives |
JP6499112B2 (en) * | 2016-03-30 | 2019-04-10 | ヤンマー株式会社 | Combin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7436U (en) * | 1992-07-03 | 1994-02-01 | 株式会社クボタ | Threshing equipment |
JPH11206233A (en) | 1998-01-23 | 1999-08-03 |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 Attaching structure of float sensor in combine harvester |
JP2003018909A (en) * | 2001-07-10 | 2003-01-21 | Seirei Ind Co Ltd | Threshing apparatus |
JP2003169533A (en) * | 2001-12-06 | 2003-06-17 |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 Rachis-branch treatment apparatus of combine harvester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467027A2 (en) * | 1990-05-18 | 1992-01-22 | Deere & Company | Conveyor for a harvester |
JP2997368B2 (en) * | 1992-07-12 | 2000-01-11 | 三菱農機株式会社 | Sorting control method in combine |
JPH11206223A (en) * | 1998-01-26 | 1999-08-03 | Iseki & Co Ltd | Seat apparatus for harvest in harvester of vegetable with head formation |
DE19912372C1 (en) * | 1999-03-19 | 2000-11-09 | Case Harvesting Sys Gmbh | Device for measuring the grain fraction in a return of a combine harvester |
JP4009692B2 (en) * | 2000-04-24 | 2007-11-21 | 井関農機株式会社 | Threshing device |
CN1245064C (en) * | 2000-06-14 | 2006-03-15 | 井关农机株式会社 | Threader for harvester |
JP2002291325A (en) * | 2001-03-30 | 2002-10-08 |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 Treating drum structure of thresher |
JP4084612B2 (en) * | 2002-07-09 | 2008-04-30 |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 Combine |
-
2004
- 2004-07-12 CN CNB2004800284934A patent/CN100459842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07-12 JP JP2005513405A patent/JP4528723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07-12 WO PCT/JP2004/009936 patent/WO2005020665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4-07-12 KR KR1020067004094A patent/KR101035203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7436U (en) * | 1992-07-03 | 1994-02-01 | 株式会社クボタ | Threshing equipment |
JPH11206233A (en) | 1998-01-23 | 1999-08-03 |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 Attaching structure of float sensor in combine harvester |
JP2003018909A (en) * | 2001-07-10 | 2003-01-21 | Seirei Ind Co Ltd | Threshing apparatus |
JP2003169533A (en) * | 2001-12-06 | 2003-06-17 |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 Rachis-branch treatment apparatus of combine harvest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05020665A1 (en) | 2005-03-10 |
CN100459842C (en) | 2009-02-11 |
CN1859838A (en) | 2006-11-08 |
KR20070017093A (en) | 2007-02-08 |
JPWO2005020665A1 (en) | 2007-10-04 |
JP4528723B2 (en) | 2010-08-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689392A (en) | Complete spike and straw feeding type combined harvester | |
KR101035203B1 (en) | Combine | |
KR100900010B1 (en) | Combine | |
JP2008237107A (en) | Threshing apparatus | |
JP2008237134A (en) | Thresher | |
JP2017046608A (en) | Combine-harvester | |
JP2009027978A (en) | Threshing apparatus | |
KR100854166B1 (en) | Threshing device and receiving net of the device | |
JP2007104956A (en) | Threshing device | |
JP3686604B2 (en) | Threshing machine second processing equipment | |
JP5109947B2 (en) | Threshing device | |
JP4815793B2 (en) | Threshing device | |
JP3763713B2 (en) | Threshing sorting structure | |
JP2004290208A (en) | Combine harvester | |
JP4697312B2 (en) | Combine | |
JP2005312354A (en) | Thresher | |
JP2002045022A (en) | Thresher | |
JP2009034057A (en) | Combine harvester | |
JP2007111057A (en) | Combine | |
JP2007267629A (en) | Thresher | |
JP2007244234A (en) | Vertical tailings-return conveyor of combine harvester | |
JP2004187551A (en) | Threshing apparatus | |
JP2003169532A (en) | Second treatment apparatus for thresher | |
JP2004008112A (en) | Combine harvester | |
JP2006254756A (en) | Combine harves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