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5064B1 - interm shaft for steering device of vehicle - Google Patents
interm shaft for steering device of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35064B1 KR101035064B1 KR1020090053615A KR20090053615A KR101035064B1 KR 101035064 B1 KR101035064 B1 KR 101035064B1 KR 1020090053615 A KR1020090053615 A KR 1020090053615A KR 20090053615 A KR20090053615 A KR 20090053615A KR 101035064 B1 KR101035064 B1 KR 1010350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aft
- hollow shaft
- steering
- tolerance ring
- vehic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20—Connecting steering column to steering gea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00—Shafts; Axles; Cranks; Eccentrics
- F16C3/02—Shafts; Axl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02—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2—Shaft arrangements; Shaft supports, e.g.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을 조향 하는 조향 장치의 스티어링 컬럼과 스티어링 기어 장치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시에 충격을 흡수하는 차량 조향 장치용 인텀 샤프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조향 장치용 인텀 샤프트는 스티어링 컬럼과 스티어링 기어를 연결하여 동력전달 및 충격을 흡수하는 차량 조향 장치용 인텀 샤프트에 있어서, 중공형상의 중공 샤프트, 상기 중공 샤프트에 일부 삽입되는 솔리드 샤프트, 상기 중공 샤프트와 상기 스티어링 컬럼을 연결하는 제1 유니버셜 조인트, 상기 솔리드 샤프트와 상기 스티어링 기어를 연결하는 제2 유니버셜 조인트. 그리고 상기 중공 샤프트의 외면을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소음발생을 방지하고,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유격, 인텀, 인터미디트, 스티어링, 샤프트, 톨러런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verted shaft for a vehicle steering device which is installed between a steering column of a steering device for steering a vehicle and a steering gear device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and to absorb shock. In the induction shaft for the vehicle ste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duction shaft for the vehicle steering apparatus that absorbs power transmission and shock by connecting the steering column and the steering gear, a hollow hollow shaft, partially inserted into the hollow shaft A solid shaft, a first universal joint connecting the hollow shaft and the steering column, and a second universal joint connecting the solid shaft and the steering gear. And it comprises a pressing member for pressing the outer surface of the hollow shaft. Therefore, the occurrence of noise can be prevented and the handling performance can be improved.
Clearance, intum, intermediate, steering, shaft, toleran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을 조향 하는 조향 장치의 스티어링 컬럼과 스티어링 기어 장치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시에 충격을 흡수하는 차량 조향 장치용 인텀 샤프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verted shaft for a vehicle steering device which is installed between a steering column of a steering device for steering a vehicle and a steering gear device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and to absorb shock.
일반적으로 차량의 방향을 전환하는 차량의 조향 장치는 차량 내부에 위치하여 운전자가 조작하여 조향력을 발생시키는 스티어링 휠과, 스티어링 휠의 회전력으로 회전되며 스티어링 휠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스티어링 컬럼과, 기어 물림으로 회전운동을 수평운동으로 변환하여 차량의 바퀴를 조향하는 스티어링 기어와, 스티어링 컬럼과 스티어링 기어를 연결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시에 차량의 충돌 시 충격을 흡수하는 인텀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In general, a steering device of a vehicle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is a steering wheel which is located inside the vehicle and is operated by a driver to generate steering force, a steering column which is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teering wheel and which adjusts the angle of the steering wheel, and a gear The bite may include a steering gear for converting the rotational motion into a horizontal motion to steer the wheels of the vehicle and connecting the steering column and the steering gear to transmit a rotational force and absorbing a shock during a collision of the vehicle.
이러한 차량 조향 장치의 구성 중 인텀 샤프트는 차량의 충돌 시 충격을 흡수하여 운전자의 부상을 최소화 하는 보호 수단으로서, 근래에는 샤프트의 길이가 신축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구조의 인텀 샤프트가 차량에 설치되고 있다.Among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steering apparatus, the intum shaft is a protection means for minimizing the injury of the driver by absorbing the impact when the vehicle collides. Recently, the intum shaft has been installed in the vehicle to absorb the shock due to the expansion of the shaft length. .
도 1은 종래의 인텀 샤프트의 일부를 절개한 측면도이다.1 is a side view of a portion of a conventional intum shaft cut away.
종래의 인텀 샤프트(10)는 중공 형상의 제1 샤프트(11)와, 제1 샤프트(11)에 일정 길이 삽입되는 제2 샤프트(13)와, 제2 샤프트(13)의 외측 단에 설치되는 제2 유니버셜 조인트(17)와 제1 샤프트(11)의 외측 단에 설치되는 제1 유니버셜 조인트(15)를 포함할 수 있다.The
이러한 종래의 인텀 샤프트(10)는 제1 유니버셜 조인트(15)를 스티어링 컬럼과 연결하고, 제2 유니버셜 조인트(17)를 스티어링 기어에 연결하여 스티어링 컬럼의 회전력을 스티어링 기어로 전달하게 된다. The
한편, 인텀 샤프트(10)는 차량의 충돌 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제2 샤프트(13)가 제1 샤프트(11)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갖는데, 이때 제2 샤프트(13)와 제1 샤프트(11)는 원주방향으로 돌기 및 홈을 형성하여 서로 형합되도록 구성된다.Meanwhile, the
하지만, 종래의 인텀 샤프트(10)는 제1 샤프트(11)와 제2 샤프트(13)가 서로 형합된 상태로 회전력을 전달하기 때문에 사용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원주방향으로 유격이 발생하고, 이 유격 때문에 소음이 증가하며, 핸들링 응답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슬라이딩 이동되는 샤프트 사이에 발생되는 유격의 축소 및 유격의 성장을 방지하여 샤프트끼리 부딪혀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하고,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 조향 장치용 인텀 샤프트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reduction of the gap generated between the sliding shafts and the growth of the gap to prevent noise generated by the shafts hit each other. In addition, to provide an intum shaft for a vehicle steering apparatus that can improve the handling performance.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조향 장치용 인텀 샤프트는 스티어링 컬럼과 스티어링 기어를 연결하여 동력전달 및 충격을 흡수하는 차량 조향 장치용 인텀 샤프트에 있어서, 중공을 가지는 중공 샤프트, 상기 중공 샤프트에 일부 삽입되는 솔리드 샤프트, 상기 중공 샤프트와 상기 스티어링 컬럼을 연결하는 제1 유니버셜 조인트, 상기 솔리드 샤프트와 상기 스티어링 기어를 연결하는 제2 유니버셜 조인트, 그리고 상기 중공 샤프트의 외면을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한다.In the induction shaft for a vehicle ste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hollow shaft having a hollow in the induction shaft for connecting the steering column and the steering gear for absorbing power transmission and shock And a solid shaft partially inserted into the hollow shaft, a first universal joint connecting the hollow shaft and the steering column, a second universal joint connecting the solid shaft and the steering gear, and pressing an outer surface of the hollow shaft. It includes a pressing member.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중공 샤프트를 가압하도록 상기 중공 샤프트의 외면을 감싸는 톨러런스 링, 그리고 상기 톨러런스 링을 지지하고 상기 톨러런스 링의 외면을 감싸는 부싱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essing member may include a tolerance ring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hollow shaft to pressurize the hollow shaft, and a bushing for supporting the tolerance ring and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tolerance ring.
상기 톨러런스 링은 중공 샤프트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The tolerance ring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hollow shaft.
상기 톨러런스 링은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tolerance ring may be formed with an incision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톨러런스 링은 고무, 플라스틱 또는 금속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The tolerance ring may be formed of any one of rubber, plastic or metal.
상기 톨러런스 링은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The tolerance ring may be a coil spring.
상기 톨러런스 링은 금속으로 형성되고 열처리될 수 있다.The tolerance ring may be formed of a metal and heat treated.
상기 중공 샤프트의 외면에는 상기 중공 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긴 홈이 원주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surface of the hollow shaft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grooves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low shaf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중공 샤프트의 외면에 가압부재를 구비하여 중공 샤프트와 솔리드 샤프트 사이에 발생되는 유격의 축소 및 유격의 성장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공 샤프트와 솔리드 샤프트의 마찰로 인해 발생되는 소음을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핸들링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ing member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llow shaft to prevent the reduction of the play and the growth of the play occurring between the hollow shaft and the solid shaft, as well as to be generated due to the friction between the hollow shaft and the solid shaft. Noise can be prevented and the handling performance can be improv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조향 장치용 인텀 샤프트의 일부를 절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인텀 샤프트의 가압부재가 설치된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며, 도 4는 도 2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조향 장치용 인텀 샤프트의 톨러런스 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텀 샤프트의 가압부재가 설치된 부분을 일부 절개한 측면도이다.FIG. 2 is a side view of a portion of an intum shaft for a vehicle ste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n enlarged portion of the intum shaft of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FIG. 4,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olerance ring of an intum shaft for a vehicle ste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ide view partially cut away a portion in which a pressing member of an intum shaf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먼저, 본 발명은 차량을 조향하는 차량 조향 장치에 설치되는 차량 조향용 인텀 샤프트에 관한 것이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steering intum shaft installed in a vehicle steering apparatus for steering a vehicle.
차량 조향 장치는 차량 내부에 위치하여 운전자가 조작하는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과, 스티어링 휠의 회전력으로 회전되며 스티어링 휠의 각도를 조절하는 스티어링 컬럼(steering column)과, 기어 물림으로 회전운동을 수평운동으로 변환하여 차량의 바퀴를 조향하는 스티어링 기어(steering gear)와, 스티어링 컬럼과 스티어링 기어를 연결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시에 차량의 충돌 시 충격을 흡수하는 인텀 샤프트(interm shaft)를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steering device is a steering wheel which is located inside the vehicle and operated by the driver, a steering column which is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teering wheel and adjusts the angle of the steering wheel, and the rotation movement is leveled by the gear bite. It may include a steering gear for converting the movement of the wheel of the vehicle to steer the wheel, and an interm shaft that connects the steering column and the steering gear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and absorbs shock when the vehicle collides. .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조향 장치용 인텀 샤프트(100)는 중공 샤프트(tubular shaft, 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공 샤프트(110)는 중공형상으로 일정길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중공 샤프트(110)의 내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홈(111)이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배열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and FIG. 3, the
인텀 샤프트(100)는 솔리드 샤프트(solid shaft, 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솔리드 샤프트(130)는 중공 샤프트(110)에 일부 삽입되고, 중공 샤프트(110)에 삽입된 상태로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리드 샤프트(130)가 중공 샤프트(110)에 일부 삽입된 부분에는 중공 샤프트(110)의 내주에 형성된 홈(111)과 치합되는 돌기(131)가 원주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이 솔리드 샤프트(130)에 형성된 돌기(131)는 솔리드 샤프트(130)가 이동 시 중공 샤프트(110)의 홈(111)에 직접 접촉되어 가이드 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4, the
아울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리드 샤프트(130)의 외주면에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로 형성된 합성수지 층(13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합성수지 층(133)과 중공 샤프트(110) 사이에는 그리스(grease)와 같은 윤활제가 첨가되어 미끄럼 운동능력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a
한편, 인텀 샤프트(100)는 상부 유니버셜 조인트(universal joint, 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상부 유니버셜 조인트(150)는 서로 교차되는 축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것으로서, 공지의 유니버셜 조인트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부 유니버셜 조인트(150)의 일측에는 상기 중공 샤프트(tubular shaft, 110)의 외측 단이 결합될 수 있고, 타측에는 스티어링 칼럼의 회전축과 결합될 수 있다.Meanwhile, the
인텀 샤프트(100)는 하부 유니버셜조인트(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하부 유니버셜 조인트(170)는 서로 교차되는 축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것으로서, 공지의 유니버셜 조인트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하부 유니버셜 조인트(170)의 일측에는 상기 솔리드 샤프트(130)의 외측 단이 결합될 수 있고, 타측에는 스티어링 기어의 회전축이 결합될 수 있다.The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텀 샤프트(100)는 가압부재(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가압부재(190)는 중공 샤프트(110)에 외압(pre-load)을 가하여 중공 샤프트(110)와 솔리드 샤프트(130) 사이의 유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3 to 6, the
가압부재(190)는 톨러런스 링(tolerance ring, 191)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톨러런스 링(191)은 중공 샤프트(110)에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중공 샤프 트(110)의 외면을 일정길이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다. 여기서, 톨러런스(tolerance)는 치수공차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중공 샤프트(110)과 솔리드 샤프트(130)의 사이에 유격을 줄일 수 는 의미로 사용된다.The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톨러런스 링(191)에는 복수의 돌기(192)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돌기(192)는 톨러런스 링(192)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돌기(192)의 구성 예컨대, 돌기의 크기, 개수, 높이, 배열, 형상 등의 구성을 변경하여 중공 샤프트(110)를 가압하는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의 돌기(192)는 길이방향으로 긴 형상을 원주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하는 형태로 돌기(192)를 형성하였지만 가압력에 따라 돌기(192)의 구성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돌기의 형상을 한정하지는 않는다.Meanwhile, as shown in FIG. 6, a plurality of
그리고, 톨러런스 링(191)은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193)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절개부(193)를 형성함으로써, 외경이 다소 차이가 있는 중공 샤프트(110)에도 톨러런스 링(191)을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아울러, 톨러런스 링(191)은 평판에 돌기(192)를 형성하고, 이 평판을 필요한 만큼 절단하여 링 형상으로 절곡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평판을 가공하여 톨러런스 링(191)을 가공하면 쉽게 대량 생산할 수 있어 톨러런스 링(191)의 제작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톨러런스 링(191)은 고무, 플라스틱 또는 금속 등으로 중공 샤프트(110)의 가압력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만약 톨러런스 링(191)이 금속으로 형성되었을 경우에는 톨러런스 링(191)에 열처리를 하여 그 열처리 조건에 따 라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톨러런스 링(191)은 중공 샤프트(110)의 외면을 감는 형태로 구성된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이때, 코일 스프링의 내경은 중공 샤프트(11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중공 샤프트(110)의 내부로 가압력이 발생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가압부재(190)는 부싱(bushing, 195)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부싱(195)은 톨러런스 링(191)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톨러런스 링(191)의 외면을 감싸 톨러런스 링(191)의 이탈을 방지하는 동시에 지지한다. 한편, 부싱(195)의 일측단에는 부싱(195)의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부(196)를 형성하여 절곡부(196)의 끝단과 접하는 중공 샤프트(110)의 외면을 서로 용접하는 형태로 중공 샤프트(110)에 설치될 수 있다.The pressing
한편, 부싱(195)은 톨러런스 링(191)보다 더 단단한 재질로 형성하여 톨러런스 링(191)에 가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부싱(195)이 금속일 경우에는 열처리하여 경도를 증가 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간의 작용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between the component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중공 형상으로 형성된 중공 샤프트(110)의 내부에 솔리드 샤프트(130)가 일부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고, 중공 샤프트(110)의 외측 단으로는 상부 유니버셜 조인트(150)가 연결되고, 솔리드 샤프트(130)의 외측 단으로는 하부 유니버셜 조인트(170)가 결합된다.The
그리고, 상부 유니버셜 조인트(150)는 스티어링 컬럼의 회전축에 결합되고, 하부 유니버셜 조인트(170)는 스티어링 기어에 결합된다.In addition, the upper
한편, 중공 샤프트(110)와 솔리드 샤프트(130)는 각각에 형성된 돌기(131)와 홈(111)에 의해 치합되어 중공 샤프트(110)에서 솔리드 샤프트(130)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Meanwhile, the
또한, 중공 샤프트(110)의 외면에는 가압부재(190)가 결합되어, 중공 샤프트(110)에 외압을 가한다. 이때 가압부재(190)는 톨러런스 링(191)이 중공 샤프트(110)에 가압력을 발생시키도록 중공 샤프트(191)의 외면에 설치되고, 톨러런스 링(191)의 외면으로는 부싱(195)이 설치되어 톨러런스 링(191)을 지지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sing
이러한 구성의 인텀 샤프트(100)는 스티어링 컬럼의 회전 시 그 회전력을 스티어링 기어로 전달할 수 있으며, 차량의 충돌 시 솔리드 샤프트(130)가 중공 샤프트(110)의 내주로 삽입되어 충격을 흡수 할 수 있다.The
하지만, 시간이 점차 지남에 따라 솔리드 샤프트(130)와 중공 샤프트(110)가 마찰되면서 마모되어 유격이 발생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리드 샤프트(130)에 합성수지 층(133)이 형성된 경우 합성수지 층(133)이 마모되면서 중공샤프트(110)와 솔리드 샤프트(130)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게 된다.However, as time goes by, the
그러나 이때, 중공 샤프트(110)에 설치된 가압부재(190)로 인해, 중공 샤프트(110)와 솔리드 샤프트(130)의 사이에 발생되는 유격의 축소 및 유격이 성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격으로 인해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격이 축소되어 핸들링 반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However, at this time, due to the
도 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조향 장치용 인텀 샤프트가 도시되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고,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7 shows an intum shaft for a vehicle ste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 of the overlapping configuration of one embodiment is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텀 샤프트는 중공 샤프트(110')에 특징이 있다.An intum shaf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the hollow shaft 110 '.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공 샤프트(110')는 한 실시예에 중공 샤프트(110)의 구성과 동일하고, 다만 중공 샤프트(110')의 외면에는 홈(11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 홈(113)은 중공 샤프트(110')의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원주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홈(113)이 형성되는 부분에 가압부재(190)가 설치될 수 있다.The
따라서, 중공 샤프트(110')의 외면에 홈(113)을 형성함으로써, 중공 샤프트(110')의 강성을 낮춰 가압부재(190)의 가압력을 증가 시킬 수 있다.Therefore, by forming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recogniz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easily changed and equivalent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ncludes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to the scope of the matter.
도 1은 종래의 차량 조향 장치용 인텀 샤프트의 일부를 절개한 측면도 이다.1 is a side view of a portion of a conventional induction shaft for a vehicle steering device.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조향 장치용 인텀 샤프트의 일부를 절개한 측면도이다.FIG. 2 is a side view of a portion of an intum shaft for a vehicle ste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인텀 샤프트에 가압부재가 설치된 부분을 일부 절개한 측면도이다.3 is a side view partially cut away a portion in which the pressing member is installed in the intum shaft of FIG.
도 4는 도 2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2.
도 5는 도 4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FIG.
도 6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조향 장치용 인텀 샤프트의 톨러런스 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olerance ring of an intum shaft for a vehicle ste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텀 샤프트의 가압부재가 설치된 부분을 일부 절개한 측면도이다.FIG. 7 is a side view partially cut away a portion in which a pressing member of an intum shaf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도면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reference numera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인텀 샤프트 110, 110': 중공 샤프트100:
111: 중공 샤프트의 내면 홈 113: 중공 샤프트의 외면 홈111: inner groove of the hollow shaft 113: outer groove of the hollow shaft
130: 솔리드 샤프트 131: 솔리드 샤프트의 돌기130: solid shaft 131: projection of the solid shaft
150: 상부 유니버셜 조인트 170: 하부 유니버셜 조인트150: upper universal joint 170: lower universal joint
190: 가압부재 191: 톨러런스 링190: pressure member 191: tolerance ring
192: 톨러런스 링의 돌기 193: 절개부192: projection of tolerance ring 193: incision
195: 부싱 196: 절곡부195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3615A KR101035064B1 (en) | 2009-06-16 | 2009-06-16 | interm shaft for steering device of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3615A KR101035064B1 (en) | 2009-06-16 | 2009-06-16 | interm shaft for steering device of vehi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35134A KR20100135134A (en) | 2010-12-24 |
KR101035064B1 true KR101035064B1 (en) | 2011-05-19 |
Family
ID=43509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53615A KR101035064B1 (en) | 2009-06-16 | 2009-06-16 | interm shaft for steering device of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35064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59885A (en) * | 2019-05-24 | 2019-05-31 |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 Collapsible steering column assembly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8834B1 (en) * | 2011-08-30 | 2013-03-04 | 남양공업주식회사 | Intermediate shaft for steering device of vehicle |
KR101419986B1 (en) * | 2011-11-03 | 2014-07-16 | 주식회사 만도 | Intermediate Shaft of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
KR101464543B1 (en) * | 2013-02-06 | 2014-11-25 | 남양공업주식회사 | Steering system of automobile |
DE102018202456A1 (en) | 2018-02-19 | 2019-08-22 | Audi Ag | Steering shaft for a steering of a motor vehicle, in particular a passenger car, as well as motor vehicles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16341U (en) * | 1999-01-29 | 2000-08-25 | 밍 루 | Universal joint of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
KR100804583B1 (en) * | 2006-12-22 | 2008-02-20 | 주식회사 만도 | Universial joint |
JP2008195308A (en) * | 2007-02-15 | 2008-08-28 | Toyota Motor Corp | Power steering system |
-
2009
- 2009-06-16 KR KR1020090053615A patent/KR101035064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16341U (en) * | 1999-01-29 | 2000-08-25 | 밍 루 | Universal joint of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
KR100804583B1 (en) * | 2006-12-22 | 2008-02-20 | 주식회사 만도 | Universial joint |
JP2008195308A (en) * | 2007-02-15 | 2008-08-28 | Toyota Motor Corp | Power steering system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59885A (en) * | 2019-05-24 | 2019-05-31 |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 Collapsible steering column assembly |
KR102118900B1 (en) | 2019-05-24 | 2020-06-04 |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 Collapsible steering column assembl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35134A (en) | 2010-12-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81674B1 (en) | Reducer for vehicle | |
JP4258470B2 (en) | Telescopic shaft for vehicle steering and telescopic shaft for vehicle steering with cardan shaft joint | |
KR101035064B1 (en) | interm shaft for steering device of vehicle | |
JP2002013548A (en) | Ball spline clutch and intermediate shaft of steering equipment | |
KR101010827B1 (en) | Intermediate shaft for vehicle | |
JP2009197818A (en) | Telescopic shaft and steering device equipped with telescopic shaft | |
KR20140105269A (en) | Interm shaft for steering device of vehicle | |
KR101141486B1 (en) | Universal Joint for Steering Apparatus | |
WO2018168941A1 (en) | Boot for constant velocity universal joints | |
JP2009192064A (en) | Telescopic shaft and steering device using the same | |
KR102047753B1 (en) | A Motor-Driven Power Steering Apparatus | |
KR102552075B1 (en) | Rack bar supporting device of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 |
KR101214269B1 (en) | Slip Joint of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 |
KR100695441B1 (en) | Slip Joint of Universal Joint | |
KR20100035406A (en) | Slip joint of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 |
KR100746661B1 (en) | Slip joint equipped with clearance compensator | |
JP2007239878A (en) | Drive shaft boot | |
KR100746675B1 (en) | Energy absorbing apparatus of steering column for vehicle | |
KR101277888B1 (en) | Rack Bar Supporting Device of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 |
KR101033452B1 (en) | Steering System having Slip Joint | |
JP4544252B2 (en) | Telescopic shaft for vehicle steering and telescopic shaft for vehicle steering with cardan shaft joint | |
KR101293848B1 (en) | Rack and Pinion Type Steering Apparatus | |
KR101204520B1 (en) | Steering column of vehicle in which the collision energy absorption is possible | |
KR100854763B1 (en) | Slip joint | |
KR101095969B1 (en) | Structure for Absorbing an Impact of a Steering Column with a Convolute Tube Assembly for a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