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4587B1 - 향 발산장치 - Google Patents

향 발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4587B1
KR101034587B1 KR1020090040886A KR20090040886A KR101034587B1 KR 101034587 B1 KR101034587 B1 KR 101034587B1 KR 1020090040886 A KR1020090040886 A KR 1020090040886A KR 20090040886 A KR20090040886 A KR 20090040886A KR 101034587 B1 KR101034587 B1 KR 101034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solution
time
setting
ince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0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1938A (ko
Inventor
김현우
Original Assignee
(주)엠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이씨 filed Critical (주)엠이씨
Priority to KR1020090040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4587B1/ko
Publication of KR20100121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1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4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4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5Vaporisers for active compon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향 발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초음파 진동부재를 이용하여 향 용액을 발산하는 향 발산장치에 있어서,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 일면에 전원 공급수단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측에 결합홀이 형성된 결합부가 상향 돌출 형성되는 하부 본체;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는 결합부재가 형성되고, 일측에 향이 발산되는 가이드 부재의 하측이 삽입 및 고정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며, 이 삽입부의 하측으로 상기 초음파 진동부재가 설치되고, 타측에 향 용액이 저장된 향 용기가 고정되는 향 발산 본체; 상기 하부 본체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부를 지지하고, 이 가이드 부재의 상부에 형성되어 향 용액이 배출되는 방향을 제한하는 향기 발산부재가 결합되되, 상기 가이드 부재와 향가 발산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발산되지 못한 향 용액을 회수하는 용액 회수패널이 형성된 상부 본체; 및 상기 하부 본체의 일면에 장착되어 전원 공급, 구동시간 및 정지시간 등을 설정하고, 설정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설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 발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종 향 용액을 초음파 진동자의 초음파 진동에 의해 미립자 상태인 향 용액만 대기중으로 발산시키고, 큰 입자는 낙하하여 향 용액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향 발산장치에 소요되는 부품 수를 절감하여 그 구조 단순화시킴으로써, 제작 원가를 줄여 대량 생산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향, 발향, 발산, 향기

Description

향 발산장치 {Scent Diffusion Apparatus}
본 발명은 향 발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향 용액을 초음파 진동자의 초음파 진동에 의해 미립자 상태인 향 용액만 대기중으로 발산시키고, 큰 입자는 낙하하여 향 용액의 낭비를 방지하고, 부품 수 절감 및 구조 단순화로 인해 소형 제작이 가능하여 공간 이동이 자유로우며, 향 용액의 발산 및 발산 중지에 대한 시간을 설정함으로써, 향 용액의 발산량에 대한 정밀 제어가 가능한 향 발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향 발산장치는 사무실과 연구실 및 화장실과 작업실(작업장) 등의 실내에 설치하여, 향 용액을 연무(미립자)상태로 분무하여 하우징의 외부로 토출시켜 실내의 공기 및 분위기를 변화시켜 주는 장치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향 발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향 발산장치는 국내공개특허 제2004-35171호에 기재된 것으로서, 상측이 개폐부재(110)에 의해 밀폐되며 내부 상측에 향 용액이 담겨지며 하측에 분배관(120)이 마련된 용액용기가 구비된 본체(130), 분배관(120)과 연결 설치되며 이 관로를 개폐하는 솔레노이드 밸브(140)가 구비된 용액 공급관(150), 용액 공급관(150)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측에는 용액 공급관(150)의 출구측 일부가 인입되며 하방에 초음파 진동자(160)가 배치된 향 발생부(162), 일측은 향 발생부(162)와 관통 설치되고 타측은 본체(130)의 외측으로 관통된 향 배출 파이프(170), 본체(130)의 내부에 장착되며 초음파 진동자(160)와 솔레노이드 밸브(1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원 공급선(182)이 연결된 제어부(180) 및 본체(130)의 외측에 장착되며 제어부(180)의 동작을 제어하는 타이머(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의 향 발산장치는 향 발생부(162)의 내부에 향 용액이 담겨지면 제어부(180)의 동작에 의해 초음파 진동자(160)가 동작되며 향 용액을 분무화 시키고, 이와 같이 분무된 향 용액은 향 발생부(162)와 관통된 향 배출 파이프(170)를 통하여 본체(130) 외부, 즉, 향 발산장치가 설치된 공간을 향하여 분무되어 실내의 공기 분위기를 쾌적하게 한다.
한편, 타이머(190)를 동작시켜 설정된 시간을 셋팅하게 되면 타이머(190)에 의해 셋팅된 시간 동안만 솔레노이드 밸브(140)가 개방 동작되어 용액 용기에 담겨진 향 용액을 용액 공급관(150)을 통하여 향 발생부(162)로 공급시키고, 셋팅된 시간이 완료되면 솔레노이드 밸브(140)가 폐쇄동작을 하며 용액 용기에 담겨진 향 용액이 향 발생부(162)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은 본체(130) 내부에 구성되는 각 구성 요소들이 너무 밀접하게 위치하고 있어서, 이 구성 요소들의 간섭으로 제대로 작동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어부(180)와 연결되는 전원 공급선(182)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게 되므로, 설치 가능한 공간이 매우 한정적일 수밖에 없었으며, 타이머(190)를 통해 시간을 셋팅하여 향 용액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고 있으나, 용액 공급관(150)에 잔여하고 있는 향 용액이 부폐되면서 용액 공급관(150)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각종 향 용액을 초음파 진동자의 초음파 진동에 의해 미립자 상태인 향 용액만 대기중으로 발산시키고, 큰 입자는 낙하하여 향 용액의 낭비를 방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향 발산장치에 소요되는 부품 수를 절감하여 그 구조 단순화시킴으로써, 제작 원가를 줄여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배터리 혹은 태양 전지 등에 의해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실내 어디에도 자유롭게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향 발산장치에 향 용액의 발산 및 발산 중지에 대한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설정수단을 구성함으로써, 향 용액의 발산량에 대한 정밀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초음파 진동부재를 이용하여 향 용액을 발산하는 향 발산장치에 있어서,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 일면에 전원 공급수단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측에 결합홀이 형성된 결합부가 상향 돌출 형성되는 하부 본체;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는 결합부재가 형성되고, 일측에 향이 발산되는 가이드 부재의 하측이 삽입 및 고정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며, 이 삽입부의 하측으로 상기 초음파 진동부재가 설치되고, 타측에 향 용액이 저장된 향 용기가 고정되는 향 발산 본체; 상기 하부 본체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가 이드 부재의 상부를 지지하고, 이 가이드 부재의 상부에 형성되어 향 용액이 배출되는 방향을 제한하는 향기 발산부재가 결합되되, 상기 가이드 부재와 향가 발산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발산되지 못한 향 용액을 회수하는 용액 회수패널이 형성된 상부 본체; 및 상기 하부 본체의 일면에 장착되어 전원 공급, 구동시간 및 정지시간 등을 설정하고, 설정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설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 발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설정수단은 상기 초음파 진동부재로 공급되는 전원의 ON / OFF 기능을 선택하는 전원 선택부와, 향 용액이 발산되는 시간을 설정하는 구동 선택부 및 상기 향 용액의 발산이 정지되는 시간을 설정하는 정지 선택부를 포함하는 메뉴 선택부; 상기 구동 선택부의 선택에 의해 상기 향 용액이 발산되는 시간을 설정하는 구동시간 설정부 및 상기 정지 선택부의 선택에 의해 상기 향 용액의 발산이 정지되는 시간을 설정하는 정지시간 설정부를 포함하는 시간 설정부; 및 상기 메뉴 선택부가 표시되는 메뉴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구동시간 설정부에서 설정된 구동시간이 표시되는 구동시간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정지시간 디스플레이부에서 설정된 정지시간이 표시되는 정지시간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 발산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각종 향 용액을 초음파 진동자의 초음파 진동에 의해 미립자 상태인 향 용액만 대기중으로 발산시키고, 큰 입 자는 낙하하여 향 용액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향 발산장치에 소요되는 부품 수를 절감하여 그 구조 단순화시킴으로써, 제작 원가를 줄여 대량 생산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에 배터리 혹은 태양 전지 등에 의해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실내 어디에도 자유롭게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향 발산장치에 향 용액의 발산 및 발산 중지에 대한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설정수단을 구성함으로써, 향 용액의 발산량에 대한 정밀 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향 발산장치의 하부 커버, 향 발산 본체 및 상부 커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향 발산장치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향 발산장치의 설정수단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 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향 발산장치의 설정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향 발산장치(200)는 상부가 개구되고 전원 공급수단(204)이 구비되며 인쇄 회로 기판(220)이 장착된 하부 본체(210), 하부 본체(210)와 결합하며 초음파 진동부재(240)가 구비되는 향 발산 본체(230), 하부 본체(210)의 상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며, 초음파 진동부재(240)의 상측에 구비되어 미립자 형태로 구성되는 향 용액이 상향 발산되도록 하는 가이드부재()가 구비되는 상부 본체(250) 및 초음파 진동부재(240)의 구동 시간 및 전원 공급 및 차단 등을 설정하여 향 용액이 발산되는 양을 정밀 제어하는 설정수단(2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부 본체(210)는 상부가 개구된 함체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 일면에 전원 공급수단(204)이 수용되는 수용부(212)와, 외부 일면에 향 발산 본체(230)에 구비된 초음파 진동부재(240)의 전원 공급 여부를 설정하는 후술할 설정수단(280)이 장착되는 장착부(214)가 형성된다.
여기서, 전원 공급수단(204)은 충전 가능한 배터리, 휴대 가능한 건전지 및 빛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 전지 등의 집광판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향 발산장치(200)의 설치가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만 있다면, 어떠한 전원 공급수단(204)을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전원 공급수단(204)이 수용되는 수용부(212)에는 하부 본체(210)로부 터 개폐 가능한 커버(미도시)가 추가로 결합되어 전원 공급수단(204)의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하부 본체(210)에는 향 발산 본체(230)가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결합부(216)가 상향 돌출 형성되는데, 이 결합부(216)의 상측 단부에는 향 발산 본체(230)와 직접 결합되는 결합홀(216a)이 형성된다. 여기서, 결합홀(216a)은 하부 본체(210)와 향 발산 본체(230)의 결합 방식에 따라 단순한 홀의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홀의 형상으로 형성될 것이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결합부(216)의 상측에는 설정수단(280)의 제어부(440)와 연결되며, 제어부(440)에서 전송되는 다양한 설정 신호,(예를 들어 전원 공급신호 혹은 전원 차단신호)를 수행하는 인쇄 회로 기판(220)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인쇄 회로 기판(220)은 설정수단(280)의 제어부(440)에서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초음파 진동부재(240)의 구동을 제어하여 향기의 발산량이나 발산 시간 등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설정수단(280)과 직접 연결되어 이 설정수단(280)에서 설정되는 조건에 의해 초음파 진동부재(240)의 구동을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향 발산 본체(230)는 하측 본체()에 형성된 결합부(216)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부재(232)가 하향 돌출 형성되고, 결합부(216)에 형성된 결합홀(216a)에 삽입 혹은 체결되는 결합돌기(232a)가 결합부재(232)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이 결합부(216)와 결합부재(232) 간의 결합을 통해 하측 본체()와 향 발산 본 체(230)가 결합된다.
또한, 향 발산 본체(230)에는 상부에 개구된 상태로 형성되고, 일측에 후술할 가이드 부재(260)가 삽입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삽입부(234)가 형성되며, 이 삽입부(234)의 하측에 향 용액을 초음파 진동에 의해 미립자 상태로 변환하여 발산되도록 하는 초음파 진동부재(240)가 설치된다.
여기서, 삽입부(234)는 향 용액이 향 발산 본체(230)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중공의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되, 가이드 부재(260)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가이드 부재(260)의 하측 내주면에 밀착되는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향 발산 본체(230)의 타측에는 향 용액이 저장된 향 용기(202)가 고정되는 고정턱(236)이 형성되며, 이 향 발산 본체(230)의 타측 저면에는 향 용기(202)에 저장된 향 용액이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돌기(238)가 형성되어 있어서, 향 용기(202)를 고정턱(236)에 고정하면 배출돌기(238)에 의해 향 용기(202)에 구성되는 용기 커버(미도시)를 가압하여 향 용액이 일정한 양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향 용기(202)에 저장된 향 용액이 일정한 양으로 배출될 수만 있다면 어떠한 방법을 통해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아울러, 향 발산 본체(230)의 저면은 타측부(향 용기(202)가 고정되는 고정턱(236)이 형성된 부분)에서 일측부(초음파 진동부재(240)가 설치된 부분)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242)가 형성되어 있어서, 향 용기(202)에 저장된 향 용액이 더욱 원활하에 초음파 진동부재(240)로 배출되는 것이다.
특히, 초음파 진동부재(240)가 설치되는 향 발산 본체(230)의 일측에 형성되는 경사부(242)는 향 용기(202)가 고정되는 향 발산 본체(230)의 타측에 형성되는 경사부(242)보다 더 많이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향 용액이 초음파 진동부재(240)에 더욱 많이 집중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부 본체(250)는 하부 본체(210)의 상부에 구비되어 향 발산 본체(230)가 수용되도록 하부 본체(21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향 발산 본체(230)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부(234)에 삽입되는 가이드 부재(260)가 구비되며, 이 가이드 부재(260)의 상부에 형성되어 미립자 상태의 향 용액이 배출되는 방향을 제한하는 향기 발산부재(27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가이드 부재(260)는 초음파 진동부재(240)를 통해 미립자 상태의 향 용액이 상측의 향기 발산부재(270) 측으로 발산되도록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 형성되되 하측이 향 발산 본체(230)에 형성되는 삽입부(234)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삽입되어 미립자 상태의 향 용액이 가이드 부재(260)의 상측 단부를 제외한 외면으로 발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향기 발산부재(270)는 상부 본체(250)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미립자 상태의 향 용액이 어느 한 방향으로만 발산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아울러, 가이드 부재(260)와 향기 발산부재(270) 사이에는 상부 본체(250)와 일체로 형성되며,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가이드 부재(260)의 상측 단부측으로 가까워질수록 낮아지는 형상으로 용액 회수패널(252)이 형성되어 있어서, 초음파 진동부재(240)를 통해 발산되는 향 용액 중 향기 발산부재(270)를 통해 외 부로 발산되지 못한 향 용액이 이 용액 회수패널(252)의 경사을 통해 가이드 부재(260)의 상측으로 유입되어 결국 초음파 진동부재(240)로 낙하됨으로써, 향 용액의 낭비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향 발산장치(200)의 내부 및 외관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설정수단(280)은 하부 본체(210)의 외측 일면에 형성되는 장착부(214)에 장착되어 향 발산장치(200)의 전원 공급 여부, 이 향 발산장치(200)의 구동시간 및 정지시간을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설정수단(28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향 발산장치(200)의 설정 가능한 메뉴를 선택하는 메뉴 선택부(410), 향 발산장치(200)의 구동시간 및 정지시간을 설정하는 시간 설정부(420), 메뉴 및 설정된 시간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430)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메뉴 선택부(410)는 향 발산장치(200)의 설정 가능한 다양한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구성요소로서, 향 발산장치(200)의 전원에 대한 ON / OFF 기능을 선택하는 전원 선택부(512)와, 향 발산장치(200)의 구동시간을 설정하는 구동 선택부(514)와, 향 발산장치(200)의 정지시간을 설정하는 정지 선택부(5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메뉴 선택부(410)는 각각의 전원 선택부(512), 구동 선택부(514), 정지 선택부(516)가 개별적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필요한 메뉴 선택부(410)를 터치하여 설정하거나, 이 각각의 선택부가 모두 하나의 버튼으로 구성되어 메뉴 선택부(410)를 터치하는 횟수 다시말해, 전원 선택부(512)는 1회 터치, 구동 선택 부(514)는 2회 터치, 정지 선택부(516)는 3회 터치시 설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시간 설정부(420)는 향 발산장치(200)의 구동되는 시간을 설정하는 구동시간 설정부(522) 및 향 발산장치(200)가 정지되는 시간을 설정하는 정지시간 설정부(524)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시간 설정부(420)는 사용자가 메뉴 선택부(410)에 의해 구동 선택부(514) 혹은 정지 선택부(516)를 선택한 경우에 향 발산장치(200)의 구동시간 혹은 정지시간을 설정 가능하며, 구동시간 및 정지시간의 설정 단위는 1초 단위로 설정 가능토록 하여 정밀하고 세밀한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430)는 사용자가 식별 가능하도록 메뉴 선택부(410)의 전원 선택부(512), 구동 선택부(514) 및 정지 선택부(516)가 표시되는 메뉴 디스플레이부(532)와, 시간 설정부(420)의 구동시간 설정부(522)가 표시되는 구동시간 디스플레이부(534) 및 정지시간 설정부(524)가 표시되는 정지시간 디스플레이부(53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특히 메뉴 디스플레이부(532)는 문자, 이미지 등이 표시되고, 구동시간 디스플레이부(534) 및 정지시간 디스플레이부(536)는 숫자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440)는 전술한 메뉴 선택부(410), 시간 설정부(420) 및 디스플레이부(430)와 연동하여 선택된 메뉴, 설정된 시간 등을 저장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부(430)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제어부(440)는 사용자가 메뉴 선택부(410)의 전원 선택부(512)를 선택하 면, 이 전원 선택부(512)에서 전송되는 신호에 의해 전원 공급수단(204)에서 제공하는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도록 하며, 시간 설정부(420)의 구동시간 설정부(522)를 통해 설정된 구동시간만큼 초음파 진동부재(240)를 구동시키거나, 정지시간 설정부(524)를 통해 설정된 정지시간만큼 초음파 진동부재(240)를 정지시키도록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시간 설정부(420)의 구동시간 설정부(522)를 통해 향 발산장치(200)의 구동시간을 10초로 설정하고, 정지시간 설정부(524)를 통해 향 발산장치(200)의 정지시간을 6초로 설정하였다면, 제어부(440)는 이를 저장하고, 초음파 진동부재(240)를 10초간 구동하고, 10초가 지나면 초음파 진동부재(240)를 6초간 정지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초음파 진동부재(240)의 구동 및 정지가 반복적으로 진행되도록 메뉴 선택부(410)에는 반복 선택부(미도시)를 추가로 구성함으로써, 초음파 진동부재(240)의 구동 및 정지가 일정 시간동안 반복되거나, 소정의 횟수만큼 반복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어부(440)는 인쇄 회로 기판(220)에 설치되어 인쇄 회로 기판(220)과 함께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별도로 하부 본체(210)에 설치되어 인쇄 회로 기판(220)과 연동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설정수단(280)은 사용자가 향 발산장치(200)의 구동시간을 설정하기 위해 메뉴 선택부(410)의 구동 선택부(514)를 선택하면 구동 선택부(514)는 이를 알리는 신호를 제어부(440)로 전송하고, 제어부(440)는 이 신호를 저장함과 동 시에 시간 설정부(420)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구동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이 신호를 디스플레이부(430)로 전송하여 메뉴 디스플레이부(532)에 구동 선택부(514)가 선택되었음을 알리는 문자 혹은 이미지 등이 표시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440)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에 의해 시간 설정부(420)의 구동시간 설정부(522)가 설정 가능하도록 전환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만큼 향 발산장치(200)의 구동시간을 설정하면, 설정된 시간을 제어부(440)로 전송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향 발산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향 발산장치의 하부 커버를 나타낸 도면,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향 발산장치의 향 발산 본체를 나타낸 도면,
도 2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향 발산장치의 상부 커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향 발산장치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향 발산장치의 설정수단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향 발산장치의 설정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향 발산장치 202: 향 용기
204: 전원 공급수단 210: 하부 본체
212: 수용부 214: 장착부
216: 결합부 216a: 결합홀
220: 인쇄 회로 기판 230: 향 발산 본체
232: 결합부재 232a: 결합돌기
234: 삽입부 236: 고정턱
238: 배출돌기 240: 초음파 발산부재
250: 상부 본체 252: 용액 회수패널
260: 가이드 부재 270: 향기 발산부재
280: 설정수단 410: 메뉴 선택부
420: 시간 설정부 430: 디스플레이부
440: 제어부 512: 전원 선택부
514: 구동 선택부 516: 정지 선택부
522: 구동시간 설정부 524: 정지시간 설정부
532: 메뉴 디스플레이부 534: 구동시간 디스플레이부
536: 정지시간 디스플레이부

Claims (7)

  1. 초음파 진동부재를 이용하여 향 용액을 발산하는 향 발산장치에 있어서,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 일면에 전원 공급수단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측에 결합홀이 형성된 결합부가 상향 돌출 형성되는 하부 본체;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는 결합부재가 형성되고, 일측에 향이 발산되는 가이드 부재의 하측이 삽입 및 고정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며, 이 삽입부의 하측으로 상기 초음파 진동부재가 설치되고, 타측에 향 용액이 저장된 향 용기가 고정되는 향 발산 본체;
    상기 하부 본체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부를 지지하고, 이 가이드 부재의 상부에 형성되어 향 용액이 배출되는 방향을 제한하는 향기 발산부재가 결합되되, 상기 가이드 부재와 향가 발산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발산되지 못한 향 용액을 회수하는 용액 회수패널이 형성된 상부 본체; 및
    상기 하부 본체의 일면에 장착되어 전원 공급, 구동시간 및 정지시간 등을 설정하고, 설정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설정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 발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수단은
    상기 초음파 진동부재로 공급되는 전원의 ON / OFF 기능을 선택하는 전원 선 택부와, 향 용액이 발산되는 시간을 설정하는 구동 선택부 및 상기 향 용액의 발산이 정지되는 시간을 설정하는 정지 선택부를 포함하는 메뉴 선택부;
    상기 구동 선택부의 선택에 의해 상기 향 용액이 발산되는 시간을 설정하는 구동시간 설정부 및 상기 정지 선택부의 선택에 의해 상기 향 용액의 발산이 정지되는 시간을 설정하는 정지시간 설정부를 포함하는 시간 설정부; 및
    상기 메뉴 선택부가 표시되는 메뉴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구동시간 설정부에서 설정된 구동시간이 표시되는 구동시간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정지시간 디스플레이부에서 설정된 정지시간이 표시되는 정지시간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 발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디스플레이부는 문자 또는 이미지가 표시되고, 상기 구동시간 디스플레이부 및 정지시간 디스플레이부에는 숫자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 발산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수단에는 이 설정수단과 연동하여 설정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는 제어부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 발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 설치되거나, 상기 하부 본체에 설치되어 이 인쇄 회로 기판과 연동하는 것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 발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수단은 충전 가능한 배터리, 휴대 가능한 건전지 및 빛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 전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 발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본체에는 상기 설정수단이 장착되는 장착부가 외부 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 발산장지.
KR1020090040886A 2009-05-11 2009-05-11 향 발산장치 KR101034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886A KR101034587B1 (ko) 2009-05-11 2009-05-11 향 발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886A KR101034587B1 (ko) 2009-05-11 2009-05-11 향 발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1938A KR20100121938A (ko) 2010-11-19
KR101034587B1 true KR101034587B1 (ko) 2011-05-16

Family

ID=43407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0886A KR101034587B1 (ko) 2009-05-11 2009-05-11 향 발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45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6772A (ko) 2019-08-05 2021-02-17 이스타 주식회사 다공질 세라믹을 이용한 유체 발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801B1 (ko) * 2013-11-10 2014-05-27 주식회사 두레텍 부표 가이드레인 및 온열단이 구비된 고효율 발향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61568A (ja) 1984-06-08 1985-12-24 Segawa Heitaro 超音波発振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61568A (ja) 1984-06-08 1985-12-24 Segawa Heitaro 超音波発振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6772A (ko) 2019-08-05 2021-02-17 이스타 주식회사 다공질 세라믹을 이용한 유체 발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1938A (ko) 2010-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61663B2 (ja) 加湿装置
JP5671572B2 (ja) 加湿装置
JP5567175B2 (ja) 加湿装置
JP5635147B2 (ja) 加湿装置
JP6212520B2 (ja) ファン組立体
JP6106223B2 (ja) 加湿装置
US11052356B2 (en) Air treatment appliance
JP5663051B2 (ja) ファンアセンブリ
RU2648186C2 (ru) Увлаж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2013185817A (ja) 加湿装置
JP2013185818A (ja) 加湿装置
US20160032927A1 (en) Fan assembly
KR101034587B1 (ko) 향 발산장치
JP6366453B2 (ja) オイル容器および芳香拡散器
KR102126742B1 (ko) 스마트 디퓨져
US11865233B2 (en) Air treatment appliance
WO2017175307A1 (ja) オイル容器および芳香拡散器
KR20130023559A (ko) 하방향 수증기 배출 방식의 초음파 가습기
JP7453646B2 (ja) 消臭装置
MX2010010158A (es) Dispensador de aerosol.
JP2009007965A (ja) 扇風機
CN104567245A (zh) 除菌冰箱
CN114099755A (zh) 一种降噪香薰机
JPH10314290A (ja) 芳香発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