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3976B1 - 오염물질 배기덕트 - Google Patents

오염물질 배기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3976B1
KR101033976B1 KR1020090132868A KR20090132868A KR101033976B1 KR 101033976 B1 KR101033976 B1 KR 101033976B1 KR 1020090132868 A KR1020090132868 A KR 1020090132868A KR 20090132868 A KR20090132868 A KR 20090132868A KR 101033976 B1 KR101033976 B1 KR 101033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exhaust
hole
suction
cl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2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철
Original Assignee
김경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철 filed Critical 김경철
Priority to KR1020090132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39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3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3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65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fan combined with single duct; mounting arrangements of a fan in a duct

Abstract

본 발명은 배기팬과의 이격거리가 멀어지더라도 오염물질을 흡입하는 흡입효율이 전체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며 오염물질 방출 형태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제작하여 흡입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오염물질 배기덕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자형 통, ㄷ형 통, ㅁ형 통, ㅇ형 통 등 다양한 형상으로 외부덕트를 제조하고, 상기 외부덕트의 내부로 일자형 파이프 형상이나 직경이 다단으로 증대되는 파이프 형상의 내부덕트를 삽입하되, 배기팬을 내부덕트의 일측 내부에 설치하여 오염물질을 흡입 배기할 때 배기팬과 이격된 원거리에서도 흡입력이 감소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외부덕트내에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덕트에 배기팬의 작동으로 작용되는 흡입력이 덕트의 전체 면적에 대하여 일정한 흡입력이 작용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배기팬, 오염물질, 외부덕트, 내부덕트, 흡입력, 흡입배기력

Description

오염물질 배기덕트{A pollutant exhaust duct}
본 발명은 오염물질 배기덕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기팬과의 이격거리가 멀어지더라도 오염물질을 흡입하는 흡입효율이 전체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며 오염물질 방출 형태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제작하여 흡입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오염물질 배기덕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등의 다층 건물이나 공장, 일반 음식점, 일반 사무실 등과 같은 대형 건물에는 실내공간의 공조를 목적으로 내부 공기를 건물 밖으로 자연배기하거나 강제 송풍시킬 수 있도록 배기덕트가 설치된다.
이러한 배기덕트는 오염된 실내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함으로써 깨끗한 실내공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종래의 배기덕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형상으로 상부에 개구부(110)가 형성된 덕트몸체(100)와, 상기 덕트몸체(100) 내부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모터 및 배기팬(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배기덕트는 건물 내부에 천장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되, 일측방향으로 다수개가 연결·설치된다. 또한 배기팬(200) 설치부분에는 배기관(300)이 연통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기팬(200)을 작동시키게 되면, 배기팬(200)의 흡입력을 통해 천장에 머물고 있는 휘발성 오염공기가 각각의 덕트몸체(100) 개구부(110)로 유입되어 배기관(30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데, 이때 오염된 공기가 원할히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배기팬(200)을 작동시키게 되면 각각의 덕트몸체(100)의 개구부(110)로 오염된 공기가 흡입되어지되, 배기팬으로부터 수직선상인 개구부(110)의 중앙부분으로만 강한 흡입력이 발생하여 개구부(110)의 주변 테두리부분으로는 오염공기의 흡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할 뿐만 아니라, 오염공기가 덕트몸체(100)를 타고 넘어가는 비산 현상이 반복되어 오염된 공기의 배출효율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내 한곳에 여러 개의 배기덕트가 연결·설치되어 사용되므로 구입 및 설치에 따른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외부덕트내에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덕트에 배기팬의 작동으로 작용되는 흡입력이 덕트의 전체 면적에 대하여 일정한 흡입력이 작용되도록 하는 오염물질 배기덕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덕트의 형상을 오염물질의 발생 형태나 면적,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하여 오염물질이 비산되지 않게 하며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부덕트를 배기팬과 가까운 쪽은 직경이 넓고 멀어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하여 배기팬의 흡기력이 원거리에서도 감소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염물질을 배기하기 위해 사방 폐쇄된 통 형상의 일측면에 오염물질을 흡입하는 다수 개의 흡입홀이 등간격으로 관통되고, 일 끝단으로 덕트홀이 형성된 외부덕트를 형성하며,
일 끝단은 폐쇄되고 타 끝단은 개방되며 외부덕트의 흡입홀을 향하는 일측면에 내부흡입홀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의 내부덕트를 형성하여;
상기 외부턱트의 덕트홀을 통해 폐쇄 끝단을 삽입하고 개방 끝단 내부에 배기팬을 설치한 후 가동하면 흡입 배기력이 흡입홀과 내부흡입홀에 균일하게 작용하여 오염물질의 흡입효율이 외,내부덕트의 설치 길이에 관계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질 배기덕트에 있어서,
상기 내부덕트는 폐쇄된 단을 기준으로 개방된 단으로 진행할수록 다단형태로 직경이 증대되는 원통이나 반원통 중 하나의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외부덕트내에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덕트에 배기팬의 작동으로 작용되는 흡입력이 덕트의 전체 면적에 대하여 일정한 흡입력이 작용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외부덕트의 형상을 오염물질의 발생 형태나 면적,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하여 오염물질이 비산되지 않게 하며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내부덕트를 배기팬과 가까운 쪽은 직경이 넓고 멀어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하여 배기팬의 흡기력이 원거리에서도 감소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염물질 배기덕트는 오염물질을 배기하기 위한 배기덕트에 관한 것으로, 일자형 통, ㄷ형 통, ㅁ형 통, ㅇ형 통 등 다양한 형상으로 외부덕트(10)를 제조하고, 상기 외부덕트(10)의 내부로 일자형 파이프 형상이나 직경이 다단으로 증대되는 파이프 형상의 내부덕트(20)를 삽입하되, 배기팬(30)을 내부덕트(20)의 일측 내부에 설치하여 오염물질을 흡입 배기할 때 배기팬(30)과 이격된 원거리에서도 흡입력이 감소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오염물질배기장치(1)가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덕트(10)는 사방 폐쇄된 통 형상의 일측면에 오염물질을 흡입하는 다수 개의 흡입홀(11)이 등간격으로 관통되고, 일 끝단으로 덕트홀(1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외부덕트(10)는 일자형 통 형태로써 사각통 형상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며, 원통 형상, 각형통 형상으로도 구성이 가능할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덕트(10)는 평면투영시 ㄷ형상(a도면), ㅁ형상(b도면), ㅇ형상(c도면)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내주면에 흡입홀(11)을 등간격으로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ㄷ형상의 외부덕트(10)는 평면 투영시 ㄷ형태로써 내측면을 따라 다수개의 흡입홀(11)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ㅁ형상의 외부덕트(10)와 ㅇ형태의 외부덕트(10)는 내측면을 따라 다수개의 흡입홀(11)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 ㄷ형상의 외부덕트(10)에는 폐쇄된 외측면으로 내부덕트(20)의 개방 끝단이 노출되는 덕트홀(12)이 형성되어 있으며, ㅁ형상, ㅇ형상의 외부덕트(10)에는 사방면 중 일측 외측면에 내부덕트(20)의 개방 끝단이 노출되는 덕트 홀(12)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외부덕트(10)의 재질은 폴리염화비닐(olyvinyl chloride)재, 아연도금 강판재, 스테인리스재 중 하나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덕트(20)는 일 끝단은 폐쇄되고 타 끝단은 개방되며 외부덕트(10)의 흡입홀(11)을 향하는 일측면에 내부흡입홀(21)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내부덕트(20)는 폐쇄된 단을 기준으로 개방된 단으로 진행할수록 다단형태로 직경이 증대되는 원통이나 반원통 중 하나의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내부덕트(20)는 설치 길이가 약 5m 이상이며 외부덕트(10)의 체적이 작고 길이가 길 때 사용상 적합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덕트(20)는 양 끝단의 직경이 동일한 통 형상을 일 예로써 사각형통 형상, 다각형 통형상으로도 구성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상기 내부덕트(20)는 설치 길이가 약 5m 정도이며 외부덕트(10)의 체적이 클 때 사용상 적합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덕트(20)는 폐쇄된 단을 기준으로 개방된 단으로 진행할수록 다단형태로 직경이 증대되는 반 원통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내부덕트(20)는 설치 길이가 약 5m~30m 이상이며 외부덕트(10)의 체적이 작고 길이가 길 때 사용상 적합하다.
즉, 상기 다단형태의 내부덕트(20)는 직경이 작은 단은 외부덕트(10)내에 설 치되고 직경이 큰 단은 외부덕트(10)의 덕트홀(1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덕트(20)는 평면투영시 ㄷ형상(a도면), ㅁ형상(b도면), ㅇ형상(c도면)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내주면에 내부흡입홀(21)을 등간격으로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외부덕트(10)의 흡입홀(11)과 내부덕트(20)의 내부흡입홀(21)의 직경은 배기팬(30)의 흡입할 수 있는 풍량과 흡입 속도에 따른 풍속에 따라 결정되며, 풍량과 풍속이 증가될수록 직경을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염물질배기장치(1)는 일자 통 형태, 다단 통형태, ㄷ형 통, ㅁ형 통, ㅇ형 통 형상으로 내부덕트(20)를 제작한다.
그리고, 상기 내부덕트(20)에 내부흡입홀(21)을 등간격으로 형성하는데, 다단 통형상에서는 각 단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내부흡입홀(21)을 형성하여 제작을 완료한다.
이후, 상기 외부덕트(10)를 일자 통형태, ㄷ형 통, ㅁ형 통, ㅇ형 통 형태로 제작할 때, 상기 일자 통 형태, 다단 통형태로 제작된 내부덕트(20)는 일자 통형태의 외부덕트(10)의 내부에 설치하고, ㄷ형 통, ㅁ형 통, ㅇ형 통 형태로 제작된 내부덕트(20)는 ㄷ형 통, ㅁ형 통, ㅇ형 통 형태의 외부덕트(10)의 내부에 설치한 상 태로 외부덕트(10)를 제작한다.
그리고, 상기 외부덕트(10)의 덕트홀(12)로 노출되는 내부덕트(20)와의 경계면에는 오염물질의 누출이 방지되도록 실링처리를 한다.
다음으로, 상기 외부덕트(10)의 외부로 노출된 내부덕트(20)의 끝단 내부에 배기팬(30)을 설치하여 제작을 완료한다.
이렇게, 제작이 완료된 오염물질배기장치(1)는 오염물질이 발생되는 장소에 설치를 하는데 각 형태별로 설치되는 오염방생 장소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일자형 오염물질배기장치(1)는 오염물질의 발생 면적이 넓고 길 경우에 설치하여 사용하기 적합하다.
2. ㄷ형 통형 오염물질배기장치(1)는 일측면은 벽면이면서 오염물질의 발생 면적이 좁은 경우에 설치하여 사용하기 적합하다.
3. ㅁ형 통, ㅇ형 통형 오염물질배기장치(1)는 오염물질의 발생 면적이 좁으면서 사방이 개방된 경우에 설치하여 사용하기 적합하다.
즉, 설치가 완료된 오염물질배기장치(1)는 배기팬(30)을 가동시키면 흡입 배기력이 내부덕트(20)의 내부흡입홀(21), 외부덕트(10)의 흡입홀(11)에 작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외부덕트(10)의 공간보다 내부덕트(20)의 공간 면적이 적으므로 배기팬(30)의 흡입력이 내부덕트(20)의 내부 전체 공간에 균일하게 작용되어 배기팬(30)에 근접한 부분과 원거리 이격된 부분에 균일한 흡입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배기팬(30)의 설치 거리에 따른 흡입 배기력이 감소되지 않아 넓은 공간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균일하게 배기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배기덕트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오염물질 배기덕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외부덕트의 다른 실시 예들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일자형태의 내부덕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단계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반원통 형상의 내부덕트 사시도,
도 7은 내부덕트의 다른 실시 예들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오염물질 배기덕트를 이용해 오염물질을 배기하는 작동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오염물질배기장치 10 : 외부덕트
11 : 흡입홀 12 : 덕트홀
20 : 내부덕트 21 : 내부흡입홀
30 : 배기팬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오염물질을 배기하기 위해 사방 폐쇄된 통 형상의 일측면에 오염물질을 흡입하는 다수 개의 흡입홀(11)이 등간격으로 관통되고, 일 끝단으로 덕트홀(12)이 형성된 외부덕트(10)를 형성하며,
    일 끝단은 폐쇄되고 타 끝단은 개방되며 외부덕트(10)의 흡입홀(11)을 향하는 일측면에 내부흡입홀(21)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의 내부덕트(20)를 형성하여;
    상기 외부턱트(10)의 덕트홀(12)을 통해 폐쇄 끝단을 삽입하고 개방 끝단 내부에 배기팬(30)을 설치한 후 가동하면 흡입 배기력이 흡입홀(11)과 내부흡입홀(21)에 균일하게 작용하여 오염물질의 흡입효율이 외,내부덕트(10)(20)의 설치 길이에 관계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질 배기덕트에 있어서,
    상기 내부덕트(20)는 폐쇄된 단을 기준으로 개방된 단으로 진행할수록 다단형태로 직경이 증대되는 원통이나 반원통 중 하나의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질 배기덕트.
  4. 삭제
KR1020090132868A 2009-12-29 2009-12-29 오염물질 배기덕트 KR101033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868A KR101033976B1 (ko) 2009-12-29 2009-12-29 오염물질 배기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868A KR101033976B1 (ko) 2009-12-29 2009-12-29 오염물질 배기덕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3976B1 true KR101033976B1 (ko) 2011-05-11

Family

ID=44365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2868A KR101033976B1 (ko) 2009-12-29 2009-12-29 오염물질 배기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39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4546A (ko) * 2016-10-24 2018-05-03 삼영기계 (주) 자연 대류 방식을 이용한 공기 정화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85842A (ja) * 1982-04-21 1983-10-29 鈴木 文志朗 室内結露防止構造
KR20030043479A (ko) * 2001-11-28 2003-06-02 최우범 웨이퍼간 접합 및 패키징을 위한 순차적 압력 및 전압인가 장치
KR20030044742A (ko) * 2002-01-28 2003-06-09 (주)아이디벤쳐 그래픽요소-구현화면비율최적작업
KR200343479Y1 (ko) * 2003-12-10 2004-03-02 장국현 하천 정화용 여과장치
KR200344742Y1 (ko) * 2003-10-13 2004-03-10 대한민국 (관리부서 농촌진흥청) 온풍난방기용 이중덕트
KR20050033152A (ko) * 2003-10-06 2005-04-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 덕트의 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85842A (ja) * 1982-04-21 1983-10-29 鈴木 文志朗 室内結露防止構造
KR20030043479A (ko) * 2001-11-28 2003-06-02 최우범 웨이퍼간 접합 및 패키징을 위한 순차적 압력 및 전압인가 장치
KR20030044742A (ko) * 2002-01-28 2003-06-09 (주)아이디벤쳐 그래픽요소-구현화면비율최적작업
KR20050033152A (ko) * 2003-10-06 2005-04-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 덕트의 구조
KR200344742Y1 (ko) * 2003-10-13 2004-03-10 대한민국 (관리부서 농촌진흥청) 온풍난방기용 이중덕트
KR200343479Y1 (ko) * 2003-12-10 2004-03-02 장국현 하천 정화용 여과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4546A (ko) * 2016-10-24 2018-05-03 삼영기계 (주) 자연 대류 방식을 이용한 공기 정화 시스템
KR101962854B1 (ko) * 2016-10-24 2019-03-28 삼영기계(주) 자연 대류 방식을 이용한 공기 정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7016B1 (ko) 재확산을 방지하는 와류형팬 배기장치
KR101033976B1 (ko) 오염물질 배기덕트
CN116697573A (zh) 一种壁挂净化新风机分享空调通风孔的安装方法
KR101433437B1 (ko) 창호용 환기장치
KR20170143041A (ko) 무동력 실내기류 배기장치
KR20070111696A (ko) 배기용 후드
KR101016667B1 (ko) 국소형 배기덕트
KR100742560B1 (ko) 오염물질 흡입용 회오리 발생기와 이 회오리 발생기가포함된 오염물질 흡입장치 및 오염물질 흡입유니트
SE0950356L (sv) Luftbehandlingsapparat
US20130129491A1 (en) Water drainage system for blower
JP2614503B2 (ja) 人工竜巻式フード
JP3218042U (ja) 換気装置
JP5378675B2 (ja) イオン供給装置
JPH0573296U (ja) 送風機の吸込騒音防止装置
KR200169174Y1 (ko) 송풍장치
KR100691636B1 (ko) 하이브리드 환기시스템
KR101029330B1 (ko) 오염물질 흡·배기 장치
KR102332704B1 (ko) 주방 레인지 후드를 이용한 주방 배기 시스템
KR20120093583A (ko) 국소 배기장치
KR100821330B1 (ko) 오염물질 흡입장치
CN211625595U (zh) 一种环保排烟阀
KR20180116014A (ko) 직배기용 역풍방지 환기캡
JP2017118917A (ja) 空気清浄機
KR200271147Y1 (ko) 자연 환기시스템.
JP2008190772A (ja) 汚染物質排気補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