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3293B1 - 휴대형 핸드청소기 - Google Patents

휴대형 핸드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3293B1
KR101033293B1 KR1020090099683A KR20090099683A KR101033293B1 KR 101033293 B1 KR101033293 B1 KR 101033293B1 KR 1020090099683 A KR1020090099683 A KR 1020090099683A KR 20090099683 A KR20090099683 A KR 20090099683A KR 101033293 B1 KR101033293 B1 KR 101033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hole
main body
negative pressur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9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2834A (ko
Inventor
장승락
Original Assignee
(주)마미로봇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마미로봇 filed Critical (주)마미로봇
Priority to KR1020090099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3293B1/ko
Publication of KR20110042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2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3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3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47L5/26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with driven dust-loose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47L9/122Dry filters fl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형 핸드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주요 구성은 부압이 작용하는 흡착구가 일측 벽면에 형성된 본체; 상기 흡착구에 작용하는 부압에 의해 외부에서 먼지 등을 흡입하여 수용하는 먼지통; 및 상기 먼지통 내의 먼지가 상기 흡착구를 통해 상기 본체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는 필터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필터조립체는 내측면 상에 형성된 제1 통공을 중심으로 복수의 체결돌기가 돌출된 암형 필터프레임; 상기 제1 통공과 정렬되어 상기 본체 내의 부압이 상기 제1 통공을 거쳐 상기 먼지통 내부로 작용하도록 하는 제2 통공이 형성된 수형 필터프레임; 및 상기 암형 필터프레임과 상기 수형 필터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필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형 필터프레임은 외주면 상에 복수의 파지돌기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암형 필터프레임은 상기 파지돌기와 대응하도록 외주면에 복수의 절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위 구성에 따르면, 필터의 착탈 및 교체를 보다 쉽고, 위생적으로 할 수 있게 되므로, 필터와 관련된 핸드청소기의 유지관리 및 사용 편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핸드청소기, 휴대형, 필터, 필터조립체

Description

휴대형 핸드청소기{Portable handy cleaner}
본 발명은 휴대형 핸드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형으로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이 편리하며, 따라서 필터의 교체가 용이하고, 위생적이며, 일회용 필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형 핸드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형 진공청소기는 청소기 내에서 발생되는 진공을 이용해 넓지 않은 범위를 간단하게 청소하는 휴대가 간편한 소형의 청소기로서 형태나 성능에 있어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져 왔다.
그 하나의 예로 도 1에 도면부호 101로 도시된 휴대형 핸드청소기(101)가 제안된 바 있다. 이 핸드청소기는 도시된 것처럼, 본체(103)와 먼지통(105)으로 이루어지는 바, 본체(103)는 내부에 장착된 부압 발생수단에 의해 먼지통(105) 내부에 흡착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선단의 흡입구를 통해 바닥면 등의 먼지나 쓰레기를 빨아들여 청소를 하게 된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휴대형 핸드청소기(101)는 바닥면 등 외부에서 흡착된 먼지통(105) 내부의 먼지 등 각종 이물질이 흡착구(123)를 통해 본체(103) 내 부로 유입되지 못하게 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구(123) 상에 필터(107)를 부착하도록 되어 있는 바, 장기간 사용하면, 필터(107)에 다량의 먼지 등 이물질이 누적되어 필터(107)의 통기성을 크게 훼손함으로써 청소기(101)의 정상적인 작동을 방해하게 된다. 따라서, 청소기(101)는 필터(107)를 주기적으로 청소를 하여 사용 중 누적된 먼지 등 이물질을 제거해 필터(107)의 통기성을 유지해 주어야 하므로, 사용 및 유지관리를 번거롭게 되고, 따라서 사용 편리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핸드청소기(101)는 사용 중 먼지 등의 누적과 이를 제거하기 위한 청소가 반복됨으로써 필터(107)의 내구성능이 쉽게 저하되며, 따라서 필터(107)의 손상으로 인한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또 고장 수리에 많은 비용이 들어가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청소 필터의 고정구조로서 도 2에 도면부호 201로 도시된 바와 같이, 로봇청소기의 먼지통에 사용되는 필터조립체를 들 수 있는데, 이 필터조립체(201)는 도시된 것처럼 하부프레임(211)과 상부프레임(213) 사이에 필터(212)를 개재시켜 구성되며, 따라서 로봇청소기 먼지통의 흡입구 측에 착탈이 용이하게 장착되어 먼지통 안으로 흡입되어 들어오는 흡기 중의 먼지를 걸러 제거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필터조립체(201)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조립 시 하부프레임(211)의 십자못 모양 돌출부(215)가 상부프레임(213)의 십자슬롯을 갖는 끼움부(217)에 끼워지면서 하부프레임(211) 위에 상부프레임(213)이 스냅식으로 결합되는 바, 이를 위해 하부프레임(211)의 안쪽면 네 모서리 부분에 도 2에 도시된 것 처럼 상부프레임(213) 모서리 부분을 살짝 덮는 모양으로 걸림돌기(219)가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장시간 사용한 필터(212)를 교체하기 위해 하부프레임(211)에서 상부프레임(213)을 떼어낼 때, 사용자는 하부프레임(211)을 쥐고 상부프레임(213)을 강하게 잡아당겨 걸림돌기(219)에 걸려져 있는 상부프레임(213)의 네 모서리 부분을 자체의 탄력에 의해 걸림돌기(219)에서 벗겨 내어야 하는 바, 네 모서리 부분이 걸림돌기(219) 안쪽에 스냅식으로 결합되어 있는데다가 상하부 프레임(213,211) 공히 파지할 부위가 마땅치 않아 하부프레임(211)에서 상부프레임(213)을 떼어내는 과정이 매우 까다롭고, 이 과정에서 필터(212) 안팎에 쌓인 먼지가 손에 묻는 등 유지관리나 사용 상 불편이 커지고, 교체작업이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휴대형 핸드청소기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체 내부에 부압을 발생시키고, 이 부압에 의해 먼지통 내에 발생된 흡착력으로 먼지 등 각종 이물질을 빨아들여 바닥면 등을 청소함에 있어 본체의 흡착구를 차단하고 있는 필터를 착탈 및 교체 가능하게 함으로써, 필터의 교체를 가능하게 하고, 더 나아가 필터를 일회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필터로 인해 야기되는 핸드청소기의 유지관리 및 사용 상의 불편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위와 같이 필터의 교체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필터의 내구성을 향상 시킴은 물론이고, 필터의 손상으로 인한 핸드청소기의 고장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며, 특히 필터를 교체하고자 할 때 수형 필터프레임을 암형 필터프레임으로부터 보다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위생적인 필터의 교체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등, 유지관리 및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지 등을 빨아드리는 부압을 발생시키는 부압발생수단이 내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부압발생수단에서 발생된 부압이 작용하는 흡착구가 일측 벽면에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기 흡착구 쪽 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흡착구에 작용하는 부압에 의해 내부에 흡착력이 발생하여 외부에서 먼지 등을 흡입하여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먼지통; 및 상기 먼지통의 상기 흡착구 쪽으로 개방된 개구부에 설치되어 상기 먼지통 내부에 걸린 흡착력에 의해 외부에서 상기 먼지통 안으로 흡입된 먼지가 상기 흡착구를 통해 상기 본체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는 필터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필터조립체는, 상기 개구부에 지지되는 몸체로서, 상기 본체 내의 부압이 상기 먼지통 내부로 작용하도록 하는 제1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면 상에 상기 제1 통공을 중심으로 복수의 체결돌기가 돌출되어 있는 암형 필터프레임; 상기 체결돌기에 의해 상기 암형 필터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제1 통공과 정렬되어 상기 본체 내의 부압이 상기 제1 통공을 거쳐 상기 먼지통 내부로 작용하도록 하는 제2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수형 필터프레임; 및 상기 암형 필터프레임과 상기 수형 필터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본체 내의 부 압으로 인해 상기 먼지통에 수용된 먼지가 상기 제1 및 제2 통공을 통해 상기 본체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는 필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형 필터프레임은 상기 암형 필터프레임에서 분리할 때 파지할 수 있도록 외주면 상에 복수의 파지돌기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암형 필터프레임은 상기 수형 필터프레임을 분리할 때 상기 파지돌기를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파지돌기와 대응하는 외주면 상의 위치에 상기 파지돌기와 대응하는 형태로 복수의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휴대형 핸드청소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암형 필터프레임은, 중심 부분에 상기 제1 통공이 형성된 환형의 제1 프레임체; 상기 제1 통공 상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 내의 부압으로 인해 상기 먼지통 내부의 공기가 상기 본체 안으로 흡입될 때 상기 필터에 걸리는 공기저항으로 인해 상기 필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제1 그릴; 및 내측면 상의 상기 제1 통공 둘레에 돌출되어 상기 필터를 끼워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 복수의 필터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수형 필터프레임은, 중심 부분에 상기 제2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둘레 부분이 상기 복수의 체결돌기에 스냅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되어 있는 환형의 제2 프레임체; 및 상기 제2 통공 상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 내의 부압으로 인해 상기 먼지통 내부의 공기가 상기 본체 내부로 흡입될 때 상기 필터에 걸리는 압력으로 인해 상기 필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제2 그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필터는 상기 복수의 체결 및 필터돌기와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삽입공이 관통되어, 상기 암형 필터프레임과 상기 수형 필터프레임 사이에 개재될 때 상기 복수의 체결 및 필터돌기를 끼우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필터는 일회용 필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휴대형 핸드청소기에 의하면, 먼지 등 각종 이물질이 들어 있는 먼지통과 먼지통 내에 흡착력을 유지하기 위해 부압을 발생시키는 본체 사이의 통로인 흡착구를 차단하는 필터를 조립체화시켜 흡착구 앞에 착탈식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터의 교체가 자유롭고 편리해지며, 필터를 교체할 때 자체 탄력을 갖는 체결돌기와 수형 필터프레임의 파지돌기에 의해 수형 필터프레임을 체결돌기로부터 쉽게 분리해낼 수 있으므로, 필터조립체 분해 시 필터에 쌓인 먼지가 손에 묻거나 하는 등 암형 필터프레임에서 수형 필터프레임을 분리할 때 생기는 불편이나 비위생의 문제를 없앨 수 있게 되며, 필터 청소와 관련하여 핸드청소기의 유지관리 및 사용 편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위와 같이 필터의 교체가 용이해짐에 따라 언제라도 원하는 때 새 필터를 사용하게 할 수 있으므로, 필터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볼 수 있음은 물론이고, 따라서, 필터의 손상이나 노후로 인한 핸드청소기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핸드청소기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휴대형 핸드청소기는 휴대가 가능한 소형 진공청소기로서, 도 3 및 도 4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본체(3), 먼지통(5), 및 필터조립체(7)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상기 본체(3)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지 등 청소 대상물을 빨아들이는 부압을 발생시키는 부분으로서, 그 내부에 부압발생수단(21)이 장착되어 있으며, 파지를 위한 손잡이(43)가 후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또한, 손잡이(43)와 인접한 몸체 부분에 통기공(45)이 관통되어 있으며, 먼지통(5)을 향한 일측 벽면에 부압발생수단(21)에서 발생된 부압이 작용하는 흡착구(23)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때, 본체(3) 내부에서 핸드청소기(1)의 부압을 발생시키는 부압발생수단(21)은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한 바, 본 실시예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47), 회전날개(49), 브래킷(51), 그리고 덮개판(53)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진다. 여기에서, 구동모터(47)는 손잡이(43) 내부에 장착된 축전지(4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전날개(49)를 회전 구동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회전날개(49)는 브래킷(51)과 덮개판(53) 사이에서 구동모터(47)의 회전축에 장착되어 구동모터(47)의 동작에 따라 고속으로 회전함으로써 본체(3) 내부에 부압을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먼지통(5)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의 흡착구(23)가 형성된 전방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로서, 흡착구(23)를 감싸도록 되어 있어 부압발생수단(21) 즉, 회전날이 회전함으로써 본체(3) 내부에 발생된 부압에 의해 외부의 먼지나 쓰레기를 흡입통(9)을 통해 내부로 빨아들이도록 되어 있 는 한편, 충분한 내부공간을 확보하고 있어 흡입된 먼지나 쓰레기를 청소하는 일정시간 동안 수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흡입통(9)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지통(5)의 선단부분에 입출 가능하게 장착되어 돌출 시 좁은 틈새 부분의 먼지나 쓰레기도 흡입 제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필터조립체(7)는 본체(3)의 흡착구(23)를 막아 외부의 먼지 등 각종 이물질이 내부에 걸린 부압에 의해 먼지통(5) 안으로 유입되는 것은 허용하나, 먼지통(5)에서 본체(3)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수단으로서, 먼지통(5)의 상기 흡착구(23) 쪽으로 개방된 개구부(25)에 설치되어 있다.
이때, 본 발명의 필터조립체(7)는 도 3 및 도 4는 물론,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15)를 흡착구(23) 앞쪽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크게 암형 필터프레임(11), 수형 필터프레임(13), 및 필터(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암형 필터프레임(11)은 도 5, 도 6,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25)에 지지되는 몸체로서, 부압발생수단(21)에 의해 본체(3) 내부에서 발생된 부압이 먼지통(5) 내부로 작용하도록 해주는 제1 통공(27)이 형성되어 있는 바, 이 제1 통공(27)이 중심 부분에 관통되어 있는 환형의 제1 프레임체(31), 수형 필터프레임(13)을 향한 제1 프레임체(31) 전면에 돌출된 복수의 체결돌기(28), 및 제1 통공(27) 상에 격자 형태 등으로 형성된 제1 그릴(33)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복수의 체결돌기(28)는 도 5,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통공(27)을 중심으로 가능한 한 축대칭을 이루도록 배열된 ㄱ자 형태로 구부러진 스냅식 체결돌기로서, 체결돌기(28) 자체의 탄력으로 체결홈(55)에 수형 필터프레임(13)을 끼워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암형 필터프레임(11)은 도 5,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형 필터프레임(13)을 향한 내측면 상의 제1 통공(27) 둘레에 복수의 필터돌기(34)가 돌출되어 필터(15)를 끼워 고정함으로써 수형 필터프레임(13)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필터(15)가 유동(遊動)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암형 필터프레임(11)은 또한 체결돌기(28)에 걸려 있는 수형 필터프레임(13)을 분리할 때 수형 필터프레임(13)의 파지돌기(36)를 파지할 수 있도록 이 파지돌기(36)와 대응하는 외주면 상의 위치에 복수의 절결부(35)가 형성되는 바, 각각의 절결부(35)는 암수형 필터프레임(11,13)을 결합한 때 파지돌기(36)가 정합될 수 있도록 파지돌기(36)와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암형 필터프레임(11)의 제1 그릴(33)은 도 5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통공(27) 상에 격자 형태 등으로 설치되어 필터(15)를 보강하는 수단으로서, 부압발생수단(21)의 부압으로 인해 먼지통(5) 내부의 공기가 본체(3) 내부로 흡입될 때 필터(15)에 걸리는 공기저항으로 인해 필터(15)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수형 필터프레임(13)은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형 필터프레임(11)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필터조립체(7) 마감부재로서, 암형 필터프레임(11)의 제1 통공(27)과 정렬되어 부압발생수단(21)에 의해 본체(3) 내부에서 발생된 부압이 제1 통공(27)을 거쳐 먼지통(5) 내부로 작용하도록 해주는 제2 통공(29)이 중심부분에 관통되어 있는 바, 암형 필터프레임(11)에서 분리할 때 파지할 수 있도록 외주면 상에 복수의 파지돌기(36)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이 제2 통공(29)이 중심 부분에 관통되고, 둘레 부분이 암형 필터프레임(11)의 복수의 체결돌기(28)에 스냅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환형의 제2 프레임체(37), 및 제2 통공(29) 상에 격자 형태 등으로 형성된 제2 그릴(39)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수형 필터프레임(13)의 제2 프레임체(37)는 중심 부분에 제2 통공(29)이 형성된 환형체로서, 그 둘레 부분이 각각의 체결돌기(28)에 스냅식으로 끼워져 착탈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수형 필터프레임(13)의 제2 그릴(39)은 도 7,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제2 통공(29) 상에 격자 형태 등으로 설치되어 필터(15)를 보강하도록 되어 있는 바, 회전날개(49)가 회전할 때 본체(3) 내부에서 먼지통(5) 쪽으로 유동이 역류할 때 또는 필터조립체(7) 자체를 도 3 및 도 4와 반대방향으로 먼지통(5) 개구부(25)에 장착할 때 필터(15)를 보강하여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끝으로, 상기 필터(15)는 도 3, 도 4,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형 및 수형 필터프레임(11,13) 사이에 개재되어 본체(3) 내에 발생된 부압에 의해 먼지통(5)의 공기가 본체(3) 안으로 빨려 들어갈 때 먼지통(5)의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등의 이물질이 걸려 본체(3)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는 부분으로, 사용기간이 경과된 뒤 적기에 교환하거나 일회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바, 암형 필터프레임(11)의 체결돌기(28) 및 필터돌기(34)에 각각 끼워지는 복수의 삽입공(41,42)이 가장자리 부분에 관통되어 있으며, 이때 삽입공(41)은 사각 단면을 갖는 체결돌기(28)와 대응하도록, 삽입공(42)은 원형 단면을 갖는 필터돌기(34)와 대응하도록 각각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되어 있다.
이제,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핸드청소기(1)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휴대형 핸드청소기(1)로 청소를 하는 경우, 사용자는 먼저, 손잡이(43)를 파지하고, 작동 스위치(65)를 온시킨다.
이에 따라, 부압발생수단(21) 즉, 구동모터(47)가 작동을 개시하면 본체(3) 내부에 부압이 발생하고, 흡착구(23)에 걸린 부압으로 인해 먼지통(5) 내부에 흡착력이 발생되며, 이 상태에서 흡입통(9)의 흡입구(67)를 청소할 부위에 위치시킨다.
그 다음, 먼지솔(69)에 의해 청소 부위에 쌓인 먼지나 쓰레기를 비자루와 같이 쓸어 모으면서 흡입구(67)를 통해 먼지통(5) 안으로 먼지나 쓰레기를 빨아들임으로써 해당 부위를 청소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해서, 청소가 끝나면 사용자는 작동 스위치(65)를 오프시켜 구동모터(47)의 작동을 정지시킨 다음, 본체(3)에서 먼지통(5)을 분리한 후 먼지통(5) 내부로 흡입된 먼지나 쓰레기를 닦아내거나 수거하고, 오염 정도에 따라 필터(15)의 교체 여부를 결정한다.
즉, 필터(15)가 일회용이거나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는 상태로 된 때, 사용자는 필터(15)를 교체하게 되는데, 먼저 본체(3)에서 먼지통(5)을 분리하고, 먼지 통(5)의 개구부(25)에서 필터조립체(7)를 빼낸다.
그 다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형 및 수형 필터프레임(11,13)을 분리하는데, 이때 사용자는 암형 필터프레임(11)을 한 손으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 수형 필터프레임(13)의 파지돌기(36)를 잡고 들어올리면, 암형 필터프레임(11)의 체결돌기(28)로부터 쉽게 수형 필터프레임(13)의 외주부분을 벗겨낼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암형 필터프레임(11)에서 수형 필터프레임(13) 쉽게 떼어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나서, 암형 및 수형 필터프레임(11,13) 중간에 끼여 있던 필터(15)를 새 것으로 교체한 다음, 필터(15)를 사이에 끼운 상태로 암형 및 수형 필터프레임(11,13)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차 결합하여 필터조립체(7)로 만든다.
이때, 필터(15)는 복수의 삽입공(41,42)이 암형 필터프레임(11)의 체결돌기(28) 및 필터돌기(34)에 각각 끼워지면서 암수형 필터프레임(11,13) 사이에서 개재되어 유동하지 않는 안정적인 상태로 조립된다.
이렇게 해서, 조립이 끝난 필터조립체(7)를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먼지통(5)의 개구부(25)에 다시 조립하고, 필터조립체(7) 뒤쪽에 본체(3)를 맞춰 넣어 필터(15)의 교체를 끝냄으로써, 핸드청소기(1)에 의한 청소를 마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휴대형 핸드청소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필터조립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핸드청소기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필터조립체의 암형 필터프레임을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도 5의 측면도.
도 7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필터조립체의 수형 필터프레임을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도 7의 측면도.
도 9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필터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조립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휴대형 핸드청소기 3 : 본체
5 : 먼지통 7 : 필터조립체
9 : 흡입통 11 : 암형 필터프레임
13 : 수형 필터프레임 15 : 필터
21 : 부압발생수단 23 : 흡착구
25 : 개구부 27 : 제1 통공
28 : 체결돌기 29 : 제2 통공
31 : 제1 프레임체 33 : 제1 그릴
34 : 필터돌기 35 : 절결부
36 : 파지돌기 37 : 제2 프레임체
39 : 제2 그릴 41, 42 : 삽입공
43 : 손잡이 45 : 통기공
47 : 구동모터 48 : 축전지
49 : 회전날개 51 : 브래킷
53 : 덮개판 55 : 체결홈
65 : 작동스위치 67 : 흡입구
69 : 먼지솔

Claims (4)

  1. 먼지 등을 빨아드리는 부압을 발생시키는 부압발생수단(21)이 내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부압발생수단(21)에서 발생된 부압이 작용하는 흡착구(23)가 일측 벽면에 형성되어 있는 본체(3);
    상기 본체(3)의 상기 흡착구(23) 쪽 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흡착구(23)에 작용하는 부압에 의해 내부에 흡착력이 발생하여 외부에서 먼지 등을 흡입하여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먼지통(5); 및
    상기 먼지통(5)의 상기 흡착구(23) 쪽으로 개방된 개구부(25)에 설치되어 상기 먼지통(5) 내부에 걸린 흡착력에 의해 외부에서 상기 먼지통(5) 안으로 흡입된 먼지가 상기 흡착구(23)를 통해 상기 본체(3)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는 필터조립체(7);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필터조립체(7)는,
    상기 개구부(25)에 지지되는 몸체로서, 상기 본체(3) 내의 부압이 상기 먼지통(5) 내부로 작용하도록 하는 제1 통공(27)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면 상에 상기 제1 통공(27)을 중심으로 복수의 체결돌기(28)가 돌출되어 있는 암형 필터프레임(11);
    상기 체결돌기(28)에 의해 상기 암형 필터프레임(11)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제1 통공(27)과 정렬되어 상기 본체(3) 내의 부압이 상기 제1 통공(27)을 거쳐 상기 먼지통(5) 내부로 작용하도록 하는 제2 통공(29)이 형성되어 있는 수 형 필터프레임(13); 및
    상기 암형 필터프레임(11)과 상기 수형 필터프레임(13)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본체(3) 내의 부압으로 인해 상기 먼지통(5)에 수용된 먼지가 상기 제1 및 제2 통공(27,29)을 통해 상기 본체(3)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는 필터(15);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형 필터프레임(13)은 상기 암형 필터프레임(11)에서 분리할 때 파지할 수 있도록 외주면 상에 복수의 파지돌기(36)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암형 필터프레임(11)은 상기 수형 필터프레임(13)을 분리할 때 상기 파지돌기(36)를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파지돌기(36)와 대응하는 외주면 상의 위치에 상기 파지돌기(36)와 대응하는 형태로 복수의 절결부(3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핸드청소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형 필터프레임(11)은,
    중심 부분에 상기 제1 통공(27)이 형성된 환형의 제1 프레임체(31);
    상기 제1 통공(27) 상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3) 내의 부압으로 인해 상기 먼지통(5) 내부의 공기가 상기 본체(3) 안으로 흡입될 때 상기 필터(15)에 걸리는 공기저항으로 인해 상기 필터(15)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제1 그릴(33); 및
    내측면 상의 상기 제1 통공(27) 둘레에 돌출되어 상기 필터(15)를 끼워 고정 하도록 되어 있는 복수의 필터돌기(3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수형 필터프레임(13)은,
    중심 부분에 상기 제2 통공(29)이 형성되어 있으며, 둘레 부분이 상기 복수의 체결돌기(28)에 스냅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되어 있는 환형의 제2 프레임체(37); 및
    상기 제2 통공(29) 상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3) 내의 부압으로 인해 상기 먼지통(5) 내부의 공기가 상기 본체(3) 내부로 흡입될 때 상기 필터(15)에 걸리는 압력으로 인해 상기 필터(15)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제2 그릴(39);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핸드청소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15)는 상기 복수의 체결 및 필터돌기(28,34)와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삽입공(41,42)이 관통되어, 상기 암형 필터프레임(11)과 상기 수형 필터프레임(13) 사이에 개재될 때 상기 복수의 체결 및 필터돌기(28,34)를 끼우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핸드청소기.
  4. 제1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15)는 일회용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핸드청소기.
KR1020090099683A 2009-10-20 2009-10-20 휴대형 핸드청소기 KR101033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683A KR101033293B1 (ko) 2009-10-20 2009-10-20 휴대형 핸드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683A KR101033293B1 (ko) 2009-10-20 2009-10-20 휴대형 핸드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834A KR20110042834A (ko) 2011-04-27
KR101033293B1 true KR101033293B1 (ko) 2011-05-09

Family

ID=44048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9683A KR101033293B1 (ko) 2009-10-20 2009-10-20 휴대형 핸드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32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38496A (zh) * 2020-09-11 2020-11-17 苏州甘泰精密机械有限公司 旋转式清洁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2544U (ko) * 1984-11-06 1986-05-31
JPS62184842U (ko) * 1986-05-19 1987-11-24
JPS63175553U (ko) * 1987-04-30 1988-11-15
KR20060073081A (ko) * 2004-12-24 2006-06-28 웅진쿠첸 주식회사 핸디형 청소기의 필터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2544U (ko) * 1984-11-06 1986-05-31
JPS62184842U (ko) * 1986-05-19 1987-11-24
JPS63175553U (ko) * 1987-04-30 1988-11-15
KR20060073081A (ko) * 2004-12-24 2006-06-28 웅진쿠첸 주식회사 핸디형 청소기의 필터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834A (ko) 201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1290B2 (en) Vacuum cleaner
CN107468159B (zh) 吸尘组件及吸尘器
JP2009504309A (ja) キャニスタ型に転換可能なアップライト型掃除機
JP2009504306A (ja) キャニスタ型に転換可能なアップライト型掃除機の本体装着構造
KR100485714B1 (ko) 백레스 진공청소기
TWI608819B (zh) 地板面吸入工具以及具有該地板面吸入工具之電動吸塵器
JP2009504235A (ja) 真空掃除機のフィルタ装着構造
KR101093187B1 (ko) 휴대형 핸드청소기
KR101033293B1 (ko) 휴대형 핸드청소기
JP6140580B2 (ja) 集塵装置
KR101033292B1 (ko) 휴대형 핸드청소기
JP2005270504A (ja) 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KR20150001344A (ko) 롤 브러시 청소기
KR20120026943A (ko) 가습 공기 청정기
JP3940052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電気掃除機を清掃する方法
CN211511619U (zh) 一种手持吸尘器
WO2017028287A1 (zh) 一种微型吸尘器
JP3048602U (ja) 掃除器
KR101300955B1 (ko) 집진 장치 및 전기 청소기
WO2016199456A1 (ja) 電気掃除機用の吸込口体およびこの吸込口体を備えた電気掃除機
CN218553464U (zh) 滤网装置及清洁机器
JP2011152241A (ja) 電気掃除機
KR100194383B1 (ko) 진공청소기
KR100598899B1 (ko) 핸디형 청소기의 필터 어셈블리
KR200159657Y1 (ko) 업라이트청소기의 더스트커버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