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2810B1 - 판형의 호미 - Google Patents

판형의 호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2810B1
KR101032810B1 KR1020090005200A KR20090005200A KR101032810B1 KR 101032810 B1 KR101032810 B1 KR 101032810B1 KR 1020090005200 A KR1020090005200 A KR 1020090005200A KR 20090005200 A KR20090005200 A KR 20090005200A KR 101032810 B1 KR101032810 B1 KR 101032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ed plate
hoe
connecting rod
handl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5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5746A (ko
Inventor
류정기
김철대
Original Assignee
대경정공(주)
경상북도(농업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경정공(주), 경상북도(농업기술원) filed Critical 대경정공(주)
Priority to KR1020090005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2810B1/ko
Publication of KR20100085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5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22Attaching the blades or the like to handles; Interchangeable or adjustable blad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06Hoes; Hand cultivators
    • A01B1/08Hoes; Hand cultivators with a single blad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형의 호미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히는 농촌인력의 고령화에 따라 농작물을 심거나 잡초를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하던 호미의 날부를 판형으로 형성하고 호미를 가볍고 흙의 저항을 줄이고 작업시 길이별 손잡이를 교체가능케 하여 좌식과 입식을 선택하도록 하여 피로도를 줄여 노인분들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즉, 원형의 몸체(10) 내부에 손잡이홈(12)을 형성하고 손잡이(2)를 삽입하여 몸체(10)의 일측에 통공(11)을 형성하여 외부에서 고정볼트(16)와 고정너트(17)로 고정가능케 하고 상기 손잡이홈(12)의 일측에는 마개(13)를 형성하고 마개(13)와 연결하는 가로연결봉(14)를 외부로 연장시키고, 몸체(10) 하부에는 외부면 하부에 날부(22)를 형성하고 양측 상부에 경사면(21)을 형성한 판형의 경사판(20)을 경사지게 마련하되 경사판(20)의 상면 양측에는 세로연결봉(15)를 경사지게 연결하여 가로연결봉(14)와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세로연결봉(15)와 경사판(20)의 사이에 배출공(23)을 마련하는 것이다.
호미, 가로연결봉, 세로연결봉, 경사판, 경사면, 날부, 배출공, 각도

Description

판형의 호미{A weeding hoe a board model}
본 발명은 판형의 호미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히는 농촌인력의 고령화에 따라 농작물을 심거나 잡초를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하던 호미의 날부를 판형으로 형성하고 여러종류의 길이별 손잡이를 교체하도록 하여 호미의 무게 감소와 흙의 저항을 최소화 시키고 앉거나 서서 호미작업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미는 주로 밭농사에 이용되는 농기구로서, 작물과 함께 성장하는 잡초를 파내어 제거하는데 이용하는 쇠로 만든 농기구로서, 이러한 호미는 자루와 일체로 형성된 쇠날과, 자루와 결합된 손잡이로 이루어져 있으며, 쇠날의 모양은 사용되는 지방의 자연적인 조건과 토질, 농작물에 따라 형태가 약간씩 다르고,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쇠날은 끝이 뾰족한 삽날형상의 기구에 짧은 손잡이를 부착하여 밭의 김을 메도록 만든 것으로 앉아서 작업을 하도록된 기구이므로 장시간 작업시 허리나 다리에 무리가 오게되고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커서 작업 능률이 오르지 않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이러한 호미는 오랜 시간동안 큰 개선 없이 사용되고 있는데, 비교적 토질이 무른 농경지에서는 잡초가 크게 자라기 전에 쇠날의 한쪽 측단으로 흙을 뒤엎거나 긁어서 잡초를 파내 제거하기에 적합하고, 비교적 토질이 딱딱한 농경지에서 잡초의 뿌리가 깊고 굵을 경우에는 쇠날의 뾰족한 끝단 부분으로 잡초를 파내서 제거하게 된다.
그러나, 농촌인력이 젊은 사람은 농촌을 떠나 도시로 일터를 찾아가는 것으로 점점 젊은 사람이 줄면서 농촌에는 노인분들이 농촌을 살리고 있는 실정이므로 토질이 딱딱한 농경지에서 잡초의 뿌리가 깊고, 굵을 경우에는 쇠날의 끝 부분으로 크게 성장한 잡초를 파내서 제거하기에는 많은 힘과 체력을 요구하므로 노인분들에게는 많은 시간을 소요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위와 같이 농촌인력의 고령화에 따라 농작물을 심거나 잡초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던 호미를 가볍고 흙의 저항을 줄이고 작업시 좌식과 입식을 선택하거나 병행하도록 하여 피로도를 줄여 노인분들이 용이하게 사용하기 위해, 몸체의 내부에 손잡이홈을 형성하고 일측에 마개를 마련하여 마개와 판형의 경사판을 연결하는 연결봉를 형성하되 경사판의 상부에 배출공을 형성하도록 경사판의 양측으로 연결봉를 연결하며 상기 몸체의 내부에 여러종류의 길이별 손잡이를 고정가능케 하는 판형의 호미를 발명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형의 몸체(10) 내부에 손잡이홈(12)을 형성하고 손잡이(2)를 삽입하여 몸체(10)의 일측에 통공(11)을 형성하여 외부에서 고정볼트(16)와 고정너트(17)로 고정가능케 하고 상기 손잡이홈(12)의 일측에는 마개(13)를 형성하고 마개(13)와 연결하는 가로연결봉(14)를 외부로 연장시키고, 몸체(10) 하부에는 외부면 하부에 날부(22)를 형성하고 양측 상부에 경사면(21)을 형성한 판형의 경사판(20)을 경사지게 마련하되 경사판(20)의 상면 양측에는 세로연결봉(15)를 경사지게 연결하여 가로연결봉(14)와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세로연결봉(15)와 경사판(20)의 사이에 배출공(23)을 마련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판형의 경사판을 연결하는 연결봉를 형성하여 상기 연결봉에 의해 경사판의 상부에 배출공을 형성하도록 하여 비교적 토질이 딱딱한 농경지에서 잡초를 파내서 제거하기 위해 작업자가 작업량에 따라 앉아서 하는 좌식과 서서작업하는 입식을 선택하여 그에 맞는 길이별 손잡이를 몸체와 고정시켜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으며, 또한 비교적 토질이 딱딱한 농경지에서 잡초를 파내기 위해서 농경지에 판형의 경사판의 날부에 의해 파기 시작하면서 경사판의 내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부의 배출공으로 파인 흙이 배출하도록 하여 흙의 저항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판형의 경사판에 의해 흙이 달라붙는 현상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형의 몸체(10) 내부에 손잡이홈(12)을 형성하고 손잡이(2)를 삽입하여 몸체(10)의 일측에 통공(11)을 형성하여 외부에서 고정볼트(16)와 고정너트(17)로 고정가능케 하고 상기 손잡이홈(12)의 일측에는 마개(13)를 형성하고 마개(13)와 연결하는 가로연결봉(14)를 외부로 연장시키고, 몸체(10) 하부에는 외부면 하부에 날부(22)를 형성하고 양측 상부에 경사면(21)을 형성한 판형의 경사판(20)을 경사지게 마련하되 경사판(20)의 상면 양측에는 세로연결봉(15)를 경사지게 연결하여 가로연결 봉(14)와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세로연결봉(15)와 경사판(20)의 사이에 배출공(23)을 마련하는 것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와 경사판(20)을 연결하는 가로연결봉(14)와 세로연결봉(15)는 직각방향으로 형성하고 세로연결봉(15)과 판형의 경사판(20) 상부에 경사지게 형성하는 세로연결봉(15)과 경사지는 경사판(20)의 각도(A)는 1 ~ 45°로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지만 경사판(20)의 각도(A)는 10 ~ 30°가 가장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몸체(10)의 내부 손잡이홈(12)에 삽입하는 손잡이(2)는 몸체(10)의 일측에 형성한 통공(11)과 연결하는 연결공(3)을 형성한 손잡이(2)를 삽입하여 고정볼트(16)와 고정너트(17)에 의해 고정하게 하는 것으로, 이때 호미작업의 작업자 또는 작업환경과 조건에 따라 길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길이별로 마련한 손잡이(2)를 선택하여 교체를 용이하도록 고정너트(17)는 손으로 탈착을 용이한 나비너트 등으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작업자가 농경지에서 잡초를 파내기 위해서 먼저 작업자가 앉아서 또는 서서 작업을 할 것인가를 정한 다음 그 작업에 따른 호미의 몸체와 결합하는 손잡이(2)의 길이를 선택하여 몸체(10)의 손잡이홈(12)에 삽입시켜 상기 손잡이(2)의 일측에 형성한 연결공(3)을 몸체(10)의 통공(11)과 일선 상으로 맞춰 외부에서 통공(11)을 통해 고정볼트(16)를 삽입시켜 몸체(10)의 외부로 돌출시켜 고정너트(17)를 결합하여 고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호미(1)의 길이를 결정한 후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자가 농경지에서 호미(1)의 손잡이(2)를 잡고 농경지에 잡초를 파내기 위해 경사판(20)의 외부에 형성한 날부(22)를 잡초의 근거리에 파면서 긁어내면서 잡초를 제거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호미의 경사판(20)으로 잡초와 흙을 파내기 시작하면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사판(20)의 경사진 내면을 따라 흙과 잡초 등이 이동하여 경사판(20)의 상부에 마련된 배출공(23)으로 파인 흙과 잡초 등이 자연스럽게 배출하여 다시 호미(1)로 파거나 긁은 곳으로 낙하하게 되어 이때, 호미(1)를 잡고 농경지를 파고 긁을때 작업자가 힘과 체력을 요구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호미(1)는 경사판(20)의 상부로 잡초 또는 흙이 배출을 용이하게 하여 흙의 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경사판(20)으로 흙을 파고 긁는 작업을 하더라도 경사판(20)의 경사면이 굴곡이 없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종래의 문제점이었던 쇠날의 형상이 일체형의 굴곡진 삽형으로 형성되어 굴곡진 삽형의 쇠날에 흙이 달라붙어 굳어버리는 일이 허다하여 작업자가 호미작업을 마친후 호미(1)를 보관하는 장소 주위에 흙이 털어 지게 되면 지저분하게 되는 원인과 호미(1)의 쇠날에 흙이 달라붙어 굳어버리면 흙을 파기가 용이하지 않아 일일이 달라붙은 흙을 털어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어 불편하였다.
그리고, 상기 경사판(20)의 양측에 형성한 경사면(21)에 의해 경사판(20)의 양측을 뾰족하게 형성한 경사판(20)으로 딱딱한 농경지를 파내기 위해서는 먼저 호미(1)의 경사판(20)을 세로방향으로 세워 경사판(20)의 양측에 형성한 뾰족한 날부(22)를 이용하여 파내기 시작하고 난 후 어느정도 딱딱한 농경지가 파내어 지면 다시 호미(1)의 경사판(20)을 가로방향으로 위치시켜 경사판(20)의 날부(22) 전면이 농경지를 긁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평면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측면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8은 본 발명의 작업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호미 2 : 손잡이
3 : 연결공 10 : 몸체
11 : 통공 12 : 손잡이홈
13 : 마개 14 : 가로연결봉
15 : 세로연결봉 16 : 고정볼트
17 : 고정너트 20 : 경사판
21 : 경사면 22 : 날부
23 : 배출공 A : 각도

Claims (1)

  1. 원형의 몸체(10) 내부에 손잡이홈(12)을 형성하고 손잡이(2)를 삽입하여 몸체(10)의 일측에 통공(11)을 형성하여 외부에서 고정볼트(16)와 고정너트(17)로 고정가능케 하고 상기 손잡이홈(12)의 일측에는 마개(13)를 형성하고 마개(13)와 연결하는 가로연결봉(14)를 외부로 연장시키고, 몸체(10) 하부에는 외부면 하부에 날부(22)를 형성하고 양측 상부에 경사면(21)을 형성한 판형의 경사판(20)을 경사지게 마련하되 경사판(20)의 상면 양측에는 세로연결봉(15)를 경사지게 연결하여 가로연결봉(14)와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세로연결봉(15)와 경사판(20)의 사이에 배출공(23)을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의 호미.
KR1020090005200A 2009-01-21 2009-01-21 판형의 호미 KR101032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200A KR101032810B1 (ko) 2009-01-21 2009-01-21 판형의 호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200A KR101032810B1 (ko) 2009-01-21 2009-01-21 판형의 호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5746A KR20100085746A (ko) 2010-07-29
KR101032810B1 true KR101032810B1 (ko) 2011-05-04

Family

ID=42644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5200A KR101032810B1 (ko) 2009-01-21 2009-01-21 판형의 호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28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157B1 (ko) * 2012-08-30 2014-05-08 정동일 괭이 제조용 금속판넬 및 괭이 제조방법
KR20170006069A (ko) 2015-07-07 2017-01-17 김래옥 각도 조절이 가능한 호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5443A (ko) * 2002-06-10 2003-12-24 황정남 저온 플라즈마 발생 장치 및 방법
KR200395443Y1 (ko) 2005-06-10 2005-09-14 정원식 흙배출공이 구성된 호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5443A (ko) * 2002-06-10 2003-12-24 황정남 저온 플라즈마 발생 장치 및 방법
KR200395443Y1 (ko) 2005-06-10 2005-09-14 정원식 흙배출공이 구성된 호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157B1 (ko) * 2012-08-30 2014-05-08 정동일 괭이 제조용 금속판넬 및 괭이 제조방법
KR20170006069A (ko) 2015-07-07 2017-01-17 김래옥 각도 조절이 가능한 호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5746A (ko) 2010-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07466A (en) Prong-equipped garden tool
US5960891A (en) Multipurpose scoop tool
KR101032810B1 (ko) 판형의 호미
KR101032808B1 (ko) 유선형의 호미
KR102330530B1 (ko) 잡초제거 괭이
KR20160097575A (ko) 다용도 파종기
US20050045349A1 (en) Pogo planter
US10143121B2 (en) Garden tool
US20050133230A1 (en) Hand held garden tool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100929970B1 (ko) 다수의 기능이 구비된 농기구
US20150129258A1 (en) Hoe for facilitating working on at least two sides of a plant simultaneously
RU2571036C1 (ru) Способ разрыхления почвы, засаженной растениями
JP3219949U (ja) コテ付き草取り具
US20030159841A1 (en) Weed extraction home gardening tool
KR101213216B1 (ko) 다용도 농기구
RU2152698C2 (ru) Лопат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почвы
KR200395443Y1 (ko) 흙배출공이 구성된 호미
KR100957708B1 (ko) 수작업용 두둑 성형기
KR102368287B1 (ko) 풀뿌리 이중 제거기능을 갖는 갈퀴형 호미
KR20200145171A (ko) 돌기날부의 양측에 칼날부가 구비된 농기구
KR102133298B1 (ko) 괭이 형태의 농기구
CN204217325U (zh) 一种土地平整装置
RU61983U1 (ru) Ручное орудие для обработки почвы со сменными рабочими органами
JP3171853U (ja) 鍬鋤兼用農具
RU115145U1 (ru) Ру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почв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