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2121B1 - 우모를 이용한 오일 흡착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우모를 이용한 오일 흡착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2121B1
KR101032121B1 KR1020110014108A KR20110014108A KR101032121B1 KR 101032121 B1 KR101032121 B1 KR 101032121B1 KR 1020110014108 A KR1020110014108 A KR 1020110014108A KR 20110014108 A KR20110014108 A KR 20110014108A KR 101032121 B1 KR101032121 B1 KR 101032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fabric
polypropylene
feather
woven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4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인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에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에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에코텍
Priority to KR1020110014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21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66Natural fibre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H1/425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13/00Mixing, e.g. blending, fibres; Mixing non-fibrous materials with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82Addition polymers
    • D04H1/4291Olefin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entanglement of layered web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11/00Protein-based fibres, e.g. animal fibres
    • D10B2211/01Natural animal fibres, e.g. keratin fib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4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sp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상 또는 강으로 유출된 오일을 흡수시켜 수거하는데 사용하는 오일 흡착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리, 거위, 닭 등의 깃털을 가공한 우모(6)와 솜 형태로 가공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PP)(7)을 5:5으로 혼합하여 정해진 규격으로 형성된 부직포(2)와 일면에는 표면에 인쇄부(4)가 형성된 0.1∼0.3㎜ 두께의 부직포시트(3)가 접착되어 오일 흡착포(1)를 형성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물은 흡수가 안 되고, 오일만 흡수하도록 하여 유출된 오일의 제거 작업에 대한 신속성과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오일 흡착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우모를 이용한 오일 흡착포 및 그 제조 방법 {Oil absorbent Pad made of plumage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본 발명은 해상 또는 강으로 유출된 오일(기름)을 흡수시켜 수거하는데 사용하는 친환경 오일 흡착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PP)와 오리, 거위, 닭 등의 우모(羽毛:깃과 털)를 혼합한 후 이를 휄트화 하고 다시 이를 소정의 폭과 두께로 적층시켜 오일 흡착포를 형성함으로써 물은 흡수가 안 되고, 오일만 흡수하도록 하여 유출된 오일의 제거 작업에 대한 신속성과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우모를 이용한 오일 흡착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는 외국과의 빈번한 무역이 이루어지면서 화물을 비행기뿐만 아니라 배를 이용하는 것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이 배를 이용하여 무역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배와 배의 충돌 사고에 의한 기름유출 사고, 인근 해역의 암초에 부딪혀 발생하는 기름 유출사고, 기상악화로 인한 배의 전복에 의한 기름유출사고와, 원전사고에의 한 기름유출(멕시코만 기름유출사고) 등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해상에서 유조선 등의 침몰이나 사고로 인하여 해상에 기름을 유출시키는 사고가 자주 발생하고 있으며 유출된 기름을 그대로 방치할 경우에는 해상에 치명적인 자연 파괴 현상을 유발시킬 수 있으며, 특히 어장의 파괴가 심각하게 이루어져 어민의 생존권을 위협하게 되므로 이를 신속하게 처리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은 사고 발생으로 인하여 해상에 떠다니는 기름을 처리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있으며, 기름 유출사고시 이를 처리를 위하여 여러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많은 인력과 시간의 낭비가 따르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기름유출시 이를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되는 종래의 기름 제거용 흡착포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흡착포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오일이 흡수된 부직포 자체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처리시 환경의 2차 오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기름과 물을 동시에 흡착함으로 기름을 제거함에 있어서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기름제거 효율을 높이기 위해 화학약품을 이용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실정이나 이는 해상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었던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상에서 선박의 충돌사고나 침몰사고 등에 의하여 바다에 유포된 벙커C유 등의 기름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기름을 중화시키는 기름유화제를 살포하는 방법과, 기름흡착포를 기름이 유포된 장소에 던져서 기름이 흡착되게 한 후 수거처리하는 방법 그리고 유포된 기름이 더 이상 번지지 않도록 기름 방지막을 설치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기름 유포제 살포방법은 기름을 중화시킬 수는 있지만 기름유포제의 화학적 성분이 2차적으로 수질을 오염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바람직한 방법이라고 볼 수 없으며, 상기한 기름 방지막 설치방법은 바다에 유포된 기름이 확산하는 것은 막을 수 있겠으나 실질적으로 바다에 유포된 기름을 제거하지는 못한다는 점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상기한 기름 흡착포 살포방법은 바다에 유포된 기름을 실질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장 효과적이어서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기름흡착포에 대한이 분야의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등록특허 제0696611호(선행기술 1)의 "기름 흡착포"는 오리, 거위, 닭 및 각종 새들의 깃털을 포대에 충진시켜서 되는 기름흡착포에 있어서,
상기 포대의 표면과 이면 각각은 공극이 무수히 형성되어 있는 부직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포대의 표면과 이면은 사방 가장자리와, 표면과 이면 각각에 복수개씩 형성되는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 구획선들이 각각 초음파 접합 되어 포대의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깃털충진물을 일정량씩 분리시켜서 격리되게 한 상태로 충진되게 하는 복수의 충진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포대에 형성된 복수의 충진공간 내면 각각에는 충진된 깃털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는 한편, 각 충진공간에 충진되어 있는 깃털 충진물에 기름이 흡착되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물에 대하여서는 잘 용해되는 수용성 도포제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흡착포가 공개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또 다른 선행기술로서는 등록특허 제0918075호(선행기술 2)의 우모 직물과 그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우모 직물을 이용한 오일처리 물품은 상면과 하면을 이루는 화이버 패브릭들; 및 상기 화이버 패브릭들 사이에 게재되는 우모;를 포함하며, 상기 화이버 패브릭들에 대한 니들 펀칭에 의하여 반대 면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화이버에 의하여 상기 화이버패브릭들 간의 엉킴과 상기 화이버 패브릭들과 우모 간의 엉킴이 형성되고, 상기 화이버의 돌출 단부는 표면 열처리에 의하여 돌출된 화이버 패브릭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모 직물이 공지되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선행기술 1은 오리, 거위, 닭 등의 가금류 털을 이용하여 기름 흡착포 를 이용한 것이나, 흡착포를 성형함에 있어서 가금류의 털을 포대에 충진 시킨후 털이 충진된 포대의 표면과 이면에 무수히 많은 공극이 형성된 부포로 이루어지고 포대의 표면과 이면은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구획선들이 각각 초음파 접착된 구성으로서, 선행기술 1은 바다 또는 강에 유포된 기름을 흡착포로 제거시 유포된 기름에 1차 부직포에 흡수된 수 가금류 털에 접촉되므로 기름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합성수지 섬유와 면류의 혼합 부직포는 물과 기름을 동시에 흡수하고 포대 내부에 충진된 털은 부구 역할은 할 수 있으나 기름을 충분히 흡수하지 못하게 되므로 결국 포대 표면과 이면에 위치한 부직포만이 기름을 흡수하게 되는 데 부직포는 기름만 흡수하는 것이 아니라 물을 함께 흡수하게 되므로 물이 부직포 기공 사이에 흡수되어 기름의 흡착을 방해하는 작용을 함으로 기름의 흡착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 2는 우모를 이용하여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제1 화이버패브릭 상에 우모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우모 상부에 다시 제2의 화이버 패브릭을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제1 화이버 패브릭 층, 우모 층, 제2 화이버 패브릭층의 순으로 적층되도록 직물을 제조한 구성으로서, 우모와 화이버의 엉킴이 유지되도록 하여 기름 흡착시 이의 엉킴 부분에 기름이 엉기도록 하는 방법으로 기름을 제거토록 하고 있으나, 기름을 흡착포로 제거시 기름을 흡수하지 않고 엉킴 구조에 의해 기름이 서로 엉기는 현상에 의해 유포된 기름을 제거하게 되므로 바다에 유포된 기금을 완벽하게 제거하지 못하고 덩어리진 기름만 제거하는 효과를 갖게 되므로 기름제거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오리, 거위, 닭 등의 우모(羽毛)와 솜 형태의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PP)를 혼합하여 휄트화시켜 부직포를 형성함으로써 유출된 오일은 흡수하고 물은 흡수되지 않도록 하여 바다에 유포된 기름만 제거하도록 하여 친환경적인 흡착포를 제공함과 동시에 유출된 오일의 제거 작업에 대한 신속성과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우모를 이용한 오일 흡착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 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오리, 거위, 닭 등의 깃털을 솜 형태의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PP)과 혼합하는 단계(a);
상기 혼합된 PP와 가금류 깃털(우모)을 파쇄기(솜틀과 같은 기능을 갖는 것임)로 파쇄시켜 휄트화 하는 단계(b);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시트형태의 부직포를 설치하는 단계(c);
상기 설치된 부지포 위에 파쇄된 휄트를 관을 통하여 바람으로 이송시키는 단계(d);
상기 바람에 의해 이송된 휄트를 설치된 부직포 상면에 균일하게 펼치는 단계(e);
상기 (d)단계와 (e)단계를 반복으로 실시하여 정해진 규격으로 적층 하는 다계(f);
상기 적층된 PP와 가금류 깃털의 혼합 휄트를 펀칭기로 다짐하여 오일 부직포로 형성하는 단계(g)로 이루어진다.
상기 오일부직포의 혼합단계는 가금류 깃털(우모)을 솜 형태의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PP)과 5:5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일 부직포는 일면에 부직포에 대응시키지 않고 전체가 가금류 깃털과 PP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물은 흡수가 안 되고, 오일만 흡수하도록 하여 유출된 오일의 제거 작업에 대한 신속성과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우모를 이용한 오일 흡착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오리, 거위, 닭 등의 가금류 깃털을, 솜 형태의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PP)와 혼합하여 휄트화시켜 부직포를 형성함으로써 유출된 오일은 흡수하고 물은 흡수되지 않도록 하여 바다에 유포된 기름만 제거하도록 함으로 유출된 오일의 제거 작업에 대한 신속성과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기름 흡착포를 나타낸 단면도.
도2는 종래의 우모 직물을 이용한 오일처리 물품을 나타낸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오일 흡착포 제조 단계를 나타낸 공정도.
도4는 본 발명의 오일 흡착포 제조 공정에 따른 블록도.
도5a는 본 발명의 오일 흡착포 사시도.
도5b는 본 발명의 오일 흡착포 단면도.
도6는 본 발명의 오일흡착포의 시험성적서.
도7은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오일 흡착포의 실물사진.
도8은 본 발명의 오일 흡착포의 부직포 시트로와 오일흡착 부직포의 분리예시도.
도9a 및 도9b는 본 발명의 오일 흡착포를 이용하여 기름을 흡착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 사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오일 흡수 부직포는 오리, 거위, 닭 등의 깃털를 가공한 우모(6)와 솜 형태로 가공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PP)(7)을 5:5로 혼합하여 정해진 규격으로 형성된 부직포(2)와 일면에는 표면에 인쇄부(4)가 형성된 0.1∼0.3㎜ 두께의 부직포시트(3)가 접착되어 오일 흡착포(1)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오일 흡착포를 구성함에 있어서 일면에 부직포 시트(3)를 형성하지 않고 우모(6)와 솜 형태로 가공된 PP(7)로만 부직포(2)가 이루어져 오일 흡착부(1)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오일 흡착포는 일면은 오일 흡착부로 이루어지고 다른 일면은 회사 명칭 및 마크와 기타 문자가 인쇄되는 인쇄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오일 흡착포(1) 일면에 형성된 부직포 시트(3)는 0.1∼0.3㎜의 두께를 갖는 것으로서 오일 흡착포를 제조시 베이스 판으로 이용하는 동시에 제품의 식별력을 갖기 위한 인쇄부(4)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오일 흡착시 방해가 되지 않으며 일면의 오일 흡착부(5)와 동일한 흡착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출된 오일을 제거하기 위해 반드시 오일 흡착부측 만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양면 중 어느 일면을 사용하더라도 유출된 오일을 흡착하는데 문제는 없으나, 오일 유출지역은 관심의 대상이 되므로 매스컴에 노출되는 관계로 가능하면 회사명칭, 마크, 이니셜 등의 인쇄부(4) 상부에 노출되도록 오일 흡수부로 오일을 흡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공정: 재료 혼합단계(a)
오일 흡착포를 제조하기 위해 먼저 재료를 준비한다. 본 발명에서 실시되는 오리, 거위, 닭 등의 우모와 솜 형태의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이하 PP"라한다)은 시중에서 가공된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이 구입된 우모 5 : PP 5의 비율로 혼합한다.
상기 혼합 비율의 측정은 통상적으로 실시되는 무게 단위 측량법을 이용한다.
제2공정: 파쇄 및 휄터화 단계(b)
상기 혼합된 PP와 우모를 파쇄기 넣고 골고루 혼합하는 동시에 한올 한올 분리되도록 휄트화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파쇄기는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솜틀장치와 같은 것으로서 혼합된 가금류 털인 우모와 PP를 균일하게 분쇄하고 이를 공기로 불면 분산될 수 있도록 파쇄하여 휄트화 한다.
제3공정: 부직포 시트를 설치하는 단계(c)
본 공정에서 사용되는 부직포시트는 차후 오일 흡착포를 제조하기 위한 베이스 판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부직포 시트는 PP재질 만으로 제조할 수도 있고, 또는 우모와 PP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 그 두께는 1∼3㎜로 얇게 사전에 제조하여 준비한다.
상기와 같이 준비된 부직포시트는 오일 흡착포를 제조하는 제조장치 컨베이어 벨트에 설치한다.
상기 부직포 시트가 설치되는 컨베이어 벨트는 오일 흡착 포 제조장치에 따라서 받침대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이동되는 컨베이어 형태로 이루어져 제조시에는 정지 상태를 이루고 제조가 된 후에는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오일 흡착포를 제조하는 공정 및 제조 방법이 중요한 것으로 각 기계장치는 제조 방법에 적합하도록 제작 및 설치되는 것으로 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4공정: 휄트 이송(d) 및 적층단계(e)(f)
상기 설치된 부지포 시트 위에 제2 공정에서 파쇄된 가금류 깃털인 우모와 PP의 휄트를 관을 통하여 바람으로 이송시킨다.
본 공정에서는 파쇄된 우모와 PP의 휄트를 바람으로 이송시키는 것은 한올한올 풀린 휄트를 보다 용이하게 이송시키기 위한 것도 있으나, 이송된 휄트를 베이스판인 부직포시트에 날려 골고루 펼쳐 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관을 통하여 바람에 의해 이송된 휄트를 별도의 분사장치를 이용하여 설치된 부지포 시트 상면 일측 단에서 타측 단까지 일정한 속도로 왕복이동 하면서 휄트를 균일하게 펼쳐 적층되도록 하면서 원하는 두께가 될 때까지 반복 실시한다.
제 5공정: 다짐 단계(g)
상기 적층된 PP와 우모가 혼합된 휄트를 펀칭기로 다짐하여 매트 형태의 부직포로 형성한다.
본 공정에서 다짐하는 것은 휄트를 바람에 의해 적층되도록 한 관계로 부피가 커진 상태이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취급을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오일 흡착포 사용할 수 없으므로 펀칭기로 균일하게 다짐하여 소정의 두께를 갖는 매트형태의 부직포를 형성하여 별도의 롤에 권취시킨다.
제6공정: 오일 흡착포 제품완성
상기 제5공정에서 제조된 부직포는 가로세로 450㎜, 두께 4㎜의 오일 흡착포가 되도록 절단하여 포장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제3공정에서 실시되는 부직포시트를 베이스 판으로 사용하지 않고 가금류 깃털의 우모와 PP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휠트를 별도의 패널 또는 시트를 베이스 판으로 하여 휄트를 다층으로 적층 시킨 후 다짐하여 오일 흡착포를 형 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오일 흡착포는 일면에 부직포 시트가 형성되지 않고 우모와 PP의 혼합으로만 이루어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첨부 도면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은 본 발명의 오일 흡착포 제조 단계를 나타낸 공정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오일 흡착포 제조 공정에 따른 블록도로서, 이를 간단히 살펴보면, PP와 우모를 5: 5로 혼합하는 단계 → 혼합된 우모를 파쇄기로 파쇄하여 휄트 화하는 단계 → 오일 흡착포를 만들기 위해 부직 시트를 설치하는 단계 → 파쇄된 휄트를 관을 통하여 바람으로 이송하는 단계 → 이송되는 휄트를 부직시트 상면에 반복적층하는 단계 → 부직포 시트 위해 적층된 휄트를 펀칭기로 다짐하는 단계 → 펀칭기로 다짐된 부직포를 롤러로 감는 단계 → 상기 롤 형태로 감아진 부직포를 소정(정해진 규격)의 규격으로 절단하여 오일 흡착포로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오일 흡착포로 제조하기 위해 부직포를 제조하여 롤에 감아진 상태에서 이를 보온 단열 시트로 활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오일 흡착포 이외에도 부직포로 제조된 상태에서 하우스 보온재, 건축 단열부재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자동차 정비업소, 자동자 제조회사 등과 같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도5a는 본 발명의 오일 흡착포 사시도이고, 도5b는 본 발명의 오일 흡착포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오일 흡착포는 일면은 부직포 시트(3)를 부착하여 인쇄부로 사용하고, 다른 일측은 가금류 깃털의 우모와 PP가 혼합된 부직포 층을 형성하여 오일 흡착부를 구성한다.
도6는 본 발명의 오일흡착포의 시험성적서로서, 본 발명의 오일 흡착부 샘플을 시료로 하여 해양경찰청 고시 제2008-04호:2008의 규정에 근거하여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에서 시료를 측정한 것으로 온도시험에서 고온 저온 모두 이상 없음, 흡유량, 흡수량 모두 기준치를 충족시켰으며, 내유성 시험과 중량 및 강도시험에서 모두 이상 없음을 알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오일 흡착포의 실물사진이고, 도8은 본 발명의 오일 흡착포의 부직포 시트와 오일흡착 부직포의 분리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9a 및 도9b는 본 발명의 오일 흡착포를 이용하여 기름을 흡착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상기 도9a는 엔진 오일과 같은 기름을 물에 유출시켜 본 발명의 오일 흡착포의 흡착부와 대응되도록 유출된 기름 위에 올렸을 때 오일 흡착포에 엔진 오일(기름)이 흡착된 상태를 보여 주는 것이다.
또한, 도9b는 상기 도9a와 같은 방법으로 벙커시유를 수조내의 물에 유출시킨 후 유출된 벙커시유 위에 본 발명의 오일흡착포의 흡착부가 대응되도록 던진 후 오일 흡착포를 들어올려 벙커시유가 오일 흡착포에 흡착된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상기 도9a와 도9b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기름을 흡착시 물은 흡수하지 않고 기름만 흡착되도록 한 것으로 이는 도9a와 도9b에서 기름이 오일 흡착포에 흡착된 모양을 보면 기름이 유출된 모양대로 흡착포에 흡착된 모양이 동일하게 형성됨을 알 수 있는바, 이는 오일 흡착포가 기름만을 흡착하기 때문에 형성되는 모양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우모를 가금류 깃털로 설명한 것은 깃털의 공급이 가금류로부터 주로 생산한 것이므로 편의상 가금류라 지칭한 것으로, 야생에서 자라는 꿩등 기타 날짐승으로부터 우모를 생산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우모는 가금류 깃털, 들과 산에서 서식하는 날짐승의 모든 깃털을 지칭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해상 또는 강 등에 기름 유출시 유포된 기름을 제거시 오일 만을 흡착하고 물은 흡착하지 않게 되므로 기름 제거 효과가 월등할 뿐만 아니라 기제거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오일 흡착포 2:부직포
3:부직시트 4:인쇄부
5:흡착부 6:우모
7:PP

Claims (5)

  1. 오리, 거위, 닭 등의 우모를 솜 형태의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PP)과 혼합하는 단계(a);
    상기 혼합된 PP와 우모를 파쇄기(솜틀과 같은 기능을 갖는 것임)로 파쇄시켜 휄트화하는 단계(b);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시트형태의 부직포를 설치하는 단계(c);
    상기 설치된 부지포 위에 파쇄된 휄트를 관을 통하여 바람으로 이송시키는 단계(d);
    상기 바람에 의해 이송된 휄트를 설치된 부지포 상면에 균일하게 펼치는 단계(e);
    상기 (d)단계와 (e)단계를 반복으로 실시하여 정해진 규격으로 적층하는 다계(f);
    상기 적층된 PP와 우모의 혼합 휄트를 펀칭기로 다짐하여 오일 부직포로 형성하는 단계(g)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모를 이용한 오일 흡착포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부직포의 혼합단계는 가금류 털을 솜 형태의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PP)과 5:5으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모를 이용한 오일 흡착포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부직포는 일면에 부직포에 대응시키지 않고 전체가 우모와 PP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부직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모를 이용한 오일 흡착포 제조방법.
  4. 오리, 거위, 닭 등의 우모를 가공한 가금류 털(6)과 솜 형태로 가공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PP)(7)을 5:5으로 혼합하여 정해진 규격으로 형성된 부직포(2)와 일면 표면에는 인쇄부(4)가 형성된 0.1∼0.3㎜ 두께의 부직포시트(3)가 접착되어 오일 흡착포(1)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모를 이용한 오일 흡착포.
  5. 상기 부직포는 가금류 털과 솜 형태의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PP)을 5:5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모를 이용한 오일 흡착포.
KR1020110014108A 2011-02-17 2011-02-17 우모를 이용한 오일 흡착포 및 그 제조 방법 KR101032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108A KR101032121B1 (ko) 2011-02-17 2011-02-17 우모를 이용한 오일 흡착포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108A KR101032121B1 (ko) 2011-02-17 2011-02-17 우모를 이용한 오일 흡착포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2121B1 true KR101032121B1 (ko) 2011-05-03

Family

ID=44365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4108A KR101032121B1 (ko) 2011-02-17 2011-02-17 우모를 이용한 오일 흡착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21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5235A (ko) 2018-05-28 2019-12-0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오일 수거용 보울
KR102576862B1 (ko) 2023-04-24 2023-09-11 한영산업주식회사 오일 흡착포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1490A (ko) * 1992-04-17 1993-11-22 노종식 오일 제거용 로우프
KR20000055072A (ko) * 1999-02-03 2000-09-05 호춘기 우모를 주재로 하는 기름흡착재의 제조장치
KR20090015224A (ko) * 2007-08-08 2009-02-12 (유)엔지오에너지 우모를 이용한 기름 흡착제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1490A (ko) * 1992-04-17 1993-11-22 노종식 오일 제거용 로우프
KR20000055072A (ko) * 1999-02-03 2000-09-05 호춘기 우모를 주재로 하는 기름흡착재의 제조장치
KR20090015224A (ko) * 2007-08-08 2009-02-12 (유)엔지오에너지 우모를 이용한 기름 흡착제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5235A (ko) 2018-05-28 2019-12-0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오일 수거용 보울
KR102576862B1 (ko) 2023-04-24 2023-09-11 한영산업주식회사 오일 흡착포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2121B1 (ko) 우모를 이용한 오일 흡착포 및 그 제조 방법
WO2011082603A1 (zh) 一种有选择性的复合结构吸附材料
US20210322952A1 (en) Eco-friendly sorbent material for removing oil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CN106893135B (zh) 一种韧性改善的三聚氰胺泡沫吸油材料的制备方法
US20070082815A1 (en) Grease and oil absorbent
MX2008007061A (es) Un producto secuestrante de hidrocarburos, metodo para obtener el producto, metodo para el secuestro de hidrocarburos y disposicion paral el secuestro de hidrocarburos.
KR100811878B1 (ko) 기름 흡착제 유니트와 이를 이용한 기름 흡착장치
US9598293B2 (en) Feather oil absorbent boom structure
KR101035110B1 (ko) 혼방 부직포의 제조 방법 및 시스템
KR100908809B1 (ko) 우모를 이용한 기름 흡착제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N105799290B (zh) 一种用于清理水上油花的复合吸油棉
KR20050097301A (ko) 가금류의 깃털을 이용한 부직포형 유흡착재 및 이의제조방법
KR20170095103A (ko) 오일 제거용 흡착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76862B1 (ko) 오일 흡착포 및 그 제조방법
KR100302467B1 (ko) 우모를 이용한 유흡착재의 제조방법 및 그로 부터 생산된 유흡착재
KR20140039453A (ko) 롤형 오일 흡착포 및 이것의 제조방법
US8937118B2 (en) Building materials made from recycled items
KR100918075B1 (ko) 우모 직물과 그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우모 직물을 이용한 오일 처리 물품
WO1996003211A1 (en) Improved absorbent composite mat
RU109759U1 (ru) Сорбирующий материал для удаления загрязнения нефтепродуктами
KR960006734B1 (ko) 유흡착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37511A (ko) 오일펜스용 흡유성 암면판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한 흡유성 암면판
KR100210202B1 (ko) 유,수선택분리투과성이 우수한 환경오염방지용 포지
KR950001581B1 (ko) 조류깃털을 주재로한 유류흡착재의 제조방법과 그 제품
DE202013012854U1 (de) Öl-absorbierender Gegenstand und Vorrichtung zu seiner Herstell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