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1861B1 - 무기계 침투성 석면 비산 방지제 및 이를 이용한 석면 비산 방지방법 - Google Patents

무기계 침투성 석면 비산 방지제 및 이를 이용한 석면 비산 방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1861B1
KR101031861B1 KR1020100113434A KR20100113434A KR101031861B1 KR 101031861 B1 KR101031861 B1 KR 101031861B1 KR 1020100113434 A KR1020100113434 A KR 1020100113434A KR 20100113434 A KR20100113434 A KR 20100113434A KR 101031861 B1 KR101031861 B1 KR 101031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bestos
weight
nano
scattering
ammonium s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3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구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길이에스
주식회사 대길공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길이에스, 주식회사 대길공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길이에스
Priority to KR1020100113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18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1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18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3/00Processes for making harmful chemical substances harmless or less harmful, by effecting a chemical change in the substances
    • A62D3/30Processes for making harmful chemical substances harmless or less harmful, by effecting a chemical change in the substances by reacting with chemical agents
    • A62D3/33Processes for making harmful chemical substances harmless or less harmful, by effecting a chemical change in the substances by reacting with chemical agents by chemical fixing the harmful substance, e.g. by chelation or complex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2101/00Harmful chemical substances made harmless, or less harmful, by effecting chemical change
    • A62D2101/40Inorganic substances
    • A62D2101/41Inorganic fibres, e.g. asbesto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면 함유 자재의 석면 비산 방지를 위해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무기계 침투성 석면 비산 방지제와 이의 바람직한 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기계 침투성 석면 비산 방지제는, 석면 함유 자재에 도포할 경우 내부에 침투하여 석면과 반응하여 고화함으로써 석면의 비산을 효과적으로 방지시킬 수 있는 침투성 석면 비산 방지제로서, 4급 암모늄염이 담지된 나노 실리카 수용액을 주성분으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 계면활성제, 분산제, 소광제, 안료, 표면경화제 중 하나 이상이 기능성 첨가제가 더 첨가될 수 있으며, 특히 계면활성제, 분산제를 더 첨가하는 경우에는 고형분이 15~25중량%인 4급 암모늄염이 담지된 나노 실리카 수용액 45~69중량%, 계면활성제 0.5~2.0중량%, 분산제 0.5~2.0중량%, 증류수 30~51중량%로 바람직하게 조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석면 비산 방지방법은 상기한 무기계 침투성 석면 비산 방지제를 석면 함유 자재에 도포하여 석면의 비산 방지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기계 침투성 석면 비산 방지제 및 이를 이용한 석면 비산 방지방법{Permeable inorgan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scattering asbestos and us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석면 함유 자재의 석면 비산 방지를 위해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무기계 침투성 석면 비산 방지제와 이의 바람직한 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석면은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하며 불연, 단열, 절연, 보온성능이 우수하여 단열재, 보온재, 슬레이트, 방화재 등 건축물 내외장재용 건축 자재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석면은 석면폐증, 폐암, 악성중피종 등의 암을 유발시키는 1급 발암물질로 분류되어 있다. 석면을 사용한 건축자재는 점차 노후화되면서 함유되어 있던 석면이 공기 중에 비산되어 있다가 인체로 흡입시에 심각한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인체에 흡입된 석면은 침상형태로 되어 있어 인체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축적되므로 문제가 되고 있다.
현재 국내는 물론 국외에서도 석면 사용을 법적으로 규제하고 있으며 석면이 함유된 건축자재 사용 또한 규제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규제 이전에 석면을 사용한 건축자재가 제조되고 건축물 건축에 사용되었으며, 그 결과 석면 함유 건축자재가 시공된 건축물이 현재에도 별도의 조치 없이 존재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유동인구가 많은 공공시설물이나 교육시설물은 석면함유 건축자재 사용 규제 이전에 건축된 시설물이 많고 현재까지도 계속 사용되어 오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시설물에 대한 석면의 비산 방지 처리가 시급한 상황이다.
석면의 비산 방지 처리 방법에는 석면 비산 방지제를 도포하여 처리하는 방법이 있는데, 석면 비산 방지제는 유기용제를 사용하거나 유기계 수지를 주원료로 한 제품이 대다수이다. 유기용제는 취급 과정에서 VOC 발생으로 2차 오염 문제를 유발하기 쉬운 단점이 있으며, 유기계 수지를 원료로 하는 제품은 도포면 표면만을 코팅 처리하는 정도에 불과하여 건축물 해체에 사용하거나 장시간 경과할 경우 석면 함유 자재의 진동이나 파손으로 인해 자재 내부의 석면이 비산하는 것까지 방지하기에는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석면 비산 방지제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개발될 것으로서, 유기계 재료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석면 함유 자재의 표면뿐만 아니라 내부에 함유된 석면까지 처리하여 석면의 비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석면 비산 방지제를 제공하는데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석면 함유 자재에 도포할 경우 내부에 침투하여 석면과 반응하여 고화함으로써 석면의 비산을 효과적으로 방지시킬 수 있는 침투성 석면 비산 방지제로서, 4급 암모늄염이 담지된 나노 실리카 수용액을 주성분으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계 침투성 석면 비산 방지제를 제공한다. 여기에 계면활성제, 분산제, 소광제, 안료, 표면경화제 중 하나 이상이 기능성 첨가제가 더 첨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무기계 침투성 석면 비산 방지제를 석면 함유 자재에 도포하여 석면의 비산 방지를 처리하는 석면 비산 방지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유기계 용제 및 수지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유기 물질 배출에 의한 2차 오염의 염려 없이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석면 비산 방지제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석면 함유 자재에 도포할 경우 자재 내부에 침투하여 자재 내부의 석면도 고화 안정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석면 함유 자재의 진동 및 물리적인 파손이나 해체시에도 석면 비산 방지 기능을 효과적으로 나타내는 석면 비산 방지제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석면 비산 방지제는 석면 함유 자재에 단순히 도포하여 사용하는 재료이기 때문에 석면 비산 방지공사를 간단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석면 함유 자재에 도포할 경우 자재 내부에 침투하고 석면과 반응하여 고화시키는 기능의 석면 비산 방지제로서, 유해물질 발생의 염려가 없는 무기계 재료를 이용하는 한편 건축 자재에의 침투가 용이한 수용액 형태를 갖는다는데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을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석면 비산 방지제의 주성분으로 4급 암모늄염이 담지된 나노 실리카 수용액을 제안한다.
4급 암모늄염이 담지된 나노 실리카 수용액은, 질소(N)에 에틸(CH3CH2)기와 에탄올(CH3CH2OH)기를 가지는 4급 암모늄염이 나노 실리카 수용액에 담지된 것인데, 4급 암모늄염은 나노 실리카 용액과 반응하여 석면반응 유도체 기능을 가지는 실리케이트 구조를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실리케이트 구조는 하기 [구조식1]로 표현된다.
[구조식1]
Figure 112010074436919-pat00001
상기 [구조식1]의 실리케이트 구조는 석면이 함유된 자재의 바인더 성분인 칼슘(Ca), 마그네슘(Mg)과 반응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4급 암모늄염이 담지된 나노 실리카는 석면의 고화 안정화와 함께 구조 변형을 통한 석면의 비산 방지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이는 하기 [반응식1]로 표현된다.
[반응식1]
Figure 112010074436919-pat00002
상기 [반응식1]에서 보는 바와 같이 4급 암모늄염은 말단기에 수산화기(-OH)를 가지게 되며, 이에 따라 고화된 입자 간 부착력을 가지게 되어 우수한 고화안정화 특성을 나타내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석면 비산 방지제는 수용액 상태의 재료이기 때문에 석면 함유 자재에 도포할 경우 우수한 침투성능을 나타낸다.
나아가 본 발명은 4급 암모늄염이 담지된 나노 실리카 수용액에 분산제, 계면활성제, 소광제, 안료, 표면경화제 중 하나 이상이 기능성 첨가제를 더 첨가할 것을 제안한다. 분산제는 나노 실리카의 분산효과를 위해 첨가하며, 계면활성제는 균일한 분산 도포를 위해 첨가하며, 소광제는 광택 제거를 위해 첨가하며, 안료는 적절한 색상 발현을 위해 첨가하며, 표면경화제는 잔류 비산 먼지의 경화를 유도하기 위해 첨가한다. 이들 기능성 첨가제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사용하면 된다.
특히 본 발명은 기능성 첨가제로 분산제,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경우에, 고형분이 15~25중량%인 4급 암모늄염이 담지된 나노 실리카 수용액 45~69중량%, 계면활성제 0.5~2.0중량%, 분산제 0.5~2.0중량%, 증류수 30~51중량%로 조성할 것을 제안한다. 이와 같은 조성범위는 석면 비산 방지 효과와 사용성 및 침투성을 고려한 결과이다.
4급 암모늄염이 담지된 나노 실리카 수용액은 고형분이 15~25중량%로 준비하는 것이 제조 및 취급 등에서 간편하다. 다만 도포처리 상태 및 작업특성에 따라 고형분 함량을 적절히 변경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고형분 함량 변경에 따라 4급 암모늄염이 담지된 나노 실리카 수용액과 증류수의 함량을 조절하면 된다. 고형분이 15~25중량%인 경우에 4급 암모늄염이 담지된 나노 실리카 수용액은 45~69%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45중량% 미만이면 석면 비산 방지 특성이 낮고, 69중량%를 초과하면 나노 실리카 구조 간 응집하면서 부분 겔화가 진행하게 되어 침투흡수 특성 저하가 나타난다.
분산제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규소를 주사슬로 하고 말단기에 음이온기를 가지는 것을 사용하면 적당하고, 0.5~2.0%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5% 미만이면 나노 실리카의 분산 효과가 낮고, 2.0중량%를 초과하면 도포면의 건조가 늦어지는 현상을 초래한다.
계면활성제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면 적당하며, 0.5~2.0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5중량% 미만이면 도포면에서 균일한 분산 도포가 되지 않아 부분적으로 석면이 고화 안정화하지 않게 되며, 2.0중량% 초과하면 계면활성제 과량으로 침투 특성 저하되어 석면의 비산 방지 효과가 떨어진다.
증류수는 31~51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범위에서 고형분이 15~25중량%인 4급 암모늄염이 담지된 나노 실리카 수용액이 우수한 분산 특성과 도포면에 대한 침투 성능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석면 비산 방지효과 실험
(1)석면 비산 방지제의 조성
하기 [표 1]과 같이 석면 비산 방지제를 조성하여 준비하였다.
석면 비산 방지제의 조성
구성성분(g)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고
4급 암모늄염이 담지된 나노 실리카 수용액 50 58 65 sol-gel process를 통해 pH11 이상에서 가수분해하여 실리카에 암모늄염을 담지-> 고형분 20±2%
분산제 0.5 1.2 1.1 알칼암모늄열 계열
계면활성제 0.5 0.8 0.9 수산기(OH)를가진 비이온 계면활성제
증류수 49 40 33 1차 이상 증류수
100 100 100 -
(2)실험방법
석면 비산 정도에 대한 공인기준이 없으므로 다음과 같은 자체 실험방법을 통해 평가하였다.
①300×600×6mm 크기의 석면 함유 슬레이트의 전면을 제외한 측면과 후면에 에폭시 페인트를 도포하여 상온에서 3일 이상 완전 경화시킨다. 이를 실험체로 4종 준비한다.
②1종의 실험체는 석면 비산 방지제를 가하지 않는 비교예로 하였으며, 비교예는 실험체 전면의 100×100mm 크기 면적을 사포로 1mm 정도 갈아내고 갈아낸 실험체의 전면이 아래로 향하도록 밀봉된 용기에 넣고 전면 이외의 실험체 면에서 진동을 10분 동안 가한 후 공기를 포집하여 단위 부피의 공기 중 석면 분진 입자의 수를 위상차 현미경법(phase contrast microscopy)으로 측정하였다.
③3종의 실험체는 상기 [표 1]에 따른 실시예1,2,3의 석면 비산 방지제를 도포하는 실험예로 하였으며, 실험체 전면에 석면 비산 방지제를 도포하여 기건에서 1일 이상 건조하고 그 전면을 사포로 약 1mm 정도 갈아낸 후 갈아낸 실험체의 전면이 아래로 향하도록 밀봉된 용기에 넣고 전면 이외의 실험체 면에서 진동을 10분 동안 가한 후 공기를 포집하여 단위 부피의 공기 중 석면 분진 입자의 수를 위상차 현미경법(phase contrast microscopy)으로 측정하였다.
(3)실험결과
석면 비산 방지제를 가하지 않은 비교예와 본 발명에 따른 석면 비산 방지제를 가한 실험예의 석면 분진 농도를 하기 [표 2]에 정리하였다.
석면 분진 농도
특성 비교예 실험예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석면비산농도(개/㎤) 0.029 0.0011 0.0013 0.0020
상기 [표 2]에서와 같이 석면 비산 방지제가 도포 처리되지 않은 비교예의 석면 비산 농도는 0.029개/㎤인데 반해, 실시예1,2,3에 따른 석면 비산 방지제를 도포 처리한 실험예의 석면 비산 농도는 평균 0.0015개/㎤로서 현저히 낮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석면 비산 방지제는 석면 비산 방지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4)

  1. 삭제
  2. 하기 [구조식1]을 가지는 4급 암모늄염이 담지된 나노 실리카 수용액;
    계면활성제, 분산제, 소광제, 안료, 표면경화제 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기능성 첨가제;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계 침투성 석면 비산 방지제.
    [구조식1]
    Figure 112011013085014-pat00004
  3. 제2항에서,
    상기 기능성 첨가제로 계면활성제와 분산제가 선택되되,
    고형분이 15~25중량%인 4급 암모늄염이 담지된 나노 실리카 수용액 45~69중량%, 계면활성제 0.5~2.0중량%, 분산제 0.5~2.0중량%, 증류수 30~51중량%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계 침투성 석면 비산 방지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따른 무기계 침투성 석면 비산 방지제를 석면 함유 자재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비산 방지방법.
KR1020100113434A 2010-11-15 2010-11-15 무기계 침투성 석면 비산 방지제 및 이를 이용한 석면 비산 방지방법 KR101031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3434A KR101031861B1 (ko) 2010-11-15 2010-11-15 무기계 침투성 석면 비산 방지제 및 이를 이용한 석면 비산 방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3434A KR101031861B1 (ko) 2010-11-15 2010-11-15 무기계 침투성 석면 비산 방지제 및 이를 이용한 석면 비산 방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1861B1 true KR101031861B1 (ko) 2011-05-02

Family

ID=44365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3434A KR101031861B1 (ko) 2010-11-15 2010-11-15 무기계 침투성 석면 비산 방지제 및 이를 이용한 석면 비산 방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18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663B1 (ko) 2012-12-13 2013-06-10 주식회사 한국에코텍 석면 고형 안정화용 피복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석면 고형 안정화 처리방법
KR102320651B1 (ko) 2021-05-31 2021-11-02 주식회사 그래코리아 비산 먼지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산 먼지 억제 공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53034A (en) 1996-09-27 1998-05-19 W. R. Grace & Co. -Conn. Composition and method to remove asbestos
KR100371111B1 (ko) 1996-09-27 2003-02-05 더블유. 알. 그레이스 앤드 캄파니-콘 석면 제거를 위한 조성물 및 방법
KR20080029884A (ko) * 2006-09-29 2008-04-03 니찌아스 카부시키카이샤 석면 함유 재료의 비산 방지 방법, 석면 함유 재료의폐기재 처리 방법, 석면 폐기재의 용융 처리 방법, 석면폐기재 처리품 및 석면 용융 처리품
JP2008161731A (ja) * 2006-08-02 2008-07-17 Shoji Tougeda アスベスト処理剤、アスベスト処理方法及びアスベスト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53034A (en) 1996-09-27 1998-05-19 W. R. Grace & Co. -Conn. Composition and method to remove asbestos
KR100371111B1 (ko) 1996-09-27 2003-02-05 더블유. 알. 그레이스 앤드 캄파니-콘 석면 제거를 위한 조성물 및 방법
JP2008161731A (ja) * 2006-08-02 2008-07-17 Shoji Tougeda アスベスト処理剤、アスベスト処理方法及びアスベスト処理装置
KR20080029884A (ko) * 2006-09-29 2008-04-03 니찌아스 카부시키카이샤 석면 함유 재료의 비산 방지 방법, 석면 함유 재료의폐기재 처리 방법, 석면 폐기재의 용융 처리 방법, 석면폐기재 처리품 및 석면 용융 처리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663B1 (ko) 2012-12-13 2013-06-10 주식회사 한국에코텍 석면 고형 안정화용 피복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석면 고형 안정화 처리방법
KR102320651B1 (ko) 2021-05-31 2021-11-02 주식회사 그래코리아 비산 먼지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산 먼지 억제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42648B2 (ja) 鉱物質建築材料用含浸性エマルジヨン
KR101810210B1 (ko) 라돈 저감용 수성 코팅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라돈 저감화 방법
KR102314657B1 (ko) 고강도 친환경적 무기계 폴리머 모르타르 마감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감재 시공방법
CN110256890B (zh) 一种免底漆防氡内墙腻子粉及其制备方法
KR20110004690A (ko) 도포형 단열 마감재 조성물
KR101031861B1 (ko) 무기계 침투성 석면 비산 방지제 및 이를 이용한 석면 비산 방지방법
KR101464933B1 (ko) 침투형 석면 안정화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석면 안정화 처리 방법
CN111057425B (zh) 一种除甲醛水性涂料
KR101068554B1 (ko) 4급 암모늄염이 담지된 나노 실리카 수용액의 제조방법과 이를 활용한 무기계 침투성 석면 비산 방지제의 제조방법
KR101272663B1 (ko) 석면 고형 안정화용 피복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석면 고형 안정화 처리방법
KR101870361B1 (ko) 패각 분말을 활용한 콘크리트용 친환경 고기능성 폴리머 복합 방수제
KR101184037B1 (ko) 고침투형 석면 안정화제 및 이를 이용한 석면 안정화공법
KR101054068B1 (ko) 다공성 알루미나를 함유한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 도료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96779B1 (ko) 친환경 바닥재용 폴리머-세라믹 유무기 하이브리드 바인더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바닥재 조성물
KR101299551B1 (ko) 화산토를 이용한 도료 및 그 제조방법
KR102103908B1 (ko) 방염 및 난연성의 천연 수성도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12662281B (zh) 一种透气环氧地坪涂料
KR101054067B1 (ko)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함유한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 도료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46488B1 (ko) 스프레이형 석면 안정화제
KR100711575B1 (ko) 기능성 핸디 퍼티
KR101749736B1 (ko) 친환경 건축마감재용 바름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건축마감재용 바름재
KR20120116723A (ko) 분진 비산방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분진 비산방지방법
KR101551940B1 (ko) 무기 바인더
CN108485519A (zh) 一种液体硅藻防辐射涂料
KR101065796B1 (ko) 불연성 도장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