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0807B1 - 플라이 백 컨버터를 이용한 연계형 인버터 - Google Patents

플라이 백 컨버터를 이용한 연계형 인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0807B1
KR101030807B1 KR1020090087526A KR20090087526A KR101030807B1 KR 101030807 B1 KR101030807 B1 KR 101030807B1 KR 1020090087526 A KR1020090087526 A KR 1020090087526A KR 20090087526 A KR20090087526 A KR 20090087526A KR 101030807 B1 KR101030807 B1 KR 101030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witch
voltage
input
side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7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9723A (ko
Inventor
박성준
남해곤
박병우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87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0807B1/ko
Publication of KR20110029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9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0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0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69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 H02M3/3357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having at least one active switching element at the secondary side of an isolation transformer
    • H02M3/33584Bidirectional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6Arrangements for transfer of electric power between ac networks via a high-tension dc lin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4Arrangements for reducing ripples from dc input or out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64Magnetic structures combining different functions, e.g. storage, filtering or trans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계형 인버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플라이 백 컨버터부와 인버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라이 백 컨버터부를 이용하여 절연된 벅 컨버터와 부스트 컨버터의 출력을 얻고, 상기 인버터부는 상기 플라이 백 컨버터부에서 출력되는 컨버터 출력전압의 방향만을 전환하여 계통전원에 연계할 출력교류전압을 출력함으로써 스위칭 손실을 매우 줄일 수 있는 플라이 백 컨버터를 이용한 고효율 연계형 인버터에 관한 것이다.
플라이 백, 인버터, 컨버터, 계통연계, 초핑

Description

플라이 백 컨버터를 이용한 연계형 인버터{Grid tied inverter using flyback converter}
본 발명은 연계형 인버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플라이 백 컨버터부와 인버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라이 백 컨버터부를 이용하여 절연된 벅 컨버터와 부스트 컨버터의 출력을 얻고, 상기 인버터부는 상기 플라이 백 컨버터부에서 출력되는 컨버터 출력전압의 방향만을 전환하여 계통전원에 연계할 출력교류전압을 출력함으로써 스위칭 손실을 매우 줄일 수 있는 플라이 백 컨버터를 이용한 고효율 연계형 인버터에 관한 것이다.
신 재생에너지 중 특히 태양광에너지는 밀도가 낮고 야간이나 흐린날에는 그 이용의 한계나 효율저하로 인하여 간헐적인 효과를 얻을 수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지만, 무한 청정 에너지원으로서 오염이나 소음공해 없이 모든 지역에서 사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태양광발전 시스템은 태양전지 모듈을 비롯하여 시스템 구성요소의 고가로 인한 실용화 보급에 다소 제한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최근 제조원가를 줄이거나 효율 개선을 통하여 실용화를 앞당기기 위한 노력이 있고, 이와 병행하여 인버터 등의 구성요소의 저가화 및 고효율화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의 연계형 인버터는 입력직류전압을 스위칭하여 생성되는 출력교류전원을 직접 계통전원에 연계해 줌으로 스위칭 손실이 매우 큰 단점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스위칭 손실을 줄여 고효율을 실현할 수 있는 연계형 인버터를 연구 노력한 결과, 하나의 단속스위치에 의한 초핑(chopping)만으로 계통전원에 연계할 출력교류전압을 출력할 수 있는 연계형 인버터의 기술적 구성을 개발하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스위치의 초핑동작으로 출력교류전압을 출력하여 스위칭 손실을 매우 줄일 수 있는 연계형 인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입력직류전압을 단속(chopping)하여 전파정류된 정현파 형태의 컨버터출력전압을 출력하고, 입출력이 절연되는 플라이백 컨버터부 및 상기 플라이백 컨버터부에서 출력되는 컨버터출력전압을 일정한 주기로 부(-)의 방향으로 전환하여 정현파 형태의 출력교류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출력교류전압을 계통전원에 연계하는 인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계형 인버터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백 컨버터부는 상기 입력직류전압을 변압하고 입출력이 절연되며, 입력측 코일 및 출력측 코일을 포함하는 변압기, 상기 변압기와 상기 입력직류전압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입력직류전압을 단속하여 상기 입력측 코일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입력측 코일에 서로 반대 극성의 전압이 교대로 유도되게 하는 단속스위치, 일단이 상기 출력측 코일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단속스위치가 '온'될 경우, 상기 출력측 코일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하여, 상기 입력측 코일에 자화 인덕턴스에 의한 에너지가 축적되게 하고, 상기 단속스위치가 '오프'될 경우, 상기 출력측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하여, 상기 입력측 코일의 축적된 에너지를 상기 출력측 코일로 전달되게 하는 정류다이오드 및 상기 출력측 코일의 타단 및 상기 정류다이오드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에너지를 축적하여 상기 컨버터출력전압을 출력하는 출력커패시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부는 일단이 상기 출력커패시터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1 스위치, 일단이 상기 제1 스위치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출력커패시터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2 스위치, 일단이 상기 출력커패시터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3 스위치 및 일단에 상기 제3 스위치의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출력커패시터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4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의 사이단과 상기 제3 스위치 및 상기 제4 스위치의 사이단이 상기 출력교류전압의 출력단으로 사용되는 풀-브릿지 타입의 인버터부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4 스위치는 동시에 '온'되거나 '오프'되고, 상기 제2 스위치 및 상기 제3 스위치는 동시에 '온'되거나 '오프'되되,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4 스위치와 상기 제2 스위치 및 상기 제4 스위치는 서로 번갈아 '온', '오프'되며, 상기 제2 스위치 및 상기 제3 스위치는 상기 컨버터출력전압을 부(-)의 방향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부와 상기 계통전원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입력직류전압의 단속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출력교류전압의 주파수 리플을 제거하는 필터부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인버터부의 출력단 일단 및 상기 계통전원의 일단을 서로 연결하며,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제1 필터용 인덕터 및 제2 필터용 인덕터 및 상기 제1 인덕터및 상기 제2 인덕터 사이단과 상기 계통전원의 타단을 연결하는 필터용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LCL필터부로 구비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먼저, 본 발명의 연계형 인버터에 의하면 계통전원에 연계할 전압의 크기와 파형은 하나의 단속스위치를 이용하여 획득하고, 인버터부는 단지 플라이백 컨버터부에서 출력되는 컨버터 출력전압의 정(+), 부(-)만을 변환하여 정현파 형태의 출력교류전압을 상기 계통전원에 연계해 주므로, 스위칭 손실을 매우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연계형 인버터에 의하면 상기 인버터부는 컨버터 출력전압의 정(+), 부(-)만을 변환하여 출력하므로 출력되는 출력교류전압을 피드백하여 검 출하지 않고도 상기 출력교류전압을 단위 역률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계형 인버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계형 인버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계형 인버터의 각부 출력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계형 인버터(100)는 플라이백 컨버터부(110), 인버터부(120) 및 필터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플라이백 컨버터부(110)는 입력직류전압(Vin)을 단속(chopping)하여 전파정류된 정현파 형태의 컨버터출력전압(V1)을 출력한다.
또한, 상기 플라이백 컨버터부(110)는 상기 컨버터출력전압(V1)이 상기 입력직류전압(Vin)과 절연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플라이백 컨버터부(110)는 변압기(111), 단속 스위치(112), 정류다이오드(113) 및 출력커패시터(1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변압기(111)는 상기 입력직류전압(Vin)을 변압하고, 상기 입력직류전압(Vin)과 상기 컨버터출력전압(V1)을 절연하며, 변압비가 N1:N2인 입력측 코일(111a) 및 출력측 코일(111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단속 스위치(112)는 상기 입력직류전압(Vin)과 상기 입력측 코일(111a)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입력직류전압(Vin)을 단속(chopping)하여 상기 입력측 코일(111a)에 공급함으로써, '온' 또는 '오프'시에 상기 입력측 코일(111a)에 서로 반대 극성의 전압이 교대로 유도되게 한다.
또한, 상기 단속 스위치(112)는 상기 입력직류전압(Vin)을 일정한 듀티비로 '온' 또는 '오프'하여 상기 컨버터출력전압(V1)이 반파 정류된 정현파 형태의 전압으로 출력되도록 한다.
즉, 상기 단속 스위치(112)는 아래에서 설명할 출력커패시터(114)에 정현파 중 정(+)의 반파만이 연속적으로 출력되도록 상기 입력직류전압(Vin)을 단속한다.
또한, 상기 정류다이오드(113)는 상기 단속스위치(112)가 '온'될 경우, 상기 출력측 코일(111b)에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일단이 상기 출력측 코일(111b)에 일단에 연결된다. 즉, 상기 정류다이오드(113)는 애노드가 상기 출력측 코일(111b)의 일단에 연결된다. 그러나, 상기 정류다이오드(113)는 캐소드가 상기 출력측 코일(111b)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단속스위치(112)가 '온'될 경우, 상기 출력측 코일(111b)에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정류다이오드(113)는 상기 단속스위치(112)가 '오프'될 경우, 상기 출력측 코일(111b)에 전류가 흐르게 하여 상기 입력측 코일(111)에 축적된 에너지를 상기 출력측 코일(111b)로 전달되게 한다.
또한, 상기 출력커패시터는(114)는 상기 출력측 코일(111b)의 타단 및 상기 정류다이오드(113)의 타단, 즉, 상기 정류다이오드(113)의 캐소드에 연결되며, 상기 에너지를 축적하여, 상기 컨버터출력전압(V1)을 출력한다.
또한, 도 2 및 3을 참조하여 상기 단속스위치(112)의 '온', '오프'동작을 더욱 자세하게 살펴보면, 먼저, 상기 단속 스위치(112)가 '온'되고, 상기 출력측 코일(111b)에는 상기 입력측 코일(111b)의 반대방향으로 전압이 유기되며, 상기 정류다이오드(113)가 역 바이어스로 차단된다.
즉, 상기 단속스위치(112)가 '온'될 경우, 상기 출력측 코일(111b)에는 전류 가 흐르지 않고, 상기 입력측 코일(111a)에만 전류가 흐르게 된다.
또한, 상기 입력측 코일(111a)에는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자화인덕턴스에 의한 에너지가 축적된다.
Figure 112009056981350-pat00001
여기서, 상기 L은 상기 입력측 코일(111a)의 자화 인덕턴스, 상기 ILpeak는 상기 단속 스위치(112)가 '온'되는 시간 동안 상기 입력측 코일(111a)에 흐르는 전류를 나타낸다.
다음, 상기 단속 스위치(112)가 '오프'되면, 상기 출력측 코일(111b)에는 상기 단속 스위치(112)가 '온'된 경우의 반대 극성으로 전압이 유도되고, 상기 정류다이오드(113)는 도통된다.
즉, 상기 단속 스위치(112)가 '오프'되면, 상기 ILpeak의 전류가 상기 출력커패시터(114)로 흐르게 되고, 상기 출력커패시터(114)는 상기 컨버터 출력전압(V1)을 출력한다.
더욱 자세하게는, 상기 단속 스위치(112)가 '오프'되면, 상기 입력측 코일(111a)에 직렬로 연결된 입력측 다이오드(117), 상기 입력측 코일(111a)에 각각 병렬로 연결된 입력측 저항(115) 및 입력측 커패시터(116)에 의해 전류가 흐르게 되고, 상기 단속 스위치(112)가 '온'되었을 때와 반대 극성의 전압이 상기 입력측 코일(111a)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출력커패시터(114)에 출력되는 출력전력은 아래의 수학식 2와 같다.
Figure 112009056981350-pat00002
여기서, Ts는 상기 단속 스위치(112)가 '온'되는 시점 간의 시간 간격이다.
또한, 상기 수학식 1과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상기 플라이백 컨버터부(110)의 입출력 관계식을 구하면 아래의 수학식 3과 같다.
Figure 112009056981350-pat00003
여기서 상기 D는 상기 단속스위치(112)의 '온', '오프'에 따른 듀티비(Duti ratio)이고, 상기 N1/N2는 상기 변압기(111)의 권선비이다.
즉, 상기 수학식 3에서도 알 수 있듯이 상기 플라이백 컨버터부(110)의 출력특성은 상기 변압기(111)의 권선비에 영향을 받는 비 절연된 벅 부스트(Buck-boost) 컨버터의 출력특성과 동일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인버터부(120)는 상기 플라이백 컨버터부(110)에서 출력되는 컨버터 출력전압(V1)을 일정한 주기로 부(-)의 방향으로 극성을 전환하여 정현파 형태의 출력 교류전압(V2)을 출력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인버터부(120)는 상기 컨버터 출력전압(V1)의 홀수주기 번째의 반파 또는 짝수주기 번째의 반파를 부(-)의 방향으로 전환하여, 상기 컨버터 출력전압(V1)이 정현파 형태의 전압이 되도록 한다.
즉, 상기 인버터부(120)는 상기 컨버터 출력전압(V1)을 단지 정(+)의 방향 또는 부(-)의 방향으로 변환만을 하기 때문에 상기 출력교류전압(V2)을 검출하여 피드백하지 않고도 상기 출력교류전압(V2)을 단위 역률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인버터부(120)는 네 개의 스위치가 브릿지 형태로 연결된 풀-브릿지 타입으로 구성되며, 더욱 자세하게는, 일단이 상기 출력커패시터(114)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1 스위치(121), 일단이 상기 제1 스위치(121)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출력커패시터(114)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2 스위치(122), 일단이 상기 출력커패시터(114)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3 스위치(123) 및 일단이 상기 제3 스위치(123)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출력커패시터(114)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4 스위치(124)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치(121) 및 상기 제2 스위치(122)의 사이단과 상기 제3 스위치(123) 및 상기 제4 스위치(124)의 사이단은 상기 출력교류전압(V2)의 출력단으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인버터부(120)의 동작과정을 간단히 살펴보면, 먼저, 상기 제1 스위치(121) 및 제4 스위치(124)가 동시에 '온'되고, 상기 컨버터 출력전압(V1)은 극성변화 없이 정(+)의 방향으로 출력된다. 다음, 상기 제1 스위치(121) 및 제4 스위치(124)가 '오프'되고, 상기 제2 스위치(122) 및 상기 제3 스위치(123)가 동시에 '온'되어, 상기 컨버터 출력전압(V1)의 극성을 부(-)의 방향으로 반전하여 출력함으로써, 상기 컨버터 출력전압(V1)이 정현파 형태의 상기 출력교류전압(V2)으로 출력되도록 해준다.
즉, 상기 제1 스위치(121) 및 제4 스위치(124)와 상기 제2 스위치(122) 및 상기 제3 스위치(123)는 번갈아 '온', '오프'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인버터부(120)는 단순히 상기 컨버터 출력전압(V1)의 극성만을 변화시켜주므로 스위칭 손실을 매우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필터부(130)는 상기 출력교류전압(V2) 필터링하여 계통전원(20)에 연계할 필터링된 출력교류전압(Vo)을 출력하고, 상기 단속스위치(112)의 단속동작에 의해 발생한 주파수 리플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필터부(130)는 상기 인버터부(120)의 출력단 일단 및 상기 계통전원(20)의 일단을 서로 연결하며,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제1 필터용 인덕터(131) 및 제2 필터용 인덕터(132) 및 상기 제1 필터용 인덕터(131) 및 상기 제2 필터용 인덕터(132)의 사이단과 상기 계통전원(20)의 타단을 연결하는 필터용 커패시터(133)를 포함하는 LCL 타입의 필터부로 구성하였다.
또한, 도 4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컨버터 출력전압(V1)은 반파정류된 정현파 형태 즉, 정현파 중 정(+)의 반파만이 연속적으로 출력되는 형태의 전압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4의 (b)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제1 스위치(121,SW1) 및 상기 제4 스위치(124,SW4)를 동시에 '온'하여 상기 컨버터 출력전압(V1) 중 홀수 번째 반파들(V1-1)을 극성의 변화없이 출력하고, 다음, 상기 제2 스위치(122,SW2) 및 상기 제3 스위치(123,SW3)를 동시에 '온'하여 상기 컨버터 출력전압(V1) 중 짝수 번째 반파들(V1-2)을 극성을 반대로 출력해준다.
따라서, 도 4의 (c)를 참조하면, 상기 출력교류전압(V2)이 정현파 형태로 출력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4의 (d)를 참조하면, 상기 필터부(130)에 의해 주파수 리플이 매우 감소된 출력교류전압(Vo)이 상기 계통전원(20)에 연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계형 인버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계형 인버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계형 인버터의 각부 출력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연계형 인버터 110:플라이백 컨버터부
111:변압기 111a:입력측 코일
111b:출력측 코일 112:단속 스위치
113:정류 다이오드 114:출력 커패시터
115:입력측 저항 116:입력측 커패시터
117:입력측 다이오드 120:인버터부
121:제1 스위치 122:제2 스위치
123:제3 스위치 124:제4 스위치
130:필터 131:제1 필터용 인덕터
132:제2 필터용 인덕터 133:필터용 커패시터

Claims (6)

  1. 삭제
  2. 입력직류전압을 단속(chopping)하여 전파정류된 정현파 형태의 컨버터출력전압을 출력하고, 입출력이 절연되는 플라이백 컨버터부; 및
    상기 플라이백 컨버터부에서 출력되는 컨버터출력전압의 홀수주기 또는 짝수주기 중, 어느 하나의 주기의 반파들을 부(-)의 방향으로 전환하고, 다른 하나의 반파들은 그대로 출력하여 정현파 형태의 출력교류전압을 출력하며, 상기 출력교류전압을 계통전원에 연계하는 인버터부;
    상기 플라이백 컨버터부:는
    상기 입력직류전압을 변압하고 입출력이 절연되며, 입력측 코일 및 출력측 코일을 포함하는 변압기;
    일단은 상기 변압기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입력직류전압의 일단 연결되며, '온'될 때, 상기 입력직류전압을 상기 입력측 코일의 일 방향으로 공급하는 단속스위치;
    일단은 상기 변압기와 상기 단속스위치의 사이 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변압기와 상기 입력직류전압의 사이 단에 연결되며, 상기 단속스위치가 '온'될 때, 상기 변압기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단속스위치가 '오프'될 때, 상기 변압기와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단속스위치가 '오프'될 때, 충전된 전압을 상기 입력측 코일의 타 방향으로 공급하는 입력측 커패시터;
    일단이 상기 출력측 코일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단속스위치가 '온'될 경우, 상기 출력측 코일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하여, 상기 입력측 코일에 자화 인덕턴스에 의한 에너지가 축적되게 하고, 상기 단속스위치가 '오프'될 경우, 상기 출력측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하여, 상기 입력측 코일의 축적된 에너지를 상기 출력측 코일로 전달되게 하는 정류다이오드; 및
    상기 출력측 코일의 타단 및 상기 정류다이오드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에너지를 축적하여 전파정류된 상기 컨버터출력전압을 출력하는 출력커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계형 인버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부:는
    일단이 상기 출력커패시터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1 스위치;
    일단이 상기 제1 스위치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출력커패시터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2 스위치;
    일단이 상기 출력커패시터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3 스위치; 및
    일단이 상기 제3 스위치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출력커패시터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4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의 사이단과 상기 제3 스위치 및 상기 제4 스위치의 사이단이 상기 출력교류전압의 출력단으로 사용되는 풀-브릿지 타입의 인버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계형 인버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4 스위치는 동시에 '온'되거나 '오프'되고,
    상기 제2 스위치 및 상기 제3 스위치는 동시에 '온'되거나 '오프'되되,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4 스위치와 상기 제2 스위치 및 상기 제4 스위치는 서로 번갈아 '온', '오프'되며,
    상기 제2 스위치 및 상기 제3 스위치는 상기 컨버터출력전압을 부(-)의 방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계형 인버터.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부와 상기 계통전원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입력직류전압의 단속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출력교류전압의 주파수 리플을 제거하는 필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계형 인버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인버터부의 출력단 일단 및 상기 계통전원의 일단을 서로 연결하며,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제1 필터용 인덕터 및 제2 필터용 인덕터; 및
    상기 제1 인덕터 및 상기 제2 인덕터의 사이단과 상기 계통전원의 타단을 연 결하는 필터용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LCL필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계형 인버터.
KR1020090087526A 2009-09-16 2009-09-16 플라이 백 컨버터를 이용한 연계형 인버터 KR101030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526A KR101030807B1 (ko) 2009-09-16 2009-09-16 플라이 백 컨버터를 이용한 연계형 인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526A KR101030807B1 (ko) 2009-09-16 2009-09-16 플라이 백 컨버터를 이용한 연계형 인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723A KR20110029723A (ko) 2011-03-23
KR101030807B1 true KR101030807B1 (ko) 2011-04-27

Family

ID=43935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7526A KR101030807B1 (ko) 2009-09-16 2009-09-16 플라이 백 컨버터를 이용한 연계형 인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08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180B1 (ko) * 2013-04-24 2014-12-31 한빛이디에스(주) 에너지 회생 및 맥동전압 제거 기능을 가지는 태양광 발전용 모듈 집적형 전력변환시스템
WO2016187358A1 (en) * 2015-05-18 2016-11-24 Ideal Power Inc. Synergistic applications of multi-on-mode bidirectional bipolar switch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7870B1 (ko) 2014-04-09 2016-12-21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리플 제거를 위한 전력변환 장치
CN106505879B (zh) * 2016-12-19 2019-12-10 江苏省瑞宝特科技发展有限公司 物联网智能综合电源装置
CN109245589B (zh) * 2018-10-10 2022-06-24 青岛大学 单级三相高增益升压型三端口集成逆变器
KR102484960B1 (ko) * 2021-01-22 2023-01-0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양방향 절연형 인버터 회로 및 이를 이용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29546B1 (en) 1998-11-20 2002-08-06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reventing islanding of grid-connected electrical power systems
US6949843B2 (en) 2003-07-11 2005-09-27 Morningstar, Inc. Grid-connected power systems having back-up power sources and methods of providing back-up power in grid-connected power systems
US20050270000A1 (en) * 2004-03-31 2005-12-08 Liuchen Chang Single-stage buck-boost inver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29546B1 (en) 1998-11-20 2002-08-06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reventing islanding of grid-connected electrical power systems
US6949843B2 (en) 2003-07-11 2005-09-27 Morningstar, Inc. Grid-connected power systems having back-up power sources and methods of providing back-up power in grid-connected power systems
US20050270000A1 (en) * 2004-03-31 2005-12-08 Liuchen Chang Single-stage buck-boost inverter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전력전자학회 논문집(제목: 연속적인 운전모드의 전환을 위한 계통연계형 인버터의 간접전류 제어기법), 발표일 2006.02*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180B1 (ko) * 2013-04-24 2014-12-31 한빛이디에스(주) 에너지 회생 및 맥동전압 제거 기능을 가지는 태양광 발전용 모듈 집적형 전력변환시스템
WO2016187358A1 (en) * 2015-05-18 2016-11-24 Ideal Power Inc. Synergistic applications of multi-on-mode bidirectional bipolar swi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723A (ko) 201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06706B (zh) 多单元功率变换方法和多单元功率变换器
CN105406703B (zh) 多单元功率变换方法和多单元功率变换器
Leu et al. A novel dual-inductor boost converter with ripple cancellation for high-voltage-gain applications
KR101030807B1 (ko) 플라이 백 컨버터를 이용한 연계형 인버터
US7333349B2 (en) Single-stage buck-boost inverter
US8503199B1 (en) AC/DC power converter with active rectification and input current shaping
CN105406705B (zh) 多单元功率变换方法和多单元功率变换器
JP6748889B2 (ja) 電力変換装置
EP3038246B1 (en) Dc-ac conversion circuit topologie
JP2008199808A (ja) 系統連系インバータ装置
CN112117903A (zh) 单级隔离dc-dc转换器
EP2546970A2 (en) Inverter
Sarowar et al. High efficiency single phase switched capacitor AC to DC step down converter
KR20110029782A (ko) 풀-브릿지 방식의 절연형 dc/dc컨버터
US7859867B2 (en) Method and inverter for converting a DC voltage into a 3-phase AC output
KR102192021B1 (ko) 단상 절연형 역률개선용 세픽 컨버터
JP6297565B2 (ja) 不平衡な二相dcグリッドのための整流器回路及び方法
CN101521394B (zh) 在线式不间断电源装置
WO2013036734A2 (en) Isolated switch-mode dc/dc converter with sine wave transformer voltages
KR101920469B1 (ko) 쿡 컨버터 기반의 계통 연계형 단일단 인버터
Zengin et al. Evaluation of two-stage soft-switched flyback micro-inverter for photovoltaic applications
CN109560703B (zh) 一种基于耦合电感的开关电容型高增益dc/dc变换器
KR101031282B1 (ko) 하프-브릿지 방식의 dc/dc컨버터
CN102324860A (zh) 直流斩波的线性ac-dc变换器
Moradmand et al. Investigation and improvement of high step-up DC-DC converters for PV module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