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0690B1 - 하수처리상등수 및 하수관거월류수 복합처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하수처리상등수 및 하수관거월류수 복합처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0690B1
KR101030690B1 KR20110006678A KR20110006678A KR101030690B1 KR 101030690 B1 KR101030690 B1 KR 101030690B1 KR 20110006678 A KR20110006678 A KR 20110006678A KR 20110006678 A KR20110006678 A KR 20110006678A KR 101030690 B1 KR101030690 B1 KR 101030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ewage
artificial wetland
supernatant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006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철
신재석
조광주
최충호
박구현
최용수
정재식
홍석원
박용배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주식회사 성일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주식회사 성일엔텍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20110006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06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0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0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5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 C02F3/107Inorganic materials, e.g. sand, 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8Biological phosphorus remov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icro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천시에는 하수처리장 최종방류수를 추가 처리하여 양질의 재이용수를 확보하고, 강우시에는 하수처리장의 설계용량을 초과하여 유입되는 하수관거 월류 비점오염원을 처리하여 인근수계로 방류하도록 하는 하수처리상등수 및 하수관거월류수 복합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하수처리상등수 및 하수관거월류수 복합처리장치는 생물반응조를 포함하는 하수처리장치와, 상기 하수처리장치의 상등수 또는 상기 하수처리장치의 처리용량을 초과하는 월류수를 처리하는 하이브리드 인공습지 및 상기 하이브리드 인공습지의 처리수에 대해 탈질 처리하는 탈질반응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하이브리드 인공습지는, 차수막 상부에 구비되어 원수의 수직 흐름을 유도하여 물리적, 생물학적 처리를 수행하는 제 1 인공습지와, 차수막 하부에 구비되어 원수의 수평 흐름을 유도하여 물리적, 생물학적 처리를 수행하는 제 2 인공습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수처리상등수 및 하수관거월류수 복합처리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 wastewater reuse and sewer overflows}
본 발명은 하수처리상등수 및 하수관거월류수 복합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청천시에는 하수처리장 최종방류수를 추가 처리하여 양질의 재이용수를 확보하고, 강우시에는 하수처리장의 설계용량을 초과하여 유입되는 하수관거 월류 비점오염원을 처리하여 인근수계로 방류하도록 하는 하수처리상등수 및 하수관거월류수 복합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물은 인류가 살아가는데 있어 꼭 필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물 부족 현상에 직면해 있으며, 우리나라도 물이 부족한 실정이며, 이런 물의 부족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다각도의 물 재활용 방법이 제시되고 있으며, 하수처리장 최종처리수 및 우수의 재이용이 여러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국내 공공하수처리장은 연간 약 65억 톤 이상의 하수를 처리하고 있으며, 이 중 재이용되는 하수처리수는 2006년 기준으로 실제 처리하수량의 약 7.7% 정도인 연간 약 4억 9천 톤으로 집계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1차 및 2차의 물리적 및 생물학적 고도처리를 거친 후의 하수처리장(50m3/day 이상) 방류수에는 법적 방류기준 T-N 20 및 T-P 2 mg/L 이하의 범위가 적용되어 재이용하기에는 다소 높은 수준이며, 따라서, 환경부에서 고시한 하수처리수 재이용권고수준(T-N 10 및 T-P 1 mg/L)" 이상의 보다 양질의 재이용수를 확보하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현재,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재이용에 사용되는 주요 기술로는 막 여과기술이 가장 많으며, 그 외 고도산화와 토양/대수층 처리 기술 등이 있다.
막 여과 재이용 기술은 처리된 방류수를 MF (Microfilteration), NF (Nanofilteration), UF (Ultrafiltration), R/O (Reverse osmosis)를 통해 재이용이 가능한 수질로 생산해내는 기술이다.
특히, '역삼투막을 이용한 하폐수 재이용 중수처리 시스템'(대한민국 등록특허 10-0356343호)에서 하수처리장 방류수를 초순수 수준의 중수로 처리하듯 이들 막 여과기술은 처리효율이 뛰어나 양질의 처리수 확보차원에서 가장 바람직한 대안이 될 수는 있으나, 초기 투자비 및 유지관리비가 매우 높아 적용에 신중을 기하는 실정이며, 국내 적용사례를 볼 때 특별한 재이용 목적을 가진 경우에만 국한하여 사용되고 있다.
고도산화 기술은 강력한 산화제를 이용하여 난분해 물질을 제거하는 기술로 비교적 짧은 시간에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공정의 최소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화학반응의 메커니즘을 정확히 규명해야 하는 어려움과 전문화된 유지관리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토양/대수층 처리 기술은 하수처리장 방류수 및 처리장 방류수를 고도산화 및 막 여과를 거친 처리수를 대수층에 주입하여 회수관정을 통해 재이용하는 방법이며, 처리시간이 오래 걸리고 자연조건이 기술의 적용에 적합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토양/대수층 처리 기술을 이용한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재이용 방법 및 장치'(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59942호)는 하수처리장 방류수를 토양과 지하대수층의 불포화대 및 포화대를 통과시켜 처리한 후 지하수를 이용하듯이 이를 다시 펌핑하여 재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로서, 지형적 조건이 설치조건에 충족 되어야하며, 동절기 상기 주입지의 결빙시 침투층으로 주입이 원활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대부분의 최종처리수 재이용 시설의 경우 강수량이 많은 여름철이나 집중 호우시 재이용 시설의 가동이 거의 되지 않거나 처리에 어려움이 있어 시설의 효율적 운영이 어렵다.
이에, 하수처리장은 강우가 집중되는 여름철 하수관로를 통하여 비점오염원을 포함한 과량의 하수 유입시 하수처리능력을 상실한 상태에서 설계용량을 초과하는 유량을 정화처리 없이 그대로 인근수계 등으로 방류하여 주변 환경오염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재이용 시설로 유입시 막대한 운전비 및 유지 관리비가 예상되며, 설계조건과 상이한 유입수 처리시 처리능의 저하로 인해 재이용 수질을 만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초래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청천시에는 하수처리장 최종방류수를 추가 처리하여 양질의 재이용수를 확보하고, 강우시에는 하수처리장의 설계용량을 초과하여 유입되는 하수관거 월류 비점오염원을 처리하여 인근수계로 방류하도록 하는 하수처리상등수 및 하수관거월류수 복합처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하수처리상등수 및 하수관거월류수 복합처리장치는 생물반응조를 포함하는 하수처리장치와, 상기 하수처리장치의 상등수 또는 상기 하수처리장치의 처리용량을 초과하는 월류수를 처리하는 하이브리드 인공습지 및 상기 하이브리드 인공습지의 처리수에 대해 탈질 처리하는 탈질반응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하이브리드 인공습지는, 차수막 상부에 구비되어 원수의 수직 흐름을 유도하여 물리적, 생물학적 처리를 수행하는 제 1 인공습지와, 차수막 하부에 구비되어 원수의 수평 흐름을 유도하여 물리적, 생물학적 처리를 수행하는 제 2 인공습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천시의 경우 상기 하수처리장치에 의해 처리된 상등수가 상기 하이브리드 인공습지에 공급되고, 강우시의 경우 상기 하수처리장치의 처리용량을 초과하는 월류수가 상기 하이브리드 인공습지에 공급되며, 청천시의 경우 하이브리드 인공습지를 통해 처리된 처리수는 상기 탈질반응조에 공급되며, 강우시의 경우 하이브리드 인공습지를 통해 처리된 처리수는 인근수계로 방류된다.
상기 하수처리장치의 전단에 바이패스관이 구비되고, 상기 바이패스관을 통해 상기 하수처리장치의 처리용량을 초과하는 월류수가 하이브리드 인공습지로 공급되며, 상기 바이패스관과 상기 하이브리드 인공습지 사이에 월류수를 1차적으로 여과하는 전처리 여과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인공습지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골재층과 복합여재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골재층의 하부에 처리수가 저류되는 터널형 타공관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복합여재층은 다공성 여재와 여과사를 포함하며, 상기 다공성 여재에는 질소 및 인 제거를 위한 기능성 미생물이 흡착,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인공습지 및 제 2 인공습지를 수직 관통하는 형태로 매설된 수직 타공관이 구비되며, 상기 제 1 인공습지의 터널형 타공관 내의 처리수가 상기 수직 타공관을 통해 상기 제 2 인공습지에 공급된다. 또한, 상기 제 1 인공습지의 상부에 상등수 분배관 및 월류수 분배관이 구비되며, 상기 상등수 분배관은 상기 하수처리장치의 상등수를 상기 제 1 인공습지에 공급하고, 상기 월류수 분배관은 상기 하수처리장치의 처리용량을 초과하는 월류수를 상기 제 1 인공습지에 공급한다. 이와 함께, 상기 제 1 인공습지 내에 공기를 균일하게 주입하는 공기공급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인공습지 내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2개의 격벽이 구비되고, 상기 2개의 격벽에 의해 제 2 인공습지의 평면 영역이 유입부, 여과부 및 배출부로 구분되며, 상기 유입부 및 배출부에 골재층이 구비되고, 상기 여과부에 복합여재층이 구비되며, 상기 복합여재층은 다공성 여재와 여과사로 구성되며, 상기 다공성 여재에는 질소 및 인 제거를 위한 기능성 미생물이 흡착,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탈질반응조는 분리격벽을 구비한 반응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분리격벽을 기준으로 반응조 내의 처리수 흐름이 하향류와 상향류로 유도되며, 상기 반응조 내에 여재층이 충전된다. 상기 여재층은 다공성 여재, 황(S) 및 알칼리도 공급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다공성 여재에는 황을 영양분으로 하는 독립영양미생물이 흡착, 구비된다. 전체 여재층 대비 상기 다공성 여재가 60∼80wt%, 황(S)이 5∼10wt%, 알칼리도 공급제가 5∼10wt% 함량으로 포함되며, 상기 여재층에 영가철이 담지된 황토볼이 1∼30wt%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하수처리장치는 1차 침전조, 생물반응조, 소독방류조, 약품반응조 및 2차 침전조를 포함하며, 상기 약품반응조는 전단의 혼화조와 후단의 응집조로 구성되며, 상기 혼화조는 응집제와 원수를 급속 교반하여 플록을 형성시키며, 상기 응집조는 완속 교반을 통해 플록의 크기를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수처리상등수 및 하수관거월류수 복합처리방법은 생물반응조를 포함하는 하수처리장치, 상기 하수처리장치의 상등수 또는 상기 하수처리장치의 처리용량을 초과하는 월류수를 처리하는 하이브리드 인공습지 및 상기 하이브리드 인공습지의 처리수에 대해 탈질 처리하는 탈질반응조를 포함하하여 구성되는 하수처리상등수 및 하수관거월류수 복합처리장치를 이용한 하수처리상등수 및 하수관거월류수 복합처리방법에 있어서, 청천시의 경우 상기 하수처리장치에 의해 처리된 상등수가 상기 하이브리드 인공습지에 공급되고, 강우시의 경우 상기 하수처리장치의 처리용량을 초과하는 월류수가 상기 하이브리드 인공습지에 공급되며, 청천시의 경우 하이브리드 인공습지를 통해 처리된 처리수는 상기 탈질반응조에 공급되며, 강우시의 경우 하이브리드 인공습지를 통해 처리된 처리수는 인근수계로 방류되며, 상기 하이브리드 인공습지는, 차수막 상부에 구비되어 원수의 수직 흐름을 유도하여 물리적, 생물학적 처리를 수행하는 제 1 인공습지와, 차수막 하부에 구비되어 원수의 수평 흐름을 유도하여 물리적, 생물학적 처리를 수행하는 제 2 인공습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수처리상등수 및 하수관거월류수 복합처리장치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청천시 하수처리장치에 의해 처리된 상등수를 하이브리드 인공습지 및 탈질반응조의 추가 처리를 통해 재이용수로 활용할 수 있으며, 강우시 월류수에 대해 하이브리드 인공습지를 통해 처리함으로써 비점오염원에 의한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처리상등수 및 하수관거월류수 복합처리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처리상등수 및 하수관거월류수 복합처리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인공습지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인공습지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인공습지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질반응조의 평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처리상등수 및 하수관거월류수 복합처리장치 및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처리상등수 및 하수관거월류수 복합처리장치는 하수처리장치(100), 하이브리드 인공습지(200) 및 탈질반응조(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청천시와 강우시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운용된다. 청천시의 경우, 하수관거를 통해 유입되는 하수는 하수처리장치(100), 하이브리드 인공습지(200) 및 탈질반응조(300)를 거쳐 재이용수로 처리되며, 강우시의 경우 하수관거를 월류하는 월류수는 하이브리드 인공습지(200)에 의해 처리되어 인근수계로 방류된다. 이 때, 강우시의 경우에도 하수관거를 월류하지 않은 하수는 상기 하수처리장치(100)를 통해 처리된다. 상기 하수처리장치(100), 하이브리드 인공습지(200) 및 탈질반응조(300)의 세부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하수처리장치(100)는 1차 침전조(110), 생물반응조(120), 소독방류조(130), 약품반응조(140), 2차 침전조(150) 및 상등수 저류조(160)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1차 침전조(110)는 중력 침전작용을 통해 하수 내에 혼입되어 있는 침전 가능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생물반응조(120)는 수중의 유기물질과 질소, 인 등의 영양염류를 미생물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역할을 하며, 세부적으로 혐기조, 무산소조, 포기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소독방류조(130)는 상기 생물반응조(120)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대상으로 소독 과정을 진행한다. 상기 1차 침전조(110), 생물반응조(120) 및 소독방류조(130)는 하수처리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기본적인 구성이라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하수처리장치(100)에는 상기 1차 침전조(110), 생물반응조(120) 및 소독방류조(130) 이외에 약품반응조(140), 2차 침전조(150) 및 상등수 저류조(16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약품반응조(140)는 소독방류조(130)에서 방류된 원수를 응집제(143)와 교반하여 원수 내에 포함되어 있는 인산염(PO4-P), 콜로이드성 물질을 응집시켜 플록(floc)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약품반응조(140)는 전단의 혼화조(141)와 후단의 응집조(142)로 구성된다. 상기 혼화조(141)는 응집제(143)와 원수를 급속 교반하여 플록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응집조(142)는 완속 교반을 통해 플록의 크기를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혼화조(141)의 교반속도는 120∼140rpm, 상기 응집조(142)의 교반속도는 20∼70rpm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상기 응집제(143)로는 황산알루미늄(aluminium sulfat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2차 침전조(150)는 상기 응집조(142)로부터 증대된 플록 및 원수를 공급받아 이를 상등수와 슬러지로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증대된 플록은 2차 침전조(150) 내에 침강되어 슬러지로 분리되며, 슬러지 상부의 상등수는 상기 상등수 저류조(160)로 공급된다.
다음으로, 하이브리드 인공습지(200)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하이브리드 인공습지(200)는 크게 제 1 인공습지(210)와 제 2 인공습지(220)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인공습지(210)와 제 2 인공습지(220)는 기본적으로 다공성 여재, 여과모래, 골재가 충전된 구성을 가지며 이를 통해 원수 내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 플럭, 고형물질을 여과하는 역할을 하며, 이에 더해 상기 다공성 여재에 질소 및 인 제거를 위한 기능성 미생물을 생장시켜 원수의 생물학적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 인공습지(210)는 상기 제 2 인공습지(22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인공습지(210)와 제 2 인공습지(220)는 차수막(230)을 사이에 두고 구분되며, 상기 차수막(230)에 의해 제 1 인공습지(210)의 처리수가 제 2 인공습지(220)로 곧바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인공습지(210)(220)의 둘레와 제 2 인공습지(220)의 바닥에도 차수막(230)이 구비된다.
상기 제 1 인공습지(21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에는 골재층(211)이 구비되고, 골재층(211) 상부에는 다공성 여재와 여과사가 혼합된 복합여재층(212)이 구비된다. 상기 복합여재층(212)은 원수 내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 플럭, 고형물질을 여과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복합여재층(212)을 구성하는 다공성 여재에 기능성 미생물을 부착시켜 생물학적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골재층(211)은 상기 복합여재층(212)을 거친 원수를 부차적으로 여과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골재층(211)을 이루는 골재는 20∼40mm, 상기 다공성 여재와 여과사는 2∼5mm 정도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복합여재층(212)의 상부에는 상등수 분배관(213) 및 월류수 분배관(214)이 구비되며, 상기 상등수 분배관(213)을 통해 상등수가, 상기 월류수 분배관(214)을 통해 월류수가 상기 복합여재층(212)에 공급될 수 있다. 참고로, 전술한 설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공습지(210)에 공급되는 원수는 상등수 또는 월류수를 일컬으며, 상기 월류수 분배관(214)은 전처리 여과조(180)와 연결되는데 상기 전처리 여과조(180)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복합여재층(212)의 표층부에는 식생(217)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식생(217)은 상기 복합여재층(212)에 의해 여과된 미세 플록, 고형성분 등의 유기물을 자양분으로 성장되며, 식생(217)의 성장을 통해 복합여재층(212) 내의 유기물이 제거된다.
이와 함께, 상기 제 1 인공습지(210) 내에 공기공급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장치는 상기 제 1 인공습지(210) 내의 복합여재층(212) 및 골재층(211)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장치로서, 세부적으로 수직공기공급장치(216)와 수평공기공급장치(215)로 구분되며, 수직공기공급장치(216)는 제 1 인공습지(210)의 내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각각의 수직공기공급장치(216)는 수평공기공급장치(215)와 연결된다. 각각의 수직공기공급장치(216)의 일단은 대기 중에 노출되어 자연 통풍이 유도되며, 상기 수평공기공급장치(215)를 통해 공기를 인위적으로 주입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직공기공급장치(216)의 표면은 기공이 구비되어 주변의 복합여재층(212), 골재층(211)으로의 주입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 1 인공습지(210)의 최하부에는 터널형 타공관(218)이 구비되며, 상기 복합여재층(212) 및 골재층(211)을 투과한 처리수는 상기 터널형 타공관(218)에 저류된다. 또한, 상기 제 1 인공습지(210)와 제 2 인공습지(220)를 수직 관통하는 형태로 수직 타공관(240)이 구비되며, 상기 수직 타공관(240)은 상기 터널형 타공관(218)과 연결되어 상기 터널형 타공관(218) 내의 처리수가 상기 수직 타공관(240)으로 공급되어 제 1 인공습지(210)의 처리수는 최종적으로 상기 수직 타공관(240)을 통해 제 2 인공습지(220)로 공급된다. 상기 수직 타공관(240)의 표면에는 복수의 기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공을 통해 처리수가 상기 제 2 인공습지(220)로 공급된다.
다음으로, 제 2 인공습지(22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 및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제 1 인공습지(210)는 골재층과 복합여재층이 수직 배치되고, 원수의 수직 흐름을 유도하여 물리적, 생물학적 여과가 진행되는 방식이나, 제 2 인공습지(220)는 처리수의 수평 흐름을 유도하여 물리적, 생물학적 여과가 진행되는 방식을 택한다.
제 2 인공습지(220)의 평면 구성을 살펴보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인공습지(220)는 2개의 격벽을 구비한다. 상기 2개의 격벽은 이격되어 구비되며 이에 따라, 제 2 인공습지(220)는 유입부, 여과부, 배출부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는 수직 타공관(240)을 통해 제 1 인공습지(210)의 처리수가 유입되는 부분이며, 여과부는 유입부를 거친 처리수가 물리적, 생물학적 처리가 진행되는 공간이며, 배출부는 여과부를 통과한 처리수가 배출되는 부분이다.
상기 유입부에는 골재층이 구비되어 1차적인 여과와 함께 처리수의 흐름을 비교적 빠르게 유도하며, 상기 여과부에는 다공성 여재와 여과사가 혼합된 복합여재층을 구비시켜 물리적, 생물학적 처리를 유도하며, 상기 배출부에는 상기 여과부와 마찬가지로 골재층을 구비시켜 처리수의 흐름을 빠르게 유도함과 함께 최종적인 여과 과정이 진행되도록 한다. 상기 복합여재층에 의한 생물학적 처리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다공성 여재에 질소 및 인 제거를 위한 기능성 미생물이 흡착, 구비된다. 상기 골재층을 이루는 골재는 10∼40mm, 상기 다공성 여재와 여과사는 2∼10mm 정도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 타공관(240)을 통해 제 2 인공습지(220)에 공급된 처리수는 상기 유입부의 골재층, 여과부의 복합여재층, 배출부의 골재층을 거쳐 상기 제 2 인공습지(220)의 일측에 구비된 배출관(250)을 통해 탈질반응조(300) 또는 인근수계로 배출된다. 제 2 인공습지(220)의 처리수가 탈질반응조(300) 또는 인근수계로 선택적으로 배출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하수처리상등수 및 하수관거월류수 복합처리장치는 청천시와 강우시에 따라 선택적으로 운용되고, 상기 제 1 인공습지(210) 상부에는 월류수 분배관(214)과 상등수 분배관(213)이 독립적으로 구비됨을 기술하였다. 즉, 하이브리드 인공습지(200)는 월류수 또는 상등수를 선택적으로 처리한다. 청천시의 경우 상기 하이브리드 인공습지(200)는 상등수를 처리하며, 이 경우 상등수 분배관(213)을 통해 상등수가 공급되고 제 1 및 제 2 인공습지(210)(220)를 통해 처리되어 탈질반응조(300)로 배출된다. 반면, 강우시의 경우 하이브리드 인공습지(200)는 월류수를 처리하며, 이 경우 월류수 분배관(214)을 통해 월류수가 공급되고 제 1 및 제 2 인공습지(210)(220)를 통해 처리되어 인근수계로 배출된다. 상기 월류수 공급을 위해 상기 하수처리장치(100)의 전단에 바이패스관(170)이 구비되고, 하수처리장치(100)의 처리용량을 초과하는 월류수는 바이패스관(170)을 통해 전처리 여과조(180)에 공급되며, 상기 전처리 여과조(180)에서 1차적인 여과 과정을 거친 후 상기 제 1 인공습지(210)의 월류수 분배관(214)으로 공급된다.
한편, 상기 하이브리드 인공습지(200)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어 각 영역을 선택적으로 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으로 구분하여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을 교대운전할 수 있다.
이상, 하수처리장치(100) 및 하이브리드 인공습지(200)에 대해서 설명하였는데, 마지막으로 탈질반응조(3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탈질반응조(300)는 반응조(310)를 구비하며, 상기 반응조(310) 내에는 여재층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반응조(310) 내에는 분리격벽(320)이 구비되어 분리격벽(320)을 기준으로 하향류와 상향류가 유도된다. 즉, 하이브리드 인공습지(200)의 처리수가 처리수조(400) 및 처리수 공급관(410)을 통해 상기 반응조(310)에 공급되면 하향류가 유도되며 분리격벽(320) 하부를 통과하면서 상향류로 유도된다.
상기 여재층은 다공성 여재, 황(S) 및 알칼리도 공급제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전체 여재층 대비 상기 다공성 여재가 60∼80wt%, 황(S)이 5∼10wt%, 알칼리도 공급제가 5∼10wt%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재층에 영가철이 담지된 황토볼이 1∼30wt%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황(S) 및 알칼리도 공급제의 함량은 최적의 탈질 반응을 고려하여 설정된 것이다.
상기 다공성 여재에는 수중의 질산성질소를 제거하는 독립영양미생물이 흡착, 구비되며, 입상 또는 분말상의 황(S)은 전자공여체의 역할 및 다공성 여재에 부착된 독립영양미생물의 영양분 역할을 한다. 알칼리도 공급제는 수중의 pH 농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황화합물을 이용한 독립영양미생물은 아래의 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S2-, S, S2O3 2-, S4O6 -, SO3 2- 등의 여러 가지 황화합물을 황산염이온(SO4 2-)으로 산화시키면서 동시에 질산성 질소(NO3-N)를 질소가스(N2) 형태로 전환시킨다. 한편, 탈질 반응시 사용되는 황(S) 및 알칼리도 공급제는 주기적으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때 다공성 여재는 별도의 교체가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영가철을 이용한 황토볼이 여재층에 포함되는 경우, 영가철의 산화와 함께 암모니아(NH3)나 질소가스(N2) 형태로 전환된다(식 2 참조).
<식 1>
NO3 - + 1.10S + 0.40CO2 + 0.76H2O + 0.08NH4 +
0.50N2↑ + 1.10SO4 2- + 1.28H + 0.08C2H7O2N
<식 2>
2NO3 - + 5Fe0 + 6H2O → 5Fe2+ + N2 + 12OH-
한편, 상기 반응조(310)의 일측에는 역세관(340)이 구비되며, 상기 역세관(340)의 다른 일측은 상기 상등수 저류조(160)와 연결되어 역세 완료된 역세수는 상기 상등수 저류조(160)로 방출된다. 또한, 상기 반응조(310)의 일측에는 방류관(330) 및 방류조가 구비되며, 상기 반응조(310)에 의해 탈질 처리된 처리수는 상기 방류관(330)을 통해 상기 방류조(350)에 최종 저류된다.
100 : 하수처리장치 110 : 1차 침전조
120 : 생물반응조 130 : 소독방류조
140 : 약품반응조 141 : 혼화조
142 : 응집조 143 : 응집제
150 : 2차 침전조 160 : 상등수 저류조
170 : 바이패스관 180 : 전처리 여과조
200 : 하이브리드 인공습지 210 : 제 1 인공습지
211 : 골재층 212 : 복합여재층
213 : 상등수 분배관 214 : 월류수 분배관
215 : 수평 공기공급장치 216 : 수직 공기공급장치
217 : 식생 218 : 터널형 타공관
230 : 차수막 240 : 수직 타공관
250 : 배출관 300 : 탈질반응조
310 : 반응조 320 : 분리격벽
330 : 방류관 340 : 역세관
400 : 처리수조 410 : 처리수 공급관

Claims (20)

  1. 생물반응조를 포함하는 하수처리장치;
    상기 하수처리장치의 상등수 또는 상기 하수처리장치의 처리용량을 초과하는 월류수를 처리하는 하이브리드 인공습지; 및
    상기 하이브리드 인공습지의 처리수에 대해 탈질 처리하는 탈질반응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하이브리드 인공습지는,
    차수막 상부에 구비되어 원수의 수직 흐름을 유도하여 물리적, 생물학적 처리를 수행하는 제 1 인공습지와, 차수막 하부에 구비되어 원수의 수평 흐름을 유도하여 물리적, 생물학적 처리를 수행하는 제 2 인공습지로 구성되며,
    상기 하수처리장치의 전단에 바이패스관이 구비되고, 상기 바이패스관을 통해 상기 하수처리장치의 처리용량을 초과하는 월류수가 하이브리드 인공습지로 공급되며, 상기 바이패스관과 상기 하이브리드 인공습지 사이에 월류수를 1차적으로 여과하는 전처리 여과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상등수 및 하수관거월류수 복합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청천시의 경우 상기 하수처리장치에 의해 처리된 상등수가 상기 하이브리드 인공습지에 공급되고, 강우시의 경우 상기 하수처리장치의 처리용량을 초과하는 월류수가 상기 하이브리드 인공습지에 공급되며,
    청천시의 경우 하이브리드 인공습지를 통해 처리된 처리수는 상기 탈질반응조에 공급되며, 강우시의 경우 하이브리드 인공습지를 통해 처리된 처리수는 인근수계로 방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상등수 및 하수관거월류수 복합처리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공습지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골재층과 복합여재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골재층의 하부에 처리수가 저류되는 터널형 타공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상등수 및 하수관거월류수 복합처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여재층은 다공성 여재와 여과사를 포함하며, 상기 다공성 여재에는 질소 및 인 제거를 위한 기능성 미생물이 흡착,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상등수 및 하수관거월류수 복합처리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공습지 및 제 2 인공습지를 수직 관통하는 형태로 매설된 수직 타공관이 구비되며, 상기 제 1 인공습지의 터널형 타공관 내의 처리수가 상기 수직 타공관을 통해 상기 제 2 인공습지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상등수 및 하수관거월류수 복합처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공습지의 상부에 상등수 분배관 및 월류수 분배관이 구비되며, 상기 상등수 분배관은 상기 하수처리장치의 상등수를 상기 제 1 인공습지에 공급하고, 상기 월류수 분배관은 상기 하수처리장치의 처리용량을 초과하는 월류수를 상기 제 1 인공습지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상등수 및 하수관거월류수 복합처리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공습지 내에 공기를 균일하게 주입하는 공기공급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상등수 및 하수관거월류수 복합처리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공습지 내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2개의 격벽이 구비되고, 상기 2개의 격벽에 의해 제 2 인공습지의 평면 영역이 유입부, 여과부 및 배출부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상등수 및 하수관거월류수 복합처리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 및 배출부에 골재층이 구비되고, 상기 여과부에 복합여재층이 구비되며, 상기 복합여재층은 다공성 여재와 여과사로 구성되며, 상기 다공성 여재에는 질소 및 인 제거를 위한 기능성 미생물이 흡착,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상등수 및 하수관거월류수 복합처리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질반응조는 분리격벽을 구비한 반응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분리격벽을 기준으로 반응조 내의 처리수 흐름이 하향류와 상향류로 유도되며, 상기 반응조 내에 여재층이 충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상등수 및 하수관거월류수 복합처리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여재층은 다공성 여재, 황(S) 및 알칼리도 공급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다공성 여재에는 황을 영양분으로 하는 독립영양미생물이 흡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상등수 및 하수관거월류수 복합처리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전체 여재층 대비 상기 다공성 여재가 60∼80wt%, 황(S)이 5∼10wt%, 알칼리도 공급제가 5∼10wt%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상등수 및 하수관거월류수 복합처리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여재층에 영가철이 담지된 황토볼이 1∼30wt%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상등수 및 하수관거월류수 복합처리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수처리장치는 1차 침전조, 생물반응조, 소독방류조, 약품반응조 및 2차 침전조를 포함하며,
    상기 약품반응조는 전단의 혼화조와 후단의 응집조로 구성되며, 상기 혼화조는 응집제와 원수를 급속 교반하여 플록을 형성시키며, 상기 응집조는 완속 교반을 통해 플록의 크기를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상등수 및 하수관거월류수 복합처리장치.
  16. 생물반응조를 포함하는 하수처리장치, 상기 하수처리장치의 상등수 또는 상기 하수처리장치의 처리용량을 초과하는 월류수를 처리하는 하이브리드 인공습지 및 상기 하이브리드 인공습지의 처리수에 대해 탈질 처리하는 탈질반응조를 포함하하여 구성되는 하수처리상등수 및 하수관거월류수 복합처리장치를 이용한 하수처리상등수 및 하수관거월류수 복합처리방법에 있어서,
    청천시의 경우 상기 하수처리장치에 의해 처리된 상등수가 상기 하이브리드 인공습지에 공급되고, 강우시의 경우 상기 하수처리장치의 처리용량을 초과하는 월류수가 상기 하이브리드 인공습지에 공급되며,
    청천시의 경우 하이브리드 인공습지를 통해 처리된 처리수는 상기 탈질반응조에 공급되며, 강우시의 경우 하이브리드 인공습지를 통해 처리된 처리수는 인근수계로 방류되며,
    상기 하이브리드 인공습지는,
    차수막 상부에 구비되어 원수의 수직 흐름을 유도하여 물리적, 생물학적 처리를 수행하는 제 1 인공습지와, 차수막 하부에 구비되어 원수의 수평 흐름을 유도하여 물리적, 생물학적 처리를 수행하는 제 2 인공습지로 구성되며,
    상기 탈질반응조는 분리격벽을 구비한 반응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분리격벽을 기준으로 반응조 내의 처리수 흐름이 하향류와 상향류로 유도되며, 상기 반응조 내에 여재층이 충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상등수 및 하수관거월류수 복합처리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공습지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골재층과 복합여재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골재층의 하부에 처리수가 저류되는 터널형 타공관이 구비되며,
    상기 제 1 인공습지 및 제 2 인공습지를 수직 관통하는 형태로 매설된 수직 타공관이 구비되며, 상기 제 1 인공습지의 터널형 타공관 내의 처리수가 상기 수직 타공관을 통해 상기 제 2 인공습지에 공급되며,
    상기 제 2 인공습지 내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2개의 격벽이 구비되고, 상기 2개의 격벽에 의해 제 2 인공습지의 평면 영역이 유입부, 여과부 및 배출부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상등수 및 하수관거월류수 복합처리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공습지의 상부에 상등수 분배관 및 월류수 분배관이 구비되며, 상기 상등수 분배관은 상기 하수처리장치의 상등수를 상기 제 1 인공습지에 공급하고, 상기 월류수 분배관은 상기 하수처리장치의 처리용량을 초과하는 월류수를 상기 제 1 인공습지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상등수 및 하수관거월류수 복합처리방법.
  19. 삭제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여재층은 다공성 여재, 황(S) 및 알칼리도 공급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다공성 여재에는 황을 영양분으로 하는 독립영양미생물이 흡착, 구비되며,
    전체 여재층 대비 상기 다공성 여재가 60∼80wt%, 황(S)이 5∼10wt%, 알칼리도 공급제가 5∼10wt%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상등수 및 하수관거월류수 복합처리방법.
KR20110006678A 2011-01-24 2011-01-24 하수처리상등수 및 하수관거월류수 복합처리장치 및 방법 KR101030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06678A KR101030690B1 (ko) 2011-01-24 2011-01-24 하수처리상등수 및 하수관거월류수 복합처리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06678A KR101030690B1 (ko) 2011-01-24 2011-01-24 하수처리상등수 및 하수관거월류수 복합처리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0690B1 true KR101030690B1 (ko) 2011-04-26

Family

ID=44050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006678A KR101030690B1 (ko) 2011-01-24 2011-01-24 하수처리상등수 및 하수관거월류수 복합처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069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779B1 (ko) 2011-05-24 2012-01-18 한국바이오시스템(주) 하천 정화가 가능한 자연형 비점정화장치 및 자연형 비점정화방법
KR101106778B1 (ko) * 2011-05-24 2012-01-18 한국바이오시스템(주) 공공시설 및 공동주택용 자연정화형 하폐수·빗물처리시설과 이를 이용한 하폐수·빗물처리방법 및 물순환 시스템
KR101127474B1 (ko) * 2011-05-25 2012-03-23 주식회사 성일엔텍 저수지 정화가 가능한 자연형 비점정화장치 및 자연형 비점정화방법
KR101140722B1 (ko) 2011-10-21 2012-05-03 주식회사 시노펙스 외부순환형 멤브레인 및 빗물을 이용한 중수 재이용 장치
WO2012161392A1 (ko) * 2011-05-24 2012-11-29 주식회사 성일엔텍 하이브리드 인공습지 수질정화시스템, 이를 이용한 하수처리장치 및 하천 또는 호소수의 동시 정화가 가능한 자연형 비점정화장치
KR101768700B1 (ko) * 2016-02-29 2017-08-17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 정화 표층 보호를 위한 하이브리드 그린인프라
KR101768703B1 (ko) * 2016-02-29 2017-08-17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영가철을 포함하는 혼합여재층 및 이를 포함하는 그린인프라
KR102618913B1 (ko) * 2022-12-22 2024-01-02 주식회사 프로솔 인공습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오폐수처리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5237B1 (en) * 2002-07-26 2003-03-08 Dong Keun Lee Nature friendly non-powered sewage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KR100460462B1 (ko) * 2004-07-05 2004-12-09 주식회사 에코다임 습지여과지를 이용한 하·폐수의 고도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5237B1 (en) * 2002-07-26 2003-03-08 Dong Keun Lee Nature friendly non-powered sewage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KR100460462B1 (ko) * 2004-07-05 2004-12-09 주식회사 에코다임 습지여과지를 이용한 하·폐수의 고도처리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779B1 (ko) 2011-05-24 2012-01-18 한국바이오시스템(주) 하천 정화가 가능한 자연형 비점정화장치 및 자연형 비점정화방법
KR101106778B1 (ko) * 2011-05-24 2012-01-18 한국바이오시스템(주) 공공시설 및 공동주택용 자연정화형 하폐수·빗물처리시설과 이를 이용한 하폐수·빗물처리방법 및 물순환 시스템
WO2012161392A1 (ko) * 2011-05-24 2012-11-29 주식회사 성일엔텍 하이브리드 인공습지 수질정화시스템, 이를 이용한 하수처리장치 및 하천 또는 호소수의 동시 정화가 가능한 자연형 비점정화장치
US9221698B2 (en) 2011-05-24 2015-12-29 Sung Il En-Tech Co., Ltd. Hybrid artificial wetland water purification system, sewage treatment device using same, and natural nonpoint purification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ly purifying river and lake water
KR101127474B1 (ko) * 2011-05-25 2012-03-23 주식회사 성일엔텍 저수지 정화가 가능한 자연형 비점정화장치 및 자연형 비점정화방법
KR101140722B1 (ko) 2011-10-21 2012-05-03 주식회사 시노펙스 외부순환형 멤브레인 및 빗물을 이용한 중수 재이용 장치
KR101768700B1 (ko) * 2016-02-29 2017-08-17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 정화 표층 보호를 위한 하이브리드 그린인프라
KR101768703B1 (ko) * 2016-02-29 2017-08-17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영가철을 포함하는 혼합여재층 및 이를 포함하는 그린인프라
KR102618913B1 (ko) * 2022-12-22 2024-01-02 주식회사 프로솔 인공습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오폐수처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0690B1 (ko) 하수처리상등수 및 하수관거월류수 복합처리장치 및 방법
KR101163061B1 (ko) 처리토양층 및 투수여재층을 이용한 하천수질 정화장치 및 방법
US20210230033A1 (en) Treatment using fixed film processes and ballasted settling
Bali et al. Removal of phosphorus from secondary effluents using infiltration–percolation process
KR100784933B1 (ko) 고농도 유기성 폐수의 유기물 및 질소 처리 장치
Sharma et al. Treatment efficiency of vertical flow constructed wetland systems operated under different recirculation rates
Kucuk et al. Removal of ammonia from tannery effluents in a reed bed constructed wetland
JP4199075B2 (ja) 水質浄化施設
CN209210593U (zh) 一种城镇污水处理系统
KR100917267B1 (ko) 강우 유출수를 이용한 재사용 수도 장치
CN111392964B (zh) 一种雨污合流泵站污水的处理方法及其装置
Martynov et al. Modern trends at natural and wastewater treatment plants reconstruction
Bauer et al. Enhanced rapid gravity filtration and dissolved air flotation for pre-treatment of river Thames reservoir water
CA2421108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astewater nutrient recovery
Bali et al. Removal of contaminants and pathogens from secondary effluents using intermittent sand filters
KR101950679B1 (ko) 라디칼 순환제를 활용한 농촌지역 비점 오염원의 자연정화 습지
KR100364359B1 (ko) 자력 및 생물막을 이용한 하수 및 폐수의 고도처리방법 및고도처리장치
CN109368941A (zh) 一种城镇污水处理装置及其应用
CN105254123B (zh) 焦化废水深度处理系统及其回用工艺
KR101827525B1 (ko) 부상여재 여과를 이용한 중소규모 고도하수처리 방법
KR20010045253A (ko) 하수 고도처리장치와 이 장치를 이용한 하수처리방법
Sharma et al. Treatment trains utilising natural and hybrid processes
KR100381901B1 (ko) 접촉산화방법을 이용한 오염심화 하천수 및 하수, 오수처리시설의 방류수 처리시스템
KR101299586B1 (ko) 오폐수 처리 장치 및 처리 방법
Heinzmann et al. An integrated water management concept to ensure a safe water supply and high drinking water quality on an ecologically sound ba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9